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9748B1 - 유동체 토출 펌프 - Google Patents

유동체 토출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9748B1
KR100709748B1 KR1020050064365A KR20050064365A KR100709748B1 KR 100709748 B1 KR100709748 B1 KR 100709748B1 KR 1020050064365 A KR1020050064365 A KR 1020050064365A KR 20050064365 A KR20050064365 A KR 20050064365A KR 100709748 B1 KR100709748 B1 KR 100709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fluid
nozzle head
valve seat
discharge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4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3840A (ko
Inventor
마사토쉬 마수다
Original Assignee
마사토쉬 마수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사토쉬 마수다 filed Critical 마사토쉬 마수다
Publication of KR20060053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3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9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9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62Outlet valves actuat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to be sprayed
    • B05B11/007Outlet valves actuat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to be sprayed being opened by deformation of a sealing element made of resiliently deformable material, e.g. flaps, skirts, duck-bil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2Membranes or pistons acting on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e.g. follower pistons
    • B05B11/028Pistons separating the content remaining in the container from the atmospheric air to compensate under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23Piston pumps having an outlet valve opened by deformation or displacement of the piston relative to its actuating 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838Plur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879Resilient material valve
    • Y10T137/7888With valve member flexing about securement
    • Y10T137/789Central mount

Abstract

본 발명은 일단 노즐 헤드에 유출된 유동체가 외기와 접촉하는 것에 의하여 노즐 헤드내에 잔류한 유동체의 양을 가능한 한 소량으로 하게 되는 유동체 토출 펌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동체 토출 펌프(1)는 신축부재(10)와, 신축부재(10)의 하단에 연결된 유입 밸브 기구(14)와, 신축부재(10)의 상단에 연결된 유출 밸브 기구(15)를 구비한다.
또한 유출 밸브 기구(15)는 바닥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제 1 밸브 시트부(151a) 및 제 1 밸브 시트부(151a)의 상부에 위치한 통형상의 내벽을 갖는 제 2 밸브 시트부(151b)로 된 밸브 시트 부재(151)와, 제 1 밸브 시트부(151a)의 내벽에 개구부를 폐지 가능한 제 1 밸브 부재(152)와, 제 2 밸브 시트부(151b)의 내벽에 접합 가능한 제 2 밸브 부재(153)로 구성된다.
유동체 토출 펌프, 신축부재, 유입 밸브 기구, 유출 밸브 기구, 실린더, 피스톤

Description

유동체 토출 펌프{Fluid discharge pump}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된 유동체 토출 펌프를 적용한 유동체 용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인 노즐 헤드에 응력을 부여하지 않고 방치한 상태에서의 유동체 토출 펌프와 노즐 헤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인 노즐 헤드를 압박한 상태에서의 유동체 토출 펌프와 노즐 헤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인 노즐 헤드에 압박을 해제한 상태에서의 유동체 토출 펌프와 노즐 헤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연결통과 피스톤이 동시에 상승하면서 유출 밸브 기구내에 잔류한 유동체가 유동체 토출 펌프내에 인입하고 있는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6a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유입 밸브 기구 및 유출 밸브 기구가 폐지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며,
도 6b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첫번째 맞물리는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고,
도 6c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두번째 맞물리는 위치 및 닫힌 상태를 보인 확대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유출 밸브 기구의 밸브 시트 부재를 나타낸 설명도로서, (a)는 밸브 시트 부재의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종단면도, (d)는 저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유출 밸브 기구의 제 1 밸브 부재를 나타낸 설명도로서, (a)는 제 1 밸브 부재의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종단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유출 밸브 기구의 제 2 밸브 부재를 나타낸 설명도로서, (a)는 제 2 밸브 부재의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종단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노즐 헤드를 나타낸 설명도로서, (a)는 노즐 헤드의 평면도, (b)는 종단면도, (c)는 저면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인 노즐 헤드에 응력을 부여하지 않고 방치한 상태에서의 유동체 토출 펌프와 노즐 헤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인 노즐 헤드를 압박한 상태에서의 유동체 토출 펌프와 노즐 헤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제 1 밸브 부재를 나타낸 설명도로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종단면도, (d)는 저면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인 유동체 토출 펌프와 노즐 헤드를 나타 낸 종단면도이다.
도 15 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서의 유동체 토출 펌프를 적용한 유동체 용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6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유동체 토출 펌프와 노즐 헤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5)(6)(7)(8) : 유동체 토출 펌프 (2) : 노즐 헤드
(3) : 뚜껑부재 (4) : 유동체 저장부
(10)(19) : 신축부재 (11) : 실린더
(12) : 피스톤 (13) : 연결통
(14)(50) : 유입 밸브 기구 (15) : 유출 밸브 기구
(16) : 나사부재 (17) : 코일스프링
(18)(51) : 누설 방지 기구 (21) : 배출구
(22) : 압압부 (23) : 리브부
(41) : 실린더 부재 (42) : 피스톤 부재
(43) : 내부덮개 (44) : 외부덮개
(90) : 흡인관 (111) : 개구부
(131) : 유동체 유통로 (132) : 유입구
(133) : 삽감부 (134) : 결합부
(141) : 밸브 부재 (151) : 밸브 시트 부재
(152)(154) : 제 1 밸브 부재 (153) : 제 2 밸브 부재
(181) : 누설 방지 밸브 (182)(512) : 벽면
(501) : 유입 밸브 부재 (502) : 유입 밸브 시트 부재
(511) : 누설 방지 밸브
본 발명은 유동체 저장부의 상방에 설치된 노즐 헤드를 압박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유동체 저장부내에 저장된 유동체를 상기 노즐 헤드로부터 토출시키기 위한 유동체 토출 펌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유동체 토출 펌프는 예를 들어 일본 특개 2002-66401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유동체 저장부의 상부에 설치된 실린더와, 실린더내를 왕복 이동 가능한 피스톤과, 노즐 헤드와 피스톤을 연결하는 것에 의하여 노즐 헤드에 부여된 압압력을 피스톤에 전달하고 피스톤을 하강시키기 위한 중공상의 연결통과, 연결통을 이용하고 피스톤을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탄성하기 위한 연결통의 외주부에 설치된 코일스프링과, 유동체 저장부에 저장된 유동체를 피스톤의 상승 동작에 수반하여 실린더내에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 밸브 기구와, 실린더내에 유입한 유동체를 피스톤의 하강 동작에 수반하여 연결통의 내부를 이용하고 노즐 헤드에 유출시키기 위한 유출 밸브 기구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유동체 토출 펌프에 의하면, 유동체와 피스톤을 상승시키기 위한 코일스프링과의 접촉을 방지한 것을 할 수 있는 것으로, 큰 탄성력을 갖는 코일스프링을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코일스프링의 부식이나 금속 성분의 용출을 유효하게 방지한 것이 가능해지며, 또 유동체 토출 펌프의 폐기시에도 금속제의 코일스프링을 용이하게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유동체 토출 펌프는 일단 노즐 헤드에 유출된 유동체를 다시 한 번 실린더내에 되돌려지게 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지 않아 이 때문에 일단 노즐 헤드에 유출된 유동체는 다음에 실린더내에서 노즐 헤드에 유출되어지는 유동체에 의해 노즐 헤드의 배출구 방향으로 압박되기까지의 사이, 노즐 헤드내에 정류하게 된다.
따라서 다음에 실린더내의 유동체가 노즐 헤드에 유출되기까지의 기간이 길어지면, 일단 노즐 헤드에 유출된 유동체가 외기와 접촉한 기간이 길어지고, 이에 따라 유동체의 성질이 변화하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노즐 헤드 방향에 의해 노즐 헤드내에 잔류한 유동체가 외부에 유출될 가능성이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노즐 헤드내에 잔류한 유동체의 양을 가능한 한 소량으로 하게 되는 유동체 토출 펌프를 제공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동체 저장부의 상방에 설치된 노즐 헤드를 압박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유동체 저장부내에 저장된 유동체를 상기 노즐 헤드로부터 토출시키기 위한 유동체 토출 펌프에 있어서, 상기 유동체 저장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그 중부에 비교적 대량의 유동체를 수납한 확장 자세와, 그 중부에 비교적 소량의 유동체를 수납한 축소 자세와의 사이에서 변형 가능한 신축부재와; 상기 신축부재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유동체 저장부내에 저장된 유동체를 상기 신축부재 내부에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 밸브 기구와; 상기 신축부재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신축부재 내부에 유입한 유동체를 상기 노즐 헤드에 유출시키기 위한 유출 밸브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유출 밸브 기구는 그 바닥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제 1 밸브 시트부와, 상기 제 1 밸브 시트부에 개구부를 폐지한 폐지 위치와 상기 개구부를 개방한 개방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제 1 밸브와, 상기 제 1 밸브로부터 설치된 지지부를 갖는 제 1 밸브 부재와; 상기 제 1 밸브 시트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통형상의 내벽을 갖는 제 2 밸브 시트부와, 상기 제 2 밸브 시트부의 내벽에 접합한 접합 위치와 내벽으로부터 격리한 격리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제 2 밸브와, 상기 제 1 밸브 부재의 지지부와 연결된 연결부를 갖는 제 2 밸브 부재와; 상기 신축부재 내부의 압력이 외부의 압력보다도 상승한 경우에는 상기 제 1 밸브 및 상기 제 2 밸브가 모두 상승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제 1 밸브가 개방 위치에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밸브가 격리 위치에 이동하고 상기 신축부재 내부의 압력이 외부의 압력보다도 저하된 경우에는 상기 제 1 밸브 및 상기 제 2 밸브가 모두 하강하고 상기 제 2 밸브가 접합 위치에 이동한 후, 상기 제 1 밸브가 폐지 위치에 이동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밸브 부재에 구성된 지지부의 선단부에 제 1 계지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그 하단부에는 제 2 계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 2 밸브 부재의 연결부에는 상기 제 1 계지부와 계합한 제 1 계합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제 2 계지부와 계합한 제 2 계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밸브 부재 및 제 2 밸브 부재는 상기 제 1 계지부와 상기 제 1 계합부가 계합한 제 1 계합 위치와, 상기 제 2 계지부와 상기 제 2 계합부가 계합한 제 2 계합 위치와의 사이를 서로 습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 2 밸브가 상기 제 2 밸브 시트부의 내벽과 접합하면서 이동한 접합 이동 거리는 상기 제 1 밸브 부재와 상기 제 2 밸브 부재와의 습동 거리보다도 짧다.
상기 신축부재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내를 왕복 이동 가능한 피스톤과, 상기 노즐 헤드와 상기 피스톤을 연결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노즐 헤드에 부여된 압압력을 상기 피스톤에 전달하고 하강시키기 위한 중공상의 유동체 유통로가 형성된 연결통과, 상기 연결통을 이용하고 상기 피스톤을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탄성시키기 위한 상기 연결통의 외주부에 설치된 탄성부재로서의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신축부재는 수지제의 자바라 부재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체 토출 펌프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된 유동체 토출 펌프를 적용한 유동체 용기의 종단면도이다.
상기 유동체 용기는 미용의 분야에서 사용된 헤어 젤이나 클렌징 젤 등의 일반적으로 젤이라고 호칭된 겔(gel), 또는 영양 크림이나 마사지 크림 등의 크림(cream)상태 물, 또는 화장수 등의 액체 등을 저장하기 위한 화장품용의 용기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동체 용기를 일반적인 약품이나 용제 또는 식품 등의 용기로서 사용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점도의 액체나 반유동체 또는 솔이 젤리상에 고화된 겔이나 크림(cream)상태 물 등과 통상의 액체를 포함하고 이를 유동체라고 호징한다.
상기 유동체 용기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된 유동체 토출 펌프(1)와, 노즐 헤드(2)와, 뚜껑부재(3)와, 그 중부에 유동체를 저장한 유동체 저장부(4)로 구성된다.
상기 뚜껑부재(3)는 나사부재(16)을 이용하고 유동체 저장부(4)의 상단에 형성된 나사부와 계합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에 있어서 상하 방향을 유동체 용기의 상하 방향이라고 규정한다. 즉, 본 발명에 관계된 유동체 저장 용기는 도 1 에 나타내는 노즐 헤드(2) 측을 윗방향으로 하고, 피스톤 부재(42) 측을 아래방향이라고 한다.
상기 유동체 저장부(4)는 원통상의 실린더 부재(41)와, 이 실린더 부재(41)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 피스톤 부재(42)와, 다수의 통기공(43a)이 형성된 내부덮개(43)와, 다수의 통기공(44a)가 형성된 외부덮개(4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유동체 저장부의 실린더 부재(41)와 유동체 토출 펌프(1)는 액밀 상태에서 접속되어지게 된다.
상기 외부덮개(44)는 실린더 부재(41)의 하부에 내부덮개(43)를 끼운 상태에서 결합되어지게 되며, 상기 내부덮개(43)에는 유동체 저장 용기내의 피스톤 부재(42)의 최하위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지지부(43b)가 구성된다.
이 지지부(43b)의 높이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하여 유동체 저장 용기내에 저장 가능한 유동체량을 변화시키는 것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외부덮개(44)에 형성된 통기공(44a)과 내부덮개(43)에 형성된 통기공(43a)에 따라 유동체 저장 용기는 외부덮개(44)의 외부와 내부덮개(43)의 내부와의 사이에서 공기가 유통 가능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유동체 저장 용기는 노즐 헤드(2)의 압압부(22)를 압박하고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나중에 상세히 설명한 유동체 토출 펌프(1)의 작용으로 유동체 저장부(4)내에 저장된 유동체가 노즐 헤드(2)의 배출구(21)로부터 토출되어지고, 유동체 저장부(4)내의 유동체의 감소에 수반하여 피스톤 부재(42)는 실린더 부재(41)내를 노즐 헤드(2)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실시예 1.
다음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된 유동체 토출 펌프(1)의 구성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도 2 는 유동체 토출 펌프(1)에 응력을 부여하지 않고 방치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3 은 노즐 헤드(2)의 압압부(22)가 압박되는 것에 의하여 연결통(13)이 피스톤(12)과 동시에 하강하고 있는 상태를, 또 도 4 는 노즐 헤드(2)의 압압부(22)에 압박이 해제되는 것에 의하여 연결통(13)이 피스톤(12)과 동시에 상승하면서 배출구(21)에 잔류한 유동체가 유출 밸브 기구(15)내 및 유동체 토출 펌프(1)내에 인입하고 있는 상태를, 도 5 는 연결통(13)이 피스톤(12)과 동시에 상승하면서 유출 밸브 기구(15)내에 잔류한 유동체가 유동체 토출 펌프(1)내에 인입하고 있는 상태를, 도 6a 내지 6c 는 유입 밸브 기구(14) 및 유출 밸브 기구(15)가 완전하게 폐지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 2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동체 토출 펌프(1)는 신축부재(10)와, 신축부재(10)의 하단에 연결되어 유동체 저장부(4)내에 저장된 유동체를 신축부재(10)에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 밸브 기구(14)와, 신축부재(10)의 상단에 연결되어 신축부재(10) 내부에 유입된 유동체를 노즐 헤드(2)에 유출시키기 위한 유출 밸브 기구(15)를 구성한다.
상기에서 신축부재(10)는 그 중부에 비교적 대량의 유동체를 수납한 확장 자세와, 그 중부에 비교적 소량의 유동체를 수납한 축소 자세와의 사이에서 변형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신축부재(10)는 유동체 저장부(4)의 상부에 설치된 실린더(11)와, 실린더(10)내를 왕복 이동 가능한 피스톤(12)과, 노즐 헤드(2)와 피스톤(12)을 연결하 는 것에 의하여 노즐 헤드(2)에 부여된 압압력을 피스톤(12)에 전달하고 피스톤(12)을 하강시키기 위한 중공상의 유동체 유통로(131)가 형성된 연결통(13)과, 연결통(13)을 이용하고 피스톤(12)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탄성하기 위한 연결통(13)의 외주부에 설치된 탄성부재로서의 코일스프링(17)으로 구성된다.
또한 피스톤(12)은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등의 수지를 원재료로 하여 그 외주부가 실린더(11)의 내벽면과 밀접하게 형성되어진다.
상기 코일스프링(17)은 강력한 탄성력을 얻기 위해 금속제의 것이 사용되고 있다. 단, 이 코일스프링(17)은 연결통의 외주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연결통(13)의 내부를 통과한 유동체와 접촉하지 않는 것이다.
상기 유입 밸브 기구(14)는 밸브 부재(141)와 실린더(11)에 형성된 개구부(111)로 구성된다.
상기 밸브 부재(141)는 유동체 저장부(4)내에 저장된 유동체를 실린더(11)내에 유입시키기 위한 실린더(11)의 하단부에 형성된 개구부(111)와 대응한 형상을 갖는 밸브(141a)와, 실린더(11)내에 고정된 지지부(141b)와, 밸브(141a)와 지지부(141b)를 연결한 4개의 연결부(141c)로 구성된다.
상기 4개의 연결부(141c)는 각각 한 쌍의 굴곡부(141d)를 갖는 것에 의해 밸브 부재(141)는 매우 적합한 가요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유입 밸브 기구(14)는 실린더(11)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유동체 저장부(4)와 실린더(11)를 연통한 개구부(111)를 폐지 및 개방하기 위한 것이며, 이 유입 밸브 기구(14)는 신축부재(10) 내부의 압력이 외부의 압력과 동등 또는 그것 보다도 상승한 경우에는 밸브 부재(141)의 밸브(141a)가 개구부(111)와 접합한 접합 위치에 배치되어 개구부(111)를 폐지하고, 한편 신축부재(10) 내부의 압력이 외부의 압력보다도 저하된 경우에는 밸브 부재(141)의 연결부(141c)의 작용에 의하고 밸브(141a)가 개구부(111)로부터 격리한 위치에 배치되어 개구부(111)를 개방하게 된다.
상기 유출 밸브 기구(15)는 바닥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제 1 밸브 시트부(151a) 및 제 1 밸브 시트부(151a)의 상부에 위치한 통형상의 내벽을 갖는 제 2 밸브 시트부(151b)로 구성된 밸브 시트 부재(151)와, 제 1 밸브 시트부(151a)의 개구부를 폐지 가능한 제 1 밸브 부재(152)와, 제 2 밸브 시트부(151b)의 내벽에 접합 가능한 제 2 밸브 부재(153)로 구성되어진다.
첨부된 도면 도 6a 내지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신축부재(10) 안쪽의 압력이 외부압력과 동일하게 될 때 제 1 밸브(152a)는 도면 도 6a에 보여진대로 닫힌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유입 밸브 기구(14)의 밸브(141a)는 개구부(111)와 접촉한 상태로 접촉 위치에 위치하여 밸브 부재(141)내의 연결부(141c)의 작용에 의해 개구부(111)를 닫게 한다.
도 6b는 첫 번째 맞물림 위치를 보여주며, 도 6c는 두 번째 맞물림 위치 및 닫힌 위치를 보여주는 것으로, 도 6b에서 가상선은 도 6c에서 지적되는 위치를 보여준다.
도 6b에서 보여진대로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유동체 토출 펌프(1)에서 제 2 밸브 시트부(151b)내의 안쪽벽과 접촉을 유지하는 동안 제 2 밸브(153a)가 움직이는 거리(W)는 첫 번째 맞물리는 위치와 두 번째 맞물리는 위치 사이의 거리, 즉 제 1 밸브 부재(152)와 제 2 밸브 부재(153) 사이의 미끄러지듯이 이동하는 거리(V1) 보다 더 길게 구성되어진다.
상기의 도면에서 W=V1+V3식이 성립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밸브 부재(152)가 닫힌 위치에 위치될 때까지 제 2 밸브 부재(153)가 밸브 시트 부재(151)와 접하게 된 후에 제 1 밸브 부재(152)가 움직이는 거리, 이러한 방식으로 제 2 밸브(153a)가 접촉 위치로 이동하는 것과 제 1 밸브(152a)가 닫힌 위치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첫 번째 맞물림 위치에서 제 1 밸브 부재(152)는 닫힌 위치에 위치되지 않게 된다.
첫 번째 닫힌 위치(또한 접촉 위치에서도) 후에 다음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a)제 2 밸브 부재(153)와 제 1 밸브 부재(152) 사이의 액체와 제 1 밸브 부재(152) 밑의 액체가 흡인력에 의해 신축부재(10)를 향하여 끌려간다.
반면에 제 2 밸브 부재(153)는 움직이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며, 그럼에 의해 제 1 밸브 부재(152)를 제 2 밸브 부재(153)쪽으로 끌어들이게 된다.
b)그런 후에 제 1 밸브 부재(152) 아래의 액체는 신축부재(10)를 향하여 끌려가도록 하며, 그럼에 의해 제 1 및 제 2 밸브 부재(152,153)가 두 번째 맞물림 위치가 유지되는 동안의 닫힌 위치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첨부된 도면 도 7의 (a),(b),(c),(d)는 유출 밸브 기구(15)의 밸브 시트 부 재(151)를 나타낸 설명도로서, 상기 밸브 시트 부재(151)는 그 바닥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제 1 밸브 시트부(151a)와, 제 1 밸브 시트부(151a)의 상부에 위치하고 통형상의 내벽을 갖는 제 2 밸브 시트부(151b)와, 제 1 밸브 시트부(151a)의 하부에 위치하고 연결통(13)과 계합한 계합부(151c)와, 제 1 밸브 시트부(151a)와 계합부(151c)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유동체를 유통시키기 위한 유통로(151d)와, 노즐 헤드(2)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151e)로 구성된다.
상기 밸브 시트 부재(151)가 열려 있는 부분을 가지는 콘형상의 바닥으로 구성되어지며, 이 콘형상의 바닥은 열려 있는 부분 주위에 고리모양의 돌출부(155)가 구성되어진다.
이에 상기 제 1 밸브 부재(152)가 열려 있는 부분에 액체 통로를 닫히도록 고리모양의 돌출부(155)와 접하게 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 1 밸브 부재(152)의 주변으로 밸브 시트 부재(151)의 내벽과 접할 수도 있으며, 제 2 밸브 부재(153)의 주변은 밸브 시트 부재(151)의 내벽과 접하게 되어 액체 통로를 닫히게 한다.
첨부된 도면 도 8의 (a),(b),(c)는 유출 밸브 기구(15)의 제 1 밸브 부재(152)를 나타낸 설명도로서, 상기 제 1 밸브 부재(152)는 제 1 밸브 시트부(151a)의 개구부를 폐지한 폐지 위치와 해당 개구부를 개방한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제 1 밸브(152a)와, 제 1 밸브(152a)로부터 설치된 지지부(152b)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밸브 부재(152)의 지지부(152b) 선단에는 나중에 상세히 설명한 제 2 밸브 부재(153)의 이동의 상한을 제한한 제 1 계지부(152c)가 형성됨과 동시에 지지부(152b)의 하단에는 제 2 밸브 부재(153)의 이동의 하한을 제한한 제 2 계지부(152d)가 형성된다.
또 첨부된 도면 도 9의 (a),(b),(c)는 유출 밸브 기구(15)의 제 2 밸브 부재(153)를 나타낸 설명도로서, 상기 제 2 밸브 부재(153)는 제 2 밸브 시트부(151b)의 내벽에 접합한 접합 위치와, 해당 내벽으로부터 격리한 격리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제 2 밸브(153a)와, 제 1 밸브 부재(152)의 지지부(152b)와 연결된 연결부(153b)로 구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제 2 밸브 부재(153)의 연결부(153b)에는 제 1 밸브 부재(152)의 제 1 계지부(152c)라고 계합한 제 1 계합부(153c)가 형성됨과 동시에 제 1 밸브 부재의 제 2 계지부(152d)라고 계합한 제 2 계합부(153d)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 1 밸브 부재(152) 및 제 2 밸브 부재(153)는 제 1 계지부(152c)와 제 1 계합부(153c)가 계합한 제 1 계합 위치와, 제 2 계지부(152d)와 제 2 계합부(153d)가 계합한 제 2 계합 위치와의 사이가 서로 습동 가능하게 연결되어진다.
상기 밸브 시트 부재(151)와 제 1 밸브 부재(152)와 제 2 밸브 부재(153)으로 구성된 유출 밸브 기구(15)는 신축부재(10) 내부의 압력이 외부의 압력보다도 상승한 경우에는 제 1 밸브(152a) 및 제 2 밸브(153a)가 모두 상승하는 것에 의하여 제 1 밸브(152a)가 개방 위치에 이동함과 동시에 제 2 밸브(153a)가 격리 위치에 이동하도록 구성되어진다.
한편 유출 밸브 기구(15)는 신축부재(10) 내부의 압력이 외부의 압력보다도 저하된 경우에는 제 1 밸브(152a) 및 제 2 밸브(153a)가 모두 하강하고, 제 2 밸브(153a)가 접합 위치에 이동한 후 제 1 밸브(152a)가 폐지 위치에 이동하도록 구성되어진다.
첨부된 도면 도 10의 (a),(b),(c)는 노즐 헤드(2)를 나타낸 설명도로서, 노즐 헤드(2)는 유동체를 토출하기 위한 배출구(21)와, 유동체의 토출시에 압박된 압압부(22)와, 후에 상세히 설명한 유출 밸브 기구(15)의 제 2 밸브 부재(153)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리브부(23)로 구성되어진다.
이 때문에 제 2 밸브 부재(153)를 안정된 상태에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통(13)은 밸브 시트 부재(151)의 계합부(151c)와 계합하기 위한 삽감부(133)와, 피스톤(12)을 습동 가능하게 결합한 결합부(134)로 구성되어진다.
또 연결통(13)의 내부에는 유동체 유통로(131)가 형성되고, 피스톤(12)이 연결통(13)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방에 습동한 경우에 유동체 유통로(131)와 실린더(11) 내부를 연통한 유입구(13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유동체 토출 펌프(1)의 유동체 토출 동작에 관하여 한번 더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2에 나타낸 것처럼 유동체 토출 펌프(1)에 응력을 부여하지 않고 방치한 경우에 있어 밸브 부재(141)의 밸브(141a)가 개구부(111)와 접합한 접합 위치에 배치되어 제 1 밸브(152a)가 제 1 밸브 시트부(151a)의 개구부를 폐지한 폐지 위치에 배치되어 제 2 밸브(153a)가 제 2 밸브 시트부(151b)의 내벽에 접합한 접합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또한 제 1 밸브 부재(152) 및 제 2 밸브 부재(153)는 제 2 계합 위치에 배치되고 있다.
이와 같은 유동체 토출 펌프(1)에 대하여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노즐 헤드(2)의 압압부(22)가 압박되면 신축부재(10)가 그 중부에 비교적 소량의 유동체를 수납한 축소 자세에 변형되고, 이 때문에 신축부재(10) 내부의 압력이 외부의 압력보다도 상승하며, 이때 피스톤(12)은 연결통(13)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방에 습동하고 유입구(132)가 유동체 유통로(131)와 실린더(11) 내부를 연통한다.
상기와 같이 신축부재(10) 내부의 압력이 외부의 압력보다도 상승하면, 신축부재(10) 내부의 유동체로부터 압압력을 받아 제 1 밸브(152a)가 상승하게 되며, 상기 제 1 밸브(152a)의 상승에 의하여 제 2 계합부(153d)가 제 2 계지부(152d)로부터 상방에 압압력을 받아 제 2 밸브(153a)가 상승하게 된다.
이에 제 1 밸브(152a) 및 제 2 밸브(153a)의 상승에 의하여 제 1 밸브(152a)가 개방 위치에 이동함과 동시에 제 2 밸브(153a)가 격리 위치에 이동하고, 신축부재(10) 내부에 수납된 유동체는 노즐 헤드(2)로부터 토출하게 된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낸 것처럼 노즐 헤드(2)의 압압부(22)에 압박이 해제되면 코일스프링(17)의 탄성력에 의하여 신축부재(10)가 그 중부에 비교적 대량의 유동체를 수납한 확장 자세로 변형되어진다.
이 때문에 신축부재(10) 내부의 압력이 외부의 압력보다도 저하되어지며, 이때 피스톤(12)은 연결통(13)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아래쪽에 습동하고, 유입구(132)가 피스톤(12)에 의하여 폐쇄된다.
상기와 같이 신축부재(10) 내부의 압력이 외부의 압력보다도 저하되면 신축부재(10) 내부에서의 흡인력을 받아 제 1 밸브(152a)가 하강하고, 제 1 밸브(152a)의 하강에 수반하여 제 1 계지부(152c)가 제 1 계합부(153c)에 계합한다.
즉, 제 1 밸브 부재(152) 및 제 2 밸브 부재(153)는 제 1 계합 위치에 배치되며, 이때 신축부재(10) 내부의 흡인력에 의하여 노즐 헤드(2)의 배출구(21) 부근에 잔류한 유동체가 제 2 밸브(153a)를 통과하고 신축부재(10) 내부에 인입된다.
이 때문에 일단 노즐 헤드(2)의 배출구(22)에 유출된 유동체가 배출구(21) 부근에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배출구(21)에 잔류한 유동체가 외기와 접촉하는 것에 의하여 유동체의 성질이 변화한다고 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유입 밸브 기구(14)는 밸브 부재(141)의 연결부(141c) 작용에 의하고, 밸브(141a)가 개구부(111)로부터 격리한 격리 위치에 배치되어 개구부(111)를 개방하며, 이때 신축부재(10) 내부의 흡인력에 의하여 유동체 저장부(4)에 저장된 유동체가 유입 밸브 기구(14)를 통과하고 신축부재(10) 내부에 유입되어진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5에 나타낸 것처럼 제 2 밸브(153a)가 접합 위치에 배치되며, 이때 신축부재(10) 내부의 흡인력에 의하여 제 1 밸브(152a)와 제 2 밸브(153a)의 사이에 인입된 유동체가 또한 제 1 밸브(152a)를 통과하고 신축부재(10) 내부에 인입되며, 제 1 밸브(152a)와 제 2 밸브(153a)의 사이에 인입된 유동체가 감소하면 제 1 밸브 부재(152) 및 제 2 밸브 부재(153)가 제 2 계합 위치에 배치되어진다.
그리고 신축부재(10) 내부의 압력이 외부의 압력과 동등하게 되면, 도 6 에 나타낸 것처럼 제 1 밸브(152a)가 폐지 위치에 배치되고, 또 유입 밸브 기구(14)는 밸브 부재(141)의 연결부(141c)의 작용에 의하고 밸브(141a)가 개구부(111)에 접합한 위치에 배치되어 개구부(111)를 폐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된 유동체 토출 펌프(1)는 제 2 밸브(153a)가 제 2 밸브 시트부(151b)의 내벽과 접합하면서 이동한 접합 이동 거리가 제 1 계합 위치와 제 2 계합 위치와의 사이의 거리(제 1 밸브 부재(152)와 제 2 밸브 부재(153)와의 습동 거리) 보다도 짧아지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이 때문에 제 2 밸브(153a)가 접합 위치에 이동한 후 제 1 밸브(152a)가 폐지 위치에 확실하게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 1 밸브 부재(152)가 닫힌 상태일 때 제 1 밸브 및 제 2 밸브 부재(152,153)는 두 번째 맞물리는 위치에 있지 않게 되는데 예를 들어, 제 2 밸브 부재(153)의 바닥이 제 1 밸브 부재(152)와 접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에 V1이 실제 이동거리로서 한정되며, 반면에 V3는 잠재적인 이동거리로서 한정되어 부등식 V1<W<V3가 성립되어진다.
실시예 2.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하여 첨부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이때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재에 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자세한 내용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계된 유동체 토출 펌프(5)를 적용한 유동체 용기에 있어서, 유동체 토출 펌프(5)를 노즐 헤드(2)와 동시에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도 11은 유동체 토출 펌프(5)에 응력을 부여하지 않고 방지한 상태를, 도 12는 노즐 헤드(2)의 압압부(22)가 압박되는 것에 의하여 연결통(13)이 피스톤(12)과 동시에 하강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계된 유동체 토출 펌프(5)는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된 유동체 토출 펌프(1)의 제 1 밸브 부재(152)에 대신하여 제 1 밸브 부재(154)를 이용하고 있다.
첨부된 도면 도 13의 (a),(b),(c),(d)는 제 1 밸브 부재(154)를 나타낸 설명도로서, 상기 제 1 밸브 부재(154)는 제 1 밸브 시트부(151a)의 개구부를 폐지한 폐지 위치와, 해당 개구부를 개방한 개방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제 1 밸브(154a)와, 제 1 밸브(154a)로부터 설치된 지지부(154b)와, 밸브 시트 부재(151)의 유통로(151d)에 습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리브(154e)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제 1 밸브 부재(154)의 지지부(154b)의 선단에는 제 2 밸브 부재(153)의 이동의 상한을 제한한 제 1 계지부(154c)가 형성됨과 동시에 지지부(154b)의 하단에는 제 2 밸브 부재(153)의 이동의 하한을 제한한 제 2 계지부(154d)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밸브 부재(154)는 리브(154e)를 갖기 때문에 제 1 밸브(154a)의 이동을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며, 또한 상기 리브(154e)는 제 1 밸브(154a)의 이동을 보다 안정시키는 것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4개이고 동일 간격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3.
첨부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계된 유동체 토출 펌프(6)를 적용한 유동체 용기에 있어서, 유동체 토출 펌프(6)를 노즐 헤드(2)와 동시에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상기 유동체 토출 펌프(6)는 연결통(13)의 하부에 누설 방지 기구(18)를 구비한다.
상기 누설 방지 기구(18)는 실린더(11)의 내측에 형성된 벽면(182)과, 벽면(182)과 접합한 접시 모양의 누설 방지 밸브(181)로 구성된다.
상기 누설 방지 기구(18)에 있어, 노즐 헤드(2)의 압압부(22)에 응력이 부여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누설 방지 밸브(181)는 벽면(182)과 접합한 상태로 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 실린더(11)내에 유입된 유동체가 연결통(13)의 유동체 유통로(131)에 유입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노즐 헤드(2)의 압압부(22)가 압박된 경우에는 누설 방지 밸브(181)가 하강하고 벽면(182)로부터 격리되어지게 된다.
실시예 4.
첨부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계된 유동체 토출 펌프(7)를 적용한 유동체 용기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상기 유동체 토출 펌프(7)는 실린더(11)의 개구부(111)에 접속된 흡인관(90)을 구비한다.
상기 흡인관(90)은 유동체 저장부(4)내에 삽입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실시형태의 유동체 저장부(4)와 같이 피스톤 부재(42)를 구비할 필요가 없고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5.
첨부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계된 유동체 토출 펌프(8)를 적용한 유동체 용기에 있어서, 유동체 토출 펌프(8)를 노즐 헤드(2)와 동시에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상기 유동체 토출 펌프(8)는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된 유동체 토출 펌프(1)의 신축부재(10)에 대신하여 신축부재(19)를 이용하고,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된 유동체 토출 펌프(1)의 유입 밸브 기구(14)에 대신하여 유입 밸브 기구(50)를 이용하고 있다.
또, 유동체 토출 펌프(8)는 연결통(13)의 하부에 설치된 누설 방지 기구(51)를 구비한다.
상기 신축부재(19)는 수지제의 자바라 부재로 구성되어지며, 소정의 탄성을 갖는 수지를 주름 상자상의 형상으로 성형한 것이다.
또한 상기 신축부재(19)의 하단은 유입 밸브 기구(50)와 액밀 상태에서 결합됨과 동시에, 신축부재(19)의 상단은 유출 밸브 기구(15)와 액밀 상태에서 결합된다.
상기 유입 밸브 기구(50)는 유입 밸브 부재(501)와, 유입 밸브 시트 부재(502)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유입 밸브 시트 부재(502)는 유동체 저장부(4)내에 저장된 유동체를 신축부재(19)내에 유입시키기 위해 형성된 개구부(502a)와, 유입 밸브 부재(501)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502b)를 구비한다.
상기 유입 밸브 부재(501)는 유입 밸브 시트 부재(502)에 형성된 개구부 (502a)와 대응한 형상을 갖는 밸브(501a)와, 유입 밸브 시트 부재(502)의 고정부(502b)와 결합 고정된 지지부(501b)와, 밸브(501a)와 지지부(501b)를 연결한 4개의 연결부(501c)와, 지지부(501b)의 내측에 형성된 벽면(512)으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4개의 연결부(501c)는 각각 한 쌍의 굴곡부(501d)를 갖는 것에 의해 상기 유입 밸브 부재(501)는 매우 적합한 가요성을 갖는다.
상기 유입 밸브 기구(50)에 있어, 신축부재(19) 내부의 압력이 외부의 압력보다도 상승한 경우에는 밸브(501a)가 개구부(502a)와 접합한 위치에 배치되어 개구부(502a)를 폐지하게 되며, 한편 신축부재(19) 내부의 압력이 외부의 압력보다도 저하된 경우에는 밸브(501a)가 개구부(502a)로부터 격리한 위치에 배치되어 개구부(502a)를 개방하게 된다.
상기 누설 방지 기구(51)는 연결통(13)의 하부에 결합된 누설 방지 밸브(511)와, 지지부(501b)의 내측에 형성된 벽면(512)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누설 방지 밸브(511)는 벽면(512)과 접합 가능한 가요성이 있는 접시 모양의 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누설 방지 기구(51)에 있어, 노즐 헤드(2)의 압압부(22)에 응력이 부여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누설 방지 밸브(181)는 벽면(182)과 접합한 상태로 되며, 이것에 의해 실린더(11)내에 유입된 유동체가 연결통(13)의 유동체 유통로(131)에 유입되지 않게 된다.
한편, 노즐 헤드(2)의 압압부(22)가 압박된 경우에는 누설 방지 밸브(181)가 하강하고 벽면(182)으로부터 격리되어진다.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에 관계된 제 1 실시형태 내지 제 5 실시형태의 유입 밸브 기구(14)(50), 및 유출 밸브 기구(15)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 실리콘 고무 등의 합성 고무, 또는 이러한 혼합물 등을 사용한 재료에 의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유입 밸브 기구의 구성은 상술한 유입 밸브 기구(14)(50)의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신축부재(10)(19) 내부의 압력이 외부의 압력보다도 상승한 경우에 개구부를 폐지하고, 신축부재(10)(19) 내부의 압력이 외부의 압력보다도 저하딘 경우에 개구부를 개방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유출 밸브 기구는 신축부재 내부의 압력이 외부의 압력보다도 상승한 경우에는 제 1 밸브 및 제 2 밸브가 모두 상승하는 것에 의하여 제 1 밸브가 개방 위치에 이동함과 동시에 제 2 밸브가 격리 위치에 이동하고, 신축부재 내부의 압력이 외부의 압력보다도 저하된 경우에는 제 1 밸브 빛 제 2 밸브가 모두 하강하고, 제 2 밸브가 접합 위치에 이동한 후 제 1 밸브가 폐지 위치에 이동한 것으로 노즐 헤드내에 잔류한 유동체의 양을 가능한 한 소량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일단 노즐 헤드에 유출된 유동체가 외기와 접촉하는 것에 의하여 유동체의 성질이 변화한 것을 방지한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제 1 밸브 부재 및 제 2 밸브 부재는 제 1 계지부와 제 1 계합부가 계합한 제 1 계합 위치와, 제 2 계지부와 제 2 계합부가 계합한 제 2 계합 위치와의 사이를 서로 습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노즐 헤드내에 잔류한 유동체의 양을 가능한 한 소량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2 밸브가 제 2 밸브 시트부의 내벽과 접합하면서 이동한 접합 이동 거리는 제 1 밸브 부재와 제 2 밸브 부재와의 습동 거리보다도 짧은 것으로 제 2 밸브가 접합 위치에 이동한 후 제 1 밸브가 폐지 위치에 이동한 것이 확실하게 가능하기 때문에 노즐 헤드내에 잔류한 유동체의 양을 가능한 한 소량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신축부재는 실린더와, 실린더내를 왕복 이동 가능한 피스톤과, 중공상의 유동체 유통로가 형성된 연결통과, 연결통의 외주부에 설치된 탄성부재로 구성되는 것으로, 탄성부재의 부식이나 금속 성분의 용출을 유효하게 방지한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신축부재는 수지제의 자바라 부재로 구성되는 것으로, 간단한 구성이면서 탄성부재의 부식이나 금속 성분의 용출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유동체 저장부의 상방에 설치된 노즐 헤드를 압박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유동체 저장부내에 저장된 유동체를 상기 노즐 헤드로부터 토출시키기 위한 유동체 토출 펌프에 있어서,
    상기 유동체 저장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그 중부에 비교적 대량의 유동체를 수납한 확장 자세와, 그 중부에 비교적 소량의 유동체를 수납한 축소 자세와의 사이에서 변형 가능한 신축부재와;
    상기 신축부재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유동체 저장부내에 저장된 유동체를 상기 신축부재 내부에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 밸브 기구와;
    상기 신축부재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신축부재 내부에 유입된 유동체를 상기 노즐 헤드에 유출시키기 위한 유출 밸브 기구; 를 구비하고,
    상기 유출 밸브 기구는,
    바닥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제 1 밸브 시트부 및 제 1 밸브 시트부의 상부에 위치한 통형상의 내벽을 갖는 제 2 밸브 시트부로 구성된 밸브 시트 부재와;
    상기 제 1 밸브 시트부의 개구부를 폐지한 폐지 위치와 상기 개구부를 개방한 개방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제 1 밸브와, 상기 제 1 밸브로부터 설치된 지지부를 갖는 제 1 밸브 부재와;
    상기 제 2 밸브 시트부의 내벽에 접합한 접합 위치와 내벽으로부터 격리한 격리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제 2 밸브와, 상기 제 1 밸브 부재의 지지부 와 연결된 연결부를 갖는 제 2 밸브 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신축부재 내부의 압력이 외부의 압력보다도 상승한 경우에는 상기 제 1 밸브 및 상기 제 2 밸브가 모두 상승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제 1 밸브가 개방 위치에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밸브가 격리 위치에 이동하고,
    상기 신축부재 내부의 압력이 외부의 압력보다도 저하된 경우에는 상기 제 1 밸브 및 상기 제 2 밸브가 모두 하강하고 상기 제 2 밸브가 접합 위치에 이동한 후 상기 제 1 밸브가 폐지 위치에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체 토출 펌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밸브 부재의 지지부 선단부에 제 1 계지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그 하단부에는 제 2 계지부가 구성되고,
    상기 제 2 밸브 부재의 연결부에는 상기 제 1 계지부와 계합한 제 1 계합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제 2 계지부와 계합한 제 2 계합부가 구성되며,
    상기 제 1 밸브 부재 및 상기 제 2 밸브 부재는 상기 제 1 계지부와 상기 제 1 계합부가 계합한 제 1 계합 위치와, 상기 제 2 계지부와 상기 제 2 계합부가 계합한 제 2 계합 위치와의 사이를 서로 습동 가능하게 연결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체 토출 펌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밸브가 상기 제 2 밸브 시트부의 내벽과 접합하면서 이동한 접합 이동 거리는 상기 제 1 밸브 부재와 상기 제 2 밸브 부재와의 습동 거리보다 짧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체 토출 펌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재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내를 왕복 이동 가능한 피스톤과;
    상기 노즐 헤드와 상기 피스톤을 연결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노즐 헤드에 부여된 압압력을 상기 피스톤에 전달하고 하강시키기 위한 중공상의 유동체 유통로가 형성된 연결통과;
    상기 연결통을 이용하고 상기 피스톤을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탄성시키기 위한 상기 연결통의 외주부에 설치된 탄성부재로서의 코일스프링;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체 토출 펌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재는 수지제의 자바라 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체 토출 펌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시트 부재의 제 1 밸브 시트부 내주면 둘레에는 고리모양의 돌출부가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체 토출 펌프.
KR1020050064365A 2004-07-15 2005-07-15 유동체 토출 펌프 KR1007097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08299A JP2006027654A (ja) 2004-07-15 2004-07-15 流動体吐出ポンプ
JPJP-P-2004-00208299 2004-07-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3840A KR20060053840A (ko) 2006-05-22
KR100709748B1 true KR100709748B1 (ko) 2007-04-19

Family

ID=34979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4365A KR100709748B1 (ko) 2004-07-15 2005-07-15 유동체 토출 펌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059499B2 (ko)
EP (1) EP1616633A1 (ko)
JP (1) JP2006027654A (ko)
KR (1) KR100709748B1 (ko)
CN (1) CN17212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1998B1 (ko) 2008-10-30 2011-09-05 강성준 액체 저장용기의 펌핑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7654A (ja) * 2004-07-15 2006-02-02 Katsutoshi Masuda 流動体吐出ポンプ
JP2006044660A (ja) * 2004-07-30 2006-02-16 Katsutoshi Masuda 流動体貯留容器
JP5000200B2 (ja) * 2006-05-31 2012-08-1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容器
TWI295983B (en) 2005-07-29 2008-04-21 Yoshino Kogyosho Co Ltd Discharge container
US20080142102A1 (en) * 2006-12-18 2008-06-19 Savard Raymond T Check Valve and Pump for High Purity Fluid Handling Systems
JP5016989B2 (ja) * 2007-02-28 2012-09-0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器
JP2008213849A (ja) * 2007-02-28 2008-09-18 Yoshino Kogyosho Co Ltd 吐出容器
FR2927064B1 (fr) * 2008-02-04 2010-03-26 Rexam Pharma Embout de distribution de liquide, et ensemble de conditionnement et des distribution de liquide comprenant un tel embout.
DE102008027987A1 (de) * 2008-03-04 2009-09-17 Kist-Europe Forschungsgesellschaft Mbh Dosierungsvorrichtung
JP5384127B2 (ja) * 2009-01-23 2014-01-0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液体噴出器
GB0909363D0 (en) * 2009-06-01 2009-07-15 Reckitt Benckiser Nv Detergent dispensing device
JP5394288B2 (ja) * 2010-03-10 2014-01-22 株式会社ファンケル 吐出器及び吐出器付き容器
US20110303702A1 (en) * 2010-06-11 2011-12-15 Derxin (Shanghai) Cosmetics Co., Ltd. Liquid spray head assembly
GB2481198A (en) * 2010-06-14 2011-12-21 Derxin Shanghai Cosmetics Co Ltd A sprayhead assembly having axial grooves on a piston member and a hollow spiral valve
US8561919B2 (en) * 2010-10-04 2013-10-22 Derxin (Shanghai) Cosmetics Co., Ltd. Foam spray head assembly
BR112013018381A2 (pt) * 2011-02-11 2017-09-05 Procter & Gamble Métodos, dispositivos e sistemas para reabstecimento de um dispensador de fluidos
GB2491104A (en) * 2011-05-18 2012-11-28 Ya-Tsan Wang A push-type dispenser nozzle with the spring located outside the fluid path
KR101474246B1 (ko) * 2013-07-22 2014-12-18 (주)연우 펌핑식 화장품 용기의 피스톤 구조
FR3016273B1 (fr) * 2014-01-16 2017-09-08 Dior Christian Parfums Dispositif distributeur a tete escamotable
WO2018014929A1 (de) * 2016-07-18 2018-01-25 Rpc Bramlage Gmbh Spender für flüssige bis pastöse massen
CN106140027B (zh) * 2016-08-19 2018-06-26 黄国镇 一种反应釜用定量送液装置及其使用方法
CN106140026B (zh) * 2016-08-19 2018-06-29 浙江晶辉化妆品股份有限公司 一种制备香水的定量送液装置及其使用方法
EP3503792B1 (en) * 2016-08-29 2023-10-04 Silgan Dispensing Systems Corporation Inline vacuum spring sustained duration sprayer
US10583450B2 (en) * 2018-04-24 2020-03-10 Gerhard Brugger Dosing dispenser
CN109332039B (zh) * 2018-08-21 2020-05-08 嘉兴市迅程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多角度持续不间断式喷雾用盛液瓶
CN113202711B (zh) * 2021-05-22 2023-11-07 上海洁诺德塑胶制品有限公司 一种泵头及具有该泵头的容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4548U (ja) * 1993-01-05 1994-07-2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泡噴出容器
KR20000008175U (ko) * 1998-10-16 2000-05-15 강성일 겔 상태의 내용물 배출장치
JP2002066401A (ja) * 2000-06-16 2002-03-05 Katsutoshi Masuda 流動体吐出ポンプ
JP2004051201A (ja) * 2002-07-24 2004-02-19 Katsutoshi Masuda 流体吐出ポンプ
EP1616633A1 (en) * 2004-07-15 2006-01-18 Masuda Masatoshi Fluid-dispensing pump and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71893A (en) * 1949-11-04 1951-10-16 Gen Motors Corp Submersible vent cap
US4155489A (en) * 1976-12-20 1979-05-22 Wolf Steiman Leakproof pump for hand-held dispensers
US5042694A (en) * 1988-12-24 1991-08-27 Mega-Plast Dosiersysteme Gmbh & Co. Dispenser for pasty compositions
US5373972A (en) * 1991-11-15 1994-12-20 Jsp Partners, L.P. Preservative-free sterile fluid dispensing system
EP0757004B1 (en) * 1995-01-27 2004-01-07 Yoshino Kogyosho Co., Ltd. Liquid jet pump
CN1385247A (zh) * 2001-05-11 2002-12-18 增田胜利 流动体喷出泵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4548U (ja) * 1993-01-05 1994-07-2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泡噴出容器
KR20000008175U (ko) * 1998-10-16 2000-05-15 강성일 겔 상태의 내용물 배출장치
JP2002066401A (ja) * 2000-06-16 2002-03-05 Katsutoshi Masuda 流動体吐出ポンプ
JP2004051201A (ja) * 2002-07-24 2004-02-19 Katsutoshi Masuda 流体吐出ポンプ
EP1616633A1 (en) * 2004-07-15 2006-01-18 Masuda Masatoshi Fluid-dispensing pump and container
JP2006027654A (ja) * 2004-07-15 2006-02-02 Katsutoshi Masuda 流動体吐出ポンプ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1998B1 (ko) 2008-10-30 2011-09-05 강성준 액체 저장용기의 펌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21292A (zh) 2006-01-18
EP1616633A1 (en) 2006-01-18
KR20060053840A (ko) 2006-05-22
US7059499B2 (en) 2006-06-13
JP2006027654A (ja) 2006-02-02
US20060011661A1 (en) 2006-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9748B1 (ko) 유동체 토출 펌프
KR100701225B1 (ko) 튜브형 유체용기용 밸브 메커니즘
KR100615036B1 (ko) 유동체 토출 펌프
US7111763B2 (en) Fluid-storing container
US7249694B2 (en) Valve mechanism for tube-type fluid container
US7025233B2 (en) Fluid discharge pump for discharging fluid stored inside fluid storing portion
KR100659319B1 (ko) 유동체 저장 용기
US20060196889A1 (en) Fluid storage container with piston provided inside
KR20030090534A (ko) 액체분배용기 용 실린더 및 밸브 구조체
JP2005230299A (ja) 流動体貯留容器
JP2005280712A (ja) 流動体吐出ポンプ
EP1849528A1 (en) Fluid storage container with piston provided inside
US4522318A (en) Discharge valve for use in a pressurized container
KR100575250B1 (ko) 튜브형 유체용기용 밸브 메커니즘
US20160138953A1 (en) Liquid dispenser and discharge head for same
KR20160109277A (ko) 크림타입 화장품용기
JP2006124016A (ja) 流動体貯留容器
JP2008296948A (ja) 流動体吐出ポンプ
JP2008260539A (ja) ピストンおよびそのピストンを使用した流動体容器
US11701676B2 (en) Trigger sprayer assembly with dual action piston
JP2556685Y2 (ja) ディスペンサー
JP2004255231A (ja) 流動体吐出ポンプ
JP2003312708A (ja) 液体容器の弁機構
KR200198041Y1 (ko) 유동체토출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