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6517B1 - 장내 유해세균 억제능을 갖는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아이디씨씨 9203 - Google Patents

장내 유해세균 억제능을 갖는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아이디씨씨 9203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6517B1
KR100736517B1 KR1020060047726A KR20060047726A KR100736517B1 KR 100736517 B1 KR100736517 B1 KR 100736517B1 KR 1020060047726 A KR1020060047726 A KR 1020060047726A KR 20060047726 A KR20060047726 A KR 20060047726A KR 100736517 B1 KR100736517 B1 KR 100736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cc
lactobacillus
bacteria
strain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7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용
강병화
권혁상
양은희
이승훈
Original Assignee
일동제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동제약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일동제약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7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65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2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A23C9/123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using only microorganisms of the genus lactobacteriaceae; Yoghur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51Johnsonii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i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내 유해세균 생육 억제능과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갖는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IDCC 9203(Lactobacillus johnsonii IDCC 9203)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내 정착성이 우수하여 유해세균을 억제시킴으로써, 장내균총을 정상화하는데 기여하는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IDCC 9203의 분리 및 동정, 생산 그리고 동물실험에서의 정착성, 유해세균 억제능 및 안전성에 관한 것이다.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IDCC 9203, 프로바이오틱스, 장 정착성, 항균작용

Description

장내 유해세균 억제능을 갖는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아이디씨씨 9203{Lactobacillus johnsonii IDCC 9203 having antibacterial activity}
도 1은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IDCC 9203의 살모넬라 및 대장균 억제능을 나타내는 그래프, ○는 일반수를 투여할 때, ●는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IDCC 9203을 투여할 때, ■는 락토바실루스 람노수스 GG를 투여할 때,
도 2는 본 발명의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IDCC 9203의 스트렙토코커스 억제능을 나타내는 그래프, ○는 일반수를 투여할 때, ●는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IDCC 9203을 투여할 때, ■는 락토바실루스 람노수스 GG를 투여할 때,
도 3은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IDCC 9203의 클로스트리듐 및 대장균 억제능을 나타내는 그래프, ○는 일반수를 투여할 때, ●는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IDCC 9203을 투여할 때, ■는 락토바실루스 람노수스 GG를 투여할 때,
도 4는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IDCC 9203의 장 정착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는 일
반수를 투여할 때, ●는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IDCC 9203을 투여할 때, ■는 락토바실루스 람노수스 GG를 투여할 때, 분변에서 검출된 각각의 락토바실루스속 유산균이며,
도 5는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IDCC 9203의 37℃ 가속경시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장내 유해세균 증식을 억제하는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IDCC 9203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IDCC 9203 분리, 동정, 생산 및 동물실험에서의 장 정착성과 유해세균 억제능 그리고 안전성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장내에는 100 여종 이상의 미생물들이 균형을 유지하며, 서식하고 있다. 장내 균총을 이루고 있는 미생물에는 인체내에 유익한 작용을 하는 미생물군과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부패균, 병원성 균등이 있다(Mitsuoka, T. 1982. Recent trends in research on intestinal flora. Bifidobacteria Microflora 1: 3-24).
락토바실루스는 장내의 대표적인 유산균으로서 부패균의 증식 억제, 발암 억제, 콜 레스테롤 감소 등의 역할을 한다(Reid, G., A. W. Bruce, J. A. McGroarty, K. J. Cheng, and J. W. Costerton. 1990. Is there a role of lactobacilli in prevention of urogenital and intestinal infections. Clin. Microbiol. Rev. 3: 335-344).
장내 미생물들간의 균형은 숙주의 건강상태, 식이성분, 식이습관, 연령, 항생물질 투여, 감염 및 질병, 스트레스 등에 의하여 변한다(Mitsuoka, T. 1978. Intestinal bacteria and health. Harcourt Brace Jovanovich. Tokyo).
메치니코프는 처음으로 장내미생물간의 균형 유지 및 개선에 대한 유산균 투여 효과를 주장하였다(Metchnikoff, E. 1908. The prolongation of life. 1st. ed. G. P.Putnam`s Sons. New York). 그는 유산균을 투여함으로써 장내 유해균과 독소의 생성을 억제하여, 건강을 유지하고 장수할 수 있다고 하였다. 그후로 서구인들과 일본인들에게 락토바실루스가 함유된 발효유를 투여하였을 때, 장내 유산균수의 증가, 부패균의 성장 억제, 발암효소의 억제, 설사 치료, 감염 예방, 면역력 증강 등의 임상효능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Philippe, M. P., Pochart, B. Flouri, P. Pellier, L. Santos, J-F. Desjeux, and J-C. Rambaud. 1990. Effect of chronic ingestion of fermented dairy products containing Lactobacillus acidophilus and Bifidobacterium bifidum on metabolic activities of the colonic flora in humans. Am. J. Clin. Nutr. 52: 685-688).
유산균의 대표적인 한 종류인 락토바실루스 속에 속하는 유산균들은 발효유 종균 및 정장제로써 많이 이용되고 있기 때문에 이 속의 길항작용에 대해서는 일찍부터 관심의 대상이 되어왔다. 특히 이 균주는 프로바이오틱 균주의 중요한 특성 중 하나인 항균작용을 나타내는 박테리오신이라는 물질을 생산하며, 대장균과 살모넬라 뿐만 아니라, 식중독을 유발시키는 클로스트리듐을 억제하는 능력이 있다는 많은 보고가 있다(Gilliland, S. E. and M. L. Speck. 1977. Antagonistic action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toward intestinal and foodborne pathogens in associative cultures. J. Food Protec. 40: 820-823).
최근에는 위궤양을 유발시키는 원인균인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감염을 막는 역할을 하는 사실이 보고되었다. 이 가운데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균주가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생육을 억제하고 위점막 손상을 회복시키는데 가장 효과적이었다고 보고하였다(Sylvia, C., M. C. Obregon, G. Salazar, E. Diaz, and M. Gotterland. 2003. Effect of the ingestion of a dietary product containing Lactobacillus johnsonii La1 on Helicobacter pylori colonization in children. Nutrition. 19: 716-721).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의 개시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 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생체내에서 우수한 항균력 및 장 정착성을 갖는 신규한 균주를 개발하고자 노력한 결과, 유아 분변으로부터 장내 유해세균을 탁월하게 억제하는 신규한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IDCC 9203을 분리 동정하고, 생체 내적인 환경에서 장 정착성, 유해세균 억제능, 안전성을 밝히고, 생산 조건을 확립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항균력을 갖는 신규 프로바이오틱 균주인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IDCC 9203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IDCC 9203의 생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생체내에서의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IDCC 9203의 효능평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장내 유해세균 억제능이 우수한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산성 및 내담즙산성이 우수한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정장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IDCC 9203 또는 상기 균주의 배양여액을 포함하는 건강 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IDCC 9203을 유제품 제조의 종균으로 사용하여 제조된 식품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인간 유래의 내산성 및 내담즙산성이 우수한 균주를 제공한다. 상기 균주는 유산균으로 락토바실루스 속 균주가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균주가 락토바실루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루스 가쎄 리(Lactobacillus gasseri)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IDCC 9203이다.
상기 균주 중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IDCC 9203은 한국미생물 보존센터에 국제기탁하여 기탁번호를 부여받았다. 국제기탁번호는 KCTC 10923BP 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장내 유해세균 억제제를 제공한다. 또한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IDCC 9203은 배양여액에서도 억제효과를 나타내므로,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IDCC9203 배양여액 역시 장내 유해세균 억제제로 사용할 수 있다.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IDCC 9203은 우수한 프로바이오틱 특성을 가지므로, 생체내에서 안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생균, 건조균, 또는 사균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으로는 내산성, 내담즙산성, 내항생제성, 엽산등의 비타민 생성능, 장내 유해세균 억제능 및 면역력 향상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장내 유해세균 억제제는 경구형으로 조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단일제 또는 복합제제로 제조할 수 있으며, 복합제일 경우 약리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더욱 포함시켜 제조한다. 또한 제제에 포함되는 균주는 제조하는 제형에 따라 함량비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IDCC 9203의 배양여액은 통상적인 배양배지 상에서 배양한 배양물을 여과 또는 원심분리하여 균체를 제거한 여액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GYPB 액체배지에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IDCC 9203을 접종하고, 37℃에서 16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원심분리로 분리한 상등액이다.
따라서,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IDCC 9203은 식품, 식품 첨가물, 정장제, 동물사료, 동물사료 첨가제, 화장품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생균, 사균, 건조균 또는 배양여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식품으로는 건강식품, 요구르트, 이유식, 치즈, 유제품, 김치, 각종 음료 등 모든 식품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한 것은 건강식품이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IDCC 9203을 포함하는 약제의 경우 액형, 분말형, 고체형, 캡슐형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고체형으로 제조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IDCC 9203에서 생성되는 유해세균 성장 억제물질을 제공한다. 상기 유해세균 성장 억제물질은 혐기성 세균, 여드름 유발균, 또는 식중독 유발균의 성장을 저해하는 물질로, 상기 균주를 배양하였을때, 배양여액에서 수득되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유산균의 분리
본 발명자들은 장 정착성 및 유해세균 억제능을 갖는 우수 유산균을 분리하기 위해 일동 유산균 은행에 보관 중인 920 주를 대상으로 내산성과 내담즙산성을 갖는 균주를 분리하였다. 구체적으로 유산균 분리용 분석배지는 0.3% 담즙산을 포함하는 MRS 아가배지(pH 3.0)를 사용하여 내산성과 내담즙산성을 갖는 균주를 분리하였다.
37℃에서 48 시간 혐기배양한 결과, 가급적 집락의 모양과 크기가 다른 집락을 분리하여 20 주를 1 차 선별하였다. 이때 선별 기준은 인체 유래의 유산간균으로 성인보다는 유아분변에서 분리한 유산균을 우선대상으로 하였다. 분리한 균주들은 40% 글리세롤 용액에 MRS 액체배양물을 1 : 1로 혼합한 후, -70℃에서 보관하였다.
1 차 선별된 20 주의 유산균 중 내산성 및 내담즙산성이 가장 우수한 균주를 선별하기 위해, 내산성은 MRS 배지를 10% HCl과 10% NaOH로 pH를 7.0, 2.5, 2.3으로 보정한 다음 멸균하여 사용하였으며, 활성화된 균액(OD660nm=1)을 10% 접종하여, 0 시간, 1 시간, 2 시간동안 반응시킨 후, 생균수 분석을 하였다. 내담즙산성의 영향은 담즙산 0.3%가 첨가되지 않은 배지와 첨가된 배지를 멸균하여 사용하였으며, 각각의 배지에 활성화된 균액(OD600nm=1)을 10% 접종하고 5 시간 동안 반응시켜 생균수 분석을 하였으며, 대조군으로는 락토바실루스 람노수스 GG를 사용하였다.
[표 1] 내산성
pH 유산균 pH 2.3 (× 109 CFU/㎖) pH 2.5 (× 109 CFU/㎖)
0 시간 1 시간 2 시간 0 시간 1 시간 2 시간
Lb . rhamnosus GG 3.5 2.1 1.9 3.5 2.3 2.0
IDCC 9203 4.2 3.2 2.8 4.2 3.2 3.0
1 차 선별된 20 주의 유산균들 중에서, 내산성 및 내담즙산성이 대조군으로 사용한 락토바실루스 람노수스 GG에 비해 오차범위 내에서 동등하거나 우수한 결과를 보인 유산균은 IDCC 9203 균주였다. 특히, 이 균주는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pH 2.3 와 2.5 에서 1 시간 처리시 IDCC 9203 균주의 생존율이 대조군인 락토바실루스 람노수스 GG에 비해 각각 16%, 11% 높았으며, 2 시간 처리시 각각 13%, 14% 높았다.
[표 2] 내담즙산성
Bile 첨가여부 유산균 Control 0.3% bile 비첨가 (× 109 CFU/㎖) 0.3% bile 첨가 (× 109 CFU/㎖)
Lb . rhamnosus GG 5.7 1.8
IDCC 9203 8.9 2.5
내담즙산성 비교에서는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0.3% 답즙산을 첨가하여 5 시간 배양할 경우, 첨가하지 않은 군에 대비하여 대조군인 락토바실루스 람노수스 GG와 실험군인 IDCC 9203 균주가 각각 31%, 28%의 생존율을 보였다. 두 균 주 모두 담즙산에 대한 저항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두 균주간의 차이는 거의 없을 정도로 대등하였다.
실시예 2: 항균작용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에서 1 차 선별된 20 주의 유산균이 가진 항균력을 측정한 실험으로 대조군으로 락토바실루스 람노수스 GG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1) 실험균주 준비
1 차 선별된 20 주의 유산균과 대조군인 락토바실루스 람노수스 GG를 배양하여 10,000 rpm, 10 분간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회수하여 10 배 농축하였다. 농축된 샘플의 10% 희석농도를 초기 농도로 하여, 1/2 희석을 다단계로 하였다.
(2) 평판배지 준비
각각의 농도로 희석된 샘플들을 미리 준비한 Mueller Hinton 아가(10% sheep blood 포함)배지와 혼합하여 각 샘플 농도별 평판배지를 만들었다.
(3) 최소 저지 농도 (MIC)
피검균으로 그람 양성 세균 10종과 그람 음성 세균 8 종을 사용하였으며, 37℃배양기에서 24 시간 배양한 후, 각 농도에서의 피검균 생장 여부를 관찰하였다.
20 주의 유산균들 중에 IDCC 9203 균주만이 대조군인 락토바실루스 람노수스 GG 와 같이 비교 평가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역가를 나타내었다.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IDCC 9203 균주의 항균력이 3 개 피검균에서 우수했으며, 락토바실루스 람노수스 GG의 항균력은 2 개의 피검균에서 IDCC 9203 균주보다 우수했다. 그 외의 14 개 피검균에서는 동등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표 3] 항균력
시험균명 최소발육저지 농도(MIC %)
Lb . rhamnosus GG IDCC 9203
1. S. aureus Met R 1.25 2.50
2. S. aureus Met S 2.50 2.50
3. Coagulans negative S.Met R 2.50 2.50
4. Coagulans negative S.Met S 2.50 2.50
5. Enterococcus faecalis Van R 5.00 5.00
6. Enterococcus faecalis Van S 2.50 2.50
7. Enterococcus faecium Van R 1.25 1.25
8. Enterococcus faecium Van S 1.25 1.25
9. Str . agalactiae 1.25 2.50
10.Str . faecium MD 8ba 1.25 1.25
11.Klebsiella pneumoniae ESBL 2.50 2.50
12.Escherichia coli DC0 2.50 1.25
13.Escherichia coli DC2 1.25 1.25
14.Escherichia coli TEM 2.50 1.25
15.Pseudomonas aeruginosa 9207 1.25 1.25
16.Pseudomonas aeruginosa 1592E 1.25 1.25
17.Klebsiella aerogenes 1522E 2.50 2.50
18.Enterobacter cloacae P99 2.50 1.25
19.Enterobacter cloacae 1321E 2.50 2.50
이러한 결과는 IDCC 9203 균주가 현재 산업용으로 적용하고 있는 락토바실루스 람노수스 GG와 동등한 항균력을 가진것으로 판단되며, 생체 적용시에도 유사한 항균 작용을 나타낼 것으로 전망된다.
실시예 1, 2에서의 결과로부터 내산성 및 내담즙산성 그리고 항균력이 가장 우수하며, 인체 유래의 IDCC 9203 유산간균 1 종을 최종 선발하였다.
실시예 3: IDCC 9203 균주의 생체내 효능 평가
본 실시예는 IDCC 9203 균주의 생체내에서의 장 정착성 및 유해세균 억제능을 평가하고, 다른 장기로의 전이 여부를 확인하는 안전성을 검토하였다.
(1) 유산균 준비
실험군으로 IDCC 9203 균주, 대조군으로 락토바실루스 람노수스 GG 그리고 네가티브 콘트롤 3 개군으로 구분하였다. 각각의 대조군 및 실험군으로 사용되는 유산균은 분말 상태로 조제하였으며, 최종 농도를 1 × 1010 CFU/g 의 비율로 보정하였다.
(2) 실험동물 준비
IDCC 9203 균주의 생체내 효능평가를 위해, 실험동물로는 4 주령된 ICR-Mice 5 마리/cage를 1 개군으로 총 3 개군을 준비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서, 멸균된 사료와 물을 사용하고, 제균된 공기를 송풍하였다.
(3) 투여 방식 및 기간
투여 방식은 0.1% 유산균 음료를 만들어 음료를 통한 경구투여 방식을 사용하였다.
실험기간은 총 7 주로, 첫 1 주간은 실험동물의 적응기로 하였고, 적응기 끝에 각각의 실험군의 분변을 회수하여 분석하였다. 다음 1 주간은 암피실린 투여기간으로, 항생제 투여로 실험동물이 가지고 있던 락토바실루스를 억제시켜 실험 투여군과 혼동을 유발시키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 다음 2 주간은 유산균 시료 투여기간으로, IDCC 9203 균주와 락토바실루스 람노수스 GG 그리고 네가티브 콘트롤로 멸균수를 투여하였다. 투여 기간이 끝난 다음 2.5 주간은 유산균 시료 투여를 중단하고, 분변에서 해당 유산균이 검출되는지 판단하였다.
(4) 장 정착성 평가
분변 회수 및 분석은 2 회/주 실시하였으며, 분변 회수시에는 별도의 공간에서 30분간 방치시켜, 신선한 분변을 회수하였으며, 분석수로 Mitsuoka수를 사용하여 다단계 희석 후, 장 정착성을 확인하는 LBS(락토바실루스)아가 배지에서 37℃, 3 일간 배양하여 발현된 콜로니를 계측하였다.
[표 4] 장 정착성
유산균 주 Control (CFU/g feces) Lb . rhamnosus GG (CFU/g feces) IDCC 9203 (CFU/g feces)
적응기 0 2.00 × 109 2.00 × 109 1.50 × 109
1 1.50 × 109 2.30 × 109 1.48 × 109
암피실린 투여후 0.5 2.00 × 104 2.00 × 104 2.00 × 104
1 2.00 × 102 2.00 × 102 2.00 × 102
유산균 투여후 0.5 2.00 × 103 1.58 × 106 3.02 × 106
1 8.90 × 103 8.91 × 106 1.00 × 107
1.5 1.50 × 104 1.20 × 107 2.00 × 107
2 8.90 × 102 2.45 × 107 2.69 × 107
유산균투여 중단후 0.5 0 1.41 × 105 3.63 × 106
1 0 2.95 × 104 1.51 × 106
1.5 0 2.00 × 104 2.00 × 105
2 0 0 2.40 × 104
2.5 0 0 2.00 × 102
장 정착성은 투여한 유산균이 얼마나 오래 장에 정착하는가를 판단하는 실험으로, 2 주간 실험군인 IDCC 9203 균주와 대조군인 락토바실루스 람노수스 GG를 동량 투여하고, 투여 중단한 후 3 주간 분변에서의 검출 여부를 판단하였는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조군인 락토바실루스 람노수스 GG는 투여 중단 후 2.5 주만에 분변에서 검출이 안된 반면, IDCC 9203 균주는 투여 중단 3 주후에도 2.00 × 102 CFU/g feces 의 균수를 유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도 4]. 이러한 결과는 IDCC 9203 균주가 생체 내에서 정착성이 우수한 것은, 우수한 항균력으로 인하여 유해세균의 장 정착을 방해하여 상대적으로 장 정착성이 원활했던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항균력과 일정 수준 비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유해세균 억제능 평가
유해세균 억제능을 평가하기 위해 유해세균 선별 배지인 SS(살모넬라), SF(스트렙토코커스), SPS(클로스트리듐)아가 배지에서 회수된 분변 샘플을 분석하여 발현된 콜로니를 계측하였다.
[표 5] 살모넬라 억제능
유산균 주 Control (CFU/g feces) Lb . rhamnosus GG (CFU/g feces) IDCC 9203 (CFU/g feces)
적응기 0 1.99 × 105 1.00 × 105 1.00 × 105
1 7.94 × 105 6.02 × 105 1.99 × 105
암피실린 투여후 0.5 3.98 × 103 1.99 × 103 7.94 × 103
1 2.00 × 102 2.00 × 102 2.00 × 102
유산균 투여후 0.5 2.88 × 108 2.23 × 108 6.60 × 108
1 1.69 × 109 1.44 × 109 1.23 × 109
1.5 9.12 × 108 3.16 × 108 1.99 × 108
2 7.94 × 108 3.98 × 107 8.91 × 106
유산균투여 중단후 0.5 1.58 × 107 7.94 × 105 7.94 × 105
1 3.23 × 106 7.41 × 105 2.39 × 105
1.5 1.04 × 107 2.18 × 106 3.16 × 105
2 3.01 × 106 2.81 × 106 1.77 × 105
2.5 1.41 × 106 6.16 × 106 1.58 × 105
[표 6] 스트렙토코커스 억제능
유산균 주 Control (CFU/g feces) Lb. rhamnosus GG (CFU/g feces) IDCC 9203 (CFU/g feces)
적응기 0 1.58 × 106 2.57 × 106 4.26 × 106
1 1.41 × 106 3.80 × 106 1.81 × 106
암피실린 투여후 0.5 3.98 × 103 7.94 × 103 8.91 × 102
1 2.00 × 102 2.00 × 102 2.00 × 102
유산균 투여후 0.5 8.91 × 104 8.91 × 104 8.91 × 104
1 3.23 × 108 2.39 × 108 1.28 × 108
1.5 3.01 × 109 1.04 × 109 1.00 × 109
2 2.23 × 109 6.02 × 107 1.99 × 107
유산균투여 중단후 0.5 1.34 × 109 4.78 × 108 7.76 × 108
1 2.23 × 108 3.23 × 106 3.16 × 108
1.5 1.81 × 109 7.94 × 106 4.16 × 108
2 3.01 × 109 1.25 × 107 3.63 × 107
2.5 2.39 × 109 7.94 × 107 1.99 × 106
[표 7] 클로스트리듐 억제능
유산균 주 Control (CFU/g feces) Lb . rhamnosus GG (CFU/g feces) IDCC 9203 (CFU/g feces)
적응기 0 9.12 × 108 6.02 × 107 1.00 × 108
1 3.98 × 108 1.81 × 108 1.09 × 108
암피실린 투여후 0.5 3.98 × 106 1.99 × 106 3.98 × 106
1 2.00 × 102 2.00 × 102 2.00 × 102
유산균 투여후 0.5 1.77 × 108 2.39 × 108 1.12 × 109
1 5.01 × 109 3.80 × 109 3.54 × 109
1.5 4.16 × 109 1.86 × 109 1.58 × 109
2 2.04 × 109 5.01 × 107 9.77 × 108
유산균투여 중단후 0.5 1.47 × 109 1.99 × 107 7.76 × 107
1 1.41 × 107 3.01 × 107 3.98 × 107
1.5 3.98 × 106 6.60 × 106 1.77 × 107
2 9.33 × 106 7.94 × 106 2.18 × 107
2.5 1.99 × 106 3.01 × 107 6.02 × 106
생체 내에서 유해세균 억제능은 암피실린 투여 중단 후, 대장균, 살모넬라, 스트렙토코커스, 클로스트리듐 등의 유해세균이 증가하게 되는데, [도 1]은 살모넬라 및 대장균의 억제능을 나타낸 것으로, IDCC 9203 균주가 대조군인 락토바실루스 람노수스GG 균주보다 상대적으로 우수한 억제능을 보였으며,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암피실린 투여 중단 후 1 주간 유해세균의 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투여 유산균이 성공적으로 장에 정착함으로써 유해세균 검출수도 낮아져, 대조군인 락토바실루스 람노수스 GG 투여군은 최고 1.44 × 109 CFU/g feces에서 실험 종료 후 6.16 × 106 CFU/g feces으로 낮아졌으며, IDCC 9203 균주를 투여한 군은 최고 1.23 × 109 CFU/g feces에서 1.58 × 105 CFU/g feces으로 낮아지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2]는 투여된 유산균이 정착하면서 스트렙토코커스의 발현이 감소되는 결과를 보였다. [표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산균 투여한 2 주 동안은 투여 유산균이 정착하는 기간으로 스트렙토코커스의 감소가 뚜렷하지 않았으나, 투여 중단 이후 투여 유산균이 장내 정착함으로써 균총교대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대조군인 락토바실루스 람노수스 GG 투여군은 투여 및 투여 중단 2 주까지 스트렙토코커스의 억제능이 IDCC 9203 균주보다 우수하였으나, IDCC 9203 균주를 투여한 군은 투여 중단 2.5 주까지도 균이 생존해 있어, 스트렙토코커스의 발현이 억제된 반면, 대조군인 락토바실루스 람노수스 GG 균주는 투여 중단 2 주에 균이 장내 정착하지 못하여, 그 이후에는 스트렙토코커스의 발현이 증가되는 현상을 보였다.
[도 3]에서는 클로스트리듐 및 대장균의 억제능을 나타낸 것으로, IDCC 9203 균주와 락토바실루스 람노수스 GG가 대등한 억제능을 보였다. 대조군인 락토바실루스 람노수스 GG 투여군은 최고 3.80 × 109 CFU/g feces에서 실험 종료 후 3.01 × 107 CFU/g feces으로 낮아졌으며, IDCC 9203 균주를 투여한 군은 최고 3.54 × 109 CFU/g feces에서 6.02 × 106 CFU/g feces으로 낮아지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IDCC 9203 균주 투여에 따른 장내 유해 세균 증식 억제능을 조사한 결과, 암피실린 투여 중단 이후 급격히 증가하는 유해세균 3종 모두에서 낮아지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대조군과의 비교에서는 유사한 감소 경향을 보였으나, IDCC 9203 균주가 상대 적으로 오랜 기간동안 장에 정착하여 장내 균총으로 자리잡고 있기에, 유해세균에 대한 증식 억제 기간도 길어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6) 안전성 평가
IDCC 9203 균주의 생체내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투여시 다른 장기들에의 전이 여부를 확인하였다. 보다 상세하게는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IDCC 9203 균주를 투여한 군의 모든 실험동물에 대해 혈액, 비장, 간의 조직을 적출하여 Mitsuoka 수에서 파쇄하고 다단계 희석하여 락토바실루스 선별배지인 LBS 아가 배지에서 37℃, 3일간 배양시켜 균체 발현 유무를 확인하였다.
[표 8] 생체내 안전성
희석배수 비장 혈액
10-1 - - -
10-2 - - -
10-3 - - -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IDCC 9203의 생체 투여시 안전성을 검증한 결과, [표 8]에서 보는바와 같이, 다른 장기로의 전이성이 없는 안전한 유산균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4: IDCC 9203 균주의 동정
내산성 및 내담즙산성 그리고 항균력이 가장 우수한 유산간균인 IDCC 9203 균주의 동정을 위하여 API 키트를 이용한 생화학적 시험 및 16S rRNA 유전자 서열 비교를 통한 계통유전학적 분석(Phylogenetic analysis)을 수행하였다.
(1) API 동정
상기 균주의 균체를 MRS 배지에 풀어 균액을 만든 후, 탄수화물의 발효성을 확인하기 위한 50 종의 건조기질을 함유하고 있는 튜브에 분주하고 24 시간 배양하였다. 배양기간동안 탄수화물이 발효되어 산을 생성하고 pH를 저하시킴으로써 pH 지시약에 의한 색 변화 결과를 동정용 프로그램인 APILAB PLUS를 이용하여 판정하였다. API 키트에 의한 생화학적 동정을 실시한 결과, 91.2%의 정확성으로 락토바실루스 아시도필루스로 확인되었다[표 9].
[표 9] API 동정
Control - Glycerol - Erythritol - D-Arabinose - L-Arabinose -
Ribose - D-Xylose - L-Xylose - Adonitol - β-Methyl-xyloside -
Galactose + D-Glucose + D-Fructose + D-Mannose + L-Sorbitol -
Rhamnose - Dulcitol - Inositol - Mannitol - Sorbitol -
α-Methyl-D-mannoside - α-Methyl-D-glucoside - N-Acetyl glucosamine + Amygdaline - Arbutine -
Esculine + Salicine - Cellobiose - Maltose + Lactose +
Melibiose - Saccharose + Trehalose + Inuline - Melezitose -
D-Raffinose + Amidon + Glycogen - Xylitol - β-Gentibiose +
D-Turanose - D-Lyxose - D-Tagatose +/- D-Fucose - L-Fucose -
D-Arabitol - L-Arabitol - Gluconate - 2-ceto-gluconate - 5-ceto-gluconate -
* 91.2% Lactobacillus acidophilus identification
이는 동정용 프로그램인 APILAB PLUS상에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관련 데이터베이스가 확립 되어 있지 않아, 가장 유사한 종으로 검색된 결과이다. 따라서 추가적으 로 분자생물학적 방법을 통해 정확한 균 동정이 요구되었다.
(2) IDCC 9203의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을 통한 동정
① 중합연쇄반응 샘플의 준비
IDCC 9203 균주를 MRS 아가배지에 접종하여 37℃에서 2 일간 배양하여 활성화시킨 후 지름 1 ㎜ 정도의 단일 콜로니를 취하여 680 ㎚에서 흡광도가 0.8∼1.0 정도가 되게 멸균수에 현탁시켜 -20℃에서 저장하였다. 이와 같이 준비한 현탁액을 중합연쇄반응 샘플로 사용하였다.
염기 배열 분석을 위한 DNA의 준비
16S rRNA 유전자의 중합연쇄반응 샘플은 서열번호 1로 기재되는 ID8-F와 서열번호 2로 기재되는 ID8-R 프라이머를 1 : 1 비율로 섞은 혼합 프라이머와 결합시켜 군체중합연쇄반응법으로 증폭시켰다[표 10]. 중합연쇄반응 혼합물로부터 얻은 16S rRNA 유전자 분획물은 1% TAE(40 mM Tris acetate, 1 mM EDTA) 완충액을 사용하여 0.75% 아가로스겔 상에서의 전기영동 방법으로 분리하였다.
에티디움-브로마이드 염색 및 UV 조사 후 원하는 DNA 단편이 있는 겔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유전자정제 키트(GENE ALL-GEL SV, GeneralBiosystem)를 사용하여 DNA를 정제하고 BamHI과 XhoI 제한효소로 이중 절단하여 pcDNA3.1/Hygro(+)(5.6 kb) 플라스미드 벡터에 연결하였다. 16S rRNA 유전자를 함유하는 플라스미드(pcDNA3.1/Hygro(+)-IDCC9203, 7.1 kb)로 대장균 숙주세포를 형질전환시킨 후 형질전환된 세포만을 선별하여 대량배양함으로써 원하는 플라스미드를 대량 확보하였 다. 확보된 플라스미드는 다시 유전자정제 키트로 정제 후 염기 서열을 분석하였다.
[표 10] 염기 배열 분석을 위해 사용된 프라이머
이름 목표 위치 염기 배열 순서
ID8-F 16S rRNA 1-19 서열번호 1
ID8-R 16S rRNA 1512-1531 서열번호 2
T7-F pcDNA3.1 서열번호 3
BGH-R pcDNA3.1 서열번호 4
ID13S-F 16S rRNA 530-547 서열번호 5
③ 16S rRNA 유전자 염기 서열 분석
IDCC 9203 균주 샘플에서 유래된 16S rRNA 유전자는 서열번호 3으로 기재되는T7-F, 서열번호 4로 기재되는 BGH-R, 서열번호 5로 기재되는 ID13S-F 등의 프라이머로 시퀀싱(염기 서열반응)을 수행하였다. 염기 서열 반응은 Perkin Elmer로부터 구입한 싸이클 시퀀싱 키트(cycle sequencing kit)와 염료 종결제(dye terminator)를 사용하여 실시하였고 16S rRNA 유전자 염기 서열은 ABI prism 310 자동 DNA 서열분석기(automatical DNA sequencer)를 사용하였다.
IDCC 9203 균주의 16S rRNA 유전자는 서열번호 6으로 기재되는 1,531 bp의 염기 서열을 갖는다. 이 염기 서열은 GenBank에 AY862434로 등록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16S rRNA 유전자와 이미 알려진 세균의 16S rRNA 유전자 염기 서열과의 유사성은 블라스트 유사성 조사 프로그램(Blast similarity search program : National Institute of Biotechnology Information)으로 계산하였다. 이 염기 서열은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표준균주인 ATCC 33200의 16S rRNA 염기 서열과 비교했을 때(Blast2), 전체 1,487 bp 중 오직 4 군데만 차이가 있었다(99.7% 상동성). 또한 IDCC 9203 균주의 분자생물학적 동정을 위하여 GenBank에 등록된 9 개의 속(Genus)과 85 개의 락토바실루스 종(Species), 그리고 87 개의 락토바실루스 람노수스를 포함한 아시도필루스 계열 균주들(Strains)의 16S rRNA 유전자 서열들과 함께 각각 다중 서열 정렬을 진행한 후 계통수(phylogenic tree)에서의 위치를 판별하였다. 다중 서열 정렬 프로그램(multiple sequence alignment program)은 ClustalX를 사용하였다. 계통수 상에서 IDCC 9203 균주의 16S rRNA 유전자는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었다. 또한 AB236694, AB186343, AB186328, AB186322, AJ002515, M99704 등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로 등록된 6주의 16S rRNA 유전자 서열에 대한 Blast 2 상동성 검색 결과 평균 99.1%의 높은 동일성을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예 4와 같이 IDCC 9203 균주를 생화학적, 분자생물학적으로 동정한 결과 이 균주는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로 분류되었다. 따라서 내산성 및 내담즙산성 등 프로바이오틱 특성이 우수한 상기 균주를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IDCC 9203으로 명명하고, 한국미생물 보존센터에 2006년 3월 22일자로 기탁하였다 (KCTC 10923BP).
실시예 5: 발효 생산 및 안정성
락토바실러스 존소니이 IDCC 9203의 건강식품 및 의약품 조제를 위해 발효 생산조 건을 검토하였다.
(1) 배지 조성 및 배양 조건
전배양 배지로는 MRS 배지(Difco)를 사용하였으며, 중간배양 및 본배양 배지는 글루코오스 2%, 효모 추출물 1%, 펩톤 1%, 아세트산나트륨 0.5%, 시트르산 이암모늄 0.2%, 일인산나트륨 0.2%, 계면활성제 tween 80 0.1%, 염화칼슘 0.01% 조성의 GYPB배지를 사용하였다.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IDCC 9203의 전배양은 10% 수준으로 멸균배지에 접종하여, 약 16 시간 동안 37℃에서 혐기배양을 통해 수행하였다. 중간배양은 10% 수준으로 GYPB 멸균배지 90 ㎖에 접종한 후, 약 8 시간 동안 37℃에서 정치 배양하였으며, 본배양은 플라스크 배양 및 발효조 배양으로 나누어 수행하였다. 먼저 플라스크 배양은 300 ㎖ 삼각 플라스크에 230 ㎖ 배지를 넣고, 앞서 언급한 락토바실러스 존소니이 IDCC 9203의 중간배양액 3%를 접종한 후, 37℃ 배양기에서 16 시간동안 정치 배양하였다.
발효조 배양은 5 ℓ 발효조에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IDCC 9203의 중간배양액 3%를 접종한 후, 배양 온도 37℃, 교반속도 50 rpm에서 공기를 공급하지 않고 약 16 시간동안 회분식 배양하였다. 이때 GYPB 배지의 초기 pH는 6.5로 조절하였으며, 배양중의 pH는 조절하지 않았다.
(2) 균원료 조제
본배양이 종료되면 배양액을 회수하고 10,000 rpm으로 10 분간 원심분리를 하여 균 체를 회수한다. 회수된 균체를 탈지분유를 혼합한 분산매에 현탁시켜 동결건조한 후, 건조전분을 혼합하여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IDCC 9203의 균 원료 분말을 만들었다.
(3) 배양액 및 원료 생균수 분석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IDCC 9203 배양종료액 1 ㎖를 분석수(Mitsuoka수) 9 ㎖에 넣고 다단계 희석한 후, MRS 아가배지에 1 ㎖ 분주, 중층하고 굳혀 37℃ 배양기에서 2일간 배양한다. 배양 2 일 후 평판배지에 발현된 콜로니를 계측한다.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IDCC 9203 균원료 분석은 1 g을 평량한 후, 위에서 기술한 방법과 동일하게 배양하여 계측한다.
(4) 균원료 안정성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IDCC 9203의 균원료를 1 g씩 각각 소분하여 알루미늄 포장재에 넣고 밀봉포장하여 37℃ 배양기에서 4 주간 가속 경시변화를 관찰하였다.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IDCC 9203의 최적 배지를 검토한 결과 GYPB 배지를 개발하였으며, 3 단계 발효공정을 확립하였다. 5 ℓ 발효조에서 생산성을 검토한 결과는 [표 11]과 같다.
[표 11] 5 ℓ 배양
종료 pH 배양액 생균수 (× 108 CFU/㎖) 원료 생균수 (× 108 CFU/㎖) 발현율(%)
4.2 80 250 42.9
발현율이 40%대로 다른 종의 락토바실루스에 비해서 생산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IDCC 9203은 대량 생산에도 적용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IDCC 9203의 경시적 안정성은 37℃에서 생존율을 4 주동안 관찰하였을 때, 초기 균수 대비 44%의 생존율을 보였다[도 5].
실시예 6: 항생제 감수성
본 실시예는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IDCC 9203에 대한 항생제 감수성 시험으로 일반적인 락토바실루스의 항생제 감수성과 유사분포를 보이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실험이다.
(1)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IDCC 9203 준비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IDCC 9203을 GYPB 배지로 37℃ 배양기에서 16 시간 배양하였다.
(2) 평판배지 준비
MRS 아가배지(1.5% 아가 첨가-bottom agar)를 평판에 10 ㎖ 분주하여 굳힌 후, soft MRS 아가배지(0.7% 아가 첨가-top agar)에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IDCC 9203 배양액을 5% 비율로 첨가하여 혼합하고 혼합배지 10 ㎖를 분주하여 굳혔다.
(3) 항생제 감수성
19 종의 항생제가 포함된 Sensi disc (BD)를 준비된 평판위에 점적하고 37℃ 배양기에서 24 시간 혐기배양하였다(BBL gaspack system). 배양이 종료되면 항생제 디스크 주변에 형성된 투명대의 직경을 측정하여 기록하고, 감수성 및 저항성 유무를 판단하였다.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IDCC 9203의 대표적인 항생제 19 종에 대한 감수성을 조사한 결과는 [표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조군으로 사용한 락토바실루스 속의 유산균들의 감수성 결과와 동일성을 보였다.
[표 12] 항생제 감수성
Antimicrobial agents Disc conc. (㎍) Clear zone Diameter (㎜) Interpretative zone diameter(mm) 판정결과
R* I** S***
Penicillin 10 30 ≤19 20-27 ≥28 S
Ampicillin 10 22 ≤12 13-15 ≥16 S
Cephalothin 30 30 ≤14 15-17 ≥18 S
Vancomycin 30 18 ≤14 15-17 ≥18 S
Bacitracin 10 12 ≤15 16-17 ≥18 R
Amikacin 30 6 ≤15 16-17 ≥18 R
Gentamycin 10 6 ≤12 - ≥13 R
Kanamycin 30 6 ≤13 14-17 ≥18 R
Streptomycin 10 6 ≤11 12-14 ≥15 R
Tetracycline 30 7 ≤14 15-18 ≥19 R
Chloramphenicol 30 18 ≤13 14-17 ≥18 S
Erythromycin 15 20 ≤13 14-17 ≥18 S
Oflaxacin 5 6 ≤13 14-18 ≥19 R
Nalidixic acid 30 6 ≤13 14-17 ≥18 R
Rifampin 5 20 ≤14 15-17 ≥18 S
Polymyxin B 300 6 ≤8 9-11 ≥12 R
Nitrofurantoin 300 18 ≤14 15-16 ≥17 S
*Resistant, **Intermediate, ***Sensitive
항생제 감수성 시험은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로 사용할 시, 특정 항생제에 대한 감수성을 균종별로 데이터화하여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시험이다.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IDCC 9203은 인간 유래의 유산균으로서, 또한 성인이 아닌 항생제를 투여한 바 없는 유아의 분변으로부터 분리하였기 때문에 반코마이신 등과 같은 최후의 항생제에 저항성을 나타내지 않는 안전한 유산균으로, 산업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락토바실루스 속에 속하는 유산균들과 같은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7: 엽산 생성능
본 실시예에서는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IDCC 9203이 생산하는 엽산 생산능을 검증하기 위해, folate microbiological assay(FMA)법을 수행하였다. 이 방법은 엽산요구성 유산균인 락토바실루스 카세이의 엽산 농도에 따른 생육도를 측정하여 엽산의 양을 정량적으로 계측할 수 있는 방법이다.
(1) 락토바실루스 카세이 준비
Folic acid casei 배지(Difco)을 가압멸균한 후 냉각시킨다. 표준 시약인 엽산(Sigma)을 0.3 ㎍/ℓ을 상기 배지에 넣고, 필터를 이용하여 제균하였다. 제균한 배지에 락토바실루스 카세이를 접종하고 37℃ 배양기에서 18 시간 배양하였다. 배 양이 종료되면 배양액을 얼음 위에서 냉각하고 40% 글리세롤 용액과 혼합하여 보관용액을 완성하고, 사용 전까지 -70℃ 냉동고에 보관하였다.
(2) 표준곡선 작성
Folic acid casei 배지를 상기 방법과 동일하게 멸균, 냉각한 후, 표준시약인 엽산을 농도별로 첨가하여 이를 다시 필터 제균하였다. 준비된 락토바실루스 카세이를 해동시키고 염화나트륨 용액(9 g/ℓ멸균수)과 4 : 1의 비율로 혼합하여 접종액으로 사용하였다. 각각의 엽산 농도별로 준비된 folic acid casei 배지와 락토바실루스 카세이 접종액을 1 : 1 (v/v)로 혼합하여 37℃ 배양기에서 18 시간 배양하였다. 균체의 생장 흡광도를 600 ㎚에서 측정하여 표준곡선을 작성하였다.
(3) Folate Microbiological Assay
MRS 배지에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IDCC 9203을 접종한 후, 37℃ 배양기에서 16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종료 후, 배양액을 회수하여 10 분간, 10,000 rpm에서 원심분리를 하였다. 상등액을 회수하여 농도별로 folic acid casei 배지와 혼합한 후, 준비된 락토바실루스 카세이를 접종하여 37℃ 배양기에서 18 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나면 60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표준곡선과 비교하여 생산된 엽산 양을 계산하였다.
[표 13] 엽산 생성능
접종량 엽산생성량 10 ㎕ 30 ㎕ 50 ㎕ 100 ㎕
O.D600nm 0.313 0.74 0.747 0.758
엽산생성량(㎍/ℓ) 2.57 4.35 4.38 4.43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IDCC 9203의 엽산 생성능은 배양 상등액을 각각의 농도별로 엽산 요구성 배지에 각각 첨가하여, 락토바실루스 카세이의 생육도를 검증한 결과, [표 13]에서와 같이 최소 10 ㎕ 첨가시에도 생육도가 높았다. 또한 100 ㎕ 접종시, 4.43 ㎍/ℓ의 엽산 생산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엽산은 비타민의 한 종류로 일부 유산균에서 생성한다는 보고가 있다.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IDCC 9203 또한 이 유산균군에 속하며, 프로바이오틱스로서의 한 가지 특징으로 숙주세포에 유익한 엽산을 충분히 공급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IDCC 9203은 장내 유해세균의 성장을 억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IDCC 9203, 배양 여액은 우수한 항균작용으로 혐기성 균 및 식중독 균의 성장 억제는 물론 감염 예방 및 치료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서열목록 전자파일 첨부

Claims (4)

  1. 장내 유해세균 억제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존소니이 IDCC 9203
    (수탁번호 : KCTC 10923BP).
  2. 제 1항의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정장제.
  3. 제 1항의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발효유, 요구르트, 음료수, 식품 첨가물및 건강 식품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KR1020060047726A 2006-05-26 2006-05-26 장내 유해세균 억제능을 갖는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아이디씨씨 9203 KR100736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7726A KR100736517B1 (ko) 2006-05-26 2006-05-26 장내 유해세균 억제능을 갖는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아이디씨씨 9203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7726A KR100736517B1 (ko) 2006-05-26 2006-05-26 장내 유해세균 억제능을 갖는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아이디씨씨 92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6517B1 true KR100736517B1 (ko) 2007-07-06

Family

ID=38503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7726A KR100736517B1 (ko) 2006-05-26 2006-05-26 장내 유해세균 억제능을 갖는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아이디씨씨 9203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651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1420B1 (ko) 2009-07-22 2012-11-15 대한민국 신규 락토바실러스 존슨니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첨가제 조성물
KR101231236B1 (ko) 2011-01-24 2013-02-0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대두 사포닌 분해능을 갖는 유산균 및 이를 함유하는 대두 사포닌 분해용 조성물
KR102269964B1 (ko) 2020-05-28 2021-06-28 주식회사 바이오뱅크힐링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 및 그의 유래의 소포체 및 그의 항염증 및 항균 용도
KR102296288B1 (ko) 2020-12-31 2021-09-01 주식회사 바이오뱅크힐링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균주, 및 그의 유래의 소포체 및 그의 항염증 및 항균 용도
WO2021242057A1 (ko) * 2020-05-28 2021-12-02 주식회사 바이오뱅크힐링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 및 그의 유래의 소포체 및 그의 항염증 및 항균 용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0319A (ko) * 2002-02-23 2003-08-30 주식회사 프로바이오닉 결장 암 세포 및 유해 미생물 증식 억제 활성과 장내정착력이 뛰어난 신규 내산성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Probio-40
KR20030070799A (ko) * 2002-02-26 2003-09-02 주식회사 국순당 지방질, 다당류 및 단백질에 의하여 2중으로 미세캡슐화된유산균 제품의 제조방법
KR20030070800A (ko) * 2002-02-26 2003-09-02 주식회사 국순당 이중으로 미세캡슐화된 유산균 함유 우유 또는 유제품의제조방법
KR20040076183A (ko) * 2003-02-24 2004-08-31 주식회사 프로바이오닉 면역활성이 높고 항암효과 및 유해 미생물 증식 억제활성이 뛰어난 신규 내산성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Probio-44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0319A (ko) * 2002-02-23 2003-08-30 주식회사 프로바이오닉 결장 암 세포 및 유해 미생물 증식 억제 활성과 장내정착력이 뛰어난 신규 내산성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Probio-40
KR20030070799A (ko) * 2002-02-26 2003-09-02 주식회사 국순당 지방질, 다당류 및 단백질에 의하여 2중으로 미세캡슐화된유산균 제품의 제조방법
KR20030070800A (ko) * 2002-02-26 2003-09-02 주식회사 국순당 이중으로 미세캡슐화된 유산균 함유 우유 또는 유제품의제조방법
KR20040076183A (ko) * 2003-02-24 2004-08-31 주식회사 프로바이오닉 면역활성이 높고 항암효과 및 유해 미생물 증식 억제활성이 뛰어난 신규 내산성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Probio-44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1420B1 (ko) 2009-07-22 2012-11-15 대한민국 신규 락토바실러스 존슨니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첨가제 조성물
KR101231236B1 (ko) 2011-01-24 2013-02-0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대두 사포닌 분해능을 갖는 유산균 및 이를 함유하는 대두 사포닌 분해용 조성물
KR102269964B1 (ko) 2020-05-28 2021-06-28 주식회사 바이오뱅크힐링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 및 그의 유래의 소포체 및 그의 항염증 및 항균 용도
WO2021242057A1 (ko) * 2020-05-28 2021-12-02 주식회사 바이오뱅크힐링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 및 그의 유래의 소포체 및 그의 항염증 및 항균 용도
KR102296288B1 (ko) 2020-12-31 2021-09-01 주식회사 바이오뱅크힐링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균주, 및 그의 유래의 소포체 및 그의 항염증 및 항균 용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1115B1 (ko) 내산성, 내담즙산성 및 항균 효과를 가진 신규한 유산균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EP1743042B1 (en) Lactic acid bacteria strains exhibiting probiotic properties and compositions comprising the same
EP2270133B1 (en) Method for obtaining a novel strain of bifidobacterium bifidum with activity against infection by helicobacter pylori
KR20200136365A (ko) 공동선택 미생물총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 이용 방법
EP1883695B1 (en) Probiotic bifidobacterial species
KR100736517B1 (ko) 장내 유해세균 억제능을 갖는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아이디씨씨 9203
Gao et al. Screening of potential probiotics with anti-Helicobacter pylori activity from infant feces through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zizian et al. Genetic diversity of Lactobacillus spp. isolates from oral cavity and their probiotic and antimicrobial properties
KR101966772B1 (ko)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cs 132(kctc 11452bp)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구강병원균 억제조성물
KR101098946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사료첨가제 조성물
KR101201338B1 (ko) 신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첨가제 조성물
KR100240687B1 (ko)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ky 2104 및 그 용도
KR101061143B1 (ko) 신규 유산균 및 그 유산균을 사용해서 가공한 각종 제품
Zangeneh et al. Isolation of Lactobacillus plantarum strains with robust antagonistic activity, qualified probiotic properties, and without antibiotic-resistance from traditional sourdough
EP3318625B1 (en) A lactic acid bacteria strain
EP2040723B1 (en) Lactic acid bacterium with increased acid tolerance
KR20190075039A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cc-24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201337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속 유산균 복합 균주를 포함하는 사료첨가제
KR100720025B1 (ko) 프로바이오틱 유산균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0825500B1 (ko) 경구 운반체의 개발을 위한 돼지 유래 신규 유산균 및 이의용도
KR101068524B1 (ko) 락토바실러스 프란타럼 μ23 균주를 포함하는 발효유 및이의 제조방법
KR20020072807A (ko) 면역 증강 효과를 갖는 신규 락토바실러스 속 미생물
KR20170045190A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cc-24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10441B1 (ko) 항균 활성과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rcm101502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0654370B1 (ko) 반코마이신 내성균을 저해하는 항생제 내성 신규 유산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