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7936B1 - 물과 사료 혼합급이기 - Google Patents

물과 사료 혼합급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7936B1
KR101897936B1 KR1020180000773A KR20180000773A KR101897936B1 KR 101897936 B1 KR101897936 B1 KR 101897936B1 KR 1020180000773 A KR1020180000773 A KR 1020180000773A KR 20180000773 A KR20180000773 A KR 20180000773A KR 101897936 B1 KR101897936 B1 KR 101897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water
hopper
handl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0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주
Original Assignee
김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주 filed Critical 김기주
Priority to KR1020180000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7936B1/ko
Priority to PCT/KR2018/004806 priority patent/WO201910325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7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7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 A01K7/06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actuated by the anim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1Feed troughs; Feed p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25Gravity replenishment from a reserve, e.g. a hopp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rds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발명은 물과 사료 혼합급이기에 관한 것으로, 급이기의 호퍼(10)로부터 사료가 공급되는 급이기판(100)에 물공급관(60)이 같이 설치되되, 상기 호퍼(10)에는 핸들(232)과 센서(70)가 설치되어 돼지가 상기 핸들(232)을 움직이면 센서(70)가 움직임을 감지하여 물이 물공급관(60)을 통해 급이기판(100)에 공급되어 돼지가 물과 사료가 혼합된 상태로 먹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은 돼지가 물하고 섞인 사료를 아주 빨리 먹어주므로 짧은 시간에 많은 사료 섭취를 할 수 있으며 급이기판에 찌꺼기가 남지 않아 청결한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물과 사료 혼합급이기{Water and feed mixing feeder}
본발명은 물과 사료 혼합급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급이기의 호퍼로부터 사료가 공급되는 급이기판에 물공급관이 같이 설치되되, 상기 호퍼에 움직임감지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호퍼에는 핸들이 설치되어 돼지가 상기 핸들을 움직이면 움직임감지센서가 움직임을 감지하여 물이 물공급관을 통해 급이기판에 공급되어 돼지가 물과 사료가 혼합된 상태로 먹을 수 있는 물과 사료 혼합급이기에 관한 것이다.
본발명은 급이기에서 돼지에게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사료섭취를 위한 급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통의 급이기들은 물따로 사료따로로 구성되어 있다. 사료 따로 구성은 건사료 상태를 말하는 것인데 종래 급이기로서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5-0083500호에는 물이 공급되는 판막밸브(210)의 하단에 물공급관(220)이 설치되는 물공급장치(200)와, 상기 물공급장치(200)의 측면에 결합되는 사료공급통(100)과, 상기 물공급장치(200) 및 사료공급통(100) 하부에 설치되는 급이기판(300)으로 구성된 양돈용 급이기의, 상기 급이기판(300)은 사료공급부(302)와 물공급부(304)가 각각 동심원상으로 형성되는 양돈용 급이기의 물공급관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양돈용 급이기의 물공급관 고정장치는 사료공급통(100)의 외벽면에 부착되는 수평브라켓(110)과, 상기 수평브라켓(110)에 수직으로 용접결합되며 가운데 구멍(121)에 상기 물공급장치(200)의 물공급관(220)이 통과되는 수직브라켓(120)과, 상기 수직브라켓(120)에 나사결합되어 수평으로 전후진 하는 핸들(1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돈용 급이기의 물공급관 고정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324864호에는 상부의 호퍼(100)와, 상기 호퍼(100) 하부에 설치되어 돼지들이 사료를 섭취할 수 있는 급이기판(200)으로 이루어지는 급이기의 호퍼구조에 있어서, 상기 호퍼(100)의 상부에는 모터(10)가 설치되고, 모터(10) 하부에는 사료결집방지튜브(20)가 모터축(11)에 설치되되, 상기 사료결집방지튜브(20)는 모터축(11)과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지지원통(21)과 상기 지지원통(21) 외부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튜브(22)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원통(21) 하부에는 상기 지지원통(21)을 지지하는 받침대(23)가 모터축(11)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원통(21)과 튜브(22) 사이에는 다수 개의 튜브지지편(24)이 연결되어 튜브(22)가 상기 지지원통(21)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이기의 호퍼구조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급이기판의 사료공급부에는 물이 공급되지 않아 건사료 상태로서,건사료는 섭취시 돼지입에서 머무는 시간이 길어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을 섭취하기가 어렵다. 그러므로 돼지가 먹기가 어려워 먹는 속도가 느리며 많이 먹지 못하여 찌꺼기가 남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발명은 돼지가 물하고 섞인 사료를 아주 빨리 먹어주므로 짧은 시간에 많은 사료 섭취를 할 수 있으며 급이기판에 찌꺼기가 남지 않아 청결한 물과 사료 혼합급이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발명은 물과 사료 혼합급이기에 관한 것으로, 급이기의 호퍼(10)로부터 사료가 공급되는 급이기판(100)에 물공급관(60)이 같이 설치되되, 상기 호퍼(10)에는 핸들(232)과 센서(70)가 설치되어 돼지가 상기 핸들(232)을 움직이면 센서(70)가 움직임을 감지하여 물이 물공급관(60)을 통해 급이기판(100)에 공급되어 돼지가 물과 사료가 혼합된 상태로 먹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발명은 돼지가 물하고 섞인 사료를 아주 빨리 먹어주므로 짧은 시간에 많은 사료 섭취를 할 수 있으며 급이기판에 찌꺼기가 남지 않아 청결한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급이기 도면
도 2는 본발명 급이기의 사시도
도 3은 본발명 급이기의 단면도
본발명은 물과 사료 혼합급이기에 관한 것으로, 급이기의 호퍼(10)로부터 사료가 공급되는 급이기판(100)에 물공급관(60)이 같이 설치되되, 상기 호퍼(10)에는 핸들(232)과 센서(70)가 설치되어 돼지가 상기 핸들(232)을 움직이면 센서(70)가 움직임을 감지하여 물이 물공급관(60)을 통해 급이기판(100)에 공급되어 돼지가 물과 사료가 혼합된 상태로 먹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서(70)는 움직임감지센서로서, 상기 돼지가 핸들(232)을 돌리면 상기 움직임감지센서(70)에서 제어부에 신호를 보내면 제어부는 공급관(60)의 전동변을 열어서 물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호퍼(10)의 내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사료받침판(220)이 설치되고, 상기 사료받침판(220)의 상부에는 회동부재(230)가 설치되어 회동하며, 상기 회동부재(230)의 상부에는 사료량조절부(24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도 1은 종래의 급이기 도면, 도 2는 본발명 급이기의 사시도, 도 3은 본발명 급이기의 단면도이다.
본발명은 돼지는 물하고 섞인 사료를 아주 빨리 먹어주므로 짧은 시간에 많은 사료 섭취를 위한 방법이다.
급이기에서 돼지가 사료 섭취를 하기 위해서는 급이기에서 돼지가 호퍼 토출부를 건드려야 한다. 그래야 사료가 빠져나오는데 이때 토출부의 움직임을 센스가 감지 이를 전기신호로 솔레노이드 밸브를 개폐하게 된다.
물의 양을 사료가 토출되어 나오는 양과 비례해서 적절하게 공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이를 제어부에서 콘트롤하게 하는데 호퍼 토출부를 한 번 건드리면 물이 한 번 나오게 한뒤 토출부를 몇 번 더 건드려도 일정한 시간이 지난뒤에 물이 또한번 나오게 한다. 물이 한 번 나올때 물의 양을 얼만큼 할지와 토출부를 건드릴때마다 조금씩 나오도록 하는 방법 등 사료나 물의 배합비를 적절하게 균형을 맞춰줌으로써 돼지가 사료섭취를 용이하게 하여 짧은 시간에 많은 사료섭취를 하게 한다.
본발명 물과 사료 혼합급이기는 급이기의 호퍼(10)로부터 사료가 공급되는 급이기판(100)에 물공급관(60)이 같이 설치되되, 상기 호퍼(10)에 움직임감지센서가 설치된다. 그리고 핸들이 호퍼에 설치되어 돼지가 상기 핸들을 움직이면 움직임감지센서가 움직임을 감지하여 물이 물공급관(60)을 통해 급이기판(100)에 공급되어 돼지가 물과 사료가 혼합된 상태로 먹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움직임감지센서는 회전감지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돼지가 핸들을 돌리면 상기 센서에서 제어부에 신호를 보내면 제어부는 물공급관(120)의 전동변을 열어서 물을 공급하는 것이다.
특히 물공급관은 급이기의 측면벽에 설치되어 사료를 먹는데 방해가 되지 않게 한다.
본발명을 구체적으로 기재하면, 본발명은 호퍼(10)와, 상기 호퍼(10)의 내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사료받침판(220)과, 상기 사료받침판의 상부에 설치되어 회동하는 회동부재(230)와, 상기 회동부재의 상부에 설치되는 사료량조절부(240)로 이루어진다.
상기 호퍼(10)는 상광하협으로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형상이며, 사료가 케이스의 상부로 투입되어 하부로 배출된다.
상기 호퍼(10)의 내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사료받침판(220)이 설치되되, 상기 사료받침판(220)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제1수평부(221)와, 원호부(222)와, 제2수평부(223) 순으로 형성되며, 상기 사료받침판(220)의 수직단면은 “
Figure 112018000875744-pat00001
”형상이다.
그리고 상기 사료받침판은 좌, 우측면이 호퍼의 내벽에 접촉되어 있고, 전, 후면은 호퍼의 내벽에서 이격되어 설치된다.
이때 사료받침판(220)에 쌓인 사료는 사료받침판의 전, 후방으로 배출되되, 상기 사료받침판의 전, 후방향으로 배출된 사료는 호퍼의 하부가 하부로 갈수록 좁게 형성됨으로, 상기 호퍼의 하부로 배출되는 사료는 전, 후, 좌, 우로 골고루 배출된다.
상기 사료받침판(220)의 상부에는 회동부재(230)가 설치되고, 상기 회동부재는 사료받침판(220)의 원호부의 곡률을 따라 회동되게 설치된다.
상기 회동부재(230)는 판재형상의 판(231)과, 상기 판(231)을 회동시키는 핸들(232)로 이루어지며, 상기 핸들(232)은 판의 상부에 형성되는 중심봉(232-1)과, 상기 중심봉(232-1)의 양 끝단에서 하부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좌, 우측봉(232-2, 232-3)과, 상기 좌, 우측봉(232-2, 232-3)을 연결하는 하부봉(232-4)으로 이루지되, 상기 중심봉의 양 끝단은 호퍼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상기 회동부재의 좌, 우측봉과 하부봉은 호퍼의 외부에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돼지가 호퍼의 외부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핸들을 건드리면 핸들이 호퍼에 결합된 채 회동하게 되고, 상기 핸들이 회동됨에 따라 판도 회동된다. 그러므로 사료받침판에 쌓인 사료는 판의 회동에 의해 사료받침판의 외부로 이동되어 호퍼의 하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사료량조절부(240)는 회동부재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 하로 이동되는 것으로, 상기 사료량조절부(240)는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중심축(241)과, 상기 중심축(241)에서 전, 후대각선방향으로 하향되게 설치되는 전, 후방지지축(242, 243)과, 상기 전, 후방지지축(242, 243)에 각각 결합되는 전, 후방가림판(244, 24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방가림판은 사료받침판의 제1수평부에서 일정간격 상부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후방가림판은 사료받침판의 제2수평부에서 일정간격 상부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전, 후방가림판은 중심축이 상, 하로 이동하면 함께 이동된다.
그러므로 사료받침판에서 회동부재의 판에 의해 배출되는 사료는 전, 후방가림판의 상, 하이동에 의해 사료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제1, 2수평부에서 전, 후방가림판이 이격되는 거리에 따라 사료가 배출되는 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움직임감지센서는 핸들의 일정부위에 설치되며 주로 급이기 호퍼 밖에 설치한다. 상기 움직임감지센서는 널리 알려진 관용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므로 움직임감지센서에 대한 자세할 설명은 생략한다.
본발명의 다른 실시례로서 상기 움직임감지센서는 사료량조절부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핸들이 움직이면 주위에 설치되는 움직임감지센서(70)에서 감지하여 제어부에 신호를 보내면 제어부는 물공급관(120)의 전동변을 열어서 물을 공급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발명의 상기 급이기판은 사료가 공급되는 호퍼 하부에 위치하는 중앙의 볼록부와, 상기 볼록부 주위의 사료와 물이 담기는 물사료공급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볼록부는 상단의 평면부와, 평면부에 이어지며 하부로 경사가 완만하게 형성되는 경사부로 이루어진다. 한편, 터치봉이 설치되는 다른 실시례의 급이기는 볼록부가 없고 사료와 물이 담기는 바닥이 수평형상의 물사료공급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발명은 돼지가 물하고 섞인 사료를 아주 빨리 먹어주므로 짧은 시간에 많은 사료 섭취를 할 수 있으며 급이기에 찌꺼기가 남지 않아 청결한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0 : 급이기판
10 : 호퍼 60 : 물공급관
110 : 볼록부 120 : 물사료공급부
111 : 평면부 112 : 경사부
200 : 사료투입부
220 : 사료받침판 221 : 제1수평부
222 : 원호부 223 : 제2수평부
230 : 회동부재 231 : 판
232 : 핸들 232-1 : 중심봉
232-2 : 좌측봉 232-3 : 우측봉
232-4 : 하부봉
240 : 사료량조절부 241 : 중심축
242 : 전방지지축 243 : 후방지지축
244 : 전방가림판 245 : 후방가림판

Claims (3)

  1. 급이기의 호퍼(10)로부터 사료가 공급되는 급이기판(100)에 물공급관(60)이 같이 설치되되, 상기 호퍼(10)에는 핸들(232)과 센서(70)가 설치되어 돼지가 상기 핸들(232)을 움직이면 센서(70)가 움직임을 감지하여 물이 물공급관(60)을 통해 급이기판(100)에 공급되어 돼지가 물과 사료가 혼합된 상태로 먹을 수 있는 물과 사료 혼합급이기에 있어서,
    상기 센서(70)는 움직임감지센서로서, 상기 돼지가 핸들(232)을 돌리면 상기 움직임감지센서(70)에서 제어부에 신호를 보내면 제어부는 공급관(60)의 전동변을 열어서 물을 공급하는 것이며,
    상기 호퍼(10)의 내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사료받침판(220)이 설치되고, 상기 사료받침판(220)의 상부에는 회동부재(230)가 설치되어 회동하며, 상기 회동부재(230)의 상부에는 사료량조절부(240)가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회동부재(230)는 판재형상의 판(231)과, 상기 판(231)을 회동시키는 핸들(232)로 이루어지며, 상기 핸들(232)은 판의 상부에 형성되는 중심봉(232-1)과, 상기 중심봉(232-1)의 양 끝단에서 하부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좌, 우측봉(232-2, 232-3)과, 상기 좌, 우측봉(232-2, 232-3)을 연결하는 하부봉(232-4)으로 이루지되, 상기 중심봉의 양 끝단은 호퍼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회동부재(230)의 좌, 우측봉(232-2, 232-3)과 하부봉(232-4)은 호퍼(10)의 외부에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호퍼(10)의 외부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핸들(232)을 돼지가 건드리면, 핸들(232)이 호퍼(10)에 결합된 채 회동하게 되고, 상기 핸들(232)이 회동됨에 따라 판도 회동되므로, 사료받침판(220)에 쌓인 사료는 판(231)의 회동에 의해 사료받침판(220)의 외부로 이동되어 호퍼(10)의 하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과 사료 혼합급이기

  2. 삭제
  3. 삭제
KR1020180000773A 2017-11-21 2018-01-03 물과 사료 혼합급이기 KR101897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773A KR101897936B1 (ko) 2018-01-03 2018-01-03 물과 사료 혼합급이기
PCT/KR2018/004806 WO2019103257A1 (ko) 2017-11-21 2018-04-25 물과 사료의 혼합급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773A KR101897936B1 (ko) 2018-01-03 2018-01-03 물과 사료 혼합급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7936B1 true KR101897936B1 (ko) 2018-09-12

Family

ID=63593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0773A KR101897936B1 (ko) 2017-11-21 2018-01-03 물과 사료 혼합급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79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151B1 (ko) * 2018-07-24 2019-02-21 김기주 상부 센서가 설치되는 물과 사료의 혼합급이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28962U (ko) * 1985-02-01 1986-08-13
KR101201545B1 (ko) * 2012-05-21 2012-11-15 김기주 자동 사료 급이기판 물공급장치
KR20130071277A (ko) * 2011-12-20 2013-06-28 김기주 자동 사료 급이기
KR20130110340A (ko) * 2012-03-29 2013-10-1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모돈의 액상먹이급이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28962U (ko) * 1985-02-01 1986-08-13
KR20130071277A (ko) * 2011-12-20 2013-06-28 김기주 자동 사료 급이기
KR20130110340A (ko) * 2012-03-29 2013-10-1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모돈의 액상먹이급이시스템
KR101201545B1 (ko) * 2012-05-21 2012-11-15 김기주 자동 사료 급이기판 물공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151B1 (ko) * 2018-07-24 2019-02-21 김기주 상부 센서가 설치되는 물과 사료의 혼합급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8611B1 (ko) 물과 사료의 혼합급이기
CN104488748B (zh) 智能食料喂料器及其程序控制方法
KR101923219B1 (ko) 물과 사료의 혼합급이기
KR101897936B1 (ko) 물과 사료 혼합급이기
WO2018145618A1 (zh) 一种自动喂料器
KR102142184B1 (ko) 센서가 설치되는 물과 사료의 혼합급이기
JPH04228017A (ja) 家畜、特に豚のための自動給餌装置
CN207491790U (zh) 一种仔猪喂养食槽
KR101608711B1 (ko) 사료 급이기의 사료배출장치
KR102152531B1 (ko) 액상사료 공급방법
JP4064190B2 (ja) 粉粒体処理装置
KR101951151B1 (ko) 상부 센서가 설치되는 물과 사료의 혼합급이기
CN110419482B (zh) 一种水产养殖用投料设备
CN210726356U (zh) 一种畜牧养殖用干湿料槽
US2652026A (en) Dairy feeder
CN210366071U (zh) 一种皮带输送机的匀质布料装置
KR20210032747A (ko) 양돈용 혼합급이기의 사료정체 방지 수단
CN210355399U (zh) 一种儿童护理用给药器
CN215912888U (zh) 一种粥料机
JP2007111022A (ja) 粒剤散布装置
CN208783485U (zh) 湿拌料饲喂器
CN211379203U (zh) 基于畜牧养殖的自动投料饲喂槽
CN219441554U (zh) 一种水产预混合饲料用防堵塞的配料装置
WO2018040225A1 (zh) 一种带拨轮机构的母猪喂料槽
CN210987609U (zh) 一种畜牧养殖用饲料撒料机的送料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