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8869B1 - 금속 리브관 - Google Patents

금속 리브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8869B1
KR100718869B1 KR1020070000580A KR20070000580A KR100718869B1 KR 100718869 B1 KR100718869 B1 KR 100718869B1 KR 1020070000580 A KR1020070000580 A KR 1020070000580A KR 20070000580 A KR20070000580 A KR 20070000580A KR 100718869 B1 KR100718869 B1 KR 100718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
tube
metal
fitting piece
spi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0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화
Original Assignee
대한강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강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한강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0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88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8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8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vention Of Electric Corro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리브관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각 부위에 대한 부식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금속 리브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둘레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선형 리브가 돌출 형성된 관체; 단면이 상기 나선형 리브의 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나선형 리브의 내부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나선형 리브의 내부 공간을 상기 관체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구획하는 끼움편; 그리고, 상기 끼움편과 상기 나선형 리브 간의 결합에 의해 생성되는 틈새를 덮도록 형성된 씰링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리브관이 제공된다.
금속 리브관, 나선형 리브, 끼움편, 씰링부재, 전기방식부, 마그네슘 판재

Description

금속 리브관{steel ribbed pip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금속 리브관의 외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금속 리브관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금속 리브관의 외관 구조의 다른 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금속 리브관의 내부 구조의 다른 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금속 리브관의 외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금속 리브관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금속 리브관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관체 110. 경계부위
120. 나선형 리브 200. 끼움편
300. 씰링부재 400. 전기방식부
본 발명은 금속 리브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평판상의 아연도금강판을 나선형으로 말아서 원통형으로 성형됨과 더불어 그 둘레에는 나선형의 리브가 형성된 주름형 강관을 부식으로부터 안전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금속 리브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항만, 하수처리시설 등에서 유체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주로 콘크리트로 만들어지는 흄관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흄관은 자체의 중량이 무거운 등 여러가지 단점이 있어서, 운반 및 취급시 중장비의 투입이 요구되고 시공시에도 여러가지 불편한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흄관은 강도는 어느 정도 확보되지만 외부의 충격에 약하기 때문에 균열되거나 손상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아연도금강판 등의 금속판을 이용한 금속관을 사용하는 추세이다. 그리고 도 1에는 이와 같은 종래의 금속관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금속 파이프(10)는, 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리브(1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리브(12)는 금속관에서 나선형으로 연장 성형되어 금속관 자체에 소정의 강도를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리브(12)의 나선 각(helix angle)은 실질적으로 금속관의 직경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된다.
상기 리브(12)는 금속관(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상기 리브(12)로 인한 내부의 유체 유동의 비효율성을 제거하기 위하여, 등록특허공보 제10-0555358호와 같이 상기 리브(12)의 내측에 보강부재(14)를 끼워 넣음으로써 유체 유동을 더욱 원활하게 하는 구성이 제시되고 있다.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금속 리브관은 아연도금강판으로 구성됨을 고려할 때 특정 부위의 손상이 야기되어 해당 부위의 도금막이 파손될 경우 아연이 가지는 희생방식 효과에 의해 해당 부위의 아연이 녹으면서 재차적인 도금막을 형성하기 때문에 그의 부식은 방지된다.
그러나, 상기한 희생방식 효과는 무한정 제공받을 수는 없으며, 장시간이 지난 이후에는 상기 아연의 소진에 의해 더 이상의 희생방식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해당 부위의 부식이 발생될 수밖에 없다.
특히, 전술한 종래 기술은 상기 리브의 내측에 결합되는 보강부재와 상기 리브 간의 틈새를 통해 이물질이나 물 등의 유입이 이루어질 문제점이 컸으며, 이로 인해 상기 물이나 이물질 등이 상기 리브 내측 부위에 고이게 됨으로써 해당 부위의 부식을 야기하게 된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리브가 형성된 부위에 대한 부식 발생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아연도금강판의 아연을 이용한 희생방식 이외에도 금속 리브관의 부식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별도의 구조를 추가함으로써 상기 금속 리브관의 부식 발생을 최소화하여 그 수명을 더욱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금속 리브관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금속 리브관은 둘레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선형 리브가 돌출 형성된 관체; 단면이 상기 나선형 리브의 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나선형 리브의 내부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나선형 리브의 내부 공간을 상기 관체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구획하는 끼움편; 그리고, 상기 끼움편과 상기 나선형 리브 간의 결합에 의해 생성되는 틈새를 덮도록 형성된 씰링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관체는 아연도금강판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끼움편은 일반 금속에 마그네슘 도금된 것 혹은, 마그네슘 판재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씰링부재는 상기 끼움편과 상기 나선형 리브 간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틈새만을 감싸도록 형성하거나 혹은, 상기 끼움편 전체가 상기 관체의 내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끼움편이 삽입 결합되는 부위 전부를 감싸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함께, 상기 씰링부재는 다공질 씰링재와 마그네슘(Mg) 분말을 혼합하여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나선형 리브의 내부 공간에는 전기방식(電氣放蝕) 작용에 의해 관체의 부식을 방지하는 전기방식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기방식 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그네슘 판재 혹은, 마그네슘 분말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금속 리브관은 그 둘레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선형 리브가 형성된 관체; 상기 관체에 형성된 나선형 리브의 내부에 삽입 결합되면서 상기 나선형 리브의 내부 공간을 상기 관체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구획하는 끼움편; 그리고, 상기 나선형 리브와 끼움편 사이의 공간상에 구비되면서 전기방식(電氣放蝕) 작용에 의해 관체의 부식을 방지하는 전기방식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관체는 아연도금강판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끼움편은 일반 금속에 마그네슘 도금된 것 혹은, 마그네슘 판재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기방식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그네슘 판재 혹은, 마그네슘 분말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금속 리브관은 그 둘레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선형 리브가 형성된 관체; 그리고, 상기 관체에 형성된 나선형 리브의 내부에 삽입 결합되면서 상기 나선형 리브의 내부 공간을 상기 관체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구획하며, 전기방식(電氣放蝕) 작용에 의해 관체의 부식을 방지하도록 마그네슘 판재 혹은, 마그네슘이 도금된 금속으로 형성된 끼움편: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전술한 본 발명의 금속 리브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금속 리브관은 첨부된 도 1 및 도 2와 같이 크게 관체(100)와, 끼움편(200) 및 씰링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관체(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관체(100)는 금속 리브관의 몸체를 이루는 부위로써, 아연도금강판을 나선형으로 말아서 형성되며, 이때, 상기 말린 부위 간의 경계부위(110)는 락심(lock seam) 연결된다.
또한, 상기한 관체(100)에는 그 둘레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선형 리브(120)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한 나선형 리브(120)의 단면은 일측(관체의 내벽면 측)이 개구된 사각형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물론, 상기 나선형 리브(120)는 사다리꼴이나 여타의 다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한 나선형 리브(120)는 다수개가 제공될 경우 그 시작단의 위치가 서로 다르게 결정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체(100)의 일단 중 그 시작단의 위치가 서로 등분(等分)된 부위로 각각 결정된다.
다음으로, 상기 끼움편(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끼움편(200)은 상기 관체(100)에 형성된 나선형 리브(120)의 내부 공간을 상기 관체(10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구획하기 위한 일련의 구성이며, 상기 나선형 리브(120)의 내부에 삽입 결합된다.
특히, 상기한 끼움편(200)은 그 단면이 상기 나선형 리브(120)의 단면 형상 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나선형 리브(120)와 같이 끼움편(200)의 단면은 대략 일측이 개구된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개구된 일측은 상기 나선형 리브(120)의 내측벽을 향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한 끼움편(200)의 구성에 의해 상기 나선형 리브(120)의 내부는 소정의 공간을 가지되, 상기 관체(100)의 내부 공간과는 구획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씰링부재(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씰링부재(300)는 상기 끼움편(200)이 상기 나선형 리브(120) 내에 결합될 경우 서로 간의 사이에 발생되는 틈새를 덮도록 형성되는 일련의 구성이다.
이때, 상기 씰링부재(300)는 첨부된 도 1 및 도 2와 상기 끼움편(200)과 상기 나선형 리브(120) 간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틈새만을 덮도록 형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첨부된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기 틈새뿐만 아니라 상기 끼움편(200) 전체가 상기 관체(100)의 내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끼움편(200)이 삽입 결합되는 부위 전부를 덮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한 씰링부재(300)는 상기 틈새만을 덮도록 형성될 뿐 아니라 첨부된 도 1 및 도 3과 같이 관체(100)의 양 끝단인 나선형 리브(120)의 시작 부위 및 끝 부위(도시는 생략됨)에 대한 외측 부위도 덮을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해당 부위를 통해 물이나 이물질이 침투됨을 방지하도록 구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결국,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금속 리브관의 구성은 나선형 리 브(120)와 끼움편(200) 사이의 틈새가 상기 씰링부재(300)에 의해 외부 환경으로부터 완전히 차단된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해당 부위를 통한 물이나 이물질의 침투가 방지되고, 이로 인해 상기 금속 리브관 내의 부식은 방지된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일련의 구성 중 씰링부재(300)는 다공질의 씰링재와 마그네슘 분말을 혼합하여 금속 리브관에 전기방식(電氣放蝕) 효과를 부가함으로써 상기 금속 리브관이 더욱 오랜 기간 동안 부식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즉, 관체(100)가 아연도금강판으로 형성됨에 따라 희생방식 효과에 의해 그 부식이 최대한 방지됨과 더불어 상기 마그네슘에 의한 전기방식 작용이 추가로 이루어지면서 관체(100)의 부식을 더욱 안정적으로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전기방식 작용이라 함은 상기 관체(100)에 부동상태(不動牀態)가 되는 전위를 제공함으로써 부식을 방지하는 작용을 의미하며, 상기 마그네슘은 이온화경향이 큰 금속이고, 실질적으로 상기 관체(100)와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임을 고려할 때 관체(100)가 매장되는 대지(大地)로부터 제공되는 음극(陰極)의 전류에 의해 그 용해가 이루어지면서 상기 관체(100)에 도금된 아연과 함께 상기 관체(100)의 부식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금속 리브관의 외관 구조 및 내부 구조가 도시되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금속 리브관은 관체(100)의 나선형 리브관(120) 내에 끼움편(200)이 삽입 결합된 일련의 구성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기 방식부(40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제시한다.
이때, 상기 전기방식부(400)는 상기 나선형 리브(120)와 끼움편(200) 사이의 공간상에 구비되면서 전기방식(電氣放蝕) 작용에 의해 관체의 부식을 방지하는 일련의 구성이다.
특히,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전기방식부(400)를 마그네슘 판재로 형성하고, 이러한 마그네슘 판재를 상기 나선형 리브(120)와 끼움편(200)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에 내장함으로써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전기방식부(400)인 마그네슘 판재는 상기 나선형 리브(120) 혹은, 끼움편(200)을 통해 관체(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임에 따라 관체(100)가 매장되는 대지(大地)로부터 제공되는 음극(陰極)의 전류에 의해 그 용해가 이루어지면서 상기 관체(100)에 도금된 아연과 함께 상기 관체(100)의 부식을 방지하게 된다.
물론, 전술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일련의 구성 중 상기 끼움편(200)을 마그네슘이 도금된 금속으로 구성하거나 혹은, 마그네슘 판재로 구성함으로써 전술한 전기방식부(400)의 제공에 따른 효과에 추가하여 부식을 더욱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첨부된 도 7과 같이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방식부(400)의 구성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금속 리브관의 구성에 추가하여 구성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씰링부재(300)에 의해 나선형 리브관(120)과 끼움편(200) 사이의 틈새를 통한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리브관(120)과 끼움편(200)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에 전기방식부(400)를 추가로 제공하여 상기 전기방식부(400)의 전기방식 작용으로 인해 관체(100)의 부식이 더욱 안정적으로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전술한 전기방식부(400)는 통상의 금속에 마그네슘 도금을 한 판재로 구성될 수도 있고, 마그네슘이 함유된 합금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일반적인 다공성 재질에 마그네슘 분말을 함유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씰링부재(300)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방식부(400)를 추가로 제공하지 않고, 끼움편(200) 자체를 마그네슘이 도금된 금속으로 구성하거나 혹은, 마그네슘 판재로 구성함으로써 관체(100)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금속 리브관은 후술하는 바와 같은 각종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금속 리브관은 씰링부재를 이용하여 나선형 리브와 끼움편 간의 틈새를 밀폐함으로서 상기 틈새를 통한 이물질이나 수분의 침투가 방지되어 상기 나선형 리브 내측이 부식됨을 방지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금속 리브관은 전기방식부에 의해 관체의 방식 성능을 향상시킴으로써 금속 리브관의 수명이 증가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금속 리브관은 전기방식부와는 별도로 끼움편을 마그 네슘 판재 혹은, 마그네슘 도금된 금속으로 형성하거나 씰링부재에 마그네슘 분말을 함유하도록 한 일련의 구성에 의해 관체의 방식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Claims (15)

  1. 둘레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선형 리브가 돌출 형성된 관체;
    단면이 상기 나선형 리브의 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나선형 리브의 내부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나선형 리브의 내부 공간을 상기 관체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구획하는 끼움편; 그리고,
    상기 끼움편과 상기 나선형 리브 간의 결합에 의해 생성되는 틈새를 덮도록 형성된 씰링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리브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체는 아연도금강판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리브관.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재는 상기 끼움편 전체가 상기 관체의 내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끼움편이 삽입 결합되는 부위 전부를 감싸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리브관.
  7.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재는 다공질 씰링재와 마그네슘(Mg) 분말을 혼합하여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리브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리브의 내부 공간에는 전기방식(電氣放蝕) 작용에 의해 관체의 부식을 방지하는 전기방식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리브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방식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그네슘 판재 혹은, 마그네슘 분말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리브관.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070000580A 2007-01-03 2007-01-03 금속 리브관 KR100718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580A KR100718869B1 (ko) 2007-01-03 2007-01-03 금속 리브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580A KR100718869B1 (ko) 2007-01-03 2007-01-03 금속 리브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8869B1 true KR100718869B1 (ko) 2007-05-16

Family

ID=38277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0580A KR100718869B1 (ko) 2007-01-03 2007-01-03 금속 리브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886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583B1 (ko) 2009-04-24 2011-06-15 대한강관 주식회사 금속 리브관용 패킹부재 보호 필름 설치 장치
KR101181185B1 (ko) * 2012-05-10 2012-09-18 주식회사 보국산업 친환경 금속리브관
WO2017045426A1 (zh) * 2015-09-18 2017-03-23 南京联众建设工程技术有限公司 双金属螺旋钢管及其制作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650A (en) 1891-10-06 Millampere-meter
KR930004167B1 (ko) * 1984-02-20 1993-05-21 리브 로크 인터내쇼날 리밋티드 나선형 튜우브의 밀폐형성 방법 및 이를 형성하는 스트립
KR950000431Y1 (ko) * 1992-06-11 1995-01-27 김용택 상수도용 내압관
KR950001118Y1 (ko) * 1989-08-03 1995-02-23 민병이 보강 파이프
US5758695A (en) 1995-10-16 1998-06-02 Carson; Ken Hydraulically efficient ribbed pip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650A (en) 1891-10-06 Millampere-meter
KR930004167B1 (ko) * 1984-02-20 1993-05-21 리브 로크 인터내쇼날 리밋티드 나선형 튜우브의 밀폐형성 방법 및 이를 형성하는 스트립
KR950001118Y1 (ko) * 1989-08-03 1995-02-23 민병이 보강 파이프
KR950000431Y1 (ko) * 1992-06-11 1995-01-27 김용택 상수도용 내압관
US5758695A (en) 1995-10-16 1998-06-02 Carson; Ken Hydraulically efficient ribbed pip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583B1 (ko) 2009-04-24 2011-06-15 대한강관 주식회사 금속 리브관용 패킹부재 보호 필름 설치 장치
KR101181185B1 (ko) * 2012-05-10 2012-09-18 주식회사 보국산업 친환경 금속리브관
WO2017045426A1 (zh) * 2015-09-18 2017-03-23 南京联众建设工程技术有限公司 双金属螺旋钢管及其制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O20015677L (no) Fleksibelt metallrör med kammerelement samt fleksibelt rör omfattende slikt metallrör
KR100718869B1 (ko) 금속 리브관
US20120177445A1 (en) Steel pipe piles and pipe pile structures
JP2001355774A (ja) 異種金属部材の防食構造
JP2009019490A (ja) 隆起部を有する電柱工事用c型電柱根枷
JP4291716B2 (ja) 鋼構造物の防食構造及び鋼構造物の防食施工方法
CN204081040U (zh) 地漏和沉砂池
KR100593614B1 (ko) 조립식 참호
KR200390732Y1 (ko) 파이프 케이싱
JP2011027196A (ja) 地中埋設用耐圧合成樹脂管
RU2787326C2 (ru) Протектор для защиты от коррозии труб с утяжеляющим покрытием
JP4318376B2 (ja) 不要既設管の処分方法
KR20210093212A (ko) 돌부가 형성된 내부 평활 강관 및 제조방법
KR101062490B1 (ko) 고압케이블용 파이프의 외압 보강 구조
KR20210098936A (ko) 돌부가 형성된 내부 평활 강관 및 제조방법
JPS5848434B2 (ja) チジヨウタンクテイバンガイメンノデンキボウシヨクホウ
KR100661609B1 (ko) 피복형 하수관
KR200357130Y1 (ko) 조립식 참호
JP7271290B2 (ja) 更生帯材
KR101038651B1 (ko) 전선관용 파이프의 선택적인 보강 구조
JP7194065B2 (ja) 電気防食用電極装置及び地中埋設金属体の電気防食構造
JP6971035B2 (ja) 配管構造の構築方法
KR102033464B1 (ko) 레진 난형관
KR200376609Y1 (ko) 파형강관의 이음 연결구조
KR0135801Y1 (ko) 배수로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2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0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5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5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2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0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2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10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08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07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