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9643B1 - 투명한 열가소성 조성물 - Google Patents

투명한 열가소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9643B1
KR100709643B1 KR1020027016147A KR20027016147A KR100709643B1 KR 100709643 B1 KR100709643 B1 KR 100709643B1 KR 1020027016147 A KR1020027016147 A KR 1020027016147A KR 20027016147 A KR20027016147 A KR 20027016147A KR 100709643 B1 KR100709643 B1 KR 100709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formula
article
polycarbonate
transparent thermop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6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5420A (ko
Inventor
뤼디거 고르니
지그프리트 안데르스
볼프강 니징
빌프리트 하에제
Original Assignee
바이엘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엘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바이엘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30005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5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9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96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15Compounds containing carbon-to-nitrogen triple bo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Using Thermal Mean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한 열가소성 중합체 및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Figure 112002039385778-pct00010
상기 식에서, R1 내지 R40은 동일 또는 상이하고, H, 알킬, 할로겐 및 CN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은 또한 그로부터 수득한 제품에 관한 것이다.
투명한 열가소성 조성물, 폴리카르보네이트

Description

투명한 열가소성 조성물 {Transparent Thermoplastischic Composition}
본 발명은 투명한 열가소성 중합체 및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제품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2039385778-pct00001
상기 식에서, R1 내지 R40은 동일 또는 상이하고, H, 알킬, 할로겐 및 -CN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폴리카르보네이트 시트는 예를 들어 EP-A 0 110 221호에 공지되어 있으며, 수많은 용도를 위해 제공된다. 폴리카르보네이트 함유 조성물을 압출시키고, 임의 로 UV 흡수제를 증가된 비율로 함유할 수 있는 폴리카르보네이트 함유 조성물과 함께 공압출시킴으로써 제조한다.
폴리카르보네이트 함유 조성물로 된 제품, 예컨대 안경 렌즈 및 플라스틱 헤드라이트 렌즈는 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자동차 글레이징은 목적에 따라 사출 성형 또는 압출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투명한 폴리카르보네이트 시트의 선택에 있어 중요한 인자는 높은 광투과율 및 낮은 흐림도이다. 태양광의 UV 부분에 의해 시트에 심각한 황색화가 일어나지 않도록, 보통 폴리카르보네이트에 1종 이상의 UV 안정화제를 혼입시킨다. 투명한 글레이징의 경우, 시트의 흐림도가 증가하면 시트 뒤쪽에 있는 물체가 보다 불량하게 보이게 된다. 이러한 흐림도 효과는 시트가 두꺼울 수록 광학적으로 보다 현저해진다. 낮은 흐림도는 예를 들어 자동차 글레이징에 특히 중요하다.
DE-A 1 670 951호에는 예를 들어 치환된 벤조트리아졸 기재의 UV 흡수제가 UV 광의 작용하에 황색화에 대해 폴리카르보네이트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사용된다고 교시되어 있다.
EP-A 0 320 632호에는 UV 광에 의한 황색화로부터 장기간 보호를 위해 폴리카르보네이트 시트에 저휘발성 UV 흡수제, 특히 벤조트리아졸 이합체, 예컨대 티누빈 360(Tinuvin(등록상표), 비스[2-히드록시-5-tert-옥틸-3-(벤조트리아졸-2-일)페닐]메탄, 스위스 바젤 소재의 시바 스페지알리태텐케미(Ciba Spezialitaetenchemie)의 제품)을 함유하는 공압출층을 충분히 높은 농도로 혼입시켜야 한다고 교시되어 있다.
WO 96/15102호에는 광 안정화제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유기 재료를 위한 안정화제로서 작용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을 비롯한 특별한 UV 흡수제가 기재되어 있다.
WO 96/15102호에는 이 문헌에 기재된 0.01 내지 10 중량% 함량의 UV 흡수제가 유기 재료에서 UV 보호 기능을 한다고 교시되어 있다. 그러나, 폴리카르보네이트에서의 UV 보호에 대한 질에 대해서는 전혀 기재되어 있지 않다. 또한, 낮은 흐림도 조성물을 수득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도 전혀 교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UV 방사선에 대해 안정하고 높은 광 투과율 및 낮은 흐림도를 갖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목적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목적은
a) 투명한 열가소성 중합체 및
b) 1종 이상의 상이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제품에 의해 달성된다.
<화학식 I>
Figure 112002039385778-pct00002
상기 식에서, R1 내지 R40은 동일 또는 상이하고, H, 알킬, 할로겐 및 -CN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0.08 내지 0.6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3 중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함유한다.
바람직하게는 R1 내지 R40은 H(수소)로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한 열가소성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술폰,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의 코폴리에스테르,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의 코폴리에스테르, 폴리 에테르 술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상기 중합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매우 투명한 결정형 제품으로 가공될 수 있는 중합체 및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투명한 열가소성 중합체 폴리카르보네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폴리카르보네이트는 비스페놀 A를 기재로 한 폴리카르보네이트, 특히 비스페놀 A 및 1,1-비스(4-히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을 기재로 한 비스페놀 A 호모폴리카르보네이트 및 코폴리카르보네이트이다.
특히 적합한 투명한 열가소성 중합체는 또한 비스페놀 기재의 코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 또는 코폴리아크릴레이트 및 폴리- 또는 코폴리메타크릴레이트 (예, 폴리- 또는 코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과의 공중합체 (예, 투명한 폴리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SAN)), 및 투명한 시클로올레핀, 테레프탈산의 중축합물 또는 공중축합물 (예, 폴리- 또는 코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또는 CoPET 또는 PETG))이다.
폴리에스테르 및 코폴리에스테르의 예는 EP-A 0 678 376호, EP-A 0 595 413호 및 US-A 6 096 854호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04 내지 0.7 중량%의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스테아레이트 또는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또는 구에르벳(Guerbet) 알콜의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상기 문단에 따른 조성물을 함유하는 제품에 의해 달 성된다.
시트, 고체 시트, 다벽 시트, 주름진 시트, 글레이징 패널, 온실, 보관실, 버스 대합실, 광고 게시판, 간판, 보호 스크린, 자동차 글레이징, 창, 루프, 플라스틱 헤드라이트 렌즈 및 안경 렌즈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품이 바람직하다.
다층이며 한 층 이상이 그 층 아래를 UV 광의 유해한 영향으로부터 보호하기에 충분히 높은 함량으로 UV 흡수제를 함유하는 제품 또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은 한 층 이상에 함유된 UV 흡수제가 화학식 I의 화합물인 것으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태양은 한 층 이상에 함유된 UV 흡수제가 또다른 화합물인 것으로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태양은 투명한 열가소성 중합체가 20 중량% 이상의 폴리카르보네이트로 구성된 중합체 블렌드이고, 상기 중합체 블렌드가 폴리카르보네이트 이외에도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이들 둘다를 블렌드 파트너로서 함유하는 것으로 제공된다.
R1 내지 R40이 H로 동일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우비눌 3030(Uvinul(등록상표))로서 독일 루드빅샤펜 소재의 바스프 아게(BASF AG)사로부터 시판된다.
R1 내지 R40이 H로 동일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법은 WO 96/15102호에 기재되어 있다. R1 내지 R40이 상이한 의미를 갖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상응하는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휘발성이 낮기 때문에 공압출된 시트를 위한 UV 보호제로서 투명한 열가소성 중합체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EP-A 0 320 632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것들을 사용(공압출 성형 조성물에서의 용도)할 수 있다.
놀랍게도, 화학식 I의 화합물을 0.08 내지 0.6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3 중량%의 농도로 사용할 경우, 흐림도 및 광 투과율이 통상적인 벤조트리아졸 UV 흡수제에서보다 양호해진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르보네이트는 호모폴리카르보네이트, 코폴리카르보네이트 및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이다.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디클로로메탄에서 또는 동일한 중량의 페놀/o-디클로로벤젠의 혼합물에서 광 산란에 의해 조절되는 용액 상대 점도를 측정함으로써 결정되는 중량평균분자량
Figure 112002039385778-pct00003
가 18,000 내지 40,000 g/mol, 바람직하게는 20,000 내지 36,000 g/mol, 특히 22,000 내지 35,000 g/mol이다.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제조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슈넬(Schnell)의 문헌["Chemistry and Physics of Polycarbonates", Polymer Reviews, Vol. 9, Interscience Publishers, New York, London, Sydney, 1964], 프리보르섹(D.C. PREVORSEK), 디보나(B.T. DEBONA) 및 케스틴(Y. KESTEN)의 문헌[Corporate Research Center, Allied Chemical Corporation, Moristown, New Jersey 07960, "Synthesis of Poly(ester)carbonate Copolymers" in Journal of Polymer Science, Polymer Chemistry Edition, Vol. 19, 75-90 (1980)], 프라이태그(D. Freitag), 그리고(U. Grigo), 뮐러(P.R. Mueller), 노우페르튼(N. Nouvertne)의 문헌[BAYER AG, "Polycarbonates" in Encyclopedia of Polymer Science and Engineering, Vol. 11, Second Edition, 1988, pages 648-718] 및 그리고(Drs. U. Grigo), 키르커(K. Kircher)및 뮐러(P.R. Mueller)의 문헌["Polycarbonates" in Becker/Braun, Kunststoff-Handbuch, Volume 3/1, Polycarbonate, Polyacetate, Polyester, Celluloseester, Carl Hanser Verlag, Munich, Vienna, 1992, pages 117-299]을 참조한다.
바람직하게는, 계면 중축합 공정에 의해 또는 용융 에스테르 교환 공정에 의해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제조를 수행하는데, 예로써 계면 중축합 공정의 이용을 기재한다.
출발 화합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화합물은 화학식 HO-Z-OH의 비스페놀 (식 중, Z는 6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고 1개 이상의 방향족기를 가지는 2가 유기 라디칼임)이다. 상기 화합물의 예는 디히드록시디페닐, 비스(히드록시페닐)알칸, 인단 비스페놀, 비스(히드록시페닐)에테르, 비스(히드록시페닐)술폰, 비스(히드록시페닐)케톤 및 α,α'-비스(히드록시페닐)디이소프로필벤젠의 화합물군에 속하는 비스페놀이다.
상기 화합물군에 속하는 특히 바람직한 비스페놀은 비스페놀 A, 테트라알킬비스페놀 A, 4,4-(메타-페닐렌디이소프로필)디페놀 (비스페놀 M), 4,4-(파라-페닐렌디이소프로필)디페놀, 1,1-비스(4-히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BP-TMC), 2,2-비스(4-히드록시페닐)-2-페닐에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비스페놀 Z) 및 임의로 이들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비스페놀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탄산 화합물, 특히 포스겐과 반응시키거나, 용융 에스테르 교환 공정의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디페닐 카르보네이트 또는 디메틸 카르보네이트와 반응시킨다.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는 상기 언급한 비스페놀과 1종 이상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 임의로 탄산 등가물의 반응에 의해 수득된다. 상기 목적에 적합한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의 예에는 프탈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3,3'- 또는 4,4'-디페닐디카르복실산 및 벤조페논디카르복실산이 포함된다. 폴리카르보네이트 중 80 몰%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 몰% 비율의 카르보네이트기가 방향족 디카르복실레이트기로 교체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르보네이트로 언급된다.
계면 중축합 공정에서 사용되는 불활성 유기 용매로는 예를 들어 디클로로메탄, 다양한 디클로로에탄 및 클로로프로판 화합물, 테트라클로로메탄, 트리클로로메탄, 클로로벤젠 및 클로로톨루엔이 포함되고, 클로로벤젠 또는 디클로로메탄, 또는 디클로로메탄과 클로로벤젠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면 중축합 반응은 3급 아민, 특히 N-알킬피페리딘 또는 오늄염과 같은 촉매에 의해 가속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트리부틸아민, 트리에틸아민 및 N-에틸피페리딘이 사용된다. 용융 에스테르 교환 공정의 경우에는, DE-A 4 238 123호에 언급된 촉매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폴리카르보네이트는 소량의 분지화제를 이용하여 계획되고 제어된 방식으로 분지화시킬 수 있다. 몇몇 적합한 분지화제에는 플로로글루시놀, 4,6-디메틸- 2,4,6-트리(4-히드록시페닐)-2-헵텐, 4,6-디메틸-2,4,6-트리(4-히드록시페닐)헵탄, 1,3,5-트리(4-히드록시페닐)벤젠, 1,1,1-트리(4-히드록시페닐)에탄, 트리(4-히드록시페닐)페닐메탄, 2,2-비스[4,4-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실]프로판, 2,4-비스(4-히드록시페닐이소프로필)페놀, 2,6-비스(2-히드록시-5'-메틸벤질)-4-메틸페놀, 2-(4-히드록시페닐)-2-(2,4-디히드록시페닐)프로판, 헥사(4-(4-히드록시페닐이소프로필)페닐)오르토테레프탈레이트, 테트라(4-히드록시페닐)메탄, 테트라(4-(4-히드록시페닐이소프로필)페녹시)메탄, α,α',α"-트리스(4-히드록시페닐)-1,3,5-트리이소프로필벤젠, 2,4-디히드록시벤조산, 트리메스산, 시아누르산 클로라이드, 3,3-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2-옥소-2,3-디히드로인돌, 1,4-비스(4',4"-디히드록시트리페닐)메틸)벤젠, 특히 1,1,1-트리(4-히드록시페닐)에탄 및 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2-옥소-2,3-디히드로인돌이 포함된다.
사용된 비스페놀을 기준으로 0.05 내지 2 몰%의 임의로 혼입될 수 있는 분지화제 또는 분지화제 혼합물은 비스페놀과 함께 공급할 수 있거나, 또는 합성의 마지막 단계에 첨가할 수도 있다.
연쇄 중단제가 사용될 수 있다. 연쇄 중단제로서 바람직하게는 페놀류, 예컨대 페놀, 알킬페놀, 예컨대 크레졸 및 4-tert-부틸페놀, 클로로페놀, 브로모페놀, 쿠밀페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게는 비스페놀 1 몰 당 1 내지 20 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 몰%의 양으로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페놀, 4-tert-부틸페놀 또는 쿠밀페놀이 바람직하다.
연쇄 중단제 및 분지화제는 비스페놀과는 별도로 또는 함께 합성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위한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용융 에스테르 교환 공정에 의한 제법은 예를 들어 DE 4 238 123호에 기재되어 있다.
UV 흡수제는 통상적인 방법, 예를 들어 UV 흡수제 용액과 플라스틱 용액을 적합한 유기 용매, 예컨대 CH2Cl2, 할로알칸, 할로겐화 방향족, 클로로벤젠 및 크실렌 중에서 함께 혼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혼입시킨다. 그 다음, 상기 물질들의 혼합물을 공지된 방법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압출에 의해 균질화시킨다. 용액 혼합물을 공지된 방법으로 용매 증발에 의해 제거한 후, 예를 들어 압출기에서 압출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적합한 금형 이형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적합한 금형 이형제는 예를 들어 장쇄 지방족산과 알콜의 에스테르이다. 본원에서는 지방산 알콜 또는 폴리올의 에스테르, 예컨대 DE-A 33 12 158호, EP-A 0 100 918호, EP-A 0 103 107호, EP-A 0 561 629호, EP-A 0 352 458호, EP-A 0 436 117호에 기재된 것와 같은 펜타에리스리톨과 지방산의 에스테르, 또는 US-A 5 001 180호, DE-A 33 12 157호, US-A 5 744 626호에 기재된 것과 같은 지방산과 구에르벳 알콜의 에스테르를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안정화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적합한 안정화제는 예를 들어 포스핀, 포스파이트 또는 에폭시드, 또는 Si-함유 안정화제 및 EP-A 0 500 496호 및 US-A 3 673 146호에 기재된 다른 화합물이 다. 트리페닐 포스파이트, 디페닐알킬 포스파이트, 페닐디알킬 포스파이트, 트리스(노닐페닐) 포스파이트, 테트라키스(2,4-디-tert-부틸페닐)-4,4'-비페닐렌 디포스포나이트 및 트리아릴 포스파이트를 예로 들 수 있다. 트리페닐포스핀 및 트리스(2,4-디-tert-부틸페닐) 포스파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제품은 유기 염료, 무기 안료, 형광 염료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광학 표백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시트의 압출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시트는 한쪽면 또는 양쪽면에 공압출층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공압출은 문헌에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EP-A 0 110 221호 및 EP-A 0 110 238호 참조).
임의로 사용될 수 있는 공압출 성형 조성물을 위한 적합한 UV 흡수제는 바람직하게는 400 nm 미만에서의 흡광력으로 인해 UV광으로부터 폴리카르보네이트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으며 분자량이 370 초과, 바람직하게는 500 이상인 화합물이다.
적합한 UV 흡수제는 특히 WO 99/05205호에 기재된 하기 화학식 II의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III의 화합물이다.
Figure 112002039385778-pct00004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동일 또는 상이하고, H, 할로겐, C1-C10 알킬, C 5-C10 시클로알킬, C7-C13 아르알킬, C6-C14 아릴, -OR5 또는 -(CO)-O-R 5를 나타내고, 이 때 R5는 H 또는 C1-C4 알킬이고,
R3 및 R4는 마찬가지로 동일 또는 상이하고, H, C1-C4 알킬, C5-C6 시클로알킬, 벤질 또는 C6-C14 아릴을 나타내고,
m은 1, 2 또는 3이고,
n은 1, 2, 3 또는 4이다.
Figure 112002039385778-pct00005
상기 식에서,
브릿지는
Figure 112002039385778-pct00006
를 나타내고,
R1, R2, m 및 n은 상기 화학식 II에 대해 주어진 의미와 같고,
p는 0 내지 3의 정수이고,
q는 1 내지 10의 정수이고,
Y는 -CH2-CH2-, -(CH2)3-, -(CH2)4-, -(CH2)5-, -(CH2)6- 또는 CH(CH3)-CH2-이고,
R3 및 R4는 상기 화학식 II에 대해 주어진 의미와 같다.
다른 적합한 UV 흡수제는 치환된 트리아진, 예컨대 2,4-비스(2,4-디메틸페닐)-6-(2-히드록시-4-n-옥틸옥시페닐)-1,3,5-트리아진 (시아소르브(CYASORB:등록상표) UV-1164) 또는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헥실)옥시페놀 (티누빈(등록상표) 1577)이다. 특히 바람직한 UV 흡수제는 상표명 티누빈(등록상표) 360 또는 아데카 스타브(Adeka Stab:등록상표) LA 31로 시판되는 2,2-메틸렌비 스(4-(1,1,3,3-테트라메틸부틸)-6-(2H-벤조트리아졸-2-일)페놀이다. EP-A 0 500 496호에 기재된 UV 흡수제가 또한 적합하다. WO 96/15102호의 실시예 1에서 얻을 수 있는 바스프 아게사의 UV 흡수제 우비눌 3030 (R1 내지 R40이 H로 동일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정전기 방지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정전기 방지제의 예로는 양이온성 화합물, 예를 들어 4급 암모늄염, 포스포늄염 또는 술포늄염; 음이온성 화합물, 예를 들어 알킬 술포네이트, 알킬 술페이트, 알킬 포스페이트,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 형태의 카르복실레이트; 비이온성 화합물,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테르, 지방산 에스테르, 에톡실화 지방 아민이 있다. 바람직한 정전기 방지제는 비이온성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합성에 사용되는 모든 공급 물질 및 용매는 제조 및 저장 조건의 결과로 상응하는 불순물로 오염될 수 있으나, 가능한 한 깨끗한 출발 물질로 작업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개별 성분은 공지된 방법으로 연속적으로 및 동시에, 실온에서 및 승온에서 혼합시킬 수 있다.
첨가제는 공지된 방법에 의해 첨가제와 중합체 과립을 혼합한 다음 압출시킴으로써, 또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용액을 첨가제 용액과 혼합한 후 공지된 수단으로 용매를 증발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혼입된다.
첨가제의 비율은 광범위한 제한 내에서 달라질 수 있고, 조성물의 원하는 특성에 의존한다.
조성물 중 첨가제의 총 비율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5 중량%이다.
이렇게 수득한 조성물은 통상적인 방법, 예를 들어 고온 압착 성형, 스피닝, 압출 또는 사출 성형에 의해 성형체(제품), 예컨대 인형의 일부뿐 아니라, 섬유, 필름, 필름 테이프, 고체 시트, 다벽 시트, 주름진 시트, 용기, 파이프 및 다른 것으로 전환될 수 있다. 조성물은 또한 캐스트 필름으로 가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성형체(제품)의 제조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다층 시스템의 용도 또한 해당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혼입시켜 제조한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고체 플라스틱 시트 및 다벽 시트(예, 2벽 시트, 3벽 시트 등)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시트에는 또한 한쪽면 또는 양쪽면에 UV 흡수제를 증가된 함량으로 갖는 추가의 외층을 갖는 것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개선된 광학 특성을 갖는 제품, 특히 시트 및 그로부터 제조된 제품, 예를 들어 건축 분야 및 자동차 분야의 글레이징(고체 시트, 다벽 시트 및 주름진 시트) 및 구조 부품, 및 플라스틱 헤드라이트 렌즈 및 안경 렌즈 및 램프 하우징, 램프 커버, 전자 산업에서의 하우징, 병 및 필름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 제조된 제품의 후속 가공, 예를 들어 열성형 또는 표면 처리, 예를 들어 스크래치 내성 페인팅, 수확산성 코팅, 증착, 스퍼터링, 필름 또는 시트 라미네이팅 등의 적용이 가능하고,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공정에 의해 제조된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예시되나, 이 실시예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시험 A 내지 H를 위한 시험 조각을 제조하기 위해, 상표명 마크롤론(Makrolon:등록상표) 3108 (독일 레버쿠젠 소재의 바이엘 아게로부터의 선형 비스페놀 A 폴리카르보네이트, 300℃에서 6.5 g/10분의 용융 지수(MFR) 및 1.2 kg 하중)의 폴리카르보네이트를 2축 압출기하에서 310℃에서 특정량의 UV 흡수제와 배합한 다음, 과립화하였다. 다음, 직사각형 시트(60 mm ×40 mm ×3 mm)를 사출 성형에 의해 상기 과립으로부터 제조하였다.
상기 시트를 내후성 시험기(Weather-o-meter, 아틀라스, 유에스에이(Atlas, USA) 제품)에서 6.5 와트 크세논 버너를 이용하여 조사 102분 및 조사하에 탈염수 분무 18분의 사이클로 풍화시켰다. 최대 블랙 패널 온도는 60℃(±5℃)였다.
광투과율, 황색도 및 흐림도를 ASTM 규격 D 1003에 따라 헤이즈-가드 플러스 장치 (Haze-Gard plus, 데-82538 게레트스리드 소재의 BYK-가드너 게엠베하(BYK-Gardner GmbH) 제품)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에 편집하여 기재하였다.
Figure 112002039385778-pct00007
티누빈(등록상표) 350 = 2-(2H-벤조트리아졸-2-일)-4-(1,1-디메틸에틸)-6-(2-메틸-프로필)페놀
우비눌(등록상표) 3030 = R1 내지 R40이 H로 동일한 화학식 I의 화합물
상기 결과는 우비눌(등록상표) 3030을 혼입시킨 사출 성형 시트가 티누빈(등록상표) 350을 혼입시킨 사출 성형 시트에 비해 낮은 흐림도 및 보다 양호한 광 투과율을 가짐을 보여준다. 이는 적어도 0.1 내지 0.3 중량%의 농도 범위에서는 사실이다.
너무 높은(0.8%) 우비눌(등록상표) 3030의 농도에서는 흐림도가 매우 높아지게 된다. 이러한 높은 흐림도를 갖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시트는 더이상 사용할 수 없다.
Figure 112002039385778-pct00008
상기 결과는 B 및 F는 풍화 거동이 매우 유사함을 보여준다. H는 황색화가 현저히 과도하게 진행되었다. 이들 폴리카르보네이트 시트는 글레이징에 적합하지 않다. 0.02 중량%의 우비눌(등록상표) 3030은 적절한 UV 안정화를 위해서는 너무 낮은 농도이다.

Claims (11)

  1. a) 투명한 열가소성 중합체 및
    b) 1종 이상의 상이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화학식 I>
    Figure 112002039385778-pct00009
    상기 식에서, R1 내지 R40은 동일 또는 상이하고, H, 알킬, 할로겐 및 -CN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2. 제1항에 있어서, R1 내지 R40이 H로 동일한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화학식 I의 화합물 0.08 내지 0.6 중량%를 함 유하는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투명한 열가소성 중합체가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술폰,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의 코폴리에스테르,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의 코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 술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상기 중합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투명한 열가소성 중합체가 폴리카르보네이트인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스테아레이트 또는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또는 구에르벳(Guerbet) 알콜의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물 0.01 내지 1 중량%를 추가로 함유하는 조성물.
  7.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조성물을 함유하는 제품.
  8. 제7항에 있어서, 시트, 고체 시트, 다벽 시트, 주름진 시트, 글레이징 패널, 온실, 보관실, 버스 대합실, 광고 게시판, 간판, 보호 스크린, 자동차 글레이징, 창, 루프, 플라스틱 헤드라이트 렌즈 및 안경 렌즈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품.
  9. 제7항에 있어서, 제품이 다층이고, 한 층 이상이 그 층 아래를 UV 광의 유해한 영향으로부터 보호하기에 충분히 높은 함량으로 UV 흡수제를 함유하는 제품.
  10. 제9항에 있어서, UV 흡수제를 증가된 비율로 갖는 층이 공압출에 의해 도포된 제품.
  11. 제9항에 있어서, UV 흡수제를 증가된 비율로 갖는 층이 페인팅에 의해 도포된 제품.
KR1020027016147A 2000-05-29 2001-05-16 투명한 열가소성 조성물 KR1007096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26628A DE10026628A1 (de) 2000-05-29 2000-05-29 Transparente thermoplastische Zusammensetzungen
DE10026628.2 2000-05-29
PCT/EP2001/005562 WO2001092395A1 (de) 2000-05-29 2001-05-16 Transparente thermoplastische zusammensetz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5420A KR20030005420A (ko) 2003-01-17
KR100709643B1 true KR100709643B1 (ko) 2007-04-23

Family

ID=7643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6147A KR100709643B1 (ko) 2000-05-29 2001-05-16 투명한 열가소성 조성물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20030130390A1 (ko)
EP (1) EP1290078B1 (ko)
JP (1) JP2003535169A (ko)
KR (1) KR100709643B1 (ko)
CN (1) CN1211423C (ko)
AT (1) ATE272678T1 (ko)
AU (2) AU6597201A (ko)
BR (1) BR0111121A (ko)
CA (1) CA2410319C (ko)
DE (2) DE10026628A1 (ko)
ES (1) ES2225559T3 (ko)
IL (2) IL152911A0 (ko)
MX (1) MXPA02011799A (ko)
RU (1) RU2002135904A (ko)
TW (1) TWI301139B (ko)
WO (1) WO20010923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58290A1 (de) * 2000-11-23 2002-05-29 Basf Ag Verfahren zur Stabilisierung von Polyolefinen
DE10159373A1 (de) * 2001-12-04 2003-06-12 Bayer Ag Mehrschichtiges Erzeugnis
US6899866B2 (en) 2002-09-06 2005-05-31 Cph Innovations Corporation Photostabilization of a sunscreen composition with a combination of an α-cyano-β, β-diphenylacrylate compound and a dialkyl naphithalate
US6919473B2 (en) 2002-09-17 2005-07-19 Cph Innovations Corporation Photostabilizers, UV absorbers, and methods of photostabilizing a sunscreen composition
US7544350B2 (en) * 2002-11-22 2009-06-09 Hallstar Innovations Corp. Method of decreasing the UV light degradation of polymers
DE10308226A1 (de) 2003-02-25 2004-09-23 Degussa Ag Transparente Formmasse für optische Anwendungen
US6811841B1 (en) 2003-04-15 2004-11-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ight-stable structures
JP2005264132A (ja) * 2004-02-17 2005-09-29 Teijin Chem Ltd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US7534420B2 (en) 2004-02-25 2009-05-19 Hallstar Innovations Corp. Compounds derived from polyanhydride resins with film-forming, UV-absorbing, and photostablizing properties,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7235587B2 (en) 2004-07-01 2007-06-26 Cph Innovations Corporation Diesters containing two crylene or fluorene moieties, sunscreen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and methods of photostabilizing a sunscreen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DE102004036965A1 (de) * 2004-07-30 2006-02-16 Basf Ag Stabilisatorzusammensetzung aus flüssigen und festen UV-Absorbern
US8158678B2 (en) 2005-04-07 2012-04-17 Cph Innovations Corp. Photoabsorbing, highly conjugated compounds of cyanoacrylic esters, sunscree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US8691915B2 (en) 2012-04-23 2014-04-08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Copolymers and polymer blends having improved refractive indices
CN111117201B (zh) * 2020-02-25 2021-11-05 潮州明园新材料有限公司 一种高硬度pc光扩散材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1380A (en) 1994-11-10 1998-10-13 Basf Aktiengesellschaft 2-cyanoacrylic esters
WO2001016224A2 (en) * 1999-09-01 2001-03-08 The Dow Chemical Company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s comprising cyanacrylic acid ester stabilizer compounds
WO2001060902A1 (de) * 2000-02-15 2001-08-23 Bayer Aktiengesellschaft Zusammensetzung enthaltend polycarbonat und pigment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53918A (en) * 1975-09-22 1979-10-10 American Cyanamid Co Aminonitrilles and their use as stabilizers for polycarbonates
DE3739765A1 (de) * 1987-11-24 1989-06-08 Bayer Ag Beschichtete formkoerper und ei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JPH05125328A (ja) * 1990-12-17 1993-05-21 Kaken Tec Kk トツプコート剤
JP2000014255A (ja) * 1998-06-30 2000-01-18 Mitsui Chemicals Inc 植物成長制御用被覆材料
JP2000129112A (ja) * 1998-10-28 2000-05-09 Teijin Ltd 安定化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品
JP3845213B2 (ja) * 1998-11-05 2006-11-15 帝人化成株式会社 シート用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US6753367B2 (en) * 2001-08-20 2004-06-22 General Electric Company Flame retardant polycarbonate compositions with improved weathering performance containing cyanoacrylic ester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1380A (en) 1994-11-10 1998-10-13 Basf Aktiengesellschaft 2-cyanoacrylic esters
WO2001016224A2 (en) * 1999-09-01 2001-03-08 The Dow Chemical Company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s comprising cyanacrylic acid ester stabilizer compounds
WO2001060902A1 (de) * 2000-02-15 2001-08-23 Bayer Aktiengesellschaft Zusammensetzung enthaltend polycarbonat und pigmen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0103131D1 (de) 2004-09-09
CN1211423C (zh) 2005-07-20
AU2001265972B2 (en) 2005-02-24
BR0111121A (pt) 2003-04-08
JP2003535169A (ja) 2003-11-25
TWI301139B (en) 2008-09-21
RU2002135904A (ru) 2004-09-10
EP1290078A1 (de) 2003-03-12
KR20030005420A (ko) 2003-01-17
AU6597201A (en) 2001-12-11
WO2001092395A1 (de) 2001-12-06
ATE272678T1 (de) 2004-08-15
DE10026628A1 (de) 2001-12-06
CA2410319C (en) 2010-01-12
US20030130390A1 (en) 2003-07-10
IL152911A (en) 2007-10-31
CN1430642A (zh) 2003-07-16
ES2225559T3 (es) 2005-03-16
MXPA02011799A (es) 2003-05-14
EP1290078B1 (de) 2004-08-04
CA2410319A1 (en) 2001-12-06
IL152911A0 (en) 2003-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2803B1 (ko)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안료를 함유하는 조성물
RU2309851C2 (ru) Многослойное изделие
KR100709643B1 (ko) 투명한 열가소성 조성물
CA2558119C (en) Compositions containing polycarbonate and novel hydroxyphenyltriazine uv absorbers
KR20040005669A (ko) 폴리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다층 제품
DE102007011069A1 (de) Polycarbonatzusammensetzung enthaltend UV-Absorber
JP2003508615A (ja) 成形組成物
US6893689B2 (en) Heat-absorbent multi-layer structure
KR20040068181A (ko) 다층 생성물
KR100658548B1 (ko) 폴리카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
RU2293749C2 (ru)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термопластичные полимеры
KR20020094918A (ko) 열 흡수 중합체 조성물
MXPA02004648A (es) Masas de moldeo de policarbonato.
KR100684225B1 (ko) 폴리카르보네이트 함유 조성물
JP4153788B2 (ja) 熱可塑性合成物質を含有する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