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6037B1 - 카본 나노 파이버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니켈-백금 담지촉매 제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카본 나노 파이버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니켈-백금 담지촉매 제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6037B1
KR100716037B1 KR1020050104884A KR20050104884A KR100716037B1 KR 100716037 B1 KR100716037 B1 KR 100716037B1 KR 1020050104884 A KR1020050104884 A KR 1020050104884A KR 20050104884 A KR20050104884 A KR 20050104884A KR 100716037 B1 KR100716037 B1 KR 100716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nanofibers
platinum
nickel
bath
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4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7955A (ko
Inventor
정원섭
정우창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50104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6037B1/ko
Publication of KR20070047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7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6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6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16Reduc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38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 B01J23/4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of the platinum group metals
    • B01J23/42Platin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7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the iron group metals or copper
    • B01J23/74Iron group metals
    • B01J23/755Nick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8Heat 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본 나노 파이버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니켈-백금 담지 촉매 제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카본 나노 파이버의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다수의 카본 나노 파이버가 담가져 산세 처리되는 질산용액이 수용되어 있는 산세 처리조; 다수의 상기 카본 나노 파이버 간 엉김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질산용액에 담가진 상기 카본 나노 파이버에 초음파를 분산하는 초음파 발생기; 상기 산세 처리조가 담가지는 60℃ 내지 80℃의 물이 수용되어 있는 항온조; 상기 산세 처리조에 담가진 상기 카본 나노 파이버에 잔류하는 질산용액을 제거하기 위한 여과기; 질산용액이 제거된 상기 카본 나노 파이버가 담가져 수세 처리되는 증류수가 수용되어 있는 수세 처리조; 수세 처리된 상기 카본 나노 파이버의 잔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카본 나노 파이버를 100℃ 내지 150℃ 정도로 가열하여 건조시키는 제 1오븐부재; 건조된 상기 카본 나노 파이버가 담가지며, 백금수화물이 투입되어 초음파 세척기에 의해 분산된 백금이온이 포함된 아세톤 용매가 수용되어 있는 제 1수조; 상기 카본 나노 파이버가 상기 백금이온을 충분히 흡착할 수 있도록 하고, 불순물의 함입을 막기 위하여, 상기 카본 나노 파이버가 담가진 상기 제 1수조를 밀봉하는 제 1밀봉부재; 상기 제 1수조 내의 아세톤 용매를 증발시키기 위하여, 65℃ 내지 100℃로 상기 제 1수조를 물중탕 처리하는 제 1로터리 이베포레이터; 상기 백금이온이 흡착된 카본 나노 파이버를 건조시키기 위하여, 상기 백금이온이 흡착된 상기 카본 나노 파이버를 100℃ 내지 120℃ 정도로 가열하여 건조시키 는 제 2오븐부재; 상기 카본 나노 파이버에 흡착된 상기 백금이온을 백금으로 환원시키는 제 1수소 환원 장치; 상기 백금을 담지한 카본 나노 파이버가 담가지며, 니켈수화물이 투입되어 초음파 세척기에 의해 분산된 니켈이온이 포함된 아세톤 용매가 수용되어 있는 제 2수조; 상기 백금을 흡착한 카본 나노 파이버가 상기 니켈이온을 충분히 흡착할 수 있도록 하고, 불순물의 함입을 막기 위하여, 상기 백금을 담지한 카본 나노 파이버가 담가진 상기 제 2수조를 밀봉하는 제 2밀봉부재; 상기 제 2수조 내의 아세톤 용매를 증발시키기 위하여, 65℃ 내지 100℃로 상기 제 2수조를 물중탕 처리하는 제 2로터리 이베포레이터; 상기 니켈이온과 상기 백금을 담지한 카본 나노 파이버를 건조시키기 위하여, 상기 니켈이온과 상기 백금을 담지한 카본 나노 파이버를 100℃ 내지 120℃ 정도로 가열하여 건조시키는 제 3오븐부재; 및 상기 니켈이온과 상기 백금을 담지한 카본 나노 파이버에 흡착된 상기 니켈이온을 니켈로 환원시키는 제 2수소 환원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로부터 고성능, 고효율, 고안정성의 니켈-백금 담지 촉매를 제조할 수 있고, 제조원가가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카본 나노 파이버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니켈-백금 담지 촉매 제조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Nickel and Platinum supported catalyst using Carbon nano fibers for fuel cel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카본 나노 파이버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니켈-백금 담지 촉매 제조 장치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도 1의 제 1수소 환원 장치를 상세히 도시한 개념도.
도 3의 a,b는 도 1의 카본 나노 파이버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니켈-백금 담지 촉매 제조 장치에 의해 제조된 연료전지용 니켈-백금 담지 촉매를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카본 나노 파이버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니켈-백금 담지 촉매 제조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산세 처리조 20 : 초음파 발생기
30 : 항온조 40 : 여과기
50 : 수세 처리조 60 : 제 1오븐부재
70,70' : 제 1,2수조 75,75' : 제 1,2밀봉부재
80,80' : 제 1,2로터리 이베포레이터 90,90' : 제 2,3오븐부재
95,95' : 제 1,2수소 환원 장치 951 : 제 1석영관
953 : 제 1질소가스 도입부 955 : 제 1수소가스 도입부
957 : 제 1가스 배기부 959 : 제 1히팅코일
본 발명은 카본 나노 파이버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니켈-백금 담지 촉매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료전지란 연료의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화시키는 발전 소자로서 최근 자동차, 주택, 휴대기기 등에 전원 공급원으로 연료전지를 이용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료전지에 있어 에너지 밀도를 높여 출력밀도와 출력전압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극, 연료, 전해질막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특히 전극의 전도성 향상을 위해 촉매의 반응성을 높이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전극의 성능은 촉매층으로의 반응물의 확산과 반응 생성물의 배출 등과 같은 물질 전달의 용이성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으며, 이는 촉매의 반응표면적이 증가할수록 향상된다. 따라서, 전극에 존재하는 촉매의 반응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촉매의 입자지름을 수 nm의 크기로 줄여 반응 표면적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촉매가 효과적으로 균일한 분산을 이루기 위한 담체의 개발도 급진전되고 있으며, 특히 불균일계의 촉매는 제조공정 중 열처리 온도나 반응온도에 의해 불안정하기 쉬워 담체에 분산시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다.
상기와 같이 연료전지용 촉매의 반응성을 높이기 위한 촉매의 담체로서 카본 블랙(carbon black), 활성탄(activated carbon)이 상용되어 왔으며, 이러한 카본블랙이나 활성탄은 산화제에 취약한 단점과 기계적 강도가 낮기 때문에 플러깅(plugging) 현상이 유발되어 제조과정 중 불순물이 함유될 수 있으며, 열화가 쉽고, 다공질 산화물로서 고온조건 반응에서 불안정하며, 농도변화, 온도, 압력에 의해 쉽게 탈착 현상이 발생하여 흡착 용량과 흡착 선택성이 낮게 되어 반응기에서 담체의 구조가 부서지게 되었을 때 막힘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고성능, 고효율, 고안정성의 니켈-백금 담지 촉매를 제조할 수 있고, 제조원가가 절감될 수 있는 카본 나노 파이버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니켈-백금 담지 촉매 제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카본 나노 파이버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니켈-백금 담지 촉매 제조 장치는, 카본 나노 파이버의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다수의 카본 나노 파이버가 담가져 산세 처리되는 질산용액이 수용되어 있는 산세 처리조; 다수의 상기 카본 나노 파이버 간 엉김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질산용액에 담가진 상기 카본 나노 파이버에 초음파를 분산하는 초음파 발생기; 상기 산세 처리조가 담가지는 60℃ 내지 80℃의 물이 수용되어 있는 항온조; 상기 산세 처리조에 담가진 상기 카본 나노 파이버에 잔류하는 질산용액을 제거하기 위한 여과기; 질산용액이 제거된 상기 카본 나노 파이버가 담가져 수세 처리되는 증류수가 수용되어 있는 수세 처리조; 수세 처리된 상기 카본 나노 파이버의 잔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카본 나노 파이버를 100℃ 내지 150℃ 정도로 가열하여 건조시키는 제 1오븐부재; 건조된 상기 카본 나노 파이버가 담가지며, 백금수화물이 투입되어 초음파 세척기에 의해 분산된 백금이온이 포함된 아세톤 용매가 수용되어 있는 제 1수조; 상기 카본 나노 파이버가 상기 백금이온을 충분히 흡착할 수 있도록 하고, 불순물의 함입을 막기 위하여, 상기 카본 나노 파이버가 담가진 상기 제 1수조를 밀봉하는 제 1밀봉부재; 상기 제 1수조 내의 아세톤 용매를 증발시키기 위하여, 65℃ 내지 100℃로 상기 제 1수조를 물중탕 처리하는 제 1로터리 이베포레이터; 상기 백금이온이 흡착된 카본 나노 파이버를 건조시키기 위하여, 상기 백금이온이 흡착된 상기 카본 나노 파이버를 100℃ 내지 120℃ 정도로 가열하여 건조시키는 제 2오븐부재; 상기 카본 나노 파이버에 흡착된 상기 백금이온을 백금으로 환원시키는 제 1수소 환원 장치; 상기 백금을 담지한 카본 나노 파이버가 담가지며, 니켈수화물이 투입되어 초음파 세척기에 의해 분산된 니켈이온이 포함된 아세톤 용매가 수용되어 있는 제 2수조; 상기 백금을 흡착한 카본 나노 파이버가 상기 니켈이온을 충분히 흡착할 수 있도록 하고, 불순물의 함입을 막기 위하여, 상기 백금을 담지한 카본 나노 파이버가 담가진 상기 제 2수조를 밀봉하는 제 2밀봉부재; 상기 제 2수조 내의 아세톤 용매를 증발시키기 위하여, 65℃ 내지 100℃로 상기 제 2수조를 물중탕 처리하는 제 2로터리 이베포레이터; 상기 니켈이온과 상기 백금을 담지한 카본 나노 파이버를 건조시키기 위하여, 상기 니켈이온과 상기 백금을 담지한 카본 나노 파이버를 100℃ 내지 120℃ 정도로 가열하여 건조시키는 제 3오븐부재; 및 상기 니켈이온과 상기 백금을 담지한 카본 나노 파이버에 흡착된 상기 니켈이온을 니켈로 환원시키는 제 2수소 환원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제 1수소 환원 장치는, 상기 백금이온이 흡착된 카본 나노 파이버가 내부로 장입되는 제 1석영관; 상기 제 1석영관과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제 1석영관 내부로 질소가스를 공급하며, 제 1유량조절기가 구비된 제 1질소가스 도입부; 상기 제 1석영관과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제 1석영관 내부로 수소가스를 공급하며, 제 2유량조절기가 구비된 제 1수소가스 도입부; 상기 제 1석영관과 연결되어 수소환원 반응후 가스가 배출되는 제 1가스 배기부; 및 상기 제 1석영관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1석영관 내부를 900℃ 내지 1200℃로 가열하는 제 1히팅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2수소 환원 장치는, 상기 니켈이온과 상기 백금을 흡착한 카본 나노 파이버가 내부로 장입되는 제 2석영관; 상기 제 2석영관과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제 2석영관 내부로 질소가스를 공급하며, 제 3유량조절기가 구비된 제 2질소가스 도입부; 상기 제 2석영관과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제 2석영관 내부로 수소가스를 공급하며, 제 4유량조절기가 구비된 제 2수소가스 도입부; 상기 제 2석영관과 연결되어 수소환원 반응후 가스가 배출되는 제 2가스 배기부; 및 상기 제 2석영관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2석영관 내부를 450℃ 내지 600℃로 가열하는 제 2히팅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카본 나노 파이버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니켈-백금 담지 촉매 제조 방법은, (a) 카본 나노 파이버의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카본 나노 파이버를 질산용액이 수용된 산세처리조에 담가 산세 처리하는 단계; (b) 다수의 상기 카본 나노 파이버 간 엉김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a)단계의 산세처리조에 초음파를 분산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산세처리조를 60℃ 내지 80℃의 물이 수용된 항온조에 투입하여 끓이는 단계; (d) 상기 카본 나노 파이버에 잔류하는 질산용액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카본 나노 파이버를 여과시키는 단계; (e) 상기 카본 나노 파이버를 수세 처리하는 단계; (f) 상기 카본 나노 파이버에 잔류하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카본 나노 파이버를 100℃ 내지 150℃ 정도로 가열하여 건조시키는 단계; (g) 상기 카본 나노 파이버를 백금수화물이 투입되어 분산된 백금이온이 포함된 아세톤 용매가 수용되어 있는 수조에 투입하는 단계; (h) 상기 카본 나노 파이버가 상기 백금이온을 충분히 흡착할 수 있도록 상기 (g)단계의 수조를 밀봉시키는 단계; (i) 상기 (h)단계의 수조 내의 아세톤 용매를 증발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조를 65℃ 내지 100℃로 물중탕 처리하는 단계; (j) 상기 백금이온이 흡착된 상기 카본 나노 파이버를 건조시키기 위하여, 상기 카본 나노 파이버를 100℃ 내지 120℃ 정도로 가열하여 건조시키는 단계; (k) 제 1수소 환원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카본 나노 파이버에 흡착된 상기 백금이온을 백금으로 환원시키는 단계; (l) 상기 (k)단계에서 얻어진 상기 백금을 담지한 카본 나노 파이버를 니켈수화물이 투입되어 분산된 니켈이온이 포함된 아세톤 용매가 수용되어 있는 수조에 투입하는 단계; (m) 상기 백금을 담지한 카본 나노 파이버가 상기 니켈이온을 충분히 흡착할 수 있도록 상기 (l)단계의 수조를 밀봉시키는 단계; (n) 상기 (m)단계의 수조 내의 아세톤 용매를 증발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조 를 65℃ 내지 100℃로 물중탕 처리하는 단계; (o) 상기 니켈이온과 상기 백금을 담지한 카본 나노 파이버를 건조시키기 위하여, 상기 니켈이온과 상기 백금을 담지한 카본 나노 파이버를 100℃ 내지 120℃ 정도로 가열하여 건조시키는 단계; 및 (p) 제 2수소 환원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니켈이온과 상기 백금을 담지한 카본 나노 파이버에 흡착된 상기 니켈이온을 니켈로 환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카본 나노 파이버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니켈-백금 담지 촉매 제조 장치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제 1수소 환원 장치를 상세히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3의 a,b는 도 1의 카본 나노 파이버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니켈-백금 담지 촉매 제조 장치에 의해 제조된 연료전지용 니켈-백금 담지 촉매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의 카본 나노 파이버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니켈-백금 담지 촉매 제조 장치는 산세 처리조(10)와 초음파 발생기(20)와 항온조(30)와 여과기(40)와 수세 처리조(50)와 제 1오븐부재(60)와 제 1수조(70)와 제 1밀봉부재(75)와 제 1로터리 이베포레이터(80)와 제 2오븐부재(90)와 제 1수소 환원 장치(95)와 제 2수조(70')와 제 2밀봉부재(75')와 제 2로터리 이베포레이터(80')와 제 3오븐부재(90')와 제 2수소 환원 장치(9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카본 나노 파이버(Carbon nano fibers, CNFs)는 평균적으로 비표면적이 약 300m2/g으로 다른 카본보다 비표면적이 클 뿐만 아니라 곡률도 크기 때문에 표면개질을 통한다면 활성화가 가능한 재료로서 하나의 촉매 입자 내에 많은 활성성분을 포함시킬 수 있어서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러한 카본 나노 파이버의 형상에 따라 스트레이트(straight), 스파이럴(spiral), 헬리컬(helical), 브랜치드(branched) 타입의 네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산세 처리조(10)에는 다수의 카본 나노 파이버(CNFs)가 투입되며, 카본 나노 파이버(CNFs)의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카본 나노 파이버(CNFs)가 담가져 산세 처리되는 30% 농도의 질산(HNO3)용액이 수용되어 있다.
이러한 산세 처리조(10)에 수용된 질산용액에 다수의 카본 나노 파이버(CNFs)가 담가져 산세 처리되며, 카본 나노 파이버(CNFs)는 산세 처리에 의해 무기물과 유기물 등의 불순물이 제거되고, 카본 나노 파이버(CNFs)의 표면적과 기공의 부피가 증가되어 후술하는 니켈이온 및 백금이온의 흡착능력과 분산성이 증가된다.
초음파 발생기(20)는 질산용액에 담가진 카본 나노 파이버(CNFs)에 초음파를 분산하여, 다수의 카본 나노 파이버(CNFs) 간 엉김을 방지한다.
항온조(30)는 60℃ 내지 80℃의 물이 수용되어 있어, 이 물에 산세 처리조(10)가 담가진다.
여과기(40)는 산세 처리조(10)에 담가진 카본 나노 파이버(CNFs)에 잔류하는 질산용액을 제거한다.
수세 처리조(50)는 질산용액이 제거된 카본 나노 파이버(CNFs)가 담가져 수세 처리되는 증류수가 수용되어 있다.
이러한 수세 처리에 의해 카본 나노 파이버(CNFs)는 거의 중성에 가까운 상태로 되돌아간다.
제 1오븐부재(60)는 카본 나노 파이버(CNFs)를 100℃ 내지 150℃ 정도로 가열하여 건조시킴으로써, 수세 처리된 카본 나노 파이버(CNFs)의 잔류 수분을 제거한다.
제 1수조(70)에는 백금수화물로서, [Pt(NH3)2(H2O)2Cl2]Br2가 투입되어 초음파로 인해 분산된 백금이온(Pt2+)이 포함된 아세톤 용매가 수용되어 있어, 아세톤 용매에 건조된 카본 나노 파이버(CNFs)가 담가진다.
상기의 [Pt(NH3)2(H2O)2Cl2]Br2는 백금수화물의 일실시 예이며, 실시 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 1밀봉부재(75)는 카본 나노 파이버(CNFs)가 백금이온을 충분히 흡착할 수 있도록 하고, 불순물의 함입을 막기 위하여, 카본 나노 파이버(CNFs)가 담가진 제 1수조(70)를 밀봉한다.
제 1로터리 이베포레이터(rotary evaporator)(80)는 제 1수조(70) 내의 아세톤 용매를 증발시키기 위하여, 65℃ 내지 100℃로 제 1수조(70)를 물중탕 처리한다.
제 2오븐부재(90)는 백금이온이 흡착된 카본 나노 파이버(CNFs)를 건조시키 기 위하여, 카본 나노 파이버(CNFs)를 100℃ 내지 120℃ 정도로 가열하여 건조시킨다.
제 1수소 환원 장치(95)는 카본 나노 파이버(CNFs)에 흡착된 백금이온(Pt2+)을 백금(Pt)으로 환원시킨다.
제 1수소 환원 장치(95)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석영관(951)과 제 1질소가스 도입부(953)와 제 1수소가스 도입부(955)와 제 1가스 배기부(957)와 제 1히팅코일(959)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석영관(951)은 백금이온이 흡착된 카본 나노 파이버(CNFs+Pt2 +)가 내부로 장입되며, 이처럼 제 1석영관(951)을 사용할 경우 시편 장착이 편리하며, 가스 주입이 용이하고, 내부의 시편을 쉽게 관찰할 수 있다.
제 1질소가스 도입부(953)는 제 1석영관(951)과 연결되어 있어 제 1석영관(951) 내부로 질소가스를 공급하며, 제 1유량조절기(953a)가 구비되어 있다.
제 1수소가스 도입부(955)는 제 1석영관(951)과 연결되어 있어 제 1석영관(951) 내부로 수소가스를 공급하며, 제 2유량조절기(955a)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의 제 1,2유량조절기(953a,955a)는 MFC(Mass Flow Controller)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1가스 배기부(957)는 제 1석영관(951)과 연결되어 수소환원 반응후 가스가 배출된다.
제 1히팅코일(959)은 제 1석영관(951)의 외부에 설치되어 제 1석영관(951) 내부의 온도를 900℃ 내지 1200℃로 가열시킨다.
한편, 제 2수조(70')에는 니켈수화물로서, 질산니켈수화물(Ni(NO3)2·6H2O)이 투입되어 초음파로 인해 분산된 니켈이온(Ni2+)이 포함된 아세톤 용매가 수용되어 있어, 이 아세톤 용매에 백금을 담지한 카본 나노 파이버(CNFs+Pt)가 담가진다.
상기의 질산니켈수화물(Ni(NO3)2·6H2O)은 니켈수화물의 일실시 예이며, 실시 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 2밀봉부재(75')는 백금을 담지한 카본 나노 파이버(CNFs+Pt)가 니켈이온을 충분히 흡착할 수 있도록 하고, 불순물의 함입을 막기 위하여, 백금을 담지한 카본 나노 파이버(CNFs+Pt)가 담가진 제 2수조(70')를 밀봉한다.
제 2로터리 이베포레이터(rotary evaporator)(80')는 제 2수조(70') 내의 아세톤 용매를 증발시키기 위하여, 65℃ 내지 100℃로 제 2수조(70')를 물중탕 처리한다.
제 3오븐부재(90')는 니켈이온 및 백금이 담지된 카본 나노 파이버(CNFs+Pt+Ni2+)를 건조시키기 위하여, 니켈이온 및 백금이 담지된 카본 나노 파이버(CNFs+Pt+Ni2+)를 100℃ 내지 120℃ 정도로 가열하여 건조시킨다.
제 2수소 환원 장치(95')는 카본 나노 파이버(CNFs+Pt+Ni2 +)에 흡착된 니켈이온(Ni2+)을 니켈(Ni)로 환원시킨다.
제 2수소 환원 장치(95')는 제 2석영관과 제 2질소가스 도입부와 제 2수소가스 도입부와 제2가스 배기부와 제 2히팅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수소 환원 장치(95')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 1수소 환원 장치(95)의 구성과 대동소이하므로, 이하에서는 제 2수소 환원 장치(95')의 특징적인 작용효과만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 2히팅코일은 제 2석영관의 외부에 설치되어 제 2석영관(951) 내부의 온도를 450℃ 내지 600℃로 가열시킨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카본 나노 파이버(CNFs)를 준비하여 카본 나노 파이버(CNFs)가 가지고 있는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다수의 카본 나노 파이버(CNFs)를 30% 농도의 질산용액이 수용되어 있는 산세 처리조(10)에 넣고, 초음파 발생기(20)를 이용하여 다수의 카본 나노 파이버(CNFs) 간 서로 엉김을 방지하기 위하여 약 40분간 분산시킨다.
분산된 질산용액 속의 카본 나노 파이버(CNFs)는 60℃ 내지 80℃의 항온조(30)에서 2일 정도 끓여져 산세 처리된다.
산세 처리된 카본 나노 파이버(CNFs)는 여과기(40)를 통해 카본 나노 파이버(CNFs)에 잔류하는 질산용액을 제거한 후 증류수로서 거의 중성에 가까운 상태로 돌리기 위해 수세 처리조(50)에 담가져 수세 처리된다.
수세 처리된 후 카본 나노 파이버(CNFs)는 잔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제 1오븐부재(60)에서 100℃ 내지 150℃로 가열된다.
제 1수조(70)에는 아세톤 용매가 수용되며, 아세톤 용매에는 백금수화물이 투입되고, 아세톤 용매를 초음파 세척기에 의해 약 5분간 분산시킨 후 건조된 카본 나노 파이버(CNFs)를 아세톤 용매에 투입시킨다.
카본 나노 파이버(CNFs)가 아세톤 용매에 포함된 백금이온을 충분히 흡착할 수 있도록 제 1수조(70)를 제 1밀봉부재(75)로 밀봉시키며, 이러한 상태로 평형상태에 도달하기 위한 기간인 이틀동안 대기 상에서 유지시킨다.
충분하게 백금이온을 흡착한 카본 나노 파이버(CNFs+Pt2 +)는 제 1로터리 이베포레이터(80)를 통하여 65℃에서 100℃가 될 때까지 물중탕 처리하면, 제 1수조(70) 내의 아세톤 용매가 증발된다.
아세톤 용매가 증발되고 남은 백금이온이 담지된 카본 나노 파이버(CNFs+Pt2+)를 제 2오븐부재(90)를 이용하여 100℃ 내지 120℃ 정도로 가열하여 건조시킨다. 이러한 상태를 이틀동안 유지한다.
상기에서, 백금이온이 담지된 카본 나노 파이버(CNFs+Pt2 +)란, 카본 나노 파이버(CNFs)(담체)에 백금이온(Pt2+)이 흡착된 상태를 말하는 것임을 유의하기 바란다.
알루미나보트(952)에 백금이온이 담지된 카본 나노 파이버(CNFs+Pt2 +)를 고 르게 편 후 알루미나보트(952)를 제 1수소 환원 장치(95)의 제 1석영관(951) 내부로 장입한 후 승온속도 5℃/min로 900℃ 내지 1200℃까지 질소가스 분위기 하에서 퍼징(purging)시킨다. 이때 질소가스는 제 1질소가스 도입부(953)를 통하여 제 1석영관(951) 내부로 공급된다.
제 1석영관(951) 내부의 온도가 900℃ 내지 1200℃가 되었을 때 1시간 동안 수소가스가 제 1수소가스 도입부(955)를 통하여 공급되어 수소 환원이 행해진다.
그 후 온도가 200℃ 이하로 떨어질 때까지 질소가스 분위기로 다시 퍼징시키고 난 후 알루미나보트(952)를 제 1석영관(951)으로부터 꺼내면 카본 나노 파이버(CNFs+Pt2+)에 담지된 백금이온(Pt2+)이 백금(Pt)으로 환원되어, 백금을 담지한 카본 나노 파이버(CNFs+Pt)가 제조된다.
한편, 제 2수조(70')에는 아세톤 용매가 수용되며, 아세톤 용매에는 니켈수화물이 투입되고, 아세톤 용매를 초음파 세척기에 의해 약 5분간 분산시킨 후 백금을 흡착한 카본 나노 파이버(CNFs+Pt)를 아세톤 용매에 투입시킨다.
백금을 담지한 카본 나노 파이버(CNFs+Pt)가 니켈이온을 충분히 흡착할 수 있도록 제 2수조(70')를 제 2밀봉부재(75)로 밀봉시키며, 이러한 상태로 이틀동안 대기 상에서 유지시킨다.
충분하게 니켈이온을 흡착한 카본 나노 파이버(CNFs+Pt)는 제 2로터리 이베포레이터(80')를 통하여 65℃에서 100℃가 될 때까지 물중탕 처리하면, 제 2수조(70') 내의 아세톤 용매가 증발된다.
아세톤 용매가 증발되고 남은 니켈이온 및 백금이 담지된 카본 나노 파이버(CNFs+Pt+Ni2+)를 제 3오븐부재(90')를 이용하여 100℃ 내지 120℃ 정도로 가열하여 건조시킨다. 이러한 상태를 이틀동안 유지한다.
알루미나보트에 니켈이온 및 백금을 흡착한 카본 나노 파이버(CNFs+Pt+Ni2 +)를 고르게 편 후 알루미나보트를 제 2수소 환원 장치(95')의 제 2석영관 내부로 장입한 후 450℃ 내지 600℃까지 질소가스 분위기 하에서 퍼징(purging)시킨다. 이때 질소가스는 제 2질소가스 도입부를 통하여 제 2석영관 내부로 공급된다.
제 2석영관 내부의 온도가 450℃ 내지 600℃가 되었을 때 1시간 동안 수소가스가 제 2수소가스 도입부를 통하여 공급되어 수소환원이 행해진다.
그 후 온도가 200℃ 이하로 떨어질 때까지 질소가스 분위기로 다시 퍼징시키고 난 후 알루미나보트를 제 2석영관으로부터 꺼내면 카본 나노 파이버(CNFs+Pt+Ni2+)에 흡착된 니켈이온(Ni2+)이 니켈(Ni)로 환원되어, 본 발명의 카본 나노 파이버(CNFs)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니켈-백금 담지 촉매가 완성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카본 나노 파이버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니켈-백금 담지 촉매 제조 장치에 의해 제조된 연료전지용 니켈-백금 담지 촉매는 도 3의 a,b에 도시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본 나노 파이버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니켈-백금 담지 촉매 제조 방법을 도 7에 도시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카본 나노 파이버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니켈-백금 담지 촉매 제조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카본 나노 파이버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니켈-백금 담지 촉매 제조 방법은 산세 처리 단계와, 초음파 분산 단계와, 항온조에 투입하여 끓이는 단계와, 여과 단계와, 수세 처리 단계와, 가열 건조 단계와, 아세톤 용매에 투입하는 단계와, 밀봉 단계와, 물중탕 처리 단계와, 가열 건조 단계와, 수소 환원 단계와, 아세톤 용매에 투입하는 단계와, 밀봉 단계와, 물중탕 처리 단계와, 가열 건조 단계와, 수소 환원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단계에서는 카본 나노 파이버의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카본 나노 파이버를 질산용액이 수용된 산세처리조에 담가 산세 처리한다.
(b)단계에서는 다수의 카본 나노 파이버 간 엉김을 방지하기 위하여, (a)단계의 산세처리조에 초음파를 분산한다.
(c)단계에서는 (b)단계의 산세처리조를 60℃ 내지 80℃의 물이 수용된 항온조에 투입하여 끓인다.
(d)단계에서는 카본 나노 파이버에 잔류하는 질산용액을 제거하기 위하여, 카본 나노 파이버를 여과시킨다.
(e)단계에서는 카본 나노 파이버를 수세 처리한다.
(f)단계에서는 카본 나노 파이버에 잔류하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카본 나노 파이버를 100℃ 내지 150℃ 정도로 가열하여 건조시킨다.
(g)단계에서는 카본 나노 파이버를 백금수화물이 투입되어 분산된 백금이온 이 포함된 아세톤 용매가 수용되어 있는 수조에 투입한다.
(h)단계에서는 카본 나노 파이버가 백금이온을 충분히 흡착할 수 있도록 (g)단계의 수조를 밀봉시킨다.
(i)단계에서는 (h)단계의 수조 내의 아세톤 용매를 증발시키기 위하여, 수조를 65℃ 내지 100℃로 물중탕 처리한다.
(j)단계에서는 백금이온이 흡착된 카본 나노 파이버를 건조시키기 위하여, 카본 나노 파이버를 100℃ 내지 120℃ 정도로 가열하여 건조시킨다.
(k)단계에서는 수소 환원 장치를 이용하여 카본 나노 파이버에 흡착된 백금이온을 백금으로 환원시킨다.
(l)단계에서는 (k)단계에서 얻어진 백금을 담지한 카본 나노 파이버를 니켈수화물이 투입되어 분산된 니켈이온이 포함된 아세톤 용매가 수용되어 있는 수조에 투입한다.
(m)단계에서는 백금을 담지한 카본 나노 파이버가 니켈이온을 충분히 흡착할 수 있도록 상기 (l)단계의 수조를 밀봉시킨다.
(n)단계에서는 (m)단계의 수조 내의 아세톤 용매를 증발시키기 위하여, 수조를 65℃ 내지 100℃로 물중탕 처리한다.
(o)단계에서는 니켈이온과 백금을 담지한 카본 나노 파이버를 건조시키기 위하여, 니켈이온과 백금을 담지한 카본 나노 파이버를 100℃ 내지 120℃ 정도로 가열하여 건조시킨다.
(p)단계에서는 제 2수소 환원 장치를 이용하여 니켈이온과 백금을 담지한 카 본 나노 파이버에 흡착된 니켈이온을 니켈로 환원시킨다.
상기와 같은 단계로 이루어져 카본 나노 파이버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니켈-백금 담지 촉매가 완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카본 나노 파이버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니켈-백금 담지 촉매 제조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질산용액의 산세처리는 니켈이온 및 백금이온이 카본 나노 파이버의 담체 표면에 더 많이 담지될 수 있도록 하며, 고성능, 고효율, 고안정성의 니켈-백금 담지 촉매를 제조할 수 있고, 제조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

Claims (4)

  1. 카본 나노 파이버의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다수의 카본 나노 파이버가 담가져 산세 처리되는 질산용액이 수용되어 있는 산세 처리조;
    다수의 상기 카본 나노 파이버 간 엉김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질산용액에 담가진 상기 카본 나노 파이버에 초음파를 분산하는 초음파 발생기;
    상기 산세 처리조가 담가지는 60℃ 내지 80℃의 물이 수용되어 있는 항온조;
    상기 산세 처리조에 담가진 상기 카본 나노 파이버에 잔류하는 질산용액을 제거하기 위한 여과기;
    질산용액이 제거된 상기 카본 나노 파이버가 담가져 수세 처리되는 증류수가 수용되어 있는 수세 처리조;
    수세 처리된 상기 카본 나노 파이버의 잔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카본 나노 파이버를 100℃ 내지 150℃ 정도로 가열하여 건조시키는 제 1오븐부재;
    건조된 상기 카본 나노 파이버가 담가지며, 백금수화물이 투입되어 초음파 세척기에 의해 분산된 백금이온이 포함된 아세톤 용매가 수용되어 있는 제 1수조;
    상기 카본 나노 파이버가 상기 백금이온을 충분히 흡착할 수 있도록 하고, 불순물의 함입을 막기 위하여, 상기 카본 나노 파이버가 담가진 상기 제 1수조를 밀봉하는 제 1밀봉부재;
    상기 제 1수조 내의 아세톤 용매를 증발시키기 위하여, 65℃ 내지 100℃로 상기 제 1수조를 물중탕 처리하는 제 1로터리 이베포레이터;
    상기 백금이온이 흡착된 상기 카본 나노 파이버를 건조시키기 위하여, 상기 백금이온이 흡착된 카본 나노 파이버를 100℃ 내지 120℃ 정도로 가열하여 건조시키는 제 2오븐부재;
    상기 카본 나노 파이버에 흡착된 상기 백금이온을 백금으로 환원시키는 제 1수소 환원 장치;
    상기 백금을 담지한 카본 나노 파이버가 담가지며, 니켈수화물이 투입되어 초음파 세척기에 의해 분산된 니켈이온이 포함된 아세톤 용매가 수용되어 있는 제 2수조;
    상기 백금을 담지한 카본 나노 파이버가 상기 니켈이온을 충분히 흡착할 수 있도록 하고, 불순물의 함입을 막기 위하여, 상기 백금을 담지한 카본 나노 파이버가 담가진 상기 제 2수조를 밀봉하는 제 2밀봉부재;
    상기 제 2수조 내의 아세톤 용매를 증발시키기 위하여, 65℃ 내지 100℃로 상기 제 2수조를 물중탕 처리하는 제 2로터리 이베포레이터;
    상기 니켈이온과 상기 백금을 담지한 카본 나노 파이버를 건조시키기 위하여, 상기 니켈이온과 상기 백금을 담지한 카본 나노 파이버를 100℃ 내지 120℃ 정도로 가열하여 건조시키는 제 3오븐부재; 및
    상기 니켈이온과 상기 백금을 담지한 카본 나노 파이버에 흡착된 상기 니켈이온을 니켈로 환원시키는 제 2수소 환원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본 나노 파이버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니켈-백금 담지 촉매 제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수소 환원 장치는,
    상기 백금이온이 흡착된 카본 나노 파이버가 내부로 장입되는 제 1석영관;
    상기 제 1석영관과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제 1석영관 내부로 질소가스를 공급하며, 제 1유량조절기가 구비된 제 1질소가스 도입부;
    상기 제 1석영관과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제 1석영관 내부로 수소가스를 공급하며, 제 2유량조절기가 구비된 제 1수소가스 도입부;
    상기 제 1석영관과 연결되어 수소환원 반응후 가스가 배출되는 제 1가스 배기부; 및
    상기 제 1석영관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1석영관 내부를 900℃ 내지 1200℃로 가열하는 제 1히팅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2수소 환원 장치는,
    상기 니켈이온과 상기 백금을 담지한 카본 나노 파이버가 내부로 장입되는 제 2석영관;
    상기 제 2석영관과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제 2석영관 내부로 질소가스를 공급하며, 제 3유량조절기가 구비된 제 2질소가스 도입부;
    상기 제 2석영관과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제 2석영관 내부로 수소가스를 공급하며, 제 4유량조절기가 구비된 제 2수소가스 도입부;
    상기 제 2석영관과 연결되어 수소환원 반응후 가스가 배출되는 제 2가스 배기부; 및
    상기 제 2석영관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2석영관 내부를 450℃ 내지 600℃로 가열하는 제 2히팅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본 나노 파이버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니켈-백금 담지 촉매 제조 장치.
  3. (a) 카본 나노 파이버의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카본 나노 파이버를 질산용액이 수용된 산세처리조에 담가 산세 처리하는 단계;
    (b) 다수의 상기 카본 나노 파이버 간 엉김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a)단계의 산세처리조에 초음파를 분산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산세처리조를 60℃ 내지 80℃의 물이 수용된 항온조에 투입하여 끓이는 단계;
    (d) 상기 카본 나노 파이버에 잔류하는 질산용액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카본 나노 파이버를 여과시키는 단계;
    (e) 상기 카본 나노 파이버를 수세 처리하는 단계;
    (f) 상기 카본 나노 파이버에 잔류하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카본 나노 파이버를 100℃ 내지 150℃ 정도로 가열하여 건조시키는 단계;
    (g) 상기 카본 나노 파이버를 백금수화물이 투입되어 분산된 백금이온이 포함된 아세톤 용매가 수용되어 있는 수조에 투입하는 단계;
    (h) 상기 카본 나노 파이버가 상기 백금이온을 충분히 흡착할 수 있도록 상기 (g)단계의 수조를 밀봉시키는 단계;
    (i) 상기 (h)단계의 수조 내의 아세톤 용매를 증발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조 를 65℃ 내지 100℃로 물중탕 처리하는 단계;
    (j) 상기 백금이온이 흡착된 상기 카본 나노 파이버를 건조시키기 위하여, 상기 카본 나노 파이버를 100℃ 내지 120℃ 정도로 가열하여 건조시키는 단계;
    (k) 제 1수소 환원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카본 나노 파이버에 흡착된 상기 백금이온을 백금으로 환원시키는 단계;
    (l) 상기 (k)단계에서 얻어진 상기 백금을 담지한 카본 나노 파이버를 니켈수화물이 투입되어 분산된 니켈이온이 포함된 아세톤 용매가 수용되어 있는 수조에 투입하는 단계;
    (m) 상기 백금을 담지한 카본 나노 파이버가 상기 니켈이온을 충분히 흡착할 수 있도록 상기 (l)단계의 수조를 밀봉시키는 단계;
    (n) 상기 (m)단계의 수조 내의 아세톤 용매를 증발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조를 65℃ 내지 100℃로 물중탕 처리하는 단계;
    (o) 상기 니켈이온과 상기 백금을 담지한 카본 나노 파이버를 건조시키기 위하여, 상기 니켈이온과 상기 백금을 담지한 카본 나노 파이버를 100℃ 내지 120℃ 정도로 가열하여 건조시키는 단계; 및
    (p) 제 2수소 환원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니켈이온과 상기 백금을 담지한 카본 나노 파이버에 흡착된 상기 니켈이온을 니켈로 환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본 나노 파이버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니켈 담지 촉매 제조 방법.
  4. 삭제
KR1020050104884A 2005-11-03 2005-11-03 카본 나노 파이버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니켈-백금 담지촉매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0716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4884A KR100716037B1 (ko) 2005-11-03 2005-11-03 카본 나노 파이버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니켈-백금 담지촉매 제조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4884A KR100716037B1 (ko) 2005-11-03 2005-11-03 카본 나노 파이버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니켈-백금 담지촉매 제조 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1206U Division KR200406820Y1 (ko) 2005-11-03 2005-11-03 카본 나노 파이버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니켈-백금 담지촉매 제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7955A KR20070047955A (ko) 2007-05-08
KR100716037B1 true KR100716037B1 (ko) 2007-05-11

Family

ID=38272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4884A KR100716037B1 (ko) 2005-11-03 2005-11-03 카본 나노 파이버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니켈-백금 담지촉매 제조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60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10867B2 (en) 2009-02-27 2018-07-03 Basf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carbon nanofibers and/or carbon nanotubes
EP2224045A1 (en) * 2009-02-27 2010-09-01 Basf Se Process for producing carbon nanofibres and/or carbon nanotub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2634A (ko) 2004-01-07 2005-07-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촉매 담체용 짧은 탄소나노튜브,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탄소나노튜브 담지 촉매 및 이를 채용한 연료전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2634A (ko) 2004-01-07 2005-07-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촉매 담체용 짧은 탄소나노튜브,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탄소나노튜브 담지 촉매 및 이를 채용한 연료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7955A (ko) 2007-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17146B1 (en) Linear porous titanium dioxide material and preparation and use thereof
KR101287891B1 (ko) 연료전지용 촉매의 제조방법
CN106784877B (zh) 一种微生物燃料电池阴极复合材料的制备方法与微生物燃料电池反应器
CN108470890A (zh) 一种氮硫共掺杂三维石墨烯的制备方法、其制备的产品及该产品的应用
CN105006375A (zh) 一种氮、磷共掺杂多孔碳纳米管、制备方法及应用
JP6965392B2 (ja) 亜鉛‐臭素電池用正極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2133933B (zh) 一种铁钴铂载三维网状表面的空心碳球复合物的制备方法及其产品和应用
CN105529472A (zh) 一种Co-N双掺杂片状多孔二维碳材料及其制备方法
CN102723502A (zh) 一种提高钒电池电极材料活性的表面改性方法
WO2016011970A1 (zh) 一种含钨材料的用途
KR101828175B1 (ko) 금속-아닐린 금속착물을 활용한 탄소껍질을 가진 금속 촉매의 합성방법
KR100716034B1 (ko) 카본 나노 파이버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철-백금 담지 촉매 제조 장치 및 방법
CN1935364A (zh) 活性炭纤维载铂电催化剂及其制备方法
KR100716037B1 (ko) 카본 나노 파이버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니켈-백금 담지촉매 제조 장치 및 방법
CN113769774A (zh) 一种掺氮石墨烯-碳纳米管复合催化剂及其制备方法
KR100726237B1 (ko) 탄소나노튜브를 지지체로 하고 전기화학적 방법을 사용한백금나노촉매의 제조방법
CN106450351B (zh) 全钒液流电池复合电极及其制备方法
KR200415844Y1 (ko) 카본 나노 파이버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코발트-백금 담지촉매 제조 장치
KR200406820Y1 (ko) 카본 나노 파이버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니켈-백금 담지촉매 제조 장치
KR200410866Y1 (ko) 카본 나노 파이버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철-백금 담지 촉매 제조 장치
KR100716032B1 (ko) 카본 나노 파이버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코발트-백금 촉매제조 장치 및 방법
KR100716036B1 (ko) 카본 나노 파이버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니켈 담지 촉매제조 장치 및 방법
KR200406819Y1 (ko) 카본 나노 파이버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니켈 담지 촉매제조 장치
Huang et al. Calcined cobalt-chelated, N-containing poly (methylenediphenyl urea) as an ORR cathode catalyst
CN110801826A (zh) 一种光电催化石墨毡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