KR101951151B1 - 상부 센서가 설치되는 물과 사료의 혼합급이기 - Google Patents

상부 센서가 설치되는 물과 사료의 혼합급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1151B1
KR101951151B1 KR1020180085810A KR20180085810A KR101951151B1 KR 101951151 B1 KR101951151 B1 KR 101951151B1 KR 1020180085810 A KR1020180085810 A KR 1020180085810A KR 20180085810 A KR20180085810 A KR 20180085810A KR 101951151 B1 KR101951151 B1 KR 101951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sensor
support rod
water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5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주
Original Assignee
김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주 filed Critical 김기주
Priority to KR1020180085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11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1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1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25Gravity replenishment from a reserve, e.g. a hopper
    • A01K5/0233Gravity replenishment from a reserve, e.g. a hopper dispensing by dosing means actively operated by the anim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209Feeding pens for pigs or cattl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 A01K7/06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actuated by the anim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발명은 센서가 설치되는 물과 사료의 혼합급이기에 관한 것으로, 급이기의 호퍼(10)로부터 사료가 공급되는 급이기판(100)에 물공급관(60)이 같이 설치되되, 상기 호퍼(10) 하부에 사료토출부(20)가 설치되며, 상기 사료토출부(20)를 돼지가 건들면 상기 사료토출부(20)의 움직임을 상부의 센서가 감지하여 물이 급이기판(100)에 공급되어 돼지가 물과 사료가 혼합된 상태로 먹을 수 있는 것으로,
본발명은 돼지가 물하고 섞인 사료를 아주 빨리 먹어주므로 짧은 시간에 많은 사료 섭취를 할 수 있으며 급이기판에 찌꺼기가 남지 않아 청결한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상부 센서가 설치되는 물과 사료의 혼합급이기{mixing feeder of water and feed with upper sensor}
본발명은 상부 센서가 설치되는 물과 사료의 혼합급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급이기판에 물공급관이 같이 설치되되, 호퍼 하부에 사료토출부가 설치되며, 상기 사료토출부를 돼지가 건들면 상기 사료토출부의 움직임을 사료양조절축인 지지봉에 전달하여 상부의 움직임 감지센서가 감지하여 물이 급이기판에 공급되어 돼지가 물과 사료가 혼합된 상태로 먹을 수 있는 상부 센서가 설치되는 물과 사료의 혼합급이기에 관한 것이다.
본발명은 급이기에서 돼지에게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사료섭취를 위한 급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통의 급이기들은 물따로 사료따로로 구성되어 있다. 사료 따로 구성은 건사료 상태를 말하는 것인데 종래 급이기로서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5-0083500호에는 물이 공급되는 판막밸브(210)의 하단에 물공급관(220)이 설치되는 물공급장치(200)와, 상기 물공급장치(200)의 측면에 결합되는 사료공급통(100)과, 상기 물공급장치(200) 및 사료공급통(100) 하부에 설치되는 급이기판(300)으로 구성된 양돈용 급이기의, 상기 급이기판(300)은 사료공급부(302)와 물공급부(304)가 각각 동심원상으로 형성되는 양돈용 급이기의 물공급관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양돈용 급이기의 물공급관 고정장치는 사료공급통(100)의 외벽면에 부착되는 수평브라켓(110)과, 상기 수평브라켓(110)에 수직으로 용접결합되며 가운데 구멍(121)에 상기 물공급장치(200)의 물공급관(220)이 통과되는 수직브라켓(120)과, 상기 수직브라켓(120)에 나사결합되어 수평으로 전후진 하는 핸들(1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돈용 급이기의 물공급관 고정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324864호에는 상부의 호퍼(100)와, 상기 호퍼(100) 하부에 설치되어 돼지들이 사료를 섭취할 수 있는 급이기판(200)으로 이루어지는 급이기의 호퍼구조에 있어서, 상기 호퍼(100)의 상부에는 모터(10)가 설치되고, 모터(10) 하부에는 사료결집방지튜브(20)가 모터축(11)에 설치되되, 상기 사료결집방지튜브(20)는 모터축(11)과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지지원통(21)과 상기 지지원통(21) 외부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튜브(22)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원통(21) 하부에는 상기 지지원통(21)을 지지하는 받침대(23)가 모터축(11)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원통(21)과 튜브(22) 사이에는 다수 개의 튜브지지편(24)이 연결되어 튜브(22)가 상기 지지원통(21)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이기의 호퍼구조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급이기판의 사료공급부에는 물이 공급되지 않아 건사료 상태로서,건 사료는 섭취시 돼지입에서 머무는 시간이 길어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을 섭취하기가 어렵다. 그러므로 돼지가 먹기가 어려워 먹는 속도가 느리며 많이 먹지 못하여 찌꺼기가 남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발명은 돼지가 물하고 섞인 사료를 아주 빨리 먹어주므로 짧은 시간에 많은 사료 섭취를 할 수 있으며 급이기판에 찌꺼기가 남지 않아 청결한 상부센서가 설치되는 물과 사료의 혼합급이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센서를 급이기 호퍼의 상부위치에 설치하여 센서 조립이 간편할 뿐 아니라 고장이 나도 간편하게 수리가 가능한 상부센서가 설치되는 물과 사료의 혼합급이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발명은 센서가 설치되는 물과 사료의 혼합급이기에 관한 것으로, 급이기의 호퍼(10)로부터 사료가 공급되는 급이기판(100)에 물공급관(60)이 같이 설치되되, 상기 호퍼(10) 하부에 사료토출부(20)가 설치되며, 상기 사료토출부(20)를 돼지가 건들면 상기 사료토출부(20)의 움직임을 상부의 센서가 감지하여 물이 급이기판(100)에 공급되어 돼지가 물과 사료가 혼합된 상태로 먹을 수 있는 것으로, 돼지가 사료토출부(20)를 밀거나 회전시키면 센서가 이를 감지 상기 센서에서 제어부에 신호를 보내면 제어부는 물공급관(60)의 전동변을 열어서 물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발명은 돼지가 물하고 섞인 사료를 아주 빨리 먹어주므로 짧은 시간에 많은 사료 섭취를 할 수 있으며 급이기판에 찌꺼기가 남지 않아 청결한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센서를 급이기 호퍼의 상부위치에 설치하여 센서 조립이 간편할 뿐 아니라 고장이 나도 간편하게 수리가 가능한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급이기 도면
도 2는 본발명 물과 사료의 혼합급이기의 정면도
도 3은 본발명 물과 사료의 혼합급이기 사진
도 4는 본발명 지지봉 하단 결합사진
도 5는 본발명 물과 사료의 혼합급이기를 뒤집어 본 사진
도 6은 본발명의 사료토출부 상세사진
도 7은 본발명 지지봉 상단 커버 장착도
도 8은 본발명 지지봉 상단의 커버내 상부센서 설치도
본발명은 상부 센서가 설치되는 물과 사료의 혼합급이기에 관한 것으로, 급이기의 호퍼(10)로부터 사료가 공급되는 급이기판(100)에 물공급관(60)이 같이 설치되되, 상기 호퍼(10) 하부에 사료토출부(20)가 설치되며, 상기 사료토출부(20)를 돼지가 건들면 상기 사료토출부(20)의 움직임을 상부의 센서가 감지하여 물이 급이기판(100)에 공급되어 돼지가 물과 사료가 혼합된 상태로 먹을 수 있는 것으로, 돼지가 사료토출부(20)를 밀거나 회전시키면 센서가 이를 감지 상기 센서에서 제어부에 신호를 보내면 제어부는 물공급관(60)의 전동변을 열어서 물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돼지가 사료토출부(20)를 밀거나 회전시키면 지지봉(40)이 움직이게 되고 센서가 상기 지지봉의 움직임을 감지 상기 센서에서 제어부에 신호를 보내면 제어부는 물공급관(60)의 전동변을 열어서 물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서는 움직임 감지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봉 상단을 호퍼 상부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앵글에 볼트로 결합하되, 지지봉이 통과하는 앵글 구멍은 지지봉 지름보다 크게 형성하여 아래로부터의 사료 출구 움직임이 상부에서도 충분히 감지될 수 있도록 여유공간을 두게 되어 지지봉이 앵글 구멍 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봉의 상단은 앵글에 형성되는 앵글 구멍을 통과한 후 앵글 상면에 너트로 결합되되, 상기 너트 주위에는 센서가 설치되는 커버가 결합되며 앵글 구멍은 충분히 유격공간이 있으므로 전후좌우 또는 미소회전을 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봉에서 이격되어 커버내에 설치되는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에서 제어부에 신호를 보내면 제어부는 물공급관(60)의 전동변을 열어서 물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는 하부가 개방되는 상자형이며 앵글길이 방향으로 좌우플랜지가 형성되어 앵글에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봉 상단에는 너트가 결합되되, 상기 너트를 관통하는 고정봉의 상단에는 탄성체가 더 결합되어 지지봉 상단의 움직임이 탄성체에 의해 증폭되는 것이며 상기 탄성체 상부에는 캡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체는 코일스프링으로서, 지지봉이 미세하게 움직여도 코일스프링은 크게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봉의 상단에는 볼트 몸체가 연결되어, 앵글 구멍을 통과한 볼트 몸체에는 상, 하부 너트가 결합되며, 상기 앵글 구멍은 충분히 지름이 볼트 몸체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어 유격이 있어서 상기 볼트 몸체가 앵글 구멍 내부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서는 커버 내벽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 내의 지지봉이 관통되는 앵글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센서 고정부가 설치되되, 상기 센서 고정부는 앵글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수평부와 수직부로 이루어져서 단면이 ‘⊥’ 형상이며, 상기 수직부에 센서가 장착되며, 상기 센서에 연결되는 케이블선은 커버외부로 인출되어 제어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급이기 도면, 도 2는 본발명 물과 사료의 혼합급이기의 정면도, 도 3은 본발명 물과 사료의 혼합급이기 사진, 도 4는 본발명 지지봉 하단 결합사진, 도 5는 본발명 물과 사료의 혼합급이기를 뒤집어 본 사진, 도 6은 본발명의 사료토출부 상세사진, 도 7은 본발명 지지봉 상단 커버 장착도, 도 8은 본발명 지지봉 상단의 커버내 상부센서 설치도이다.
본발명은 돼지는 물하고 섞인 사료를 아주 빨리 먹어주므로 짧은 시간에 많은 사료 섭취를 위한 방법이다.
급이기에서 돼지가 사료 섭취를 하기 위해서는 급이기에서 돼지가 사료토출부를 건드려야 한다. 그래야 사료가 빠져나오는데 이때 토출부의 움직임을 센스가 감지 이를 전기신호로 솔레노이드 밸브를 개폐하게 된다.
물의 양을 사료가 토출되어 나오는 양과 비례해서 적절하게 공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이를 제어부에서 콘트롤하게 하는데 토출부를 한 번 건드리면 물이 한 번 나오게 한뒤 토출부를 몇 번 더 건드려도 일정한 시간이 지난뒤에 물이 또한번 나오게 한다. 물이 한 번 나올때 물의 양을 얼만큼 할지와 토출부를 건드릴때마다 조금씩 나오도록 하는 방법 등 사료나 물의 배합비를 적절하게 균형을 맞춰줌으로써 돼지가 사료섭취를 용이하게 하여 짧은 시간에 많은 사료섭취를 하게 한다.
상기 센서는 상부에 설치될 수 있고, 하부에도 설치될 수 있으며 상부에 설치될 경우 관용의 움직임감지센서를 사용하고 하부에 설치될 경우 관용의 접촉센서를 사용한다.
먼저 하부에 설치되는 경우를 설명하면,
본발명은 급이기판의 사료공급부에 물공급관이 같이 설치되되. 상기 급이기의 사료가 상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호퍼 하부에 사료토출부가 설치되는 설치부위에는 센서가 설치되어 돼지가 사료토출부를 밀면 사료토출부가 센서 측면에 닿고 상기 센서에서 제어부에 신호를 보내면 제어부는 물공급관의 전동변을 열어서 물을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사료토출부는 상하부가 개방되고 단면이 둥근 튜브형태이다.
상기 호퍼하부 외부에 센서가 설치되되 호퍼외면과 센서사이에 사료토출부 상단이 삽입되며, 상기 사료토출부 상단은 호퍼외면과 센서사이에서 유격이 있게 설치되어 돼지가 사료토출부를 건들면 사료토출부 상단이 호퍼외면 또는 센서에 닿게 되는 것이다.
상기 호퍼하부는 내부호퍼와 외부호퍼 두 개로 나누어져 상기 내부호퍼 외면 또는 외부호퍼 내면에 사료토출부가 설치되며 내부호퍼 외면과 외부호퍼 내면사이에 사료토출부 상단이 삽입되되, 상기 사료토출부 상단은 내부호퍼 외면과 외부호퍼 내면사이에서 유격이 있게 설치되어 돼지가 사료토출부를 건들거나 돌리면 사료토출부 상단이 내부호퍼 외면과 외부호퍼 내면에 설치되는 센서에 의해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내부호퍼는 하부지름이 상부지름보다 작아지게 경사가 형성되며 외부호퍼는 수직형상으로 제작된다.
상기 사료토출부의 하부에는 지지대가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에는 수직상방으로 지지봉이 결합되어 지지봉의 상단은 호퍼 상부의 프레임에 너트에 의해 결합되어 지지봉의 길이를 상하부로 당겨서 길이를 조절하여 너트를 조여 고정함으로써, 사료의 공급량을 조절할뿐 아니라, 상기 내부호퍼는 하부지름이 상부지름보다 작아지게 경사가 형성되며 외부호퍼는 수직형상으로 제작되므로 지지봉의 길이를 상하부로 당겨서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하게 되면 센서와 사료토출부상단의 접촉거리를 조절하여 사료량을 조절하는 것이다.
상기 호퍼와 사료토출부 등은 금속재질, 특히 스텐레스 재질로 제작된다.
본발명의 하부에 센서가 설치되는 경우 사용되는 상기 센서는 관용의 접촉센서를 사용하며 광센서나 자기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는 환봉형상으로서 고리와 결합되고, 상기 고리는 사료토출부 내벽면을 관통하여 지지하며, 상기 지지대의 중앙을 지지봉이 상하로 관통하며 상하측 너트로 결합되는 것이다.
특히 물공급관은 급이기의 측면벽에 설치되어 사료를 먹는데 방해가 되지 않게 한다.
그리고 상기 급이기판은 사료가 공급되는 호퍼 하부에 위치하는 중앙의 볼록부와, 상기 볼록부 주위의 사료가 담기는 사료공급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볼록부는 상단의 평면부와, 평면부에 이어지며 하부로 경사가 완만하게 형성되는 1차 경사부와 , 상기 1차 경사부에서 경사가 급하게 이어지는 2차 경사부로 이루어진다.
호퍼의 사료공급에 대해 설명하면 돼지가 사료를 섭취할 때, 사료토출부를 건드리는 것에 의해 사료토출부가 움직이며 호퍼에 담겨있는 사료가 자체 하중과 그 충격으로 호퍼내에 쌓여있던 사료가 엉기지 않고 흘러내리게 된다.
지지봉 하단에는 환봉형상의 지지대가 지지봉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수평으로 결합되며, 상기 지지대 양단에는 원호형 고리가 각각 고정되며, 상기 고리 양단은 사료토출부 벽면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상기 사료토출부의 고리를 돼지가 건들면 사료토출부가 고정된 지지봉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된다. 한편, 상기 지지봉과 지지대를 일체화시켜 상기 편철이 회전되면 지지봉이 따라서 회전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발명은 센서가 상부에 설치될 경우에는 센서를 관용의 움직임감지센서를 사용하며, 상기 움직임감지센서는 지지봉의 상부에 설치되어 지지봉이 회전하면 주위에 설치되는 움직임감지센서에서 감지하여 제어부에 신호를 보내면 제어부는 물공급관의 전동변을 열어서 물을 공급하는 것으로, 물과 사료 혼합급이기물이 급이기판(100)에 공급되어 돼지가 물과 사료가 혼합된 상태로 먹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발명은 돼지가 물하고 섞인 사료를 아주 빨리 먹어주므로 짧은 시간에 많은 사료 섭취를 할 수 있으며 급이기에 찌꺼기가 남지 않아 청결한 현저한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기재하면, 본발명의 상부센서는 움직임 감지 센서를 사용하며 특히 급이기 상부의 앵글에 설치한다.
센서를 급이기 하부인 출구측에 설치하면 조립에 일손이 많이 들어가고 고장이 났을 때 급이기 전체를 분해, 재조립해야 하는 큰 불편함이 있다.
그러나 출구 하단과 상부와의 길이가 길고 사료가 담기는 호퍼 내부에 사료가 차있을 때는 사료에 묻혀(갇혀) 그 저항 때문에 상부에는 동력 전달이 제대로 안되므로 상부에서는 움직임 감지하는 센서가 움직임 포착이 어렵게 된다.
상단에 설치했을 때 조립이 간편할 뿐 아니라 고장이 나도 간편하게 수리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래도 하부의 출구 움직임만큼 움직임 포착이 거리상 감소하는 부분이 있어, 이를 정확히 하기 위해 중심축을 사료 호퍼 상단에 좌우로 앵글로 가로지르는 중심에 하부에서 상부로 연결된 중심축을 볼트로 아래위로만 이탈이 없게 고정시키고 앵글에 중심축이 통과되는 구멍은 조금 크게 하여 아래로부터의 사료 출구 움직임의 동력이 상부에서도 충분히 감지될 수 있도록 여유를 둔다. 그러면 중심축인 지지봉이 미세하지만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중심축인 지지봉 상단에는 탄성체인 스프링을 이용, 중심축이 미세하게 움직여도 스프링은 크게 움직이므로 스프링 위에 조금은 무거운 물체를 올려놓으면 이 물체 때문에 스프링은 더 크게 흔들린다. 이 때, 스프링과 그 위에 올려놓은 물체가 심하게 흔들리는 것을 센서가 쉽게 사료 출구의 움직임을 상부에서 쉽게 포착하게 된다.
한편 본발명은 지지봉 외주에는 보호파이프를 동심원상으로 반지름방향으로 유격을 두고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실시례로서 지지봉의 상단은 지렛대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지렛대의 타단을 움직임 감지센서가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으로, 지렛대의 힌지점, 곧 회전중심중은 지지봉에 가깝게 위치하여 지지봉 상단의 움직임이 지렛대 타단에서 증폭되게 나타나서 움직임 감지센서가 움직임을 보다 더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100 : 급이기판
10 : 호퍼 11 : 내부호퍼
12 :외부호퍼 20 : 사료토출부
60 : 물공급관
30 : 지지대 40 : 지지봉
41 : 볼트 몸체 42 : 상부 너트
43 : 하부 너트 45 : 탄성체(코일스프링)
46 : 캡
50 : 고리 70 : 센서
71 : 전선
80 : 센서 고정부 81 : 수평부
82 : 수직부
90 : 앵글 95 : 커버
110 : 볼록부 120 : 물사료공급부
111 : 평면부 112 : 1차 경사부
123 : 2차 경사부

Claims (3)

  1. 급이기의 호퍼(10)로부터 사료가 공급되는 급이기판(100)에 물공급관(60)이 같이 설치되되, 상기 호퍼(10) 하부에 사료토출부(20)가 설치되며, 상기 사료토출부(20)를 돼지가 건들면 상기 사료토출부(20)의 움직임을 지지봉(40)으로 전달하여 상부에 설치되는 센서가 감지하여 물이 급이기판(100)에 공급되어 돼지가 물과 사료가 혼합된 상태로 먹을 수 있는 것으로, 돼지가 사료토출부(20)를 밀거나 회전시키면 센서가 이를 감지 상기 센서에서 제어부에 신호를 보내면 제어부는 물공급관(60)의 전동변을 열어서 물을 공급하는 상부 센서가 설치되는 물과 사료의 혼합급이기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움직임 감지 센서이며, 상기 돼지가 사료토출부(20)를 밀거나 회전시키면 지지봉(40)이 회전하게 되고 센서가 상기 지지봉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센서에서 제어부에 신호를 보내면 제어부는 물공급관(60)의 전동변을 열어서 물을 공급하고,
    상기 지지봉(40) 상단을 호퍼 상부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앵글(90)에 볼트로 결합하되, 지지봉(40)이 통과하는 앵글 구멍은 지지봉(40) 지름보다 크게 형성하여 아래로부터의 사료 출구 움직임이 상부에서도 충분히 감지될 수 있도록 여유공간을 두게 되어 지지봉(40)이 앵글 구멍 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되며,
    상기 지지봉(40) 상단에는 탄성체인 스프링을 이용, 중심축이 미세하게 움직여도 스프링은 크게 움직이므로 스프링 위에 조금은 무거운 물체를 올려놓으면 이 물체 때문에 스프링은 더 크게 흔들리고, 상기 스프링과 그 위에 올려놓은 물체가 심하게 흔들리는 것을 센서가 쉽게 사료 출구의 움직임을 상부에서 쉽게 포착하게 되며, 상기 지지봉(40) 외주에는 보호파이프를 동심원상으로 반지름방향으로 유격을 두고 설치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지지봉(40)의 상단은 앵글(90)에 형성되는 앵글 구멍을 통과한 후 앵글(90) 상면에 너트로 결합되되, 상기 너트 주위에는 센서가 설치되는 커버(95)가 결합되며, 상기 지지봉(40)에서 이격되어 커버(95) 내에 설치되는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에서 제어부에 신호를 보내면 제어부는 물공급관(60)의 전동변을 열어서 물을 공급하는 것이며,
    상기 커버(95)는 하부가 개방되는 상자형이며 앵글길이 방향으로 좌우플랜지가 형성되어 앵글에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지지봉(40) 상단에는 너트가 결합되되, 상기 너트를 관통하는 고정봉의 상단에는 탄성체가 더 결합되어 지지봉(40) 상단의 움직임이 탄성체에 의해 증폭되는 것이며 상기 탄성체 상부에는 캡이 결합되고, 상기 탄성체는 코일스프링으로서, 지지봉(40)이 미세하게 움직여도 코일스프링은 크게 움직이는 것이며, 상기 지지봉(40)의 상단에는 볼트 몸체가 연결되어, 앵글 구멍을 통과한 볼트 몸체에는 상, 하부 너트가 결합되며, 상기 앵글 구멍은 충분히 지름이 볼트 몸체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어 유격이 있어서 상기 볼트 몸체가 앵글 구멍 내부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센서는 커버 내벽에 장착되고, 상기 커버 내의 지지봉(40)이 관통되는 앵글(90)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센서 고정부(80)가 설치되되, 상기 센서 고정부(80)는 앵글(90)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수평부(81)와 수직부(82)로 이루어져서 단면이 '⊥'형상이며, 상기 수직부(82)에 센서가 장착되며, 상기 센서에 연결되는 케이블선은 커버 외부로 인출되어 제어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센서가 설치되는 물과 사료의 혼합급이기
  2. 삭제
  3. 삭제
KR1020180085810A 2018-07-24 2018-07-24 상부 센서가 설치되는 물과 사료의 혼합급이기 KR101951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810A KR101951151B1 (ko) 2018-07-24 2018-07-24 상부 센서가 설치되는 물과 사료의 혼합급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810A KR101951151B1 (ko) 2018-07-24 2018-07-24 상부 센서가 설치되는 물과 사료의 혼합급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1151B1 true KR101951151B1 (ko) 2019-02-21

Family

ID=65585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5810A KR101951151B1 (ko) 2018-07-24 2018-07-24 상부 센서가 설치되는 물과 사료의 혼합급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11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06957A (zh) * 2019-04-19 2019-06-21 华科智农(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畜牧喂食传感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2683A (ko) * 2005-10-19 2007-04-24 김기주 양돈용 습식 급이기
KR20130080531A (ko) * 2012-01-05 2013-07-15 이창현 자동 습식사료 급여기의 감지장치
KR20130130158A (ko) * 2012-02-23 2013-12-02 이창현 습식 자동사료급여기
KR101897936B1 (ko) * 2018-01-03 2018-09-12 김기주 물과 사료 혼합급이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2683A (ko) * 2005-10-19 2007-04-24 김기주 양돈용 습식 급이기
KR20130080531A (ko) * 2012-01-05 2013-07-15 이창현 자동 습식사료 급여기의 감지장치
KR20130130158A (ko) * 2012-02-23 2013-12-02 이창현 습식 자동사료급여기
KR101897936B1 (ko) * 2018-01-03 2018-09-12 김기주 물과 사료 혼합급이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06957A (zh) * 2019-04-19 2019-06-21 华科智农(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畜牧喂食传感器
CN109906957B (zh) * 2019-04-19 2024-03-15 华科智农(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畜牧喂食传感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8611B1 (ko) 물과 사료의 혼합급이기
KR101344971B1 (ko) 습식 자동사료급여기
KR101951151B1 (ko) 상부 센서가 설치되는 물과 사료의 혼합급이기
US10138075B2 (en) Tower configuration gravimetric blender
US2711814A (en) Apparatus for cleaning flat bottom grain tanks
EP3821705A1 (en) Water and feed mixing feeder in which sensor is provided
US2446752A (en) Material feeding device
KR101791262B1 (ko) 돼지사료 급여기의 사료 공급용 터치센서
KR101338672B1 (ko) 자동 습식사료 급여기의 감지장치
KR101608711B1 (ko) 사료 급이기의 사료배출장치
KR101897936B1 (ko) 물과 사료 혼합급이기
KR102152531B1 (ko) 액상사료 공급방법
US3902995A (en) Flow control and screening device for a hopper
KR101573265B1 (ko) 사료급이기의 사료 토출장치
GB2283897A (en) Animal feeder
US649702A (en) Grain-distributer.
US1300799A (en) Metal-catcher for reducing-mills.
KR200179678Y1 (ko) 제한계량통의 사료공급장치
CN210654899U (zh) 一种振动出料机构的料斗出料通道
WO2018071653A1 (en) Tower configuration gravimetric blender
US1571814A (en) stewart
US1887191A (en) Mechanical stoker
NL8102854A (nl) Inrichting voor het voeren van dieren.
RU12155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твердого гранулированного топлива (варианты)
SU1539144A1 (ru) Питатель пневмотранспортной установки дл сыпучего материал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