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2393B1 - 모돈의 액상먹이급이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돈의 액상먹이급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2393B1
KR101352393B1 KR1020120032208A KR20120032208A KR101352393B1 KR 101352393 B1 KR101352393 B1 KR 101352393B1 KR 1020120032208 A KR1020120032208 A KR 1020120032208A KR 20120032208 A KR20120032208 A KR 20120032208A KR 101352393 B1 KR101352393 B1 KR 101352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food
unit
sows
stir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2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0340A (ko
Inventor
김혁주
홍종태
유병기
김상철
최규홍
장홍희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20032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2393B1/ko
Publication of KR20130110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0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2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2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모돈의 액상먹이급이시스템이 게시된다. 먹이와 액체를 교반해 만든 액상먹이를 모돈에게 급이 하는 액상먹이급이장치와 상기 액상먹이수용부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모돈의 상태를 측정하는 상태측정부와 모돈의 식별정보가 저장된 제1 통신모듈과 상기 제1 통신모듈이 근접하면 이를 감지해 식별정보를 판독하는 제2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통신부와 모돈 개체별 상태변화정보와 모돈이 유지해야 할 표준상태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부를 통해 모돈의 식별정보와 상태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모돈의 상태정보와 표준상태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액상먹이급이장치에 액상먹이 공급량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모돈을 개체별로 식별하고 일일급이량과 급이 횟수를 제어부가 판단해 자동으로 급이할 수 있어 모돈 개체별로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돈의 액상먹이급이시스템 {Liquid Feed Feeding System For Sow}
본 발명은 모돈의 액상먹이급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돈을 감지하고 정보를 분석해 적정한 양의 액상먹이를 급이 하는 모돈의 액상먹이급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돼지고기는 소고기 및 닭고기와 함께 가장 많은 소비량을 나타내는 육류로 분류 되며, 오래전부터 국민에게 단백질을 공급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각광 받았다. 특히 최근 들어 식습관이 서구화되며, 육류 소비량이 크게 늘어나는 추세에 따라 생산량 증가가 필요로 하고 있다.
양돈은 크게 종돈생산과 모돈생산 및 육돈비육의 세 가지로 나눈다. 종돈생산은 양돈의 기초가 되는 순수종의 돼지를 생산하는 것이고, 모돈생산은 새끼 낳기 양돈이라고도 불리며, 비육용 새끼돼지를 생산하는 것이며, 육돈비육은 모돈이 생산한 돼지를 일정기간 비육하여 식용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양돈업은 위와 같은 모돈을 통해 비육용 돼지를 생산해 사육한 뒤 이를 도축해 소비자에게 공급해 수익을 내며, 그 중 모돈은 양돈 업자에게 수익을 가져다주는 중요한 개체이다.
일반적인, 모돈 사육 방식을 살펴보면, 모돈은 일정한 크기의 스톨에서 사육되며, 먹이는 건조된 사료를 관리자가 공급해 사육된다.
모돈은 자돈을 생산하기 위해 일정 체중 및 좋은 컨디션과 체력을 유지해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스톨에 가둬놓고 사육하는 방식은 가축복지에 위배되며 모돈의 활동반경을 제약해 모돈의 체력 및 컨디션을 저하시킨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모돈들을 풀어놓고 사육하게 되면, 모돈이 얼마나 급이 받는지 파악하기 힘들다.
또한, 개체별 모돈마다 체중이 다르며, 기초 대사량도 서로 다르기 때문에 기존의 사육방식으로는 개체별 모돈마다 적정한 체중을 유지하도록 사료 공급량을 조절하기 힘들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모돈을 군사하여 사육할 때 모돈이 자돈을 생산하기 위한 적합한 건강상태 및 영양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모돈 개체별 특성에 따라 사료 급이량을 가변적으로 공급하는 모돈의 액상사료 급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돈의 액상먹이급이시스템은 먹이와 액체를 교반해 만든 액상먹이를 모돈에게 급이 하는 액상먹이급이장치와 상기 액상먹이수용부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모돈의 상태를 측정하는 상태측정부와 모돈의 식별정보가 저장된 제1 통신모듈과 상기 제1 통신모듈이 근접하면 이를 감지해 식별정보를 판독하는 제2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통신부와 모돈 개체별 상태변화정보와 모돈이 유지해야 할 표준상태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부 및 모돈의 식별정보와 상태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모돈의 상태정보와 표준상태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액상먹이급이장치에 액상먹이 공급량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액상먹이급이장치는 먹이와 액체를 교반해 액상먹이를 만드는 액상먹이교반유닛과 상기 액상먹이교반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액상먹이를 이송시키는 액상먹이이송유닛 및 상기 액상먹이이송유닛으로부터 이송되는 액상먹이가 담겨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상먹이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태측정부는 상기 모돈의 체중을 측정하는 체중측정부재 및 상기 모돈의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측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식별모듈과 상기 제2 식별모듈은 모돈의 식별정보가 저장되는 RFID태그와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RFID리더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액상먹이교반유닛은 액상먹이를 만들기 위한 먹이를 저장하는 먹이저장부와 액상먹이를 만들기 위한 액체를 저장하는 액체저장부 및 상기 먹이저장부 및 상기 액체저장부와 결합되어 상기 먹이저장부에서 공급된 먹이와 상기 액체저장부에서 공급된 액체를 교반하는 먹이교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먹이저장부는 먹이를 저장하고 저장된 먹이를 상기 먹이교반부로 공급할 수 있는 먹이저장하우징 및 상기 먹이저장하우징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에서 정해준 양 만큼 저장된 먹이를 상기 먹이교반부로 이송시키는 먹이이송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먹이저장부는 저장된 먹이의 양을 감지할 수 있는 먹이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체저장부는 액체를 저장하고 저장된 액체를 상기 먹이교반부로 공급할 수 있는 액체저장하우징 및 상기 액체저장하우징에 설치되어 내부에 저장된 액체를 살균할 수 있는 액체살균부재가 포함될 수 있다.
액체저장부는, 상기 액체저장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내부에 담겨진 액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측정부재 및 상기 액체저장부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어 내부에 담겨진 액체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액체가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먹이교반부는 상기 먹이교반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저장된 액상먹이를 살균하는 액상먹이살균부재 및 상기 먹이교반부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어 저장된 액상먹이의 산도를 측정하는 산도측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액상먹이이송유닛은 일측이 상기 액상먹이교반유닛과 결합되어 상기 액상먹이교반유닛에 의해 교반된 액상먹이를 이송시키는 이송통로부 및 상기 이송통로부와 결합되어 액상먹이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통로부는 액상먹이가 이송될 수 있도록 일측은 상기 액상먹이교반유닛과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동력전달부와 결합하는 제1 통로부재와 상기 동력전달부와 일측이 결합되어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이송되는 액상먹이를 상기 급이제어밸브에 공급하고 급이되고 남은 액상먹이를 상기 먹이교반하우징에 공급하는 제2 통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통로부는 상기 액상먹이교반유닛에 저장된 액체를 통해 액상먹이를 급이 한 뒤 남겨진 찌꺼기를 세척할 수 있도록 일측이 상기 액상먹이교반유닛과 결합되고 타측은 동력전달부와 결합되는 액체공급통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돈의 액상먹이급이시스템.
이와 같은 모돈의 액상먹이급이시스템에 의하면, 모돈을 개체별로 식별하고 일일급이량과 급이 횟수를 제어부가 판단해 자동으로 급이할 수 있어 모돈 개체별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모돈을 풀어놓고 사육하는 군사 사육은 모돈이 미처 급이를 받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나 이와 같은 액상먹이급이시스템이 구축되면 먹이를 먹고 싶은 모돈이 액상먹이수용하우징에 근접하는 것만으로 이를 감지하고 액상먹이를 급이할 수 있고 급이한 양과 횟수를 데이터로 확인할 수 있어 모돈을 관리하기 용이하다.
또한, 액체살균부재 액상먹이살균부재를 구비해 액상먹이가 변질되지 않도록 예방할 수 있고, 산도측정부재를 구비해 액상먹이가 변질되었는지 감지할 수 있어 모돈이 변질된 액상먹이를 먹고 질병에 걸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메모리부에 저장된 표준상태정보와 개체별 모돈의 체중, 체온 등의 상태정보를 비교해 제어부에서 급이량은 조절할 수 있어 개체별 모돈들이 적정한 체중을 유지할 수 있도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돈의 액상먹이급이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돈의 액상먹이급이시스템의 흐름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 도 5,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돈의 액상먹이급이시스템의 액상먹이 이송부에 의해 액상먹이가 공급되고 세척되는 과정을 나타낸 과정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개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가지다",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A가 B 상에 형성된다."라는 말은 "A가 B의 위 어디에도 형성될 수 있다"는 의미로, 단지 "A가 B의 표면에만 형성된다."라는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돈의 액상먹이급이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돈의 액상먹이급이시스템의 흐름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4, 도 5,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돈의 액상먹이급이시스템의 액상먹이 이송부에 의해 액상먹이가 공급되고 세척되는 과정을 나타낸 과정도이다.
도 1, 도 2, 도 3, 도 4,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돈의 액상먹이급이시스템(1000)은 군사 사육 되는 모돈(P)에게 액상먹이(LF)를 급이 한다. 이때, 상기 모돈(P)은 임신돈일 수 있다.
상기 액상먹이(LF)는 건조된 먹이(F)와 액체(L)를 교반해 만들어진다. 상기 먹이(F)는 사료 또는 옥수수, 대두 등의 곡물들이 사용되며 섬유질이 풍부하고 부피감이 있는 농산부산물과 식품회사에서 발생하는 액상부산물이 추가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농산부산물과 액상부산물은 섬유질이나 영양이 풍부하고 가격이 저렴해 기존 건식사료에 비해 20%에서 30%정도의 비용절감 효과가 있다. 또한 액상먹이(LF)는 모돈의 성장단계 또는 상태에 따라 첨가되는 먹이의 재료의 배합비율 등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액상먹이를 급이 하면 돈사 내부에 먼지가 발생하지 않아 모돈의 호흡기 질환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액체(L)는 일반적으로 물이 사용된다. 또는 상기 액체(L)에는 기타 첨가제가 희석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첨가제는 영양제 또는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약품으로 이뤄질 수 있다.
상기 액상먹이(LF)를 만들기 위해 먹이(F)와 액체(L)는 재료의 질에 따라 유동이 있으며 보통 1 : 2에서 1 : 5사이의 비율로 배합되어 사용된다. 예를 들어 먹이(F) 1kg에 액체(L) 1 ~ 5kg을 배합해 액상먹이(LF)를 만들 수 있다. 또한, 액상먹이(LF)가 배합 될 때 먹이(F)는 작게 분쇄되어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돈의 액상먹이 시스템(1000)은 먹이(F)와 액체(L)를 교반해 모돈(P)에게 제공하는 액상먹이급이장치(100), 모돈(P)의 상태를 측정하는 상태측정부(200), 모돈(P)의 식별정보를 파악하고 이를 전송하는 통신부(300), 모돈(P)의 상태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부(500) 및 모돈(P)의 상태를 파악해 상기 액상먹이급이장치(100)에 액상먹이(LF) 공급량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상먹이급이장치(100)는, 모돈(P)이 사육되는 군사의 내부에 설치되거나 일부는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액상먹이급이장치(100)는, 먹이(F)와 액체(L)를 교반해 액상먹이(LF)를 만드는 액상먹이교반유닛(110)과, 상기 액상먹이교반유닛(110)과 연결되어 상기 액상먹이(LF)를 이송시키는 액상먹이이송유닛(120)과, 상기 액상먹이이송유닛(120)으로부터 이송되는 액상먹이(LF)가 담겨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상먹이수용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액상먹이급이장치(100)는 상기 액상먹이교반유닛(110)이 설치될 수 있도록 베이스 프레임(BF)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BF)은 상기 액상먹이교반유닛(110)을 지탱할 수 있도록 견고한 구조를 갖고 충분한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베이스 프레임(BF)은 철골 구조로 이뤄질 수 있다.
상기 액상먹이교반유닛(110)은, 모돈(P)에게 급이 하는 액상먹이(LF)를 생산하기 위해 먹이(F)와 액체(L)를 일정비율로 공급받고 이를 교반한다.
상기 액상먹이교반유닛(110)은, 액상먹이(LF)를 만들기 위한 먹이(F)를 저장하는 먹이저장부(111), 상기 액상먹이(LF)를 만들기 위한 액체(L)를 저장하는 액체저장부(112), 상기 먹이저장부(111) 및 상기 액체저장부(112)와 결합되어 상기 먹이저장부(111)에서 공급된 먹이(F)와 상기 액체저장부(112)에서 공급된 액체(L)를 교반하는 먹이교반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먹이저장부(111)는 상기 액상먹이(LF)를 만드는 재료중 하나인 먹이(F)가 저장되고 이를 먹이교반부(111)에 공급한다.
상기 먹이저장부는(111)은 먹이(F)를 저장할 수 있는 먹이저장하우징(111a)과 상기 먹이저장하우징(111a)에 저장된 먹이(F)를 상기 먹이교반부(113)에 공급되도록 상기 먹이(F)를 이송시키는 먹이이송부재(111b)를 포함한다.
상기 먹이저장하우징(111a)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를 이룬다. 상기 먹이저장하우징(111a)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BF)에 볼트와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미도시)로 고정된다. 상기 먹이저장하우징(111a)은 상기 먹이교반부(113) 보다 높은 곳에 구비된다. 상기 먹이저장하우징(111a)의 재질은 주로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금속재를 사용 할 땐 녹이발생하지 않는 스테인리스와 같은 재질로 이뤄지는 게 바람직하다.
상기 먹이이송부재(111b)는 상기 먹이저장하우징(111a)의 하부에 결합된다. 상기 먹이이송부재(111b)와 먹이저장하우징(111a)이 접촉하는 부분 중 일부는 서로 연통되도록 개방되어 상기 먹이저장하우징(111a)에 저장된 먹이(F)가 상기 먹이이송부재(111b) 내부로 흘러 들어가도록 형성된다.
상기 먹이이송부재(111b)는 나선형의 산이 형성된 스크류(S)와 상기 스크류(S)를 회전시킬 수 있는 모터(M)로 이뤄진다. 상기 스크류(S)의 나선형의 산 사이에는 상기 먹이저장하우징(111a)에서 흘러 들어온 먹이(F)가 채워지고 상기 스크류(S)가 모터를 통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나선형의 산을 따라 먹이가 이송된다. 상기 스크류(S)의 나선형 산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모터(M)가 회전하는 회전수로 공급되는 먹이(F)의 양을 제어한다. 상기 모터(M)는 회전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스테핑 모터로 이뤄질 수 있다.
상기 먹이이송부재는(111b) 상기 제어부(500)를 통해 제어할 수 있도록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먹이저장하우징(111a)에는 저장되어 있는 먹이의 양을 측정하는 먹이감지센서(111c)가 더 포함 될 수 있다.
상기 먹이감지센서(111c)는 상기 먹이저장하우징(111a)에 저장되어 있는 먹이(F)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수단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먹이감지센서(111c)는 거리를 감지할 수 있는 초음파 센서나 레이저 센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먹이감지센서(111c)는 상기 제어부(500)에 측정된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액체저장부는(112) 액체(L)를 저장할 수 있는 액체저장하우징(112a), 상기 액체저장하우징(112a)에 저장된 액체(L)를 배출할 수 있는 액체배출부재(112b), 상기 액체저장하우징(112a)에 저장된 액체(L)를 살균하는 액체살균부재(112c), 상기 액체저장하우징(112a)에 저장된 액체(L)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부재(112d), 상기 액체저장하우징(112a)에 저장된 액체(L)를 가열할 수 있은 액체가열부재(112e)를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액체저장하우징(112a)은 내부에 액체(L)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액체저장하우징(112a)은 원통형 또는 다각형으로 이뤄질 수 있다. 상기 액체저장하우징(112a)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BF)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BF)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액체저장하우징(112a)의 재질은 부식이 안 되는 재질로 이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액체저장하우징(112a)은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뤄질 수 있으며, 또는 합성수지로 이뤄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액상저장하우징(112a)의 내면에는 녹이 발생하지 않는 물질로 코팅 될 수 있다.
상기 액체배출부재(112b)는 상기 액체저장하우징(112a)의 일측에 형성된다. 상기 액체배출부재(112b)는 액체저장하우징(112a)의 내부에 저장된 액체를 상기 먹이교반부에 제공한다.
상기 액체살균부재(112c)는 상기 액체저장하우징(112a)의 일측에 결합되어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액체살균부재(112c)는 상기 액체저장하우징(112a)의 측면에 일부를 삽입하여 결합될 수 있다. 또는, 내면 일측에 부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액체살균부재(112c)는 봉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액체살균부재(112c)는 상기 액체저장하우징(112a)의 내부에 저장된 액체(L)를 살균한다. 예를 들면, 상기 액체살균부재(112c)는 자외선 살균램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액체살균부재(112c)는 상기 제어부(500)에 의해 제어되도록 서로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온도측정부재(112d)는 상기 액체저장하우징(112a)의 일측에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온도측정부재(112d)는 상기 액체저장하우징(112a)의 측면에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액체저장하우징(112a)의 내면 일측에 부착되어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온도측정부재(112d)는 상기 제어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온도측정부재(112d)에서 검출된 온도 값을 상기 제어부(500)로 전송한다.
상기 액체가열부재(112e)는 상기 액체저장하우징(112a)의 일측에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액체가열부재(112e)는 상기 액체저장하우징(112a)의 측면에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액체저장하우징(112a)의 내면 일측에 부착되어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액체가열부재(112e)는 봉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열선이 내부에 포함된 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액체가열부재는 열선이 내부에 포함된 섬유재로 형성되어 상기 액체저장하우지의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액체가열부재는 상기 제어부에의해 제어될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액체저장하우징(112a)에 결합된 상기 액체살균부재(112c), 상기 온도측정부재(112d) 상기 액체가열부재(112e)는 서로 적정거리를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액체저장하우징(112a)에는 저장되어 있는 액체(L)의 양을 측정하는 액체감지센서(112f)가 더 포함 될 수 있다.
상기 액체감지센서(112f)는 상기 액체저장하우징(112a)에 저장되어 있는 액체(L)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수단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액체감지센서(112f)는 거리를 감지할 수 있는 초음파 센서나 레이저 센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액체감지센서(112f)는 상기 제어부(500)에 측정된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먹이교반부(113)는 상기 먹이저장부(111)와 액체저장부(112)로부터 각각 먹이(F)와 액체(L)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먹이교반하우징(113a), 상기 먹이교반하우징(113a)에 저장된 먹이(F)와 액체(L)를 교반하는 교반부재(113b), 상기 먹이교반하우징(113a)에 저장된 액상먹이(LF)를 살균하는 액상먹이살균부재(113c), 상기 먹이교반하우징(113a)에 저장된 액상먹이(LF)의 산도를 측정하는 산도측정부재(113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먹이교반하우징(113a)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BF)에 결합되며, 상기 먹이저장부(111)보다 아래쪽에 위치한다. 상기 먹이교반하우징(113a)의 내부에는 액체(L)와 먹이(F)를 공급받아 교반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먹이교반하우징(113a)의 일측 상부에는 상기 먹이이송부재(111b)로부터 이송되어지는 먹이(F)가 내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상기 먹이이송부재(111b)와 상기 먹이교반하우징(113a)은 서로 관에 의해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먹이교반하우징(113a)의 타측 상부는 상기 액체배출부재(112b)와 연통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먹이교반하우징(113a)과 액체배출부재(112b)는 서로 관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먹이교반하우징(113a)의 하부에는 교반된 액상먹이(LF)를 배출하는 액상먹이배출부재(113a-1)가 형성된다. 상기 액상먹이배출부재(113a-1)는 교반된 액상먹이가 배출구 쪽으로 몰려 막히지 않도록 원형의 필터(미도시)가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먹이교반하우징(113a)의 내면 일측에는 배플(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플은 교반부재(113b)에 의해 상기 먹이(F)와 액체(L)가 교반 될 때 두 재료가 서로 잘 섞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교반부재(113b)는 원형의 봉 형태로 이뤄질 수 있으며, 상기 먹이교반하우징(113a)의 하부에 일부가 관통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교반부재(113b)는 상기 먹이교반하우징(113a)에 공급된 먹이(F)와 액체(L)를 교반하도록 블레이드(B)가 결합된다.
상기 블레이드(B)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뤄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블레이드는 원형 봉 형태로 이뤄질 수 있으며, 프로펠러 형태로 이뤄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B)는 상기 교반부재(113b)에 관통된 후 체결구(미도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교반부재(113b)에는 일정간격으로 체결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블레이드(B)는 상기 교반부재(113b)에 하나 이상 설치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블레이드(B)는 상기 교반부재(113b)의 하부와 상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으며, 하부에 배치된 블레이드(B)와 상부에 배치된 블레이드(B)는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의 블레이드(B)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부에는 원형 봉 형태의 블레이드(B)가 결합되고, 하부에는 프로펠러 형태의 블레이드(B)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교반부재(113b)가 회전하면 상기 교반부재와 결합된 블레이드가 회전하며 먹이(F)와 액체(L)를 교반한다. 이때 교반부재를 회전 시키는 동력원으로는 교반모터(M)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액상먹이살균부재(113c)는 상기 먹이교반하우징(113a)의 일측에 결합된다. 예를 들면, 상기 먹이교반하우징의 일면에 관통 홀을 형성하고 상기 액상먹이살균부재의 일측을 상기 관통 홀에 끼워 넣어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액상먹이살균부재(113c)는 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액상먹이살균부재(113c)는 상기 먹이교반하우징(113a)의 내부에 저장된 액상먹이(LF)를 살균한다. 또는 교반되기 전의 먹이(F)와 액체(L)를 살균한다. 예를 들면, 상기 액상먹이살균부재(113c)는 자외선 살균램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액상먹이살균부재(113c)는 상기 제어부(500)에 의해 제어되도록 서로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산도측정부재(113d)는 상기 먹이교반하우징(113a)의 내부 일측에 결합된다. 상기 산도측정부재(113d)는 상기 먹이교반하우징(113a) 내부에 저장된 액상먹이(LF)의 산도를 측정한다. 상기 산도측정부재(113d)는 상기 제어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산도측정부재(113d)에서 검출된 산도 값을 상기 제어부(500)로 전송한다. 그러나, 상기 산도측정부재(113d)는 상기 먹이교반하우징(113a)에만 설치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산도측정부재(113d)는 액상먹이(LF)가 접촉하는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산도측정부재(113d)는 상기 액상먹이(LF)가 관을 따라 이송되는 상기 액상먹이이송유닛(12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다수의 산도측정부재가 설치되어 각 부분에서의 산도값을 측정하고 이를 제어부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먹이교반부(113)에는 살수부재(113d)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살수부재(113d)는 액체저장부(112)로부터 공급되는 액체(L)를 상기 먹이교반하우징(113a)에 골고루 살포한다. 예를 들면, 상기 살수부재(113d)는 상기 액체(L)가 상기 먹이(F)에 골고루 뿌려지도록 액체를 퍼트려 살포한다. 이 외에도 상황에 따라 액체를 가늘거나 굵게 또는 넓게 살포될 수 있도록 상기 살수부재(113d)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액상먹이이송유닛(120)은, 상기 액상유닛교반유닛(120)에서 교반되어 만들어진 액상먹이(LF)를 상기 액상먹이수용부(130)에 급이 한다. 또는, 상기 액체저장부(112)에서 공급되는 액체(L)로 상기 액상먹이이송유닛(120)의 내부를 세척할 수 있다. 또는 교반된 액상먹이(LF)를 주기적으로 순환시켜 모돈이 액상먹이를 먹고 싶을 때 바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액상먹이이송유닛(120)은, 일측이 상기 액상먹이교반유닛(110)과 결합되어 상기 액상먹이교반유닛(110)에 의해 교반된 액상먹이(LF)를 이송시키는 이송통로부(121), 상기 이송통로부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통로부(121)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밸브부(122), 상기 이송통로부(121)와 결합되고 액상먹이(LF)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전달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통로부(121)는, 제1 통로부재(121a), 제2 통로부재(121b), 액체공급통로부재(121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로부재들은 원통형의 관으로 이뤄진다. 또한, 상기 통로부재들의 재질은 플라스틱 또는 부식에 강한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통로부재(121a)는 일측이 액상먹이(LF)가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액상먹이배출부재(113a-1)와 결합하고 타측은 동력전달부(123)와 결합한다.
상기 제2 통로부재(121b)는 일측이 동력전달부(123)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먹이교반부(113)와 결합되어 상기 제1 통로부재(121a)를 통해 상기 동력전달부(123)에 전달된 액상먹이(LF)를 상기 먹이수용부(130)에 공급하며, 먹이수용부(130)에 급이 되고 남은 액상먹이(LF)를 다시 상기 먹이교반부(113)로 이송시킨다.
상기 액체공급통로부재(121c)의 일측은 상기 액체저장부의 하부에 구비된 액체배출밸브(112b)와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동력전달부(123)와 결합된다. 상기 액체공급통로부재(121c)는 상기 액상먹이(LF)를 배합 할 때 사용되는 액체(L)를 상기 먹이교반부(113)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또는 상기 액상먹이(LF)를 상기 이송통로부(121)를 통해 상기 먹이수용부(130)에 급이한 뒤 상기 이송통로부(121)의 내부에 남겨진 액상먹이(LF)의 잔존물을 제거하는데 상기 액체(L)를 공급할 수 있도록 연결된다.
또한, 상기 이송통로부(121)의 일측에는 상기 이송통로부(121) 내부에 순환되는 액체(L) 또는 액상먹이(LF)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배수통로부재(d)와 급이통로부재(fp)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밸브부(122)는 제1 제어밸브(122a), 제2 제어밸브(122b), 액체공급제어밸브(122c)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급이제어밸브(122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밸브부(122)에 사용되는 밸브는 전기적인 신호를 통해 제어될 수 있으며, 다양한 밸브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밸브들은 공압식 볼 밸브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밸브(122a)는 한 방향에서 제공받은 액체(L) 또는 액상먹이(LF)를 다른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제1 제어밸브(122a)은 상기 제1 통로부재와 일측이 결합하고, 타측은 동력전달부(123)와 결합한다. 상기 제1 제어밸브(122a)는 상기 제어부(5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도록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2 제어밸브(122b)는 한 방향에서 제공받은 액체(L) 또는 액상먹이(LF)를 다른 두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3개의 연결부재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제어밸브(122b)의 제1 방향은 상기 동력전달부(123)의 일측과 결합한다. 상기 제2 제어밸브(122b)의 제2 방향은 상기 제2 통로부재(121b)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2 제어밸브의 제3 방향은 상기 배수통로부재(d)와 결합된다. 이로써 상기 제2 제어밸브는 상기 동력전달부(123)에서 공급되는 액체(L) 또는 액상먹이(LF)를 제2 통로부재(121b)로 이송하거나 상기 배수통로부재(d)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작동할 수 있으며, 이는 제어부(500)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액체공급제어밸브(122c)는 상기 액체저장부(112)에 저장된 액체(L)를 상기 동력전달부(123)로 공급되는 것을 제어하기위해 상기 액체공급통로부재(122c)의 일측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액체공급제어밸브(122c)는 상기 제어부(5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도록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급이제어밸브(122d)는 상기 제2 통로부재(121b)의 일측에 결합된다. 상기 급이제어밸브는(122d) 한 방향에서 제공받은 액체(L) 또는 액상먹이(LF)를 다른 두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3개의 연결부재가 구비된다. 상기 급이제어밸브(122d)의 제1 방향과 2 방향은 상기 제2 통로부재(121b)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급이제어밸브(122d)의 제3 방향은 상기 급이통로부재(d)와 결합한다. 이로써, 상기 급이제어밸브(122d)는 상기 동력전달부(123)로부터 공급되는 액상먹이(LF) 또는 액체(L)를 상기 먹이수용부(130)에 공급할 수 있으며, 또는, 제2 통로부재(121b)를 통해 상기 먹이교반부(113)로 다시 공급해 액상먹이(LF) 또는 액체(L)가 순환 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동력전달부(123)는 상기 이송통로부(121)와 결합되어 일측에서 타측으로 액상먹이(LF)를 이송시킨다. 상기 동력전달부(123)는 펌프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동력전달부(123)에 사용되는 펌프는 모노플랙스 펌프가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원심펌프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어서, 도 4, 도 5, 도 6을 참조하여 교반된 액상먹이(LF)가 상기 액상먹이이송유닛(120)에 포함된 이송통로부(121)를 통해 급이 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우선, 상기 먹이저장부(111)에 저장된 먹이(F)와 상기 액체저장부(112)에 저장된 액체(L)가 상기 먹이교반부(113)로 이송된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먹이저장부(111)에 저장된 먹이는 상기 먹이저장부(111)의 하부에 구비된 먹이이송부재(111b)를 통해 상기 먹이교반부(113)로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액체저장부(112)에 저장된 액체(L)도 상기 먹이교반부(113)로 이송되도록 상기 액체공급제어밸브(122c)가 개방되고 이때, 상기 동력전달부(123)가 상기 액체저장부(112)에 저장된 액체(L)를 빨아 당긴다. 액체공급통로부재(121c)를 따라 상기 동력전달부(123)로 이송된 액체(L)는 상기 동력전달부(123)에 의해 제2 통로부재(121b)를 따라 상기 먹이교반부(113)로 이송하게 된다.
상기 먹이저장부(111)와 상기 액체저장부(112)에서 공급된 먹이(F)와 액체(L)는 상기 먹이교반부(113)에 설치된 교반부재(112b)가 회전하며 교반된다.
상기 과정을 통해 교반된 액상먹이(LF)는 상기 먹이배출부재(113a-1)를 통해 제1 통로부재(121a)로 이송되도록 상기 동력전달부(123)에서 상기 액상먹이(LF)를 빨아 당긴다. 이때, 액체공급제어밸브(122c)는 상기 액상먹이(LF)가 상기 액체저장부(112)로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된다. 상기 제1 통로부재(121a)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상기 액상먹이(LF)는 제1 제어밸브(122a)를 지나 상기 동력전달부(123)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제1 제어밸브(122a)는 제어부(500)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액상먹이(LF)가 동력전달부(123)로 향하도록 개방된다.
상기 동력전달부(123)에 이송된 액상먹이(LF)는 상기 동력전달부(123)에 의해 상기 제2 통로부재(121b)로 향한다. 즉, 상기 동력전달부(123)는 먹이교반부(113)에 저장되어있는 액상먹이(LF)를 빨아들여 다른 방향으로 밀어내는 펌핑 동작을 한다.
상기 제2 통로부재(121b)로 이송된 액상먹이(LF)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급이제어밸브(122c)에 도달한다. 상기 급이제어밸브(122d)는 상기 제어부(500)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급이제어밸브(122c)는 상기 제2 통로부재(121b)를 통해 이송된 액상먹이(LF)를 제어부(500)의 신호에 따라 모돈(P)에게 급이할 수 있고 또는 액상먹이(LF)를 급이하지 않고 제2 통로부재(121b)를 따라 상기 액상먹이(LF)가 계속 이송될 수 있도록 일부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급이제어밸브(122d)들을 지나 제2 통로부재(121b)를 따라 이송된 액상먹이(LF)는 다시 먹이교반부(113) 내부로 이송된다. 또한, 상기 먹이교반부(113)로 이송된 액상먹이(LF)는 다시 동력전달부(123)와 상기에 서술된 제어밸브들에 의해 순환되며 모돈(P)이 급이를 원할 때 즉각 액상먹이(LF)를 급이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액상먹이 급이 과정은 제어부(500)를 통해 제어된다.
다음은 상기 급이 과정을 마친 이송통로부(121)를 세척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세척과정은 상기 급이 과정과 순환되는 과정은 유사하다. 다만, 상기 급이 과정은 액상먹이(LF)를 먹이교반부(113)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이송통로부(121)를 통해 순환하였다면, 상기 세척과정은 액상먹이(LF)가 아닌 액체(L)를 상기 액체저장부(112)를 통해 공급받아 상기 이송통로부(121)에 공급해 순환시켜 세척한다.
이를 위해, 상기 액체저장부(112)의 하부에는 액체배출부재(112b)가 구비되고 상기 액체배출부재(112b)는 상기 액체공급통로부재(121c)와 일측이 결합한다. 또한, 상기 액체공급통로부재(121c)에는 액체공급제어밸브(122c)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액체공급통로부재(121c)의 타측은 동력전달부(123)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액체저장부(112)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액체(L)가 상기 액체배출밸브(112b)를 통해 배출되고 상기 액체공급제어밸브(122c)가 개방된다. 이때, 동력전달부(123)에서는 상기 액체(L)를 상기동력전달부(123)를 향해 빨아 당긴 다음 제2 통로 부재(122b)를 따라 이송되도록 펌핑을 한다.
이때, 상기 제1 제어밸브(122a)는 상기 액체(L)가 상기 먹이교반부(113)로 이송되지 못하도록 밀폐된다.
상기에 서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동력전달부(123)를 통해 순환되도록 이송된 액체(L)는 상기 먹이교반부(113)로 공급된다. 상기 먹이교반부(113)로 공급되는 액체(L)는 제2 통로부재(121b)의 일단에 구비된 살수부재(113d)를 통과해 배출되는데 이때, 살수부재(113d)를 조절해 상기 먹이교반하우징의 측면에 남아있는 액상먹이의 잔존물을 제거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살수부재(113d)에는 위에서도 설명하였듯이 배출되는 액체(L)를 가늘고 넓게 또는 굵고 좁게 조절할 수 있으며 배출되는 액체(L)가 넓게 방사될 수 있도록 분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동력전달부(123)는 액상먹이(LF)가 아닌 액체(L)를 상기 이송통로부(121) 내부에 순환시켜 상기 이송통로부(121) 내부를 세척한다. 상기 세척을 마친 액체(L)는 배수통로부재(d)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먹이수용부(130)는 상기 모돈(P)들이 자유롭게 접근해 액상먹이(LF)를 급이 받을 수 있도록 군사 내에 구비된다. 상기 먹이수용부(130)는 내부에 상기 액상먹이(LF)를 수용할 수 있는 액상먹이수용하우징(131)이 포함된다. 상기 액상먹이수용하우징(131)은 상기 액상먹이이송유닛(120)을 통해 액상먹이(LF)를 공급받는다.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액상먹이수용하우징(131)은 상기 급이통로부재(121e)에 근접하게 위치하거나 서로 결합된다. 예를 들면, 상기 급이통로부재(121e)의 끝단 즉, 액상먹이(LF)가 배출되는 위치는 상기 액상먹이수용하우징(131)의 내부로 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액상먹이수용하우징(131)은 부식이 되지 않는 금속재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태측정부(200)는, 모돈(P)의 상태를 센서를 이용해 측정해 상기 제어부(500)로 상기 측정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상태측정부(200)는 모돈(P)이 액상먹이(LF)를 급이 받기위해 액상먹이수용하우징(131)에 인접할 때 측정할 수 있다. 또는 모돈(P)이 액상급이(LF)를 섭취하는 중에 측정될 수도 있다. 즉, 모돈(P)이 액상먹이(LF)를 급이 받는 과정 중에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상태측정부(200)는 상기 모돈(P)의 체중을 측정하는 체중측정부재(201), 상기 모돈(P)의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측정부재(202)를 포함한다.
상기 체중측정부재(201)는, 군사 내의 바닥에 설치된다. 설치되는 위치는, 상기 액상먹이수용하우징(131)의 전면에 인접한 바닥에 설치된다. 상기 체중측정부재(201)는 모돈(P)이 충분히 올라 설 수 있을 정도의 넓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중측정부재(201)는 로드셀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체중측정부재(201)는 상기 제어부(500)에 측정된 모돈(P)의 체중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체온측정부재(202)는, 상기 체중측정부재(201)와 인접하게 설치된다. 상기 체온측정부재(202)는 상기 액상먹이수용하우징(131)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별도의 거치대(미도시) 등을 이용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체온측정부재(202)는 모돈(P)과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체온을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체온측정부재(202)는 적외선을 이용한 비접촉식 체온계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체온측정부재(202)는 상기 제어부(500)에 측정된 모돈(P)의 체온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통신부(300)는, 상기 모돈(P)을 감지하고 이를 제어부(500)에 송신해 상기 제어부(500)가 모돈(P)의 위치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통신부(300)는 제1 식별모듈(301)과 제2 식별모듈(302)이 포함한다.
상기 제1 식별모듈(301)은 모돈(P)에 부착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식별모듈(301)은 상기 모돈(P)의 귀에 귀걸이 형태로 일부가 관통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또는 목걸이 등과 같은 여러 가지 형태로 이뤄질 수 있다. 상기 제1 식별모듈(301)은 모돈(P)에게 부착할 때 상기 모돈(P)의 행동에 제약이 없을 정도의 크기 즉, 작은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식별모듈(301)은 상기 제어부(500)에서 상기 모돈(P)을 인식할 수 있도록 내부에 식별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식별정보는 문자들의 조합으로 이뤄질 수 있으며, 또는 제어부(500)에서 판독할 수 있는 컴퓨터 언어로 이뤄질 수 있다. 상기 제1 식별모듈은 RFID태그로 이뤄질 수 있다. 또는 기타 상용화된 통신 모듈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ZigBee, UWB, 블루투스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식별모듈(302)은, 상기 제1 식별모듈(301)을 감지하고 상기 제1 식별모듈(301)에 저장된 모돈(P)의 식별정보를 판독해 상기 제어부(500)로 송신할 수 있는 수단으로 이뤄진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식별모듈(302)은 상기 제1 식별모듈(301)을 감지할 수 있는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에 감지된 상기 제1 식별모듈(301)에 저장된 모돈(P)의 식별정보를 판독하는 리더기로 이뤄질 수 있다. 또는 기타 상용화된 통신 모듈을 감지하고 판독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ZigBee, UWB, 블루투스등의 통신 모듈을 감지해 내부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이 사용될 수 있다.상기 제2 식별모듈(302)은 상기 액상먹이수용하우징(131)의 일측 또는 근접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 식별모듈(301)과 상기 제2 식별모듈(302)을 이용해 상기 제어부(500)는 모돈(P)이 상기 액상먹이수용하우징(131)에 근접해 있는 것을 감지하고 상기 모돈(P)에게 액상먹이(LF)를 급이 할지를 판단해 액상먹이급이장치(100)를 제어한다.
상기 메모리부(400)는, 다수의 모돈(P) 정보를 식별정보별로 분류해 저장된다. 예를 들면, 특정 모돈(P)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체중변화, 체온변화, 일일 급이량, 일일 급이 횟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400)는 상기 제어부(500)와 연동해 상기 제어부(500)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을 수 도 있고, 상기 제어부(500)에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400)는 다수의 모돈(P)을 임상 분석해 모돈(P)이 어떠한 상태를 유지할 때 자돈을 원활히 생산할 수 있고 모돈(P)이 건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지를 분석해 표준상태정보를 내부에 저장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표준상태정보를 가지고 상기 제어부(500)는 감지된 모돈(P)의 상태와 비교해 상기 표준상태정보와 같은 상태와 같거나 비슷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급이량과 급이 횟수를 제어한다. 상기 메모리부(400)는 내부에 저장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400)는 방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서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위에서 서술한 여러 가지 구성들을 토대로 액상먹이급이장치(100)의 제어, 모돈의 상태, 액상먹이(LF)의 위생 상태를 제어 또는 관리 및 파악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액상먹이급이장치(100)를 제어해 모돈에게 액상먹이를 급이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액상먹이급이장치(100)를 제어하는 방식은 크게 배합모드, 급이모드, 세척모드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3가지 과정으로 상기 제어부가 액상먹이급이장치(100)를 제어하는 것을 살펴본다.
배합모드는 액상먹이(LF)를 만들기 위한 과정으로 상기 먹이교반유닛(110)을 상기 제어부(500)가 제어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먹이저장부(111)와 상기 액체저장부(112)에는 각각 먹이(F)와 액체(L)가 저장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500)의 신호로 상기 먹이이송부재(111b), 액체공급제어밸브(122c), 동력전달부(123) 및 제2 제어밸브(122b)가 순차적으로 동작하며 상기 먹이(F)와 액체(L)를 상기 먹이교반부(113)로 공급한다. 이때 제어부(500)는 위에서 언급한 배합비율을 토대로 먹이이송부재(111b), 액체공급제어밸브(122c), 동력전달부(123) 및 제2 제어밸브(122b)를 제어해 설정된 양의 먹이(F)와 액체(L)를 먹이교반부(113)로 공급한다. 배합비율을 다시 언급하자면 일반적으로 먹이와 액체를 1:2에서 1:5의 비율로 배합한다. 상기 먹이교반부(113)로 공급된 먹이(F)와 액체(L)는 상기 교반부재(113b)에 의해 교반된다. 이때 교반부재(113b)는 두 재료를 골고루 섞어 덩어리가 생기지 않도록 한다.
급이모드는 모돈(P)에게 액상먹이(LF)를 급이 하기 위해 상기 액상먹이이송유닛(120)을 상기 제어부(500)가 제어한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동력전달부(123)는 상기 먹이교반부(113) 내부에 저장된 액상먹이(LF)를 제1 통로부재(121a)를 통해 상기 동력전달부(123)로 이송되도록 흡입하는 동력을 발생시킨다. 이때,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1 제어밸브(122a)의 일부을 개폐하도록 제어해 상기 액상먹이(LF)가 상기 동력전달부(123)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동력전달부재(123)는 이송된 액상먹이(LF)를 제2 통로부재(121b)를 통해 급이제어밸브(122d)들에게 이송시킨다. 급이제어벨브(122d)를 지난 액상먹이(LF)는 제2 통로부재(121b)를 거쳐 다시 먹이교반부(113)로 돌아온다. 이 과정을 반복하며 액상먹이(LF)는 이송통로부(121)를 순환한다. 이렇게 순환되는 과정 중에 제어부(500)에 모돈(P)이 감지되면 상기 모돈(P)의 식별정보와 상태정보를 수집하고 표준상태정보와 비교해 액상먹이급이량을 정해 모돈(P)이 위치한 액상먹이수용하우징(131)에 액상먹이(LF)를 급이 하도록 상기 급이제어밸브(122c)를 작동시킨다.
세척모드는 모돈(P)에게 액상먹이(LF)를 급이 하고 난 다음 액체(L)를 통해 이송통로부(121)를 세척하도록 제어부(500)가 제어한다.
상기 액체저장부(112)에 저장된 액체(L)를 상기 동력전달부(123)로 이송시킨다. 이때, 제어부(500)는 상기 액체공급제어밸브(122c)를 작동시켜 액체(L)를 동력전달부(123)로 이송되도록 한다. 상기 동력전달부(123)가 동력을 발생해 상기 이송통로부(121)를 액체(L)가 순환하도록 상기 제어부(500)가 상기 동력전달부(123)를 작동시키면, 상기 액체저장부(112)에 저장된 액체(L)가 상기 이송통로부(121)를 순환하며 상기 이송통로부(121)의 내부에 남아있는 액상먹이(LF) 찌꺼기를 배수통로부재(d)를 통해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제어부(500)는 모돈(P)의 상태를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상태측정부(200)와 상기 통신부(300)를 통해 모돈(P)을 감지하고 모돈(P)의 식별정보와 모돈(P)의 현재 체온정보와 체중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상기 메모리부(400)에 저장해 모돈(P) 별로 상태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메모리부(400)에 저장된 표준상태정보와 비교해 상기 액상먹이급이장치(100)에 신호를 보내 모돈(P)의 액상먹이급이량과 급이 횟수 제어한다. 또는,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상태측정부(200)를 통해 인가되는 체온 및 체중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모돈의 건강상태를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체온정보는 모돈(P)이 액상먹이(LF)를 급이 받을 때 마다 측정이 되는데 이 측정정보를 시간대 별로 메모리부에 저장해 모돈(P)의 체온이 어떻게 변화 되는지 알 수 있다. 만약 모돈(P)의 체온이 급격히 상승되거나 저하되면 모돈(P)의 건강상태에 변화가 생긴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상기 제어부(P)는 이를 관리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 또는 체중정보를 통해서도 모돈(P)의 건강상태를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 모돈(P)의 체중이 표준상태정보와 비교해 낮을 경우 제어부(500)는 해당 모돈(P)에게 액상먹이급이량과 급이 횟수를 늘릴 수 있다. 만약 이러한 제어부(500)의 조치에도 상기 모돈(P)의 체중이 점차 줄어들 때에는 해당 모돈(P)의 건강에 이상이 생긴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이때도, 상기 제어부(500)는 이를 관리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체중이 늘어나는 사례도 마찬가지로 제어부(500)가 감지해 관리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액체저장부에 저장된 액체(L)의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액체(L)가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액체저장부(112)에 포함된 상기 온도측정부재(112d)로부터 상기 액체저장부(112)에 저장된 액체(L)의 온도 값을 제공 받을 수 있다. 상기 온도 값은 일정 주기로 제어부(500)에 제공된다. 또는 계절에 따라 주기가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절기나 동절기에는 상기 액체저장부(112)에 저장된 액체(L)가 변질되거나 동결될 수 있기 때문에 좀 더 짧은 주기로 상기 제어부(500)에 온도 값을 제공해 상기 제어부(500)가 이에 대응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온도측정부재(112d)로부터 제공받은 온도 값은 상기 제어부(500)에 시간대 별로 저장된다. 만약 상기 온도 값이 점점 올라가 세균이 번식하기 유리한 온도가 되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액체살균부재(112c)를 제어해 상기 액체저장부(112) 내부에 저장된 액체(L)를 살균한다. 또는 상기 온도 값이 점점 떨어져 상기 액체가 동결되는 온도에 다다르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액체가열부재(112e)를 제어해 상기 액체저장부(112)의 내부에 저장된 액체(L)를 가열한다. 또는,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액체살균부재(112c)를 일정주기로 가동해 액체(L)를 살균한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액체가열부재(112e)를 이용해 상기 액체(L)를 일정주기 또는 세균이 번식하기 유리한 온도가 되면 세균을 박멸할 수 있는 온도까지 가열할 수 도 있다.
이어서, 상기 제어부(500)가 상기 먹이교반부(113)에 저장된 액상먹이(LF)의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액상먹이(L)가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상기 먹이교반부(113)는 상기 먹이저장부(111)와 상기 액체저장부로부터 각각 먹이와 액체를 제공받아 이를 교반해 액상먹이를 만든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먹이교반부(113)에 포함된 상기 산도측정부재(113d)로부터 상기 먹이교반부(113)에 저장된 액상먹이(LF)의 산도 값을 제공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액상먹이(LF)의 산도 값이 점점 올라가는 현상은 액상먹이(LF)가 변질되고 있다는 증거이다.
상기 산도측정부재(113d)에서 제공되는 산도 값은 일정 주기로 제어부(500)에 제공된다. 또는 계절에 따라 주기가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절기에는 상기 먹이교반부(113)에 저장된 액상먹이(LF)가 좀 더 빨리 변질될 수 있기 때문에 좀 더 짧은 주기로 상기 제어부(500)에 산도 값을 제공해 상기 제어부(500)가 이에 대응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산도측정부재(113d)로부터 제공받은 산도 값은 상기 제어부(500)에 시간대 별로 저장된다. 만약 상기 산도 값이 점점 높아져 액상먹이(LF)가 변질될 가능성이 있는 상태가 되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액상먹이살균부재(113c)를 제어해 상기 먹이교반부(113)에 저장된 액상먹이(LF)를 살균한다. 또는,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액상먹이살균부재(113c)를 일정주기로 가동해 액상먹이(LF)를 살균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어부(500)는 액상먹이(LF)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들의 위생 상태를 파악하고 이를 제어할 수 있다. 다만, 먹이저장부(111)에 저장된 먹이(F)는 주로 건조된 재료를 사용한다. 건조된 재료는 변질될 우려가 다른 재료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제어부재 및 측정부재를 사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만약 먹이저장부(111)에 저장되는 먹이(F)가 수분을 가지는 농산부산물일 경우 상기 액체저장부(112)나 상기 먹이교반부(113)에 사용된 측정부재나 제어부재 등을 사용해 제어할 수 있다.
액상먹이급이시스템 : 1000 액상먹이급이장치 : 100
액상먹이교반장치 : 110 먹이저장부 : 111
먹이저장하우징 : 111a 먹이이송부재 : 111b
먹이감지센서 : 111c 액체저장부 : 112
액체저장하우징 : 112a 액체배출부재 : 112b
액체살균부재 : 112c 온도측정부재 : 112d
액체가열부재 : 112e 액체감지센서 : 112f
먹이교반부 : 113 먹이교반하우징 : 113a
교반부재 : 113b 액상먹이살균부재 : 113c
산도측정부재 : 113d 액상먹이배출부재 : 113a-1
액상먹이이송유닛 : 120 이송통로부 : 121
제1 통로부재 : 121a 제2 통로부재 : 121b
액체공급통로부재 : 121c 제어밸브부 : 122
제1 제어밸브 : 122a 제2 제어밸브 : 122b
액체공급제어밸브 : 122c 상태측정부 : 200
체중측정부재 : 201 체온측정부재 : 202
통신부 : 300 제1 식별모듈 : 301
제2 식별모듈 : 302 메모리부 : 400
제어부 : 500

Claims (13)

  1. 먹이와 액체를 교반해 만든 액상먹이를 모돈에게 급이 하는 액상먹이급이장치;
    모돈이 액상먹이를 급이 받을때 모돈의 상태를 측정하는 상태측정부;
    모돈의 식별정보가 저장된 제1 식별모듈과 상기 제1 식별모듈이 근접하면 이를 감지해 식별정보를 판독하는 제2 식별모듈을 포함하는 통신부;
    모돈 개체별 상태변화정보와 모돈이 유지해야 할 표준상태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부; 및
    모돈의 식별정보와 상태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모돈의 상태정보와 표준상태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액상먹이급이장치에 액상먹이 공급량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모돈의 액상먹이급이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먹이급이장치는,
    먹이와 액체를 교반해 액상먹이를 만드는 액상먹이교반유닛;
    상기 액상먹이교반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액상먹이를 이송시키는 액상먹이이송유닛; 및
    상기 액상먹이이송유닛으로부터 이송되는 액상먹이가 담겨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상먹이수용부를 포함하는 모돈의 액상먹이급이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측정부는,
    상기 모돈의 체중을 측정하는 체중측정부재; 및
    상기 모돈의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측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돈의 액상먹이급이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모듈과 상기 제2 식별모듈은,
    모돈의 식별정보가 저장되는 RFID태그와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RFID리더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돈의 액상먹이급이시스템.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먹이교반유닛은,
    액상먹이를 만들기 위한 먹이를 저장하는 먹이저장부;
    액상먹이를 만들기 위한 액체를 저장하는 액체저장부; 및
    상기 먹이저장부 및 상기 액체저장부와 결합되어 상기 먹이저장부에서 공급된 먹이와 상기 액체저장부에서 공급된 액체를 교반하는 먹이교반부를 포함하는 모돈의 액상먹이급이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먹이저장부는,
    먹이를 저장하고 저장된 먹이를 상기 먹이교반부로 공급할 수 있는 먹이저장하우징; 및
    상기 먹이저장하우징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에서 정해준 양 만큼 저장된 먹이를 상기 먹이교반부로 이송시키는 먹이이송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돈의 액상먹이급이시스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먹이저장부는,
    저장된 먹이의 양을 감지할 수 있는 먹이감지센서가 더 포함되는 것은 특징으로 하는 모돈의 액상먹이급이시스템.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저장부는,
    액체를 저장하고 저장된 액체를 상기 먹이교반부로 공급할 수 있는 액체저장하우징; 및
    상기 액체저장하우징에 설치되어 내부에 저장된 액체를 살균할 수 있는 액체살균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돈의 액상먹이급이시스템.
  9.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저장부는,
    상기 액체저장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내부에 담겨진 액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측정부재; 및
    상기 액체저장부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어 내부에 담겨진 액체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액체가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돈의 액상먹이급이시스템.
  10.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먹이교반부는,
    상기 먹이교반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저장된 액상먹이를 살균하는 액상먹이살균부재; 및
    상기 먹이교반부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어 저장된 액상먹이의 산도를 측정하는 산도측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돈의 액상먹이급이시스템.
  11.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먹이이송유닛은,
    일측이 상기 액상먹이교반유닛과 결합되어 상기 액상먹이교반유닛에 의해 교반된 액상먹이를 이송시키는 이송통로부; 및
    상기 이송통로부와 결합되어 액상먹이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돈의 액상먹이급이시스템.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통로부는,
    상기 액상먹이가 이송될 수 있도록 일측은 상기 액상먹이교반유닛과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동력전달부와 결합하는 제1 통로부재; 및
    상기 동력전달부와 일측이 결합되어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이송되는 액상먹이를 상기 액상먹이수용부에 공급하는 제2 통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돈의 액상먹이급이시스템.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통로부는,
    상기 액상먹이교반유닛에 저장된 액체를 통해 액상먹이를 급이 한 뒤 남겨진 찌꺼기를 세척할 수 있도록 일측이 상기 액상먹이교반유닛과 결합되고 타측은 동력전달부와 결합되는 액체공급통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돈의 액상먹이급이시스템.
KR1020120032208A 2012-03-29 2012-03-29 모돈의 액상먹이급이시스템 KR101352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208A KR101352393B1 (ko) 2012-03-29 2012-03-29 모돈의 액상먹이급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208A KR101352393B1 (ko) 2012-03-29 2012-03-29 모돈의 액상먹이급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0340A KR20130110340A (ko) 2013-10-10
KR101352393B1 true KR101352393B1 (ko) 2014-01-17

Family

ID=49632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2208A KR101352393B1 (ko) 2012-03-29 2012-03-29 모돈의 액상먹이급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23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5459A (ko) * 2015-01-08 2016-07-18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돈용 음수 투약 시스템 및 방법
KR102595842B1 (ko) * 2022-06-20 2023-10-30 (주)엠트리센 인공지능 기반 모돈을 위한 사료 공급량 제어 및 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3566B1 (ko) * 2017-03-24 2019-01-31 (주)혜송 가축용 액상 먹이 공급장치
WO2019103257A1 (ko) * 2017-11-21 2019-05-31 김기주 물과 사료의 혼합급이기
KR101897936B1 (ko) * 2018-01-03 2018-09-12 김기주 물과 사료 혼합급이기
CN108575862B (zh) * 2018-04-19 2021-05-28 金华市凌特水产养殖技术有限公司 设有饲料回收筒的海水养殖设备
CN109845655A (zh) * 2018-11-26 2019-06-07 钱巍 一种畜牧业定量喂水装置
CN112673974A (zh) * 2020-12-14 2021-04-20 华南农业大学 一种远程智能的母猪精准饲喂系统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5875A (ko) * 2002-12-23 2005-08-29 캔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열량 증가량에 기초한 동물 사료의 맞춤 시스템 및 맞춤방법
KR20070042683A (ko) * 2005-10-19 2007-04-24 김기주 양돈용 습식 급이기
KR20100116348A (ko) * 2009-04-22 2010-11-01 최승찬 양돈용 자동 습식 급이기 및 그 사용방법
KR20120022035A (ko) * 2010-08-31 2012-03-09 최승찬 돈용 사료급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5875A (ko) * 2002-12-23 2005-08-29 캔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열량 증가량에 기초한 동물 사료의 맞춤 시스템 및 맞춤방법
KR20070042683A (ko) * 2005-10-19 2007-04-24 김기주 양돈용 습식 급이기
KR20100116348A (ko) * 2009-04-22 2010-11-01 최승찬 양돈용 자동 습식 급이기 및 그 사용방법
KR20120022035A (ko) * 2010-08-31 2012-03-09 최승찬 돈용 사료급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5459A (ko) * 2015-01-08 2016-07-18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돈용 음수 투약 시스템 및 방법
KR101658723B1 (ko) * 2015-01-08 2016-09-21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돈용 음수 투약 시스템 및 방법
KR102595842B1 (ko) * 2022-06-20 2023-10-30 (주)엠트리센 인공지능 기반 모돈을 위한 사료 공급량 제어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0340A (ko) 201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2393B1 (ko) 모돈의 액상먹이급이시스템
EP3402323B1 (en) Highly automated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to measure, monitor manage and control grazing environment and animals
KR101376235B1 (ko) 임신돈과 포유돈의 건식사료 및 액상사료 급이시스템
KR20080065583A (ko) 유전자형 정보를 이용한 동물 생산을 최적화시키기 위한시스템 및 방법
KR20110092518A (ko) 모돈의 자동 급이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684038B2 (en) Swine activated feeder with actuation sensor
Komlatsky et al. Technological process intensification trends in livestock
US781486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supplying liquid feed to livestock
KR200337595Y1 (ko) 액상대용유 자동급이 시스템
KR101889407B1 (ko) 가축용 사료 급이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 가축용 사료 급이 시스템
Brumm et al. Effects of facility design on behavior and feed and water intake
KR101630603B1 (ko) 모돈급이기
KR20140019463A (ko) 임신돈과 포유돈의 건식사료 및 액상사료 급이시스템
WO2020020423A1 (en) System for precision mineral supplementation of animals
CN214102706U (zh) 一种用于生猪养殖的定量饲料投放装置
CN221178859U (zh) 一种猪舍自动喂食装置
CN205161517U (zh) 一种用于固液混料的家禽供食器
CN216018457U (zh) 一种用于畜牧养殖的饲喂及消毒系统
Heise et al. Improved process quality through certification systems: an assessment of selected animal welfare labels
Plaksin et al. Theoretical background for a robotic device designed for suckling piglets nursing
CN214902998U (zh) 一种智能饲喂设备
CN216219460U (zh) 一种生猪养殖用饲料投放装置
CN214853527U (zh) 一种畜牧用饲料定量装置
Velayudhan et al. 180 Effect of High Dietary Canola Meal Inclusion in Gestation and Lactation Sow Diets with or without Enzyme Supplementation on Reproductive Performance, Milk Composition and Nutrient Digestibility.
CN117958162A (zh) 一种养猪业用自动投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