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0047B1 - 내화학성이 우수한 클로로설포네이트 폴리에틸렌 고무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안전장화 - Google Patents

내화학성이 우수한 클로로설포네이트 폴리에틸렌 고무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안전장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0047B1
KR100720047B1 KR1020060012189A KR20060012189A KR100720047B1 KR 100720047 B1 KR100720047 B1 KR 100720047B1 KR 1020060012189 A KR1020060012189 A KR 1020060012189A KR 20060012189 A KR20060012189 A KR 20060012189A KR 100720047 B1 KR100720047 B1 KR 100720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weight
parts
polyethylene rubber
chemical res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2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소수
Original Assignee
문소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소수 filed Critical 문소수
Priority to KR1020060012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00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0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0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9/00Compositions of rubb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7/00 - C08L17/00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2Boots covering the lower leg
    • A43B3/04Boots covering the lower leg with rubber or elastic insertions or guss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37Thiols
    • C08K5/372Sulfides, e.g. R-(S)x-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1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magnesium
    • C08K2003/222Magnesia, i.e. magnesium 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화학성이 우수한 클로로설포네이트 폴리에틸렌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안전장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무의 물성을 개선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우수한 내화학성을 갖는 클로로설포네이트 폴리에틸렌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안전장화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클로로설포네이트 폴리에틸렌 고무(CSM 40) 100 중량부당 3C 2중량부, Dixie Clay 80중량부, A-2 오일 30중량부, TRA 2중량부, DM 1중량부, PEG 2중량부, 스테아린산 1중량부 및 MgO 4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로설포네이트 폴리에틸렌 고무 조성물 및 클로로설포네이트 폴리에틸렌 고무 조성물을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내화학성이 우수한 안전장화가 제공된다.
클로로설포네이트 폴리에틸렌 고무, CSM, 하이파론, 안전장화

Description

내화학성이 우수한 클로로설포네이트 폴리에틸렌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안전장화{CHLOROSULPHONATED POLYETHYLENE RUBBER COMPOSITION WITH SUPERIOR CHEMICAL RESISTANCE AND SAFETY BOOT USING THE SAME}
도 1은 클로로설포네이트 폴리에틸렌 고무 조성물을 이용하여 만든 안전장화의 사시도
도 2는 클로로설포네이트 폴리에틸렌 고무 조성물의 제조공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 2 : 밑창
3 : 밑테이프고무 4 : 전단보호고무
5 : 후단보호고무 6 : 외피고무
7 : 상단테이프고무 8 : 안감
본 발명은 내화학성이 우수한 클로로설포네이트 폴리에틸렌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안전장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클로로설포네이트 폴리에틸렌 고무(CSM 40) 100 중량부당 3C 2중량부, Dixie Clay 80중량부, A-2 오일 30중량부, TRA 2중량부, DM 1중량부, PEG 2중량부, 스테아린산 1중량부 및 MgO 4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로설포네이트 폴리에틸렌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학성이 우수한 안전장화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안전장화는 천연고무(RSS#3, STR-3L, SVR-3L 등)를 주원료로 사용하여 가공하였는데, 상기한 천연고무 등를 주원료로 하는 경우에는 고무의 성형이 용이하여 작업성이 좋지만, 반면 내화학성 등의 특수한 특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착용자의 안전보장이라는 측면에서 한계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하이파론(Hypalon)이라고 불리는 클로로설포네이트 폴리에틸렌 합성고무(chlorosulphonated polyethylene, CSM 또는 CSP)는 내오존성, 내후성 및 내약품성이 우수하며 장기간 외부 노출시에도 변색치 않고 밝은 색상을 유지하는 특징이 있다(Hypalon은 미국 DuPont Dow Elastomers사의 클로로설포네이트 폴리에틸렌 합성고무의 상표명임). 또한 배합에 따라 우수한 기계적 특성, 높은 인장강도, 내마모성을 얻을 수 있어서 이러한 특성이 복합적으로 요구되는 많은 고무제품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하이파론(CSM)은 상기한 바와 같은 우수한 물성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성형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성형이 된다고 하더라도 접착 등이 매우 어려운 점 등 생산성(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우수한 내화학성이 요구되는 안전장화와 같은 분야에서의 사용이 제한되어 왔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클로로설포네이트 폴리에틸렌 합성고무(CSM)를 원료로 하여 충진제, 연화제, 촉진제, 노화방지제, 분산제, 가황촉진조제 등을 포함하는 첨가제를 특정한 비율로 배합함으로써 고무의 물성을 개선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우수한 내화학성을 갖는 클로로설포네이트 폴리에틸렌 고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성이 개선된 클로로설포네이트 폴리에틸렌 고무 조성물을 사용하여 만들어지는 우수한 내화학성을 갖는 안전장화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클로로설포네이트 폴리에틸렌 고무(CSM 40) 100 중량부당 3C 2중량부, Dixie Clay 80중량부, A-2 오일 30중량부, TRA 2중량부, DM 1중량부, PEG 2중량부, 스테아린산 1중량부 및 MgO 4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로설포네이트 폴리에틸렌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학성이 우수한 안전장화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클로로설포네이트 폴리에틸렌 고무의 배합 및 작업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도 2 참조).
클로로설포네이트 폴리에틸렌 고무(CSM 40)를 가공하기 위해서는 먼저 클로로설포네이트 폴리에틸렌 고무(CSM 40)을 롤러에 넣고 소련작업(Mastication, 내림작업)을 한다. 소련작업이란 고무에 전단력과 온도(열)을 주어서 탄성원료인 고무 를 차차로 해중합(解重合)시켜 연화함으로써 균일한 가소화 상태로 만드는 것을 말한다. 소련작업시 롤러에 열이 있게 되면 원료고무가 롤러 자체에 붙어 가공이 되지 않기 때문에 롤러의 온도는 20℃ 이하로 유지하여야 한다.
소련시에는 노화방지제와 충진제를 첨가하여 작업을 한다. 노화방지제는 고무가 외적인자(산소, 산화성 물질, 오존, 열, 햇빛, 기계적 피로 등) 및 내적인자(고무의 종류, 가황도, 가황제의 종류 등)로 인하여 산화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첨가한다. 본 발명에서는 원료고무 100중량부당 3C를 2중량부를 첨가한다. 3C의 화학명은 N-Phenyl-N'-isopropyl-p-phenylenediamine(IPPD)이다. 한편, 원료고무에 3C를 첨가하여 소련작업시 발생하는 열은 냉각장치를 이용하여 제거해야 한다.
충진제는 고무의 물성을 개선하는 역할을 하는데, 천연고무, 불소고무, 일반라텍스는 고무 자체가 물성을 가지고 있으나 클로로설포네이트 폴리에틸렌 고무의 경우는 물성이 현저히 낮아 충진제의 역할이 중요하다. 충진제로는 Dixie Clay를 첨가하는데, 원료고무(CSM 40) 100중량부당 80중량부를 첨가한다. 상기 Dixie Clay는 Dixie Clay사(Dixie Clay Company)에서 생산, 판매되는 고령토점토에 대한 상품명으로써, 고무 화합물에 사용되는 분자식이 Al2Si2O2(OH)4인 고령토점토 중 미세한 입자크기를 갖는 하드(hard clay)에 해당한다.
소련작업을 한 후에는 연화제, 촉진제, 분산제, 가황촉진조제를 혼합한 후 혼련(Mixing)작업을 한다. 혼련작업은 소련된 고무에 배합약품을 균등히 혼합하여 분산시키는 작업이며, 혼련의 양부(良否)는 제품특성에 직접 영향을 준다. 연화제는 고무에 혼합하여 유연성, 가공성 등을 개선할 목적으로 고무분자간의 윤활제로 작용시켜 폴리머의 완화현상을 촉진시키는 약품인데, 아로마틱계 연화제(Aromatic Process Oil)인 A-2 오일을 원료고무(CSM 40) 100중량부당 30중량부 첨가한다(A-2 오일은 (주)미창석유의 아로마틱계 연화제(Aromatic Process Oil)의 상표명임).
가황촉진제는 가류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첨가하는 것으로, 티아졸(Thiazole)계 가황촉진제인 DM(Dibenzothazyl Disulfide, MBTS)과 티우람(Thiuram)계 가황촉진제인 TRA(Dipentamethylenethiuram tetrasulfide, DPTT)가 사용된다. DM은 원료고무(CSM 40) 100중량부당 1중량부, TRA는 원료고무(CSM 40) 100중량부당 2중량부를 첨가한다.
클로로설포네이트 폴리에틸렌 고무는 특성상 열에 의해 잘 응집되므로 기타 다른 첨가제(약품)들이 한 곳에 몰리지 않고 골고루 퍼져 효과적으로 분산되도록 반드시 분산제를 첨가하여야 한다. 분산제로는 PEG(polyethylene glycol)를 원료고무 100중량부당 2중량부 첨가한다.
마지막으로는 가황촉진조제인 스테아린산(Stearic acid) 및 산화마그네슘(MgO)을 원료고무 100중량부당 각각 1중량부 및 4중량부씩 첨가한다. 무기계 가황촉진조제인 산화마그네슘(MgO) 및 유기계 가황촉진조제인 스테아린산은 가황촉진제와 병용하여 그 촉진효과를 완전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배합제인데, 특히 지방산인 스테아린산은 이형성을 좋게하고 충진제의 분산성을 좋게하는 역할을 한다.
혼련작업이 마무리된 후에는 시트를 1m 간격으로 절단하여 완전히 냉각시키고 카렌더작업(Calendering)을 한다. 카렌더 작업시에는 시트의 두께가 0.8mm가 되도록 압연한다. 카렌더작업후 나온 시트는 각 부위별로 재단을 하여 제화작업을 하며, 제화작업 후에는 내화학성 에나멜을 도포한 다음 온도 120-130℃의 가류가마에서 한시간 정도 가류를 한다.
상기와 같은 배합비율 및 제조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고무 조성물을 성형하여 시편을 만든 후, 이 시편을 이용하여 장화의 각 부위별로 재단을 하여 안전장화를 제작한다. 안전장화의 제작시 이용되는 접착제는 클로로설포네이트 폴리에틸렌 고무와 솔벤트, 송진을 혼합하여 제작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고무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내화학성 안전장화의 일반적인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장화의 몸체(1)는 내측에 안감(8)이 층합된 외피고무(6)와 장화 앞축의 밑창으로부터 발목부위까지 외피고무의 외측에 층합되는 전단보호고무(4) 및 장화 뒤축의 밑창으로부터 장화의 상단까지 외피고무의 외측에 층합되는 후단보호고무(5)로 이루어진다. 몸체(1)의 바닥에는 뒷굽이 구비된 밑창(2)이 접착되고, 몸체(1)와 밑창(2)의 접합부위에는 밑테이프고무(3)를 감아 붙임으로써 방수 및 방습처리를 한다. 몸체(1)의 상단에는 상단테이프고무(7)를 감아 붙임으로써 마감을 한다. 안전장화의 구성 중 외피고무(6), 전단보호고무(4), 후단보호고무(5), 밑창(2), 밑테이프고무(3) 및 상단테이프고무(7)의 재질은 클로로설포네이트 폴리에틸렌 고무 조성물이며, 접착시 사용하는 고무풀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클로로설포네이트 폴리에틸렌 고무와 솔벤트 및 송진을 혼합하여 제작한 것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클로로설포네이트 폴리에틸렌 고무 조성물은 성형이 용이하여 우수한 작업성을 나타내며, 상기 클로로설포네이트 폴리에틸렌 고무를 이용하여 제조된 안전장화는 우수한 내화학성을 가진다. 다음의 표 1은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안전장화의 몸통에 대하여 <한국신발피혁연구소>에 의뢰하여 내산성 및 내알칼리성 시험을 한 결과이다.
Figure 112006009364068-pat00001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클로로설포네이트 폴리에틸렌 고무 조성물은 종래의 클로로설포네이트 폴리에틸렌 고무의 단점인 성형성 및 작업성을 개선한 것으로 내화학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생산성이 향상된 고무 조성물 및 내화학성 안전장화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무의 성형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내화학성이 요구되는 안전장화와 같은 분야에서도 클로로설포네이트 폴리에틸렌 고무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클로로설포네이트 폴리에틸렌 고무(CSM 40) 100 중량부당 3C 2중량부, Dixie Clay 80중량부, A-2 오일 30중량부, TRA 2중량부, DM 1중량부, PEG 2중량부, 스테아린산 1중량부 및 산화마그네슘(MgO) 4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로설포네이트 폴리에틸렌 고무 조성물.
  2. 내측에 안감(8)이 층합된 외피고무(6)와 장화 앞축의 밑창으로부터 발목부위까지 외피고무의 외측에 층합되는 전단보호고무(4) 및 장화 뒤축의 밑창으로부터 장화의 상단까지 외피고무의 외측에 층합되는 후단보호고무(5)로 이루어지는 몸체(1), 뒷굽이 구비된 밑창(2), 몸체와 밑창의 접합부위에 부착된 밑테이프고무(3) 및 몸체 상단에 부착된 상단테이프고무(7)로 구성되며, 상기 외피고무(6), 전단보호고무(4), 후단보호고무(5), 밑창(2), 밑테이프고무(3) 및 상단테이프고무(7)의 재질은 제1항의 클로로설포네이트 폴리에틸렌 고무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화.
KR1020060012189A 2006-02-08 2006-02-08 내화학성이 우수한 클로로설포네이트 폴리에틸렌 고무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안전장화 KR100720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2189A KR100720047B1 (ko) 2006-02-08 2006-02-08 내화학성이 우수한 클로로설포네이트 폴리에틸렌 고무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안전장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2189A KR100720047B1 (ko) 2006-02-08 2006-02-08 내화학성이 우수한 클로로설포네이트 폴리에틸렌 고무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안전장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0047B1 true KR100720047B1 (ko) 2007-05-21

Family

ID=38277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2189A KR100720047B1 (ko) 2006-02-08 2006-02-08 내화학성이 우수한 클로로설포네이트 폴리에틸렌 고무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안전장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00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1474B1 (ko) 2016-12-06 2017-06-27 주식회사 산청 화학보호복용 고무코팅 조성물, 이에 의한 화학보호복용 원단 및 이를 위한 원단의 제조방법
KR101761788B1 (ko) 2017-02-27 2017-07-26 (주)프로젠 장화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7322B1 (ko) * 1989-03-07 1998-12-01 모토야마 가즈오 중합체-금속 결합용 고무 조성물
KR20000046922A (ko) 1998-12-31 2000-07-25 권문구 호스용 고무 조성물
KR20010057470A (ko) 1999-12-23 2001-07-04 이구택 우수한 내산성을 갖는 하이파론 고무 조성물
KR20030037142A (ko) 2001-11-02 2003-05-12 엘지전선 주식회사 이형성이 우수한 염소계 고무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7322B1 (ko) * 1989-03-07 1998-12-01 모토야마 가즈오 중합체-금속 결합용 고무 조성물
KR20000046922A (ko) 1998-12-31 2000-07-25 권문구 호스용 고무 조성물
KR20010057470A (ko) 1999-12-23 2001-07-04 이구택 우수한 내산성을 갖는 하이파론 고무 조성물
KR20030037142A (ko) 2001-11-02 2003-05-12 엘지전선 주식회사 이형성이 우수한 염소계 고무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1474B1 (ko) 2016-12-06 2017-06-27 주식회사 산청 화학보호복용 고무코팅 조성물, 이에 의한 화학보호복용 원단 및 이를 위한 원단의 제조방법
KR101761788B1 (ko) 2017-02-27 2017-07-26 (주)프로젠 장화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5233B2 (en) Slip-resistant rubber composition, outsole using the rubber composi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outsole
TWI519598B (zh) 天然橡膠外底以及鞋
Rahiman et al. Cure characteristic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styrene–butadiene rubber/acrylonitrile butadiene rubber
CN104829892B (zh) 一种鞋底用高耐磨橡胶材料及其制备方法
CN107216504A (zh) 一种高耐磨稀土橡胶鞋用材料及其制备方法
CN104939430B (zh) 耐磨绝缘鞋
CN108136704B (zh) 用于由热固性弹性体组合物模制制品的方法和所模制的制品
KR100720047B1 (ko) 내화학성이 우수한 클로로설포네이트 폴리에틸렌 고무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안전장화
JP2002078505A (ja) アウトソール及びこれを備えた靴
KR102202478B1 (ko) 고무 테르펜 신발류
KR20200014724A (ko) 신발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EP3713439A1 (en) A shoe sole with enhanced performance characteristics
US9222005B2 (en) Slip prevention pa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7337862A (zh) 一种适用于跑步的鞋底及其制备方法
KR102096516B1 (ko) 경찰 장화 제조방법
CN108752652A (zh) 一种轻量化作战靴橡胶鞋外底
CN107057134A (zh) 一种运动鞋及其制备方法
KR20140145749A (ko) 신발 겉창용 고무 조성물
KR101501216B1 (ko) 신발겉창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블렌드 조성물
KR100454284B1 (ko) 고신장성 고무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7337816A (zh) 一种保温隔热的鞋底及其制备方法
EP2104440B1 (en) Outsole for an article of footwear
KR20240082145A (ko) 폐가죽 스크랩을 이용한 신발 겉창용 고무 복합체 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신발 겉창용 고무 복합체 시트
KR20120103196A (ko) 고무시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454283B1 (ko) 내마모성 고무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