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1135B1 - 로더 지지대 - Google Patents

로더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1135B1
KR100711135B1 KR1020060041021A KR20060041021A KR100711135B1 KR 100711135 B1 KR100711135 B1 KR 100711135B1 KR 1020060041021 A KR1020060041021 A KR 1020060041021A KR 20060041021 A KR20060041021 A KR 20060041021A KR 100711135 B1 KR100711135 B1 KR 100711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er
support
welded
tractor
horizonta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1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관
권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동공업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동공업, 대동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동공업
Priority to KR1020060041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11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1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1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 A01B59/04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preventing or limiting side-play of impl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hov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더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트랙터의 앞차축 프레임(13) 및 차체(14)에 볼트 체결된 차체 결합판(23)과, 이 차체 결합판(23)에 용접되어 바깥쪽으로 돌출된 수평 부재(22)와, 이 수평 부재(22) 외측단에 용접되어 로더(3) 후단부의 붐 지지 부재(31)를 수용하는 수직 부재(2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로더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차체 결합판(23)과 수직 부재(21) 사이에 이들 부재(23, 21) 및 상기 수평 부재(22)와 함께 용접된 보강판(24)을 경사지게 배치함으로써, 구조 단순화 및 그에 따른 원가 절감 효과가 있음은 물론, 로더의 측방향 요동까지를 확실히 수용할 수 있는 견고한 지지 구조를 가지며, 또한 로더와의 상호 결합부 구조가 합리적이어서 로더 장착이 보다 용이한 특징이 있다.
로더, 프론트 로더, 로더 지지대

Description

로더 지지대{a loader support}
도 1 은 본 발명 실시예의 로더 지지대가 장착된 상태의 트랙터와 로더를 함께 나타낸 도면,
도 2 는 본 발명 실시예의 로더 지지대가 장착된 상태의 트랙터를 나타낸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 실시예의 로더 지지대를 나타낸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 실시예의 로더 지지대를 나타낸 일부 절개 우측면도,
도 5 는 본 발명 실시예의 로더 지지대를 나타낸 평면도,
도 6 은 본 발명 실시예의 로더 지지대와 로더 사이의 상호 결합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로더 지지대 3 : 로더
21 : 수직 부재 22 : 수평 부재
23 : 차체 결합판 31 : 붐 지지대
본 발명은 로더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체적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견고함은 물론, 로더와의 상호 결합부 구조가 보다 합리적인 형태의 로더 지지대에 관한 발명이다.
로더는 통상 트랙터(tractor)의 전방에 장착되는 주요 작업기의 하나로서, 건초 더미 등의 중량물을 짧은 거리 범위 내에서 옮기는 일을 주로 한다.
그런데, 로더는 트랙터 본체로부터의 유압을 공급받아 1,000 Kg 정도의 상당히 무거운 건초 더미를 들어올리는 등의 작업을 하는 관계로, 자체의 각 부분이 견고해야 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자체 견고성 확보를 위하여, 트랙터 차체의 좌우에 연결된 로더 지지대는 다수의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다소 복잡한 구조를 이루고 있다.
또한, 상기 건초 더미 등을 들어올리고 내리는 등의 작업은 통상 충격적 동작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 충격력으로 인하여 동력 공급원이면서 모체이기도 한 트랙터가 파손되지 않도록, 상기 로더 지지대는 티이-브라켓(T-bracket) 또는 연결 프레임(frame) 등의 보조 부재를 매개로 하여 트랙터 차체와도 견고하게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적 특성 내지 조건으로 인하여 로더 지지대는 더욱 복잡한 구조를 이룰 수밖에 없으며, 이는 과다할 정도의 프레스(press) 및 용접 공정을 필요로 하게 되어 그에 따른 제작원가 상승이 불가피했다.
상기와 같은 복잡한 구조에도 불구하고, 종래 구조의 로더 지지대에 있어서는, 중량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방향을 바꾸는 경우 등, 말하자면, 로더에 측방향 요동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제대로 수용 내지 지탱하지 못함에 따라 트랙터 전체가 위험한 상황에 처하기도 한다.
또한, 로더 지지대가 결합된 상태의 트랙터를 로더 쪽으로 이동시켜 이들을 상호 결합함에 있어서는, 이들 사이의 상호 결합부 구조가 비합리적이어서 상호 결합 작업, 즉 로더 장착 작업에 상당한 수고가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구조 단순화 및 그에 따른 원가 절감 효과가 있음은 물론, 로더의 측방향 요동까지를 확실히 수용할 수 있는 견고한 지지 구조를 갖는 로더 지지대를 제공하는 데 첫 번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로더와의 상호 결합부 구조가 합리적이어서 로더 장착이 보다 용이한 로더 지지대를 제공하는 데 두 번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엔진(engine) 및 밋션 케이스(mission case)를 포함하는 트랙터 차체 측면에 직접 결합되는 차체 결합판과, 이 차체 결합판 측방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로더 후단부의 붐(boom) 지지 부재를 수용하는 수직 부재 사이에 하나의 보강판을 경사지게 용접 배치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상기 붐 지지 부재와 수직 부재 사이의 상호 결합부를 구성함에 있어 붐 지지 부재 상에다 환봉을, 수직 부재 상에다 당해 환봉을 수용하기 위한 절곡 브라켓을 각각 구비함으로써 달성된다.
종래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환봉이 수직 부재 상에, 그리고 절곡 브라켓이 붐 지지 부재 상에 구비되어 있었으며, 그로 인한 로더 장착 작업상의 문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 실시예의 로더 지지대(2)가 트랙터(1) 상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앞서 언급한 차체 결합판(23)의 전단부는 엔진 하단부를 받쳐주는 앞차축 프레임(13) 측면에, 그 후단부는 트랙터 차체(14)를 구성하는 밋션 케이스 측면에 각각 볼트 체결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의 로더 지지대(2)와 그 전방의 로더(3)를 상호 결합시키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트랙터(1)를 로더(3) 쪽으로 이동시켜 이들 사이를 유압 연결(유압 호스끼리 연결함)한 다음, 트랙터(1) 쪽에 장착된 콘트롤 레버(control lever, 도시하지 않음)로써 승강 유압실린더(33) 및 틸트(tilt) 유압실린더(34)를 작동시켜 붐 지지 부재(31) 하단부의 환봉(36)을 수직 부재(21) 내의 절곡 브라켓(X 표시 지점에 위치함) 상에 올려놓는다.
이어서, 즉 상기 환봉(36)이 로더 지지대(2) 상의 수직 부재(21) 내 절곡 브라켓 상에 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유압실린더(33 및/또는 34)를 작동시켜 핀(pin) 구멍 1(P1)과 핀 구멍 2(P2)를 상호 일치시킨 다음, 이들 구멍(P1, P2)에 핀을 꽂고 체결함에 따라 상기 로더 지지대(2)와 로더(3) 사이의 상호 결합이 완료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 구조의 붐 지지대(31)에 있어서는 상기 환 봉(36) 대신 원호형 단면의 절곡 브라켓이 용접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32", "35" 및 "37"은 로더(2)의 골격을 구성하는 붐과, 작업 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교체 가능한 툴(tool)의 한 예로서의 버켓(bucket)과, 분리 상태의 로더(3)를 지탱해 주는 버팀대를 각각 나타내는 한편, 역시 미설명 부호 "11" 및 "12"는 트랙터의 전륜과 후륜을 각각 나타낸다.
도 2 는 본 발명 실시예의 로더 지지대(2)가 장착된 상태의 트랙터를 정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의 로더 지지대(2)는 트랙터의 앞차축 프레임(13) 및 차체(14)에 볼트 체결된 차체 결합판(23)과, 이 차체 결합판(23)에 용접되어 바깥쪽으로 돌출된 수평 부재(22)와, 이 수평 부재(22) 외측단에 용접되어 앞서 언급한 붐 지지 부재를 직접 수용하는 수직 부재(21)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상기 차체 결합판(23)과 수직 부재(21) 사이에 이들 두 부재(23, 21) 및 상기 수평 부재(22)와 함께 용접된 보강판(24)이 경사지게 배치된 특징이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차체 결합판(23)과 수직 부재(21) 사이에 용접 배치된 상기 보강판(24)은 로더의 측방향 요동을 적절히 지탱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는, 수직 부재로 전파된 상기 측방향 요동 내지 하중이 보강판(24)을 통하여 상기 수평 부재(22) 및 차체 결합판(23)으로 적절히 분산됨에 따라 트랙터 정체를 뒤흔드는 힘으로 작용하지는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수직 부재(21)는 서로 마주보는 형태의 양 측벽을 갖는 n 자형 단면의 길다란 절곡 판재로서, 그 길이 방향 중간 정도 지점에는 당해 양 측벽 사 이에 걸쳐진 상태로 절곡 브라켓(26)이 용접됨으로써 붐 지지대 수용부(Y)를 형성하고 있다.
절곡 브라켓(26)이라 함은, 판재의 가운데 부분을 수평 절곡함에 따라 상기 붐 지지대(31) 하단부의 환봉(36)을 수용, 즉 감싸 지탱할 수 있는 오목한 부분이 형성된 부재를 말한다.
절곡의 정도는, 도시한 바와 같은 각(角) 진 형상은 물론, 상기 환봉(36)에 상응하는 형상의 원호상이라도 무방하다.
수직 부재(21) 상의 양 측벽 하단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용접된 파이프 부재로서의 수평 부재(22)와 상기 절곡 브라켓(26) 사이에는 별도의 보강판(27)을 용접 연결함으로써, 로더 장착 시에 있어 상기 붐 지지대(31) 상의 환봉(36)에 작용하는 하중을 제대로 지탱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보강판(27)은 도 6 참조)
도시한 바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수평 부재(22) 하단부 상에 부착 부재(25)가 용접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트랙터 차체(14)와 로더 지지대(2) 사이를 더욱 견고하게 상호 결합, 즉 일체화하는 보조 연결 부재로서의 티이-브라켓(15) 양 측단이 볼트 체결된다.
티이-브라켓(15)은 밋션 케이스 하단면에 볼트 체결된 편편한 판재로서, 그 전단부의 상향 돌출부가 상기 로더 지지대(2) 상의 부착 부재(25)와 결합됨으로써, 로더 지지대(2) 상에 작용하는 큰 하중을 트랙터 차체(14) 전체로 지탱하는 형태의 구조로 만들어 준다.
한편, 트랙터 차체(14)와 로더 지지대(2) 사이를 더욱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보조 연결 부재는 도시한 바의 티이-브라켓(15)에 한정되지 않고, 도 1 상의 후륜(12) 쪽 뒷차축 프레임에 결합되는 통상의 연결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이라도 무방하다.
상기 부착 부재(25)의 용접 지점 또한, 수평 부재(22) 하단부에 용접된 형태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수직 부재(21)의 하단 연장 부위일 수도 있다.
다시 말하자면, 본 발명의 로더 지지대는 앞서 언급한 바의 보강판(24)을 포함하는 형태의 지지 구조에 특징이 있는 것이지, 상기 부착 부재(25)의 용접 지점을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3 내지 도 5 는 본 발명 실시예의 로더 지지대를 나타낸 정면도, 부분 절개 우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차체 결합판(23)과 수직 부재(21) 사이에 경사지게 배치된 보강판(24)은 이들 두 부재는 물론 수평 부재(22)와도 함께 용접되며, 보다 확실한 용접 결합을 위하여 당해 수평 부재(22)와의 용접 해당 부위를 일부 잘라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및 도 5 참조)
상기 수직 부재(21) 상의 붐 지지대 수용부(Y) 입구는 약간 벌어지게 함으로써, 로더 장착 시에 있어 붐 지지대(31)의 원활한 진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부착 부재(25)는 수평 부재(22) 하단부가 아닌 기타의 부위, 예를 들면, 앞서 언급한 바의 수직 부재(22) 하단 연장 부위, 즉 수직 부재(21) 하단부를 아래로 연장하고 상기 보조 연결 부재와의 상호 결합용 볼트 구멍을 형성한 부위일 수도 있다.
또한,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체 결합판(23)에는 전후 양쪽으로 다수의 볼트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데, 앞쪽 볼트 구멍은 앞서 언급한 앞차축 브라켓과의 상호 결합을 위한 것인 반면, 뒤쪽 볼트 구멍은 밋션 케이스 측면과의 상호 결합을 위한 것이다.
상기 수평 부재(22)는,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 파이프 부재를 마름모꼴 형태, 즉 두 개의 대각선이 각각 수평, 수직으로 배치된 형태로 하는 것이 강도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나, 수평 부재(22)를 구성하는 파이프 부재는 반드시 사각 단면으로 한정하지는 않으며, 경우에 따라 원형 파이프로 해도 무방하다.
붐 지지대 하단부의 환봉과 로더 지지대 상 수직 부재 내 절곡 브라켓 사이의 상호 결합 관계를 나타낸 도 6 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 실시예의 로더 지지대가 갖는 합리적 로더 장착 구조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하여, 수직 부재(21) 상의 양 측벽 중 바깥쪽 측벽 일부를 잘라낸 상태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트랙터 및 로더 지지대(2)가 정지된 상태에서 로더(3) 측 유압실린더(33, 34)를 작동시켜 붐 지지대(31) 부위를 수직 부재(21) 내로 집어넣는 과정, 즉 로더 우리 장착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붐 지지대(31) 하단부의 환봉(36)은 화살표(A)와 같은 이동 경로를 거쳐 수직 부재(21) 내 절곡 브라켓(26) 상의 오목한 부위로 들어가게 된다.
그런데, 통상 트랙터 운전석에서 일어선 상태로, 또는 트랙터 앞쪽 측방에 내려선 상태로 로더 장착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시선은 화살표(B)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환봉(36)이 절곡 브라켓(26) 상에 올려지는 순간까지도 작업자는 이들 두 부재(36, 26)의 접근 내지 맞물림 상황을 제대로 식별할 수가 있다.
물론, 붐 지지대(31) 부위가 점차 수직 자세를 갖추면서 환봉(36)은 붐 지지대(31) 하방으로 모습을 감추겠지만, 즉 작업자는 환봉(36) 위치를 짐작 정도만 하겠지만, 적어도 환봉(36)에 비하여 넓은 평면적을 갖는 상기 절곡 브라켓(26)은 여전히 붐 지지대(31) 하단부에 그 후단부를 드러낸 상태로 있게 된다.
이처럼, 붐 지지대(31) 하단부 상 환봉(36)의 결합 대상물(절곡 브라켓(26))이 확실히 식별 가능하기 때문에, 상호 결합 지점을 크게 벗어나지 않고 당해 환봉(36)을 절곡 브라켓(26) 상에 무리 없이 올려놓을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로더 장착 과정이 시행 착오를 거듭하지 않고서 상당히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상기 환봉(36)은 가능한 한 붐 지지대(31) 후단부에 치우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한 측면도 있다.
한편, 종래 구조의 로더 지지대 및 붐 지지대 구조에 있어서는, 이들 환봉(36) 및 절곡 브라켓(26)의 위치 관계가 상기 도 6 의 경우와는 반대인 관계로, 붐 지지대(31) 부위가 어느 정도 수직 부재(21) 내로 진입하고 나면, 붐 지지대(31) 하단부가 그 목표 안착 지점인 환봉을 완전히 가리게 됨에 따라 작업자는 이들 사이의 정확한 상호 결합, 즉 맞물림을 위하여 시행 착오를 거듭해야만 했다.
이상, 본 발명 실시예의 로더 지지대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기본 취지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다양한 설계 변경 등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특허청구범위 상에 명기된 범위 이내의 사소한 설계 변경 등은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마땅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로더 지지대에 따르면, 구조 단순화 및 그에 따른 원가 절감 효과가 있음은 물론, 로더의 측방향 요동까지를 확실히 수용할 수 있는 견고한 지지 구조가 확보된다.
상기 구조의 단순화는 필연적으로 제품 외관상의 개선 효과, 즉 컴팩트(compact) 내지 스마트(smart)한 형상으로 연결됨은 물론이다.
또한, 로더와의 상호 결합부 구조가 합리적이어서 로더 장착 작업시의 작업자 수고를 크게 덜어주는 부수적이지만 매우 중요한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Claims (7)

  1. 트랙터의 앞차축 프레임(13) 및 차체(14)에 볼트 체결된 차체 결합판(23)과, 이 차체 결합판(23)에 용접되어 바깥쪽으로 돌출된 수평 부재(22)와, 이 수평 부재(22) 외측단에 용접되어 로더(3) 후단부의 붐 지지 부재(31)를 수용하는 수직 부재(2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로더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차체 결합판(23)과 수직 부재(21) 사이에 이들 부재(23, 21) 및 상기 수평 부재(22)와 함께 용접된 보강판(24)을 경사지게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더 지지대(2).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부재(21) 상에 있어 붐 지지 부재 수용부(Y)를 구성하는 양 측벽 사이에 걸쳐 절곡 브라켓(26)이 용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더 지지대(2).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부재(22)는 마름모꼴 형태로 배치된 사각 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더 지지대(2).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부재(22)는 원형 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더 지지대(2).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부재(22)에는 트랙터 차체(14)에 결합된 보조 연결 부재와의 상호 결합을 위한 부착 부재(25)가 용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더 지지대(2).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부재(25)에는 트랙터 차체(14) 하단에 체결된 티이-브라켓(15)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더 지지대(2).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부재(25)에는 트랙터 뒷차축 프레임에 체결된 연결 프레임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더 지지대(2).
KR1020060041021A 2006-05-08 2006-05-08 로더 지지대 KR100711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021A KR100711135B1 (ko) 2006-05-08 2006-05-08 로더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021A KR100711135B1 (ko) 2006-05-08 2006-05-08 로더 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1135B1 true KR100711135B1 (ko) 2007-04-24

Family

ID=38182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1021A KR100711135B1 (ko) 2006-05-08 2006-05-08 로더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113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185B1 (ko) * 2001-07-10 2005-01-13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프레임형 트랙터
KR100501598B1 (ko) * 2002-03-27 2005-07-18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전방 로더를 구비한 작업 차량과 전방 로더의 붐 구조
JP2006077473A (ja) * 2004-09-09 2006-03-23 Kubota Corp フロントローダの取付体及び作業車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185B1 (ko) * 2001-07-10 2005-01-13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프레임형 트랙터
KR100501598B1 (ko) * 2002-03-27 2005-07-18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전방 로더를 구비한 작업 차량과 전방 로더의 붐 구조
JP2006077473A (ja) * 2004-09-09 2006-03-23 Kubota Corp フロントローダの取付体及び作業車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29431B2 (en) Tractor with implement mounting frame
US20100098522A1 (en) Wheel loader
US8684198B2 (en) Working machine
KR20130124168A (ko) 건설기계
US6409459B1 (en) Linkage assembly for connecting a work implement to a frame of a work machine
JP4468504B2 (ja) 作業機械のフレーム組立体
US20050000121A1 (en) Construction equipment
EP0993530B1 (en) Frame assembly for a construction machine and an associate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frame assembly
KR100540503B1 (ko) 롤오버 프로텍트 시스템부착 트랙터를 위한 보강프레임 구조
US20080003090A1 (en) Loader support
KR101551478B1 (ko) 작업차용 프론트 로더 및 이를 구비하는 농용 작업차
JP5558080B2 (ja) 作業機械のキャブ構造
KR100711135B1 (ko) 로더 지지대
US8387714B2 (en) Rear implement mounting frame construction for tractor
US7431553B2 (en) Loader work machine
CN216787251U (zh) 滑移装载机的工作装置和滑移装载机
JP2519829Y2 (ja) 建設機械のジャッキアップ装置の取付け構造
JP4014986B2 (ja) トラクタの補強枠構造
KR101144760B1 (ko) 건설 기계
CN114250813A (zh) 滑移装载机的工作装置和滑移装载机
JP5430606B2 (ja) 双腕型作業機
JP2003026040A (ja) フレーム形トラクタ車体及び複合作業車
JP4711867B2 (ja) 作業車
JP3747164B2 (ja) トラクタ装着型バックホー
JP4443469B2 (ja) トラ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