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6848B1 - 가변 인덕턴스를 갖는 나선형 인덕터 - Google Patents

가변 인덕턴스를 갖는 나선형 인덕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6848B1
KR100716848B1 KR1020050097446A KR20050097446A KR100716848B1 KR 100716848 B1 KR100716848 B1 KR 100716848B1 KR 1020050097446 A KR1020050097446 A KR 1020050097446A KR 20050097446 A KR20050097446 A KR 20050097446A KR 100716848 B1 KR100716848 B1 KR 100716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uctor
spiral
spiral inductor
metal line
conduc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7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1867A (ko
Inventor
박북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50097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6848B1/ko
Priority to US11/582,104 priority patent/US7733206B2/en
Publication of KR20070041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1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6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6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1/00Variable inductances or transformers of the signal type
    • H01F21/12Variable inductances or transformers of the signal type discontinuously variable, e.g. tapp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2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5227Inductive arrangements or effects of, or between, wir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01L27/06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non-repetitive configuration
    • H01L27/0688Integrated circuits having a three-dimensional layou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17/0013Printed inductances with stacked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2017/0046Printed inductances with a conductive path having a brid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1/00Variable inductances or transformers of the signal type
    • H01F21/12Variable inductances or transformers of the signal type discontinuously variable, e.g. tapped
    • H01F2021/125Printed variable inductor with taps, e.g. for VCO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30Technical effects
    • H01L2924/301Electrical effects
    • H01L2924/3011Impedance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 인덕턴스를 갖는 나선형 인덕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반도체 기판상에 형성되는 나선형 인덕터에 있어서, 각기 폭이 다른 도체를 이용하여 기판상에 나선형 패턴을 형성하며, 상기 형성된 나선형 패턴의 일측에 개방(open) 형태 또는 단락(short) 형태의 스터브(stub)를 갖는 금속 라인과; 인덕턴스(Inductance)의 조절을 위한 선택신호에 따라 도통 제어되어, 상기 금속 라인의 각기 폭이 다른 도체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는 나선형 인덕터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주파 대역을 사용하는 각종 통신기기의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s, IC)에서 나선형 인덕터(Spiral Inductor)를 구현함에 있어서, 나선형 구조의 금속 라인을 각기 폭이 다른 도체로 구현하고, 상기 도체의 일측에 개방(open) 혹은 단락(short) 형태의 스터브(stub)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스터브로 인해 기생 커패시턴스(capacitance) 혹은 인덕턴스(inductance)를 유도하거나 각기 폭이 다른 도체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통해, 나선형 인덕터의 전체적인 인덕턴스를 사용 목적에 따라 정밀하게 조절하여,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인덕터의 Q-인자(Quality factor)를 최대로 출력하거나, 기판상의 적은 면적을 이용하여 다양한 인덕턴스를 갖는 인덕터를 고주파 대역에서 구현하여, 상기 집적회로의 집적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변 인덕턴스를 갖는 나선형 인덕터{A SPIRAL INDUCTOR HAVING A VARIABLE INDUCTANCE}
도 1은 종래 나선형 인덕터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가변 인덕턴스를 갖는 나선형 인덕터의 제1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가변 인덕턴스를 갖는 나선형 인덕터의 제2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 가변 인덕턴스를 갖는 나선형 인덕터에 적용된 스터브의 동작원리를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 가변 인덕턴스를 갖는 나선형 인덕터에 적용된 스터브의 적용 예와 등가회로를 보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 가변 인덕턴스를 갖는 나선형 인덕터에 적용된 스터브의 폭 및 길이 조절 예를 보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 가변 인덕턴스를 갖는 나선형 인덕터에 적용된 스터브의 선로의 종류를 보인 예시도.
도 8은 상기 도 2의 제1 실시예에 대한 등가회로를 보인 회로도.
도 9는 상기 도 3의 제2 실시예에 대한 등가회로를 보인 회로도.
도 10은 본 발명 가변 인덕턴스를 갖는 나선형 인덕터의 제3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 11은 상기 도 10에 따라 구현한 예를 보인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 가변 인덕턴스를 갖는 나선형 인덕터의 제4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 13은 상기 도 12에 따라 구현한 예를 보인 예시도.
본 발명은 나선형 인덕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주파 대역을 사용하는 각종 통신기기의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s, IC)에서 나선형 인덕터(Spiral Inductor)를 구현함에 있어서, 나선형 구조의 금속 라인을 각기 폭이 다른 도체로 구현하고, 상기 도체의 일측에 개방(open) 혹은 단락(short) 형태의 스터브(stub)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스터브로 인해 기생 커패시턴스(capacitance) 혹은 인덕턴스(inductance)를 유도하거나 각기 폭이 다른 도체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통해, 나선형 인덕터의 전체적인 인덕턴스를 사용 목적에 따라 정밀하게 조절하여,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인덕터의 Q-인자(Quality factor)를 최대로 출력하거나, 기판상의 적은 면적을 이용하여 다양한 인덕턴스를 갖는 인덕터를 고주파 대역에서 구현하여, 상기 집적회로의 집적도를 높이도록 하는 가변 인덕턴스를 갖는 나선형 인덕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나선형 인덕터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포트(Port)(10), 제2 포트(11) 및 비아 컨택(Via Contact)(13)으로 구성된다.
제1 및 제2 포트(10,11)는 신호의 입출력이 이루어지는 단자로서, 실리콘 기판에 해당하는 절연막에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절연막을 관통하는 상기 비아 컨택(12)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구조를 이루며, 절연막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2 포트(11)는 외곽에서 중앙을 향하여 나선형으로 돌면서 돌아가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나선형 인덕터의 경우, 제1 포트(10)와 제2 포트(11) 사이의 상호 인덕턴스(Mutual Inductance)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전체 인덕턴스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제2 포트(11)의 수, 형태 및 크기를 변형시킴으로써, 나선의 턴 수, 내부 반지름, 금속 폭, 금속 간의 거리 등을 변경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 경우 인덕터의 전체적인 크기도 증가되어 전체적인 회로의 집적도를 저하시키고, 인덕터의 면적이 일정 크기 이상이 되면, 상기 각 포트(10,11)와 기판 사이에서 발생하는 기생 커패시턴스도 증가하게 됨으로 인해, 인덕터의 Q-인자(Quality factor)가 급격히 감소하여, 더 이상 전체 인덕턴스가 증가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인덕터의 최대 Q-인자가 특정 주파수에서만 발생하게 되어, 회로 설 계자가 희망하는 주파수 대역에서 최대 Q-인자를 발생시키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한 것으로, 고주파 대역을 사용하는 각종 통신기기의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s, IC)에서 나선형 인덕터(Spiral Inductor)를 구현함에 있어서, 나선형 구조의 금속 라인을 각기 폭이 다른 도체로 구현하고, 상기 도체의 일측에 개방(open) 혹은 단락(short) 형태의 스터브(stub)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스터브로 인해 기생 커패시턴스(capacitance) 혹은 인덕턴스(inductance)를 유도하거나 각기 폭이 다른 도체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통해, 나선형 인덕터의 전체적인 인덕턴스를 사용 목적에 따라 정밀하게 조절하거나, 기판상의 적은 면적을 이용하여 다양한 인덕턴스를 갖는 인덕터를 고주파 대역에서 구현하도록 하는 나선형 인덕터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반도체 기판상에 형성되는 나선형 인덕터에 있어서, 각기 폭이 다른 도체를 이용하여 기판상에 나선형 패턴을 형성하며, 상기 형성된 나선형 패턴의 일측에 개방(open) 형태 또는 단락(short) 형태의 스터브(stub)를 갖는 금속 라인과; 인덕턴스(Inductance)의 조절을 위한 선택 신호에 따라 도통 제어되어, 상기 금속 라인의 각기 폭이 다른 도체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집적회로를 이루는 반도체 기판상에 둘 이상의 계층(layer)에 배열하여 형성되는 나선형 인덕터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인덕터는 집적회로 내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인덕턴스의 조절을 위한 선택신호를 입력받는 포트가 형성되는 제1 계층과, 상기 제1 계층을 통해 입력된 선택신호에 의해 도통 제어되는 스위칭 수단이 형성되는 제2 계층과, 각기 폭이 다른 도체가 기판상에 나선형 패턴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도체의 일측에는 개방(open) 혹은 단락(short) 형태로 스터브(stub)가 형성되는 제3 계층 및, 그라운드 전원을 인가하는 제4 계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가변 인덕턴스를 갖는 나선형 인덕터의 제1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상에 형성되는 나선형 인덕터에 있어서, 각기 폭이 다른 도체(W1∼W4)를 이용하여 기판상에 나선형 패턴을 형성하며, 상기 형성된 나선형 패턴의 일측에 개방(open) 형태의 개방스터브(stub)(OST1∼OST4)를 갖는 금속 라인(100)과; 인덕턴스(Inductance)의 조절을 위한 선택신호(S1∼S7)에 따라 도통 제어되어, 상기 금속 라인(100)의 각기 폭이 다른 도체(W1∼W4)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칭 수단(Q1∼Q7)으로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 가변 인덕턴스를 갖는 나선형 인덕터의 제2 실시예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상에 형성되는 나선형 인덕터에 있어서, 각기 폭이 다른 도체(W1∼W4)로 이루어져 기판상에 나선형 패턴을 형성하며, 상기 형성된 나선형 패턴의 일측에 단락(short) 형태의 단락스터브(stub)(SST1∼SST4)를 갖는 금속 라인(100)과; 인덕턴스(Inductance)의 조절을 위한 선택신호(S1∼S7)에 따라 도통 제어되어, 상기 금속 라인(100)의 각기 폭이 다른 도체(W1∼W4)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칭 수단(Q1∼Q7)으로 구성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고주파 대역을 사용하는 각종 통신기기의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s, IC)에서 나선형 인덕터(Spiral Inductor)를 구현함에 있어서, 나선형 구조의 금속 라인을 각기 폭이 다른 도체로 구현하고, 상기 도체의 일측에 개방(open) 혹은 단락(short) 형태의 스터브(stub)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스터브로 인해 기생 커패시턴스(capacitance) 혹은 인덕턴스(inductance)를 유도하거나 각기 폭이 다른 도체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통해, 나선형 인덕터의 전체적인 인덕턴스를 사용 목적에 따라 정밀하게 조절하여,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인덕터의 Q-인자(Quality factor)를 최대로 출력하거나, 기판상의 적은 면적을 이용하여 다양한 인덕턴스를 갖는 인덕터를 고주파 대역에서 구현하여, 상기 집적회로의 집적도를 높이게 된다.
본 발명은 고주파 대역을 사용하는 각종 통신기기의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s, IC)에 구현되는 나선형 인덕터(Spiral Inductor)에 관한 것으로, 본 발 명이 적용된 나선형 인덕터는 크게, 각기 폭이 다른 도체를 구비하여 나선형 형태를 가지는 금속 라인, 상기 금속 라인의 일측에 개방 혹은 단락 형태로 연결되어 기생 커패시턴스 혹은 인덕턴스를 유도하기 위한 스터브 및, 상기 금속 라인의 각기 폭이 다른 도체를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금속 라인의 폭 변환에 따른 금속 라인의 면적을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스위칭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나선형 인덕터에서 인덕턴스는 금속 라인에 의해 발생하는 기생 커패시턴스 혹은 인덕턴스나 상기 금속 라인의 면적에 의해 영향을 받으므로, 본 발명은 집적회로에서,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스터브의 실시예와 같이, 개방 형태의 스터브를 통해 신호선과 그라운드 사이의 유전체로 인해 상기 개방 형태의 스터브가 커패시터 역할을 하게 하고, 단락 형태의 스터브를 통해 신호선에서 하나의 금속 라인이 그라운드와 일렬로 연결됨으로 인해 상기 단락 형태의 스터브가 인덕터 역할을 하게 하며, 이때 상기 집적회로의 제어부(미도시)에서 나선형 인덕터를 구성하는 금속 라인의 면적을 선택하는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개방 혹은 단락 형태의 스터브와 함께 금속 라인의 전체적인 면적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해당 집적회로에서 요구하는 전체 인덕턴스를 가변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그리고 금속 라인의 일측에 새로 연결되는 스터브의 길이는, 인덕터를 통과하는 신호의 공기중의 파장 길이를 관내파장길이(guided wavelength)로 바꾸어주어야 하므로, 하기의 수학식에 의해 산출하며,
Figure 112005058438805-pat00001
여기서 λ는 신호의 공기중의 파장이고, εr은 금속 라인을 이루는 도체의 비유전율(Relative Permittivity)이다. 예를 들어, 상기 수학식1에 의해 반도체 기판상에 50옴(Ω)의 임피던스를 갖는 스터브를 구현하는 경우, 그 폭은 '2.05mm'에 해당하고, 'λ/2' 만큼의 길이로 금속 라인에 연결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적용 가능한 스터브의 종류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이중 가장 중요한 점은 스터브의 폭과 길이로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적용된 집적회로의 용도에 따라,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인덕터에 요구하는 임피던스를 만족시키도록, 상기 스터브의 폭과 길이를 다르게 설계하면 된다.
도 6은 50 옴의 임피던스를 갖는 인덕터에서 스터브의 폭과 길이를 예시한 것으로, 주파수 대역에 따라 로드(load) 구간(A)과 스터브 구간(B)을 변경 가능함을 보인 것이고, 도 7은 스터브의 선로를 형성하는 방법의 예시로서, 모서리 부분을 달리 형성하여 인덕터의 특성을 변경할 수 있음을 보인 것이다. 이때, 인덕터의 금속 라인과 스터브 간의 연결은 비아 컨택(Via Contact)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 가변 인덕턴스를 갖는 나선형 인덕터의 제1 실시예는, 도 2와 같이, 반도체 기판상에 나선형 인덕터를 형성함에 있어, 상기 나선형 인덕터는 크게 금속 라인(100)과 스위칭 수단(Q1∼Q7)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금속 라인(100)은 각기 폭이 다른 도체(W1∼W4)를 이용하여 기판상에 나선형 패턴을 형성하면서, 상기 형성된 나선형 패턴의 일측에 개방(open) 형태의 개방스터브(stub)(OST1∼OST4)를 가지고, 상기 스위칭 수단(Q1∼Q7)은 집적회로 내 제어부(미도시)로부터 출력된 인덕턴스의 조절을 위한 선택신호(S1∼S7)에 따라 도통 제어되어, 상기 금속 라인(100)의 각기 폭이 다른 도체(W1∼W4)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금속 라인(100)은 재질이 동일하면서 폭이 다른 도체(W1∼W4)가 각기 적어도 한 회선 이상 나선형으로 배열되고, 상기 스위칭 수단(Q1∼Q7)은 각 도체(W1∼W4) 사이 및, 상기 개방스터브(OST1∼OST4)와 상기 도체(W1∼W4)의 연결 부위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칭 수단(Q1∼Q7)은 동작속도가 빠르고 저전력 소비의 MOS(Metal Oxide Semiconductor)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구현하며, 상기 개방스터브(OST1∼OST4)와 상기 도체(W1∼W4)의 연결 부위에는 비아 컨택(VC1∼VC4)을 통해 상기 스위칭 수단(S1,S3,S5,S7)을 연결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등가회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기 폭이 다른 도체(W1∼W4)가 각각 하나의 인덕터(L1∼L4)에 해당하고, 금속 라인(100)에 연결된 개방스터브(OST1∼OST4)가 각각 하나의 기생 커패시터(SC1∼SC4)에 해당하며, 'Term1', 'Term2-1', 'Term2-2', 'Term2-3' 및 'Term2-4'는 집적회로에 연결되는 포트에 해당한다. 그리고 인덕터의 전체적인 인덕턴스는 일측 포트(Term1)를 공통으로 사용하면서, 타측 포트의 선택('Term2-1'에서 'Term2-4'까지의 선택)에 따라 임피던스가 증가하는 직렬 증가 형태의 인덕터를 이루는 구조이다.
예를 들어, 'Term1 ~ Term2-1'로 연결되는 인덕터의 임피던스는 'L1//SC1'이 되고, 'Term1 ~ Term2-2'로 연결되는 인덕터의 임피던스는 '(L1//SC1)+(L2//SC2)'이 되며, 마찬가지로 'Term1 ~ Term2-3'의 경우 '(L1//SC1)+(L2//SC2)+(L3//SC3)', 'Term1 ~ Term2-4'의 경우 '(L1//SC1)+(L2//SC2)+(L3//SC3)+(L4//SC4)'이 된다.
그리고 일측 스위칭 수단(Q2,Q4,Q6)은 각기 폭이 다른 도체(W1∼W4)를 스위칭하며, 타측 스위칭 수단(Q1,Q3,Q5,Q7)은 상기 각기 폭이 다른 도체(W1∼W4)에 의해 생성되는 각 인덕터(L1∼L4)의 구동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해당 "일측 스위칭 수단(Q2,Q4,Q6)" 중에서, 하나의 스위칭 수단(Q2)은 스위칭 신호(S2)에 따라 각기 폭이 다른 도체(W1~W4) 중 두 개의 도체(W1,W2) 사이를 스위칭시키며, 다른 하나의 스위칭 수단(Q4)은 스위칭 신호(S4)에 따라 각기 폭이 다른 도체(W1~W4) 중 두 개의 도체(W2,W3) 사이를 스위칭시키며, 또 다른 하나의 스위칭 수단(Q6)은 스위칭 신호(S6)에 따라 각기 폭이 다른 도체(W1~W4) 중 두 개의 도체(W3,W4) 사이를 스위칭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해당 "타측 스위칭 수단(Q1,Q3,Q5,Q7)" 중에서, 하나의 스위칭 수단(Q1)은 스위칭 신호(S1)에 따라 각기 폭이 다른 도체(W1~W4) 중 하나의 도체(W1)와 접지 사이를 스위칭시키며, 다른 하나의 스위칭 수단(Q3)은 스위칭 신호(S3)에 따라 각기 폭이 다른 도체(W1~W4) 중 다른 하나의 도체(W2)와 접지 사이를 스위칭시키며, 또 다른 하나의 스위칭 수단(Q5)은 스위칭 신호(S5)에 따라 각기 폭이 다른 도체(W1~W4) 중 또 다른 하나의 도체(W3)와 접지 사이를 스위칭시키며, 나머지 하나의 스위칭 수단(Q7)은 스위칭 신호(S7)에 따라 각기 폭이 다른 도체(W1~W4) 중 나머지 하나의 도체(W4)와 접지 사이를 스위칭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개방스터브(OST1∼OST4)는 금속 라인(100)과 그라운드(ground) 사이에 존재하는 반도체 기판의 유전체에 의해 기생 커패시턴스가 유도되도록 배치하고, 나선형 인덕터에서 요구하는 임피던스에 따라 상기 개방스터브(OST1∼OST4)의 폭과 길이를 조절하여 설계함으로써, 주파수 대역에 따른 다양한 용도로 인덕터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 가변 인덕턴스를 갖는 나선형 인덕터의 제2 실시예는, 도 3과 같이, 반도체 기판상에 나선형 인덕터를 형성함에 있어, 상기 나선형 인덕터는 크게 금속 라인(100)과 스위칭 수단(Q1∼Q7)으로 이루어지며, 금속 라인(100)은 각기 폭이 다른 도체(W1∼W4)로 이루어져 기판상에 나선형 패턴을 형성하면서, 상기 형성된 나선형 패턴의 일측에 단락(short) 형태의 단락스터브(SST1∼SST4)를 가지고, 스위칭 수단(Q1∼Q7)은 집적회로 내 제어부(미도시)로부터 출력된 인덕턴스의 조절을 위한 선택신호(S1∼S7)에 따라 도통 제어되어, 상기 금속 라인(100)의 각기 폭이 다른 도체(W1∼W4)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구조를 이룬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유사한 구조의 금속 라인(100)을 가지고 스위칭 수단(Q1∼Q7)의 역할이 동일하며, 다만 개방스터브(OST1∼OST4)를 대신하여, 인덕터 역할을 하는 상기 금속 라인(100)에 연결된 단락 형태의 단락스터브(SST1∼SST4)가 비아 컨택(Via Contact)을 통해 전기적으로 그라운드 슬러그(GND slug)에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는 점과, 상기 단락스터브(SST1∼SST4) 그 자체가 또 다른 인덕터 역할을 한다는 점이 상이하다.
이는, 도 9의 등가회로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는데, 금속 라인(100)에 연결된 단락스터브(SST1∼SST4)가 각각 하나의 인덕터(SL1∼SL4)에 해당하고, 'Term1', 'Term2-1', 'Term2-2', 'Term2-3' 및 'Term2-4'는 집적회로에 연결되는 포트에 해당하며, 'Term1'을 공통으로 사용하면서 'Term2-1'에서 'Term2-4'까지 이를수록 임피던스가 증가하는 직렬 증가 형태의 인덕터를 이루는 구조이다.
또한, 'Term1 ~ Term2-1'로 연결되는 인덕터의 임피던스는 'L1+SL1'이 되고, 'Term1 ~ Term2-2'로 연결되는 인덕터의 임피던스는 '(L1+SL1)+(L2+SL2)'이 되며, 마찬가지로 'Term1 ~ Term2-3'의 경우 '(L1+SL1)+(L2+SL2)+(L3+SL3)', 'Term1 ~ Term2-4'의 경우 '(L1+SL1)+(L2+SL2)+(L3+SL3)+(L4+SL4)'이 되며, 이 경우에도 나선형 인덕터에서 요구하는 임피던스에 따라 상기 단락스터브(SST1∼SST4)의 폭과 길이를 조절하여 설계하면, 주파수 대역에 따른 다양한 용도로 인덕터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발명 제1 및 제2 실시예는, 인덕터를 이루는 금속 라인(100)의 일측에 각기 개방 혹은 단락 형태의 스터브를 연결하는 것을 예로 들었 으나, 집적회로에서 요구하는 인덕터의 임피던스에 따라, 개방 형태와 단락 형태의 스터브를 모두 연결하여 인덕터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 제1 및 제2 실시예는, 하나의 층(layer)에 개방 혹은 단락 형태의 나선형 구조를 갖는 인덕터를 구현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집적회로가 다층(multi layer) 구조를 가짐에 따라 둘 이상의 층에 적층하여 인덕터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 가변 인덕턴스를 갖는 나선형 인덕터의 제3 실시예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상에 집적하여 나선형 인덕터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인덕터는 크게 금속 라인(100)과 스위칭 수단(Q1∼Q7)으로 이루어져 둘 이상의 계층(layer)에 배열되며, 상기 금속 라인(100)은 집적회로 내 제어부(미도시)로부터 출력된 인덕턴스의 조절을 위한 선택신호(S1∼S7)를 입력받는 포트가 형성되는 제1 계층(L1), 상기 제1 계층(L1)을 통해 입력된 선택신호(S1∼S7)에 의해 도통 제어되는 스위칭 수단(Q1∼Q7)이 형성되는 제2 계층(L2), 각기 폭이 다른 도체(W1∼W4)가 기판상에 하나 이상의 회선을 가지는 나선형 패턴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도체(W1∼W4)의 일측에는 개방(open) 형태로 개방스터브(OST1∼OST4)가 형성되는 제3 계층(L3) 및, 그라운드 전원을 인가하는 제4 계층(L4)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지며, 도 11에는 상기 개방스터브(OST1∼OST4)에 의해 유도되는 기생 커패시터(SC1∼SC4)를 상기 개방스터브(OST1∼OST4)와 함께 도시하였다.
또한, 본 발명 가변 인덕턴스를 갖는 나선형 인덕터의 제4 실시예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상에 집적하여 나선형 인덕터를 둘 이상의 계층(layer)에 배열되며, 상기 금속 라인(100)은 집적회로 내 제어부(미도시)로부터 출력된 인덕턴스의 조절을 위한 선택신호(S1∼S7)를 입력받는 포트가 형성되는 제1 계층(L1), 상기 제1 계층(L1)을 통해 입력된 선택신호(S1∼S7)에 의해 도통 제어되는 스위칭 수단(Q1∼Q7)이 형성되는 제2 계층(L2), 각기 폭이 다른 도체(W1∼W4)가 기판상에 하나 이상의 회선을 가지는 나선형 패턴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도체(W1∼W4)의 일측에는 단락(short) 형태로 단락스터브(SST1∼SST4)가 형성되는 제3 계층(L3) 및, 그라운드 전원을 인가하는 제4 계층(L4)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지며, 도 13에는 상기 단락스터브(SST1∼SST4)에 의해 유도되는 인덕터(SL1∼SL4)를 상기 단락스터브(SST1∼SST4)와 함께 도시하였다.
상기 제3 및 제4 실시예에서, 각 계층(L1∼L4)의 배열은 집적회로의 환경에 따라 다르게 형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금속 라인(100)을 제3 계층(L3)에 형성하는 경우, 인덕터의 전체적인 인덕턴스를 조절함에 있어 각각의 직렬(casecade) 배열 수행을 위하여, 일측 스위칭 수단(Q2,Q4,Q6)은 상기 금속 라인(100)과 동일한 계층(L3)에 형성하고, 개방 및 단락 형태의 스터브(OST1∼OST4, SST1∼SST4)는 상기 금속 라인(100)이 형성된 계층(L3)에서 하위 계층(L4)으로 형성되도록 배열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제4 실시예는 제2 실시예와 각각 그 기능 및 구조에 있어서 유사하며, 상기 제3 및 제4 실시예는 각기 제1 및 제2 실시예에 비해 더 큰 면적의 금속 라인(100)을 이용하여 인덕터의 임피던스를 크게 할 수 있고, 이를 위하여 둘 이상의 층에 집적화하여 구현하였다는 점이 상이하다.
또한,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발명 제3 및 제4 실시예는, 인덕터를 이루는 금속 라인(100)의 일측에 각기 개방 혹은 단락 형태의 스터브를 연결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집적회로에서 요구하는 인덕터의 임피던스에 따라, 개방 형태와 단락 형태의 스터브를 모두 연결하여 다층 구조를 가지는 인덕터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주파 대역을 사용하는 각종 통신기기의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s, IC)에서 나선형 인덕터(Spiral Inductor)를 구현함에 있어서, 나선형 구조의 금속 라인을 각기 폭이 다른 도체로 구현하고, 상기 도체의 일측에 개방(open) 혹은 단락(short) 형태의 스터브(stub)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스터브로 인해 기생 커패시턴스(capacitance) 혹은 인덕턴스(inductance)를 유도하거나 각기 폭이 다른 도체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통해, 나선형 인덕터의 전체적인 인덕턴스를 사용 목적에 따라 정밀하게 조절하여,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인덕터의 Q-인자(Quality factor)를 최대로 출력하거나, 기판상의 적은 면적을 이용하여 다양한 인덕턴스를 갖는 인덕터를 고주파 대역에서 구현하여, 상기 집적회로의 집적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반도체 기판상에 형성되는 나선형 인덕터에 있어서, 각기 폭이 다른 도체를 이용하여 기판상에 나선형 패턴을 형성하며, 상기 형성된 나선형 패턴의 일측에 개방(open) 형태 또는 단락(short) 형태의 스터브(stub)를 갖는 금속 라인과; 인덕턴스(Inductance)의 조절을 위한 선택신호에 따라 도통 제어되어, 상기 금속 라인의 각기 폭이 다른 도체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인덕턴스를 갖는 나선형 인덕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수단은, MOS(Metal Oxide Semiconductor)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인덕턴스를 갖는 나선형 인덕터.
  3. 집적회로를 이루는 반도체 기판상에 둘 이상의 계층(layer)에 배열하여 형성되는 나선형 인덕터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인덕터는 집적회로 내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인덕턴스의 조절을 위한 선택신호를 입력받는 포트가 형성되는 제1 계층과, 상기 제1 계층을 통해 입력된 선택신호에 의해 도통 제어되는 스위칭 수단이 형성되는 제2 계층과, 각기 폭이 다른 도체가 기판상에 나선형 패턴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도체의 일측에는 개방(open) 혹은 단락(short) 형태로 스터브(stub)가 형성 되는 제3 계층 및, 그라운드 전원을 인가하는 제4 계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인덕턴스를 갖는 나선형 인덕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혹은 단락 형태의 스터브는, 금속 라인이 형성된 계층에서 하위 계층으로 형성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인덕턴스를 갖는 나선형 인덕터.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형태의 스터브는, 금속 라인과 그라운드(ground) 사이에 존재하는 반도체 기판의 유전체에 의해 기생 커패시턴스가 유도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인덕턴스를 갖는 나선형 인덕터.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 형태의 스터브는, 금속 라인과 그라운드(ground)가 비아 컨택(Via Contact)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인덕턴스를 갖는 나선형 인덕터.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라인은, 폭이 다른 도체가 각기 적어 도 한 회선 이상 나선형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인덕턴스를 갖는 나선형 인덕터.
  8. 제1항 또는 제3에 있어서, 상기 금속 라인은, 일측 포트를 공통으로 사용하면서, 타측 포트의 선택에 따라 임피던스가 증가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인덕턴스를 갖는 나선형 인덕터.
KR1020050097446A 2005-10-17 2005-10-17 가변 인덕턴스를 갖는 나선형 인덕터 KR100716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7446A KR100716848B1 (ko) 2005-10-17 2005-10-17 가변 인덕턴스를 갖는 나선형 인덕터
US11/582,104 US7733206B2 (en) 2005-10-17 2006-10-17 Spiral inductor having variable induct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7446A KR100716848B1 (ko) 2005-10-17 2005-10-17 가변 인덕턴스를 갖는 나선형 인덕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1867A KR20070041867A (ko) 2007-04-20
KR100716848B1 true KR100716848B1 (ko) 2007-05-09

Family

ID=37947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7446A KR100716848B1 (ko) 2005-10-17 2005-10-17 가변 인덕턴스를 갖는 나선형 인덕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733206B2 (ko)
KR (1) KR1007168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842B1 (ko) 2011-11-08 2012-11-01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나선형 인덕터를 이용한 lc 회로의 제어 장치
WO2023121021A1 (ko) * 2021-12-20 2023-06-29 엘지이노텍 (주) 인덕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188159B (zh) * 2006-11-24 2011-01-12 阎跃军 分段可调电感器
TWI347616B (en) * 2007-03-22 2011-08-21 Ind Tech Res Inst Inductor devices
TWI397930B (zh) * 2007-11-06 2013-06-01 Via Tech Inc 螺旋電感元件
JP2011159953A (ja) * 2010-01-05 2011-08-18 Fujitsu Ltd 電子回路及び電子機器
JP5767495B2 (ja) * 2011-03-29 2015-08-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可変インダクタ及びこ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
EP2662870A1 (en) * 2012-05-09 2013-11-13 Nxp B.V. Tunable inductive circuits for transceivers
KR101325138B1 (ko) * 2012-08-31 2013-11-06 주식회사 뉴파워 프라즈마 기판형 인덕터 장치
US20140152410A1 (en) * 2012-12-03 2014-06-05 Arizona Board of Regents, a body corporate of the State of Arizona Acting for and on behalf of Arizo Integrated tunable inductors
US9218903B2 (en) * 2013-09-26 2015-12-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configurable multi-stack inductor
US10510476B2 (en) * 2013-09-27 2019-12-17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Slow wave inductive structur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KR102004791B1 (ko) 2014-05-21 2019-07-29 삼성전기주식회사 칩 전자부품 및 그 실장기판
US9653204B2 (en) 2015-01-22 2017-05-16 Globalfoundries Inc. Symmetric multi-port inductor for differential multi-band RF circuits
CN105990322B (zh) * 2015-02-06 2019-03-15 瑞昱半导体股份有限公司 积体电感结构
CN105244345B (zh) * 2015-09-21 2018-04-03 温州大学 一种电感值可调的片上集成差分电感
US9966182B2 (en) * 2015-11-16 2018-05-08 Globalfoundries Inc. Multi-frequency inductors with low-k dielectric area
WO2018097112A1 (ja) * 2016-11-28 2018-05-3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多層基板、多層基板の回路基板への実装構造、多層基板の実装方法および多層基板の製造方法
KR102150565B1 (ko) * 2018-05-11 2020-09-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저손실 스파이럴 코일
JP2020205519A (ja) * 2019-06-17 2020-12-2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回路基板、インダクタおよび無線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0727A (ko) * 2003-03-13 2004-09-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연속적으로 인덕턴스를 가변할 수 있는 가변 인덕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9553A (en) * 1993-11-17 1997-05-13 Takeshi Ikeda Variable inductance element using an inductor conductor
KR100466542B1 (ko) * 2002-11-13 2005-01-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적층형 가변 인덕터
US7460001B2 (en) * 2003-09-25 2008-12-02 Qualcomm Incorporated Variable inductor for integrated circuit and printed circuit board
US7202768B1 (en) * 2003-12-10 2007-04-10 Dsp Group Inc. Tunable induc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0727A (ko) * 2003-03-13 2004-09-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연속적으로 인덕턴스를 가변할 수 있는 가변 인덕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842B1 (ko) 2011-11-08 2012-11-01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나선형 인덕터를 이용한 lc 회로의 제어 장치
WO2013069855A1 (ko) * 2011-11-08 2013-05-16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나선형 인덕터를 이용한 lc 회로의 제어 장치
WO2023121021A1 (ko) * 2021-12-20 2023-06-29 엘지이노텍 (주) 인덕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085649A1 (en) 2007-04-19
US7733206B2 (en) 2010-06-08
KR20070041867A (ko) 2007-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6848B1 (ko) 가변 인덕턴스를 갖는 나선형 인덕터
CN108370082B (zh) 时延滤波器
CN100382208C (zh) 电感元件
KR100617887B1 (ko) 품질 팩터가 높은 오버랩핑 공진기를 갖는 멀티칩 모듈
EP0949754B1 (en) High-frequency power amplifier circuit and high-frequency power amplifier module
JP4580795B2 (ja) 不平衡−平衡変換器
KR20010039561A (ko) 적층 커패시터, 배선 기판, 및 고주파 회로
KR101138682B1 (ko) 이상기 및 이를 구비한 반도체 장치
US7606018B2 (en) Surge absorbing circuit
KR100802358B1 (ko) 전송선로
KR100211030B1 (ko) 다층 금속배선 기술을 이용한 모스트랜지스터 내장형 인덕터 소자
CA2550882A1 (en) Capacitor
EP2269199B1 (en) Planar inductive unit and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planar inductive unit
CN106068056B (zh) 印刷布线衬底
JP4910513B2 (ja) サージ吸収回路
US20240038754A1 (en) Chip-type electronic component
KR100218676B1 (ko) 스피럴 인덕터의 구조
JP2004304401A (ja) 高周波多層回路基板
JP5408187B2 (ja) アンテナ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無線通信機器
JP3887805B2 (ja) ダイオードスイッチ
WO2023181803A1 (ja) 電子部品及び回路装置
JP2003283284A (ja) 平面化フィルタ
JP4464291B2 (ja) 高周波回路
JP2004320556A (ja) 受動部品
US6998932B2 (en) High-frequency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