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9187B1 - 음극선관용 마스크 조립체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용 마스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9187B1
KR100709187B1 KR1020050029463A KR20050029463A KR100709187B1 KR 100709187 B1 KR100709187 B1 KR 100709187B1 KR 1020050029463 A KR1020050029463 A KR 1020050029463A KR 20050029463 A KR20050029463 A KR 20050029463A KR 100709187 B1 KR100709187 B1 KR 100709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d
frame
beads
reinforcing
cathode 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9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6369A (ko
Inventor
김종헌
오형석
최상신
현민범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9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9187B1/ko
Priority to CNB2006100569696A priority patent/CN100559543C/zh
Priority to US11/377,358 priority patent/US7486008B2/en
Priority to BRPI0602217-0A priority patent/BRPI0602217A/pt
Publication of KR20060106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6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9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9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82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electron-optical or ion-optic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01J29/073Mount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shadow mas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61Vessels or container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the stru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86Vessels and containers
    • H01J2229/8626Frame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마스크 조립체는 다수의 빔통과 구멍들을 갖는 섀도우 마스크와, 한 쌍의 장변들과 한 쌍의 단변들을 가지며 섀도우 마스크가 고정되는 지지부 및 지지부로부터 굽어져 형성되는 강도 유지부를 구비하는 프레임을 포함한다. 지지부와 강도 유지부의 경계부에는 이 경계부의 둘레를 따라 서로간 소정의 간격을 두고 프레임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보강 비드들이 제공되며, 보강 비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보강 비드가 하기 조건을 만족한다.
Figure 112005018505086-pat00001
여기서, S1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강 비드가 형성된 부위를 단면으로 보았을 때 이 보강 비드를 포함하는 지지부의 전체 폭과, 이 보강 비드를 포함하는 강도 유지부의 전체 폭 및 지지부의 끝단과 강도 유지부의 끝단을 연결하는 가상선에 의해 정의되는 삼각형의 면적을 나타내고, S2는 S1과 동일한 단면 조건에서 정의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강 비드의 단면적을 나타낸다.
음극선관,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지지부, 강도유지부, 보강비드

Description

음극선관용 마스크 조립체 {MASK ASSEMBLY FOR CATHODE RAY TUB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용 마스크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프레임에서 제2 비드의 위치 변화에 따른 섀도우 마스크와 프레임간 장변 용접점에서의 진폭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에서 제2 비드의 위치 변화에 따른 섀도우 마스크와 프레임간 단변 용접점에서의 진폭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도 2의 Ⅱ-Ⅱ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에서 단면적 S1과 S2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에서 제2 비드의 단면적 변화에 따른 섀도우 마스크와 프레임간 용접점에서의 진폭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조립체를 적용한 음극선관을 나타 낸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음극선관용 마스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의 충격 또는 음압에 의한 진동이 프레임을 통해 섀도우 마스크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한 음극선관용 마스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극선관은 전자총에서 방출된 전자빔이 편향 요크의 편향 자계에 의해 편향되면서 색선별 기능을 갖는 섀도우 마스크를 통과하여 패널 내면에 형성된 형광 스크린의 적색, 녹색, 청색의 형광층에 충돌하고, 전자빔이 충돌된 형광층이 여기 발광하는 것에 의하여 소정의 화상을 구현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음극선관에서 마스크 조립체는 섀도우 마스크와, 섀도우 마스크의 지지체인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섀도우 마스크는 금속 플레이트에 사진 식각법으로 다수의 빔통과 구멍을 형성한 다음, 프레스 공정으로 그 둘레부를 굽힘 성형하는 과정을 통해 완성되며, 프레임이 섀도우 마스크의 둘레부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바깥 둘레부에는 다수의 스프링 부재가 부착되고, 이 스프링 부재가 패널 내부에 고정된 스터드 핀(stud pin)에 끼워짐으로써 마스크 조립체가 음극선관 내부에 장착된다.
여기서, 섀도우 마스크는 전자총에서 방출된 세줄기 전자빔을 선별하여 각 전자빔을 해당하는 색의 형광층에 정확하게 랜딩시키는 색선별 기능을 수행하므로, 음극선관 작용중 빔통과 구멍들이 지정된 위치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고화질을 확보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섀도우 마스크는 두께가 극히 얇고 자체의 강성이 약하기 때문에, 음극선관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거나 스피커의 음압 등에 의해 진동이 발생할 때, 프레임이 자체적으로 진동을 흡수하여 상기 진동이 섀도우 마스크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 프레임의 두께를 증가시켜 강성을 높일 수 있겠으나, 이 경우에는 마스크 조립체의 무게가 증가하므로 음극선관을 중량화시키는 단점이 있다. 이로써 프레임의 무게 증가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프레임의 구조를 효율적으로 개선하여 강성을 높이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레임의 구조를 개선하여 프레임의 강성과 진동 흡수 능력을 높일 수 있는 음극선관용 마스크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극선관용 마스크 조립체는 다수의 빔통과 구멍들을 갖는 섀도우 마스크와, 한 쌍의 장변들과 한 쌍의 단변들을 가지며 섀도우 마스크가 고정되는 지지부 및 지지부로부터 굽어져 형성되는 강도 유지부를 구비하는 프레임을 포함한다. 이 때, 지지부와 강도 유지부의 경계부에는 이 경계부의 둘레를 따라 서로간 소정의 간격을 두고 프레임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보강 비드들이 제공되며, 보강 비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보강 비드가 하기 수식(1)과 수식(2)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한다.
Figure 112005018505086-pat00002
여기서, a와 b는 각각 상기 프레임의 장변 끝단으로부터 이 프레임의 장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한 보강 비드의 일측단까지의 거리와 다른 일측단까지의 거리를 나타내고, a'와 b'는 각각 상기 프레임의 단변 끝단으로부터 이 프레임의 단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한 보강 비드의 일측단까지의 거리와 다른 일측단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 LH와 LV는 각각 프레임의 장변 길이와 단변 길이를 나타낸다.
상기 보강 비드들은 프레임의 장변들 중앙과 단변들 중앙에 위치하는 제1 비드와, 프레임의 장변들과 단변들에서 각각의 제1 비드와 임의의 거리를 두고 제1 비드 양측에 위치하는 제2 비드와, 프레임의 네 코너부에 위치하는 제3 비드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 비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비드가 상기 수식(1)과 수식(2)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한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극선관용 마스크 조립체는 다수의 빔통과 구멍들을 갖는 섀도우 마스크와, 한 쌍의 장변들과 한 쌍의 단변들을 가지며 섀도우 마스크가 고정되는 지지부 및 지지부로부터 굽어져 형 성되는 강도 유지부를 구비하는 프레임을 포함한다. 이 때, 지지부와 강도 유지부의 경계부에는 이 경계부의 둘레를 따라 서로간 소정의 간격을 두고 프레임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보강 비드들이 제공되며, 보강 비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보강 비드가 하기 조건을 만족한다.
Figure 112005018505086-pat00003
여기서, S1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강 비드가 형성된 부위를 단면으로 보았을 때 이 보강 비드를 포함하는 지지부의 전체 폭과, 이 보강 비드를 포함하는 강도 유지부의 전체 폭 및 지지부의 끝단과 강도 유지부의 끝단을 연결하는 가상선에 의해 정의되는 삼각형의 면적을 나타내고, S2는 S1과 동일한 단면 조건에서 정의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강 비드의 단면적을 나타낸다.
상기 보강 비드들은 프레임의 장변들 중앙과 단변들 중앙에 위치하는 제1 비드와, 프레임의 장변들과 단변들에서 각각의 제1 비드와 임의의 거리를 두고 제1 비드 양측에 위치하는 제2 비드와, 프레임의 네 코너부에 위치하는 제3 비드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 비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비드가 상기 조건을 만족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용 마스크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마스크 조립체 가운데 프레임의 사시도로서, 강도 유지부가 도면 상측을 향해 위치한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면을 참고하면, 음극선관의 마스크 조립체는 다수의 빔통과 구멍(11)이 형성되는 섀도우 마스크(10)와, 섀도우 마스크(10)에 고정되어 이를 지지하는 프레임(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섀도우 마스크(10)는 다수의 빔통과 구멍(11)이 형성되어 유효 화면부를 구성하는 유공부(12)와, 유공부(12)를 둘러싸는 무공부(13)와, 무공부(13)로부터 프레임(20) 방향으로 굽어져 형성되는 스커트부(14)를 포함한다. 이러한 섀도우 마스크(10)는 공지의 인바(INVAR)강 또는 알루미늄킬드(AK)강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0)은 섀도우 마스크(10)의 스커트부(14)가 고정되어 이를 지지하는 지지부(21)와, 지지부(21)로부터 프레임(20) 내측을 향해 임의의 폭을 가지며 굽어져 형성되는 강도 유지부(22)를 포함한다. 지지부(21)는 섀도우 마스크(10)의 스커트부(14) 형상에 대응하여 한 쌍의 장변들과 한 쌍의 단변들을 가진다. 그리고 지지부(21)와 강도 유지부(22)의 경계부에는 이 경계부의 둘레를 따라 서로간 소정의 간격을 두고 프레임(20)의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보강 비드(23, 24, 25)가 형성된다.
상기 구성의 프레임(20)은 금속 판재를 딥 드로잉(deep drawing) 가공으로 성형하거나, "L"자 모양의 금속 판재를 용접 등으로 이어붙인 다음, 딥 드로잉 가공으로 보강 비드(23, 24, 25)를 성형하는 과정을 통해 완성될 수 있다. 상기한 섀도우 마스크(10)와 프레임(20)은, 섀도우 마스크(10)의 스커트부(14)를 프레임(20)의 지지부(21)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하는 것에 의해 일체화된다.
본 실시예에서 보강 비드(23, 24, 25)는 프레임(20)의 각 변마다 3개씩 배치되고, 각 코너부마다 하나씩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강 비드들(23, 24, 25)은 프레임(20)의 장변들과 단변들 중앙에 위치하는 제1 비드(23)와, 프레임(20)의 장변들과 단변들에서 제1 비드(23)와 임의의 거리를 두고 제1 비드(23) 양측에 위치하는 제2 비드(24)와, 제2 비드(24)와 임의의 거리를 두고 프레임(20)의 각 코너부에 위치하는 제3 비드(25)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비드(23)와 제2 비드(24)는 직선형으로 이루어지고, 제3 비드(25)는 프레임(20)의 장변과 단변에 걸치는 대략 "L"자형으로 이루어진다. 이들 보강 비드(23, 24, 25)는 바람직하게 프레임(20)의 각 변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이 되는 형상을 이룬다.
도 3은 보강 비드의 높이와 돌출 깊이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 2의 I-I선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H가 제1 비드(23)의 높이를 나타내고, D가 프레임(20) 내측을 향한 제1 비드(23)의 돌출 깊이를 나타낸다. 보강 비드(23, 24, 25)의 높이는 지지부(21)의 폭 방향에 따른 높이로 정의되고, 보강 비드(23, 24, 25)의 돌출 깊이는 강도 유지부(22)의 폭 방향에 따른 깊이로 정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강 비드들(23, 24, 25) 중 적어도 2개의 보강 비드는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3 비드(25)가 제1 비드(23) 및 제2 비드(24)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된다. 제3 비드(25)는 대략 "L"자형으로 이루어지므로, 직선형인 제1 비드(23) 및 제2 비드(24)보다 높이가 낮은 경우에도 충분한 강도 보 강을 얻을 수 있다.
이 때, 프레임(20)의 각 변에서 제1 비드(23)와 제2 비드(24) 역시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에서는 일례로 제1 비드(23)가 제2 비드(24)보다 약간 큰 높이를 가지며 형성되는 경우를 도시하였다.
또한, 전술한 보강 비드들(23, 24, 25) 중 적어도 2개의 보강 비드는 서로 다른 돌출 깊이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2 비드(24)의 돌출 깊이가 제1 비드(23) 및 제3 비드(25)의 돌출 깊이보다 크게 형성되며, 제3 비드(25)의 돌출 깊이가 제1 비드(23)의 돌출 깊이보다 크게 형성된다. 제2 비드(24)와 제3 비드(25)의 돌출 깊이를 크게 설정하는 것이 프레임(20)의 강도 보강에 효과적이다.
상기 구성의 프레임(20)에 있어서, 제2 비드(24)는 다음에 설명하는 길이 및 위치 조건과, 높이 및 돌출 깊이에 따른 체적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하여 프레임(20)의 강성을 높이는데 기여한다.
먼저, 프레임(20)의 장변에 위치하는 제2 비드(24)의 길이와 위치 조건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를 참고하면, 프레임(20)의 장변 끝단으로부터 제2 비드(24)의 일측단까지의 거리를 a라 하고, 프레임(20)의 장변 끝단으로부터 제2 비드(24)의 다른 일측단까지의 거리를 b라 할 때, 제2 비드(24)는 하기 수식 조건을 만족한다.
Figure 112005018505086-pat00004
여기서, LH은 프레임의 장변 길이를 나타낸다.
도 4a와 도 4b는 프레임의 장변에 진동이 가해지는 상태에서 제2 비드의 위치 변화에 따른 섀도우 마스크와 프레임간 용접점에서의 진폭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 때, 진폭이 측정된 용접점은 섀도우 마스크와 프레임의 장변에 위치하는 용접점으로서 이를 편의상 '장변 용접점'이라 명칭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a는 상기 거리 b를 1/3 LH 위치에 고정시키고 상기 거리 a를 각각 1/12 LH와 1/6 LH 및 1/4 LH로 변화시키면서 섀도우 마스크(10)와 프레임(20)간 장변 용접점에서의 진폭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리고 도 4b는 상기 거리 a를 1/6 LH 위치에 고정시키고 상기 거리 b를 각각 1/4 LH와 1/3 LH 및 5/12 LH로 변화시키면서 섀도우 마스크(10)와 프레임(20)간 장변 용접점에서의 진폭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a에서 장변 용접점의 진폭을 나타내는 수치는 상기 거리 a가 1/2 LH인 조건에서 측정된 값을 1로 가정할 때 이 값과의 상대적인 비교치를 의미하며, 도 4b에서 장변 용접점의 진폭을 나타내는 수치는 상기 거리 b가 1/4 LH인 조건에서 측정된 값을 1로 가정할 때 이 값과의 상대적인 비교치를 의미한다.
도 4a와 도 4b를 참고하면, 프레임의 장변에 동일한 조건의 진동이 가해지는 상태에서 상기 거리 b가 1/6 LH를 초과할 때 섀도우 마스크와 프레임간 장변 용접점 에서의 진폭이 급격하게 상승하고, 상기 거리 a가 1/3 LH 미만일 때 섀도우 마스크와 프레임간 장변 용접점에서의 진폭이 급격하게 상승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용접점에서의 진폭 상승은 곧 섀도우 마스크(10)의 떨림 현상을 의미하며, 빔통과 구멍들(11)의 위치 변화로 인해 화질 특성이 크게 저하된다. 반면, 프레임(20)의 장변에 위치하는 제2 비드(24)가 전술한 수학식 1의 조건을 만족할 때에는 프레임(20)이 장변에 가해지는 진동을 효율적으로 흡수하여 섀도우 마스크(10)의 떨림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어서, 프레임(20)의 단변에 위치하는 제2 비드(24)의 길이와 위치 조건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를 참고하면, 프레임(20)의 단변 끝단으로부터 제2 비드(24)의 일측단까지의 거리를 a’라 하고, 프레임(20)의 단변 끝단으로부터 제2 비드(24)의 다른 일측단까지의 거리를 b’라 할 때, 제2 비드(24)는 하기 수식 조건을 만족한다.
Figure 112005018505086-pat00005
여기서, LV는 프레임의 단변 길이를 나타낸다.
도 6a와 도 6b는 프레임의 단변에 진동이 가해지는 상태에서 제2 비드의 위치 변화에 따른 섀도우 마스크와 프레임간 용접점에서의 진폭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 때, 진폭이 측정된 용접점은 섀도우 마스크와 프레임의 단변에 위치하는 용접점으로서 이를 편의상 '단변 용접점'이라 명칭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a는 상기 거리 b'를 3/10 LV 위치에 고정시키고 상기 거리 a'를 각각 3/20 LV와 1/5 LV및 1/4 LV로 변화시키면서 섀도우 마스크(10)와 프레임(20)간 단변 용접점에서의 진폭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리고 도 6b는 상기 거리 a'를 1/5 LV 위치에 고정시키고 상기 거리 b'를 각각 1/4 LV와 3/10 LV 및 7/20 LV로 변화시키면서 섀도우 마스크(10)와 프레임(20)간 단변 용접점에서의 진폭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a에서 단변 용접점의 진폭을 나타내는 수치는 상기 거리 a’가 3/20 Lv인 조건에서 측정된 값을 1로 가정할 때 이 값과의 상대적인 비교치를 의미하며, 도 6b에서 단변 용접점의 진폭을 나타내는 수치는 상기 거리 b’가 7/20 LV인 조건에서 측정된 값을 1로 가정할 때 이 값과의 상대적인 비교치를 의미한다.
도 6a와 도 6b를 참고하면, 프레임의 단변에 동일한 조건의 진동이 가해지는 상태에서 상기 거리 b'가 1/5 LV를 초과할 때 섀도우 마스크와 프레임간 단변 용접점에서의 진폭이 급격하게 상승하고, 상기 거리 a'가 3/10 LV 미만일 때 섀도우 마스크와 프레임간 단변 용접점에서의 진폭이 급격하게 상승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용접점에서의 진폭 상승 또한 섀도우 마스크(10)의 떨림 현상을 의미하며, 빔통과 구멍들(11)의 위치 변화로 인해 화질 특성이 크게 저하된다. 반면, 프레임(20)의 단변에 위치하는 제2 비드(24)가 전술한 수학식 2의 조건을 만족할 때에는 프레임(20)이 단변에 가해지는 진동을 효율적으로 흡수하여 섀도우 마스크 (10)의 떨림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비드의 체적 조건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도 2의 Ⅱ-Ⅱ선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H가 제2 비드(24)의 높이를 나타내고, D가 프레임(20) 내측을 향한 제2 비드(24)의 돌출 깊이를 나타낸다. 도 7에서는 일례로 프레임(20)의 장변에 위치하는 제2 비드(24)를 도시하였으나, 하기에 설명하는 제2 비드(24)의 체적 조건은 프레임(20)의 단변에 위치하는 제2 비드(24)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7에 도시한 단면 형상에서 프레임(20)의 지지부(21) 끝단과 강도 유지부(22) 끝단 사이에 두 끝단을 연결하는 임의의 가상선(점선으로 표시)을 그리면, 제2 비드(24)의 높이(H)를 포함하는 지지부(21)의 전체 폭(W1)과 제2 비드(24)의 돌출 깊이(D)를 포함하는 강도 유지부(22)의 전체 폭(W2) 및 상기 가상선에 의해 삼각형이 형성된다.
도 8에 상기 삼각형의 면적을 S1으로 표시하였으며, 제2 비드의 단면적을 S2로 표시하였다. 제2 비드(24)의 단면적 S2는 제2 비드(24)의 높이(H)와 돌출 깊이(D)의 곱으로 정의되는데, 이는 제2 비드(24)가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의 단면 형상을 갖는 경우에 적용된다.
제2 비드(24)의 단면 형상은 도시한 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오각형이나 육각형 또는 그 이외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 비드(24)가 어떠한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면적 S2는 프레임(20)을 단면으로 보았을 때 프레임(20) 내부를 향해 돌출되어 위치하는 제2 비드(24)의 단면적으로 정의된다.
상기 제2 비드(24)는 하기 수식 조건을 만족한다.
Figure 112005018505086-pat00006
도 9는 프레임에 진동이 가해지는 상태에서 제2 비드의 단면적 변화에 따른 섀도우 마스크와 프레임간 용접점에서의 진폭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실험은 프레임의 장변에 위치하는 제2 비드에 대해서는 프레임의 장변에 진동이 가해지는 상태에서 섀도우 마스크와 프레임간 장변 용접점에서의 진폭을 측정하고, 프레임의 단변에 위치하는 제2 비드에 대해서는 프레임의 단변에 진동이 가해지는 상태에서 섀도우 마스크와 프레임간 단변 용접점에서의 진폭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두가지 경우 모두 도 9에 근접한 실험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9를 참고하면, 프레임에 동일한 조건의 진동이 가해지는 상태에서 제2 비드의 단면적 S2가 1/3 S1 미만일 때 섀도우 마스크와 프레임간 용접점에서의 진폭이 급격하게 상승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2 비드의 단면적 S2는 1/3 S1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비드의 단면적 S2가 2/3 S1을 초과하게 되면 제2 비드로 인해 오히려 프레임의 강성이 저하되므로 제2 비드의 단면적 S2는 2/3 S1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2 비드가 전술한 수학식 3의 조건을 만족할 때에는 프레임의 강성과 진동 흡수 능력을 동시에 높일 수 있다.
도 10은 상기 마스크 조립체를 적용한 음극선관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음극선관에서는 패널(30)과 펀넬(31) 및 넥크부(32)가 일체로 결합되어 진공 용기를 구성한다. 패널(30) 내면에는 도트(dot) 또는 스트라이프(stripe) 형상의 적색, 녹색 및 청색 형광층들이 흑색층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어 형광 스크린(33)을 구성한다. 그리고 전자총(34)이 넥크부(32) 내부에 장착되고, 편향 자계를 생성하는 편향 요크(35)가 펀넬(31) 외면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패널(30) 내부에는 섀도우 마스크(10)와 프레임(20)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조립체가 형광 스크린(33)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음극선관은 전자총(32)에서 방출된 세줄기 전자빔이 편향 요크(35)의 편향 자계에 의해 편향되면서 색선별 기능을 갖는 섀도우 마스크(10)의 빔통과 구멍(11)을 통과하고, 선별된 각 전자빔이 해당하는 색의 적색, 녹색 및 청색 형광층에 충돌하여 이를 발광시킴으로써 소정의 화상을 구현한다.
이러한 음극선관의 표시 작용중에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 또는 스피커의 음압 등에 의해 진동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진동은 진공 용기를 거쳐 프레임(20)에 전달된다. 이 때, 본 실시예의 마스크 조립체는 전술한 프레임(20) 구조에 의해 프레임(20)에 전달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진동에 의한 섀도우 마스크(10)의 떨림 현상과 이로 인한 화질 저하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조립체는 슬림(slim)화를 위하여 110° 이상의 편향각을 구현하는 음극선관에 적용할 때, 더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마스크 조립체는 프레임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프레임의 강성과 진동 흡수 능력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음극선관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이나 스피커의 음압 등에 기인하는 진동이 프레임에 전달될 때, 프레임이 진동을 효율적으로 흡수하여 진동에 의한 섀도우 마스크의 떨림 현상과 이로 인한 화질 저하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3)

  1. 다수의 빔통과 구멍들을 갖는 섀도우 마스크; 및
    한 쌍의 장변들과 한 쌍의 단변들을 가지며 상기 섀도우 마스크가 고정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굽어져 형성되는 강도 유지부를 구비하는 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와 상기 강도 유지부의 경계부에는 이 경계부의 둘레를 따라 서로간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프레임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보강 비드들이 제공되며,
    상기 보강 비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보강 비드가 하기 수식(1)과 수식(2)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음극선관용 마스크 조립체.
    Figure 112005018505086-pat00007
    여기서, a와 b는 각각 상기 프레임의 장변 끝단으로부터 이 프레임의 장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한 보강 비드의 일측단까지의 거리와 다른 일측단까지의 거리를 나타내고, a'와 b'는 각각 상기 프레임의 단변 끝단으로부터 이 프레임의 단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한 보강 비드의 일측단까지의 거리와 다른 일측단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 LH와 LV는 각각 프레임의 장변 길이와 단변 길이를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비드들이 상기 프레임의 장변들 중앙과 단변들 중앙에 위치하는 제1 비드와, 상기 프레임의 장변들과 단변들에서 상기 각각의 제1 비드와 이격되어 상기 제1 비드 양측에 위치하는 제2 비드와, 상기 프레임의 네 코너부에 위치하는 제3 비드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 비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비드가 상기 수식(1)과 수식(2)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음극선관용 마스크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드와 제2 비드가 직선형이고, 상기 제3 비드가 상기 프레임의 어느 한 장변과 어느 한 단변에 걸쳐 형성되는 음극선관용 마스크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비드가 상기 제1 비드 및 상기 제2 비드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며, 상기 높이가 상기 지지부의 폭 방향을 따라 측정되는 음극선관용 마스크 조립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비드와 상기 제3 비드 및 상기 제1 비드의 순서대로 큰 돌출 깊이를 가지며, 상기 돌출 깊이가 상기 강도 유지부의 폭 방향을 따라 측정되는 음극선관용 마스크 조립체.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비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비드가 하기 조건을 만족하는 음극선관용 마스크 조립체.
    Figure 112005018505086-pat00008
    여기서, S1은 상기 제2 비드가 형성된 부위를 단면으로 보았을 때 제2 비드를 포함하는 상기 지지부의 전체 폭과, 제2 비드를 포함하는 상기 강도 유지부의 전체 폭 및 상기 지지부의 끝단과 강도 유지부의 끝단을 연결하는 가상선에 의해 정의되는 삼각형의 면적을 나타내고, S2는 S1과 동일한 단면 조건에서 정의되는 제2 비드의 단면적을 나타낸다.
  7. 다수의 빔통과 구멍들을 갖는 섀도우 마스크; 및
    한 쌍의 장변들과 한 쌍의 단변들을 가지며 상기 섀도우 마스크가 고정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굽어져 형성되는 강도 유지부를 구비하는 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와 상기 강도 유지부의 경계부에는 이 경계부의 둘레를 따라 서로간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프레임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보 강 비드들이 제공되며,
    상기 보강 비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보강 비드가 하기 조건을 만족하는 음극선관용 마스크 조립체.
    Figure 112005018505086-pat00009
    여기서, S1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강 비드가 형성된 부위를 단면으로 보았을 때 이 보강 비드를 포함하는 상기 지지부의 전체 폭과, 이 보강 비드를 포함하는 상기 강도 유지부의 전체 폭 및 상기 지지부의 끝단과 강도 유지부의 끝단을 연결하는 가상선에 의해 정의되는 삼각형의 면적을 나타내고, S2는 S1과 동일한 단면 조건에서 정의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강 비드의 단면적을 나타낸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비드들이 상기 프레임의 장변들 중앙과 단변들 중앙에 위치하는 제1 비드와, 상기 프레임의 장변들과 단변들에서 상기 각각의 제1 비드와 이격되어 상기 제1 비드 양측에 위치하는 제2 비드와, 상기 프레임의 네 코너부에 위치하는 제3 비드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 비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비드가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음극선관용 마스크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드와 제2 비드가 직선형이고, 상기 제3 비드가 상기 프레임의 어느 한 장변과 어느 한 단변에 걸쳐 형성되는 음극선관용 마스크 조립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비드가 상기 제1 비드 및 상기 제2 비드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며, 상기 높이가 상기 지지부의 폭 방향을 따라 측정되는 음극선관용 마스크 조립체.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비드와 상기 제3 비드 및 상기 제1 비드의 순서대로 큰 돌출 깊이를 가지며, 상기 돌출 깊이가 상기 강도 유지부의 폭 방향을 따라 측정되는 음극선관용 마스크 조립체.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비드들 중 상기 프레임의 장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보강 비드가 하기 조건을 만족하는 음극선관용 마스크 조립체.
    Figure 112005018505086-pat00010
    여기서, a와 b는 각각 상기 프레임의 장변 끝단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보강 비드의 일측단까지의 거리와 다른 일측단까지의 거리를 나타내고, LH는 상 기 프레임의 장변 길이를 나타낸다.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비드들 중 상기 프레임의 단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보강 비드가 하기 조건을 만족하는 음극선관용 마스크 조립체.
    Figure 112005018505086-pat00011
    여기서, a'와 b'는 각각 상기 프레임의 단변 끝단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보강 비드의 일측단까지의 거리와 다른 일측단까지의 거리를 나타내고, LV는 상기 프레임의 단변 길이를 나타낸다.
KR1020050029463A 2005-04-08 2005-04-08 음극선관용 마스크 조립체 KR100709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463A KR100709187B1 (ko) 2005-04-08 2005-04-08 음극선관용 마스크 조립체
CNB2006100569696A CN100559543C (zh) 2005-04-08 2006-03-07 用于阴极射线管的罩组件
US11/377,358 US7486008B2 (en) 2005-04-08 2006-03-17 Mask assembly for cathode ray tube (CRT)
BRPI0602217-0A BRPI0602217A (pt) 2005-04-08 2006-03-31 um conjunto de máscara para tubo de raio catódico (c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463A KR100709187B1 (ko) 2005-04-08 2005-04-08 음극선관용 마스크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6369A KR20060106369A (ko) 2006-10-12
KR100709187B1 true KR100709187B1 (ko) 2007-04-18

Family

ID=37064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9463A KR100709187B1 (ko) 2005-04-08 2005-04-08 음극선관용 마스크 조립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486008B2 (ko)
KR (1) KR100709187B1 (ko)
CN (1) CN100559543C (ko)
BR (1) BRPI060221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8284A (ko) * 2003-09-17 2005-03-22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칼라 음극선관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9082B1 (ko) * 1995-07-04 1999-03-20 구자홍 음극선관용 프레임
WO1998042003A1 (fr) * 1997-03-14 1998-09-24 Kabushiki Kaisha Toshiba Tube cathodique couleur
US6046535A (en) * 1997-07-30 2000-04-04 Samsung Display Devices Co., Ltd. Shadow mask frame assembly for a cathode ray tube
US6724136B1 (en) * 1999-08-17 2004-04-20 Lg Electronics Inc. Shadow mask for color cathode-ray tube
CN1154145C (zh) * 1999-08-17 2004-06-16 Lg电子株式会社 彩色阴极射线管的框架
KR100489608B1 (ko) * 2002-11-20 2005-05-17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
KR100464199B1 (ko) * 2003-02-24 2005-01-03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컬러 음극선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8284A (ko) * 2003-09-17 2005-03-22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칼라 음극선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45288A (zh) 2006-10-11
US7486008B2 (en) 2009-02-03
US20060226756A1 (en) 2006-10-12
CN100559543C (zh) 2009-11-11
BRPI0602217A (pt) 2006-12-05
KR20060106369A (ko) 2006-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9187B1 (ko) 음극선관용 마스크 조립체
KR100418548B1 (ko) 칼라음극선관과 마스크프레임
KR100357169B1 (ko) 칼라 음극선관
KR100297995B1 (ko) 컬러수상관
US6724136B1 (en) Shadow mask for color cathode-ray tube
JP2770663B2 (ja) シャドウマスク構体
JPH11233038A (ja) カラー受像管
KR100319144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US6433467B1 (en) Shadow mask for cathode ray tube
EP1308983B1 (en) Color cathode-ray tube
KR100334718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KR100634732B1 (ko) 칼라음극선관의 프레임
KR100518845B1 (ko) 음극선관
US6979943B2 (en) Cathode ray tube having magnetic shield with a bent portion
KR20060117410A (ko) 음극선관용 마스크 조립체
KR100728775B1 (ko) 음극선관의 색 선별 장치
KR100708845B1 (ko)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
KR100870359B1 (ko) 새도마스크
JP2007073294A (ja) カラー受像管
JP2003031148A (ja) カラー陰極線管及びマスクフレーム
KR20020091727A (ko) 칼라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의 진동저감구조
JP2000133160A (ja) カラー受像管
KR20060084189A (ko) 음극선관용 마스크 조립체
JP2006324115A (ja) シャドウマスク用フレーム及びそれを用いたカラー受像管
KR20020068932A (ko) 음극선관용 마스크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