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5771B1 - 전동차용 발판 - Google Patents

전동차용 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5771B1
KR100715771B1 KR1020060007600A KR20060007600A KR100715771B1 KR 100715771 B1 KR100715771 B1 KR 100715771B1 KR 1020060007600 A KR1020060007600 A KR 1020060007600A KR 20060007600 A KR20060007600 A KR 20060007600A KR 100715771 B1 KR100715771 B1 KR 100715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vehicle
pair
scaffold
footrest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7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화
Original Assignee
신재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재화 filed Critical 신재화
Priority to KR1020060007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57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5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5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0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 B23Q11/1069Filtr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6Rigid blades, e.g. scrapers; Flexible blades, e.g. wipers
    • B08B1/165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의 간격이나 높이 차이에 의한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없애고 보행시 충격을 완화시켜 주도록, 전동차의 출입구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양측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한쌍의 실린더와, 상하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한쪽 끝부분이 한쌍의 실린더와 각각 결합되는 한쌍의 피스톤과, 피스톤의 다른쪽 끝부분에 양쪽 끝부분이 힌지축을 이용하여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발판과, 피스톤이 상승운동함에 따라 발판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발판의 다른쪽 끝부분이 승강장에 걸쳐지도록 안내하고 피스톤이 하강운동함에 따라 발판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다른쪽 끝부분의 걸친상태가 해제되도록 안내하는 안내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동차용 발판을 제공한다.
전동차, 승강장, 간격, 높이, 추락, 실족, 발판, 실린더, 피스톤

Description

전동차용 발판 {Footing for Electric Rail Ca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용 발판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용 발판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발판이 승강장에 걸쳐지기 이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용 발판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발판이 승강장에 걸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용 발판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작동상태를 확대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용 발판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용 발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완충장치 이 설치상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전동차용 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의 간격을 없애주므로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밟고 지나갈 때 충격을 완화시 켜 주도록 구성한 전동차용 발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차는 버스 및 택시 등과 더불어 가장 많이 이용되는 대중교통수단 중의 하나이다.
상기 전동차는 지하나 지상에 설치되는 승강장에서 자동으로 개폐되는 출입문을 통하여 승객의 승차 및 하차가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전동차는 여러대의 차량을 연결하여 한꺼번에 수백 내지 수천명의 승객을 태우고 주행하게 되므로, 하루에도 수없이 많은 인원의 승차 및 하차를 반복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전동차의 이용시 승객들은 승강장마다 전동차와의 간격이나 높이가 서로 다르므로 승차 및 하차시 많은 주의가 필요하게 된다.
즉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의 간격이나 높이 차이가 큰 경우 발이 빠지거나 걸릴 위험성이 매우 높으므로, 각별히 주의하지 않으면 안전사고의 발생할 우려가 크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출입문의 개방시 출입구와 승강장 사이로 발판이 설치되므로 간격이나 높이차에 의한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없애고 발판을 밟고 지나갈 때 보행자의 충격을 완화시켜 주도록 구성한 전동차용 발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전동차용 발판은 전동차의 출입구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양측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한쌍의 실린더와, 상하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한쪽 끝부분이 상기 한쌍의 실린더와 각각 결합되는 한쌍의 피스톤과, 상기 한쌍의 피스톤 사이에 설치되고 피스톤의 다른쪽 끝부분에 양쪽 끝부분 힌지축을 이용하여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발판과, 상기 피스톤이 상승운동함에 따라 상기 발판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발판의 다른쪽 끝부분이 승강장에 걸쳐지도록 안내하고 상기 피스톤이 하강운동함에 따라 상기 발판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다른쪽 끝부분의 걸친상태가 해제되도록 안내하는 안내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발판은 곡면모양의 판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안내장치는 상기 전동차의 출입구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양측에서 서로 마주보고 설치되고 상기 발판의 양측 끝부분 일부를 항상 감싸서 지지하도록 레일홈이 형성되고 레일홈의 반대쪽에는 힌지축이 형성되는 레일부재와, 한쪽 끝부분이 상기 힌지축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쪽 끝부분이 전동차에 고정 지지되는 회전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발판의 양쪽 끝부분에는 상기 레일부재의 레일홈과 구름접촉이 이루어지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회전롤러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발판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완충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완충장치는 상기 실린더를 상기 전동차에 매달리도록 지지시키는 행거와, 상기 실린더를 상하이동가능하게 감싸서 상기 전동차에 지지시키는 지지가이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행거는 상기 실린더의 피스톤 반대쪽 끝부분에 연장되어 설치되는 행거축과, 상기 전동차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행거축이 상하왕복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케이스와, 상기 지지케이스 내부에 설치되고 항상 상기 행거축이 상승운동하도록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용 발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용 발판의 일실시예는 도 1~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쌍의 실린더(10)와, 상기 한쌍의 실린더(10)와 각각 결합되는 한쌍의 피스톤(20)과, 상기 한쌍의 피스톤(20) 사이에 설치되고 힌지축(30)을 통하여 상기 피스톤(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발판(40)과, 상기 피스톤(20)이 상승운동함에 따라 발판(40)의 다른쪽 끝부분이 승강장(8)에 걸쳐지도록 상기 힌지축(30)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하강운동함에 따라 상기 발판(40)의 다른쪽 끝부분의 걸친상태가 해제되도록 상기 힌지축(30)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안내장치(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한쌍의 실린더(10)는 전동차(2)의 출입문(4)에 의하여 개폐되는 출입구(3)와 소정의 간격의 두고 양측에 배치되고 각각 전동차(2)의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하여 설치된다.
상기 피스톤(20)은 상기 실린더(10)와 결합되고 상하로 왕복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피스톤(20)은 한쪽 끝부분이 상기 실린더(10)로부터 멀어지도록 하강하거나 가까워지도록 상승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피스톤(20)은 상기 전동차(2)의 출입문(4)의 개방시 상향운동되고 출입문(4)의 폐쇄시 하향운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에서 한쌍의 실린더(10) 및 피스톤(20)은 상기 전동차(2)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내장형으로 설치된다.
상기 발판(40)은 곡면모양의 판(예를 들면, 원호형으로 구부러진 판)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발판(40)의 양쪽 끝면 하단부는 상기 힌지축(30)을 이용하여 상기 피스톤(20)의 다른쪽 끝부분과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발판(40)은 평판을 사용하고 상기 평판의 양측에 상기 안내장치(50)에 안내되는 별도의 곡선모양의 띠나 돌기 등을 일체로 고정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발판(40)에 있어서도 상기 실린더(10) 및 피스톤(20)과 마찬가지로 상기 전동차(2)에 내장되어 설치된다.
상기에서 발판(40)은 상기 전동차(2)의 출입구(3) 하부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출입구(3)의 하부에 형성되는 절개부(6)를 통하여 인출되거나 삽입된다.
상기 안내장치(50)는 도 4~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발판(40)의 양측 끝부분 일부를 항상 감싸서 지지하도록 레일홈(53)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홈(53)의 반대쪽에는 힌지축(54)이 형성되는 레일부재(52)와, 상기 레일부재(52)와 전동차 (2)에 연결하는 회전지지대(5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레일부재(52)는 상기 전동차(2)의 출입구(3)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양측에서 서로 마주보고 설치된다.
상기 레일홈(53)은 상기 발판(40)의 일측 끝부분의 단면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대략 "ㄷ")으로 형성된다.
상기 회전지지대(56)는 한쪽 끝부분이 상기 힌지축(54)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쪽 끝부분이 전동차(2)에 고정 지지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의 발판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판(40)의 양측 끝부분에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레일부재(52)의 레일홈(53)과 구름접촉하는 회전롤러(42)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회전롤러(42)는 상기 발판(40)의 양측 끝부분에 각각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설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용 발판의 다른 실시예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발판(4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완충장치(6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완충장치(60)는 상기 실린더(10)를 상기 전동차(2)에 매달리도록 지지시키는 행거(62)와, 상기 실린더(10)를 상하이동가능하게 감싸서 상기 전동차(2)에 지지시키는 지지가이드(6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행거(62)는 상기 실린더(10)의 피스톤(20) 반대쪽 끝부분에 연장되어 설치되는 행거축(63)과, 상기 전동차(2)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행거축 (63)이 상하왕복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케이스(64)와, 상기 지지케이스(64) 내부에 설치되고 항상 상기 행거축(63)이 상승운동하도록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6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부재(56)로는 압축코일스프링 등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일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용 발판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첨부한 도면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내에 속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용 발판에 의하면, 출입문의 개방시 출입구와 승강장 사이로 발판이 마련되므로 전동차의 출입구와 승강장 사이에 발생하는 간격이나 높이차이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승객이 안전하게 승차나 하차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승객의 부주의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특히, 어린이와 노약자, 장애인 등이 큰 걱정없이 안전하게 승차나 하차를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발판에 회전롤러가 설치되므로 발판의 동작이 부드럽고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용 발판에 의하면, 완충장치를 통하여 실린더를 전동 차에 지지시키는 것에 의하여 전동차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게 되므로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발판을 밟고 지나갈 때 보행자의 충격이 완화시켜 주므로 보행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Claims (4)

  1. 전동차의 출입구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양측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한 쌍의 실린더와;
    상하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한쪽 끝부분이 상기 한쌍의 실린더와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피스톤과;
    상기 한 쌍의 피스톤 사이에 설치되고 피스톤의 다른쪽 끝부분에 양쪽 끝부분 힌지축을 이용하여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발판과;
    상기 피스톤이 상승운동함에 따라 상기 발판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발판의 다른쪽 끝부분이 승강장에 걸쳐지도록 안내하고 상기 피스톤이 하강운동함에 따라 상기 발판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다른쪽 끝부분의 걸친상태가 해제되도록 안내하는 안내장치와;
    상기 발판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완충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완충장치는 실린더를 상기 전동차에 매달리도록 지지시키는 행거와, 상기 실린더를 상하이동가능하게 감싸서 상기 전동차에 지지시키는 지지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행거는 상기 실린더의 피스톤 반대쪽 끝부분에 연장되어 설치되는 행거축과, 상기 전동차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행거축이 상하왕복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케이스와, 상기 지지케이스 내부에 설치되고 항상 상기 행거축이 상승운동하도록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전동차용 발판.
  2. 전동차의 출입구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양측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한쌍의 실린더와;
    상하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한쪽 끝부분이 상기 한쌍의 실린더와 각각 결합되는 한쌍의 피스톤과;
    상기 한쌍의 피스톤 사이에 설치되고 피스톤의 다른쪽 끝부분에 양쪽 끝부분 힌지축을 이용하여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발판과;
    상기 피스톤이 상승운동함에 따라 상기 발판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발판의 다른쪽 끝부분이 승강장에 걸쳐지도록 안내하고 상기 피스톤이 하강운동함에 따라 상기 발판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다른쪽 끝부분의 걸친상태가 해제되도록 안내하는 안내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발판은 곡면모양의 판을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안내장치는 상기 전동차의 출입구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양측에서 서로 마주보고 설치되고 상기 발판의 양측 끝부분 일부를 항상 감싸서 지지하도록 레일홈이 형성되고 레일홈의 반대쪽에는 힌지축이 형성되는 레일부재와, 한쪽 끝부분이 상기 힌지축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쪽 끝부분이 전동차에 고정 지지되는 회전지지대를 포함하는 전동차용 발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발판의 양쪽 끝부분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레일부재의 레일홈과 구름접촉이 이루어지는 복수의 회전롤러를 더 포함하는 전동차용 발판.
  4. 삭제
KR1020060007600A 2006-01-23 2006-01-23 전동차용 발판 KR100715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7600A KR100715771B1 (ko) 2006-01-23 2006-01-23 전동차용 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7600A KR100715771B1 (ko) 2006-01-23 2006-01-23 전동차용 발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5771B1 true KR100715771B1 (ko) 2007-05-08

Family

ID=38270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7600A KR100715771B1 (ko) 2006-01-23 2006-01-23 전동차용 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57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631B1 (ko) 2007-09-12 2009-07-15 이준우 전동차의 안전 발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8923A (ko) * 2001-08-02 2001-09-29 김동건 전동차 출입구 보조발판의 구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8923A (ko) * 2001-08-02 2001-09-29 김동건 전동차 출입구 보조발판의 구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631B1 (ko) 2007-09-12 2009-07-15 이준우 전동차의 안전 발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849539A (ja) 乗物用可動フ−トステツプ
KR101135632B1 (ko) 철도 차량용 안전발판 장치
JP4576283B2 (ja) プラットホーム隙間調整装置
KR101518136B1 (ko) 승강장용 안전브릿지 시스템
KR100715771B1 (ko) 전동차용 발판
JP7365814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4283808B2 (ja) 鉄道車両用の安全足場装置
CN101259938A (zh) 用于移动扶手的安全装置
KR101058879B1 (ko) 도시철도차량의 안전발판
CN104355210B (zh) 一种可伸缩的轿门地坎及伸缩控制方法
JPH02204160A (ja) プラットホームと車両との隙間を埋める可動踏板装置
KR101854811B1 (ko)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및 이를 갖는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
CN112606852A (zh) 一种轨道交通用安全屏蔽门
KR101940648B1 (ko) 지하철 승강장 안전발판 장치
WO2003048021A1 (fr) Dispositif de transport de passagers
CN106044477B (zh) 一种箱式过街自行梯
KR101518454B1 (ko) 지하철 승강장의 안전발판
KR101975877B1 (ko) 전동차 출입문의 개폐장치를 이용한 전동차용 슬라이딩 스텝 장치
CN113216051A (zh) 一种公路交通安全防护装置
RU2499974C1 (ru) Дорожный блокиратор
KR101731997B1 (ko) 경사구간, 수평구간, 방향전환 구간 및 트위스트 구간 이동용 승강기
KR20090027296A (ko) 전동차의 안전 발판
CN113233293B (zh) 一种客梯轿厢结构
CN216301060U (zh) 易于维护的导轨组合结构
JP3809139B2 (ja) 免震建物用エレベーターの乗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