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5474B1 - 세정액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세정액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5474B1
KR100715474B1 KR1020050093365A KR20050093365A KR100715474B1 KR 100715474 B1 KR100715474 B1 KR 100715474B1 KR 1020050093365 A KR1020050093365 A KR 1020050093365A KR 20050093365 A KR20050093365 A KR 20050093365A KR 100715474 B1 KR100715474 B1 KR 100715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leaning
liquid composition
cleaning liquid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3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8260A (ko
Inventor
박찬형
Original Assignee
박찬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형 filed Critical 박찬형
Priority to KR1020050093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5474B1/ko
Publication of KR20070038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8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5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54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11D3/370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1D3/37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88Ampholytes; Electroneutr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03Alcohols; Phenols
    • C11D3/2006Monohydric alcohols
    • C11D3/2017Monohydric alcohols branched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03Alcohols; Phenols
    • C11D3/2041Dihydr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11D3/30Amines; Substituted amines ; Quaternized ami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세정기능이외에 김서림 방지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김서림이 발생되는 환경하에서도 시야를 확보할 수 있으며, 정전기 발생 방지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착용시 또는 휴대시에 정전기로 인한 불편함을 주지 않는 세정액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고리상 폴리 디오르가노 실록산을 0.01중량%에서 99.0중량% 함유하고, 이소프로필알코올을 0.01중량%에서 99.0중량% 함유하고, 소르비탄 모노 로레이트 구조를 가지고 있는 계면활성제를 0.01중량%에서 10.0중량% 함유하고, 4급 알킬 암모니움 염을 0.01중량%에서 10.0중량%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직쇄상 폴리 디오르가노 실록산, 고리상 폴리 디오르가노 실록산

Description

세정액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Composite for cleaning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이 발명은 세정제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세부적으로 말하자면 세정기능이외에 김서림 방지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김서림이 발생되는 환경하에서도 시야를 확보할 수 있으며, 정전기 발생 방지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착용시 또는 휴대시에 정전기로 인한 불편함을 주지 않는 세정액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안경 렌즈, 카메라 렌즈, 모니터 스크린, 휴대전화 액정 화면, 플라스틱 표면 등을 깨끗하게 닦아주기 한 세정제가 시판되고 있다.
예를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공고번호 특0154371에는 착용시 보존제가 렌즈에 흡착되지 않고 착용시 유출되지 않도록 분자의 크기가 큰 고분자성 보존제를 사용하여 렌즈에 흡착을 방지하였으며 세정력이 양호하고 자극도 적으면서 방부력이 있는 양쪽 이온성 계면 활성제 및 물질 자체가 안점막 자극이 전혀 없으면서 도 자극 유발 가능성이 의심되는 다른 물질과 혼용시 그 혼합물의 안점막 자극을 완벽하게 제거하여 주는 안점막 자극 경감물질로 구성되는 콘택트 렌즈 세정액 조성물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세정제는 김서림 방지(Anti-fogging)가 안되기 때문에 김서림이 발생되는 환경하에서는 시야를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세정제는 정전기 방지(Anti-static)가 안되기 때문에 착용시 또는 휴대시에 정전기로 인한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세정기능이외에 김서림 방지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김서림이 발생되는 환경하에서도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세정액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정기능이외에 정전기 발생 방지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착용시 또는 휴대시에 정전기로 인한 불편함을 주지 않는 세정액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구성은, 고리상 폴리 디오르가노 실록산을 0.01 중량%에서 99.0 중량% 함유하고, 이소프로필알코올(isopropyl alcohol)을 0.01 중량%에서 99.0 중량% 함유하고, 소르비탄 모노 로레이트 구조를 가지고 있는 계면활성제(상품명 Span 20 또는 상품명 Tween 20) 를 0.01 중량%에서 10.0 중량% 함유하고, 4급 알킬 암모니움 鹽을 0.01 중량%에서 10.0 중량%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발명의 구성은, 프로필렌 글라이콜을 0.01중량%에서 20중량% 더 함유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직쇄상 폴리 디오르가노 실록산을 0.01중량%에서 99.0중량% 더 함유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공업용 에틸알코올을 0.01중량%에서 99.0중량% 더 함유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다른 구성은, 고리상 폴리 디오르가노 실록산을 0.01 중량%에서 99.0 중량% 함유하고, 공업용 에틸알코올을 0.01 중량%에서 99.0 중량% 함유하고, 소르비탄 모노 로레이트 구조를 가지고 있는 계면활성제(상품명 Span 20 또는 상품명 Tween 20) 를 0.01 중량%에서 10.0 중량% 함유하고, 4급 알킬 암모니움 鹽을 0.01 중량%에서 10.0 중량%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발명의 다른 구성은, 프로필렌 글라이콜을 0.01중량%에서 20중량% 더 함유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다른 구성은, 직쇄상 폴리 디오르가노 실록산을 0.01중량%에서 99.0중량% 더 함유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들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제1 실시예 :
공업용 에틸알코올과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각각 41.5 중량%씩 칭량하여 액을 만든 다음, 직쇄상 폴리 디오르가노 실록산류 2.5 중량%와 고리상 폴리 디오르가노 실록산 10.0 중량%를 칭량하여 섞는다. 다음에, 차례대로 프로필렌 글라이콜(propylene glycol) 3.3 중량%, 20 mol의 에틸렌옥사이드를 부가시킨 소르비탄 모노 로레이트(상품명 Tween 20) 0.7 중량%, 세칠 트리메칠 암모니움 염산 염(鹽) 0.5 중량%를 칭량하여 섞어서 세정액 조성물을 제조한다.
제2 실시예 :
공업용 에틸알코올과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각각 40.1 중량%씩 칭량하여 액을 만든 다음, 고리상 폴리 디오르가노 실록산 15.0 중량%를 칭량하여 섞는다. 다음에, 차례대로 프로필렌 글라이콜 3.5 중량%, 20 mol의 에틸렌옥사이드를 부가시킨 소르비탄 모노 로레이트(상품명 Tween 20) 0.8 중량%, 세칠 트리메칠 암모니움 염산 염 0.5 중량%를 칭량하여 섞어서 세정액 조성물을 제조한다.
제3 실시예 :
공업용 에틸알코올 67.6 중량%를 칭량하여 액을 만든 다음, 고리상 폴리 디오르가노 실록산 25.0 중량%를 칭량하여 섞는다. 다음에, 차례대로 프로필렌 글라이콜 6.0 중량%, 20 mol의 에틸렌옥사이드를 부가시킨 소르비탄 모노 로레이트(상품명 Tween 20) 0.8 중량%, 세칠 트리메칠 암모니움 염산 염 0.6 중량%를 칭량하여 섞어서 세정액 조성물을 제조한다.
상기한 제1 내지 제3 실시예의 세정력을 검사하면 다음과 같다.
1. 기기에 의한 세정력 검사 :
오염 렌즈를 하기와 같은 처방의 오염원에 10분간 담근 다음, 3시간 가량 말린뒤, 준비해둔 세정액을 100ml 용기의 분무장치(동남 플라스틱 표준 용기)에 담아, 2회 극세사천에 스프레이(spray)하여 액이 젖어 있는 부분으로, 오염 렌즈를 세정 한 다음, 마른부분으로 닦아낸 뒤, 2분 건조 시킨다. Colorimeter를 사용하여, 반사율을 측정하여 하기와 같은 공식에 의해, 세정력을 계산한다.
오염원은 지방산 에스텔 30 중량%, 올리브유 65 중량%, 파라핀 왁스 4 중량%, 카본블랙 1 중량%로 만든다.
세정력을 계산하기 위한 수식은 다음과 같다
세정력 중량% =(RW-RS)/(R0-RS)
여기서, RW는 세정후의 오염원처리 된 렌즈의 반사율이고, RS는 오염원 처리된 렌즈의 반사율이고, RO는 백색 종이의 반사율이다.
위의 검사 조건에 의한 세정력 검사를 수행한 결과, 제1 실시예는 98.0 %, 제2 실시예는 99.5 %, 제3 실시예는 100 %의 세정력을 보여준다.
2. 육안에 의한 세정력 검사 :
오염 렌즈를 하기와 같은 처방의 오염원에 10분간 담근 다음, 3시간 가량 말린뒤, 준비해둔 세정액을 100ml 용기의 분무장치(동남 플라스틱 표준 용기)에 담아, 2회 극세사천에 분사(spray)하여 액이 젖어 있는 부분으로, 오염 렌즈를 세정 한 다음, 마른부분으로 닦아낸뒤, 2분 건조 시킨다. 다음, 육안으로 외관 검사를하여, 양호상태, 보통상태, 약간효과상태, 불량상태로 구분한다.
위의 검사 조건에 의한 세정력 검사를 수행한 결과, 제1 실시예는 양호상태, 제2 실시예도 양호상태, 제3 실시예도 양호 상태의 세정력을 보여준다.
다음에, 상기한 제1 내지 제3 실시예의 김서림 방지 효과를 검사하면 다음과 같다.
시험 렌즈를 냉장실에 30분 보관하여 꺼낸 다음, 가습기 출구부위에 일정시간(바람직하게는 20초)동안 쏘인 뒤, 서려있는 김의 존속시간을 육안으로 측정하여 측정하여 양호상태, 보통상태, 약간효과상태, 불량상태로 구분한다.
위의 검사 조건에 의한 김서림 방지 효과 검사를 수행한 결과, 제1 실시예는 양호상태, 제2 실시예도 양호상태, 제3 실시예도 양호 상태의 김서림 방지효과를 보여준다.
이어서, 김서림 방지효과의 지속력을 측정하기 위해, 5시간뒤, 똑 같은 시험으로 김서림 방지 효과를 측정하여, 양호상태, 보통상태, 약간효과상태, 불량상태로 구분한다.
위의 검사 조건에 의한 김서림 방지 효과 검사를 수행한 결과, 제1 실시예는 양호상태, 제2 실시예는 보통상태, 제3 실시예도 보통상태의 김서림 방지효과를 보여준다.
다음에, 상기한 제1 내지 제3 실시예의 정전기 방지 효과를 검사하면 다음과 같다.
세정액으로 처리된 렌즈를, 전기 전도도 측정방법을 이용하여 렌즈 표면의 절연저항(ohm:Ω)을 측정하여, 양호상태, 보통상태, 약간효과상태, 불량상태로 구분한다.
위의 검사 조건에 의한 정전기 방지 효과 검사를 수행한 결과, 제1 실시예의 절연저항은 1.5×105 Ω이고, 제2 실시예의 절연저항은 3.0×105 Ω이고, 제3 실시예의 절연저항은 2.5×105 Ω의 값을 가짐으로써 양호한 정전기 방지효과를 보여준다.
다음은 상기한 제1 내지 제3 실시예와 비교대비하기 위한 비교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비교예 1 :
공업용 에틸알코올과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각각 35.0 중량%씩 칭량하여 액을 만든 다음, 직쇄상 폴리 디오르가노 실록산 16.5중량%를 칭량하여 섞는다. 다음, 차례대로 프로필렌 글라이콜 10 중량%, 20 mol의 에틸렌옥사이드를 부가시킨 소르비탄 모노 로레이트(상품명 Tween 20) 2.0 중량%, 세칠 트리메칠 암모니움 염산 염 1.5 중량%를 칭량하여 섞어서 세정액 조성물을 제조한다.
비교예 2 :
공업용 에틸알코올과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각각 43.2 중량%씩 칭량하여 액을 만든 다음, 차례대로 프로필렌 글라이콜 10 중량%, 20 mol의 에틸렌옥사이드를 부가시킨 소르비탄 모노 로레이트(상품명 Tween 20) 2.0 중량%, 세칠 트리메칠 암모니움 염산 염 1.6 중량%를 칭량하여 섞어서 세정액 조성물을 제조한다.
비교예 3 :
공업용 에틸알코올과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각각 41.7 중량%씩 칭량하여 액을 만든 다음, 고리상 폴리 디오르가노 실록산 15.0 중량%를 칭량하여 섞는다. 다음, 세칠 트리메칠 암모니움 염산 염 1.6 중량%를 칭량하여 섞어서 세정액 조성물을 제조한다.
상기한 제1 내지 제3 비교예의 세정력을 검사하면 다음과 같다.
1. 기기에 의한 세정력 검사 :
위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대한 세정력 검사 조건과 마찬가지로, 오염 렌즈를 하기와 같은 처방의 오염원에 10분간 담근 다음, 3시간 가량 말린뒤, 준비해둔 세정액을 100ml 용기의 분무장치(동남 플라스틱 표준 용기)에 담아, 2회 극세사천에 스프레이(spray)하여 액이 젖어 있는 부분으로, 오염 렌즈를 세정 한 다음, 마른부분으로 닦아낸 뒤, 2분 건조 시킨다. Colorimeter를 사용하여, 반사율을 측정하여 하기와 같은 공식에 의해, 세정력을 계산한다.
오염원은 지방산 에스텔 30 중량%, 올리브유 65 중량%, 파라핀 왁스 4 중량%, 카본블랙 1 중량%로 만든다.
세정력을 계산하기 위한 수식은 다음과 같다
세정력 중량% =(RW-RS)/(R0-RS)
여기서, RW는 세정후의 오염원처리 된 렌즈의 반사율이고, RS는 오염원 처리된 렌즈의 반사율이고, RO는 백색 종이의 반사율이다.
위의 검사 조건에 의한 세정력 검사를 수행한 결과, 제1 비교예는 99.0 %, 제2 비교예는 85.0 %, 제3 비교예는 70.0 %의 세정력을 보여준다.
2. 육안에 의한 세정력 검사 :
위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대한 세정력 검사 조건과 마찬가지로, 오염 렌즈를 하기와 같은 처방의 오염원에 10분간 담근 다음, 3시간 가량 말린뒤, 준비해둔 세정액을 100ml 용기의 분무장치(동남 플라스틱 표준 용기)에 담아, 2회 극세사천에 분사(spray)하여 액이 젖어 있는 부분으로, 오염 렌즈를 세정 한 다음, 마른부분으로 닦아낸뒤, 2분 건조 시킨다. 다음, 육안으로 외관 검사를하여, 양호상태, 보통상태, 약간효과상태, 불량상태로 구분한다.
위의 검사 조건에 의한 세정력 검사를 수행한 결과, 제1 비교예는 보통상태, 제2 비교예는 약간효과상태, 제3 비교예는 불량상태의 세정력을 보여준다.
다음에, 상기한 제1 내지 제3 비교예의 김서림 방지 효과를 검사하면 다음과 같다.
위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대한 김서림 방지 효과 검사 조건과 마찬가지로, 시험 렌즈를 냉장실에 30분 보관하여 꺼낸 다음, 가습기 출구부위에 일정시간(바람직하게는 20초)동안 쏘인 뒤, 서려있는 김의 존속시간을 육안으로 측정하여 측정하여 양호상태, 보통상태, 약간효과상태, 불량상태로 구분한다.
위의 검사 조건에 의한 김서림 방지 효과 검사를 수행한 결과, 제1 비교예도 보통상태, 제2 비교예는 약간효과상태, 제3 비교예는 불량 상태의 김서림 방지효과를 보여준다.
이어서, 김서림 방지효과의 지속력을 측정하기 위해, 5시간뒤, 똑 같은 시험으로 김서림 방지 효과를 측정하여, 양호상태, 보통상태, 약간효과상태, 불량상태로 구분한다.
위의 검사 조건에 의한 김서림 방지 효과 검사를 수행한 결과, 제1 비교예는 보통상태, 제2 비교예는 약간효과상태, 제3 비교예도 불량상태의 김서림 방지효과를 보여준다.
다음에, 상기한 제1 내지 제3 비교예의 정전기 방지 효과를 검사하면 다음과 같다.
위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대한 정전기 방지 효과 검사 조건과 마찬가지로, 세정액으로 처리된 렌즈를, 전기 전도도 측정방법을 이용하여 렌즈 표면의 절연저항(ohm:Ω)을 측정하여, 양호상태, 보통상태, 약간효과상태, 불량상태로 구분한다.
위의 검사 조건에 의한 정전기 방지 효과 검사를 수행한 결과, 제1 비교예의 절연저항은 1.1×105 Ω이고, 제2 비교예의 절연저항은 6.9×104 Ω이고, 제3 비교예의 절연저항은 8.1×104 Ω의 값을 가짐으로써 제2 비교예만이 양호한 정전기 방 지효과를 보여준다.
상기한 제1 내지 제3 실시예와 제1 내지 제3 비교예를 표로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성분 (중량%) A 2.5 16.5
B 10.0 15.0 25.0 15.0
C 41.5 40.1 67.6 35.0 43.2 41.7
D 41.5 40.1 35.0 43.2 41.7
E 3.3 3.5 6.0 10.0 10.0
G 0.7 0.8 0.8 2.0 2.0
H 0.5 0.5 0.6 1.5 1.5 1.6
세정력검사 세정력 중량% 98.0 99.5 100.0 75.0 85.0 70.0
육안 검사 양호 양호 양호 약효 약효 불량
김서림 방지효과검사 처리후 바로 양호 양호 양호 보통 약효 불량
처리후 5시간뒤 양호 보통 보통 보통 불량 불량
정전기 방지효과검사 저항치 (ohm) 1.5×10E5 3.0×10E5 2.5×10E5 1.1×10E5 6.9×10E4 8.1×10E4
위의 표에서 A는 직쇄형 폴리 디오르가노 실록산, B는 고리형 폴리 디오르가노 실록산, C는 공업용 에칠 알코올, D는 이소 프로필 알코올, E는 프로필렌 글라이콜, G는 소르비탄 모노 로레이트, H는 세칠 트리메칠 암모니움 염산 鹽을 의미한다.
이상의 실시예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이 발명은, 세정기능이외에 김서림 방지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김서림이 발생되는 환경하에서도 시야를 확보할 수 있으며, 정전기 발생 방지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착용시 또는 휴대시에 정전기로 인한 불편함을 주지 않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7)

  1. 고리상 폴리 디오르가노 실록산을 0.01중량%에서 99.0중량% 함유하고,
    이소프로필알코올을 0.01중량%에서 99.0중량% 함유하고,
    소르비탄 모노 로레이트 구조를 가지고 있는 계면활성제를 0.01중량%에서 10.0중량% 함유하고,
    4급 알킬 암모니움 鹽을 0.01중량%에서 10.0중량%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액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프로필렌 글라이콜을 0.01중량%에서 20중량% 더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액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직쇄상 폴리 디오르가노 실록산을 0.01중량%에서 99.0중량% 더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액 조성물.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업용 에틸알코올을 0.01중량%에서 99.0중량% 더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액 조성물.
  5. 고리상 폴리 디오르가노 실록산을 0.01중량%에서 99.0중량% 함유하고,
    공업용 에틸알코올을 0.01중량%에서 99.0중량% 함유하고,
    소르비탄 모노 로레이트 구조를 가지고 있는 계면활성제를 0.01중량%에서 10.0중량% 함유하고,
    4급 알킬 암모니움 鹽을 0.01중량%에서 10.0중량%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액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프로필렌 글라이콜을 0.01중량%에서 20중량% 더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액 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직쇄상 폴리 디오르가노 실록산을 0.01중량%에서 99.0중량% 더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액 조성물.
KR1020050093365A 2005-10-05 2005-10-05 세정액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15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3365A KR100715474B1 (ko) 2005-10-05 2005-10-05 세정액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3365A KR100715474B1 (ko) 2005-10-05 2005-10-05 세정액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8260A KR20070038260A (ko) 2007-04-10
KR100715474B1 true KR100715474B1 (ko) 2007-05-09

Family

ID=38159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3365A KR100715474B1 (ko) 2005-10-05 2005-10-05 세정액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547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9897A (ja) * 1993-12-24 1995-07-18 Olympus Optical Co Ltd 水系洗浄剤及び洗浄方法
KR950010446B1 (ko) * 1990-03-16 1995-09-18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세정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0446B1 (ko) * 1990-03-16 1995-09-18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세정방법
KR0121454B1 (ko) * 1990-03-16 1997-11-15 사토 후미오 세정방법 및 세정장치
JPH07179897A (ja) * 1993-12-24 1995-07-18 Olympus Optical Co Ltd 水系洗浄剤及び洗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8260A (ko) 2007-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86673B2 (ja) 酵素溶液、酵素含有不織布、並びにその調製方法及び使用
TWI485244B (zh) 低發泡性清潔劑
JPS6363885B2 (ko)
KR100341525B1 (ko) 폴리알킬렌옥시드개질된실록산을포함하는콘택트렌즈세척조성물
CN108676629A (zh) 去血渍清洗剂及其制备方法
KR100715474B1 (ko) 세정액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2822725B (zh) 隐形眼镜用凝胶状清洁剂
JPH11281937A (ja) コンタクトレンズ用剤
JP3433156B2 (ja) 前もって湿らせたクリーニングワイパー
WO2001057172A1 (ko) Composition of multi-purpose solution for treating contact lens
EP3551739B1 (en) Cleansing composition
JP4947579B2 (ja) 眼鏡用洗浄剤及び眼鏡用洗浄シート
HU209538B (en) Set and cleaning composition for treating contactlenses
KR102368695B1 (ko) 렌즈 클리너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25723B1 (ko) 크린룸 세정용 세정제 조성물
KR20090063544A (ko) 김서림 방지용 원단
KR101272795B1 (ko) 크린룸 세정용 세정제 조성물
KR100748257B1 (ko) 세척제 조성물 및 그 세척방법
JP2011179007A (ja) 防曇剤及びその処理方法
JP2000347145A (ja) コンタクトレンズ用溶液
KR20100042803A (ko) 투습 및 발수 기능성 소재용 액체 세제 조성물
JPH07179890A (ja) 光学部品用手拭き仕上げ液
SU1147740A1 (ru) Средство дл очистки твердой поверхности
JPH10221654A (ja) コンタクトレンズ用溶液
TR2021020958A2 (tr) Anti̇stati̇k yüzey temi̇zleme kompozi̇syonu ve kompozi̇syonu i̇hti̇va eden bi̇r yüzey temi̇zleme ürün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