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4295B1 - 덕트형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덕트형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4295B1
KR100714295B1 KR1020050124752A KR20050124752A KR100714295B1 KR 100714295 B1 KR100714295 B1 KR 100714295B1 KR 1020050124752 A KR1020050124752 A KR 1020050124752A KR 20050124752 A KR20050124752 A KR 20050124752A KR 100714295 B1 KR100714295 B1 KR 100714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over
filter
air inlet
main body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4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세주
전종기
김명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4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42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4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4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27Ducting arrangements using parts of the building, e.g. air ducts inside the floor, walls or ceiling of a bui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68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formed as perforated walls, ceilings or fl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필터와 인접하게 배치된 컨트롤 커버의 내부로 유입되는 전선이 필터의 분리 및 결합동작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덕트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컨트롤 커버는 여러 방향에서 컨트롤 커버의 내부로 전선을 유입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복수의 전선홀을 구비한다. 복수의 전선홀은 컨트롤 커버의 측면에 마련된 측면 전선홀과 컨트롤 커버의 하면에 마련된 하면 전선홀로 이루어져서 전선을 컨트롤 커버의 측면 또는 하면을 통해 컨트롤 커버의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게 한다. 공기 흡입구와 필터가 본체의 후면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전선은 하면 전선홀을 통해 컨트롤 커버로 유입되게 하고, 공기 흡입구와 필터가 본체의 하면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전선은 측면 전선홀을 통해 컨트롤 커버로 유입되게 한다.

Description

덕트형 공기조화기{Duct Type Air Conditioner}
도 1은 필터가 본체의 후면에 마련된 공기 흡입구에 설치되는 구조를 가진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필터가 본체의 하면에 마련된 공기 흡입구에 설치되는 구조를 가진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본체 4:공기 흡입구
6: 필터 10: 컨트롤 커버
14: 하면 전선홀 15: 측면 전선홀
20: 전선
본 발명은 덕트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필터와 인접하게 배치된 컨트롤 커버의 내부로 유입되는 전선이 필터의 분리 및 결합동작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덕트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덕트형 공기조화기는 천장의 내부에 설치되며 공기 흡입구에 실내공간과 연통하는 흡입덕트가 연결되고 공기 배출구에 실내공간과 연통하는 배출덕트가 연결되어서 실내의 여러 위치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의 여러 위치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게 한 공기조화 장치이다. 따라서 덕트형 공기조화기는 비교적 공간이 넓은 매장이나 사무실 등에서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고 공간의 냉방 또는 난방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일례로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05-0039974호가 있다. 상기 종래의 덕트형 공기조화기는 본체의 내부에 열교환기와 송풍팬이 설치되고, 본체의 후면과 전면에 각각 공기 흡입구와 공기 배출구가 마련되며, 공기 흡입구에는 필터가 설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공기 흡입구는 실내공간과 연통되는 흡입덕트와 연결되고, 공기 배출구는 실내공간과 연통되는 배출덕트와 연결되며, 본체의 일 측면에는 컨트롤 박스가 설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송풍팬이 작동하게 되면 흡입덕트와 공기 흡입구를 통해 실내공간에서 본체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열교환기를 거쳐서 열교환된 후 공기 배출구와 배출덕트를 통해 다시 실내공간으로 보내지는 공기의 순환을 통해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덕트형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제어 하기 위한 여러 전장부품이 설치된 컨트롤 박스가 본체의 일 측면에 배치되고, 이 컨트롤 박스의 내부로는 각 전장부품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전선이 유입되게 되는데, 본체를 천장에 설치하거나 설치 후에 점검 및 수리작업을 할 때 이 전선이 여러 부품과 구조물의 분해 결합에 의해 간섭을 받아서 손상되거나 끊어질 수도 있는 문제가 있다.
특히, 필터를 주기적으로 청소하거나 교체할 때 필터가 전선과 간섭하여 전선에 손상을 입힐 가능성이 매우 높게 되지만, 종래의 덕트형 공기조화기는 필터를 포함한 여러 부품과 구조물의 간섭을 받지 않은 상태로 컨트롤 박스의 내부로 전선을 안전하게 유입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지 않아서 전선이 손상되거나 끊어질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필터와 인접하게 배치된 컨트롤 커버의 내부로 유입되는 전선이 필터의 분리 및 결합동작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덕트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기 흡입구와 공기 배출구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를 구비한 덕트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흡입구에는 필터가 설치되고, 상기 공기 흡입구와 인접한 상기 본체에는 컨트롤 커버가 결합되며, 상기 컨트롤 커버는 여러 방향에서 상기 컨트롤 커버의 내부로 전선을 유입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복수의 전선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전선홀은 상기 컨트롤 커버의 측면에 마련된 측면 전선홀과 상기 컨트롤 커버의 하면에 마련된 하면 전선홀로 이루어져서 전선을 상기 컨트롤 커버의 측면 또는 하면을 통해 상기 컨트롤 커버의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서, 상기 공기 흡입구와 필터는 상기 본체의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전선은 상기 하면 전선홀을 통해 상기 컨트롤 커버로 유입되게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서, 상기 공기 흡입구와 필터는 상기 본체의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전선은 상기 측면 전선홀을 통해 상기 컨트롤 커버로 유입되게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필터는 상기 공기 흡입구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과 도 2는 각각 필터가 본체의 후면에 마련된 공기 흡입구에 설치되는 구조를 가진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와 결합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덕트형 공기조화기는 박스형상을 가진 본체(1)와, 본체(1)의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팬(2)과 열교환기(3)를 구비한다.
본체(1)의 후면(도 1에서는 본체의 전면에 해당함)에는 실내공간과 연통되는 흡입덕트(미도시)가 연결되는 공기 흡입구(4)가 마련되어 있고, 본체(1)의 전면에는 실내공간과 연통되는 배출덕트(미도시)가 연결되는 공기 배출구(5)가 마련되어서, 송풍팬(2)의 작동에 의해 흡입덕트와 공기 흡입구(4)를 통해 본체(1)의 내부로 유입된 실내공간의 공기는 열교환기(3)에 의해 열교환된 후 다시 공기 배출구(5)와 배출덕트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보내지는 공기의 순환을 통해서 실내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시키게 된다.
공기 흡입구(4)에는 본체(1)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시키기 위한 필터(6)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착탈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필터(6)가 설치된 공기 흡입구(4)에 인접한 본체(1)의 일 측면(도 1에서는 우측면)에는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전장부품(미도시)을 내장시키기 위한 컨트롤 커버(10)가 결합된다.
컨트롤 커버(10)는 전면(11)과 하면(12), 그리고 측면(13)으로 이루어져서 본체(1)의 일 측면에 나사 또는 다른 결합방식에 의해 결합되어 이 컨트롤 커버(10)의 내부에 여러 전장부품(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컨트롤 커버(10)의 하면(12)과 측면(13)에는 각각 컨트롤 커버(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장부품들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제어를 하기 위한 전선(20)을 연결시키기 위한 하면 전선홀(14)과 측면 전선홀(15)이 마련되어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컨트롤 커버(10)의 전면(11)에도 전면 전선홀을 형성시킨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공기 흡입 구(4)와 필터(6)가 본체(1)의 후면에 배치되는 구조를 가져서 전선(20)은 하면 전선홀(14)을 통해 컨트롤 커버(10)의 내부로 유입되어 전장부품들과 연결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덕트형 공기조화기가 공기 흡입구(4)와 필터(6)가 본체(1)의 후면에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는 경우에는 전선(20)이 컨트롤 커버(10)의 하면(12)에 마련된 하면 전선홀(14)을 통해 컨트롤 커버(10)의 내부로 유입되게 하여서 점검 및 수리, 또는 교체작업을 위해 필터(6)를 본체(1)에서 분리하거나 결합시키는 동작을 하더라도 필터(6)가 전선(20)과 접촉하여 전선(20)을 잡아 당기거나 밀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필터(6)가 전선(20)을 손상시키거나 컨트롤 커버(10)에서 분리시키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 3과 도 4는 각각 필터가 본체의 하면에 마련된 공기 흡입구에 설치되는 구조를 가진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와 결합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덕트형 공기조화기는 공기 흡입구(4)가 본체(1)의 하면에 마련되고, 이 공기 흡입구(4)에 필터(6)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되어 본체(1)의 하면에 배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공기 흡입구(4)와 필터(6)가 본체(1)의 하면에 배치되는 구조를 가져서 전선(20)은 측면 전선홀(15)을 통해 컨트롤 커버(10)의 내부로 유입되어 전장부품들과 연결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덕트형 공기조화기가 공기 흡입구(4)와 필터(6)가 본체(1)의 하면에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는 경우에는 전선(20)이 컨트롤 커버(10)의 측면(13) 에 마련된 측면 전선홀(15)을 통해 컨트롤 커버(10)의 내부로 유입되게 하여서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점검 및 수리, 또는 교체작업을 위해 필터(6)를 본체(1)에서 분리하거나 결합시키는 동작을 하더라도 필터(6)가 전선(20)과 접촉하여 전선(20)을 잡아 당기거나 밀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필터(6)가 전선(20)을 손상시키거나 컨트롤 커버(10)에서 분리시키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덕트형 공기조화기는 컨트롤 커버로 전선을 유입시키기 위한 전선홀을 컨트롤 커버의 하면과 측면 모두에 형성시킨 구조를 가져서 공기 흡입구와 필터가 본체의 후면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전선을 하면 전선홀을 통해 컨트롤 커버로 유입되게 하고, 공기 흡입구와 필터가 본체의 하면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전선을 측면 전선홀을 통해 컨트롤 커버로 유입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필터의 점검 및 수리작업이나 교체작업을 하게 되더라도 필터가 전선에 간섭되지 않아서 전선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전선이 손상되거나 컨트롤 박스에서 분리되지 않게 되어 공기조화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공기 흡입구와 공기 배출구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를 구비한 덕트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흡입구에는 필터가 설치되고, 상기 공기 흡입구와 인접한 상기 본체에는 컨트롤 커버가 결합되며, 상기 컨트롤 커버는 여러 방향에서 상기 컨트롤 커버의 내부로 전선을 유입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복수의 전선홀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전선홀은 상기 컨트롤 커버의 측면에 마련된 측면 전선홀과 상기 컨트롤 커버의 하면에 마련된 하면 전선홀로 이루어져서 전선을 상기 컨트롤 커버의 측면 또는 하면을 통해 상기 컨트롤 커버의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게하며,
    상기 공기 흡입구와 필터는 상기 본체의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전선은 상기 하면 전선홀을 통해 상기 컨트롤 커버로 유입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형 공기조화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공기 흡입구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형 공기조화기.
  6. 공기 흡입구와 공기 배출구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를 구비한 덕트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흡입구에는 필터가 설치되고, 상기 공기 흡입구와 인접한 상기 본체에는 컨트롤 커버가 결합되며, 상기 컨트롤 커버는 여러 방향에서 상기 컨트롤 커버의 내부로 전선을 유입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복수의 전선홀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전선홀은 상기 컨트롤 커버의 측면에 마련된 측면 전선홀과 상기 컨트롤 커버의 하면에 마련된 하면 전선홀로 이루어져서 전선을 상기 컨트롤 커버의 측면 또는 하면을 통해 상기 컨트롤 커버의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게하며,
    상기 공기 흡입구와 필터는 상기 본체의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전선은 상기 측면 전선홀을 통해 상기 컨트롤 커버로 유입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형 공기조화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공기 흡입구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형 공기조화기.
KR1020050124752A 2005-12-16 2005-12-16 덕트형 공기조화기 KR100714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4752A KR100714295B1 (ko) 2005-12-16 2005-12-16 덕트형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4752A KR100714295B1 (ko) 2005-12-16 2005-12-16 덕트형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4295B1 true KR100714295B1 (ko) 2007-05-02

Family

ID=38269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4752A KR100714295B1 (ko) 2005-12-16 2005-12-16 덕트형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429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97224U (ko) * 1991-01-11 1992-08-24
KR20020065085A (ko) * 2001-02-05 2002-08-13 엘지전자주식회사 분리형 공조기의 컨트롤박스 방화구조
KR200297814Y1 (ko) 2002-09-06 2002-12-11 만도공조 주식회사 다수개의 서비스 도어를 구비한 실외기
KR20040072947A (ko) * 2003-02-11 2004-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컨트롤박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97224U (ko) * 1991-01-11 1992-08-24
KR20020065085A (ko) * 2001-02-05 2002-08-13 엘지전자주식회사 분리형 공조기의 컨트롤박스 방화구조
KR200297814Y1 (ko) 2002-09-06 2002-12-11 만도공조 주식회사 다수개의 서비스 도어를 구비한 실외기
KR20040072947A (ko) * 2003-02-11 2004-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컨트롤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75718B (zh) 热电式空调装置
JP2009030829A (ja) 空気調和装置
JPH08114335A (ja) 換気空調装置
JP2007278559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KR101229343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0714295B1 (ko) 덕트형 공기조화기
KR102055435B1 (ko) 에어컨 송풍 방법
JP2011075117A (ja) 外気処理空気調和機
JP5202434B2 (ja) 同時給排形換気扇
KR200490092Y1 (ko) 서버실 냉각 장치
US10495565B2 (en) Environmental test chamber with uniform airflow
JP6516853B2 (ja) 室内機
KR102114586B1 (ko) 기류 순환식 공장용 냉난방 장치
KR20020048701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JP7212249B2 (ja) 天井吊り下げ型の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JP2019152407A5 (ko)
KR100496706B1 (ko) 공기조화기
JP2004190900A (ja) 空気調和機、空気調和機本体およびヒータユニット
CN211047739U (zh) 一种多功能散热型控制柜
KR20030093393A (ko) 산소발생기능을 갖춘 공기조화기
WO2020110466A1 (ja) 天井吊り下げ型の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JP3019905B2 (ja) 熱交換形換気扇
JP4459019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0436272B1 (ko) 산소발생기능을 갖춘 공기조화기
JP2011081720A (ja) データセン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