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8713B1 - 더빙장치 및 더빙방법 - Google Patents

더빙장치 및 더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8713B1
KR100718713B1 KR1020000072668A KR20000072668A KR100718713B1 KR 100718713 B1 KR100718713 B1 KR 100718713B1 KR 1020000072668 A KR1020000072668 A KR 1020000072668A KR 20000072668 A KR20000072668 A KR 20000072668A KR 100718713 B1 KR100718713 B1 KR 100718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bbing
data
recording medium
track
f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2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2565A (ko
Inventor
오자와히로유키
타부치타츠히토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82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2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8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8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11B27/3063Subcod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1/0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11/1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 G11B11/105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using a beam of light or a magnetic field for recording by change of magnetisation and a beam of light for reproducing, i.e. magneto-optical, e.g. light-induced thermomagnetic recording, spin magnetisation recording, Kerr or Faraday effect reproducing
    • G11B11/10502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using a beam of light or a magnetic field for recording by change of magnetisation and a beam of light for reproducing, i.e. magneto-optical, e.g. light-induced thermomagnetic recording, spin magnetisation recording, Kerr or Faraday effect reproducing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operation to be execut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1/0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11/1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 G11B11/105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using a beam of light or a magnetic field for recording by change of magnetisation and a beam of light for reproducing, i.e. magneto-optical, e.g. light-induced thermomagnetic recording, spin magnetisation recording, Kerr or Faraday effect reproducing
    • G11B11/1059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8Re-recording, i.e. transcribing information from one optical record carrier on to one or more similar or dissimilar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20/10833Copying or moving data from one record carrier to anoth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25Magneto-optical [MO] discs
    • G11B2220/2529Mini-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Abstract

제 1 기록매체에서 제 2 기록매체로 고속 더빙의 처리시에 소정의 기간 동안 고속 더빙을 한 번 완료한 데이터의 다음 고속 더빙을 금지할 수 있는 더빙장치에 있어서, 그러한 데이터는 고속으로 더빙 될 수 없으나 데이터를 다시 고속 더빙하라는 요구에 응답하여 소정의 기간 동안 통상의 속도로 더빙 될 수 있다. 따라서 한 번에 복수의 기록매체의 데이터를 복사하는 조작을 금지하는 저작권을 보호하는 더빙장치의 목적을 성취할 수 있다.
사용자가 데이터의 고속 더빙을 수행하도록 명령을 다시 내리면, 소정의 기간 동안 한 번 고속 더빙된 데이터의 고속 더빙은 일단 연기된다. 소정의 기간 동안 고속 더빙되지 않은 데이터는 소정의 기간 동안 한 번 고속 더빙된 데이터에 앞서 고속으로 더빙된다.
더빙, 재더빙, 고속더빙, 시스템 제어기

Description

더빙장치 및 더빙방법{Dubbing apparatus and dubbing method}
도 1a는 더빙 소스로 사용하는 재생전용 기록매체 CD에 저장된 트랙 중에서 트랙(Tr3)만을 고속으로 더빙하기 위한 처리를 나타내는 설계도이다.
도 1b는 도 1a 다음에 더빙 소스로 사용하는 재생전용 기록매체 CD에 저장된 모든 트랙을 고속으로 더빙하기 위한 처리를 나타내는 설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더빙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a는 기록 가능한 기록매체 MD의 각 기록부인 클러스터를 기술하기 위해 사용된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b는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섹터를 기술하기 위해 사용된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c는 음향 그룹을 기술하기 위해 사용된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d는 음향 그룹을 기술하기 위해 사용된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e는 음향 프레임을 기술하기 위해 사용된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기록 가능한 기록매체 MD의 관리정보를 저장하기 위해서 U-T0C(Table of Contents)섹터 0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기록 가능한 기록매체 MD상의 불연속의 기록 가능한 기록영역을 연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설계도이다.
도 6은 재생전용 매체 CD의 프레임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a는 재생전용 매체 CD의 블록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b는 재생전용 매체 CD에 기록된 서브-코드정보의 Q채널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a는 도 7a에 나타낸 Q채널의 데이터가 리드-인 영역에 기록된 경우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b는 도 7b에 나타낸 Q채널의 데이터가 리드-인 영역에 기록된 경우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재생전용 매체 CD의 리드-인 영역에 기록된 TOC에 포함된 데이터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10a는 재생전용 매체 CD의 모드 1에서 Q채널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10b는 재생전용 매체 CD의 모드 2에서 Q채널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10c는 재생전용 매체 CD의 모드 3에서 Q채널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10d는 기록 가능한 기록매체 MD에서 Q채널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11은 알파벳 문자와 2진법 및 8진법 형식으로 표현된 그 대응하는 수치코드의 표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12는 메모리에 저장된 HCMS표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13은 HCMS관리하에 있는 트랙이 HCMS관리에서 제외된 트랙과 동시에 존재하는 재생전용 매체 CD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해 실행된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a는 재생 소스로 사용되는 재생전용 매체 CD에 기록된 트랙을 나타내는 설계도이다.
도 15b는 기록 목표로 사용되는 기록 가능한 기록매체 MD의 기록영역을 나타내는 설계도이다.
도 16a는 더빙 개시 이전에 HCMS 관리표메모리에 기록된 목록 데이터의 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6b는 제 1트랙(Tr1)의 고속 더빙을 종료한 후 HCMS 관리표메모리에 기록된 목록 데이터의 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6c는 제 1트랙(Tr3)의 고속 더빙을 종료한 후 HCMS 관리표메모리에 기록된 목록 데이터의 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6d는 제 5∼제 10트랙(Tr5∼Tr10)의 고속 더빙을 종료한 후 HCMS 관리표메모리에 기록된 목록 데이터의 표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16e는 제 2트랙(Tr2)의 고속 더빙을 종료한 후 HCMS 관리표메모리에 기록된 목록 데이터의 표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17a는 기록 가능한 기록매체 MD상에서 더빙된 트랙을 나타내는 설계도이다.
도 17b는 트랙 재구성 처리이전에 기록 가능한 기록매체 MD상에서 더빙된 트랙의 순서를 나타내는 설계도이다.
도 17c는 트랙 재구성 처리이후에 기록 가능한 기록매체 MD상에서 더빙된 트랙의 순서를 나타내는 설계도이다.
도 18은 재생전용 매체 CD에서 기록 가능한 기록매체 MD까지의 더빙 순서를 나타내는 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트랙 재구성 처리이전에 U-TOC섹터 0에서 포인터 표 및 관리 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0은 트랙 재구성 처리이후에 U-TOC섹터 0에서 포인터 표 및 관리 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해 실행된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문에 대한 부호설명
12. 메모리 제어기 13. 버퍼 메모리
58. 디지털 입력 PLL 회로 22. HCMS 관리표 메모리
90. MD
본 발명은 더빙장치 및 더빙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빙될 프로그램에 대해서 관리 기능을 전형적으로 실행함으로써 저작권 보호를 실행할 수 있다.
최근에, CD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재생장치로서 기능하는 CD(Compact Disc)재생기가 보급되고 있다. 게다가, 오디오 데이터가 기록되고 재생되는 MD(mini disc) 등의 디스크 매체 및 그러한 디스크 매체용 기록/재생장치가 또한 보급되고 있다.
또한, 다른 구성 요소중에서 CD재생기 및 MD용 기록/재생장치로서 사용하는 MD기록기/재생기를 결합하는 오디오 시스템이 또한 보급되고 있다.
그런데, CD재생기 및 MD기록기/재생기에 있어서, 오디오 데이터는 각각 소위 프로그램이라 불리는 단위(units)로 제어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기술적인 용어인 프로그램은 디스크에 기록되고 단위로서 제어된 데이터군(data group)을 의미한다. 오디오 데이터의 경우에 있어서, 예를 들면, 프로그램은 음악에 해당된다. 이후에 프로그램은 트랙으로 부른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음악은 트랙으로도 불린다.
일반적으로, 상기 기술된 것과 같은 오디오 시스템에 있어서, CD재생기에 의해 CD로부터 재생된 오디오 데이터는 더빙 기록으로 알려진 처리에서 MD기록기/재생기에 의해 MD에 기록될 수 있다.
기록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소위 고속 더빙을 실행할 수 있는 시스템도 있다.
고속 더빙에 있어서, CD재생기에 적용된 디스크회전 구동제어시스템 또는 재생신호 처리시스템은 정상 재생속도보다 고속인 소정의 등배속으로CD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제어된다. 동시에, 시스템이 CD의 배수 재생속도에 대응하는 등배속으로 동작하여 CD재생기에 의해 재생된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MD에 기록하도록 MD기록기/재생기에 적용된 기록신호 처리시스템은 또한 제어된다.
예를 들면, 재생부로서 CD재생기와 기록부로서 MD기록기/재생기를 포함하는 통합장치에 있어서, CD재생기와 MD기록기/재생기가 소정의 등배속으로 동시에 동작하도록 상기 기술된 고속 더빙을 위한 제어를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기록장치에서 개별로 설치된 재생장치를 갖는 개별 성분 시스템에서조차도, 재생장치가 기록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구성을 형성하기 위해 전형적인 제어 케이블을 이용함으로써 재생장치는 기록장치에 접속될 수 있다. 그러한 구성에 있어서, 고속 더빙은 기록장치에 접속된 재생장치의 동작을 동시에 제어함으로써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다. 그러나, 더빙 조작은 작곡가에 의해 창작된 음악 작품 등의 날짜 사본을 생성하고 따라서 작곡가의 권리를 침해한다. 따라서 더빙 조작은 가능하더라도 피할 수 있는 작용으로서 처리되어야 한다. 그러나 고속 더빙을 실행함으로써 시간 단위마다 더빙될 수 있는 트랙의 수는 정상적인 등배속의 더빙으로 얻어지는 것보다 많이 얻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통상적으로 정상적인 것으로 판단된 개인적인 사용 범위를 초과하는 다수의 MD에 대해서 CD 또는 CD에 기록된 트랙을 복사하고 동일한 목적으로 각 사본을 포함하는 MD를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고속 더빙을 실행할 수 있는 경우에, 사용자는 정상적인 등배속의 더빙보다도 더 짧은 시간주기 동안 그리고 더 효율적인 방법으로 다수의 MD에 대해서 CD 또는 CD에 기록된 트랙을 복사할 수 있다. 즉, 고속 더빙은 저작권에 대한 침해를 조장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HCMS(High-speed Copy Management System)이라 불리는 규정이 제안되었다.
HCMS규정에 따르면, CD와 같은 디지털 음악 소스가 고속 더빙으로 MD와 같은 매체에 복사되면, 음악으로서 고속 더빙을 종료하는 트랙의 다음 고속 더빙은 트랙의 고속 더빙이 개시되는 시점 이후의 적어도 74분의 주기 동안 금지된다. CD의 정상적인 최대 총 재생시간이 74분이기 때문에 고속 더빙의 금지 주기는 74분으로 설정된다. CD를 재생하도록 요구된 주기 동안 트랙의 고속 더빙이 금지되기 때문에, 트랙 당 효율적인 더빙은 한 시간 속도 더빙과 거의 동일하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HCMS에 따라서 고속 더빙을 규제하도록 더빙장치가 고안되면, 사용자는 작곡가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더빙을 실행할 수 있다. 명세서가 규정을 위반하지 않는 한 더빙 기능을 가지는 장치의 명세서는 임의적으로 결정될 수 있음에 유념해야 한다.
다음은 HCMS규정에 따라서 고속 더빙을 규제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동작의 일예이다.
더빙 소스로서 사용하는 디스크는 도 1a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데이터를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크는 5개의 기록 트랙(Tr1∼Tr5)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미리 결정된 시간에 고속으로 트랙(Tr3)만을 이미 더빙하였다. 따라서, 트랙(Tr3)은 HCMS관리의 대상으로서 설정된다. 즉, 미리 결정된 시간에 고속 더빙이 개시된 때부터 74분이 경과할 때까지 다음 고속 더빙은 금지된다. 나머지 트랙(Tr1, Tr2, Tr4 및 Tr5)은 HCMS관리의 대상이 되지 않기 때문에 이들 각각은 어떤 다른 시간에 고속으로 더빙될 수 있음에 유념해야 한다.
그러한 환경하에서 도 1a에 나타낸 CD에 기록된 모든 트랙의 더빙을 실행하기 위한 시도에 있어서, 사용자는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CD의 트랙(Tr1)의 재생동작을 개시함으로써 고속 더빙을 개시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CD의 트랙(Tr1∼Tr5)은 트랙번호순으로 순차적으로 재생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트랙(Tr1 및 Tr2)은 HCMS관리의 대상이 되지 않기 때문에 고속으로 잇따라 더빙될 수 있다. 트랙(Tr2)의 고속 더빙의 종료시에, 동작은 HCMS관리의 대상이 되는 트랙(Tr3)을 더빙하도록 다음 단계로 들어간다. 그러나,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CD의 트랙 재생순서에 따라서 고속 더빙의 처리 중에 HCMS관리의 대상이 되는 트랙을 더빙하기 위한 시간에 도달하면, 고속 더빙 동작은 연속적인 더빙 및 기록처리가 실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중지된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은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현재 시각에서 HCMS관리의 제어하에 트랙이 고속 더빙이 되지 않는다. 즉, HCMS규정에 적합한 동작이 실행된다.
그러나 상기 기술된 고속 더빙을 한정적으로 설명하였지만, 트랙(Tr4 및 Tr5)이 HCMS관리의 대상이 되지 않는 것에도 불구하고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재생순서에 따라서 상기 일예의 트랙(Tr3)이후에 트랙(Tr4 및 Tr5)이 고속 더빙되도록 트랙을 더빙하기 위한 기록동작 자체는 정지된다.
그러한 더빙 기능의 제한은 사용자에게는 바람직하지 않으며 더빙 기능의 이용을 과도하게 방해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HCMS의 대상으로 취한 특정한 음악이 음악의 순차적인 고속 더빙 중에 복수의 음악 중에서 발견되면, 특정한 음악을 더빙하고 더빙동작 자체가 중지되도록 시도되는 시점에서 고속 더빙을 정지하도록 하는 제어가 실행되고 HCMS관리의 대상으로 취해진 특정한 음악과 HCMS관리의 대상의 다음에 이어지는 음악을 더빙하기 위한 동작이 금지되는 문제가 일어난다.
삭제
따라서 상기 기술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작가의 저작권을 고려하면서 더빙 기능을 갖는 장치를 사용하는 자유도가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관점에 따르면, 프로그램 단위로 제어된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 1 기록매체에서 제 2 기록매체로 재생된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조작에서 소정속도의 더빙방식보다 짧은 시간주기 내에서 데이터의 더빙이 실행되는 소정속도 더빙방식 또는 고속 더빙방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더빙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더빙장치는 시간 경과를 측정하는 시간측정수단과, 상기 제 1기록매체에 기록되고 고속 더빙을 하기 위해서 프로그램 단위로 제어된 데이터 일부로부터 선택된 특정한 데이터 일부에 대하여 상기 시간측정 수단이 시간측정을 개시하도록 요구하는 시간측정 제어수단과, 상기 제 1 기록매체에 기록되고 고속 더빙을 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단위로 제어된 데이터 일부로부터 선택된 특정한 데이터 일부에 대하여 상기 시간측정 수단에 의해 생성된 시간정보를 저장하는 시간정보 저장수단과, 상기 제 1 기록매체에 기록되고 프로그램 단위로 제어된 상기 데이터 일부로부터 고속 더빙의 대상으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데이터를 선택하는 조작수단과, 고속 더빙의 대상으로서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바와 같이 상기 조작수단에 의해 선택된 특정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시간정보 저장수단에 저장된 시간정보를 조회하고 상기 조회된 시간정보에 따라 상기 소정 속도의 더빙 방식에서 상기 고속 더빙 방식 또는 그 역으로 전환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르면, 프로그램 단위로 제어된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 1 기록매체에서 제 2 기록매체로 재생된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조작에서 소정속도의 더빙방식보다 짧은 시간주기 내에서 데이터의 더빙이 실행되는 소정속도 더빙방식 또는 고속 더빙방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더빙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더빙장치는 상기 제 1 기록매체에 저장되고 정보와 관련된 상기 데이터가 기준으로서 취한 현재 시점에서 과거의 소정 시간주기 동안 고속 더빙이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데 사용된 상기 데이터 중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저장수단과, 상기 제 1 기록매체에 저장되고 상기 고속 더빙을 위해 특정화된 데이터가 상기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고 상기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기준으로 취한 현재 시점으로 과거의 소정 기간 동안 고속 더빙이 이루어졌는지 아닌지에 대하여 판단하는 고속 더빙 판단수단과, 상기 제 1 기록매체에 저장되고 상기 고속 더빙 판단수단에 의해 기준으로서 취한 현재 시점으로 과거의 소정 기간 동안 고속 더빙이 이루어진 데이터로 판단된 데이터를 고속 더빙 진행중인 상태로 할당하고 상기 제 1 기록매체에 저장되고 상기 고속 더빙 판단수단에 의해 우선 순위에 대하여 기준으로서 취해진 현재 시점으로 과거의 소정 기간 동안 고속 더빙되지 않은 데이터로 판단된 데이터에 고속 더빙을 실행하는 기록제어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르면, 제 1 기록매체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그램에 대하여 고속 더빙을 다시 실행하라는 명령에 대한 반응으로서 상기 소정 기간의 경과 종료시까지 기준으로서 취해진 현재 시점으로 과거의 소정 기간 동안 고속 더빙이 행해진 프로그램의 고속 더빙을 금지하는 더빙처리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더빙처리방법은 상기 제 1 기록매체에 저장되고 고속 더빙을 위해 특정된 프로그램이 고속 더빙금지의 대상인지 아닌지에 관해서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 1기록매체에 저장되고, 고속 더빙을 위해 특정되고 고속 더빙금지의 대상으로 판정된 프로그램의 소정 속도 더빙을 허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르면, 제 1 기록매체에 저장되고 프로그램에 대하여 고속 더빙을 다시 수행하라는 명령에 대한 반응으로서 소정의 기간의 경과가 종료할 때까지 기준으로 취해진 현재 시점으로 과거의 소정 기간 동안 고속 더빙이 행해진 프로그램의 고속 더빙을 금지하는 더빙장치의 제 2 기록매체로 제 1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대하여 순차적인 고속 더빙을 수행하는 더빙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록매체에 저장되고 고속 더빙을 하기 위해 특정된 프로그램이 고속 더빙 금지의 대상인지 아닌지를 순차적으로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기록매체에 저장되고 고속 더빙을 하기 위해 특정되고 고속 더빙 금지 대상으로 판단된 프로그램에 고속 더빙이 진행중인 상태를 할당하고, 상기 제 1 기록매체에 저장되고 고속 더빙을 하기 위해 특정되며 우선 순위에 근거하여 과거에 고속 더빙 금지 대상이 아닌 것으로 판정된 프로그램의 고속 더빙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기록매체에 저장되고 고속 더빙 금지 대상이 아닌 것으로 판정된 모든 데이터가 상기 제 2 기록매체로 고속 더빙이 각각 종료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기록매체에 저장되고 고속 더빙 금지 대상이 아니라고 판단된 각각의 모든 프로그램의 상기 제 2 기록매체로의 고속 더빙의 완료에 의거하여 소정의 기간의 경과가 완료된 프로그램 중 하나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제 1 기록매체에 저장되고 고속 더빙 금지 대상으로 판단된 각각의 프로그램을 상기 제 2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더빙처리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기 이외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같은 부품 또는 소자는 같은 도면부호로 나타내어 첨부된 도면과 함께, 다음의 기술 및 첨부된 청구항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된다. 실시예에 의해 실행된 더빙장치에 있어서, 오디오 데이터는 CD로부터 재생될 수 있고, MD로부터 재생될 뿐만 아니라 MD에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CD 로부터 재생된 오디오 데이터를 MD에 기록하도록 소위 더빙 기록처리 하는 구성을 갖는 CD/MD합성기기로서 기능하는 기록 및 재생장치를 이용함으로서 설명된다.
실시예는 다음의 순서로 기술된다.
1. 더빙장치의 구성
2. MD 트랙 형식
3. U - TOC
4. 서브-코드 및 CD의 TOC
5. 실시예의 전형적인 HCMS관리동작
6. 실시예의 더빙동작
6-1. 제 1실시예
6-2. 제 2실시예
1. 더빙장치의 구성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 2의 더빙장치인 MD/CD 복합기계의 구성을 기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더빙장치의 블록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더빙장치에 있어서, MD(90)는 그 MD(9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그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MD부에 장착되며, MO(Magnetic Optical)디스크이다.
MD(90)는 그것에 오디오 데이터가 기록되도록 하는 매체로서 사용된다. MD(90)는 기록 혹은 재생동작 동안에 스핀들 모터(2)에 의해서 회전되도록 구동된다.
광학헤드(3)는 기록헤드나 재생헤드로서 각각 공급하기 위해서 기록 혹은 재생동작 동안에 광자기디스크에 의해서 MD(90)에 레이저빔을 발산한다. 더 상세하게는, 기록동작 동안에, 광학헤드(3)는 기록트랙을 큐리온도(Currie temperature)로 가열시키기 위해서 레이저를 높은 레벨로 출력한다. 한편, 재생동작에 있어서, 광학헤드(3)는 자기 커 효과(magnetic Kerr effect)로 인하여 광학헤드(3)에 의해서 반사되는 빛으로부터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해서 상대적으로 낮은 레벨로 레이저를 출력한다.
상기 이유로 인하여, 광학헤드(3)는 광학 시스템과 반사된 빛을 검출하는 검출기를 갖는다. 광학 시스템은 레이저 다이오드, 편광 빔 스플리터 (polarization beam splitter) 및 대물렌즈(3a)를 포함한다. 대물렌즈(3a)는 광학헤드(3)를 향한 방향 및 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2축 기구(4)에 의해서 유지된다. 나사 기구(thread mechanism)(5)는 광학헤드(3)를 MD(90)의 반경방향으로 전체로서 이동가능하게 유지한다.
자기헤드(6a)는 MD(90)의 다른측에서의 광학헤드(3)의 대응위치에서 유지된다. 자기헤드(6a)는 거기에 공급된 데이터에 의해서 변조된 자기장을 MD(90)에 적용한다.
나사기구(5)는 광학헤드(3)를 따라 반경방향으로 자기헤드(6a)를 이동시킨다.
재생동작에 있어서, MD(90)에 의해서 반사된 빔으로부터 광학헤드(3)에 의해서 검출된 정보가 RF증폭기(7)로 공급된다. RF증폭기(7)는 재생 RF신호, 트래킹-에러 신호, 포커스-에러 신호, 그루브(groove) 정보 등을 추출하면서, 거기에 공급된 정보를 처리한다. 그루브 정보는 MD(90)의 기록트랙인 그루브의 소정의 간격에 생성된 워블(wobble)로서 기록된 절대위치정보이다. 추출된 재생 RF신호는 EFM/CIRC 인코더 및 디코더장치(8)에 공급된다.
트래킹-에러 및 포커스-에러 신호는 서보회로(9)에 공급되는 반면에, 그루브 정보는 복조되기 위해서 어드레스 디코더(10)에 공급된다. 어드레스 디코더(10)에 의해서 실행되는 디코딩처리의 결과로서 얻어진 어드레스 정보, 재생 RF신호에 데이터로서 포함되며 EFM/CIRC 인코더 및 디코더 장치(8)에 의해서 실행되는 디코딩처리의 결과로서 얻어진 어드레스 정보, 서브코드 정보 및 다른 정보들이 다양한 종류의 제어에 사용되기 위해서 MD 제어기(11)에 공급된다. MD제어기(11)는 마이크로컴퓨터이다.
MD제어기(11)가 MD장치에서 다양한 종류의 제어를 실행하기 위한 부재로서 기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서보회로(9)는 RF증폭기(7)로부터 수신된 트래킹-에러 및 포커스-에러신호, MD제어기(11)로부터 수신된 트랙-점프 명령과 액세스 명령 및 스핀들 모터(2)의 회전속도 검출정보에 따라서 다양한 서보구동신호를 생성한다. 다양한 서보구동신호가 2축 기구(4)와 나사 기구(5)를 제어함으로써 포커스제어와 트래킹제어를 실행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스핀들 모터(2)를 일정한 직선속도로 제어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EFM/CIRC 인코더 및 디코더장치(8)에 있어서, 재생 RF신호는 메모리 제어기(12)에 의하여 버퍼메모리(13)에 일시적으로 기억되기 전에 EFM(Eight-Fourteen Modulation) 복조(demodulation)와 CIRC(Cross Interleave Reed Solomon Coding) 디코딩 처리와 같은 처리가 행해진다. 재생 데이터가 MD(90)로부터 광학헤드(3)에 의해서 독출되며, 때때로 1.41 Mbit/sec의 전송속도로 광학헤드(3)로부터 버퍼 메모리(13)로 전송되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버퍼 메모리(13)에 기억된 재생 데이터는 0.3 Mbit/sec의 전송속도에 대응하는 타이밍으로 독출되며, 재생 데이터가 오디오 압축의 대응부 및 16비트 양자화로서 사용하는 디코딩처리 등의 재생신호처리로 되는 오디오 압축/감압 인코더 및 디코더 장치(14)에 공급되고, 44.1KHz의 샘플링 속도에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된다. 전환회로(50)의 단말 TMD에 연속적으로 공급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는 데이터를 아날로그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는 D/A변환기(15)에 공급된다.
MD(90)의 재생조작에 있어서, 전체 더빙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제어기(21)는 단말 TMD에서 전환회로(50)를 설정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오디오 압축/감압 엔코더 및 디코더(14)로 출력된 신호를 D/A변환기(15) 수단에 의해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한 결과로서 구해진 재생 오디오신호는 전환회로(50), 용량 조정부(51) 및 전원공급기(52)를 거쳐서 스피커(53)로 공급된다. 스피커(53)는 출력음으로서 재생 오디오신호를 출력한다.
버퍼메모리에 대해서 재생 오디오데이터를 기입 또는 독출하기 위한 조작은 각각의 기입 포인터 및 독출 포인터를 제어함으로써 메모리 제어기(12)에 의해 실행되며 그것은 버퍼 메모리(13)내에서 액세스 어드레스를 지정한다. 상기 기술 된 기록조작의 비트율보다 큰 기입 조작의 비율을 이룸으로써, 버퍼 메모리(13)는 어떤 등급에 고정된 양으로 남겨진 데이터를 갖는 평행상태를 항상 유지한다. 그러나. 기입조작이 간헐적으로 실행되기 때문에, 재생 오디오 데이터는 버퍼 메모리(13)를 과도하게 흐르지 않는다.
이와 같이 버퍼 메모리(13)를 통해서 재생 오디오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재생 오디오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조작은 외부적인 방해로 인해 광학헤드(3)가 기록트랙에서 벗어나는 경우에도 결코 중지되지 않는다. 이것은 CD(91)에서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조작을 재개하기 위한 위치에 있는 데이터에 액세스하도록 버퍼 메모리(13)에 저장된 재생 오디오데이터가 저장되기 전에 기록트랙의 정확한 위치에 광학헤드가 복구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재생 조작은 재생출력의 영향이 지속될 수 있다. 즉, 더빙장치의 진동방지 특성은 현저하게 개선될 수 있다.
게다가, 기록 및 재생장치는 또한 디지털 인터페이스(54)를 갖는다. 재생조작의 디코딩 결과로서 오디오 압축/감압 엔코더 및 디코더에 의해 생성된 재생데이터는 디지털 인터페이스(54)에 공급된다. 디지털 인터페이스(54)는 다른 정보 중에서 소정의 디지털 인터페이스 형식을 가지는 데이터를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한 재생 조작 중에 추출된 서브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재생 데이터를 엔코드한다. 데이터 스트림은 광 디지털신호로서 디지털 출력단자(56)에 출력될 수 있다. 즉, 재생데이터는 아날로그 신호로 변화하지 않고 디지털 데이터로서 외부장치에 출력될 수 있다.
MD(90)의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하기 조작에 있어서, 기록될 신호인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는 아날로그 입력단자(17)에 공급된다.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는 A/D변환기(18)에 의해 약 1/5로 감소된 그 양을 갖는 압축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오디오 압축 엔코딩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오디오 압축/감압 엔코더 및 디코더부(14)에 공급되기 전에 44.1KHz의 샘플링 속도로 16비트 양자화비트를 갖는 디지털 오디오데이터로 변환된다.
게다가, MD(90)의 디지털 인터페이스(54)를 통해서 입력된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외부장치에 의해 디지털 입력단자(55)로 공급된 디지털 인터페이스 형식을 갖는 신호는 디지털 인터페이스(54)에 의해 디코드 되며, 그것은 디코드된 신호로부터 디지털 오디오데이터, 서브코드 등을 추출한다. 서버코드 등의 제어정보는 시스템 제어기(21)에 공급된다. 한편, 16비트의 양자비트 및 44.1KHz의 샘플링 속도를 갖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는 약 1/5로 감소되는 양을 갖는 압축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오디오 압축 엔코딩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오디오 압축/감압 엔코더 및 디코더부(14)에 공급된다.
또한, 이후에 기술될 CD장치에서 CD(91)에서 재생된 오디오 데이터는 소위 더빙기록처리로 알려진 조작으로 MD(90)에 기록될 수 있다. 이 경우에, CD(91)에서 재생되고 EFM/CIRC디코더(37)에 의해 CD재생 데이터 cdg로 디코드된 오디오 데이터는 약 1/5로 감소된 양을 갖는 압축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CD 재생데이터의 오디오 압축 엔코딩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오디오 압축/감압 엔코더 및 디코더부(14)에 공급된다. CD 재생데이터 cdg는 16양자화비트 및 44.1KHz의 샘플링 속도를 갖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이다.
디지털 입력 PLL회로(58)는 이후에 기술되는 CD장치에 의해 출력된 디지털 인터페이스 또는 CD재생데이터 cdg를 통해서 입력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입력데이터에 삽입된 동기신호로 동기화된 클럭신호 CLK·M을 생성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클럭신호 CLK·M는 44.1 KHz의 다수의 기준 주파수와 동일한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다.
클럭신호 CLK·M의 주파수는 또한 원하는 주파수를 생성하기 위해 승산 또는 나누어 진다. MD(90)의 디지털 데이터로서 MD장치에 공급된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조작에 있어서, 원하는 주파수를 갖는 신호는 신호 처리용 클럭신호가 압축/감압 엔코더 및 디코더부(14)에 의해 실행되거나 또는 입출력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실행될 때 적어도 사용될 수 있다.
삭제
오디오 압축/감압 엔코더 및 디코더부(14)에 의해 압축되어 기록되는 데이터는 메모리 제어기(12)기에 의해 버퍼 메모리(13)에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데이터는 버퍼메모리(13)에서 다시 읽혀지며 EFM/CIRC 엔코더 및 디코더부(8)에 공급된다. EFM/CIRC 엔코더 및 디코더부(8)에 있어서, 데이터는 자기헤드 구동회로(6)에 공급되기 이전에 CIRC(Cross Interleave Reed Solomon Coding) 엔코딩 처리 및 EFM복조와 같은 엔코딩 처리된다.
자기헤드 구동회로(6)는 EFM/CIRC 엔코더 및 디코더부(8)에서 엔코딩 처리를 종료하는 기록될 데이터를 나타내는 자기헤드 구동신호를 자기헤드(6a)에 공급한다. 자기헤드(6a)에 공급된 자기헤드 구동신호는 자석 N 및 S극의 자기장을 MD(90)에 인가한다. 그 때, MD제어기(11)는 고속 기록레벨로 레이저빔을 생성하도록 제어신호를 광학헤드(3)에 공급하여 광학헤드(3)를 구동한다.
한편, MD(90)에 대한 기록 및 재생을 위한 동작에서, P-TOC(Pre-mastered Table of Contents) 및 U-TOC(User TOC) 등의 관리정보를 MD(90)로부터 미리 독출할 필요가 있다. 이 관리정보로부터, MD제어기(11)는 데이터가 기록되는 MD(90) 영역의 어드레스와, 데이터가 독출되는 MD(90) 영역의 어드레스를 식별한다. MD(90)로부터 독출된 이 관리정보는 버퍼메모리(13)에 저장된다. 버퍼메모리(13)는 기록될 데이터나 재생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버퍼영역과, 관리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TOC영역으로 분할된다.
MD제어기(11)는 MD(90)가 우선 MD유닛 상에 장착되면 미리 MD(90)의 최내주부(innermost circumference)로부터 정보를 재생하는 처리에 의해 관리정보를 독출하고, 이 관리정보를 버퍼메모리(13)에 저장한다. 이 최내주부는 오직 관리정보를 위한 기록영역이다. 이 관리정보는 이후의 동작으로서 MD(90)에 대한 데이터기록이나 데이터재생을 위해 참조될 수 있다.
U-TOC는 MD(90)에서의 데이터의 기록 또는 삭제의 처리에 따라 편집 및 갱신될 수 있다. MD제어기(11)는 데이터가 MD(90) 상에서 기록되거나 삭제될 때마다 버퍼메모리(13)에 저장된 U-TOC를 편집한다. MD제어기(11)는 이어서 이 편집된 U-TOC를 소정의 타이밍에서 MD(90) 상의 U-TOC영역에 저장한다.
또한 이 기록 및 재생장치는 재생전용 광디스크로서의 CD(91)를 위한 재생시스템을 포함한다.
CD(91)는 CD(91)에서의 데이터재생을 위해 CD유닛에 장착된다.
스핀들모터(91)가 구동되면 CD(91)가 일정한 선속력(CLV: constant linear velocity)으로 회전하게 된다. 광헤드(32)는 PIT포맷으로 CD(91)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하며 이 데이터를 RF증폭기(35)에 제공한다. 이 광헤드(32)에서 이용되는 대물렌즈(32a)는 2-축구조(33)에 의해 트래킹 및 포커스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스레드구조(34)는 이 광헤드(32)를 CD(91)의 방사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한다.
RF증폭기(35)는 재생RF신호 이외에도 포커스에러신호와 트래킹에러신호를 생성하여 서보회로(36)에 제공한다.
이 포커스에러 및 트래킹에러신호로부터 서보회로(36)는 2축구조(33)와, 스레드구조(34)와 스핀들모터(3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포커스구동신호, 트래킹구동신호, 스레드구동신호 및 스핀들구동신호 등의 여러 구동신호를 생성한다.
재생RF신호는 EFM/CIRC디코더(37)에 제공된다. 이 EFM/CIRC디코더(37)에서, 우선 재생RF신호에 대한 이진변환이 행해져 EFM신호가 생성된다. 이어서, 이 EFM신호에 대해서 CD(91)로부터 독출된 정보에 대한 디코딩을 위한 EFM복조 및 CIRC디코딩처리가 수행되어 44.1KHz의 샘플링율로 디코드된 16양자화비트를 갖는 디지털오디오데이터가 된다.
또한 EFM/CIRC디코더(37)는 TOC(Table of Contents) 및 서브코드 등의 제어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으며, 이 TOC 및 서브코드는 다양한 종류의 제어에 이용하기 위해 시스템제어기(21)에 제공된다.
EFM/CIRC디코더(37)에 의해 수행된 이진변환의 결과로서 얻어진 EFM신호는 또한 PLL회로(39)에도 제공된다.
PLL회로(39)는 EFM/CIRC디코더(37)로부터 수신된 EFM신호의 채널비트로 동기된 클럭신호(PLCK)를 출력한다. 정상적인 등배속에서, 클럭신호(PLCK)의 주파수는 4.3218이다. 클럭신호(PLCK)는 EFM/CIRC디코더(37)에 후속하는 단계에서 전형적으로 신호처리회로를 위한 클럭신호로서 이용된다.
EFM/CIRC디코더(37)에 의해 출력된 디지털오디오데이터는 D/A변환기(38)에 의해 아날로그오디오신호로 변환되어, 스위치회로(50)에 제공된다. CD(91)의 재생동작에서, 시스템제어기(21)는 스위치회로(50)를 단자(TCD)에 설정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따라서, EFM/CIRC디코더(37)에 의해 출력된 신호가 D/A변환기(38)에 의해 아날로그오디오신호로 변환된 결과로 얻어진 재생오디오신호는 스위치회로(50)와, 볼륨조정유닛(51)과, 전력증폭기(50)를 통하여 스피커(53)로 제공된다. 마지막으로 스피커(53)는 이 재생오디오신호를 출력신호로서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 CD재생데이터는 MD(90)에 더빙되고 기록될 수 있다. 이 경우, EFM/CIRC디코더(37)에 의해 출력된 디지털오디오데이터가 오디오압축/신장엔코더 및 디코더유닛(14)에 그대로 제공된다.
또한, EFM/CIRC디코더(37)에 의해 출력된 디지털오디오데이터는 디지털포맷을 갖는 CD재생데이터를 디지털출력단자(56)를 거처 외부기기로 출력하기 위한 디지털인터페이스(54)에 제공될 수도 있다.
CD(91)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동작에서, CD(91)로부터 미리 TOC 등의 관리정보를 독출할 필요가 있다. 이 관리정보로부터, 시스템제어기(21)는 재생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이용되는 CD(91)에 기록된 트랙의 개수와 트랙 각각의 어드레스를 다른 것들 중에서 식별할 수 있다. 시스템제어기(21)는 우선 CD(91)가 CD유닛에 장착되면 CD(91)의 최내주부로부터의 정보를 재생하는 동작의 처리에 의해 TOC에 포함된 관리정보를 미리 독출하고, 이 TOC를 전형적으로는 시스템(21)의 내장RAM(21a)에 저장한다. 이 최내주부는 관리정보만을 위한 기록영역이다. TOC에 포함된 관리정보는 이후에 CD(91)에서의 데이터기록 및 재생을 위한 처리를 위해 참조될 수 있다.
시스템제어기(21)로는 더빙장치를 전체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컴퓨터를 이용할 수 있다. 시스템제어기(21)는 MD제어기(11)에 MD유닛의 동작제어를 처리하도록 요구하기 위해 MD제어기(11)에 다양한 명령을 부여한다. MD(90)에 대한 데이터의 기록 및 재생동작을 위해, 시스템제어기(21)는 MD제어기(11)로부터 서브코드 등의 관리정보를 수신한다.
시스템제어기(21)는 CD장치에 대해서 전형적으로는 그 동작에 대한 직접제어를 수행한다.
시스템제어기(21)의 내장RAM(21a)은 시스템제어기(21)에 의한 필요한 처리의 수행에 있어서 필요로 하는 다양한 종류의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메모리이다.
본 실시예에서, 시스템제어기(21)는 CD유닛에서 얻어진 PCLK신호의 주파수에 기반한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클럭신호(CLK)와, 다양한 데이터와, 전형적으로는 CD유닛에서 동작중인 재생동작의 상태 등에 따라 다양한 명령을 MD제어기(11)에 부여한다. 여기에서, 이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는 CD재생동작에서 얻어진 TOC 및 서브코드를 포함한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HCMS관리표메모리(22) 및 타이머유닛(23)은 시스템제어기(21)에 제공된다. HCMS관리표메모리(22) 및 타이머유닛(23)은 HCMS관리의 수행에서 이용된다.
HCMS관리표메모리(22)로는 전형적으로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또는 RAM을 이용할 수 있다. EEPROM 등의 메모리장치를 이용할 경우 HCMS관리표메모리(22)는 예를 들어 후술하는 분류트랙(cataloged track)과 트랙에 대해 타이머유닛(23)에 의해 측정된 타이머시간을 저장하기 위한 비휘발성메모리로서 이용될 수 있다. 비휘발성메모리는 예를 들어 더빙장치가 초기화(리셋)되거나 전력이 끊어졌을 경우에도 그 안에 저장된 데이터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또한, HCMS 관리표메모리(22)로서 별개의 RAM 대신에 시스템제어기(21) 내의 내장 RAM(21a)의 소정 저장영역을 그러한 테이블로서 할당할 수 있다.
HCMS관리표메모리(22)와 타이머유닛(23)을 이용한 HCMS관리동작에 대해서는 이후에 기술한다. HCMS관리란 HCMS규정에 따라 더빙을 제한하는 동작을 이행하기 위한 다양한 동작제어 및 정보관리를 말한다.
이러한 시스템제어기의 이행은 전형적인 경우라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또는, CD유닛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CD제어기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시스템제어기(21)와 MD제어기(11)는 하나의 통합된 장치에 의한 것일 수도 있다.
조작유닛(19)은 기록키, 정지키, AMS(Auto Music Sensor)키, 서치키 및 더빙키 등을 포함하며, 사용자는 이 키들을 조작하여 MD(90) 또는 CD(91)에서의 음악데이터의 기록 및 재생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더빙키는 정상속도더빙 및 고속더빙의 설정을 조작하기 위한 것이다.
조작유닛(19)을 조작함으로써, MD(90) 상에 부가데이터로서 기록되도록 문자열(string of characters)을 입력할 수 있으며, 문자열의 목록(cataloging)을 확인할 수 있으며, 목록모드(cataloging mode)를 설정할 수 있다.
조작유닛(19)에 의해 생성된 조작정보는 시스템제어기(21)에 제공된다. 시스템제어기(21)는 다른 구성요소들을 구동하여 이 조작정보에 따라 프로그램의 동작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조작유닛(19)은 전형적으로 적외선 원격커멘더에 의해 발생한 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부가적인 원격조작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표시유닛(20)은 MD(90) 및 CD(91)의 기록시간 및 재생시간 등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필요한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시스템제어기(21)는 재생 및 기록동작의 경과시간 및 총수행시간등의 시간에 대한 정보와, 트랙번호, 동작모드 등의 다양한 정보를 표시유닛(20) 상에 표시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한 구조를 갖는 기록 및 재생장치는 MD재생동작, MD기록동작, CD재생동작 및 CD(91)로부터 MD(90)로의 더빙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수행되는 CD(91)로부터 MD(90)로의 더빙동작은 등배속으로 수행되는 정상속도더빙동작, 또는 정상의 등배속보다 N 배만큼(N:2이상의 정수) 빠른 소정의 배속으로 수행되는 고속더빙동작일 수 있다.
고속더빙동작에서, 우선, CD유닛에서 이용되는 서보회로(36)는 정상의 등배속보다 N 배만큼(N:2이상의 정수) 빠른 N배속의 CLV에서 스핀들모터(31)를 구동한다. 이 상태에서, 데이터는 CD(91)로부터 재생되게 된다. N이 2라고 가정하면, PLL회로(39)는 클럭주파수를 2배속에 해당하는 잠금상태(locked state)의 목표값인 정상의 등배속에서의 클럭주파수의 2배인 2×4.3218 MHz = 8.6436 MHz로 설정한다. 시스템제어기(21)는 스위칭동작을 제어하여 PLL회로(39)에 대한 목표값을 변경한다는 것을 유념해야한다.
PLL회로(39)가 상술한 바와 같은 잠금상태에 있게 되면, CD(91)가 2배속 CLV에서의 안정된 회전이 되도록 제어되며, EFM/CIRC디코더(37) 및 D/A변환기(38)는 정상적인 처리를 2배속으로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2배속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양자화비트가 16비트이고 샘플링율이 88.2KHz(=2×44.1KHz)인 CD재생데이터(cdg)가 정상의 등배속도보다 2배인 전송률로 MD유닛의 압축/신장엔코더 및 디코더유닛(14)으로 전송된다.
CD재생 데이터(cdg)는 또한 2배 전송속도로 MD장치내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입력 PLL 회로(58)에 공급된다. 디지털 입력 PLL 회로(58)는 정상적인 등배 속도에서의 클럭 주파수의 2배 속도와 동일한 클럭 주파수를 2배 속도에 대응하는 로크된(locked) 상태의 목표 값으로 설정한다. MD 제어기(11)는 시스템 제어기(21)에 의해 발행된 명령에 따라 디지털 입력 PLL 회로(58)에 대한 목표 값을 변화시키는 스위칭 동작을 제어한다는 것을 주목한다.
디지털 입력 PLL 회로(58)가 상술한 잠금 상태에 있게 될 때에, 정상 등배속도에서의 클럭 주파수의 2배와 동일한 클럭 주파수가 클럭신호(CLK.M.)의 주파수로서 얻어진다. 클럭신호(CLK.M.)에 의해 설정된 타이밍에 의해, 오디오 압축/비압축 인코더&디코더(14)는 신호압축처리를 수행하고 메모리 제어기(12)로 데이터를 전달한다. 결과적으로, 2배의 전송속도로 CD로부터 수신된 CD 재생 데이터와 동기가 되어 기록되는 신호의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버퍼 메모리(13)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해서 EFM/CIRC 인코더 및 디코더부(8)에 의한 동작, EFM/CIRC 인코더 및 디코더부(8)에 의한 신호 처리와 MD(90)상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MD장치내에서의 모든 다른 처리는 MD 제어기(11)에 의해 발생된 마스터 클럭신호를 적절하게 이용하여 설정된 동작 타이밍 또는 MD(90)상에 형성된 워블 주기(wobble period)에 근거하여 회전제어 동안에 얻어지는 클럭 신호등에 의해 수행된다.
상술한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MD장치내에서의 기록동작 동안에, 데이터가 버퍼 메모리(13)로부터 판독되고 버퍼 메모리(13)내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속도보다 더 빠른 속도로 MD장치(90)내에 기록된다. 그러므로, 데이터는 버퍼 메모리(13)로부터 판독되어져야한다. 그리고 어느 정도 고정된 양만큼 남아 있는 데이터와 항상 평형상태를 이루도록 버퍼 메모리(13)를 유지하기 위해서 MD(90)내 에 간헐적으로 기록된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버퍼 메모리(13)내에 저장된 데이터의 양이 소정의 값을 초과할 때에, 데이터는 MD(90)에 입력된다. MD(90)내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동작에 의해 버퍼 메모리(13)내에 저장된 데이터의 양이 소정의 값 보다 작아지거나 또는 0과 동일하게 될 때에는, 버퍼 메모리(13)내에 저장된 데이터의 양이 소정의 값으로 복구되어 입력동작이 다시 시작될 때까지 입력동작은 대기 상태에 있게 된다. 이러한 동작들은 반복해서 수행된다.
상술한 이유 때문에, MD(90)의 구동된 회전속도, EFM/CIRC 인코더 및 디코더부(8)에 대해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의 전송속도와 N배 속도 더빙을 위한 각각의 값들에서의 신호처리속도를 CD장치 내에서의 N배 속도에 대응하는 각각의 값들로 설정할 필요는 없다.
N배 속도 더빙 동안에, MD(90)의 구동된 회전속도, EFM/CIRC 인코더 및 디코더부(8)에 대해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의 전송속도와 N배 속도 더빙을 위한 각각의 값들에서의 신호처리속도를 생각해 본다. 이 경우에서는, MD(90) 내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동작의 대기상태는 단지 단축되거나 또는 입력동작이 MD(90) 상에 데이터를 적절하게 간헐적으로 기록하는 대신에 연속적으로 수행된다.
MD(90)의 구동된 회전속도, EFM/CIRC 인코더 및 디코더부(8)에 대해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의 전송속도와 신호처리속도는 버퍼 메모리(13)의 대표적인 용량을 포함하는 조건에 따라 CD장치 내에서의 소정의 N배 속도에 대응하는 각각의 값들로 또한 설정될 수 있다.
2. MD 트랙포맷
다음의 서술은 광자기 디스크(MD: 90)상의 기록 데이터 트랙의 클러스터 포맷을 설명하고 있다.
데이터는 클러스터 단위로 미니 디스크 시스템내에 있는 광자기 디스크내에 기록된다. 클러스터의 포맷은 도3a-3e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미니 디스크 시스템내의 전체 기록 트랙은 도 3a에 도시된 클러스터(CL)의 연속 시퀀스이다. 클러스터는 최소 기록단위이다. 1 클러스터는 2내지 3의 회전 트랙들이다.
각 섹터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섹터(SFC-SFF)로 구성된 서브 데이터 영역과 32개의 섹터들(S00-S1F)로 구성된 메인 데이터 영역으로 구성된다. 오디오 시스템의 경우, 메인 데이터는 ATRAC 처리에 의해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이다.
데이터 단위로서 사용되는 섹터는 2,352 바이트의 길이이다.
4-섹터 서브 데이터 영역은 연결 영역으로 이용되거나 또는 서브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이용된다. 한편, 32 섹터 메인 데이터 영역은 메인 데이터와 TOC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 때에 사용되는 CIRC 기술의 인터리브 길이(interleave length)는 CD등의 13.3msec의 섹터 길이보다 크므로, 섹터들이 기본적으로 예비영역으로 사용되도록 연결 영역의 섹터들은 일치를 위해 제공되는 버려질 섹터들이다. 그 섹터들은 또한 몇 개의 제어 데이터와 처리의 몇 부분을 기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어드레스가 각 섹터에 할당된다는 것을 주목한다.
섹터는 음성 그룹으로 각각 칭하는 좀 더 세분된 단위들로 분할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2 개의 섹터들은 도 3c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11개의 음성 그룹으로 구성된다.
즉, 2 개의 인접한 섹터들은, 즉, 섹터(S00)와 같은 짝수 섹터와 섹터(S01)와 같은 홀수 섹터는 도 3c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11 개의 음성 그룹(SG00 - SG0A)들을 포함한다. 음성 그룹(SG)은 11.61msec의 시간 주기에 대응하는 양만큼의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를 수용하는 424 바이트들로 구성된다.
도 3d와 도 3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성 그룹(SG)은 좌채널(left-channel)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과 우채널(right-channel)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으로 분할된다. 예를 들면, 음성 그룹(SG00)은 좌채널 데이터(L0)와 우채널 데이터(R0)를 기록하기 위해 사용된다. 반면에, 음성그룹(SG01)은 좌채널 데이터(L1)와 우채널 데이터(R1)를 기록하기 위해 사용된다.
좌채널 또는 우채널 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은 21 바이트의 길이를 가지며 음성 프레임으로 칭한다는 것을 주목한다.
3. U-TOC
클러스터들은 도 3a-3e에 도시된 포맷으로 광자기 디스크(MD : 90)의 전체 영역위에 분포되어 있다. MD(90)의 상기 영역은 또한 MS(90)의 방사형 방향내에 분포된 원주들로 구성된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가장 내부의 원 주들은 관리영역이며 나머지 원주들은 관리 영역뒤에 오는 프로그램 영역이다.
가장 내부의 원주들은 위상 피트(pits)들에 의해 재생 전용 데이터만을 기록하는 재생전용 영역과 재생전용 영역뒤에 오는 광자기 영역을 포함한다. 광자기 영역은 광자기 기록과 재생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상술한 관리 영역은 재생전용 영역과 광자기 영역의 가장 내부의 원주를 덮고 있다.
그러므로, 광자기 영역은 관리 영역의 한 부분과 상기 관리 영역의 뒤에 오는 프로그램 영역의 한 부분으로 구성된다. 그 프로그램 영역은 기록가능한 이용자 영역이 되는 메인 데이터 영역을 포함한다. 이러한 메인 데이터 영역내에 있는 각 섹터는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사용된다.
관리 영역의 재생전용영역은 디스크의 전체 영역을 제어하기 위해 이용되는 P-TOC(Pre-mastered TOC)를 저장하기 위해 이용된다. 광자기 영역의 가장 내부의 원주들은 U-TOC(User Table of Contents)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된다. U-TOC는 프로그램 영역내에 기록된 프로그램들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 리스트이다.
다음 설명은 MD(90)에 대해 트랙들을 기록하고 재생하는 동작들을 제어하기 위해 이용되는 관리 정보를 저장하는 U-TOC 섹터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도 4는 입력가능한 기록매체(MD)의 관리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U-TOC 섹터(0)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섹터들(0-31)은 U-TOC 섹터들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한다. 즉, 관리영역내의 1 개의 클러스터의 섹터들(S00-S1F)은 U-TOC 섹터들로 모두 이용될 수 있다. 정상적으로, 섹터들(1과 4)은 문자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이용된다. 섹터(2)는 기록날짜와 기록시간을 저장하기 위한 영역으로 이용된다.
U-TOC 섹터(0)는 이용자에 의해 기록된 트랙들위에 관리정보를, 그리고 추가 트랙들을 새롭게 기록하기위해 이용가능한 자유 영역들위에 관리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데이터 영역이다. U-TOC 섹터(0)내에 기록된 관리정보는 시작 어드레스, 종료 어드레스, 저작권 정보와 각 프로그램의 강조 정보(emphasis information)를 포함한다. 프로그램의 저작권 정보는 또한 프로그램의 특성 또는 트랙모드로 여겨질 수 있다.
MD(90)상에 트랙을 기록하기 위한 작업동안에, 예를 들면, 시스템 제어기(21)는 MD(90)상의 자유영역을 위해 U-TOC 섹터(0)를 검색하고 트랙의 오디오 데이터를 자유영역내에 기록한다. 재생 동작에서는, 재생되는 악곡을 기록하는 영역은 U-TOC 섹터(0)로부터 식별된다. 한편, 그 영역에 대한 억세스는 재생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수행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U-TOC 섹터(0)는 시작위치에 있는 헤더를 가지고 있다. 12 바이트로 구성된 헤더는 동기 패턴으로 작용한다. 헤더의 뒤에는 3 바이트의 데이터 즉, "클러스터 H", "클러스터 L"과 "Sector"가 나타나며, 이러한 것들은 이 섹터의 어드레스를 저장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러한 3 바이트의 뒤에 오는 데이터는 제조자 코드, 모델 코드, "제 1 TNO", "마지막 TNO", 섹터이용조건 "sector used", "디스크 일련 번호"와 "디스크 ID"이다. "제 1 TNO"와 "마지막 TNO"는 각각 최초와 마지막 프로그램들의 번호이다.
디스크 ID의 뒤에는 MD(90)상에 발생된 결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이용되는 시작 표 슬롯(start table slot)(부분 입력 : part entry)의 위치를 도시한 결점 영역(P-DFA)에 대한 포인터가 온다. 포인트된 P-DFA의 뒤에는 최초의 비어 있는 표 슬롯의 위치를 나타내는 비어 있는 슬롯(P-EMPTY)이 온다. 포인터(P-EMPTY)의 뒤에는 자유 영역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이용되는 시작 표 슬롯의 위치를 나타내는 자유영역(P-FRA)의 포인터가 온다. 포인터(P-FRA)의 뒤에는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이용되는 시작 표 슬롯을 각각 나타내는 트랙번호 포인터들(P-TNO1, P-TNO2,......,P-TNO255)이 온다. 그 후에는, P-TNO255까지의 디스크 ID가 대응하는 표 포인터 데이터부분을 구성한다.
U-TOC 섹터(0)의 끝에는 각각 8 바이트의 길이를 가지는 255 개의 표 슬롯들로 구성된 관리 표가 온다. 각 표 슬롯은 시작 어드레스, 종료 어드레스, 트랙모드와 연결정보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된 광자기 디스크(90)의 경우에서는, 데이터가 디스크(90)상의 연속된 영역내에 반드시 기록될 필요는 없다. 즉, 데이터의 순차 배열은 기록매체(90)상의 다수의 이산 부분들내에 기록될 수 있다. 한 부분은 물리적으로 연속된 클러스터내에 기록되는 시간 축을 따라 연속되어 있는 데이터의 부분이다.
디스크(90)에 대해 데이터를 기록 및 재생하기 위해 이용되는 기록 빛 재생장치와 MD 장치에서는, 데이터가 상술한 바와 같이 버퍼 메모리(13) 내에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디스크(90) 상의 이산 기록영역들 내에 저장된 데이터의 부분들에 순차적으로 억세스하는 단계는 광 헤드(3)를 이용하여 간헐적으로 수행되므로 버퍼 메모리(13) 내에 데이터를 저장하게 된다. 디스크(90)로부터 버퍼 메모리(13)까지의 전송속도와 버퍼 메모리(13)로부터 다시 데이터를 판독하는 동작의 전송속도를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데이터의 최초의 순차 배열은 재생 데이터로서 복구될 수 있다.
자세히 말하자면, 버퍼 메모리(13)내에 간헐적으로 데이터를 입력하는 동작의 전송속도는 버퍼 메모리(13)로부터 다시 데이터를 판독하는 동작의 전송속도보다 더 빠르므로, 오디오 데이터의 연속된 재생동작은 어떠한 방해를 받지 않고 수행될 수 있다.
게다가, 이미 기록된 프로그램 보다 더 짧은 프로그램이 이미 기록된 프로그램을 오버라이트(overwrite)하도록 기록될 때에, 나머지 영역(leftover area)은 상기 나머지 영역을 차지하는 이미 기록된 프로그램의 한 부분을 삭제할 필요없이 포인터(P-FRA)를 이용하여 제어되는 기록가능한 영역으로서 지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기록영역은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다음의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기록가능한 영역들을 관리하기 위한 포인터(P-FRA)를 이용하여 사용가능한 이산 영역들을 링크하는 기술을 설명한다.
자유영역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기위해 이용되는 시작 표 슬롯의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터(P-FRA)는 03h로 설정된다고 가정한다. 이 때에, 접미어(h)는 어느 번호가 16진수로 표현되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번호(03h)는 255 개의 표 슬롯들로 구성된 관리 표 부분내에 있는 슬롯의 번호이다. 슬롯(03h) 내에서는,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슬롯(03h)내에 저장된 데이터는 한 부분의 시작과 종료 어드레스들이다. 이러한 데이터들은 디스크(90)상의 이용가능한 기록영역으로 이용된다. 그러므로, 시작과 종료 어드레스들은 그 부분의 시작과 종료의 위치를 나타낸다.
슬롯(03h)내에 저장된 데이터는 또한 링크 정보를 포함한다. 링크 정보는 이 보기에서는 18h가 되는 다음 슬롯의 번호이다. 슬롯(18h)내에 저장된 데이터는 슬롯(03h)에 의해 기술되는 부분의 뒤에 오며, 디스크(90)상의 이용가능한 기록영역으로서 이용될 수 있는 다음 부분의 시작과 종료 어드레스들이다.
슬롯(18h)내에 저장된 데이터는 또한 링크 정보를 포함한다. 링크 정보는 이 보기에서는 2Bh가 되는 다음 슬롯의 번호이다. 슬롯(2Bh)내에 저장된 데이터는 슬롯(13h)에 의해 기술되는 부분의 뒤에 오며, 디스크(90)상의 이용가능한 기록영역으로서 이용될 수 있는 다음 부분의 시작과 종료 어드레스들이다.
이와같이, 디스크(90)상의 이용가능한 기록영역의 시작과 종료 어드레스들을 각각 포함하는 슬롯들은 링크 정보에 의해 서로 링크되어져 있다. 기록영역으로서 이용가능한 모든 부분들을 관리하기 위해서 이러한 링크상에 있는 제 1슬롯의 번호는 포인터(P-FRA)에 의해 지시되어 있으며 마지막 슬롯은 00h의 링크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포인터(P-FRA)에 의해 지시된 슬롯부터 시작하여 00h의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마지막 슬롯까지 그 링크를 추적함으로써, 디스크(90)상의 이산 부분들은 디스크(90)상의 링크된 영역과 같이 취급될 수 있다. 이와같이, 디스크상의 기록가 능한 부분은 데이터가 이미 기록되어 있는 부분과 식별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는, 포인터(P-FRA)가 디스크(90)상의 이산 부분들을 링크하기 위한 기술을 보여주기위해 이용되었다. 다른 포인터들 P-DFA, P-EMPTY, P-TNO1,....,P-TNO255는 포인터(P-FRA)와 같이 다른 형태들의 이산 부분들의 링크상에 있는 제 1슬롯을 나타내기 위해 이용된다는 것을 주목한다.
4. 서브 코드와 CD의 TOC
다음에는, 서브 코드와 CD(91)의 TOC가 설명된다.
TOC는 소위 리드 인 영역내에 기록되며 서브 코드들은 나중에 설명될 데이터내에 삽입된다.
프레임은 CD 형태를 가지는 디스크상에 기록된 데이터의 가장 작은 단위이다. 98 개의 프레임들은 한 개의 블록을 구성한다.
프레임의 구조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개의 프레임은 588 비트들로 구성된다. 최초의 24 비트들은 동기 데이터로서 그 뒤에는 14 비트의 서브 코드 데이터 영역이다. 서브코드 데이터 영역의 뒤에는 그 데이터를 위한 패리티 비트와 데이터의 시퀀스가 따라온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 상술한 구조를 가지는 98 개의 프레임들은 1 개의 블록을 구성한다. 한 개의 프레임으로부터 얻어진 서브코드 데이터의 부분들은 도 7a에 도시된 블록 서브데이터 코드를 형성하기 위해 수집된다.
한 블록의 제 1과 제 2프레임들로부터 얻어진 서브 데이터의 부분들은 즉, 도 7a에 도시된 프레임들(98n+1, 98n+2)은 동기 패턴이다. 그 블록의 제 3 - 제 98프레임들로부터 얻어진 서브 데이터의 부분들은 즉, 도 7a에 도시된 프레임들(98n+3, 98n+98)은 각각 96 비트 채널 데이터이다. 96 비트 채널 데이터는 한 프레임의 P, Q, R, S, T, U, V와 W 서브코드 데이터이다.
P와 Q 채널은 억세스 제어와 같은 제어를 위해 이용된다. P채널은 트랙들간의 포즈 부분(pose portion)을 단지 나타낸다는 것을 주목한다. 좀 더 미세한 제어는 Q채널(Q1-Q96)을 이용하여 실행된다. 96 비트 Q채널 데이터는 도 7b에 도시된 형태를 가지고 있다.
Q채널 데이터의 시작에 있는 4 비트들 즉, Q1-Q4는 오디오 채널들의 번호, 엠파시스, CD-ROM 식별과 디지털 복사가 가능한지를 나타내기 위해 이용되는 제어 데이터이다.
그 제어 데이터의 뒤에는 4 비트의 Q5-Q8이 온다. 이 데이터들은 서브 Q 데이터의 형태를 나타내는 어드레스들이다.
그 어드레스 뒤에는 서브 Q 데이터로서 작용하는 72 비트의 Q9-Q80이 온다. 나머지 비트들(Q81-Q96)은 CRC(Cyclic redundancy Check) 비트들이다.
그러므로, 리드 인 영역은 서브 Q 데이터 즉, TOC 내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리드 인 영역내에 저장된 Q 채널 데이터중 72 비트로된 Q9-Q80내의 서브 Q 데이터는 도 8a에 도시된 정보를 가지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Q 데이터는 각각 8 비트의 길이를 가지는 데이터로 구성된다.
서브 Q 데이터의 시작에 있는 데이터의 부분들은 트랙번호이다. 리드 인 영역은 번호 00을 가지는 트랙이다.
트랙 수에는 POINT가 따라온다. 이 POINT에는 분으로 표시되는 시간정보를 나타내는 MIN, 분으로 표시되는 시간정보를 나타내는 SEC와 프레임 번호가 따라온다.
데이터의 마지막 3 부분들은 PMIN, PSEC와 PFRAME이다. 이 부분들의 각각은 POINT의 값에 따라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다.
범위 01-99내에서 설정되어 있는 POINT의 값은 트랙번호이며 다음과 같이 PMIN, PSEC와 PFRAME의 의미를 나타낸다. POINT의 값과 동일한 트랙번호를 가지는 트랙의 절대시간 어드레스 또는 시작위치가 PMIN에 의해 지정된 분, PSEC에 의해 지정된 초와 PFRAME에 의해 지정된 프레임 번호로 표현된다.
A0에서 설정된 POINT의 값은 PMIN이 최초 트랙의 트랙번호라는 것을 나타내며, PSEC는 CD-DA(Digital Audio), CD-I 또는 CD-ROM(XA) 지정을 나타내고 있다.
A1에서 설정된 POINT의 값은 PMIN이 마지막 트랙의 트랙번호라는 것을 나타낸다.
A2에서 설정된 POINT의 값은 리드 아웃영역의 시작위치 또는 절대시간 어드레스가 PMIN에 의해 지정된 분, PSEC에 의해 지정된 초와 PFRAME에 의해 지정된 프레임 번호로 표현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6 개의 트랙들이 디스크(90)상에 기록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에서는, TOC내의 서브 Q 데이터가 도 9에 도시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트랙번호들(TNOs)은 0으로 설정된다.
블록 번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96개의 프레임들로 구성된 블록 데이터내에서 판독된 서브 Q 데이터의 단위의 번호이다.
3 개의 연속한 블록들은 동일한 TOC 데이터를 포함한다.
0n의 값을 가지는 POINT에 대한 PMIN, PSEC와 PFRAME은 n번째 트랙, 즉 트랙(#n)의 시작위치를 나타낸다. 이 때 n=1에서 6을 나타낸다.
A0의 값을 가지는 POINT의 PMIN은 최초 트랙의 트랙번호 01이다. 이 경우에서는, PSEC가 디스크를 식별한다. 00의 PSEC 값은 디스크가 보통의 오디오 CD라는 것을 나타낸다. 20의 PSEC 값은 디스크가 XA 지정에 따르는 CD-ROM이라는 것을 나타내고, 10의 PSEC 값은 디스크가 CD-I라는 것을 나타낸다.
A1의 값을 가지는 POINT의 PMIN은 마지막 트랙의 트랙번호이며, A2의 값을 가지는 POINT의 PMIN, PSEC와 PFRAME은 리드 아웃 영역의 시작위치이다.
블록 번호(n+27)와 연속되는 블록 번호들에 대한 TOC 데이터는 블록 번호(n - n+26)에 대한 TOC 데이터와 동일하다.
트랙들(#1 - #n)과 같이 음악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프로그램 영역과 리드 아웃 영역내에 기록된 서브 Q 데이터는 도 8b에 도시된 정보를 포함한다.
서브 Q 데이터의 시작위치에 있는 데이터는 트랙 수이다. 01-99의 범위내에 있는 n의 트랙 수는 트랙번호 #n이다. AA의 트랙번호는 리드 아웃 영역을 나타낸다.
트랙 수에는 트랙의 미세한 부분을 나타내는 색인이 따라온다.
그 색인 뒤에는 트랙의 경과시간을 나타내는 MIN과 SEC가 따라오며, 프레임 번호를 나타내는 FRAME이 따라온다.
FRAME의 뒤에는 분, 초와 프레임 번호로 절대시간 어드레스를 표현하기 위한 AMIN, ASEC와 AFRAME이 따라온다.
게다가,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CD의 Q 채널 데이터는 모드가 모드 1, 2 또는 3인지에 따라 변화된다.
먼저, 모드 1에 대한 CD의 Q채널 데이터는 도 10a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0a에 도시된 최초의 4 비트(Q1-Q4)는 오디오 채널의 번호, 엠퍼시스와 CD-ROM 식별을 나타내는 CTL이다.
즉, 4비트 제어 데이터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0*** - - - 2-채널 오디오
1*** - - - 4-채널 오디오
*0** - - - CD-DA(CD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1** - - - CD-ROM
**0* - - - 디지털 복사 불능
**1* - - - 디지털 복사 가능
***0 - - - 프리 엠파시스 없음
***1 - - - 프리 엠파시스 있음
제어 데이터(CTL)는 CD의 실제 내용들을 나타내는 값으로 설정된다. 나중에 기술될 모드 (2-3)에 대한 Q채널 데이터의 제어 데이터(CTL : Q1 - Q4)는 모드 1에 서와 같은 동일한 방식으로 설정된다.
다음의 4비트들(Q5-Q8)은 어드레스(ADR)이며, 이 어드레스는 데이터(Q9-Q80)의 형태를 나타내는 제어 비트들이다.
예를 들면, 16진수로 표현될 때에, 0001 또는 1의 ADR은 후속되는 서브 Q 데이터(Q9-Q80)가 모드 1에서 오디오 CD의 Q 데이터라는 것을 나타낸다.
72 비트들의 Q9-Q80은 서브 Q 데이터이며 나머지 비트들(Q81-Q96)은 CRC 코드이다.
27 비트들의 Q9-Q80내에 있는 서브 데이터는 도 10a에 도시된 정보를 가지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Q 데이터는 각각 8비트의 길이를 가지는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다.
서브 Q 데이터의 시작위치에 있는 데이터들은 트랙번호(TNO)이다. 범위(01-99)내에 있는 n의 트랙번호는 트랙번호(#n)이다. AA의 트랙번호는 리드 아웃 영역을 나타낸다.
트랙번호의 뒤에는 트랙의 미세한 부분을 나타내는 색인이 온다.
그 색인 뒤에는 트랙의 경과시간을 나타내는 MIN과 SEC가 따라오며, 프레임 번호를 나타내는 FRAME이 따라온다.
FRAME의 뒤에는 분, 초와 프레임 번호로 절대시간 어드레스를 표현하기 위한 AMIN, ASEC와 AFRAME이 따라온다. 게다가, 절대시간 어드레스는 0분 0초와 0의 프레임으로 표현되는 제 1트랙의 시작 위치에서의 시작하는 리드 아웃 영역까지의 연속된 시간정보이다. 절대시간 어드레스는 디스크(90)상의 트랙들을 관리하기 위한 절대시간 정보이다.
도 10b는 모드 2에서의 Q-채널 데이터 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모드 2에서의 Q 채널 데이터의 어드레스(ADR : Q5-Q8)는 서브 Q 데이터(Q9-Q80)가 모드 2 에서 오디오 CD의 Q 데이터라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서 16진수로 표현되는 0010 또는 2로 설정된다.
모드 2에서의 서브 Q 데이터(Q9-Q80)는 최대 13 개의 디지트 N1-N13 또는 52(=4*13) 비트로된 데이터이다. 데이터(N1-N13)는 모두 0인 비트들이 후속되며, 이 다음에는 절대시간의 프레임 번호(AFRAME)와 CRC 코드가 따라온다.
데이터(N1-N13)는 CD의 제품 번호를 나타내는 식별정보이다. 데이터(N1-N13)는 바 코딩(bar coding)을 위해 이용된다.
도 10c는 모드 3에서의 Q-채널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D 명세서는 모드 3에서의 Q-채널 데이터가 최소한 100 개의 연속된 서브 코딩 블록 내에 삽입되도록 명시하고 있다.
모드 3에서의 Q 채널 데이터의 어드레스(ADR : Q5-Q8)는 서브 Q 데이터(Q9-Q80)가 모드 3에서 오디오 CD의 Q 데이터라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서 16진수로 표현되는 0011 또는 3으로 설정된다.
모드 3에서 서브 Q 데이터(Q9-Q80)의 영역내에서는, ISRC(International Standard Recording Code : 60 비트들로 구성된 I1 - I12)가 저장된다.
ISRC는 악곡이 되는 트랙에 고유한 식별 또는 번호로서 사용되는 정보이다. 대표적으로, ISRC는 저작권을 관리하기 위해서 CD상에 기록된 트랙을 식별하는데 이용되는 국제표준코드이다.
ISRC는 0비트가 후속되며. 그 뒤에는 절대시간의 프레임 번호(AFRAME)와 CRC 코드가 온다.
ISRC를 구성하는 데이터(I1 - I12)중에서 데이터(I1-I5)는 각각 6 비트의 길이를 가지고 있다. 6 비트들은 6비트와 8진수로 표현되는 문자와 함께 도 11의 표내에 있는 2진 컬럼상에 도시되어 있다. 데이터(I6-I12)들은 4 비트의 BCD 방식으로 표현된다. 2 개의 0 비트들은 데이터(I1-I5)와 데이터(I6-I12)사이에 삽입된다.
12 비트들(I1-I2)은 국가 코드이며, 이러한 국가 코드는 국가의 이름을 식별하기 위해 도 11에 도시된 표현으로 표현된 2 개의 문자들이다.
18 비트들(I3-I5)은 24,480 방법들중 한 가지 방법으로 소유자의 이름을 식별하기 위해 도 11에 도시된 표현으로 표현된 2 개의 영문자와 2 개의 숫자문자로 된 소유자 코드이다.
8 비트들(I6-I7)은 BCD 형태로 각각 표현된 두 개의 4비트 번호(I6, I7)가 되는 기록의 연도이다.
20 비트들(I8-I12)은 BCD 형태로 각각 표현된 다섯 개의 4비트 번호(I8-I12)가 되는 기록의 트랙일련번호이다.
이러한 정보로 구성된 ISRC는 서브 코드로서 삽입되며, 이러한 서브코드는 트랙사이에서 변화하는 값을 가지며, 트랙이 식별되도록한다.
미니 디스크의 Q-채널 데이터의 구조는 도 10d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니 디스크의 경우에서는, Q-채널 데이터가 트랙번호(TNO), 색인 정보(INDEX)와 CRC 코드를 포함하고 시간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
게다가, CTL 제어 데이터(Q1-Q4)와 ADR 어드레스(Q5-Q8)를 저장하기 위해서 준비된 영역들은 각각 "0000"으로 채워진다.
5. 실시예의 대표적인 HCMS 관리동작
지금까지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이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증배 속도에서의 고속 더빙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장치의 설명에서 언급했듯이, 고속으로 동일 디스크 또는 동일 트랙을 더브(dub)하는 동작들은 고속 더빙동작이 정상적인 개인 사용의 영역을 넘어서므로, 저작권을 침해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 실시예에 의해 실현되는 더빙 장치에서 수행되는 고속 더빙동작에서는, 저작권이 HCMS의 표준에 따라 기록의 오브젝트로서 이용되는 각 트랙에 대해 제한을 가함으로써 보호된다. 즉, 더빙 장치는 HCMS 관리를 실행하기 위한 구조로 설계된다.
전에 기술된 것이 다시 한 번 다음과 같이 확인된다. HCMS의 표준에 따라, 고속 더빙을 완료하고 악곡이 기록된 트랙을 고속 더빙하는 다음 단계는 트랙의 고속 더빙이 시작되었던 시간위치의 다음에 이어지는 최소한 74분의 주기 동안에는 금지된다.
그 실시예에 의해 수행되는 대표적인 HCMS 관리동작은 다음과 같이 설명된 다.
도 12는 HCMS 관리표 메모리(22)의 대표적인 데이터 매핑구조이다.
도 12에 도시된 HCMS 관리표 메모리(22)내에서는, 관리 번호들(0-50)에 대응하는 입력 영역들이 제공된다. HCMS 관리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트랙과 같은 수 많큼의 많은 관리번호들이 제공된다. 이 보기에서는, 최대 50 개의 트랙들이 HCMS 관리에 의해 처리된다.
각각의 관리번호에 대응하는 입력 영역내에 저장된 정보는 2 개의 메인 분류, 즉, 트랙 ID와 타이머 ID로 분류된다. 트랙 ID는 디스크 지정정보와 트랙번호로 분할된다. 디스크 지정정보는 총 수행시간, 총 트랙의 수와 리드 아웃 어드레스를 포함한다.
디스크 지정정보내에 포함된 3 종류의 정보 즉, 총 수행시간, 총 트랙의 수와 리드 아웃 어드레스는 트랙이 기록되어 있는 디스크의 TOC 정보에 근거하여 얻어질 수 있다.
도 8a와 도 9를 참조하여 기술된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CD의 TOC는 CD상에 기록된 각 트랙의 시작 위치와 분, 초와 프레임들로 표현된 리드 아웃 영역의 시작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시작 위치들로부터, 디스크 지정 정보내에 포함된 3 종류의 정보 즉, 총 수행시간, 총 트랙의 수와 리드 아웃 어드레스를 구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총 수행시간은 모든 트랙들의 수행시간을 합친 것이다. 총 트랙 번호는 A1의 값을 가지는 POINT에 대한 마지막 트랙의 수로부터 얻어진다. 리 드 아웃 어드레스는 A2의 값을 가지는 POINT에 대한 리드 아욱 트랙의 시작 위치를 참조함으로써 얻어진다.
총 수행시간, 총 트랙의 수와 리드 아웃 어드레스를 전반적으로 고려해 볼 때에, 그것들을 CD 지정정보 즉, CD에 고유한 정보로 여기는 것이 가능하다. 즉, 이러한 3 종류의 정보 세트는 디스크 지정정보와 같이 취급될 수 있다. 그러면, CD 지정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CD내의 CD 지정정보와 트랙 수를 결합시킴으로써, 트랙을 식별하기 위한 트랙 ID로 사용되는 정보를 얻을 수가 있다.
총 수행시간, 총 트랙의 수와 리드 아웃 어드레스 및 트랙번호가 각각 2 바이트, 1 바이트, 2 바이트와 1 바이트이므로, 트랙 ID는 총 6 바이트이다.
타이머 ID는 타이머 장치(23)내에 제공된 다수의 타이머들의 각각에 할당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된 타이머 ID 영역은 아래에 기술되는 HCMS 관리를 위해서 타이머 장치(23)내에 제공된 타이머의 타이머 ID를 저장하는데 이용된다.
많은 트랙등이 제어가능한 트랙들로서 타이머 장치(23)내에 제공된다. 대표적으로, 제어가능한 트랙들의 번호 즉, 최대 트랙번호는 50이다. 그러므로, 이 경우에서는, 50 개의 타이머들이 제공된다. 따라서, HCMS 관리 표 메모리(22)는 또한 각각 타이머 ID 필드를 포함하는 50 개의 입력들로 구성된다. 이 경우에서는, 2 바이트 타이머 ID 필드는 범위(01h)(또는 십진수 1) ---- 범위(32h)(또는 십진수 50)내의 값을 가지는 타이머 ID를 저장하기 위해 이용된다.
초기에는, HCMS 관리표 메모리(22)내에 어떤 트랙도 나열되지 않는다. 그러면, 2 개의 트랙들(Tr1, Tr2)이 CD에서 MD로 고속으로 더빙될 때에,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들(Tr1, Tr2)은 HCMS 관리표 메모리(22)내에 나열된다. 간편한 설명을 위해 다음의 설명에서는 CD를 CD-1로 나타낸다.
CD-1로부터 판독되어 RAM(21a)내에 저장된 TOC정보로부터, 총 수행시간, 총 트랙의 수와 리드 아웃 어드레스가 각각 45분 37초, 18과 45분 55초가 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에서는, CD-1의 트랙(Tr1)의 고속더빙이 일어나는 타이밍에 의해. 그 시스템 제어기(21)는 먼저 45분 37초를 나타내는 4357h의 총 수행시간, 18 트랙을 나타내는 18h의 총 트랙의 수와 45분 55초를 나타내는 4555h의 리드 아웃 어드레스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의 관리번호에 의해 나타나는 HCMS 관리표 메모리(22)내의 제 1입력내에 저장한다. 트랙번호 필드내에서는, 1의 트랙번호를 나타내는 01h 의 값이 나열된다. 1의 트랙번호는 트랙의 ID이며, 그 트랙의 고속 더빙이 시작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의 번호들은 총 수행시간과 리드 아웃 어드레스의 표현으로부터 삭제되었다. 그러나 실제로, 프레임들의 번호는 총 수행시간과 리드 아웃 어드레스의 각 필드 내에서 수치 표현으로 포함되어 있다.
게다가, 트랙 ID가 HCMS 관리표 메모리(22)내에 새롭게 저장될 때에, 타이머 장치(23)내에서 채택되는 미사용된 타이머가 선택되고 작동된다. 그 선택된 타이머의 타이머 ID는 새롭게 나열된 트랙 ID와 관련된다. 타이머 장치(23)내에서 채택된 각 타이머는 74분 타이머이다. 일단 작동되면, 그 타이머는 작동 시간으로부터 74분 동안 카운트 다운하면서 작동한다. 각 타이머는 0에서 74분까지 카운트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한다.
이 경우에서는, 선택된 타이머의 타이머 ID가 HCMS관리표 메모리(22)내의 동일한 입력의 타이머 ID 필드내에 총 수행시간, 총 트랙의 수와 리드 아웃 어드레스 및 트랙 ID로서 나열된다.
즉, 01h 의 타이머 ID는 작동된 타이머를 위해 표현되며, CD-1로부터 트랙(Tr1)을 고속 더빙하는 시작위치와 관련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관리 번호 1에 의해 지시된 입력의 타이머 ID 필드 내에는, 01h의 값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현된다.
그런데, CD-1로부터의 트랙(Tr1)을 고속 더빙하는 과정이 완료되었을 때에, CD-1로부터의 트랙(Tr2)을 고속 더빙하는 과정이 시작된다.
이 경우에서는, 관리 번호 2에 의해 지시된 입력의 타이머 ID 필드 내에는, 02h의 값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1의 트랙(Tr2)에 대해 표현된다. 즉, CD-1의 트랙(Tr2)의 ID는 2의 관리 번호에 의해 지시된 입력의 타이머 ID 필드 내에서 표현되며, 동시에 타이머 장치(23) 내에 있는 대표적인 02h의 ID를 가지는 타이머는 작동되며 02h 이 타이머 ID는 동일한 입력의 타이머 ID 필드 내에 표현된다.
도 12에 도시된 보기에서는, CD-1과는 다른 CD-2의 트랙(Tr1)이 고속 더빙을 거치게 된다.
이 경우에서는, CD-2의 트랙(Tr1)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HCMS관리표 메모리(22)내의 3의 관리 번호에 의해 지시된 입력내에 표현된다. 즉, 입력내에 표현된 것은 트랙 ID와 CD-2에 기록된 트랙(Tr1)의 고속 더빙의 시작에서 구동되는 타이머에 할당된 03h의 타이머 ID이다. 트랙 ID는 CD-2의 디스크 지정정보와 01h의 트랙 수로 구성된다. 이 경우에서는, 디스크 지정정보가 1211h의 총 수행시간, 03h의 총 트랙 수와 1234h의 리드 아웃 어드레스로 구성된다.
상술한 경우에서는. 고속 더빙을 거치는 3 개의 트랙들이 HCMS 관리표 메모리(22)내에 표현된다. 3 개의 표현된 트랙들을 위해 작동되는 01h, 02h와 03h의 타이머 ID를 가지는 타이머들은 실제로 타이머 장치(230내에서 카운트 다운한다. 그 이유는 그들 각각의 트랙들의 고속 더빙 동작의 시작위치 때문이다. 시간의 관점에서는, 01 h, 02h,03h의 타이머 ID를 가지는 타이머들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180, 200,210의 타이머 시간들을 가지고 있다.
시스템 제어기(21)가 HCMS 관리표 메모리(22) 내에 표현된 트랙에 대해 작동되는 타이머의 타이머 시간 동안에 HCMS 관리표 메모리(22)를 참조할 필요가 있으면, 시스템 제어기(21)는 타이머 시간을 판독하기 위해서 HCMS 관리표 메모리(22)에 억세스할 때 타이머의 ID와 희망하는 지정된 트랙의 ID를 지정한다. 즉, CD-1상에 기록된 트랙(Tr1)의 타이머 시간을 구하기 위해서, 시스템 ,제어기는 트랙(Tr1)에 할당된 타이머의 ID와 트랙(Tr1)의 ID에 의해 지시된 입력 즉, 1의 관리 번호에 의해 지시된 입력을 타이머 시간 동안에 억세스한다.
타이머 장치(23)내에서 채택된 각 타이머에 의해 측정된 시간은 최대 74분 값을 가진다. 도 12에 도시된 각 타이머의 타이머 시간은 74 분 주기내에 있는 나머지 시간을 나타내는 수이다. 그러므로, 타이머 시간의 초기 값은 소정의 레절루션(resolution)에서 74분 주기를 나타낸다. 20초의 레절루션을 위해. 예를 들면, 타이머는 20초의 구간에서 카운트 다운하며, 즉, 타이머는 매 20초마다 타이머의 시간을 감소시키고 초기 타이머 시간은 다음의 값으로 설정된다.
74 * 60/20 = 222 < 255
초기 값은 255보다 작으므로, 타이머는 1 바이트 크기를 가지는 변수에 의해 충분히 실현될 수 있다.
74분과 동일한 시간 주기가 경과할 때에, 즉, HCMS 관리표 메모리(22)내에 저장된 트랙 ID에 대응하는 타이머의 타이머 시간이 0이 될 때에, 타이머의 타이머 ID와 트랙 ID에 대응하는 입력내의 모든 정보는 HCMS 관리표 메모리(22)로부터 삭제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50의 관리 번호에 의해 지시된 입력들을 가지는 보기에서는, 4와 그 뒤의 관리 번호에 의해 지시되는 입력들은 이용되지 않았다. 미사용된 입력에서는, 모든 0들이 저장된다. 즉, 0000h, 00h 0000h와 00h가 각각 총 수행시간, 총 트랙 수, 리드 아웃 어드레스와 트랙 수의 필드내에 저장된다. 타이머 필드 ID는 이러한 입력을 위해 어떤 타이머도 사용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00h로 또한 설정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HCMS 관리표 메모리(22)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각 입력의 필드내에 저장된 숫자 표현들은 단지 대표적인 표현들이라는 것을 주목한다. 즉,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채택된 대표적인 표현들에만 한정되어 있지는 않다.
예를 들면, 현재 트랙들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HCMS 관리표 메모리(22) 내에 표현되어 있고 표현된 트랙들과 관련된 타이머들이 시간을 측정한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환경 하에서, HCMS 관리는 표현된 트랙들의 고속 더빙을 다음과 같이 제한하기 위해 실행된다.
먼저, HCMS 관리표 메모리(22) 내에 나열된 3 개의 트랙들은 즉, CD-1의 트랙(Tr1, Tr2)과 CD-2의 트랙(Tr1)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들의 고속 더빙을 제한하기 위해 HCMS 관리를 받게 된다. 즉 더빙장치는 이용자가 고속 더빙을 하려고 시도할 때에, CD-1의 트랙(Tr1 또는 Tr2) 또는 CD-2의 트랙(Tr1)과 같은 고속 더빙을 종료하고 트랙의 더빙 및 기록동작을 최소한 금지하는 명세서를 가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즉, 그 명세서는 HCMS 관리표 메모리(22)내에 나열된 트랙 ID와 매칭되는 ID를 가지는 트랙의 고속 더빙을 금지한다.
둘째, 더빙장치의 구성은 고속 더빙을 금지하는 것에서 제외되는 트랙을 고속 더빙하도록 해야한다. 고속 더빙 금지에서 제외되는 트랙은 HCMS 관리표 메모리(22)내에 표현되지 않은 트랙이다. 이러한 트랙들의 보기는 먼저, CD-1과 CD-2가 아닌 CD에 기록된 트랙들, 트랙들(Tr1, Tr2)이 아닌 CD-1상에 기록된 트랙들과 트랙(Tr1)이 아닌 CD-2상의 트랙들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HCMS 관리표 메모리(22) 내에 저장된 트랙 ID에 대응하는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 주기가 종료될 때에, 타이머의 타이머 ID와 트랙 ID에 대응하는 입력 내의 모든 정보는 HCMS 관리표 메모리(22)로부터 삭제되므로 트랙 ID에 지시된 트랙의 고속 더빙은 허용된다.
도 12에 도시된 보기에서는, 타이머 시간은 우선 약 50분에 대응하는 180의 값을 가진다. 그러므로, 약 50분의 주기가 시간의 현재 시점으로부터 경과할 때에, 관리 번호 1에 의해 지시되고 CD-1상에 기록된 트랙(Tr1)을 위한 입력 내의 모든 정보는 HCMS 관리표 메모리(22)로부터 삭제되므로 CD-1상의 트랙(Tr1)의 고속 더빙이 허용된다.
이와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고속으로 더빙되는 트랙의 고속 재더빙(re-dubbing)은 고속으로 그 트랙을 더빙하는 동작의 시작위치 다음에 오는 74분간의 주기동안에 금지된다. 그러므로 그 주기내에서 고속으로 트랙을 다시 더빙하고자하는 시도는 실패로 끝나게 된다. 그러므로 짧은 시간 주기 동안에 저작권이 동일한 트랙상에서 수행되는 수 많은 복사 동작들에 의해 침해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CD에 기록된 TOC 정보는 트랙 ID를 형성하기 위해 트랙 수와 결합된다. 그러나, 트랙 ID는 도 10c를 참조하여 이미 설명된 ISRC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서는, ISRC가 각 트랙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내에 삽입되어 있는 정보이므로, 트랙이 CD로부터 재생되고 모드 3의 Q-채널 데이터가 추출된 후에, CD 상에 기록되어 있는 트랙의 고속더빙이 허용되었는지 또는 금지되었는지에 대한 판단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 실시예의 경우에서는, 한편, 도 12에 도시된 트랙 ID가 TOC 정보로부터 형성되므로, CD 상에 기록되어 있는 트랙의 고속더빙이 허용되었는지 또는 금지되었는지에 대한 판단은 트랙이 CD로부터 재생되기 전에 이루어질 수 있다.
비교목적을 위해, HCMS 관리의 실행이 상술한 ISRC에 근거한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에서는, 등배속도로 CD로부터 트랙을 재생시키는 동작이 시작된 후에 모드 3에 있는 Q-채널 데이터내에 포함된 ISRC를 시스템 제어기(21)가 검출하는 시간은 약 1초이며, 이 시간은 최소한 한 개의 ISRC가 항상 100 개의 서브 코딩 블록들내에 포함되어 있다는 가정하에서 75 개의 서브 코딩 블록들과 대응한다. 이러한 시간이 실제 ,재생 속도에 근거하더라도, ISRC는 거의 높은 신뢰성을 가지고 1초내에 검출될 수 있다. 게다가, ISRC에 근거한 HCMS의 실행시에는, ISRC 자체가 트랙 ID로서 사용된다. 그러므로, 도 12에 도시된 트랙 ID와는 달리, CD의 TOC 정보로부터 트랙 ID를 생성하는 처리는 제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ISRC에 근거하는 HCMS 관리는 상당히 실제적이고 유용한 기술이라고 여겨질 수 있다.
더욱 간단한 HCMS 관리 기술로서는, 총체적인 관리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복사 소스로서 작용하는 CD와 같은 기록매체가 한 단위로서 채택된다. 즉, 이 경우에는, 관리가 도 12를 참조하여 이미 설명된 디스크 지정정보를 타이머 ID와 결합시킴으로써 실행된다.
즉, 대표적인 디스크 ID만 즉, 디스크 지정정보만이 고속 더빙의 각 실행을 위해 도 12에 도시된 트랙 ID 필드 내에 저장된다. 디스크 ID외에도, 타이머 ID가 저장된다. 타이머 장치(23) 내의 타이머 ID에 의해 지시된 타이머는 디스크의 고속 더빙이 시작될 때 작동된다.
그 후에, CD를 고속으로 더빙하고자할 때, CD의 디스크 ID는 HCMS 관리표 메모리(22) 내에 표현된 디스크 ID와 비교된다. 만약 CD의 디스크 ID가 HCMS 관리표 메모리(22) 내에 표현된 디스크 ID중 어느 것과 매치되면, 디스크의 고속 더빙은 금지된다. 만약 CD의 디스크 ID가 HCMS 관리표 메모리(22) 내에 표현된 디스크 ID중 어느 것과 매치되지 않으면, 디스크의 고속 더빙은 허용된다.
이러한 간단한 HCMS 관리의 경우에는, 관리가 디스크 단위로 실행된다. 그러므로, CD상에 기록된 트랙(Tr1)이 고속으로 더빙될 때에, 예를 들면, 트랙(Tr1)의 고속 더빙 뿐만아니라 나머지 트랙(Tr2)과 CD상에 기록된 후속 트랙들의 고속 더빙은 트랙(Tr1)의 고속 더빙의 시작위치로부터 시작되는 74 분 주기 동안에 금지된다.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의해 채택된 고속더빙금지 주기 또는 초기 타이머 시간은 특히 HCMS 규정을 준수하는 것이 필요 없을 경우, 74분으로 제한되어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주목한다. 고속더빙 금지주기는 실제 이용조건과 저작권 보호의 효과와 같은 인자들을 고려한 결과에 따라 74분보다 크거나 또는 작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트랙들의 수행시간들의 평균들을 약 3분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에는, 초기 타이머 시간이 1 트랙의 수행시간과 동일한 약 3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게다가, 타이머의 시간측정의 시작은 타이머와 관련된 트랙의 고속더빙의 시작과 일치할 필요가 없다. 대신에, 타이머의 시간측정은 타이머와 관련된 고속더빙 동안에 어느 시간에서 시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타이머의 시간측정은 타이머와 관련된 트랙의 고속 더빙의 종료시점에서 시작될 수 있다.
6. 실시예들의 더빙동작
6-1. 제 1실시예
지금까지 기본자료로 제공된 설명을 이용하여, 다음의 설명은 실시예에 의해 수행되는 더빙동작의 보기를 서술하고 있다. 더빙 동작은 도 12를 참조하여 이미 설명된 기술을 이용하여 HCMS 관리를 실행함으로써 수행된다.
도 13은 대표적인 더빙동작을 나타내는 제 1실시예를 단순하고 평범한 방법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4 개의 트랙들(Tr1-Tr4)은 CD상에 기록되어 있다. HCMS의 현재 상태로서, 트랙들(Tr1, Tr3)은 HCMS 관리로부터 삭제되며 트랙들(Tr2, Tr4)은 각각 HCMS 관리의 오브젝트이다. 즉, 트랙들(Tr2, Tr4)은 일단 현재 시간위치를 기본 시점으로 취해 보았을 때에, 과거 74분 동안에 고속더빙과정을 거치게 되었다. 그러므로, 고속더빙을 금기하기 위해서 HCMS 관리표 메모리(22)내에 표현된다. 한편, 트랙들(Tr1, Tr3)은 HCMS 관리표 메모리(22)내에 표현되지 않으므로 그들의 고속 더빙이 허용된다.
이러한 HCMS 관리상태에서, 이용자가 도 13에 도시된 CD를 이 실시예에 의해 실현되는 더빙장치상에 장착한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이용자는 고속더빙과 CD로부터 MD로 모든 트랙들을 더빙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 고속더빙 모드로 설정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 경우에, CD 장치는 증가하는 트랙들의 순서대로 CD로부터 트랙들을 재생하며 MD 장치는 더빙기록동작 동안에 트랙들을 기록한다. 그러므로, 더빙동작 은 트랙(Tr1)에서 시작된다.
제일 먼저 CD상에 기록된 더빙된 트랙(Tr1)은 HCMS 관리로부터 삭제되므로, 트랙(Tr1)의 고속더빙은 허용된다. 그러므로, 이 실시예에 의해 구현되는 더빙장치내에서는, 트랙(Tr1)이 고속더빙되어 MD상에 기록된다. 트랙(Tr1)의 고속더빙의 시작위치에서, 트랙(Tr1)을 HCMS 관리표 메모리(22)내에 표현하는 처리가 수행된다. 트랙(Tr1)은 HCMS 관리표 메모리(22)내에서 표현되므로, 트랙(Tr1)의 고속더빙의 시작시점부터 74분 주기가 경과할 때까지 트랙(Tr1)의 고속 재더빙을 금지하는 관리가 실행된다.
트랙(Tr1)의 고속더빙이 완료될 때에, 트랙(Tr2)의 고속더빙을 시작하는 시도가 이루어진다. 트랙(Tr2)은 이미 HCMS 관리표 메모리(22)내에 표현되어 있으므로, 트랙(Tr2)의 고속 재더빙을 금지하는 관리가 실행된다.
이 경우에, 이 실시예는 고속더빙이 금지되어 있는 트랙(Tr2)을 위해 더빙 속도를 등배속도로 스위치하며, 등배속도로 더빙동자기에 트랙(Tr2)을 CD로부터 MD로 복사한다.
그 후에, 트랙(Tr2)의 등배속도 더빙동작의 완료는 트랙(Tr3)의 고속더빙을 시작하는 타이밍으로 선택된다. CD상에 기록된 트랙(Tr3)은 HCMS 관리로부터 삭제되므로, 트랙(Tr3)의 고속더빙은 허용된다. 그러므로, 이 실시예에 의해 실현되는 더빙 장치내에서는, 더빙 속도가 소정의 증배속도로 스위치 백(switch back)되며, 트랙(Tr3)은 고속더빙되어 MD상에 기록된다.
트랙(Tr3)의 고속더빙이 완료되면, 트랙(Tr4)의 고속더빙을 시작하는 시도가 이루어진다. 트랙(Tr4)도 이미 HCMS 관리표 메모리(22)내에 표현되어 있으므로, 트랙(Tr4)의 고속 재더빙을 금지하는 관리가 실행된다. 이 경우에, 트랙(Tr2)과 마찬가지로, 이 실시예는 고속더빙이 금지되어 있는 트랙(Tr4)을 위해 더빙 속도를 등배속도로 스위치하며, 등배속도로 더빙작업시에 트랙(Tr4)을 CD에서 MD로 복사한다.
종래의 장치에서는, 트랙의 고속더빙이 금지되어 있는 고속더빙을 시작하는 시도가 이루어질 때에, 고속더빙 모드에서 수행되는 기록동작 동안에, 그 더빙동작 자체는 중단된다.
이 실시예의 경우에, 고속더빙이 허용되어 있는 트랙은 고속더빙이 되며 고속더빙이 금지되어 있는 다른 트랙을 위해서는, 더빙속도가 상술한 바와 같이 다른 트랙의 더빙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등배속도로 스위치된다.
고속더빙 모드에서는, 고속더빙이 금지되어 있는 트랙에 대해서는, 더빙속도가 등배속도 즉, 그 트랙에 대한 HCMS 규정들을 위반하면서 더빙동작을 수행하는 저속도로 스위치된다. 이와같이, 고속더빙 모드에서 수행되는 기록동작은 처리중에 더빙/기록 동작을 중지시키지 않고 마지막 트랙까지 계속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 즉, 도 13에 도시된 제 1실시예로서 제공된 더빙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시스템 제어기(21)는 상기 흐름도에 의해 표현된 동작들을 수행한다는 것을 주목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는 시스템 제어기(21)가 고속더빙이 실행되도록하는 요청을 기다리는 상태로 들어가는 단계(S101)에서 시작된다는 것을 주목한다. 이용자가 고속더빙을 시작하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고속더빙에 대한 요청을 하게 되면, 처리의 흐름은 단계(S102)로 진행한다.
단계(S102)에서는, HCMS 관리표 메모리(22)가 더빙되는 트랙상의 정보를 위해 참조된다. 현재의 트랙은 현재시간에서 더빙되는 트랙으로서 , 선택된 CD상에 기록된 트랙들중의 한 트랙이다. 단계(S102)의 동작이 먼저 수행될 때에, 도 13에 도시된 CD의 재생순서중 제 1트랙은 현재 트랙으로서 선택된다.
처리의 흐름은 현재 트랙의 고속더빙이 금지 또는 허용되었는지에 대한 판단 즉, 현재 트랙상의 정보가 HCMS 관리를 참조한 결과로서 발견되었는지 아닌지에 대한 판단을 하는 단계(S103)로 진행한다. 현재 트랙상의 정보가 HCMS 관리표 메모리(22)내에 표현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나타내는 HCMS 관리표 메모리(22)를 참조한 결과는 현재의 트랙의 허용된 고속더빙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처리의 흐름은 단계(S104)로 진행한다. 현재 트랙상의 정보가 HCMS 관리표 메모리(22)내에 표현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HCMS 관리표 메모리(22)를 참조한 결과는 현재의 트랙의 금지된 고속더빙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처리의 흐름은 단계(S108)로 진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만약 현재의 트랙의 고속더빙이 허용된다면, 처리의 흐름은 단계(S104)로 진행하여 현재의 더빙 속도가 등배 속도 또는 고속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판단의 결과가 현재의 고속더빙이 고속이라는 것을 나타낸다면, 처리의 흐름은 단계(S112)로 직접 진행한다. 만약 만약 판단의 결과가 현재의 고속더빙이 등배속이라는 것을 나타낸다면, 처리의 흐름은 단계(S105, S106, S107)를 통해 단계(S112)로 진행한다.
단계(S105)에서는, 제어가 CD의 재생동작과 MD의 기록동작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기 위해 실행된다. CD의 재생동작은 바로 이전 트랙의 재생 동작이 완료된 후에 그리고 현재 트랙의 재생동장의 시작 이전에 일시적으로 정지된다. 동일한 방법에 의해, MD의 기록동작은 바로 이전 트랙의 데이터를 한 영역에 입력시키는 동작을 MD상의 데이터에 대한 마지막 위치까지 완료하는 타이밍에 의해 일시적으로 정지된다. 나중에 기술되는 단계(S109)에서 수행된 처리는 단계(S105)의 처리와 동일하다.
단계(S106)에서는, 등배속으로부터 고속까지 더빙속도를 스위치하는 제어가 수행된다. 즉, CD 장치내의 CD의 회전 속도는 N배 CLV로 제어되며 CD장치내에서 체택된 여러 가지 부품들에 공급된 클럭 신호의 주파수도 또한 도 2를 참조하여 미리 설명된 정상적인 클럭 주파수의 N배와 동일한 값으로 설정된다.
처리의 흐름은 단계(S107)로 진행하여 CD 장치 내의 여러 가지 서보제어동작이 N배 속도로 수행된 후에 안정화 되는 조건을 기다리는 상태로 들어가게 된다. 그 후에, 처리의 흐름은 단계(S112)로 진행한다. 시스템 제어기(112)는 PLL 회로(39)가 N배 속도로 잠금상태(locked state)에 들어가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PLL회로(39)의 동작조건을 모니터함으로써 CD 장치 내의 여러 가지 서보제어 동작들이 단계(S107)에서 안정화되어 있는지에 대하여 판단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한다. 대표적으로, 이 실시예의 실제 구현에서는, PLL 회로(39)가 N배 속도로 잠금상태로 들어갈 때 소정의 신호가 발생한다. 이 경우에, 시스템 제어기(21)는 잠금상태를 위해 발생된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CD 장치 내의 여러 가지 서보제어동작들이 단계(S107)에서 안정화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S112)에서는, 현재 트랙을 HCMS 관리표 메모리(22) 내에 입력시키는 처리가 수행된다. 즉, 트랙 ID는 도 12를 참조하여 이미 기술된 바와 같이 현재 트랙의 수와 CD장치 상에 현재 장착된 CD의 TOC 정보로부터 형성된다. 트랙 ID와 타이머 ID는 HCMS 관리표 메모리(22) 내의 이용가능한 관리번호에 의해 지시된 입력 내에 표시된다. 그 후에, 표시된 타이머 ID에 의해 지시된 타이머는 작동된다.
현재 트랙을 HCMS 관리표 메모리(22)내에 표시하는 처리가 완료된 후에, 처리의 흐름은 단계(S113)로 진행하여 CD와 MD 장치들의 동작들의 제어가 현재 트랙을 더빙하는 후속 처리를 정확하게 수행하기 위해 시작된다. 그 처리의 흐름이 단계(S104, S112)를 통해 또는 단계(S104, S105, S106, S107, S112)를 통해 단계(S113)에 도달할 때에, MD 장치의 기록동작과 CD 장치의 재생 동작을 고속 더빙으로 동기적으로 수행하는 제어가 실행된다. 그 처리의 흐름이 단계(S108)를 통해 또는 단계(S108, S109, S110, S111, S112)를 통해 단계(S113)에 도달할 때에, MD 장치의 기록동작과 CD 장치의 재생 동작을 등배속도 더빙으로 동기적으로 수행하는 제어가 실행된다.
만약 단계(S103)에서 형성된 판단 결과가 현재 트랙의 고속더빙이 금지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면, 처리의 흐름은 단계(S108)로 진행하여 현재 더빙속도가 등배속도인지 또는 고속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판단 결과가 현재 트랙의 고속더빙이 등배속도라면, 처리의 흐름은 단계(S113)로 진행하여 CD 장치의 재생동작과 MD 장치의 기록동작을 등배속도로 시작하게 된다.
만약 단계(S108)에서 형성된 판단 결과가 현재 더빙속도가 고속도라면, 처리의 흐름은 단계(S109, S110, S111)를 경유하여 단계(S113)로 진행한다. 단계(S109)에서는, CD 장치의 재생동작과 MD 장치의 기록동작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는 제어가 실행된다. 단계(S110)에서는, 고속에서 등배속도로 더빙 속도를 스위치하는 제어가 실행된다. 처리의 흐름은 단계(S111)로 진행하여 CD 장치내의 여러 가지 서보제어동작이 등배 속도로 수행된 후에 안정화되는 조건을 기다리는 상태로 들어가게 된다. 그 후에, 처리의 흐름은 단계(S113)로 진행하여 현재 트랙의 더빙 동작을 등배 속도로 시작하게 된다.
처리의 흐름은 단계(S113-S114)로 진행하여 재생동작을 현재 수행하면서 CD내의 트랙 변화를 위한 대기 상태로 들어가게 된다. 트랙변화가 검출되면, 처리의 흐름은 단계(S115)로 진행한다.
단계(S115)에서는, 시스템 제어기(21)가 재생되기 위해 남아 있는 트랙이 더빙 기록매체의 소스로서 작용하는 CD내의 더빙되지 않은 오브젝트로서 존재하는 가를 판단한다. 정상적으로, 트랙들은 증가하는 트랙번호 순으로 CD로부터 재생된다. 이 경우에, 단계(S115)의 판단은 단계(S114)에서 검출된 트랙변화가 마지막 트랙번호를 가지고 있는 트랙을 재생하는 동작후에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함으로써 형성된다.
단계(S115)에서 형성된 판단의 결과가 재생되어지는 남아 있는 트랙이 CD장치내의 더빙되지 않은 오브젝트로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낸다면, 처리의 흐름은 단 계(S102)로 진행하여 HCMS 관리표 메모리(22)가 더빙되어지는 새로운 현재 트랙에 관한 정보를 위해 참조된다. 처리가 단계(S115) 로부터 단계(S102)로 돌아올 때에, 단계(S114)에서 검출된 트랙 변화에 의해 지시된 다음 더빙 동작동안에 CD로부터 다음 번에 재생되어 MD에 기록되는 트랙은 새로운 현재 트랙으로 선택된다. 상술한 단계(S102-S115)의 동작들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더빙 동작은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 결과,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허용된 고속더빙에 의해 트랙상에서 고속더빙을 수행하고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고속더빙이 금지된 트랙상에서 등배속도를 수행하게 된다.
단계(S115)에서 형성된 판단의 결과가 재생되어지는 남아 있는 트랙이 CD장치내의 더빙되지 않은 오브젝트로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면, 처리의 흐름은 단계(S116)로 진행하여 CD의 재생 동작과 MD의 기록동작이 중지된다. 게다가, MD상에 기록된 U-TOC를 갱신하는 처리와 같은 필요한 종료 처리는 요구된다면 지금 까지 얻어진 처리의 결과에 따라 수행된다.
6-2. 제 2실시예
본 실시의 제 2실시예는 더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이용된다. 또한 제 2실시예에 의해 설명되는 더빙 동작시에는, HCMS 관리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행되어 고속 더빙 모드에서 더빙과 기록을 수행한다.
제 2실시예는 도 15a-도 21을 참조하여 더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보기에서 더빙의 소스로 작용하는 기록매체는 도 15a에 도시된 10 개의 트랙들(Tr1-Tr10)을 기록하기 위한 CD-A이다. 한편, 더빙의 목적지로서 작용하는 기록매체(MD)는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가능한 이용자 영역 내에 어떠한 오디오 데이터도 기록되지 않은 소위 공 디스크(blank disc)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가장 바깥의 외주부로 향하는 방향 내에서 가장 안쪽의 내주부 트랙에서 시작하는 MD의 신호표면상에 생성된 원형트랙 상에 데이터가 기록된다는 것을 주목한다.
이러한 제 2 실시예에서는, 도 15a에 도시된 CD-A상에 기록된 모든 데이터는 더빙 및 기록처리를 도 15b에 도시된 MD에 대하여 고속더빙 모드로 행하게 된다.
도 16a-도16e는 HCMS 관리표 메모리(22) 내에 표현된 데이터와 제 2실시예에 의해 설명되는 더빙 동작들의 단계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그 도면들은 단계 ①-⑦의 관점에서 더빙 동작의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6a는 도 15a에 도시된 CD-A 내에 기록된 모든 데이터를 도 15b에 도시된 MD로 더빙하는 동작의 바로 전에 HCMS 관리표 메모리(22) 내에 표현된 데이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A상에 기록된 트랙들(Tr2, Tr4)의 트랙 ID들은 HCMS 관리표 메모리(22) 내의 관리 번호 1과 2에 의해 지시된 입력들 내에 각각 표현된다.
두 개의 트랙 ID들은 공통 정보 즉, HCMS 관리표 메모리(22) 내의 관리번호 1과 2에 의해 지시된 두 개의 입력들 내에 있는 총 수행시간의 필드 내에 저장된 4023h, 총 트랙번호의 필드 내에 저장된 10h의 값과 리드 아웃 필드 내에 저장된 4100h로 표현되는 40분 23초의 CD-A 총 수행시간, 10의 총 트랙번호와 41분 00초의 리드 아웃 어드레스를 포함한다. 관리 번호 1에 의해 지시된 입력은 트랙(Tr2)에 관련되어 있는 타이머 ID의 필드 내에 있는 01h의 타이머 ID와 트랙 수의 필드 내에 있는 02h의 트랙 수를 포함한다. 한편, 관리 번호 2에 의해 지시된 입력은 트랙(Tr4)에 관련되어 있는 타이머 ID의 필드 내에 있는 02h의 타이머 ID와 트랙 수의 필드 내에 있는 04h의 트랙 수를 포함한다.
이러한 시점에서, 관리 번호 1에 의해 지시된 입력 내의 01h의 타이머 ID에 의해 지시된 타이머의 타이머 시간은 30이다. 한편, 관리 번호 2에 의해 지시된 입력 내의 02h의 타이머 ID에 의해 지시되는 타이머의 타이머 시간은 200이다. 이러한 관리 상태에서는, CD-A 상에 기록된 10 개의 트랙들 중에서 2 개의 트랙들(Tr2, Tr4)은 고속 더빙을 금지하기 위해 HCMS 관리를 받게 된다.
이용자는 이 실시예에 의해 실현되는 더빙장치상에 도 15a와 도 15b에 도시된 CD-A와 MD를 장착하고 도 16a에 도시된 관리 상태에 의해 표현되는 조건하에서 고속더빙을 시작하기 위해서 동작부(19)상에서 소정의 동작을 수행한다고 가정한다.
요청된 고속더빙이 시작될 때에, 기본적으로, CD 장치는 증가하는 트랙번호 순으로 CD-A로부터 트랙들(Tr1-Tr10)을 재생하고 재생된 트랙들은 MD 장치로 전달한다. MD 장치는 CD-A로부터 재생된 트랙들(Tr1-Tr10)의 오디오 데이터를 MD상에 입력한다.
도 16a에 도시된 HCMS 관리표 메모리(22)의 입력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CD-A로부터 초기에 재생된 트랙(Tr1)은 HCMS 관리표 메모리(22) 내에 표현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트랙(Tr1)은 고속으로 더빙될 수 있다. 그러므로, 먼저, 절차의 단계 ①에서, 트랙(Tr1)은 고속으로 더빙된다. 트랙(Tr1)의 고속 더빙을 시작하는 타이밍에서, 트랙(Tr1)은 HCMS 관리표 메모리(22) 내의 관리 번호 3에 의해 지시된 대표적인 입력 내에 표현된다. 이러한 타이밍을 가지는 트랙(Tr1)을 표현하는 동작은 도 16a에 명백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주목한다. 즉, 그 시간에 구동되는 타이머의 타이머 ID와 트랙(Tr1)을 식별하는 트랙 ID는 HCMS 관리표 메모리(22) 내의 관리 번호 3에 의해 지시된 입력 내에 표현된다. 이러한 데이터 표현 동작은 다음 설명에서 설명되는 고속더빙 동작을 미리 거치는 트랙에 대해 수행된다.
절차의 단계 ①에서 수행되는 트랙(Tr1)의 고속더빙의 시작부터 트랙(Tr1)의 재생시간과 거의 동일한 시간 주기가 경과될 때에, 도 16a에 도시된 HCMS 관리상태는 트랙(Tr1)의 고속더빙의 종료시범에서 도 16b에 도시된 HCMS 관리상태로 변화한다.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01h와 02h의 타이머 ID에 대한 타이머 시간들은 트랙(Tr1)의 고속 더빙 동안에 각각의 타이머들내에서 발생하는 카운트 다운으로 인해 트랙(Tr1)의 고속더빙의 기간에 대응하는 차이만큼 감소하여 도 16a에 도시된 값들보다 더 작은 값들로 감소된다. 도 16b에 도시된 관리상태에서는, CD-A상의 트랙(Tr2, Tr4)의 고속더빙은 도 16a에 도시된 관리상태의 경우와 같이 금지된다.
절차의 단계 ①에서 수행되는 트랙(Tr1)의 고속더빙이 완료된 후에, CD 장치는 트랙(Tr2)을 재생하는 동작을 정상적으로 수행한다. 그 때에, 그러나, 트랙(Tr2)의 고속더빙은 도 16b에 도시된 HCMS 관리상태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금지된다.
이러한 경우에, 트랙(Tr2)의 더빙작업은 이러한 제 2실시예의 이 단계에서 수행되지 않고 나중에 수행된다. 대신에, 재생 순서 중 다음 트랙들은 고속으로 순차적으로 더빙된다. 다음 트랙들은 현재시점에서 HCMS 관리로부터 삭제된 트랙이다. 즉, 고속더빙이 허용된 트랙이다. 즉, 그 실시예는 현재 시점에서 HCMS의 오브젝트로서 취급되는 트랙, 즉, 고속더빙이 금지된 트랙의 더빙을 연기한다. 대신에, 현재 시점에서 고속더빙이 허용되어 있는 트랙들은 재생 순서에 따라 고속으로 순차적으로 CD-A로부터 더빙되어 MD 상에 기록된다.
이 경우에서는, 트랙(Tr2)의 다음에 오는 트랙(Tr3)은 고속더빙이 허용되어 있는 재생순서내의 최초 트랙이다. 그러므로, 트랙(Tr1)의 고속더빙이 완료된 후에, 트랙(Tr3)은 절차의 단계 ②에서 고속으로 더빙된다. 즉, 트랙(Tr1)의 증배 속도 더빙이 완료된후에, 트랙(Tr3)에 대한 트랙 변화는 CD 장치내에서 발생한다. 트랙(Tr3)은 트랙(Tr1)과 같이 증배속도로 더빙된다. 그 후에, 증배속도로 재생이 된 데이터는 MD상에 기록된다. 절차의 단계 ②에서 수행된 트랙(Tr3)의 고속더빙이 완료된 후에, HCMS 관리상태는 도 16c에 도시된 상태로 변화한다.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01h와 02h의 타이머 ID에 대한 타이머 시간들은 트랙(Tr3)의 고속 더빙 동안에 각각의 타이머들내에서 발생하는 카운트 다운으로 인해 트랙(Tr1)의 고속더빙의 기간에 대응하는 차이만큼 감소하여 도 16b에 도시된 값들보다 더 작은 값들로 감소된다. 도 16c에 도시된 관리상태에서는, 01h와 02h의 타이머 ID에 대한 타이머 시간들은 0이 아니다. 즉, CD-A상의 트랙(Tr2, Tr4)의 고속더빙은 도 16b에 도시된 관리상태의 경우와 같이 금지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절차의 단계 ②에서 수행되는 트랙(Tr3)의 고속더빙이 완료된 후에, 재생순서상 다음 트랙이 되는 트랙(Tr4)의 더빙동작이 수행된다. HCMS 관리의 현재상태에 따라, 트랙(Tr4)의 다음에 오는 6 개의 트랙들(Tr5 - Tr10)이 고속더빙을 거치게 된다. 그러므로, 절차의 단계 ③에서는, 더빙장치가 고속으로 트랙들(Tr5 - Tr10)을 더빙한다.
절차의 단계 ③에서 트랙들(Tr5 - Tr10)의 고속더빙이 완료된 후에, HCMS의 오브젝트로서 각각 취급되고 고속더빙의 시작 시점에서 고속더빙처리가 안되었던 트랙들(Tr2, Tr4)은 도 15a에 도시된 CD-A로부터 재생이 된다.
절차의 단계 ③에서 트랙들(Tr5 - Tr10)의 고속더빙이 완료된 시점에서, HCMS의 관리상태는 도 16d에 도시된 상태로 변화된다. 도면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고속 더빙에 대응하는 경과시간으로 인해 01h의 타이머 ID에 대한 타이머 시간들은 0이 되어 버린다. 타이머 시간과 타이머 ID는 HCMS 관리표 메모리(22)의 관리번호 1에 의해 지시되는 도 15a의 트랙(Tr2)을 위한 입력 내에 표현된다.
즉, 절차의 단계 ③에서 수행되는 트랙(Tr5 - Tr10)의 고속더빙이 완료되는 시점에서의 HCMS 관리 상태는 CD-A상에 기록된 트랙(Tr2)이 HCMS 관리로부터 삭제되었으므로 트랙(Tr2)의 고속더빙이 허용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한편, 동일한 시점에서, 트랙(Tr4)에 대한 02h의 타이머 ID와 관련된 타이머 시간은 0이 되지 않는다. 즉, 그 시점에서 HCMS 관리 상태는 트랙(Tr4)이 아직도 HCMS 관리의 오브젝트가 되므로 트랙(Tr4)의 고속더빙은 여전히 금지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사실은, 관리번호 1에 의해 지시된 입력 내에 표현된 데이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타이머 시간이 0이되는 시점에서 HCMS 관리표 메모리(22)로부터 삭제된다. 설명이 좀 더 쉽게 이해되도록 하기 위해서, CD-A 상에 기록된 트랙(Tr2)에 대한 관리번호 1에 의해 지시된 입력 내에 표현된 데이터는 도 16d 내에 존재한다.
이러한 HCMS 관리 상태에서는, 고속 더빙이 허용되는 트랙(Tr2)은 제2 실시예의 절차 중 단계 ④에서 수행되는 고속더빙작업시에 고속으로 더빙된다.
절차의 단계 ④에서 트랙들(Tr2)의 고속더빙이 완료된 시점에서, 더빙되어지게 되는 유일한 트랙은 트랙(Tr4)이다. 절차의 단계 ④에서 트랙들(Tr2)의 고속더빙이 완료된 시점에서, HCMS의 관리상태는 도 16e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Tr4)에 대한 메모리(22) 내의 관리번호 1에 의해 지시된 입력은 02h의 타이머 ID와 관련된 110의 타이머 시간을 포함한다. HCMS의 이러한 상태는 트랙(Tr4)의 고속더빙이 아직도 금지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경우에, 나머지 트랙(Tr4)이 절차의 단계 ⑤에서 등배속도로 더빙 및 기록과정을 거치게 된다. 등배속도로 트랙(Tr4)을 기록 및 더빙하는 과정이 완료되었을 때에, 더빙 및 기록을 종료하는 처리는 처리의 단계 ⑥에서 수행된다. 즉, CD 장치가 CD-A의 재생동작을 완료한 후에, MD 장치는 트랙(Tr4)의 데이터가 MD상에 완전히 입력된 시점에서 MD상에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하는 동작을 마치게 된다.
도 17a와 도 17b는 도 16에 도시된 절차의 단계 ①-⑥에서 MD장치에 의해 수행된 데이터 기록의 결과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도 17a는 도 15b에 도시된 블랭크 상태이나 트랙 단위들로 기록된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MD상의 기록가능한 이용자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a-도 17c에 도시된 트랙 번호들(Tr1-Tr10)은 도 15a에 도시된 CD-A의 번호들과 동일하다.
이미 기술된 절차의 단계들 ①-⑥에서 수행된 더빙 처리에서는, MD 장치가 외주부 트랙을 향하는 방향 내에서 내주부 상에 있는 영역의 시작위치로부터 기록가능한 이용자 영역내가지 트랙들의 오디오 데이터를 다음과 같은 순서대로 입력한다. : Tr1 - - > Tr3 - - > Tr5 - - > Tr6 - - > Tr7 - - > Tr8 - - > Tr9 - - > Tr10 - - > Tr2 - - > Tr4. 도면에서는, 트랙(Tr4)의 기록영역의 종료 시점과 리드 아웃 시작 어드레스의 바로 이전 위치간의 영역은 자유 영역이다.
이 도면은 트랙을 기록하기 위한 각 영역의 시작 어드레스와 종료 어드레스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어드레스들은 U-TOC 섹터(0)의 관리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기술되는 U-TOC 섹터(0)내에 저장된다. 시작과 종료 어드레스들은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표시(A0-A21)는 각각 실제로 실수값을 가지는 어드레스를 표시한다.
[트랙 번호 (영역) : 시작 어드레스, 종료 어드레스]
[Tr1 : A0, A1]
[Tr2 : A2, A3]
[Tr3 : A4, A5]
[Tr4 : A6, A7]
[Tr5 : A8, A9]
[Tr6 : A10, A11]
[Tr7 : A12, A13]
[Tr8 : A14, A15]
[Tr9 : A16, A17]
[Tr10 : A18, A19]
[자유영역 : A20, A21]
MD 장치는 기본적으로 트랙들이 MD상에 기록되어 있는 시간 순서대로 올림차순의 트랙번호들을 순차적으로 그 트랙들에 할당함으로써 MD상에 기록된 트랙들을 제어한다.
트랙들(Tr1-Tr10)은 도 17b의 하부 라인에 도시된 바와 같이 Tr1 - - > Tr3 - - > Tr5 - - > Tr6 - - > Tr7 - - > Tr8 - - > Tr9 - - > Tr10 - - > Tr2 - - > Tr4의 순서대로 도 16에 도시된 절차중 단계 ①-⑥에서 CD-A로부터 MD로 더빙된다.
도 17b에 도시된 상부 라인상에 도시된 트랙 번호들은 절차중 단계 ①-⑥에서 하부 라인에 도시된 순서대로 MD상에 기록된 각각의 트랙들에 할당된다. 즉, 트랙 번호들(#1, #2, #3, #4, #5, #6, #7, #8, #9, #10)은 CD-A상에 기록된 트랙들(Tr1, Tr2, Tr3, Tr4, Tr5, Tr6, Tr7, Tr8, Tr9, Tr10)에 할당된다.
제 2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더빙 동작에서는, CD 내의 트랙들에 할당된 증가하는 트랙 번호들의 순서와는 매칭이 되지 않는 기록 순서대로 MD 상에 트랙들이 기록되어 있는 불가피한 상황이 존재할 수 있다.
MD 상에 기록된 트랙들의 기록순서가 즉, MD 장치에 의해 트랙들에 할당된 증가하는 트랙 번호의 순서가,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에 의해 트랙들에 할당된 증가하는 트랙번호들의 순서와 매칭되지 않는 상태에 있다면, 이용자는 MD 장치에 의해 트랙들에 할당된 증가하는 트랙 번호들의 순서와 호환성이 없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이용자는 더빙의 소스로서 작용하는 CD에 의해 트랙들에 할당된 증가하는 트랙번호들의 순서와 매칭되고 MD 장치에 의해 트랙들에 할당된 증가하는 트랙번호들을 자연히 요구하게 된다. 이 경우에, 이용자는 MD 상의 트랙들을 재배열함으로써 MD를 편집해야만 한다. 그러므로, 이용자가 책임져야할 부하가 증가하게 된다. 그러므로, MD 상에 기록된 트랙들이 제 2실시예와 같이 더빙 동작의 결과로서 얻어지더라도 CD 장치 내에서 설정된 것과 같은 순서대로 트랙 번호들을 트랙들에 할당함으로써 MD 상에 기록된 트랙들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이유 때문에, 제 2실시예에서는, 절차의 단계 ⑥에서 수행되는 더빙 및 기록 처리가 종료된 후에는, 처리의 단계 ⑦에서 자동적으로 CD 장치 내에 설정된 동일한 순서대로 MD 상에 기록된 트랙들을 재배열하는 처리가 수행된다. 즉, 트랙들이 처리되어지는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MD 상에 기록된 트랙들의 순서는 도 17c에 도시된 순서로 변화된다. 즉, MD 상의 트랙 번호들(#1-#10)을 CD-A로부터 더빙되어지는 트랙들(Tr1-Tr10)에 각각 할당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다음의 서술은 처리의 단계 ⑦에서 수행되는 처리를 실현하는 구조를 설명한다.
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서, 먼저 시스템 제어기(21)가 더빙 및 기록처리를 수행할 때에 CD 장치내에 설정된 트랙들의 순서를 저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제 2실시예에 의해 표현된 더빙 동작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도 18에 도시된 것과 같은 더빙 순서표는 RAM(21a) 내에 준비된다. CD-A로부터 트랙을 더빙하는 더빙 동작이 도 16에 도시된 처리의 단계들 ①-⑥을 통해 트랙순으로 더빙하는 동안에 수행될 때마다, 시스템 제어기(21)는 더빙 동작의 순서 번호를 위한 슬롯에서 트랙의 트랙 번호를 더빙 순서표 내에 기록한다. 도 18은 구체적으로 말하면, 더빙 순서표의 내용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내용들은 도 16에 도시된 처리의 단계들 ①-⑥을 통해 트랙순으로 더빙한 결과에 의해 얻어진다.
시스템 제어기(21)는 트랙들을 새로운 순서대로 재배열하기 위해서 더빙 순서표의 내용들을 참조하여 나중에 설명하는 U-TOC내에 기록된 데이터를 갱신한다.
도 19는 트랙 재배열 처리 이전에 도 16에 도시된 처리의 단계 ⑥에서 수행되는 더빙 및 기록 동작의 종료 시점에서 버퍼 메모리(13)내에 저장된 U-TOC 섹터(0)내의 부분 입력 포인터표와 관리표(또는 부분 입력표)의 대표적인 데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부분 입력은 표 슬롯을 함축하고 있다.
부분 입력 포인터표 내의 각 부분 입력 포인터와 관리표 내의 각 링크 정보는 각각 1 바이트 데이터이며, 관리표 내의 각 시작 어드레스와 각 종료 어드레스는 각각 3 바이트이다. 부분 입력 포인터 또는 링크 정보 내의 심볼 "-"은 부분 입력 포인터 또는 00h의 링크 정보를 나타낸다. 반면에 시작 또는 종료 어드레스 내의 심볼 "-"은 000000h의 시작 어드레스 또는 종료 어드레스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P-DFA에 대한 심볼 "-"은 디스크(1)상의 기록가능한 이용자 영역내에 아무 결점도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00h의 P-DFA의 값을 나타낸다.
U-TOC 섹터(0)에서는, 부분 입력 포인터들(P-TNO1 - - - P-TNO10)에서 설정된 01 - - 0Ah의 값과, 부분입력 포인터표 내의 부분입력 포인터(P-FRA)에서 설정된 0Bh의 값과, 부분표 내에 설정된 시작 어드레스(A0 - - A20)와 부분표 내에 설정된 종료 어드레스(A1 - - A21)는 도 17b의 상부 열(row) 내에 도시된 트랙 번호(#1 - - #10)를 MD 상에 기록된 트랙들에 할당하는 것과 도 17a에 도시된 시작과 종료 어드레스를 트랙 번호(#1 - - #10)에 의해 지시된 기록된 영역들과 자유 영역들에 할당하는 것에 매치된다. 한편, U-TOC 섹터(0)부분표 내에 있는 트랙들(#1 - - #10)의 위치들은 도 17a에 도시된 위치들과 도 17b의 하부 열과 매치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MD 상의 트랙번호(#1)에 대응하는 부분 입력 포인터(P-TNO1)는 CD-A로부터 더빙되는 제 1트랙이 되는 트랙(Tr1)을 기록하기 위한 영역의 시작 어드레스(A0)와 종료 어드레스(A1)를 포함하는 부분입력(01h)을 지시하는 01h에서 설정된다.
이와같이, MD상의 트랙번호(#2)에 대응하는 부분 입력 포인터(P-TNO1)는 CD-A로부터 더빙되는 제 2트랙이 되는 트랙(Tr1)을 기록하기 위한 영역의 시작 어드레스(A2)와 종료 어드레스(A3)를 포함하는 부분입력(02h)을 지시하는 02h에서 설정된 다.
마찬가지로, MD상의 트랙번호(#j)에 대응하는 부분 입력 포인터(P-TNj)는 부분입력(0jh)을 지시하는 0jh에서 설정된다. 이 때 j= 3에서 8의 수이다. 부분입력(0jh)은 CD-A로부터 더빙되는 j번째 트랙이 되는 트랙(Trm)을 기록하기 위한 영역의 시작 어드레스(Ak)와 종료 어드레스(Al)를 포함한다. k= 2j-2, l=2j-1 m=j+2이다.
즉, j=3인 경우에, MD 상의 트랙번호(#3)에 대응하는 부분 입력 포인터(P-TNO3)는 CD-A로부터 더빙되는 제 3트랙이 되는 트랙(Tr5)을 기록하기 위한 영역의 시작 어드레스(A4)와 종료 어드레스(A5)를 포함하는 부분입력(03h)을 지시하는 03h에서 설정된다. 이와 같이, j=4인 경우에, MD 상의 트랙번호(#4)에 대응하는 부분 입력 포인터(P-TNO4)는 CD-A로부터 더빙되는 제 4트랙이 되는 트랙(Tr6)을 기록하기 위한 영역의 시작 어드레스(A6)와 종료 어드레스(A7)를 포함하는 부분입력(04h)을 지시하는 04h에서 설정된다. j=5인 경우에, MD 상의 트랙번호(#5)에 대응하는 부분 입력 포인터(P-TNO5)는 CD-A로부터 더빙되는 제 5트랙이 되는 트랙(Tr7)을 기록하기 위한 영역의 시작 어드레스(A8)와 종료 어드레스(A9)를 포함하는 부분입력(05h)을 지시하는 05h에서 설정된다.
마찬가지로, j=6인 경우에, MD 상의 트랙번호(#6)에 대응하는 부분 입력 포인터(P-TNO6)는 CD-A로부터 더빙되는 제 6트랙이 되는 트랙(Tr8)을 기록하기 위한 영역의 시작 어드레스(A10)와 종료 어드레스(A11)를 포함하는 부분입력(06h)을 지시하는 06h에서 설정된다. 이와 같이, j=7인 경우에, MD 상의 트랙번호(#7)에 대응하는 부분 입력 포인터(P-TNO7)는 CD-A로부터 더빙되는 제 7트랙이 되는 트랙(Tr9)을 기록하기 위한 영역의 시작 어드레스(A12)와 종료 어드레스(A13)를 포함하는 부분입력(07h)을 지시하는 07h에서 설정된다. 마지막으로, j=8인 경우에, MD 상의 트랙번호(#8)에 대응하는 부분 입력 포인터(P-TNO8)는 CD-A로부터 더빙되는 제 8트랙이 되는 트랙(Tr10)을 기록하기 위한 영역의 시작 어드레스(A14)와 종료 어드레스(A15)를 포함하는 부분입력(08h)을 지시하는 08h에서 설정된다.
이와같이, MD상의 트랙번호(#9)에 대응하는 부분 입력 포인터(P-TNO9)는 CD-A로부터 더빙되는 제 9트랙이 되는 트랙(Tr2)을 기록하기 위한 영역의 시작 어드레스(A16)와 종료 어드레스(A17)를 포함하는 부분입력(09h)을 지시하는 09h에서 설정된다.
이와같이, MD상의 트랙번호(#10)에 대응하는 부분 입력 포인터(P-TNO10)는 CD-A로부터 더빙되는 제 10트랙이 되는 트랙(Tr4)을 기록하기 위한 영역의 시작 어드레스(A18)와 종료 어드레스(A19)를 포함하는 부분입력(0Ah)을 지시하는 0Ah에서 설정된다.
마찬가지로, 부분 입력 포인터(P-FRA)는 CD-A로부터 더빙되는 다른 트랙을 기록하기 위해 이용가능한 자유 영역의 시작 어드레스(A20)와 종료 어드레스(A21)를 포함하는 부분입력(0Bh)을 지시하는 0Bh에서 설정된다.
도 19에 도시된 보기에서는, 부분 입력들(01h - - 0Bh)이 각각 링크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주목한다.
이와 같이, 부분입력 포인터(P-EMPTY)는 관리표 내의 제 1 미사용 부분입력(0Ch)을 지시하는 0Ch에서 설정된다. 마지막 부분입력(FFh)을 포함하는 모든 후속되는 부분입력들은 미사용되었다. 미사용된 부분 입력들은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링크된다.
도 19에 도시된 U-TOC 내에 저장된 정보에 의해 기록된 트랙들은 이미 기술된 바와 같이 도 17b에 도시된 CD 상에 설정된 트랙(Tr1)에서 트랙(Tr10)으로의 트랙 순서와 매치되지 않고 MD 상에 설정되어 있는 트랙번호(#1 - - #10)의 순서에 의해 기록트랙들이 제어된다. MD 상에 설정된 트랙번호(#1 - - #10) 순서를 도 1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 상에 설정된 트랙(Tr1 - - Tr10)의 트랙순서와 매치시키기 위해서, U-TOC 정보 내에 저장된 정보를 도 18에 도시된 더빙 순서표를 참조하여 트랙 순서와 매칭되는 트랙번호 순서를 반영하고 있는 U-TOC 정보로 수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CD-A로부터 더빙되는 트랙(Tr2)은 U-TOC내에 저장된 정보에 대해 이루어지는 수정의 보기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트랙(Tr2)은 9번째 트랙으로 더빙되므로, 트랙(Tr2)을 기록하기 위한 MD상의 영역은 도 19에 도시된 U-TOC내의 부분입력(09h)내에 기술되어 있다. 부분입력(09h)은 09h에서 설정된 MD상의 트랙 번호(#9)에 대한 부분 입력 포인터(P-TNO9)에 의해 지시되며 시작 어드레스(A16)와 종료 어드레스(A17)를 포함한다. 트랙(Tr2)을 MD 상의 트랙 번호(#2)를 가지는 트랙으로 취급하기 위해서, MD상의 트랙 번호(#2)에 대응하는 부분입력 포인터(P-TNO2)가 트랙(Tr2)을 기술하는 부분입력(09h)을 지시하는 09h에서 설정된다.
도 1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MD 상에 설정된 트랙 번호(#1) - - 트랙번호(#10)의 순서를 CD 상에 설정된 트랙(Tr1)에서 트랙(Tr10)까지의 트랙 순서와 매칭시키기 위해 트랙(Tr2)에 대해 이미 상술한 보기와 같이 동일한 방법에 의해 U-TOC 정보에 대한 다른 변화들이 이루어진다. 도 20은 U-TOC 섹터(0)내의 관리표(또는 부분입력표)와 부분입력 포인터표의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데이터는 트랙번호 순서를 트랙 순서와 매칭되도록 하기위해 이루어진 변화들의 결과로서 얻어진다.
도 20의 하부 부분내에 도시된 관리표의 데이터는 도 19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 한편, 도 20에 도시된 부분입력 포인터표는 도 19에 도시된 것과 다르다.
즉, 도 20에 도시된 부분입력 포인터표는 다음과 같은 데이터를 포함한다. MD상의 트랙 번호(#1)에 대응하는 부분입력 포인터(P-TNO1)는 트랙(Tr1)을 기록하기 위한 영역의 시작 어드레스(A0)와 종료 어드레스(A1)를 포함하는 부분입력(01h)을 지시하는 01h에 설정된다.
이와같이, MD상의 트랙 번호(#2)에 대응하는 부분입력 포인터(P-TNO2)는 트랙(Tr2)을 기록하기 위한 영역의 시작 어드레스(A16)와 종료 어드레스(A17)를 포함하는 부분입력(09h)을 지시하는 09h에 설정된다.
동일한 방법에 의해, MD 상의 트랙 번호(#3)에 대응하는 부분입력 포인터(P-TNO3)는 트랙(Tr3)을 기록하기 위한 영역의 시작 어드레스(A2)와 종료 어드레스(A3)를 포함하는 부분입력(02h)을 지시하는 02h에 설정된다. 이와 같이, MD 상의 트랙 번호(#4)에 대응하는 부분입력 포인터(P-TNO4)는 트랙(Tr4)을 기록하기 위한 영역의 시작 어드레스(A18)와 종료 어드레스(A19)를 포함하는 부분입력(0Ah)을 지시하는 (0Ah)에 설정된다. 마찬가지로, MD 상의 트랙 번호(#j)에 대응하는 부분입력 포인터(P-TNOj)는 j = 5~10, k = j-2, l = 2j-6, m = 2j-5인 트랙(Trj)을 기록하기 위한 영역의 시작 어드레스(Al)와 종료 어드레스(Am)를 포함하는 부분입력(0kh)을 지시하는 (0kh)에 설정된다.
즉, j=5인 경우에, MD상의 트랙 번호(#5)에 대응하는 부분입력 포인터(P-TNO5)는 트랙(Tr5)을 기록하기 위한 영역의 시작 어드레스(A4)와 종료 어드레스(A5)를 포함하는 부분입력(03h)을 지시하는 03h에 설정된다. 이와같이, j=6인 경우에, MD상의 트랙 번호(#6)에 대응하는 부분입력 포인터(P-TNO6)는 트랙(Tr6)을 기록하기 위한 영역의 시작 어드레스(A6)와 종료 어드레스(A7)를 포함하는 부분입력(04h)을 지시하는 04h에 설정된다. 역시, j=7인 경우에, MD상의 트랙 번호(#7)에 대응하는 부분입력 포인터(P-TNO7)는 트랙(Tr7)을 기록하기 위한 영역의 시작 어드레스(A8)와 종료 어드레스(A9)를 포함하는 부분입력(05h)을 지시하는 05h에 설정된다. j=8인 경우에, MD상의 트랙 번호(#8)에 대응하는 부분입력 포인터(P-TNO8)는 트랙(Tr8)을 기록하기 위한 영역의 시작 어드레스(A10)와 종료 어드레스(A11)를 포함하는 부분입력(06h)을 지시하는 06h에 설정된다. 마찬가지로, j=9인 경우에, MD상의 트랙 번호(#9)에 대응하는 부분입력 포인터(P-TNO9)는 트랙(Tr9)을 기록하기 위한 영역의 시작 어드레스(A12)와 종료 어드레스(A13)를 포함하는 부분입력(07h)을 지시하는 07h에 설정된다. 마지막으로 j=10인 경우에, MD상의 트랙 번호(#10)에 대응하는 부분입력 포인터(P-TNO10)는 트랙(Tr10)을 기록하기 위한 영역의 시작 어드레스(A14)와 종료 어드레스(A15)를 포함하는 부분입력(08h)을 지시하는 08h에 설정된다.
이 경우에, 자유영역을 서술하는 부분입력을 지시하는 부분입력 포인터(P-FRA)와 관리표 내의 미사용된 제 1부분 입력들을 지시하는 부분입력 포인터(P-EMPTY)는 도 19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는 것을 주목한다.
본 실시예의 제 2실시예에 의해 설명되는 더빙 동작은 U-TOC를 갱신하는 처리 즉, 트랙들을 새로운 순서로 재배열하는 처리가 종료되었을 때에 모두 완료된다.
제 2실시예에 의해 설명되는 더빙동작에 따라, 그 동작들의 시작위치에서 HCMS 관리로부터 삭제되었다고 판단된 트랙들 상에서 수행되는 고속더빙의 결과들을 순차적으로 기록함으로써 동작들이 시작된다. 고속더빙이 완료된 후에, HCMS 관리의 상태는 보통 트랙들을 식별하기 위해 검사된다. 상기 트랙들은 고속 더빙시에 HCMS 관리로부터 삭제된 것이다. 만약 이러한 트랙이 식별된다면, 그 트랙은 다른 더빙되지 않은 트랙들보다 우선하여, 고속더빙을 거치게 되어 목표 디스크 상에 기록된다.
이러한 처리는 고속더빙 과정동안에 HCMS 관리로부터 삭제된 모든 트랙들이 고속으로 더빙될 때까지 반복된다. 고속더빙 과정동안에 HCMS 관리로부터 삭제되지 않은 나머지 트랙들은 등배속도로 순차적으로 더빙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더빙 속도는 고속에서 등배속도로 스위치된다.
제 2실시예와 제 1실시예를 비교한 결과는 모두의 보기에서, 고속 더빙모드에서 고속더빙이 진행되는 동안에 관리의 오브젝트가 되는 트랙이 등배속도로 순차적으로 더빙된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제 2실시예의 경우에서는, 고속더빙 과정 동안에 HCMS 관리로부터 삭제되었거나 또는 현재 삭제된 트랙들이 배치 처리에 의해 고속으로 먼저 더빙되며, 고속더빙 과정동안에 HCMS 관리로부터 삭제되지 않은 나머지 트랙들은 HCMS 관리상태를 검사한 후에 등배속도로 더빙된다. 그러므로, 제 2실시예에서 더빙속도를 스위칭하는 동작의 수는 제 1실시예의 동작의 수보다 작으므로, 더빙의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속도 변화를 수행하기 위해서 스핀들 모터등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키는 제어 동작들의 수는 감소하므로 전력의 소비가 줄어들게 된다.
제 2실시예에서는, CD 상의 트랙들에 할당된 증가하는 트랙번호들의 순서와 매칭되지 않는 기록순서대로 MD 상에 트랙들이 기록되는 불가피한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용자에게 더빙 및 기록의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상술한 U-TOC 내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갱신함으로써 더빙의 목적지 내의 트랙 순서를 더빙 소스내의 트랙 순서와 매치되도록 하는 장치를 고려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 이 점에서는, 트랙들이 제 1실시예의 경우에서 더빙 소스로서 작용하는 기록매체로부터 트랙들이 트랙순서대로 더빙되므로, 상기의 생각은 필요하지 않다.
다음의 설명은 도 21에 도시된 흐름도를 참조하여 제 2실시예에 의해 대표되는 더빙동작을 수행하는 처리를 설명하고 있다. 도 14에 도시된 흐름도에 의해 표시된 처리와 마찬가지로, 시스템 제어기(21)는 흐름도에 의해 표시된 동작들을 수행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처리는 시스템 제어기(21)가 고속더빙에 대한 요청을 대기하는 상태로 들어가는 단계(S201)로부터 시작된다. 이용자가 고속더빙을 시작하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고속더빙에 대한 요청을 할 때에, 처리의 흐름은 단계(S202)로 진행한다.
*단계(S202)에서는, 현재의 트랙이 더빙의 소스로 동작하는 기록매체를 위해 CD 장치내에 설정된 트랙번호 순서와 같은 재생 순서에 의해 더빙되는 트랙으로서 결정된다. 다음의 설명에서는, 현재의 트랙이 더빙의 현재 오브젝트로서 동작하는 트랙이다.
다음 단계(S203)에서는, 현재 트랙의 고속더빙이 금지되었는지 또는 허용되었는지에 대한 판단 즉, 현재 트랙상의 정보가 HCMS 관리표 메모리(22)내에서 HCMS의 오브젝트로서 발견되었는지 안되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서, 더빙되는 현재 트랙상의 정보를 위해 HCMS 관리표 메모리(22)가 참조된다.
HCMS 관리표 메모리(22) 내에 현재 트랙 상의 정보가 표현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HCMS 관리표 메모리(22)를 참조한 결과는 현재 트랙의 고속더빙을 금지하는 것으로서 해석될 수 있다. 이 경우에서는, 처리의 흐름이 다음 트랙이 결정되어지는 단계(S202)로 진행한다. 즉, 현재의 트랙후에 더빙되는 새로운 트랙은 재생순서로부터 결정된다. 도 16에 도시된 보기에서는, 만약 현재의 트랙이 HCMS 관리의 오브젝트인 트랙(Tr2)이라면, 처리는 트랙(Tr3)이 더빙되는 다음 트랙으로서 결정되어지는 단계(S202)로 돌아간다. 이와 같이, 만약 현재의 트랙이 HCMS 관리의 오브젝트인 트랙(Tr4)이라면, 처리는 트랙(Tr5)이 더빙되는 다음 트랙으로서 결정되어지는 단계(S202)로 진행한다.
한편, HCMS 관리표 메모리(22)내에 현재 트랙상의 정보가 HCMS 관리의 오브젝트로서 표현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나타내는 HCMS 관리표 메모리(22)를 단계(S203)에서 참조한 결과는 현재 트랙의 고속더빙을 금지하는 것으로서 해석될 수 있다. 이 경우에서는, 처리의 흐름이 현재 트랙의 고속더빙을 시작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단계(S204)로 돌아간다. 다음 단계(S205)에서는, 고속더빙이 시작되는 현재의 트랙은 고속더빙의 시작 타이밍에 의해 HCMS 관리표 메모리(22)내에 표현된다. 다음 단계(S206)에서는, 도 18에 도시된 더빙 순서표에서 고속더빙이 시작되었던 현재 트랙의 트랙 번호를 표현하는 처리가 수행된다.
처리의 흐름은 단계(S207)로 진행하여 현재 트랙의 고속더빙이 완료되는 것을 기다리는 상태에 들어가게 된다. 현재 트랙의 고속더빙의 완료가 검출될 때에, 처리의 흐름은 단계(S208)로 진행한다.
단계(S208)에서, 시스템 제어기(21)는 재생 순서 내의 마지막 트랙이 단계(S202~S207)에서 수행되는 처리에 의해 처리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이러한 처리에서는, CD 상에 기록된 각 트랙은 트랙이 HCMS 관리의 오브젝트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기 위해 재생순서 내에서 검사된다.
HCMS의 오브젝트로서 판단된 트랙의 더빙은 연기된다. 단지 HCMS 관리로부터 제외된 트랙들만이 고속더빙을 거치게 된다.
만약 단계(S208)에서 판단된 결과가 부정적인 결과 즉 재생 순서내의 마지막 트랙이 단계(S202~S207)에서 수행되는 처리들을 거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이러한 처리들은 더빙되어질 다음 트랙상에서 수행된다. 만약 단계(S208)에서 판단된 결과가 긍정적인 결과 즉 재생 순서내의 마지막 트랙이 단계(S202~S207)에서 수행되는 처리들을 거쳤다고 판단되면, 처리의 흐름은 단계(S209)로 진행한다. 도 16에 도시된 보기의 경우에서는, 예를 들면, (Tr2) 와 (Tr4)를 제외한 CD-A 상에 기록된 모든 트랙들(Tr1~Tr10)이 고속더빙을 완료하고 MD 상에 기록될 때에 처리의 흐름은 단계(S208~S209)로 진행한다.
스텝(S209)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기(21)는 트랙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관해서 판단하고, 이것은 아직 더빙되지 않은 것을 더빙한다. 아직 더빙되지 않은 트랙은 스텝(S203)에서 형성된 판단 결과에 따라서 그 고속 더빙의 금지를 나타내기 위해 HCMS관리표메모리(22)에 나열된 정보의 트랙이다.
아직 더빙되지 않은 트랙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S210)으로 진행한다.
스텝(S210)에 있어서, HCMS관리표메모리(22)에 저장된 현재 데이터는 고속 더빙이 되진 않은 트랙이 HCMS관리로부터 제외되는지의 여부에 관해서 판단하도록 조사된다. 아직 고속 더빙되지 않은 트랙이 HCMS관리에서 제외되면, 처리는 스텝(S211)으로 진행한다. 반면에, 그러한 트랙이 존재하지 않으면, 처리는 스텝(S212)으로 진행한다. 스텝(S211)에서, HCMS관리로부터 제외된 아직 고속 더빙되지 않은 트랙이 다른 것에 우선하여 고속으로 더빙된다.
구체적으로, 스텝(S211)에서, HCMS관리로부터 제외된 트랙 중에서 재생순서에 있어서 제 1트랙은 더빙될 트랙으로서 선택된다. HCMS관리로부터 제외되는 아직 고속 더빙되지 않은 1트랙만이 존재하는 경우에, 자연적으로 트랙은 더빙될 트랙으로서 선택된다. 이후에 더빙될 트랙으로서 선택된 트랙에 대해서 고속 더빙을 개시하기 위한 제어가 실행된다.
이어서, 다음 스텝(S213)에서는 스텝(S211)에서 개시된 고속 더빙하는 현재 트랙이 스텝(S205)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속 더빙의 개시시점으로 HCMS관리표메모리(S211)에 나열된다.
이후에, 다음 스텝(S214)에서, 현재 트랙의 트랙번호, 도 18에 나타낸 더빙 순서표에서 이후에 기술되는 스텝(S211 또는 S212)에서 선택적으로 개시되는 고속 더빙 또는 등배속 더빙을 나열하기 위한 처리가 실행된다.
처리는 스텝(S215)으로 진행하여 종료될 현재의 더빙을 대기하는 상태로 들어간다. 현재 트랙의 더빙 종료가 검출됨으로써, 처리는 스텝(S209)으로 복귀된다. 반면에, 스텝(S210)에서 형성된 판단의 출력이 아직 고속 더빙되지 않은 트랙이 HCMS관리로부터 제외되는 것을 나타내면, 처리는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스텝(S212)으로 진행한다. 스텝(S212)에서, 고속 더빙되지 않으며 HCMS관리부터 제외되지 않은 트랙 중에서 재생순서에서의 제 1트랙은 더빙의 대상으로서 선택된다. 더빙되는 트랙으로서 선택된 트랙의 등배속 더빙은 이후에 개시된다. 결과적으로, 처리는 스텝(S214 및 S215)을 거쳐서 복귀한다. 반면에, 스텝(S209)에서 이루어진 판단의 출력이 아직 더빙되지 않은 트랙이 더 이상 없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처리는 스텝(S216)으로 진행한다.
스텝(S216)에서, U-TOC는 MD장치에 의한 관리하에 더빙된 트랙의 트랙순서가 도 17 ∼ 20을 참조하여 초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CD장치에 의한 관리하에 CD에 기록된 트랙의 순서와 일치하치되도록 갱신된다. 도 21에 나타낸 플로차트로 나타낸 처리는 U-TOC를 개시하기 위한 처리가 종료될 때 종료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기술된 실시예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 것에 유념해야 한다.
예를 들면, 상기 각각 기술된 실시예들은 더빙의 목적지로서 사용하는 기록매체를 구동하는 MD기록기/재생기와 더빙의 소스로서 사용하는 기록매체를 구동하는 CD재생기를 일체화하는 더빙장치를 사용한다. 본 발명은 더빙의 목적지로서 사용하는 기록매체를 구동하는 기록장치가 더빙의 소스로서 사용하는 기록매체를 구동하기 위한 기록장치로부터 분리되어 제공되는 시스템에도 적용된다.
게다가, 본 발명은 복수의 MD기록기 및 재생기를 포함하는 더빙시스템 및 DAT 및 테이프 카세트 기록기와 같은 테이프 매체를 구동하는 기록 및 또는 재생장치를 사용하는 더빙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장래에, 더빙의 소스로서 사용하는 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된 오디오 데이터를 복사하는 더빙시스템에 대한 응용 적용 이외에, 더빙 소스가 전형적인 복사 관리시스템에 의해 제어되는 동안 무선 튜너 또는 디지털 위성방송의 튜너와 같은 수단에 의해 더빙의 소스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더빙하는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더빙장치는 조절에 따르는 관리기능을 가짐으로써 이전에 한 번 고속 더빙되는 프로그램 또는 트랙의 다음 고속 더빙은 고속 더빙 이전의 개시점에서 소정의 시간주기 동안 금지된다. 더빙장치의 구성에 있어서, 고속더빙이 금지되는 프로그램은 고속으로 더빙되지 않는다. 대신에, 전형적인 현재 관리 상태에 의거해서 고속에서 저속으로 더빙속도가 전환된다. 실재 응용에 있어서, 예를 들면 고속 더빙이 금지되는 프로그램은 고속으로 더빙된다. 반면에, 고속 더빙이 금지되는 프로그램은 저속으로 더빙되어 기록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현 시점에서 고속 더빙이 금지되는 프로그램이 고속 더빙방식으로 고속 더빙되는 중에 더빙되면, 프로그램은 소정의 기회에 저속으로 더빙된다. 그러므로, 그러한 프로그램이 더빙되는 대상으로 결정되는 단계에서, 프로그램에 대한 더빙조작은 정지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저작권을 보호하면서 더빙 기능의 편리함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더빙의 목적지로서 사용하는 기록매체상의 프로그램의 더빙 및 기록은 프로그램이 더빙의 소스로서 상용하는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순서로 실행된다. 고속 더빙이 금지되는 프로그램이 더빙 및 기록 중에 마주치면, 프로그램은 저속으로 더빙된다. 고속 더빙이 금지되는 프로그램에 관해서, 고속 더빙이 실행된다.
그러한 구성에 있어서, 프로그램이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순서로 더빙 소스로 사용하는 기록매체로부터 프로그램이 더빙된다. 따라서, 프로그램이 목적지로서 사용하는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것과 동일한 순서로 목적지로서 사용하는 기록매체 에 프로그램이 기록된다.
상기 기술된 본 발명의 대안적인 구성에 있어서, 더빙의 대상으로서 선택된 프로그램이 그 고속 더빙을 금지하기 위한 제어하의 프로그램이 되면, 이 프로그램은 더빙 대상의 목록에서 일시적으로 제외되며 대신에 다른 프로그램이 더빙의 다른 대상으로서 선택된다. 즉, 현 시점에서 금지된 그 고속 더빙을 가짐으로써 더빙 대상의 목록에서 일시적으로 제외되는 프로그램의 고속 더빙은 소정의 기회 이후로 연기된다.
그러한 구성에 있어서, 더빙이 되며 그 고속 더빙이 허가되는 프로그램이 다른 프로그램에 앞서서 우선 고속으로 더빙되며 목적지 기록매체에 기록된다. 따라서, 더빙조작의 능률은 개선된다. 게다가, 기록매체를 구동하기 위한 시스템과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전환하는 동작수가 감소되어 처리능률의 증대 및 전력소비의 감소 등을 향상시킨다.
상기 기술된 더빙 및 기록은 관리상태를 참조하면 실행된다. 더빙 대상의 목록에 있으며 그 고속 더빙이 허가되는 프로그램이 우선 고속으로 더빙된다. 반면에, 더빙 대사의 목록에 있으며 그 고속 더빙이 금지되는 프로그램은 지연 더빙 대상의 목록에 놓인다. 더빙 대상의 목록에 있는 마지막 프로그램이 처리된 후, 지연 더빙 대상의 목록이 프로그램에 대해서 검색되고, 고속 더빙의 상태는 더빙 및 기록 중에 금지에 허가로 전환된다. 지연 더빙 대상의 목록에 있으며 그 고속 더빙이 금지되는 프로그램이 우선 고속으로 더빙된다. 반면에, 지연 더빙 대상의 목록에 있지만 그 고속 더빙이 여전히 금지되어 있는 프로그램은 저속으로 더 빙된다.
상기 기술된 대안적인 구성으로 채택한 부차적인 절차에 의해서, 그 고속 더빙이 금지되고 따라서 지연 더빙 대상의 목록에 놓이는 프로그램의 상태는 더빙 및 기록 중에 금지에서 허가로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그러한 프로그램은 고속 더빙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더빙 동작의 시간 효율은 증대될 수 있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고속 더빙은 더빙 대상의 목록에 있으며 그 고속 더빙이 허가된 프로그램과 지연 더빙 대상의 목록에 있으며 그 고속 더빙의 상태가 "금지"에서 "허가"로 전환되는 프로그램으로 시작된다. 지연 더빙 대상의 목록에 있지만 그 고속 더빙이 여전히 금지되는 프로그램의 저속 더빙으로 더빙 동작이 계속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 프로그램은 더빙 소스로 사용하는 기록매체 상의 프로그램의 기록 순서와 다른 순서로 더빙의 목적지로 사용하는 기록매체에 기록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더빙의 목적지로 사용하는 기록매체의 프로그램 순서와 더빙의 소스로 사용하는 기록매체의 프로그램 순서와 일치하도록 더빙의 목적지로 사용하는 기록매체의 프로그램 순서를 전환하는 처리를 자동적으로 실행한다.
따라서 더빙의 소스로서 사용하는 기록매체 상의 프로그램 순서와 일치하는 프로그램 순서를 갖는 더빙의 목적지로서 사용함으로써 더빙되며 그 고속 더빙이 허가되는 프로그램이 다른 프로그램에 우선하여 우선 고속으로 더빙되며 목적지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경우라도 우수한 더빙을 가지는 기록매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프로그램 순서를 변경하기 위한 편집작업을 더 이상 늦게까지 실행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용자의 부담은 감소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구체적인 용어를 사용하여 기술되었으나, 그러한 기술은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항의 취지 또는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경 및 변동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연한 일이다.

Claims (15)

  1. 프로그램 단위로 제어된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제 1 기록매체에서 제 2 기록매체로 재생된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동작에서 소정속도 더빙방식 또는 상기 소정속도의 더빙방식보다 짧은 기간 내에 데이터의 더빙이 실행되도록 하는 고속 더빙방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더빙장치에 있어서,
    시간 경과를 측정하는 시간측정수단과,
    상기 제 1 기록매체에 기록되고 고속 더빙을 하기 위해 프로그램 단위로 제어된 데이터로부터 선택된 특정한 데이터에 대하여 시간 측정을 개시하도록 상기 시간측정 수단에 요구하는 시간측정 제어수단과,
    상기 제 1 기록매체에 기록되고 고속 더빙을 하기 위해 프로그램 단위로 제어된 데이터로부터 선택된 특정한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시간측정 수단에 의해 생성된 시간정보를 저장하는 시간정보 저장수단과,
    상기 제 1 기록매체에 기록되고 프로그램 단위로 제어된 상기 데이터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데이터를 고속 더빙의 대상으로서 선택하는 조작수단과,
    고속 더빙의 대상으로서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상기 조작수단에 의해 선택된 특정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시간정보 저장수단에 저장된 시간정보를 조회하고 상기 조회된 시간정보에 따라 상기 소정 속도의 더빙 방식에서 상기 고속 더빙 방식으로 또는 그 역으로 전환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고속 더빙의 대상으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상기 조작수단에 의해 선택된 특정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시간정보 저장수단에 저장된 시간정보와 소정의 시간주기를 비교하는 비교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속 더빙방식은 상기 비교수단에 의해 생성된 비교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특정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소정 속도의 더빙 방식 또는 그 역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빙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고속 더빙의 대상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상기 조작수단에 의해 선택된 특정 데이터를 고속으로 더빙하는 것은 금지하지만 상기 비교수단에 의해 생성된 비교결과가 상기 특정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시간정보 저장수단에 저장된 시간정보가 소정의 시간주기보다 작은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상기 특정 데이터의 소정 속도로의 더빙을 허락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빙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비교수단에 의해 생성된 비교결과가 상기 특정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시간정보 저장수단에 저장된 시간정보가 소정의 시간주기보다 같거나 큰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고속 더빙의 대상으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상기 조작수단에 의해 선택된 특정 데이터의 고속 더빙을 허락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빙장치.
  5. 프로그램 단위로 제어된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제 1 기록매체에서 제 2 기록매체로 재생된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동작에서 소정속도 더빙방식 또는 상기 소정속도의 더빙방식보다 짧은 기간 내에 데이터의 더빙이 실행되도록 하는 고속 더빙방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더빙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록매체에 저장되고 상기 정보와 관련된 상기 데이터가 기준으로서 취해진 현재 시점으로 과거의 소정 시간주기 동안 고속 더빙이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데 사용된 상기 데이터 중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저장수단과,
    상기 제 1 기록매체에 저장되고 상기 고속 더빙하기 위해 특정된 데이터가 상기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고 상기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에 의거하여 기준으로서 취해진 현재 시점으로 과거의 소정 기간 동안 고속 더빙이 이루어졌는지 아닌지에 대하여 판단하는 제 1 고속 더빙 판단수단과,
    상기 제 1 기록매체에 저장되고 기준으로서 취해진 현재 시점으로 과거의 소정 기간 동안 고속 더빙이 행해진 데이터로 상기 제 1 고속 더빙 판단수단에 의해 판단된 데이터에 고속 더빙이 진행중인 상태를 할당하고, 상기 제 1 기록매체에 저장되고 우선 순위에 의거하여 기준으로서 취해진 현재 시점으로 과거의 소정 시간주기 동안 고속 더빙이 행해지지 않은 데이터로 상기 고속 더빙 판단수단에 의해 판단된 데이터에 고속 더빙을 실행하는 기록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빙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제 1 기록매체에 저장되고, 고속 더빙하도록 특화되고, 상기 제 1 고속 더빙 판단수단에 의해 기준으로 취한 현재의 시점으로 과거의 소정의 기간 동안 고속 더빙이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모든 데이터가 상기 제 2 기록매체로 고속 더빙되었는지 아닌지에 대하여 판단하는 제 2 고속 더빙 판단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록제어수단은 상기 제 2 고속 더빙 판단수단에 의해 형성된 판단출력이 상기 제 1 기록매체에 저장되고, 고속 더빙하도록 특정되고, 상기 제 1 고속 더빙 판단수단에 의해 기준으로서 취해진 현재의 시점으로 과거 소정의 기간 동안 고속 더빙이 되지 않았다고 판단된 모든 데이터가 상기 제 2 기록매체로 고속 더빙된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제 1 기록매체에 저장되고, 상기 고속 더빙하도록 특화되고, 상기 제 1 고속 더빙 판단수단에 의해 기준으로서 취한 현재 시점으로 과거의 소정 기간 동안 고속 더빙 되었다고 판단된 데이터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고속 더빙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빙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제 1 기록매체에 저장되고, 고속 더빙하도록 특화되고, 상기 제 1 고속 더빙 판단수단에 의해 기준으로 취한 현재의 시점으로 과거의 소정의 기간 동안 고속 더빙이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모든 데이터가 상기 제 2 기록매체로 고속 더빙되었는지 아닌지에 대하여 판단하는 제 2 고속 더빙 판단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록제어수단은 상기 제 2 고속 더빙 판단수단에 의해 형성된 판단출력이 상기 제 1 기록매체에 저장되고, 고속 더빙하도록 특정되고 상기 제 1 고속 더빙 판단수단에 의해 기준으로서 취해진 현재의 시점으로 과거의 소정 기간 동안 고속 더빙이 되지 않았다고 판단된 모든 데이터가 상기 제 2 기록매체로 고속 더빙된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고속 더빙이 진행중 상태로 할당된 데이터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고속 더빙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빙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시간 경과를 측정하는 시간측정수단과,
    상기 제 1 기록매체에 기록된 데이터로부터 선택되고 프로그램 단위로 고속 더빙하도록 제어된 특정 데이터에 대하여 시간측정을 개시하도록 상기 시간측정수단에 요구하는 시간측정 제어수단과,
    상기 시간측정 제어수단에 의해 개시된 상기 시간측정의 결과로서 구해진 시간정보와 상기 소정의 기간을 비교하는 비교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빙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록매체는 상기 제 1 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된 데이터와 프로그램 영역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의 재생순서를 저장하는 프로그램 영역을 제어하기 위한 관리정보를 저장하는 관리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 2 기록매체의 상기 관리영역에 저장된 상기 관리정보는 상기 기록매체의 상기 프로그램 영역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의 상기 재생순서가 상기 제 1 기록매체의 상기 데이터의 재생순서와 일치하도록 편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빙장치.
  10. 프로그램상의 고속 더빙을 다시 실행하라는 명령에 대한 반응으로서 제 1 기록매체에 저장되고 소정의 기간 경과의 종료까지 기준으로서 취해진 현재 시점으로 과거 소정의 기간 동안 고속 더빙된 프로그램의 고속 더빙을 금지하는 더빙방법에 있어서,
    고속 더빙된 프로그램의 고속 더빙 실행시로부터의 경과시간을 관리하는 관리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기록매체에 저장되고 고속 더빙을 하도록 지정된 프로그램이 고속 더빙금지의 대상인지 아닌지를 상기 관리데이터에 근거하여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기록매체에 저장되고, 고속 더빙을 하도록 지정되고, 고속 더빙금지의 대상으로 판정된 프로그램의 소정 속도 더빙을 허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빙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시간경과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기록매체에 저장되고, 고속 더빙을 하도록 지정되고, 고속 더빙금지의 대상으로 판정된 프로그램에 대하여 측정된 상기 시간경과가 적어도 상기 소정의 기간과 동일한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의 출력이 상기 프로그램에 대하여 측정된 상기 시간경과가 적어도 상기 소정 기간과 동일한 것을 나타내면 상기 제 1 기록매체에 저장되고, 고속 더빙을 하도록 지정되고, 고속 더빙 금지의 대상으로 판단된 프로그램의 고속 더빙을 수행하도록 허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빙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의 출력이 상기 프로그램에 대하여 측정된 상기 시간경과가 상기 소정 기간보다 짧은 것을 나타내면 상기 제 1 기록매체에 저장되고, 고속 더빙을 하도록 지정되고, 고속 더빙 금지의 대상으로 판단된 프로그램의 소정 속도 더빙을 수행하도록 허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빙방법.
  13. 제 1 기록매체에 저장되고 프로그램상의 고속 더빙을 다시 실행하라는 명령에 대한 반응으로서 상기 소정의 기간 경과의 종료까지 기준으로서 취한 현재 시점으로 과거 소정의 기간 동안 고속 더빙이 수행된 프로그램의 고속 더빙을 금지하는 더빙장치에서 제 1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제 2 기록매체로 순차적으로 고속 더빙을 실행하는 더빙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록매체에 저장되고 고속 더빙을 하기 위해 지정된 프로그램이 고속 더빙금지의 대상인지 아닌지를 순차적으로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기록매체에 저장되고, 고속 더빙을 하기 위해 지정되고, 고속 더빙금지의 대상으로 판단된 프로그램에 고속 더빙 진행중인 상태를 할당하고, 상기 제 1 기록매체에 저장되고, 고속 더빙을 하기 위해 지정되고, 우선 순위에 의거하여 과거에 고속 더빙금지의 대상이 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프로그램의 고속 더빙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기록매체에 저장되고 고속 더빙금지의 대상이 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모든 프로그램이 각각 상기 제 2 기록매체로의 고속 더빙이 완료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기록매체에 각각 저장되고 고속더빙 금지의 대상으로 판단된 프로그램의 제 2 기록매체로의 기록을 상기 제 1 기록매체에 각각 저장되고 상기 제 2 기록매체로의 고속 더빙금지의 대상이 아니라고 판단된 모든 프로그램의 상기 고속 더빙의 완료에 의해 종료되는 상기 소정 기간의 경과를 가지는 상기 프로그램 중 하나로부터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빙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시간경과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기록매체에 저장되고, 고속 더빙을 하도록 지정되고, 고속 더빙금지의 대상으로 판정된 프로그램에 대하여 측정된 상기 시간경과가 적어도 상기 소정의 기간과 동일한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의 출력이 상기 제 1 기록매체에 각각 저장되고, 고속 더빙을 하도록 지정되고, 고속 더빙금지의 대상이 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모든 프로그램이 상기 제 2 기록매체로 고속 더빙된 후 상기 프로그램에 대하여 측정된 상기 시간경과가 적어도 상기 소정 기간과 동일한 것을 나타내면, 상기 제 1 기록매체에 저장되고, 고속 더빙을 하도록 지정되고, 고속 더빙 금지의 대상으로 판단된 프로그램의 고속 더빙을 실행하도록 허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빙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된 데이터와 상기 제 2 기록매체 상의 프로그램 영역 내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의 재생순서를 저장하기 위한 프로그램 영역을 제어하기 위한 관리정보를 저장하는 관리영역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기록매체의 상기 프로그램 영역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의 상기 재생순서가 상기 제 1 기록매체 상의 상기 데이터의 재생순서와 일치하도록 상기 제 2 기록매체의 상기 관리영역에 저장된 상기 관리정보를 편집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빙방법.
KR1020000072668A 1999-12-17 2000-12-02 더빙장치 및 더빙방법 KR1007187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359285 1999-12-17
JP35928599A JP4304802B2 (ja) 1999-12-17 1999-12-17 ダビング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2565A KR20010082565A (ko) 2001-08-30
KR100718713B1 true KR100718713B1 (ko) 2007-05-15

Family

ID=18463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2668A KR100718713B1 (ko) 1999-12-17 2000-12-02 더빙장치 및 더빙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388965B2 (ko)
JP (1) JP4304802B2 (ko)
KR (1) KR100718713B1 (ko)
CN (2) CN1295698C (ko)
ID (1) ID28660A (ko)
MY (1) MY12262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94226B2 (en) 2020-12-22 2023-02-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ic synthesis of translated speech using speaker-specific phonem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04107B1 (en) * 1999-08-27 2011-10-19 Sony Corporation Editing apparatus and editing methods
JP3589152B2 (ja) * 2000-05-02 2004-11-17 ティアック株式会社 光ディスク記録装置
JP2002216419A (ja) * 2001-01-19 2002-08-02 Sony Corp ダビング装置
WO2003103171A1 (en) * 2002-06-04 2003-12-11 Thomson Licensing S.A. Wireless signal loss detection
JP2004014084A (ja) * 2002-06-11 2004-01-15 Pioneer Electronic Corp 情報再生記録システム、情報再生記録方法、情報再生記録処理プログラム
US7038981B1 (en) * 2002-06-26 2006-05-02 Sonic Solutions, Inc. Methods for establishing audio track digital audio extraction speed
EP1378904A1 (en) * 2002-07-01 2004-01-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isk high-speed replaying/recording apparatus
KR100510494B1 (ko) * 2002-10-16 2005-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기록 매체 복사 장치 및 방법
KR100520115B1 (ko) * 2002-12-27 2005-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레이리스트 관리 장치 및 방법
US7496004B2 (en) * 2003-05-02 2009-02-24 Sony Corporation Data reproducing apparatus, data reproducing method, data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data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JP3595551B1 (ja) * 2003-07-02 2004-12-02 株式会社リコー 情報記録装置と情報記録方法とプログラム
US7301857B2 (en) * 2003-08-01 2007-11-27 Chrysler Llc Media player including a resume function
JP2005158182A (ja) * 2003-11-27 2005-06-16 Funai Electric Co Ltd 情報記録システム
US20070223872A1 (en) * 2006-03-21 2007-09-27 Kan-Li Huang Dubbing method utilizing label for identifying dubbing status
JP2012068809A (ja) * 2010-09-22 2012-04-05 Buffalo Inc 記憶装置
CN102291773B (zh) * 2011-07-18 2014-12-10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数据压缩方法和设备
US9798627B2 (en) * 2012-05-25 2017-10-24 Veritas Technologies Llc Backup image duplication
CN108364242A (zh) * 2018-01-31 2018-08-03 北京安妮全版权科技发展有限公司 保存中间文件的版权确权方法及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2406A (en) * 1991-10-03 1995-03-28 Sanyo Electric Co., Ltd. Read only digital audio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digital dubbing system therefor
US6222807B1 (en) * 1998-03-10 2001-04-24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center, terminal apparatus, dubbing system and dubbing method
US6298022B1 (en) * 1999-03-19 2001-10-02 Sony Corporation Reproduction apparatus, recording and reproduction system, reproduction method, and recording and reproduction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8723B2 (ja) * 1992-04-16 2001-03-26 三菱電機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
JP2882302B2 (ja) * 1995-02-24 1999-04-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の記録方法及び再生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2406A (en) * 1991-10-03 1995-03-28 Sanyo Electric Co., Ltd. Read only digital audio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digital dubbing system therefor
US6222807B1 (en) * 1998-03-10 2001-04-24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center, terminal apparatus, dubbing system and dubbing method
US6298022B1 (en) * 1999-03-19 2001-10-02 Sony Corporation Reproduction apparatus, recording and reproduction system, reproduction method, and recording and reproduction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94226B2 (en) 2020-12-22 2023-02-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ic synthesis of translated speech using speaker-specific phonem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2565A (ko) 2001-08-30
US20010033531A1 (en) 2001-10-25
MY122624A (en) 2006-04-29
JP2001176175A (ja) 2001-06-29
CN1213424C (zh) 2005-08-03
US6388965B2 (en) 2002-05-14
CN1301018A (zh) 2001-06-27
CN1551168A (zh) 2004-12-01
JP4304802B2 (ja) 2009-07-29
CN1295698C (zh) 2007-01-17
ID28660A (id) 2001-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8713B1 (ko) 더빙장치 및 더빙방법
KR100299400B1 (ko) 기록매체관리방법
JP3557721B2 (ja) 記録装置
JP3353382B2 (ja) 記録又は再生装置、及びメモリ制御装置
JP3560074B2 (ja) 記録再生装置、及びメモリ制御装置
KR100278191B1 (ko) 기록 가능한 영역을 목록으로 관리하는 방법과 이 목록 정보에 기초하여 기록 동작을 행하는 기록 또는 기록 재생 장치
KR100665157B1 (ko) 더빙 장치 및 더빙 방법
JP3750278B2 (ja) 記録装置、記録システム、及びダビング方法
US20010043524A1 (en) Recording apparatus, recording method, and dubbing apparatus for recording or dubbing programs and character data
US6400667B1 (en) Recording/reproduction method and apparatus in which sub data is written/read in periods during which writing/reading of main data is not performed
JP2000276834A (ja) 記録装置、再生装置、記録再生システム、及びダビング動作管理方法
US571767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constant interval of silence
JP2001076429A (ja) 記録装置
JP3433759B2 (ja) 記録位置取得装置
JP3538858B2 (ja) 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方法
JP3171395B2 (ja) 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JP2002343062A (ja) 追加記録制御方法及び追加記録制御装置
JP3729416B2 (ja) データ記録方法
JP3669350B2 (ja) 記録再生装置及び検索回路
JP3541785B2 (ja) 記録再生装置、記録再生方法
JP3444277B2 (ja) 再生装置
JP3797362B2 (ja) 記録装置、及び記録再生装置
JPH0863897A (ja) 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JP2003091929A (ja) 記録装置、記録方法
JPH11328932A (ja) 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