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3255B1 - 플로트형 유량게이지 - Google Patents

플로트형 유량게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3255B1
KR960013255B1 KR1019930027145A KR930027145A KR960013255B1 KR 960013255 B1 KR960013255 B1 KR 960013255B1 KR 1019930027145 A KR1019930027145 A KR 1019930027145A KR 930027145 A KR930027145 A KR 930027145A KR 960013255 B1 KR960013255 B1 KR 960013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
float
brush
substrate
flow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7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7327A (ko
Inventor
이종억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27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3255B1/ko
Publication of KR950017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7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3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2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3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rotatable arms or other pivotable transmission elements
    • G01F23/3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rotatable arms or other pivotable transmission elements using electr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3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rotatable arms or other pivotable transmission elements
    • G01F23/38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rotatable arms or other pivotable transmission elements using magnet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플로트형 유량게이지
제1도는 종래 플로트형 유량게이지의 일예를 보인 저면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플로트형 유량게이지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제3도 및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플로트형 유량게이지의 가동자원호 안내수단을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
제5도 및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플로트형 유량게이지에 광학식로우터리 엔코더형으로된 로우터리변위량 측정수단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평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플로트형 유량게이지가 자동차의 연료탱크에 적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유량센서본체 30 : 로우터리형 변위량 측정수단
31 : 피동자 35 : 가동자
40 : 플로트 43 : 플로드암
12 : 선회지지공 14a, 14b : 스토퍼
35a :브러쉬 36 : 가동자원호안내수단
31a : 호형저항막 31b : 기판
39,62 : 슬라이드블록 37 : 호형가이드봉
32 : 박형기판 33 : 슬릿
34a,34b :선회암 PD : 발광소자
PT : 수광소자 60 : 호형 가이드 레일
본 발명은 플로트형 유량게이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회형게이지와 유체간을 격리시켜 상호 화한적인 영향을 주지 못하도록 하고 자석의 자력에 의해 간접적으로 플로트의 움직임을 게이지에 절단케 하여 유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 플로트형 유량게이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플로트형 유량게이지의 구성을 일예를 들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장방형의 하우징 (1) 내부에 호형 저항막(2)이 인쇄된 프린트기판(3)이 설치되고, 이 호형저항막(2)에 접촉되어 미끄러지도록 된 브러쉬(4)가 하우징(1) 내부에 선회가 자유롭도록 설치되어 있는 한편, 하우징(1)의 외부에는 플로트암(5)을 선회가 자유롭도록 설치하되 상기 브러쉬 (4)의 회전중심과 동일한 곳에 설치 되어 있으며, 플로트암(5)의 일단에는 상기한 브러쉬 (4)가 고정설치되어 있고 타단에는 플로트(6)가 설치되어 구성된 것으로, 이를 연료탱크(도면에 도시않됨)의 내부 일측벽에 설치하여 탱크에 채워진 유량에 따른 플로트(6)의 상 · 하운동에 따라 선회하게 되는 플로트암(5)을 통해 상기 블러쉬(4)를 가동시킴으로써 변화되는 저항을 브러쉬 (4)측의 인출단자(8)로부터 인출하여 체의 유량을 측정하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플로트형 유량게이지는 연료가 채워진 연료탱크의 내부에 설치되고, 호형저항막(2)과 브러쉬(4)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유류레 침전된 상태로 작동되는 데, 이 때 유류내에 혼합된 먼지나 이물질등이 끼어 호형저항막(2)과 브러쉬(4)가 이격되는 등의 접점불량이 발생되어 유량측정에 신뢰성을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 은 상기한 바와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탱 크내에 설치되고 유량에 따른 플로트의 움직임에 따라 가동되는 유량센서를 유체와 격리되는 밀봉구조로 하여 유량센서내에 이물질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는 유량센서의 신뢰성을 높인 플로트형 유량게이지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유류탱크내에 설치되어 유위에 따라 부력을 받게되는 플로트와 이 플로트의 움직임에 따라 가동되도록 된 유량 센서로 구성된 플로트형 유량센서에 있어서, 피동자와 가동자가 접촉 또는 비접촉으로 상호 대응하여 가동자의 움직임에 따라 변위량을 측정하도록 된 로우터리헝 변위량 측정수단이 구비된 유량센서본체를 밀봉형으로 형성하고, 유랑센서본체의 바깥면에는 플로트가 구비된 플로트암을 선회가 자유롭도록 설치하되, 상기 로우터리형 변위량측정수단의 회전중심과 동일한 회전중심선상에 설치하고, 유량센서본체측에 위치된 플로트암의 단부와 상기 로우터리형 변위량측정수단에 구비된 가동자중 어느 한 곳에 자력감응부재를 고정설치하며, 나머지 한 곳에는 상기 자력감응부재와 대응하는 위치에 자성부재를 설치하여 플로트암의 선회운동시 상호 자력에 이끌려 동시에 운동되도록 하여 플로트형 유량게이지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플로트형 유량게이지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플로트형 유량게이지의 실시예로써,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은 수납실(10a)이 구비된 장방향 유량게이지본체 (10)의 일측면에는 사각개구부(10b)를 형성하고, 이 사각 개구부(10b)에 맞춘 사각 커버플레이트(10c)를 형성하여 개구부(10b)와 커버플레이트(10c)간의 대합면에 사각링 형태의 예컨대, 테프론계의 내유성이 강한 재질의 실링(20)을 개재시켜 유량센서본체 (10)의 개구부(10b)에 커버플레이트(10c)를 결합할 때 밀봉되도록 하는 한편, 유량센서본체 (10)의 내부에는 피동자(31)와 가동자(35)가 접촉 또는 비접촉으로 상호 대응하여 가동자의 움직임에 따라 변위량을 측정하도록 된 로우터리형 변위량 측정수단(30)을 설치하고, 상기 커버프레이트(10c)가 설치되는 유량센서본체 (10)의 반대측 외측면에는 일단부에 플로트(40)가 구비된 플로트암(43)을 선회가 자유롭도록 설치하되 이 플로트암(43)에 구비된 플로트(40)가 설치된 단부로부터는 길고 타단부로부터는 짧은 플로트암(43)상의 중간위치가 머리붙이핀(45)의 두부(45a)에 형성된 관통공(45b)에 끼워진 이 두부(45a)의 가입에 의해 플로트암(43)이 머리붙이핀(45)에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유량센서본체(10)에는 플로트암(43)이 결합된 머리붙이핀(45)이 끼워져 회전될 수 있는 선회지지공(12)을 상기 로우터리형 변위량측정수단(30)의 가동자(35) 회전중심과 동일중심선상에 관통형성하여 이 머리붙이핀(45)의 핀부(45c)가 선회지지공(12)에 끼워지도록 하며, 선회지지공(12)에 끼워져 통과된 머리붙이핀 (45)의 핀부(45c)에 와셔(47)를 끼운다음 이 핀부(45c)의 끝단을 가압하여 머리붙이핀 (45)이 상기 선회지지공(12)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상기 플로트암(43)의 선회각을 제한하기 위한 두개의 스토퍼 (14a)(14b)를 이 플로트암(43)의 운동괘적상에 위치되도록 유량센서본체(10)로부터 돌출 형성한다.
상기 유량센서본체(10)측에 위치된 플로트암(43)의 단부에는 자성부재 (50)가 고정 설치되며, 로우터리형 변위량 측정수단(30)에 구비된 가동자(35)에는 유량센서본체(10)의 측벽(13)을 사이에 두고 상기 자성부재(50)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자력감응부재 (55)를 고정설치하여 구성된다.
상기 플로트암(43)의 단부에 설치된 자성부재(50)와 로우터리형 변위량 측정수단(30)의 가동자(35)에 설치된 자력감응부재 (55)가 필요에 따라 서로 바뀌어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피동자(31)와 가동자(35)로 구성된 로우터리형 변위량 측정수단(30)의 피동자(31)는 호형저항막(31a)이 일면에 형성된 기판(31b)으로 구성되며, 이의 가동자(35)는 호형저항막(31a)에 접촉되는 호형저항막(31a)의 원호중심선(A)을 따라 선회운동하는 브러쉬 (35a)와, 이 브러쉬 (35)가 호형저항막(31a)의 원호중심선(A)을 따라 원호안내 되도록 하기 위한 가동자원호안내수단(36)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동자(35)의 브러쉬(35a)는 박형의 탄성도체로 형성되며, 이 브러쉬 (35a)가 호형저항막(31a)에 가압밀착되도록 하여 브러쉬 (35a)와 호형저항막(31a)간의 이격상태로 인해 오동작을 피하기 위해 브러쉬(35a)를 활형태로 만곡성형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동자(35)의 가동자원호안내수단(36)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동자(35)의 가동자원호안내수단(36)은 호형저항막(31a)의 원호중심선(A)과 동일중심성상이 되도록 기판(31b)에서 돌설된 호형가이드레일(60)과, 브러쉬(35a)와 호형저항막(31a)이 접촉되는 브러쉬 (35a) 단부의 반대측 단부에 상기 호형가이드레일(60)에 끼워져 원호운동하는 슬라이드블록(62)을 설치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동자(35)의 가동자원호안내수단(36)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형저항막(31a)의 원호중심선(A)과 동일중심선상이 되도록 기판(31b)에서 돌설된 핀(36a)과, 브러쉬 (35a)와 호형저항막(31a)이 접촉되는 브러쉬(35a) 단부의 반대측 단부에 상기 핀(36a)에 축착되는 중공보스(36b)를 설치하여 브러쉬 (35a)가 핀(36a)를 기점으로 원호운동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가동자(35)의 가동자원호안내수단(36)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형저항막(31a)의 원호의 형성과 동일형상으로 되며 부도체인 예컨데, 비도전성 합성수지제로 된 호형가이드봉(37)이 호형저항막(31a)과 평행한 위치에 놓이도록 기판(31b)에서 돌설된 두개의 지지브라켓 (38a) (38b)에 양단이 고정설치되도록 하되 기판(31b)과 유격되도록 하며, 브러쉬 (35a)와 호형저항막(31a)이 접촉되는 브러쉬(35a) 단부의 반대측 단부에 상기 호형가이드봉(37)에 의해 안내되는 자력감응부재인 슬라이드블록(39)을 설치하고, 브러쉬(35a)는 호형가이드봉(37)의 원호중심 (C)과 일치되는 지점에 선회운동되도록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피동자(31)와 가동자(35)로 구성된 로우터리형 변위량 측정수단(30)을 피동자(31)와 가동자(35)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 피동자(31)와 가동자(35)가 비접촉인 광학식 로우터리 엔코더 (OPtical Rotary Encoder)형으로도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광학식 로우터리 엔코더형으로 된 로우터리 변위량 측정수단(30)의 또 다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피동자(31)는 박형기판(32)의 전 · 후면으로 관통되며 등간격을 이루며 원호상으로 배열형성된 다수의 슬릿(33)으로 구성되며, 이의 가동자(35)는 상기 원호상으로 배열된 슬릿(33)의 원호중심이되는 박형기판(32)상에 설치되며 박형기판(32)의 전 · 후면에 이 박형기판(32)의 전 · 후면과 유격을 이루며 각각 설치되어 서로 연동되는 두개의 선회암(34a)(34b)과, 이 두개의 선회암(34a)(34b)중 한쪽 선회암(34a)의 끝단에 설치되어 원호상으로 배열된 슬릿(33)의 원호를 따라 원호운동하는 발광소자(PD) 및 다른쪽 선회암(34b)의 끝단에 설치되어 발광소자(PD)와 마찬가지로 원호운동하면서 발광소자(PD)로부터 발생되어 슬릿(3)을 통해 수광되는 빛을 감지하기 위한 수광소자(PT)로 구성된다.
상기 발광소자(PD)와 수광소자(PT)는 서로 근접대향되게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플로트형 유량게이지를 자동차의 연료탱크의 유량게이지로 적용할 경우 이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 및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한 유량센서본체(10)의 후방향 즉, 플로트암(43)이 설치된 곳의 반대편 측에는 유량센서본체(10)를 연료탱크(70)내에 고정설치하기 위한 브라켓(80)을 형성하고, 브라켓(80)의 중앙에는 유량센서본체(10) 내부의 로우터리형 변위량 측정수단(30)으로부터 인출되는 세 개의 신호선(L1)(L2)(L3)에 결속된 세개의 단자(Cl)(C2)(C3)를 브라켓(80)과 절연상태로 설치하며, 브라켓 (80)의 일측에는 연료탱크(70)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공급관(82)을 브라켓(80)의 전 후면으로 연통되도록 설치하고, 이 연료공급관(80)의 연료탱크(70)측에 위치된 단부에는 망형태의 연료필터(84)를 설치한다.
이러한 구조의 플로트형 유량게이지는 연료탱크(70)의 내부 일측벽에 유면의 높이를 고려하여 설치된다.
상기한 플로트형 유량게이지는 상업전반에 걸친 유류 탱크의 유량측정에 적용할수 있는 것이며, 꼭 자동차의 연료탱크 유량측정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72)는 연료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따른 플로트형 유량게이지는 유류탱크내에 설치되는 것이며, 연료탱크(70)내에 연료(72)가 다량 소모되어 연료 (72)를 재충전할 경우 연료탱크(70)내에 적정량의 연료(72)를 주입하게 되면 연료탱크(70)내에서의 유류의 유면이 처음과 같이 높아지게되며, 이 연료(72)의 부력에 의해 뜨게된 플로트(40)가 유면의 높이 변화와 동시에 변화된다.
이때 플로트(40)와 일체펀된 플로트암(43)이 연료탱크(70)의 측벽에 설치된 유량센서본체(10)의 선회지지공(12)을 기점으로 선회하게 되고 플토트암(43)의 타단에 설치된 자성 부재 (50)도 또한 플로트암(43)의 움직임과 동시에 선회운동하게 되며, 이 플로트암(43)의 자성부재 (50)와 대응하는 위치하며 밀폐된 유량센서본체 (10)의 내부에 설치된 로우터리형 변위량 측정수단(30)의 가동자(35)에 설치된 자력감응부재 (55)가 상기 자성부재(50)의 자력에 이끌려 선회운동하게 되는데 이 때에는 연료탱크(70)내의 연료(72)와 로우터리형 변위량 측정수단(30)이 연료(72)와 완전히 차단된 상태이어서 연료주입시 연료(72)내에 혼입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불순물, 먼지 등의 이물질의 영향을 전혀 받지않고 자력에 이끌려 간접적으로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로우터리형 변위량 측정수단에서는 호형저항막(31a)의 양단중 일단이 그라운드 접지하고 나머지 타단을 전원접속하며, 브러쉬(35a) 또한 전원접속하며 이렇게 호형저항막(31a)에 접촉되어 선회하는 가동자 (35)인 브러쉬(35a)의 선회각에 따라 호형저항막(31a)의 저항을 양분하게 되며 여기서 인출되는 저항에 상당하는 전압이 브러쉬(35a)를 통해 코일형 유량형 표시계기판 (도면에 도시 않됨)에 전달되며, 코일형 유량표시계기판(도면에 도시않됨)은 현재 연료탱크(70)내에 충전된 연료량을 표시하게 되는 것이며, 연료량이 변화할 경우 상기한 플로트(40)의 움직임에 따라 플로트암(43)이 다른 위치로 선회하게 되므로 변위량 및 변화된 현재의 연료량이 표시되므로 유량표시는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로우터리형 변위량 측정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변화하는 연료량에 따른 플로트(40)의 움직임에 따른 프로트암(43)이 선회하게되는데 이 플로트암(43)끝단에 설치되어 플로트암(43)과 같이 선회하는 자성부재(50)에 의해 밀폐된 유량센서본체(10)내에 설치된 로우터리형 변위량측정수단(30)의 가동자(35)인 자력감응부재 (55)로 된 슬라이드블록(39)이 자력에 이끌려 플로트암(43)의 선회운동과 같은 방향으로 호형가이드봉(37)의 안내를 받으면서 원호운동하게 되며 이때에는 호형저항막(31a)의 양단중 일단이 그라운드 접속되고 타단은 전원 접속되어 브러쉬(35a)로 분할된 저항치에 따른 분압을 빼내어 브러쉬(35a)의 움직임에 따라 유량을 측정할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로우터리형 변위량 측정수단(30)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변화하는 연료량에 따른 플로트(40)의 움직임에 따라 프로트암(43)의 선회하게 되는데 이플로트암(43)끝단에 설치되어 플로트암(43)과 같이 선회하는 자성부재(50)에 의해 밀폐된 유량센서 본체(10)내에 설치된 로우터리형 변위량 측정수단(30)의 가동자(35)인 자력감응부재(55)와 선회암(34a)(34b)중 자력감응부재(55)가 자력에 이끌려 플로트암(43)의 선회운동과 같은 방향으로 선회하게 되면 장기 자력감응부재 (55)에 결합된 선회암(34a) (34b) 또한 자력강응부재(55)와 같이 선회하게 된다.
이 때 선회암(34a)(34b)의 끝단에 설치된 발광소자(PD) 및 수광소자(PT)가 기판(31b)에 형성된 슬릿(33)을 따라 원호운동하면서 슬릿(33)에 위치되어 있을때는 발광소자(PD)로부터 발생된 빛이 수광소자(PT)에 의해 수광되어 수광소자(PT)가 도통상태가 되며, 슬릿(33)이 아닌 슬릿(33)과 슬릿(33)사이에 위치될 때는 기판(31b)에 의해 빛이 차단되어 수광소자(PT)가 오프(수광소자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되는데 다수개 등배열된 슬릿(33)을 따라 선회하면서 이러한 수광소자(PT)의 온 ·오프를 반복하면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카운터에 의해 카운트하여 플로트암(43)의 변위량이 측정되며 따라서 유류의 잔량이 산출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을 적용하게 되면 유류의 유량측정에 있어 유류탱크내에 설치하여 사용하더라도 유량측정센서가 유류와 직접닿지 않고 밀폐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유류에 의해 오염 또는 유류속에 포함된 불순물(철분, 먼지·…)에 의해 오동작의 염료가 없으므로 유량측정에 신뢰성을 주는 효과가 있으며 광학식센서의 경우는 가동자와 피동자가 비접촉이므로 브러쉬마모에 의한 보수가 필요없어 유량센서의 수명이 상당히 장수명이 되며, 또한 자동차의 경우에는 자동차 차체의 수명보다 몇배의 수명을 지니므로 차량을 구입하고 폐차할 때까지 거의 보수 · 수리가 필요없을 정도로 장수명·고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다.

Claims (7)

  1. 유류탱크내에 설치되는 플로트와, 이 플로트의 움직임에 따라 가동되는 유량센서로 구성된 플로트형 유량게이지에 있어서, 유량센서본체(10)의 내부에 밀봉형으로 설치되고, 피동자(31)와 가동자(35)가 서로 접촉 또는 비접촉으로 상호 대응되면서 가동자(35)의 움직임에 따라 변위량을 측정하도록 된 로우터리형 변위량측정수단(30)과; 상기 가동자(35)의 회전중심과 동일한 위치에 해당되는 상기 유량센서본체(10)의 바깥면상에서 선회가 자유롭도록 설치되며, 하단에 플로트(40)강 고정결합되는 소정 형상의 플로트암(43)과; 상기 유량센서본체(10)측에 해당되는 플로트암(43)의 단부 또는 상기 로우터리형 변위량측정수단(30)을 형성하는 가동자(35)중 어느 한 곳에 고정설치되는 자력감응부재 (55)와: 상기 자력감응부재 (55)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유위 변화에 따른 상기 플프로트암(43)의 선회운동시 상기 자력감응부재 (55)에 자력이 인가되도록 하는 자성부재(50)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형 유량게이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센서본체(10)의 일측면에는 연료탱크(70)에 장착되는 소정 형상의 브라켓 (80)이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80)의 중앙에는 유량센서본체(10)내부의 로우터리형 변위량측정수단(30)으로루터 인출되는 세개의 신호선(Ll)(L2)(L3)과 연결되는 세개의 단자(Cl)(C2)(C3)가 절연되게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형 유량게이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자(31)는 기판(31b)의 일측면에 호형 저항막(31a)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동자(35)는 상기 기판(31b)상에 결합된 상태에서 호형 저항막(31a)에 접촉되면서 그 호형 저항막(31a)의 원호중심선(A)을 따라 선회운동하는 브러쉬(35a)와, 이 브러쉬(35a)의 선회운동을 안내하는 가동자 원호안내수단(36)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형 유량게이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자원호안내수단(36)은 호형 저항막(31a)의 곡률반경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가지며 기판(31b)으로부터 서로 일정간격으로 돌출되는 1쌍의 호형가이드레일(60)과; 상기 브러쉬(35a)의 일측 단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1쌍의 호형 가이드레일(60)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자력의 인가에 따라 상 ·하방향으로 원호 운동하는 슬라이드블록(6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형 유량게이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자원호안내수단(36)은 호형 저항자(31a)의 원호중심선 (A)의 중심점에 해당되는 기판(31b)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핀 (36a)과; 상기 호형 저항막(31a)과 접촉되는 쪽의 반대쪽에 해당되는 브러쉬(35a)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핀 (36a)에 축결합되는 중공보스(36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형 유량게이지.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자원호안내수단(36)은 상기 기판(31b)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그 기판(31b)상의 상하부 소정위치로부터 돌설되는 두개의 지지브라켓 (38a) (38b)에 양단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호형 저항막(31a)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는 부도체로 된 호형가이드봉(37)과: 상기 호형저항막(31a)과 접촉되는 쪽의 반대쪽에 해당되는 브러쉬 (35a)의 단부에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호형 가이드봉(37)에 끼워진 상태에서 자력의 작용에 의하여 상 ·하방향으로 원호운동하는 자력감응재(55)로 된 슬라이드블록(39)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형 유량게이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자(31)는 박형기판(32)의 전 ·후면으로 관통되며 등간격을 이루면서 원호상으로 배열형성된 다수의 슬릿(33)으로 이루어지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가동자(35)는 피동자(31)상의 슬릿(33)의 원호중심이되는 박형 기판(32)상에 설치되며 박형 기판(32)의 전 · 후방향에서 이 박형기판(32)의 전 ·후면과 일정 간격을 사이에 두고 설치되어 서로 연동되는 두개의 선회암(34a) (34b)과, 이 두개의 선회암(34a)(34b)중 한쪽 선회암(34a)의 끝단에 설치되어 원호상으로 배열된 슬릿(33)의 원호를 따라 원호운동하는 발광소자(PD)와, 다른쪽 선회암(34b)의 끝단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발광소자(PD)와 동시에 원호운동하면서 발광소자(PD)로부터 발생된 후 상기 슬릿(33)을 통해 조사되는 빛을 감지하는 두광소자(PT)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형 유량게이지.
KR1019930027145A 1993-12-10 1993-12-10 플로트형 유량게이지 KR960013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7145A KR960013255B1 (ko) 1993-12-10 1993-12-10 플로트형 유량게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7145A KR960013255B1 (ko) 1993-12-10 1993-12-10 플로트형 유량게이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7327A KR950017327A (ko) 1995-07-20
KR960013255B1 true KR960013255B1 (ko) 1996-10-02

Family

ID=19370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7145A KR960013255B1 (ko) 1993-12-10 1993-12-10 플로트형 유량게이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32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32494A1 (en) * 2005-06-08 2006-12-14 Kafus Device for sensing fuel level for fuel tank of vehic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32494A1 (en) * 2005-06-08 2006-12-14 Kafus Device for sensing fuel level for fuel tank of vehicle
KR100712605B1 (ko) * 2005-06-08 2007-04-30 주식회사 캐프스 차량 연료탱크의 액위검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7327A (ko) 1995-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11011A (en) Gauge with magnetically driven voltage divider
US6868724B2 (en) Sealed fuel level sensor
US7409860B2 (en) Fuel level measurement device
US20150346018A1 (en) An apparatus for non-contact level sensing
US8261613B2 (en) Fuel sender with reed switch and latching magnets
JPH02115723A (ja) 液面レベル検出装置
US20070085532A1 (en) Fuel level gauge for use in automobile
US20060272405A1 (en) Casing for in-tank hall effect sensor used for fuel level sensing
KR960013255B1 (ko) 플로트형 유량게이지
US4091250A (en) Electro-mechanical liquid level sensor
US3208059A (en) Grounded wiper indicator circuit
JP2007240274A (ja) 液面検出装置
US3784973A (en) Liquid level magnetic gauge circuitry
JPS62201324A (ja) 液面検出装置
US1247317A (en) Liquid-gage.
KR200170025Y1 (ko) 플로우트형 유량 게이지
US1253324A (en) Indicating apparatus for gasolene-tanks, &c.
KR19990015147A (ko) 연료탱크내의 유량 측정장치
KR100384023B1 (ko) 일체형 오일 압력 센더 및 오일 압력 스위치
CN219455257U (zh) 一种磁感应开关式油位传感器
KR20190026931A (ko) 수동 자기 위치 센서
US4758700A (en) Switch construction employing contact having spaced-apart contact points
CN213688567U (zh) 油位传感器
US3129989A (en) Rotatable electrical connection for pointer
SU1064131A1 (ru) Наклономе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9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