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2605B1 - 차량 연료탱크의 액위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연료탱크의 액위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2605B1
KR100712605B1 KR1020050048706A KR20050048706A KR100712605B1 KR 100712605 B1 KR100712605 B1 KR 100712605B1 KR 1020050048706 A KR1020050048706 A KR 1020050048706A KR 20050048706 A KR20050048706 A KR 20050048706A KR 100712605 B1 KR100712605 B1 KR 100712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casing
resistor plate
wiper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8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0832A (ko
Inventor
박재승
전문식
윤찬흠
송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캐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캐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캐프스
Priority to KR1020050048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2605B1/ko
Priority to PCT/KR2006/002179 priority patent/WO2006132494A1/en
Priority to BRPI0613226-0A priority patent/BRPI0613226B1/pt
Publication of KR20060130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0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2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2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3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rotatable arms or other pivotable transmission elements
    • G01F23/3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rotatable arms or other pivotable transmission elements using electr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21Fuel tanks characterised by special sensors, the mounting thereof
    • B60K2015/03217Fuel level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evel Indicators Using A Floa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연료탱크의 액위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료탱크의 액위검출장치 내부에 윤활 및 방청이 가능한 충진액을 주입 후 밀봉하여 저항기판의 마모 및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싱(110)과 커버(120)로 이루어져 그 내부가 밀폐된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 내부에 마련되어 소정 각도 방사형으로 형성된 저항기판(200)과; 일측에 뜨게(310)가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몸체(100)를 관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샤프트(300)와; 상기 몸체(100) 내부의 샤프트(300) 중단에 고정되어 샤프트(300)와 일체로 회동하며, 상기 저항기판(200)에 접촉하는 와이퍼(400)와;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100)의 케이싱(110)과 커버(120) 사이에 개입된 제1씰러(510) 및 상기 몸체(100)의 케이싱(110)과 샤프트(300) 사이에 개입된 제2씰러(520)로 구성되어, 저항기판 및 와이퍼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상호 지속적인 접촉에 의한 마모를 저감시킬 수 있어 액위검출장치에 대한 내구성 및 상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몸체, 케이싱, 커버, 저항기판, 방사회로, 샤프트, 뜨게, 와이퍼, 접점돌기, 씰러, 충진액

Description

차량 연료탱크의 액위검출장치{Device for sensing fuel level for fuel tank of vehicle}
도 1은 종래의 차량 연료탱크의 액위검출장치를 도시하는 도,
도 2는 종래의 차량 연료탱크의 액위검출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 연료탱크의 액위검출장치를 도시하는 도,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 연료탱크의 액위검출장치에 대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 연료탱크의 액위검출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몸체 110 : 케이싱
120 : 커버 200 : 저항기판
210 : 외측방사회로 220 : 내측방사회로
300 : 샤프트 310 : 뜨게
400 : 와이퍼 410 : 외측접점돌기
420 : 내측접점돌기 510 : 제1씰러
520 : 제2씰러 600 : 충진액
본 발명은 차량 연료탱크의 액위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료탱크의 액위검출장치 내부에 윤활 및 방청이 가능한 충진액을 주입 후 밀봉하여 저항기판의 마모 및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써, 저항기판 및 와이퍼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상호 지속적인 접촉에 의한 마모를 저감시킬 수 있어 액위검출장치에 대한 내구성 및 상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엔진의 운전에 요구되는 다양한 연료를 수용할 수 있도록 연료탱크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연료탱크 가운데 액상의 연료를 수용하는 연료탱크 내에는 연료의 잔량을 운전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도록 액위검출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연료탱크의 액위검출장치는 크게 액상의 연료 상에 뜨게를 띄워 뜨게의 높이 변화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되도록 하는 기계식 액위검출장치와, 별도의 뜨게 없이 직접 액상의 연료 높이를 검출하는 전자식 액위검출장치로 분류되며, 이중 기계식 액위검출장치는 가격이 저렴하여 현재 가장 널리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종래의 차량 연료탱크의 액위검출장치를 도시하는 도이며, 도 2는 종래의 차량 연료탱크의 액위검출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종래의 차량 연료탱크의 액위검출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0)과; 상기 케이싱(10) 내부에 마련되어 소정 각도 방사형으로 형성된 저항기판(20)과; 일측에 뜨게(31)가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케이싱(1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샤프트(30)와; 상기 샤프트(30) 중단에 고정되어 샤프트(30)와 일체로 회동하며, 상기 저항기판(20)에 접촉하는 와이퍼(4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차량 연료탱크의 액위검출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탱크 내부에 마련된 기계식 액위검출장치로, 그 내부에 저항기판(20)이 마련된 케이싱(10)은 연료탱크 내부에 고정되며, 뜨게(31)가 연료의 액위에 따라 승강 함에 따라 샤프트(30) 및 와이퍼(40)가 함께 회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와이퍼(40)의 접점돌기(41)는 저항기판(20)의 방사회로(21)에 접촉한 상태로 소정 각도 내에서 회동하면서 상기 저항기판(20)의 각기 다른 위치에 접점 하게 됨으로써, 저항기판(20)은 연료의 잔량에 따라 저항값을 가변적으로 나타내게 되어, 이를 통하여 차량의 계기판에 연료의 잔량을 지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 연료탱크의 액위검출장치는 상호 접촉하여 각기 다른 저항값을 나타내는 저항기판과 와이퍼의 접점부위가 항시 연료나 대기 중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Ag성분이 다량 포함된 금속계열일 경우 연료의 황성분에 의해 산화 및 부식이 손쉽게 발생 뿐 아니라, 저항기판과 와이퍼 상호간의 지속적인 접촉에 의하여 마모가 발생하게 되어 내구성이 떨어지는 동시에 정확한 연료의 잔량을 검출하기 어렵다는 기술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연료탱크의 액위검출장치 내부에 윤활 및 방청이 가능한 충진액을 주입 후 밀봉하여 저항기판의 마모 및 부식을 방지할 수 있음으로써, 저항기판 및 와이퍼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상호 지속적인 접촉에 의한 마모를 저감시킬 수 있어 액위검출장치에 대한 내구성 및 상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연료탱크의 액위검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케이싱과 커버로 이루어져 그 내부가 밀폐된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에 마련되어 소정 각도 방사형으로 형성된 저항기판과; 일측에 뜨게가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샤프트와; 상기 몸체 내부의 샤프트 중단에 고정되어 샤프트와 일체로 회동하며, 상기 저항기판에 접촉하는 와이퍼와;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의 케이싱과 커버 사이에 개입된 제1씰러 및 상기 몸체의 케이싱과 샤프트 사이에 개입된 제2씰러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 연료탱크의 액위검출장치를 도시하는 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 연료탱크의 액위검출장치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 연료탱크의 액위검출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본 발명의 차량 연료탱크의 액위검출장치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10)과 커버(120)로 이루어져 그 내부가 밀폐된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 내부에 마련되어 소정 각도 방사형으로 형성된 저항기판(200)과; 일측에 뜨게(310)가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몸체(100)를 관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샤프트(300)와; 상기 몸체(100) 내부의 샤프트(300) 중단에 고정되어 샤프트(300)와 일체로 회동하며, 상기 저항기판(200)에 접촉하는 와이퍼(400)와;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100)의 케이싱(110)과 커버(120) 사이에 개입된 제1씰러(510) 및 상기 몸체(100)의 케이싱(110)과 샤프트(300) 사이에 개입된 제2씰러(520)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 연료탱크의 액위검출장치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액위검출장치와는 다르게 저항기판(200)과 와이퍼(400)가 케이싱(110)과 커버(120)로 이루어진 몸체(100) 내에서 씰러(510, 520)에 의하여 기밀을 유지한 상태로 유지된다는 것이다
이때, 상기 몸체(100)는 통상 절연체인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로 성형된 것으로 케이싱(110)에 커버(120)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몸체(100) 내부는 외부와 완전하게 격리되며, 이러한 몸체(100)는 차량의 연료탱크 내부에 있는 미도시된 연료펌프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여기에서, 상기 몸체(100)의 케이싱(110)과 커버(120) 사이의 기밀 유지를 위하여 도 3 및 도 4와 같이 고무와 같은 재질로 성형된 제1씰러(510)를 개입시키 게 되며, 상기 제1씰러(510)는 원형단면으로 형성되되 케이싱(110)과 커버(120) 사이에 끼워져 탄력적으로 기밀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몸체(100)의 케이싱(110) 내면에는 부채꼴형상의 저항기판(200)이 고정되어 있다.
이와 함께, 상기 몸체(100)의 케이싱(110)에는 일측에 뜨게(310)가 고정된 샤프트(300)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되, 상기 샤프트(300)는 상기 저항기판(200)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하는 동시에, 도 4와 같이 상기 케이싱(110)과 샤프트(300) 외주면 사이의 기밀 유지를 위하여 고무와 같은 재질로 성형된 제2씰러(520)를 개입시키게 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300)는 중단이 상기 몸체(100)의 케이싱(110)을 관통하여 커버(120)의 내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 본 발명에 있어서 적절하며,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샤프트(300)가 몸체(100)에 견고하게 지지된 상태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샤프트(300)의 중단에는 몸체(100) 내부에 위치하도록 도체인 와이퍼(400)가 고정되어, 상기 샤프트(300)와 와이퍼(400)는 일체로 회동하되 일측이 상기 저항기판(200)에 지속적으로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연료의 증감에 따라 뜨게(310)가 승강 하게 되면, 상기 샤프트(300)와 와이퍼(400)가 함께 회전하게 되며, 이러한 샤프트(300)의 회동각에 따라 와이퍼(400)는 각기 다른 위치에서 부채꼴 형상의 저항기판(200)과 접촉하게 됨으로써 가변하는 저항에 의하여 운전석의 계기판에 연료의 잔량을 표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케이싱(110)과 커버(120)에 의하여 그 내부가 기밀을 유지하는 몸체(100) 내부에는 별도의 유체를 주입하지 않고 공기가 채워져 있더라도, 은(Ag)이 포함된 저항기판(200)에 금속을 쉽게 산화시키는 황(S)성분이 포함된 연료가 몸체(100) 내부로 유입되지 않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상호 접촉하는 저항기판(200)과 와이퍼(400)의 마모나 부식을 어느 정도 예방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 내부에는 도 4와 같이 윤활 및 방청 성분을 포함한 충진액(600)이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윤활 및 방청 성분이 포함된 충진액(600)을 상기 몸체(100) 내부에 봉입함으로써, 상기 저항기판(200)과 와이퍼(400) 상호간의 마모나 부식을 더욱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 윤활 성분 및 방청 성분이 모두 포함된 다양한 유체를 상기 충진액(600)으로 적용 가능하다.
이와 함께, 기존에 회로의 구성이 도 2와 같이 샤프트(30)를 통하여 도선이 연결됨에 따라 구조가 복잡하고 접촉불량이 빈번하게 발생하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항기판(200)은 반경이 각기 다른 외측방사회로(210)와 내측방사회로(2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와이퍼(400)에는 상기 저항기판(200)의 외측방사회로(210)와 내측방사회로(220)에 각각 접촉하여 상호 통전 시키는 외측접점돌기(410) 및 내측접점돌기(420)가 돌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샤프트(300)는 회로의 구성에 관여하지 않고 단순히 와이퍼(400)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저항기판(200)에는 부채꼴 형상으로 반경이 큰 외측방사회로(210)와 반경이 작은 내측방사회로(220)가 형성된 동시에, 도체로 이루어진 상기 와이퍼(400)에는 상기 외측방사회로(210)에 대응하도록 외측접점돌기(410)와 상기 내측방사회로(220)에 대응하는 내측접점돌기(420)가 각각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이에 따라, 와이퍼(400)의 위치에 따라 상기 외측방사회로(210)와 내측방사회로(220)의 상호 연결 위치가 가변되어 그 저항값이 변하기 때문에 기존에 샤프트(30)를 통하여 회로가 구성되었을 때 빈번하게 발생하던 접촉 불량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동시에, 몸체(100)가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구조 또한 손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접점돌기(410,420)를 사용하는 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적용되는 구조에 따라 하나의 접점돌기를 채택한 기존의 회로를 적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 연료탱크의 액위검출장치는 가변하는 저항을 구현하는 저항기판(200)과 와이퍼(400)가 충진액(600)이 봉입된 몸체(100) 내에 위치하기 때문에 연료에 포함된 부식을 유발시키는 물질에 의한 저항기판(200)이나 와이퍼(400)의 부식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지속적으로 상호 접촉하는 상기 저항기판(200)과 와이퍼(400)의 마모 또한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저항기판(200)을 외측방사회로(210)와 내측방사회로(220)로 구분하고 와이퍼(400)의 외측접점돌기(410)와 내측방사회로(220)가 직접 회로를 구성하기 때 문에, 기존에 비하여 간단한 구조로 접촉 불량이 발생치 않는 내구성 높은 액위검출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큰 이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도면이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연료탱크의 액위검출장치 내부에 윤활 및 방청이 가능한 충진액을 주입 후 밀봉하여 저항기판의 마모 및 부식을 방지할 수 있음으로써, 저항기판 및 와이퍼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상호 지속적인 접촉에 의한 마모를 저감시킬 수 있어 액위검출장치에 대한 내구성 및 상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삭제
  2. 케이싱과 커버로 이루어져 그 내부가 밀폐된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에 마련되어 소정 각도 방사형으로 형성된 저항기판과; 일측에 뜨게가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샤프트와; 상기 몸체 내부의 샤프트 중단에 고정되어 샤프트와 일체로 회동하며, 상기 저항기판에 접촉하는 와이퍼와;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의 케이싱과 커버 사이에 개입된 제1씰러 및 상기 몸체의 케이싱과 샤프트 사이에 개입된 제2씰러로 구성되되;
    상기 몸체 내부에는 윤활 및 방청 성분을 포함한 충진액이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연료탱크의 액위검출장치.
  3. 케이싱과 커버로 이루어져 그 내부가 밀폐된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에 마련되어 소정 각도 방사형으로 형성된 저항기판과; 일측에 뜨게가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샤프트와; 상기 몸체 내부의 샤프트 중단에 고정되어 샤프트와 일체로 회동하며, 상기 저항기판에 접촉하는 와이퍼와;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의 케이싱과 커버 사이에 개입된 제1씰러 및 상기 몸체의 케이싱과 샤프트 사이에 개입된 제2씰러로 구성되되;
    상기 저항기판은 반경이 각기 다른 외측방사회로와 내측방사회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와이퍼에는 상기 저항기판의 외측방사회로와 내측방사회로에 각각 접촉하여 상호 통전 시키는 외측접점돌기 및 내측접점돌기가 돌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연료탱크의 액위검출장치.
  4. 삭제
KR1020050048706A 2005-06-08 2005-06-08 차량 연료탱크의 액위검출장치 KR100712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8706A KR100712605B1 (ko) 2005-06-08 2005-06-08 차량 연료탱크의 액위검출장치
PCT/KR2006/002179 WO2006132494A1 (en) 2005-06-08 2006-06-07 Device for sensing fuel level for fuel tank of vehicle
BRPI0613226-0A BRPI0613226B1 (pt) 2005-06-08 2006-06-07 Dispositivo para medir o nível de combústivel em tanque de combustível veicul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8706A KR100712605B1 (ko) 2005-06-08 2005-06-08 차량 연료탱크의 액위검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0832A KR20060130832A (ko) 2006-12-20
KR100712605B1 true KR100712605B1 (ko) 2007-04-30

Family

ID=37498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8706A KR100712605B1 (ko) 2005-06-08 2005-06-08 차량 연료탱크의 액위검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712605B1 (ko)
BR (1) BRPI0613226B1 (ko)
WO (1) WO200613249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113449A1 (de) 2010-09-14 2012-04-26 Coavis Vorrichtung zum Messen des Kraftstoffstands in einem Kraftstofftan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55946B2 (en) * 2004-08-30 2009-07-07 Delphi Technologies, Inc. Sealed fuel level sensors
DE102007038428A1 (de) 2007-08-14 2009-02-19 Robert Bosch Gmbh Tankstandsgeber
GB2501498A (en) * 2012-04-25 2013-10-30 Nissan Motor Mfg Uk Ltd Fuel level Sensor and Method of Protecting the Same during Transportation
US9435680B2 (en) 2014-03-24 2016-09-06 Deringer-Ney,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fuel level sensing
US9488515B2 (en) 2014-03-24 2016-11-08 Deringer-Ney,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fuel level sens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3008A (ja) * 1992-07-22 1994-02-18 Nippondenso Co Ltd 液面検出器
KR960013255B1 (ko) * 1993-12-10 1996-10-02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플로트형 유량게이지
JP2004219099A (ja) 2003-01-09 2004-08-05 Hitachi Unisia Automotive Ltd タンク内の液面検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3008A (ja) * 1992-07-22 1994-02-18 Nippondenso Co Ltd 液面検出器
KR960013255B1 (ko) * 1993-12-10 1996-10-02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플로트형 유량게이지
JP2004219099A (ja) 2003-01-09 2004-08-05 Hitachi Unisia Automotive Ltd タンク内の液面検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113449A1 (de) 2010-09-14 2012-04-26 Coavis Vorrichtung zum Messen des Kraftstoffstands in einem Kraftstofftank
DE102011113449B4 (de) * 2010-09-14 2014-03-06 Coavis Vorrichtung zum Messen des Kraftstoffstands in einem Kraftstofftan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613226A2 (pt) 2011-01-04
BRPI0613226B1 (pt) 2018-04-17
KR20060130832A (ko) 2006-12-20
WO2006132494A1 (en) 200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2605B1 (ko) 차량 연료탱크의 액위검출장치
CN1238697C (zh) 箱中液位检测系统
US10197432B2 (en) Liquid level sensor that adapts to pressure changes
US20060272405A1 (en) Casing for in-tank hall effect sensor used for fuel level sensing
KR20120098586A (ko) 외부 신호표시부를 가진 유체 탱크 및 유체 레벨 센더
JP2015503732A (ja) オプション式スロッシングガードを備えた可変配向流体レベルセンサ
WO2008047377A1 (en) Fuel sender with reed switch and latching magnets
KR101027909B1 (ko) 연료탱크용 유량검출장치
JP3969820B2 (ja) 燃料タンクの燃料ゲージ装置
US7621182B2 (en) Sealed fuel level detector
US9927282B2 (en) Magnet float liquid level detector with guided locking case
WO2008120222A1 (en) A fluid level sensor
EP2312282A1 (en) Wiper assembly for fuel level indication
WO2015111115A1 (ja) 液面検出装置
JP2017090205A (ja) 液面検出装置
KR101416735B1 (ko) 차량의 연료탱크용 유량검출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연료펌프모듈
KR101343313B1 (ko) 연료 유량검출장치
CN205808514U (zh) 液位传感器
KR101181233B1 (ko) 비접촉식 연료센더의 홀더와 그립퍼의 결합구조
KR101786116B1 (ko) 차량의 연료량 측정장치
KR890004514Y1 (ko) 엔진용 오일팬의 유량 감지장치
CN115750904A (zh) 一种密封摇杆阀门及气体发生器
CN106404124A (zh) 液位传感器
KR101179873B1 (ko) 새들타입의 연료탱크에 적용되는 보조연료펌프모듈용 유량검출장치
KR20120101742A (ko) 연료량 측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