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9869B1 - 강관 공급장비 - Google Patents

강관 공급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9869B1
KR100719869B1 KR1020060053096A KR20060053096A KR100719869B1 KR 100719869 B1 KR100719869 B1 KR 100719869B1 KR 1020060053096 A KR1020060053096 A KR 1020060053096A KR 20060053096 A KR20060053096 A KR 20060053096A KR 100719869 B1 KR100719869 B1 KR 100719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magazine
transfer device
steel pipe
supply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3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륜
심재평
장상수
김순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번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번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번디
Priority to KR1020060053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98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9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9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 B21D43/08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by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00Straightening or restoring form of metal rods, metal tubes, metal profiles,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whether or not in combination with sheet metal parts
    • B21D3/02Straightening or restoring form of metal rods, metal tubes, metal profiles,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whether or not in combination with sheet metal parts by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 B21D43/10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by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20Storage arrangements; Piling or unp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강관 공급장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위치하고 다수개의 파이프가 수납되는 원통형상의 메거진과, 상기 파이프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메거진의 외측으로 설치되는 수납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납장치; 상기 수납장치로부터 이탈된 상기 파이프가 직관교정되기 위하여 다수개의 교정롤러로 이루어지는 교정기에 공급되도록 다수개의 공급롤러가 설치되는 공급장치; 그리고 상기 수납장치로부터 배출된 상기 파이프를 상기 공급장치로 이송하는 이송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강관 공급장비를 제공한다.
강관 공급장비, 수납장치, 메거진

Description

강관 공급장비{Pipe feed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관 공급장비의 정면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관 공급장비의 측면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관 공급장비의 상면예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관 공급장비의 수납장치의 작동예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관 공급장비의 수납장치와 제1이송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작동상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관 공급장비의 제1이송장치의 이송과정을 나타낸 작동상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관 공급장비의 제1이송장치와 제2이송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작동상태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관 공급장비의 이송장치와 공급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작동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관 공급장비의 축관과정을 나타낸 작동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베이스 프레임 20: 수납장치
25: 메거진 26: 수납홈
30: 수납커버 31: 틈
60: 이송장치 61: 이송구
62: 클램프 70: 제1이송장치
80: 제2이송장치 90: 제3이송장치
100,101,102: 파이프 110: 축관장치
115: 축관펀치 130: 공급장치
200: 모터
본 발명은 강관 공급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강관 공급장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관을 제조방법별로 분류하면 용접부의 유무에 따라 무계목 강관과 접합강관으로 대별되는데, 무계목 강관의 경우, 가공시에는 대단히 높은 압력과 가열로 그리고 천공기 등의 대형기계 설비를 필요로 한다는 결점으로 인해 현재 우리나라는 사용량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한편, 강판 또는 대강(skelp)의 원재료를 사용하여 상온에서 다양한 성형방법으로 성형한 후 용접 또는 단접하여 제조하는 접합강관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특히, 상기 접합강관 중 널리 사용되는 용접강관의 통상적인 제조공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광폭의 원재료는 제품치수에 맞는 폭으로 절단되도록 슬리팅(slitting) 과정을 거친다. 그리고, 상기 슬리팅 과정을 통해 절단된 상기 원재료는 리코일러에 감겨 다시 코일 상태로 된다.
또한, 상기 원재료의 끝과 다음 원재료의 선단은 접속되고, 수단 내지 십수단의 성형 롤을 연속적으로 통과하는 성형과정 및 용접공정을 거치면서 조관되어진다. 그리고, 조관된 강관은 정경(sizing)공정을 통하여 외경치수의 정밀도가 높아지고, 표면처리과정을 거친후,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다. 이와 같이, 절단된 강관은 교정기를 통과하며 직선형태로 교정되고, 사용용도에 적합하게 가공되거나 밴딩되게 된다.
여기서, 절단된 강관은 절단기의 형식에 따라 관단의 형상이 다르나, 아크용접이나 프레스 커터 등에 의해 절단된 강관의 관단은 버(burr)가 생기거나 찌그러짐(dimple)이 발생한다. 그리고, 이러한 관단의 버나 찌그러짐으로 인하여 상기 강관의 교정기로 인입시 상기 강관의 걸림현상이 발생되므로, 상기 교정기에 공급되기 전에 상기 강관의 단부에 대한 축관성형 공정을 거쳐야 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강관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강관의 축관성형 공정을 위하여 작업자가 직접 개개의 강관을 축관성형기로 공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작업이 이루어짐으로써, 강관 제작 공정에 따 른 작업시간의 증가와, 이러한 작업시간 증가로 인하여 작업 부하가 증가하고 생산성이 감소되며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이 항장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작업자는 강관을 지속적으로 축관성형기에 공급해야 하므로, 다른 공정에 투입될 수 없고, 이로 인하여 생산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넷째, 상술한 문제점을 회피하기 위하여 시도된 강관 공급장비는 절단된 각각의 파이프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위치감지센서와 파이프를 선택적으로 감지하여 파지하기 위한 아암과 상기 아암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등, 설비의 대형화와 이로 인한 시설투자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강관 공급장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위치하고 다수개의 파이프가 수납되는 원통형상의 메거진과, 상기 파이프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메거진의 외측으로 설치되는 수납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납장치; 상기 수납장치로부터 이탈된 상기 파이프가 직관교정되기 위하여 다수개의 교정롤러로 이루어지는 교정기에 공급되도록 다수개의 공급롤러가 설치되는 공급장치; 그리고 상기 수납장치로부터 배출된 상기 파이프를 상기 공급장치로 이송하는 이송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 는 강관 공급장비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메거진의 외주면에는 상기 메거진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상기 파이프가 수용되도록 소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수납홈이 형성되고, 상기 메거진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파이프가 낙하하여 이탈되도록 상기 수납커버의 하단부 일측에는 틈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송장치는 상기 수납장치로부터 배출된 상기 파이프를 이송하는 제1이송장치; 그리고 상기 제1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된 상기 파이프를 상기 공급장치로 이송하는 제2이송장치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거진으로부터 이탈된 상기 파이프가 상기 공급장치로 이송되기 전에 상기 파이프의 일단부가 축관되도록 축관펀치가 구비되는 축관장치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이송장치와 제2이송장치의 사이에는 상기 제1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된 상기 파이프의 일단부가 축관되도록 상기 파이프를 상기 축관펀치로 가압하고 탈거하는 제3이송장치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송장치에는 다수개의 클램프가 구비되되, 상기 파이프에 접촉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클램프의 일부분에는 상기 파이프를 잡을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관 공급장비의 정면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관 공급장비의 측면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관 공급장비의 상면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강관 공급장비는 베이스 프레임(10), 수납장치(20), 공급장치(130) 그리고 이송장치(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일측으로 설치되는 수납장치(20)에는 다수개의 파이프(100)가 수납되고, 상기 수납장치(20)로부터 이탈되는 상기 파이프(100)는 상기 이송장치(60)에 의해 상기 공급장치(130)로 이송된다.
상세히,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은 다수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설치되고, 상면은 평평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10) 상면의 일측에는 다수개의 파이프(100)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장치(2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수납장치(20)는 다수개의 파이프(100)가 수납되는 메거진(25)과 상기 파이프(10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메거진(25)의 외측에 설치되는 수납커버(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메거진(25)이 회전하면서 상기 메거진(25)의 하부에 수납된 파이프(100)는 낙하하게 되고, 상기 파이프(100)는 제1이송장치(70)에 의해 소정거리 이송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이송장치(70)에 의해 이송된 상기 파이프(100)는 제2이송장치(80)에 의해 공급롤러(131)로 이루어지는 공급장치(130)로 이송된다.
여기서, 공급롤러(131)는 상부수평롤러(135), 하부수평롤러(136), 외측수직롤러(140) 그리고 내측수직롤러(14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파이 프(100)는 수평으로 설치되는 상기 상부수평롤러(135)와 상기 하부수평롤러(136)의 사이 그리고, 상기 수평롤러(135, 136)의 양측에 설치되는 상기 외측수직롤러(140)와 상기 내측수직롤러(141)의 사이에 내재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일측에는 모터(200)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200)의 회전축에는 구동풀리(205)가 결합된다. 상기 구동풀리(205)의 외주면에는 벨트(206)가 결합되고 상기 벨트(206)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상측에 설치되는 종동풀리(210)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200)가 회전함에 따라서 상기 구동풀리(205)가 연동하게 되고, 상기 구동풀리(205)의 회전력은 상기 벨트(206)를 통해서 상기 종동풀리(210)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종동풀리(210)의 회전축은 상기 하부수평롤러(136)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하부수평롤러(136)가 연동된다.
또한, 상기 하부수평롤러(136)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하부수평롤러(136)와 상기 상부수평롤러(135)의 사이에 내재된 상기 파이프(100)는 가이드 하우징(240)과 가이드터널(245)을 통과하여 다수개의 교정롤러(251)로 이루어지는 교정기(250)로 이송된다.
그러나, 상기 파이프(100)가 반드시 상기 교정기(250)로 공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파이프(100)는 도금 과정을 위해 도금장비로 공급되거나 코일링되기 위하여 공급될 수도 있다.
한편,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관 공급장비의 수납장치의 작동예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상면 일측에는 수직프레임(11)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프레임(11)은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상기 수직프레임(11)의 상단부를 연결하도록 수평프레임(12)이 설치되고, 상기 수평프레임(12)의 일측으로 지지판(21)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21)은 다수개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판(21)의 내측에는 원통형상의 수납커버(3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판(21)의 내측은 상기 수납커버(30)의 외주면에 대응하도록 원호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수납커버(30)가 상기 지지판(21)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프레임(12)의 일단부에는 상기 지지판(21)과 같은 방향으로 소정 길이의 프레임이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의 일단부에는 상기 수평프레임(12)과 평행하도록 중앙프레임(13)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프레임(13)은 상기 지지판(21)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위치되고, 상기 중앙프레임(13) 양단부의 외측에는 고정판(14)이 각각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판(14)의 내측은 상기 중앙프레임(13)의 외측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중앙프레임(13)의 외측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판(14)의 외측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판(14)의 외측으로 상기 메거진(25)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메거진(25)의 외주면에는 상기 파이프(100)가 수납될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100)의 외주면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상기 메거진(25)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수납홈(2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납홈(26)에 삽입된 상기 파이 프(100)는 상기 수납홈(26)의 외측에 구비되는 상기 수납커버(30)에 의해 이탈되지 않고 수납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커버(30)의 하측에는 상기 파이프(100)의 외측지름보다 크고, 상기 수납홈(26)의 양측에 형성된 다른 수납홈(26)까지의 거리보다 작은 틈(3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하여, 상기 수납홈(26)이 상기 틈(31)의 상측에 위치되면 상기 수납홈(26)에 수납된 상기 파이프(100)가 낙하하게된다.
또한, 상기 메거진(25)의 일측에는 상기 수납홈(26)의 간격에 대응되도록 외주면에 다수개의 단차부가 형성되는 회전조절판(미도시)이 연결되고, 상기 단차부가 한 칸씩 밀리면서 상기 회전조절판이 회전하게 된다. 또한, 한 번 밀림에 따라 이루어지는 상기 단차부의 회전각도는 상기 수납홈(26)의 회전각도와 일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하여, 상기 틈(31)으로 상기 파이프(100)가 낙하된 후, 상기 단차부가 한 칸 밀리면서 소정각도로 회전조절판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조절판과 연결된 상기 메거진(25)이 현동하여 소정각도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거진(25)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수납홈(26)에 이웃한 다른 수납홈(26)이 상기 틈(31)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수납홈(26)에 수납된 다른 파이프(100)가 낙하하게 된다. 따라서, 파이프(100)는 상기 메거진(25)으로부터 규칙적으로 이탈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수직프레임(11)의 일측에는 상기 수직프레임(11)에 수직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틈(31)의 하측까지 연장되도록 브라켓(22)이 설치되고, 상기 브라 켓(22)의 일단부에는 가이드(23)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23)의 일측에는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로케이터(35)가 설치되고, 상기 로케이터(35)의 하측에는 로케이터 실린더(50)가 구비되어 상기 로케이터 실린더(50)에 의해 상기 로케이터(35)는 상하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로케이터(35)의 상단부에는 하방향으로 소정의 홈(3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로케이터(35)는 상기 수납홈(26)이 소정각도씩 이동할 때마다 상방향으로 이동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하여, 상기 틈(31)을 통하여 수납홈(26)에 수납되어 있던 파이프(100)가 낙하하게 되면, 상기 파이프(100)의 수직 하방에 위치하는 상기 로케이터(35)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상기 홈(36)에 상기 파이프(100)가 안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로케이터(35)는 상기 파이프(100)가 상기 홈(36)에 안착된 후 상향으로 이동됨이 바람직하나, 상기 파이프(100)가 안착 전에 상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로케이터(35)가 상향을 이동된 후에 상기 홈(36)에 상기 파이프(100)가 안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중앙프레임(13)의 하측에는 상기 중앙프레임(13)과 같은 방향으로 동력이 전달되는 실린더(46)가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46)의 일단부에는 푸셔(40)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푸셔(40)는 상기 로케이터(35)가 상방향으로 이동된 후 상기 홈(36)에 안착되는 상기 파이프(100)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하여, 상기 수납홈(26)으로부터 낙하된 상기 파이프(100)의 일단부는 상기 푸셔(40)에 의해 밀려져서 상기 파이프(100)가 일정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관 공급장비의 수납장치와 제1이송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작동상태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관 공급장비의 제1이송장치의 이송과정을 나타낸 작동상태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관 공급장비의 제1이송장치와 제2이송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작동상태도이고,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관 공급장비의 이송장치와 공급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5a 내지 도 8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프 프레임(10)의 상면 일측에는 제1실린더(71)가 설치되고, 상기 제1실린더(71)의 일단부는 상기 수납장치(20)로부터 상기 공급장치(130) 방향으로 설치되는 가로레일(72)을 따라 이동되는 가로블럭(73)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가로블럭(73)의 상측에는 평평한 가로베이스(65)가 구비되고, 상기 가로베이스(65)의 상면에는 파이프(100)를 파지할 수 있는 다수개의 이송구(61)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수납홈(26)으로부터 낙하하여 이탈된 파이프(101)는 상기 제1이송장치(70)에 의해 파지된다. 여기서, 상기 제1이송장치(70)는 상기 파이프(101)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두 개의 이송구(61)로 구성되며, 상기 이송구(61)는 몸체(63)와 상기 몸체(63)의 양측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클램프(62)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제1이송장치(70)의 이송구(61)는 두 개 이상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1이송장치(70)가 설치되는 상기 가로베이스(65)의 측면에는 제2이송장치(8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2이송장치(80)를 구성하는 이송구(61)는 상기 제1이송장치(70)의 이송구(61)와 대응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로베이스(65)의 하측에는 세로베이스(95)가 구비되고, 상기 세로베이스(95)의 상면 일단부에는 이송구(61)가 설치되고, 타단부에는 집게(99)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구(61)와 상기 집게(99)는 상기 제2이송장치(80)를 구성하는 상기 이송구(61)를 연결하는 연결선의 연장선상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집게(99) 대신에 이송구(61)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기 파이프(101)가 낙하하여 상기 로케이터(도 4a의 35)에 안착되면 상기 제1이송장치(70)를 구성하는 이송구(61) 양측의 상기 클램프(62)가 회전하여 상기 파이프(101)를 파지한다. 상기 클램프(62)가 상기 파이프(101)를 파지한 후, 상기 로케이터(35)는 하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제1실린더(71)가 가압함에 따라, 상기 가로블럭(73)은 상기 가로레일(72)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제1이송장치(70)에 의해 상기 파이프(101)는 가로방향으로 이송된다. 이때, 제3이송장치(90)를 형성하는 이송구(61)의 클램프(62)는 개방되어 있는 상태이고, 상기 이송구(61)에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상기 집게(99)도 개방된 상태임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하여, 상기 제1이송장치(70)는 상기 제3이송장치(90)와 일직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이송장치(70)가 이동한 후, 작동실린더(134)가 가압되면서 상기 내측수직롤러(141)가 수직위치로 회전된다. 그리고, 공급실린더(137)가 가압되면서 상기 상부수평롤러(135)는 수직레일(138)을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제1이송장치(70)와 상기 제2이송장치(80)의 상기 클램프(62)가 각각 개방되고, 상기 제3이송장치(90)의 클램프(62)와 상기 집게(99)는 닫히면서 상기 파이프(101)를 파지한다. 여기서, 상기 파이프(101)에 접하는 상기 클램프(62)와 상기 집게(99)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접촉면은 라운드지거나,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등 상기 접촉면의 형상에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파이프(101)에 대한 파지효과가 증가될 수 있는 형상이면 무방하다.
또한, 상기 제1실린더(71)가 수축하면서 상기 제1실린더(71)에 연결된 상기 가로블럭(73)이 상기 수납장치(20) 쪽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가로베이스(65)도 상기 수납장치(20) 쪽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실린더(134)가 감압하면서 상기 내측수직롤러(141)가 하향 회전하고, 상기 공급실린더(137)가 감압하면서 상기 상부수평롤러(135)가 상향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이송장치(70)와 상기 제2이송장치(80)의 클램프(62)가 닫히면서 상기 제1이송장치(70)의 클램프(62)는 상기 메거진(25)으로부터 낙하한 파이프(102)를 파지하게 되고, 상기 제2이송장치(80)의 클램프(62)는 상기 제3이송장치(90)에 의해 파지된 상기 파이프(101)를 파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3이송장치(90)의 상기 클램프(62)와 상기 집게(99)는 개방되고, 상기 가로베이스(65)가 다시 가로이동되면서 상기 제1이송장치(70)는 상기 제3이송장치(90)의 상기 이송구(61)와 사기 집게(99)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제2이송장치(80)는 상기 공급장치(130)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이송장치(70)와 상기 제2이송장치(80)의 상기 클램프(62)가 개방되고, 상기 제1이송장치(70)에 의해 이송된 상기 파이프(102)는 상기 제3이송장치(90)의 상기 클램프(62)와 상기 집게(99)가 닫히면서 파지된다. 또한, 상기 제2이송장치(80)에 의해서 이송된 상기 파이프(101)는 상기 공급장치(130)의 상기 공급롤러(131)에 위치되어 상기 교정기(250)로 이송되는 과정이 반복됨으로써, 상기 파이프(100)의 공급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상부수평롤러(135)의 외주면에 우레탄을 코팅함으로써, 상기 하부수평롤러(136)의 사이에 내재되는 상기 파이프(101)에 대한 압착력을 높여 상기 파이프(101)의 이송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101)의 일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는 지지롤러(160)의 상부에 놓여짐으로써, 상기 파이프(101)의 휨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관 공급장비의 축관과정을 나타낸 작동예시도이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파이프(101)가 상기 공급장치(130)로 이송되기 전에 상기 제3이송장치(90)에 의해 상기 파이프(101)의 일단부에 대한 축관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3실린더(91)가 가압됨에 따라서, 세로레일(92)을 따라 세로블럭(93)이 이동하게 되고, 상기 세로블럭(93)과 연결된 상기 세로베이스(95)가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세로베이스(95)의 상측에 설치된 제3이송장치(90)에 의해 파지된 상기 파이프(101)의 일단부는 상기 축관펀치(115)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축관펀치(115)의 내측 형상에 따라 상기 파이프(101)의 일단부는 축관된다. 또한, 상기 제3실린더(91)가 감압되어 상기 세로베이스(95)가 원위치 로 이동된 후, 상기 제3이송장치(90)의 상기 클램프(62)는 개방되고, 상기 파이프(100)는 상기 제2이송장치(80)에 의해 파지되어 상기 공급장치(130)로 이송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강관 공급장비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메거진에 다수개의 파이프를 수납해 놓으면 상기 파이프는 이송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교정기에 공급될 수 있어 작업자의 부하가 감소될 수 있다.
둘째, 상기 파이프는 자동으로 축관되고 교정기로 공급됨으로써, 강관 제작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이 감소하고,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안전사고도 예방될 수 있다.
셋째, 작업자는 강관을 메거진에 수납하는 작업만 수행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생산 공정에 얽매이지 않아도 되어 다른 공정에 투입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생산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Claims (6)

  1.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위치하고 다수개의 파이프가 수납되는 원통형상의 메거진과, 상기 파이프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메거진의 외측으로 설치되는 수납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납장치;
    상기 수납장치로부터 이탈된 상기 파이프가 직관교정되기 위하여 다수개의 교정롤러로 이루어지는 교정기에 공급되도록 다수개의 공급롤러가 설치되는 공급장치; 그리고
    상기 수납장치로부터 배출된 상기 파이프를 상기 공급장치로 이송하는 이송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강관 공급장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거진의 외주면에는 상기 메거진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상기 파이프가 수용되도록 소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수납홈이 형성되고, 상기 메거진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파이프가 낙하하여 이탈되도록 상기 수납커버의 하단부 일측에는 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공급장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는
    상기 수납장치로부터 배출된 상기 파이프를 이송하는 제1이송장치; 그리고
    상기 제1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된 상기 파이프를 상기 공급장치로 이송하는 제2이송장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공급장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거진으로부터 이탈된 상기 파이프가 상기 공급장치로 이송되기 전에 상기 파이프의 일단부가 축관되도록 축관펀치가 구비되는 축관장치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공급장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장치와 제2이송장치의 사이에는 상기 제1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된 상기 파이프의 일단부가 축관되도록 상기 파이프를 상기 축관펀치로 가압하고 탈거하는 제3이송장치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공급장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에는 다수개의 클램프가 구비되되, 상기 파이프에 접촉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클램프의 일부분에는 상기 파이프를 잡을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공급장비.
KR1020060053096A 2006-06-13 2006-06-13 강관 공급장비 KR100719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3096A KR100719869B1 (ko) 2006-06-13 2006-06-13 강관 공급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3096A KR100719869B1 (ko) 2006-06-13 2006-06-13 강관 공급장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9869B1 true KR100719869B1 (ko) 2007-05-18

Family

ID=38277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3096A KR100719869B1 (ko) 2006-06-13 2006-06-13 강관 공급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98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162490A (zh) * 2024-05-14 2024-06-11 常州润来科技有限公司 割枪专用铜材管拉拔成型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86733U (ko) 1974-12-28 1976-07-12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86733U (ko) 1974-12-28 1976-07-12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162490A (zh) * 2024-05-14 2024-06-11 常州润来科技有限公司 割枪专用铜材管拉拔成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39635B2 (en) Gripper head for gripping arrangements for manipulating long workpieces, device for feeding long workpieces into and removing same from a processing machine and method for bend-straightening long workpieces
CN103228373B (zh) 用于长工件的矫直机和对此的输入和输出设备以及用于对长工件进行矫直的方法
KR100477045B1 (ko) 금속파이프제조시스템
JP6014403B2 (ja) ワイヤ端部を加工ユニットに送り出す装置および方法
JP6289127B2 (ja) 丸管の切断装置および切断方法
US11344939B2 (en) Device for calibrating and straightening hollow components and method using such a device
KR100860092B1 (ko) 자동차의 배관용 보호튜브의 자동 절단 및 삽입장치
CN210059426U (zh) 一种折弯机
JP2008296244A (ja) 鋼棒の加工装置
KR20120015473A (ko) 파이프 정관기
CN112157144A (zh) 一种具有送料防滑结构的液压板料折弯机
CN115415430A (zh) 一种钣金件自动化生产系统及生产工艺
EP1855820B1 (en) Bending apparatus for bar-like metal sections
KR100719869B1 (ko) 강관 공급장비
CN219541906U (zh) 一种棒材切断平头设备
CN107030517B (zh) 轴承套圈数控机床
US6044682A (en) Wire product manufacturing apparatus
KR100908426B1 (ko) 후판 자동 육면 면취기
CN110112871B (zh) 电机定子的自动化生产线
KR100836678B1 (ko) 슬리브 자동이송장치
US5479839A (en) Method for cutting tubes, where tubes are moved into the cutting position by a rotatable clamping plate
WO2022249216A1 (en) Loading assembly for oblong, in particular metallic, elements.
JP4379892B2 (ja) 2ヘッドバンドカッティング装置
CN210172806U (zh) 电机定子的焊接装置
CN209753860U (zh) 全自动弯框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