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0024B1 - 프로바이오틱 비피도박테리움 보움 r5 균주 및 이를포함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프로바이오틱 비피도박테리움 보움 r5 균주 및 이를포함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0024B1
KR100720024B1 KR1020060130968A KR20060130968A KR100720024B1 KR 100720024 B1 KR100720024 B1 KR 100720024B1 KR 1020060130968 A KR1020060130968 A KR 1020060130968A KR 20060130968 A KR20060130968 A KR 20060130968A KR 100720024 B1 KR100720024 B1 KR 100720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salmonella
bifidobacterium
probio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0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5463A (ko
Inventor
성수일
근 김
황교열
이재연
강경돈
박영식
조용석
Original Assignee
(주)바이오토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오토피아 filed Critical (주)바이오토피아
Priority to KR1020060130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0024B1/ko
Publication of KR20070035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5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0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0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5Bifido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23V2200/3204Probiotics, living bacteria to be ingested for action in the digestive 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51Bifidobacteriu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Phys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ir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장내 병원성 세균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프로바이오틱(probiotic) 유산균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비피도박테리움 보움(Bifidobacterium boum) R5 균주는 다양한 병원성 세균에 대해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냄은 물론 내산성 및 내담즙성 등이 우수하고, 내산소성 및 건조 열에 대한 우수한 안정성을 나타내므로, 사료, 식품, 의약품 및 화장품 등의 제조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프로바이오틱 비피도박테리움 보움 R5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PROBIOTIC BIFIDOBACTERIUM BOUM R5 STRAIN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도 1은 락토바실러스 시험 균주인 G19, S21 및 B47, 및 비교 균주인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GG 및 락토바실러스 펜토서스(Lactobacillus pentosus) K34를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 제제 투여군, 무투여군, 항생제 투여군 및 첨가제 단일 투여군을 대상으로 시험 균주들의 살모넬라 타이피머리움(Salmonella typhimurium) LT2 감염에 따른 마우스의 치사억제 효과를 확인한 것이고,
도 2는 비피더스 시험 균주인 R5, 및 비교 균주인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BL) 및 비피도박테리움 써모필럼(Bifidobacterium thermophilum; BT) 투여군, 및 무투여군을 대상으로 시험 균주들의 살모넬라 타이피머리움 LT2 감염에 따른 마우스의 치사억제 효과를 확인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크리스파투스(Lactobacillus crispatus) G19 균주의 16S rDNA 염기서열을 유전자 은행(GenBank) 상의 염기서열들과 비교한 덴드로그램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비피도박테리움 보움(Bifidobacterium boum) R5 균주의 16S rDNA 염기서열을 유전자 은행 상의 염기서열들과 비교한 덴드로그램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장내 병원성 세균들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프로바이오틱 유산균,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유산균은 인돌, 스케톨, 페놀, 아민 및 암모니아 등의 유해물질은 생산하지 않으면서 인간에게 유익한 젖산을 생산하는 미생물로, 동물의 장내에서 가장 많은 밀도로 존재하며, 특히 소화흡수가 일어나는 소장에서 우점균으로 자리 잡고 있다(Barnes, F. M. 등, Amer . J. Clin . Nutr ., 33, 2426-2433, 1980; 및 Salanitro, J. P. 등, Appl . Environ . Microbiol ., 33, 79-84, 1977).
이러한 유산균에는 대표적으로 카르노박테리움속(Carnobacterium), 엔테로코커스속(Enterococcus), 락토바실러스속(Lactobacillus), 락토코커스속(Lactococcus), 류코노스톡속(Leuconostoc), 페디오코커스속(Pediococcus), 스트렙토코커스속(Streptococcus), 테트라제노코커스속(Tetragenococcus), 바고코커스속(Vagococcus) 및 바이쎌라속(Weissella) 균주 등이 있고(Stiles, M. E. 등, Int . J. Food Microbiol ., 36, 1-29, 1997), 이외 인간의 장내에서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보다 많은 수가 안정적으로 분포되어 있고 모유를 먹는 아이에게 풍부하여 모유 수유 중 설사예방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무정형의 혐기성균인 비피더스속(Bifidobacterium) 균주 등이 포함되며(Stark, P. L. and A. Lee., J. Med. Microbiol . 15:189-203, 1982; Ballongue, J., In Lactic acid bacteria: Microbiology and functional aspects. Series: Food science and technology, Marcel Dekker, Inc., pp. 519-587, 1998), 이 중 락토바실러스속 및 비피더스속 균주는 안전성이 우수하여 여러 연구에 사용되고 있다(Havenaar, R. 등, In Probiotics: The scientific basis, Chapmann & Hall, 209-224, 1992).
유산균은 젖산 생산 능력 외에 병원성 세균 억제능, 항돌연변이원성, 항암ㆍ항종양활성, 면역증강 및 콜레스테롤 저하 등의 다양한 기능을 나타내어 여러 약학 및 식품학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다(Sanders, M. E., J. Nutr ., 130, 384S-390S, 2000; 및 Rolfe, R. D., J. Nutr ., 130, 396S-402S, 2000). 최근에는 유산균의 성장과 함께 형성되는 낮은 pH, 유기산, 박테리오신, 이산화탄소, 에탄올, 다이아세틸, 저분자 항균물질, 낮은 환원전위, 영양소고갈 및 우점 등의 우수한 항균조건들을 이용한 프로바이오틱 제제로의 개발가능성이 대두되고 있다(Sanders, M. E. 등, In Biotechnology and Food Ingredient, Van Nostrand Reinhold., 433-459, 1991; 및 Adams, M. R. 등, Food Control ., 8, 227-239, 1997). 또한, 프로바이오틱 제제로서의 유산균을 이용한 발효유 등의 건강식품 또는 가축사료에 첨가되는 보조 생균제 등의 사용량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에는 다음과 같은 특징들이 요구되는데, 구체적으로 장내 우점 경쟁 및 정착성 등과 관련하여 적용하고자 하는 숙주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유리해야 하고, 섭취 후 장내의 소화기관들에서 분비되는 여러 물질들을 견뎌낼 수 있는 내산성 및 내담즙성 등을 나타내어 장내 생존력이 우수해야 하며, 정착(colonization)의 첫단계인 장 부착성(adherence) 뿐 아니라 낮은 pH, 영양소 소비, 전위차 감소, 과산화수소 생산 및 항균물질 생산(예, 박테리오신) 등에 의한 병원성 세균 억제능이 우수해야 하며, 프로바이오틱 제제로 제조되는 동안 온도 및 습도 등의 환경적 스트레스에 강하면서 내산소성 및 저장기간 안정성 등이 우수해야 한다(Salminen, S. 등, In Lactic acid bacteria : Microbiology and functional aspects. Series : Food science and technology, Marcel Dekker Inc., 211-253, 1998).
프로바이오틱 제제의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 효과는 다음과 같은 여러 메카니즘으로 설명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병원균을 사멸시킬 수 있는 저해물질의 생산(Vanderberg, P. A., FEMS Microbiol . Rev ., 12, 221-238, 1993), 정착장소에서 병원균과의 영양소 경쟁(Bernet, M. F. 등, Gut ., 35, 483-489, 1994; Majamaa, H. 등, J. Pediatr . Gastroenterol . Nutr ., 20, 333-338, 1995; 및 Sato, K. 등, Microbiol. Immunol., 32, 1189-1200, 1988), 숙주의 면역증진(Perdigon, M. E. 등, Immunology, 63, 17-23, 1988; Hatcher, G. E. 등, J. Dairy Sci ., 76, 2485-2492, 1993; 및 Paubert, B. 등, Int . J. Immunother ., 11, 153-161, 1995), 및 세균독소 생산 및 활성의 저해(Czerucka, D. 등, Gastroenterol, 106, 65-72, 1994 ; Brandㅳo, R. L. et al., Appl . Environ . Microbiol . 64:564-568, 1998) 등으로 설명할 수 있다.
한편, 인수공통 전염성 세균에는 대표적으로 식중독을 일으키는 살모넬라 속 균(Salmonella spp.), 포도상 구균(Staphylococcus aureus), 장독성 대장균(enterotoxigenic E. coli),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Listeria monocytogenes), 캠필러박터 제주니(Campylobacter jejuni) 및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Clostridium perfringens) 등이 있으며, 이러한 인수공통 전염성 세균의 억제를 위해 지금까지는 주로 항생제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항생제의 사용은 내성 및 잔류 등의 문제로 사용량에 대한 규제가 엄격한데다 장내 유익한 균총 또한 파괴하기 때문에 정상 균총에 의한 병원성 세균 감염에 대한 예방 효과를 잃게 한다. 따라서, 유산균과 같은 유익한 균을 사용하는 프로바이오틱 제제는 병원성 세균들을 저해함과 동시에 여러 가지 문제를 나타내는 항생제 사용량을 낮추며, 인체에 안전하기 때문에 축산물 및 식품 제조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다양한 장내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인체에 유익한 프로바이오틱 제제로 개발 가능한 유산균 균주에 대해 연구한 결과, 락토바실러스 크리스파투스 G19 및 비피도박테리움 보움 R5 균주가 다양한 인수공통 장내 병원성 세균에 대해 항균효과가 뛰어나면서도 내산성 및 내담즙성 등이 우수하며, 이 두 균주를 혼합 사용하였을 때 각 단일 균의 경우보다 더 우수한 치사억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장내 병원성 세균들에 대한 억제 능력이 뛰어나면 서도 내산성 및 내담즙성이 우수한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프로바이오틱 유산균 또는 그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프로바이오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크리스파투스(Lactobacillus crispatus) G19 균주(KCCM 10668P) 및 비피도박테리움 보움(Bifidobacterium boum) R5 균주(KCCM 10669P)를 제공한다.
상기 다른 목적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락토바실러스 크리스파투스 G19 균주, 비피도박테리움 보움 R5 균주, 이 둘의 혼합균주, 또는 이들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상기 두 균주는 라피노스가 함유된 알비 배지(Raffinose-Bifidobacterium; Hartemink, R. 등, J. Microbiol . Methods ., 27, 33-43, 1996)[0.75% D-라피노스, 0.5% 효모추출물, 0.5% 카제인 나트륨염, 1.5% 프로피온산 나트륨, 0.3% 염화리듐, 0.05% 티오글리콜린산 나트륨, 0.05% 시스테인 염산염, 0.4% 염용액(0.2% 황산마그네슘, 0.2% 염화칼슘, 1% 제이인산칼륨, 1% 제일인산칼륨, 10% 탄산수소나트륨, 2% 염화칼슘), 0.2% 프로모크레졸 퍼플 1% 용액]에서 선발된 것으로, 알파-갈락토시다아제 효소활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두과 식물 유래의 라피노스, 스태키오스 및 보파스코스 등의 항영양인자인 라피노스 패밀리 올리고사카라이드를 제거하여 영양소의 흡수를 촉진시키므로 대용유 및 이유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두 균주는 살모넬라 갈리나룸(Salmonella gallinarum), 살모넬라 엔테리티디스(Salmonella enteritidis), 살모넬라 타이피머리움(Salmonella typhimurium), 포도상 구균(Staphylococcus aureus), 장독성 대장균(enterotoxigenic E. coli),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Listeria monocytogenes), 캠필러박터 제주니(Campylobacter jejuni) 및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Clostridium perfringens) 등의 여러 장내 병원성 세균을 억제할 수 있고, 특히 마우스 생체 내에서 살모넬라속 균에 대한 치사억제효과가 우수하며, 월등한 내산성 및 내담즙성을 나타내므로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각각의 균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크리스파투스(Lactobacillus crispatus) G19 균주는 돼지분변으로부터 분리된 통성혐기성 그람양성 간균으로, 서열번호: 5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16S rDNA를 가지며, 락토바실러스 크리스파투스(Lactobacillus crispatus) ATCC 33820과 99%의 상동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3의 덴드로그램의 유연관계를 갖는다. 또한, 크기는 직경 1.2 내지 2.0 ㎛ 범위이고, 엠알에스(MRS, Difco 사) 고체배지 상에서 성장하여 회색의 콜로니를 형성하며, 특히, 돼지소장 상피세포 부착능이 뛰어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락토바실러스 크리스파투스 G19 균주는 3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0℃ 범위의 온도, 및 3.0 내지 11.0,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10 범위의 pH 조건 하에서 성장할 수 있으며, 갈락토스, 글루코스, 프럭토스, 만노스, N-아세틸글루코자민, 에스쿨린, 셀로바이오스, 말토스, 락토스, 수크로스 및 라피노스, 및 β-젠티오바이오스와 같은 당을 이용하여 배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피도박테리움 보움(Bifidobacterium boum) R5 균주는 젖소 제1위 내용물로부터 분리된 절대 혐기성 그람양성 무정형의 간균으로, 서열번호: 6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16S rDNA 염기서열을 가지며, 비피도박테리움 보움(Bifidobacterium boum) JCM 1211과 97% 상동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2의 덴드로그램의 유연관계를 가진다. 또한, 크기는 직경 1.0 내지 1.5 ㎛ 범위이고, 시엠알에스(0.05% 시스테인 염산염이 함유된 엠알에스) 아가배지상에서 혐기적으로 성장하여 흰색의 콜로니를 형성하며, 특히, 내산소성 및 건조열 저항성이 뛰어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비피도박테리움 보움 R5 균주는 3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0℃ 범위의 온도, 및 3.0 내지 11.0,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10 범위의 pH 조건하에서 성장할 수 있으며, 글루코스, 프럭토스, 에스쿨린, 말토스, 멜리바이오스, 수크로스, 라피노스, 아미돈 및 글리코겐과 같은 당을 이용하여 배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락토바실러스 크리스파투스 G19 균주, 비피도박테리움 보움 R5 균주, 이 둘의 혼합균주, 또는 이들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두 미생물의 배양액에는 미생물 이 생산해낸 여러 항균성 유기산 및 비단백질성 항균물질들이 포함되어 있어 프로바이오틱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되었을 때 균주를 포함한 조성물과 동등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유효 성분 외에 통상적인 약학적 담체 및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조성물은 통상적인 프로바이오틱 조성물 제조방법에 따라 열건조 또는 동결-건조하여 생균제 형태로 제조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유효성분이 락토바실러스 크리스파투스 G19 균주, 비피도박테리움 보움 R5 균주 또는 이 둘의 혼합 균주인 경우에는 이를 각각 105 내지 1012 cfu/g, 바람직하게는 107 내지 1011 cfu/g의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고, 유효성분이 락토바실러스 크리스파투스 G19 균주, 비피도박테리움 보움 R5 균주 또는 이 둘의 혼합 균주의 배양액인 경우 이를 각각 106 내지 1012 ㎖/g, 바람직하게는 107 내지 1011 ㎖/g의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장내 병원성 세균억제, 내산성 및 내담즙성 등이 우수한 프로바이오틱 유산균 또는 그 배양액을 포함함으로써 다양한 장내 병원성 세균들의 감염억제 및 치료효과가 우수하고, 세균성 질병 감염을 억제함으로써 세균성 질병을 치료하며, 숙주의 장내 균총을 정상화시킴으로써 세균성 질병을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 부가적으로 정장작용, 지사작용, 소화촉진 및 항암활성을 나타내므로, 장내 병원성 세균 억제제, 살균제, 소화제, 정장제 및 지사제 등의 프로바이오틱 조성물로서 사료, 식품, 화장품 및 의약품 등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의 분리
다양한 장내 병원성 세균을 억제하는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을 선발하기 위해 유아분변, 돼지소장, 돼지분변 및 젖소 제1위 등의 내용물을 수집하여 알비 평판배지에서 도말하였으며, 이를 혐기적으로 배양하여 180주의 유산균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유산균들을 알비 배지상에서 혐기적 혹은 호기적으로 각각 37℃에서 2일 동안 배양하였으며, 그 결과 유산균들 중 배지성분인 카제인 나트륨염을 이용하여 콜로니 주위에 혼탁한 환이 형성되고 혐기적으로만 성장하면서 호기적으로는 성장하지 않는 균주를 비피도박테리움 균주로 선발하고, 콜로니 주위에 혼탁한 환이 형성되지 않고 호기적 혹은 혐기적으로 모두 성장이 되는 균주를 락토바실러스 균주로 선발하였다.
선발된 유산균들을 각각 37℃에서 3일 동안 0.05% 시스테인 염산염이 함유된 엠알에스(MRS, Difco 사) 배지인 시엠알에스 액체배지에서 혐기적으로 배양시킨 후, 얻어진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취하였다. 그 후, 살모넬라 갈리나룸(Salmonella gallinarum), 살모넬라 엔테리티디스(Salmonella enteritidis), 살 모넬라 타이피머리움(Salmonella typhimurium), 장독성 대장균(ETEC; enterotoxigenic E. coli),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Listeria monocytogenes), 캠필러박터 제주니(Campylobacter jejuni) 또는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Clostridium perfringens)가 함유된 아가 평판배지에, 상기 상등액을 각각 살모넬라균의 경우 30 ㎕씩, 그리고 그 외 세균의 경우 100 ㎕씩 페니실린더 튜브(Fisher scientific, 미국, Cat. No. 07-907-5)내로 통과시켜 적하하였으며, 유산균 배양 상등액이 적하된 배지를 37℃에서 12시간 이상 배양시킨 후, 형성된 저해 투명환의 지름(mm)을 측정하였다. 이때, 비교 균주로 장내 병원성 세균 억제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락토바실러스 펜토서스(Lactobacillus pentosus) K34(KCCM 10331), 비피도박테리움 써모필럼(Bifidobacterium thermophilum)(KCCM 19097T) 및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KCCM 11853T)을 사용하였으며, 측정 결과 비교군과 동등하게 병원성 세균 억제능을 나타낸 총 7종의 균주(락토바실러스 균주 B2, G12, G19, S21 및 B47, 및 비피더스 균주 R5 및 R9)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6094526400-pat00001
그 결과,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총 7종의 균주는 비교균주와 비교하여 더 우수하거나 동등한 병원성 세균 억제능을 나타낸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내산성 내담즙성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장내 병원성 세균에 대한 억제능이 검증된 총 7종의 유산균들을 각각 시엠알에스 액체배지 및 0.3% (v/v) 염산 또는 0.3% (w/v) 담즙염(Difco, 미국)을 함유한 시엠알에스 액체배지에 1×108 균수/㎖ 씩 접종하여 37℃에서 6시간 동안 배양한 후, 이를 각각 시엠알에스 아가 평판배지에 도말하여 혐기적으로 배양시켰다. 이때, 비교균주로 발효유 분리균인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GG(입수처: 일동제약), L. 펜토서스 K34, B. 써모필럼 및 B. 롱검을 사용하였으며, 배양된 각 배지의 생균수를 측정한 후 하기 식에 따라 생존율(%)을 계산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생존율(%) = (0.3% 염산 또는 담즙염이 함유된 배지에서의 생균수/무함유 배지에서의 생균수)×100
Figure 112006094526400-pat00002
그 결과, 락토바실러스 균주인 B2 및 G12를 제외한 모든 분리 유산균들이 비교적 우수한 내산성 및 내담즙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락토바실러스 균주의 돼지 소장 상피세포 부착능 확인
상기 실시예 2에서 우수한 내산성 및 내담즙성이 검증된 락토바실러스 균주인 G19, S21 및 B47을 대상으로 하기와 같이 돼지소장 상피세포 부착능을 확인하였으며, 이때 비교 균주로 L. 람노서스 GG, L. 플란타룸(KFCC 11322) 및 L. 펜토서스 K34를 사용하였다.
돼지 도축 직후, 소장 상부의 중간부를 절개하고 절개된 부위에 압력을 가해 내용물을 제거하였으며, 점액질 표면을 0.01 M 인산염 완충 식염수(PBS, pH 7.4)으로 세척하고 조심스럽게 긁어서 점액층(mucus) 부분을 취해 허피스 행크스 완충액(HEPES-Hank's buffer)으로 세척하였다. 얻어진 점액층으로부터 표피세포 및 장관막을 분리하기 위해, 4℃ 및 12,000×g에서 15분간 2번 원심분리한 후, 다시 4℃ 및 27,000×g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점액층을 제거하였으며, 여기에 허피스 행크스 완충액 중에 하이알우로니다아제가 1 mg/㎖로 포함된 효소액(Sigma No. H-3506)을 처리한 후 이를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 다음 멸균된 스푼으로 조심스럽게 긁어서 표피세포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표피세포 용액을 멸균거즈에 여과시켜 덩어리와 부스러기들을 제거하였으며, 표피세포 현탁액을 100×g에서 1분 동안 2회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버리고, 여기에 5 ㎖ 허피스 행크스 완충액을 가하여 120×g에서 10분 동안 2회 원심분리하여 세척하였으며, 마지막으로 15 ㎖ 허피스 행크스 완충액을 가하여 120×g에서 10분 동안 한번 원심분리하여 표피세포를 얻었다.
얻어진 표피세포액(1×104 세포수/㎖) 0.5 ㎖에 상기 각 락토바실러스 균주의 배양액(균수: 1×109 세포수/㎖)을 0.5 ㎖씩 첨가하여 4℃에서 40분간 반응시켰으며, 얻어진 세포 현탁액을 200×g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한 후 허피스 행크스 완충액 1.0 ㎖를 가하는 것을 3번 반복하여 부착되지 않은 유산균들을 제거하였다. 얻어진 세포들을 0.5 ㎖ 허피스 행크스 완충액으로 현탁하여 슬라이드 글라스에 메탄올로 고정시켰으며, 그람염색 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부착된 균수를 측정하였다. 이때, 10개 세포에 부착된 균수를 측정한 후 평균 값으로 부착된 균수를 계산하였다.
Figure 112006094526400-pat00003
그 결과,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돼지 분변에서 분리된 락토바실러스 G19 균주가 가장 우수한 돼지 상피세포 부착능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락토바실러스 균주의 마우스 시험
상기 실시예 2에서 우수한 내산성 및 내담즙성이 검증된 락토바실러스 균주인 G19, S21 및 B47을 대상으로 하기와 같이 마우스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이때 비교균주로 L. 람노서스 GG 및 L. 펜토서스 K34를 사용하였다.
상기 균주들을 통상적인 유산균 산업용 배지(조성: 1% 효모추출물, 1% 포도당, 2% 옥수수액침, 0.2% 제일인산칼륨, 0.1% 황산마그네슘·7가수물 및 0.05% 황산망간·7가수물)를 이용하여 37℃에서 혐기적으로 3일 동안 배양하였으며, 배양된 각 균주를 부형제 탈지강과 혼합한 후 1일 동안 40℃에서 열풍건조를 수행하여 각각의 유산균 건조물을 얻었다.
한편, 통상적으로 사료첨가제 제조에 사용되고 있는 프로바이오틱 제제 제조용 균주인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컴(Clostridium butyricum) M7은 2% 옥수수전분, 1% 효모추출물, 1% 당밀, 0.1% 제일인산칼륨, 0.05% 씨스테인염산염, 0.05% 황산마그네슘·7가수물 및 0.05% 황산아연이 함유된 통상적인 산업배지에서 배양하였으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V35와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Saccharomyces cerevisiae) STV89는 통상적인 산업 배지(조성: 1% 포도당, 0.5% 효모추출물, 1% 옥수수액침 및 0.1% 제일인산칼륨)에서 배양시켰다. 이때,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V35는 37℃에서 2일 동안 진탕 배양,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 STV89는 30℃에서 2일 동안 진탕 배양, 그리고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컴 M7은 37℃에서 혐기적으로 2일 동안 정치 배양을 수행하였다. 배양된 각 균주를 부형제 탈지강과 혼합하여 1일 동안 40℃ 열풍건조하여 각각의 첨가균주 건조물을 얻었다.
3종의 첨가균주 건조물이 각각 1×108 균수/㎖ 이상이 되도록 효모 배양물(yeast culture), 효소제 및 미네랄제 등과 혼합하여 사료첨가제를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사료첨가제에 상기 유산균 건조물을 각각 20 중량%로 포함시켜 각 락토바실러스 균주의 프로바이오틱 제제를 제조하였다.
각 제조된 프로바이오틱 제제를 감마멸균 마우스 분말사료(샘타코, 한국)에 0.3% 농도로 혼합하여 4주된 BALB/c 마우스에 자유 투여하였으며, 7일째 살모넬라 타이피머리움 LT2를 1회만 2.5×106 균수/㎖ (LD50×10)의 농도로 0.85% 식염수에 희석하여 0.3 ㎖를 마우스로 경구 투여로 감염시켰다. 살모넬라 타이피머리움 감염 후 계속적으로 유산균 함유 사료첨가제가 혼합된 마우스 분말사료를 자유 투여하면서 감염 후 21일 동안의 생존율을 측정하여 도 1에 나타내었으며, 감염 21일 후의 생존율 및 감염 후 1주일 동안의 사료섭취량 및 체중증가량을 측정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이때, 대조군인 무투여군(None), 항생제투여군(Anti; 0.05% 항생제 오라퀸독스(orlaquindox)) 및 사료첨가제 단일 투여군(FA; Feed Additive without LAB)도 함께 측정하였다.
Figure 112006094526400-pat00004
그 결과, 대조군들과 비교하여 프로바이오틱 제제 첨가군에서는 마우스 생존율이 12.5% 내지 75%로 높았으며, 특히 G19 균주가 75%의 월등한 마우스 생존율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또한, G19 균주를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 제제 투여군에서는 살모넬라 감염 후 7일 동안의 사료섭취량 및 증체량 또한 우수하게 나타났다.
실시예 5: 비피더스 균주의 내산소성 확인
상기 실시예 2에서 우수한 내산성 및 내담즙성이 검증된 비피더스 균주인 R5 및 R9을 대상으로 하기와 같이 내산소성을 확인하였으며, 이때 비교 균주로 B. 롱검 및 B. 써모필럼을 사용하였다.
시엠알에스 액체배지 10 ㎖에서 상기 각 비피더스 균주를 혐기적으로 2일 동안 배양시킨 후, 얻어진 배양액 300 ㎕씩을 끓는 상태에서 이산화탄소가스로 치환시켜 혐기적 조건으로 제조한 시엠알에스 액체배지 10 ㎖ 또는 솜으로 마개를 만들어 호기적조건으로 제조한 시엠알에스 액체배지 10 ㎖가 함유되어 있는 30 ㎖ 용량의 멸균된 바이알에 각각 접종하여 37℃에서 24시간 동안 정치배양하였다. 각 균주의 세포성장도를 확인하기 위해, 얻어진 배양액을 대상으로 600 nm에서 분광광도계(Shimazu, Japan)로 흡광도를 측정한 후 하기 식에 따라 내산소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내산소성(%) = [호기 성장도(A600)/혐기 성장도(A600)]×100
Figure 112006094526400-pat00005
그 결과,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젖소 제1위에서 분리된 비피더스 균주인 R5가 가장 우수한 내산소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6: 비피더스 균주의 건조열안정성 확인
상기 실시예 5에서 우수한 내산소성이 검증된 R5 균주 및 비교군인 비피도박테리움 써모필럼을 시엠알에스 액체배지 10 ㎖에서 혐기적으로 3일간 배양한 후 이를 통상적인 프로바이오틱 제제의 생산조건과 동일하게 부형제 탈지강과 혼합시켰다. 이렇게 얻어진 균주 시료 중 1 g씩을 취하고, 나머지를 40℃ 열풍으로 1일 동안 건조한 후 건조된 시료 중 1 g씩을 취하여 각각 다음의 통상적인 훈게이트 방법(Hungate, R. E., Methods in Microbiology, Academic Press Inc., New York, Vol 3B, p 117-132, 1969)으로 건조전 또는 건조후 시료 내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시료 1 g을 혐기희석액(0.2% 효모추출물, 0.2% 제이인산칼륨, 0.05% 씨스테인염산염)으로 연속희석한 후 각 희석액 0.1 ㎖씩을 60℃의 응고전 상태인 2% 아가(agar)가 함유된 알비 또는 시엠알에스 배지 10 ㎖에 주사하였다. 이를 찬물이 담겨있는 35×35 cm 사각형 용기에 넣은 후 손으로 굴려서 굳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혐기적으로 2일간 배양하여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각 균주의 측정된 건조전 생균수 및 건조후 생균수를 근거로 하기 식에 따라 생존율(%)을 계산하여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생존율(%) = (건조 후 생균수/건조 전 생균수)×100
Figure 112006094526400-pat00006
그 결과,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R5 균주의 생균율이 비교 균주인 비피도박테리움 써모필럼보다 높게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으며, 따라서 우수한 건조열안정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실시예 7: 비피더스 균주의 마우스시험
상기 실시예 5 및 6에서 우수한 내산소성 및 건조열안정성이 검증된 R5 균주, 및 비교 균주인 비피도박테리움 써모필럼 및 비피도박테리움 롱검을 시엠알에스 액체배지를 이용하여 37℃에서 3일 정도 혐기적으로 배양하여 얻어진 배양액 10 ㎖씩을 4,000 rpm에서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제거하고 균체만 회수하였다. 얻어진 균체를 1×1010 세포수/㎖ 농도로 생리식염수(0.85% NaCl)에 재현탁하여 4주령 마우스에 매일 1회씩 0.3 ㎖를 경구 투여하였으며, 7일째에 감염성이 높은 살모넬라 타이피머리움 LT2(S. typhimurium LT2 NCIMB 10248) 균을 LD50×10의 농도로 식염수에 희석하여 0.3 ㎖를 단일 경구 투여하여 감염시켰다. 감염 이후, 계속적으로 비피더스 유산균 세포의 식염수 현탁액을 매일 1회씩 경구 투여하면서 감염 후 21일 동안의 생존율을 측정하여 도 2에 나타내었으며, 감염 21일 후 생존율 및 감염 후 7일 동안의 사료섭취량 및 체중증가량을 측정하여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이때, 대조군으로 무투여군(None)도 함께 측정하였다.
Figure 112006094526400-pat00007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살모넬라 감염 후 7일째부터 대조군 및 비교군에서 마우스의 치사율이 급격히 증가한 반면, R5 균주는 살모넬라 경구투여 후 10일째부터 21일 시험 종료 시기까지 생존율 62.5%로 대조군 및 비교군에 비해 월등하여 우수한 마우스 치사억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염 후 7일 동안의 사료 섭취량 및 증체량도 본 발명의 R5균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8: 복합 유산균주에 대한 마우스시험
상기 실시예 4 및 실시예 7의 마우스시험에서 우수한 치사억제 효과를 나타낸 락토바실러스균주인 G19 및 비피도박테리움 균주인 R5의 균주의 혼합 유산균 균주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마우스시험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6094526400-pat00008
그 결과, 상기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합 균주의 생존율(87.5%)이 유산균이 첨가되지 않은 사료첨가제 단일 투여군의 생존율(11.0%)은 물론 G19 균주 투여군의 생존율(75.0%)보다도 더 우수함을 확인하였으며, 일주일 간의 총사료섭취량 및 주간 체중증가량도 G19 균주 투여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살모넬라 티피머리움(S. typhimurium) 도입시험(Timmerman 등, Int . J. Food Microbiol ., 96, 219-233, 2004)에서 유산균 복합종(multispecies)의 사용이 단일균을 사용한 경우보다 더 우수한 마우스 생존율을 나타냄을 확인한 것과 유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크리스파투스 G19 및 비피도박테리움 보움 R5는 각각의 단일균을 사용하였을때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낼 뿐 아니라 함께 사용하였을 때에도 상승적인 병원균 감염치사 억제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9: 본 발명의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의 동정
조사된 유산균 중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으로 가장 우수하다고 판단된 락토바실러스 G19 및 비피도박테리움 R5 균주를 동정하기 위해, 이들의 16S rDNA 염기서열 분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선발된 균주를 0.05% 시스테인이 함유된 엠알에스 평판배지에서 혐기적으로 배양한 후, 생성된 각 단일 콜로니(colony)를 취하여 아큐프렙 게놈 DNA 추출 킷트(AccuPrep Genomic DNA Extraction kit, BIONEER사)로 게놈 DNA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게놈 DNA를 전기영동을 통해 확인한 후, 이를 주형으로, 그리고 서열번호: 1 및 2의 프라이머(primer) 쌍을 사용하여 중합효소 연쇄반응(PCR)을 수행하였다. 이때, PCR은 GeneAmp PCR System 2700을 사용하여 95℃에서 30초(변성), 55℃에서 1분(어닐링) 및 72℃에서 1분(신장) 조건으로 35회 수행하였으며, 얻어진 PCR 산물을 전기영동하여 약 1,500 bp 크기의 16S rDNA가 증폭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증폭된 16S rDNA를 아큐프렙 PCR 정제 킷트(AccuPrep PCR Purification kit, BIONEER)로 정제한 후, 전자동 DNA 염기서열 분석기(Automated DNA Sequencer, ABI 3100, Applied Biosystem)를 이용하여 서열을 분석하였다. 이때, 서열 분석을 위한 프라이머로는 서열번호: 1 내지 4의 프라이머들을 사용하였다. 이로부터 분석된 염기서열을 클러스탈 X 소프트웨어(Clustal X software)를 사용하여 조합한 후 NCBI(Th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http://www.ncbi.nlm.nih)에서 제공하는 어드밴스드 블라스트 서치(Advanced Blast search, Altschul et al., Nucleic Acids Research 25: 3389-3402, 1997)를 이용하여 유전자은행(Genbank)의 염기서열과 비교하였으며, 이웃-연접 분석(neighbor-joining analysis)을 통해 최종적으로 덴드로그램(dendrogram)을 작성하여 도 3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락토바실러스 G19 균주는 서열번호: 5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16S rDNA를 가지며, 락토바실러스 크리스파투스(Lactobacillus crispatus) ATCC 33820과 99%의 상동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3의 덴드로그램의 유연관계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비피도박테리움 R5균주는 서열번호: 6의 염기서열로 표시되는 16S rDNA 염기서열을 가지며, 비피도박테리움 보움(Bifidobacterium boum) JCM 1211과 97% 상동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4의 덴드로그램의 유연관계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이에, 상기 균주들을 각각 락토바실러스 크리스파투스(Lactobacillus crispatus) G19 및 비피도박테리움 보움(Bifidobacterium boum) R5로 명명하고, 한국미생물보존센타(KCCM)에 2005년 8월 9일자로 각각 KCCM 10668P 및 KCCM 10669P의 기탁번호로 기탁하였다.
실시예 10: 탄소원 이용성 측정
상기 실시예 9에서 동정된 락토바실러스 크리스파투스 G19 및 비피도박테리움 보움 R5 균주를 0.05% 시스테인이 함유된 엠알에스 평판배지에 접종하고, 이를 37℃에서 48시간 동안 혐기적으로 배양한 후, 형성된 콜로니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상기 두 균주 모두 그람양성 간균으로 직경 0.5 내지 4 ㎜ 크기의 원형의 집락을 이룸을 확인하였으며, 락토바실러스 크리스파투스 G19는 회색의 콜로니를, 그리고 비피도박테리움 보움 R5는 흰색의 콜로니를 형성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균주들은 30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40℃ 범위의 온도, 및 3.0 내지 11.0, 바람직하게는 6 내지 8 범위의 pH 조건에서 최적의 배양 상태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상기 균주의 생화학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락토바실러스 크리스파투스 G19 및 비피도박테리움 보움 R5 균주의 탄소원 이용성을 하기와 같이 조사하였다.
0.05% 시스테인이 함유된 엠알에스 한천 배지에 상기 각 균주를 접종하여 37℃에서 2일 동안 혐기적으로 배양한 후, 형성된 콜로니를 각각 5 ㎖의 0.85% NaCl 식염수에 고농도로 현탁하였다. 이를 5 ㎖의 0.85% NaCl 생리식염수에 McF(McFarland standard, BioMerieux) 탁도 2가 되도록 예비적으로 현탁하여 확인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유산균 동정 키트인 API 50 CHL 키트(BioMerieux사) 내에 포함되어 있는 배지인 0.05% 시스테인이 함유된 CHL 배지[1% 폴리펩톤, 0.5% 효모 추출물, 0.1% 트윈 80, 0.2% 제2인산칼륨, 0.5% 아세트산나트륨, 0.2% 시트르산이암모늄(diammonium citrate), 0.02% MgSO4ㆍ7H2O, 0.005% MnSO4ㆍ4H2O, 0.017% 브로모크레졸 퍼플] 10 ㎖에 McF 탁도 2가 되도록 현탁한 후 얻어진 현탁액을 접종하였다. 각 균주가 접종된 CHL 배지를 CH50 스트립(20 strips)의 각 웰에 140 ㎕씩 분주한 후 미네랄 오일(mineral oil)을 각 웰의 눈금이 볼록해질 때까지 분주하였다. 이를 37℃에서 혐기적으로 배양하면서 24 및 48시간 째에 배지내에 함유된 페놀프탈레인(phenolphthalein) 지시약의 색변화를 관찰하여 당 이용성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9(G19) 및 10(R5)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6094526400-pat00009
Figure 112006094526400-pat00010
그 결과,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크리스파투스 G19 균주는 갈락토스, D-글루코스, D-프럭토스, D-만노스, N-아세틸-글루코사민, 에스쿨린, 셀로바이오스, 말토스, 락토스, 수크로스, 라피노스 및 β-젠티오바이오스에 대해 양성반응을 나타내었으며, 표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피도박테리움 보움 R5 균주는 글루코스, 프럭토스, 에스쿨린, 말토스, 멜리바이오스, 수크로스, 라피노스, 아미돈 및 글라이코겐에 대해 양성반응을 나타내었다.
제조예 1: 프로바이오틱 조성물(사료첨가용 생균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크리스파투스 G19, 비피도박테리움 보움 R5 균주 또는 이들의 혼합 균주를 각각 2.0% 글루코스, 1.0% 펩톤, 1.0% 효모추출물, 0.2% 제이인산, 0.05% 황산마그네슘 및 0.05% 시스테인이 함유된 배지에 접종하여 37℃에서 3일 동안 혐기적으로 배양하였다. 각 균주의 배양액과 부형제 탈지강을 1:1의 중량비로 단순 혼합한 후 40℃ 이하에서 건조시켰으며, 건조된 혼합물을 분쇄하여 사료첨가용 생균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제조된 생균 조성물은 각 균주가 1×108 cfu/g 이상으로 포함되도록 하였다.
제조예 2: 프로바이오틱 조성물(사료첨가용 생균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크리스파투스 G19, 비피도박테리움 보움 R5 균주 또는 이들의 혼합 균주를 각각 2.0% 글루코스, 1.0% 펩톤, 1.0% 효모추출물, 0.2% 제이인산, 0.05% 황산마그네슘 및 0.05% 시스테인이 함유된 배지에 접종하여 37℃에서 3일 동안 혐기적으로 배양하였다. 탈지강, 대두박, 옥분 및 당밀이 각각 3:1:1:1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들어 있는 고체배양기에 상기 각 균주의 배양액을 10 중량%로 접종한 후, 여기에 물을 45 내지 60 중량%로 첨가하였다. 이를 40℃에서 3일 동안 교반시키면서 혐기적으로 고체발효를 수행하여 사료첨가용 생균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이때 제조된 생균 조성물은 각 균주가 1×107 cfu/g 이상으로 포함되도록 하였다.
제조예 3: 프로바이오틱 조성물( 건강기능성식품용 생균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크리스파투스 G19, 비피도박테리움 보움 R5균주 또는 이들의 혼합 균주를 각각 2.0% 글루코스, 1.0% 펩톤, 1.0% 효모추출물, 0.2% 제이인산 및 0.05% 황산마그네슘, 0.05% 시스테인 등이 함유된 배지에 접종하여 37℃에서 3일간 혐기적으로 배양하였다. 분유 또는 탈지유(skim milk) 및 전분 또는 유당을 1:1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에 상기 배양액을 60 중량%로 첨가한 후, 이를 -70℃ 이하에서 급속냉동시킨 후, -60℃에서 36시간 동안 동결 건조시켜 건강기능성기품용 생균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동결건조시 수분 증발 효율을 높이기 위한 열판의 온도는 30℃로 하였으며, 제조된 생균 조성물은 각 균주가 1×1010 cfu/g 이상으로 포함되도록 하였다.
제조예 4: 프로바이오틱 조성물( 대용유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크리스파투스 G19, 비피도박테리움 보움 R5 균주 또는 이들의 혼합 균주를 각각 2.0% 글루코스, 1.0% 펩톤, 1.0% 효모추출물, 0.2% 제이인산, 0.05% 황산마그네슘 및 0.05% 시스테인이 함유된 배지에 접종하여 37℃에서 2일간 혐기적으로 배양하였다. 통상적인 수세, 분쇄, 여과 및 멸균 공정을 거친 대두유에 얻어진 각 균주 배양액을 1 중량%로 접종한 후, 이를 37℃에서 2일 동안 배양시켜 대용유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이때 제조된 조성물은 각 균주가 1×107 cfu/g 이상으로 포함되도록 하였다.
제조예 5: 프로바이오틱 조성물(약학 조성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 2 및 3에서 얻어진 생균 조성물 분말을 각각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정제, 환제 및 캡슐제로 성형하여 약학 조성물로 제조하였으며, 이때 제조된 조성물은 각 균주가 1×107 cfu/g 이상으로 포함되도록 하였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크리스파투스(Lactobacillus crispatus) G19 균주 및 비피도박테리움 보움(Bifidobacterium boum) R5 균주는 다양한 병원성 세균에 대해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냄을 물론 내산성 및 내담즙성 등이 우수하고, 락토바실러스 크리스파투스 G19의 경우 우수한 장상피세포 부착능을, 그리고 비피도박테리움 보움 R5의 경우 내산소성 및 건조 열 에 대한 우수한 안정성을 나타내므로, 장내 병원성 세균 억제제, 살균제, 소화제, 정장제 및 지사제 등의 프로바이오틱 조성물로 제조하여 사료, 식품, 화장품 및 의약품 등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서열목록 전자파일 첨부

Claims (8)

  1. 장내 병원성 세균 억제능을 갖는 비피도박테리움 보움(Bifidobacterium boum) R5 유산균(기탁번호: KCCM 10669P).
  2. 제 1 항에 있어서,
    장내 병원성 세균이 살모넬라 갈리나룸(Salmonella gallinarum), 살모넬라 엔테리티디스(Salmonella enteritidis), 살모넬라 타이피머리움(Salmonella typhimurium), 포도상 구균(Staphylococcus aureus), 장독성 대장균(enterotoxigenic E. coli),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Listeria monocytogenes), 캠필러박터 제주니(Campylobacter jejuni),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Clostridium perfringens)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
  3. 제 1 항의 유산균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살모넬라 갈리나룸(Salmonella gallinarum), 살모넬라 엔테리티디스(Salmonella enteritidis), 살모넬라 타이피머리움(Salmonella typhimurium), 포도상 구 균(Staphylococcus aureus), 장독성 대장균(enterotoxigenic E. coli),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Listeria monocytogenes), 캠필러박터 제주니(Campylobacter jejuni),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Clostridium perfringens)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장내 병원성 세균의 감염증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용도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바이오틱 조성물.
  5. 제 3 항에 있어서,
    약학적 담체 및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바이오틱 조성물.
  6. 제 3 항에 있어서,
    사료용 또는 식품용 첨가제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바이오틱 조성물.
  7. 제 3 항에 있어서,
    열건조 또는 동결-건조하여 생균제 형태로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바이오틱 조성물.
  8. 제 3 항에 있어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유효성분으로서 비피도박테리움 보움 R5 균주를 105 내지 1012 cfu/g의 함량으로 포함하거나, 이의 배양액을 106 내지 1012 ㎖/g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바이오틱 조성물.
KR1020060130968A 2006-12-20 2006-12-20 프로바이오틱 비피도박테리움 보움 r5 균주 및 이를포함하는 조성물 KR100720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0968A KR100720024B1 (ko) 2006-12-20 2006-12-20 프로바이오틱 비피도박테리움 보움 r5 균주 및 이를포함하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0968A KR100720024B1 (ko) 2006-12-20 2006-12-20 프로바이오틱 비피도박테리움 보움 r5 균주 및 이를포함하는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9669A Division KR100720025B1 (ko) 2005-09-27 2005-09-27 프로바이오틱 유산균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5463A KR20070035463A (ko) 2007-03-30
KR100720024B1 true KR100720024B1 (ko) 2007-05-18

Family

ID=41634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0968A KR100720024B1 (ko) 2006-12-20 2006-12-20 프로바이오틱 비피도박테리움 보움 r5 균주 및 이를포함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002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6911A (en) 1988-08-05 1993-01-05 Universita Cattolica Del Sacro Cuor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selected lactobacillus strains
KR20000007167A (ko) * 1998-07-01 2000-02-07 김정완 비피도박테리움 론검 mk-g7 비피더스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030010633A (ko) * 2000-05-25 2003-02-05 소시에떼 데 프로듀이 네슬레 소시에떼아노님 애완동물 사료용 신규 프로바이오틱
KR20030058497A (ko) * 2001-12-31 2003-07-07 학교법인 인하학원 락토바실러스 크리스파투스 균주를 저온 처리하여생균력을 증진시키는 방법
KR20040063909A (ko) * 2001-10-16 2004-07-14 맥네일-피피씨, 인코포레이티드 구강, 비강 또는 질강에 항박테리아성, 항진균성, 및항바이러스성 연고를 전달하는 조성물과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6911A (en) 1988-08-05 1993-01-05 Universita Cattolica Del Sacro Cuor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selected lactobacillus strains
KR20000007167A (ko) * 1998-07-01 2000-02-07 김정완 비피도박테리움 론검 mk-g7 비피더스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030010633A (ko) * 2000-05-25 2003-02-05 소시에떼 데 프로듀이 네슬레 소시에떼아노님 애완동물 사료용 신규 프로바이오틱
KR20040063909A (ko) * 2001-10-16 2004-07-14 맥네일-피피씨, 인코포레이티드 구강, 비강 또는 질강에 항박테리아성, 항진균성, 및항바이러스성 연고를 전달하는 조성물과 방법
KR20030058497A (ko) * 2001-12-31 2003-07-07 학교법인 인하학원 락토바실러스 크리스파투스 균주를 저온 처리하여생균력을 증진시키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5463A (ko) 2007-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4606B2 (en) Acid tolerant Lactobacillus sakei probio-65 with the ability of growth suppression of pathogenic microorganisms and the anti-allergic effect
AU686389B2 (en) Lactobacillus strains of human origin, their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US7186545B2 (en) Probiotic strains from Lactobacillus salivarius and antimicrobial agents obtained therefrom
KR101108428B1 (ko) 인간의 모유에서 분리한 프로바이오틱 활성 및 체중 증가억제 효과를 갖는 유산균
El-Naggar Comparative study of probiotic cultures to control the growth of Escherichia coli O157: H7 and Salmonella typhimurium
EP1840205B1 (en) Bifidobacterium lactis 668 strain used as a component for food products, starters, medicinal and cosmetic agents
KR20080109585A (ko) 내산성, 내담즙산성, 내염성 및 항균 효과를 가진 신규한식물성 유산균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80014316A (ko) 다양한 생리활성과 열 안정성이 우수한 프로바이오틱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pl9119
Mansour et al. Inhibition of Clostridium difficile in mice using a mixture of potential probiotic strains Enterococcus faecalis NM815, E. faecalis NM915, and E. faecium NM1015: novel candidates to control C. difficile infection (CDI)
KR102251295B1 (ko)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v133 균주의 사균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Tinrat et al. In vitro assessment of Enterococcus faecalis MTC 1032 as the potential probiotic in food supplements
KR101098946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사료첨가제 조성물
KR100574527B1 (ko) 면역활성이 높고 항암효과 및 유해 미생물 증식 억제활성이 뛰어난 신규 내산성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Probio-44
KR100720025B1 (ko) 프로바이오틱 유산균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0736517B1 (ko) 장내 유해세균 억제능을 갖는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아이디씨씨 9203
KR100557397B1 (ko) 유해미생물 억제 활성을 가지는 신규 내산성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Probio-054 및 이를 함유하는 생균활성제
KR100240687B1 (ko)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ky 2104 및 그 용도
JP4457364B2 (ja) 新規な乳酸菌及び当該乳酸菌を使用して加工した各種製品
Arıcı et al. Some technolog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hardaliye
KR100523256B1 (ko) 결장 암 세포 및 유해 미생물 증식 억제 활성과 장내정착력이 뛰어난 신규 내산성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Probio-40
KR20050041808A (ko) 항암효과 및 항균활성이 뛰어난 신규 유산균 류코노스톡시트리움 km20
Lavanya et al.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robiotic bacteria from the soil samples of the coastal areas of (Gudur division, Nellore Dt.) for utilization in Shrimp farming
KR100720024B1 (ko) 프로바이오틱 비피도박테리움 보움 r5 균주 및 이를포함하는 조성물
KR100513167B1 (ko) 가금티푸스 유발 살모넬라 갈리나룸 및 유해 병원성 미생물 생육 억제능을 갖는 신규 내산성 엔테로코커스 훼칼리스 Probio-053 및 이를 함유한 생균활성제
EP0949330A2 (en) Lactobacilli strains having inhibitory and/or microbicidal activity against pathogenic microorganisms and a method for inducing and keeping said activity in lactobacilli cul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