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9070B1 - 조선부재용 후판 앵글의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조선부재용 후판 앵글의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9070B1
KR100709070B1 KR1020050035947A KR20050035947A KR100709070B1 KR 100709070 B1 KR100709070 B1 KR 100709070B1 KR 1020050035947 A KR1020050035947 A KR 1020050035947A KR 20050035947 A KR20050035947 A KR 20050035947A KR 100709070 B1 KR100709070 B1 KR 100709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angle
arc
controlled
di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5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3082A (ko
Inventor
허관도
여홍태
이성관
조태일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동의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동의학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동의학원
Priority to KR1020050035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9070B1/ko
Publication of KR20060113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3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9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9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7/00Cutting, scarfing, or desurfacing by applying flames
    • B23K7/10Auxiliary devices, e.g. for guiding or supporting the torch
    • B23K7/102Auxiliary devices, e.g. for guiding or supporting the torch for controlling the spacial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pieces and the gas tor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11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travelling on a guide member, e.g. rail, t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88Carriages forming part of a cutt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7/00Cutting, scarfing, or desurfacing by applying flames
    • B23K7/08Cutting, scarfing, or desurfacing by applying flames by applying additional compounds or means favouring the cutting, scarfing, or desurfacing procedur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앤시(CNC : 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와; 상기 시앤시에 의하여 직선주행제어(x축 주행)되는 레일 위에 설치되는 가대부와; 상기 다이스에 거치되어 상기 시앤시에 의하여 주행제어되는 ㄱ형 가이드 레일과; 상기 ㄱ형 가이드 레일에 결합되며, 상기 시앤시에 의해 구동제어되는 상하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되는 마운트와; 상기 마운트에 상기 다이스를 향하여 설치되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의 단말부에 설치되는 원호의 가이드레일과; 상기 원호의 가이드레일의 원심에 단부가 위치되도록 상기 원호의 가이드 레일에서 원심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며, 상기 시앤시에 의하여 상기 원호의 가이드 레일에 주행되도록 제어되어 상기 다이스에 안치된 조선부재용 후판 앵글에 대한 접촉각도가 조절되는 용접토치와; 상기 용접토치에 연결되는 용접기로; 구성되어 조선부재용 후판 앵글의 가공시 절단, 천공면을 면에 대하여 자유각도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선부재용 후판 앵글의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조선부재용 후판 앵글의 절단작업시 절단면이나 통공이 앵글 면에 대하여 자유각도로 형성될 수 있어서, 설계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각도의 절단면, 통공의 형성이 가능하도록 하여 설계에 의한 실시작업의 자동화 공정을 이룰 수 있는 조선부재용 후판 앵글의 절단장치가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조선부재용 후판 앵글의 절단장치{Cutting apparatus for iron plate slab angle of ship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선부재용 후판 앵글의 절단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선부재용 후판 앵글의 절단장치의 운동방향이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선부재용 후판 앵글의 절단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선부재용 후판 앵글의 절단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선부재용 후판 앵글의 절단장치의 마운트부 등의 상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선부재용 후판 앵글의 절단장치의 마운트부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선부재용 후판 앵글의 절단장치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시앤시 20 : 다이스
25 : 조선부재용 후판 앵글 30 : ㄱ형 가이드 레일
40 : 마운트 41 : 승강수단
50 : 회동축 51 : 회동모터
52 : 회동기어 60 : 원호의 가이드 레일
62 : 용접토치 63 : 기어휠
64 : 원호바디 65 : 각변이 제어모터
100 : 가대부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제어대상이 되는 기계의 위치나 각도,거리,속도 등을 가공지시 수치데이터에 의해 수치제어시키는 시앤시(CNC : 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와; 상기 시앤시에 의하여 직선주행제어(x축 주행)되는 레일 위에 설치되며, 절단하고자는 조선부재용 후판 앵글이 안치된 다이스를 따라 주행하는 가대부와; 상기 다이스에 거치되어 상기 시앤시에 의하여 주행제어되며, 상기 다이스에 대하여 컬주행(curl 주행 : y축과 z축의 연속주행)이 되도록 레일이 형성된 ㄱ형 가이드 레일과; 상기 ㄱ형 가이드 레일에 결합되며, 상기 시앤시에 의해 구동제어되는 상하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되는 마운트와; 상기 마운트에 상기 다이스를 향하여 설치되며 상기 시앤시에 의하여 구동제어되는 회동모터에 의해 축회동되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의 단말부에 설치되는 원호의 가이드레일과; 상기 원호의 가이드레일의 원심에 단부가 위치되도록 상기 원호의 가이드 레일에서 원심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며, 상기 시앤시에 의하여 상기 원호의 가이드 레일에 주행되도록 제어되어 상기 다이스에 안치된 조선부재용 후판 앵글에 대한 접촉각도가 조절되는 용접토치와; 상기 용접토치에 연결되는 용접기로; 구성되어 조선부재용 후판 앵글의 가공시 절단, 천공면을 면에 대하여 자유각도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선부재용 후판 앵글의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선부재용 후판 앵글의 절단작업은 수공에 의존하였다.
상기 조선부재용 후판 앵글의 절단작업은 ㄱ자 단면을 가지는 후판(厚板)의 앵글에 절단부를 마킹하고, 상기 마킹부를 따라 플라즈마 용접기로 외곽을 절단한다.
상기 공정의 완료 후에 플라즈마 용접기로 후판 앵글의 필요위치에 통공을 천공하고, 표면 개선절단을 시공한 후 부재인식 마킹으로 완료한다.
그런데 상기 조선부재용 후판 앵글의 절단작업이 수공업에 의존하는 이유는 상기 절단면이나 통공이 앵글 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설계요구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이었다.
즉, 종래의 일반적인 절단기기로는 상기 설계가 요구하는 작업을 시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설계와 실시작업의 자동화 공정을 이룰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조선부재용 후판 앵글의 절단작업시 절단면이나 통공이 앵글 면에 대하여 자유각도로 형성될 수 있는 조선부재용 후판 앵글의 절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설계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각도의 절단면, 통공의 형성이 가능하도 록 하여 설계에 의한 실시작업의 자동화 공정을 이룰 수 있는 조선부재용 후판 앵글의 절단장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어대상이 되는 기계의 위치나 각도,거리,속도 등을 가공지시 수치데이터에 의해 수치제어시키는 시앤시(CNC : 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와; 상기 시앤시에 의하여 직선주행제어(x축 주행)되는 레일 위에 설치되며, 절단하고자는 조선부재용 후판 앵글이 안치된 다이스를 따라 주행하는 가대부와; 상기 다이스에 거치되어 상기 시앤시에 의하여 주행제어되며, 상기 다이스에 대하여 컬주행(curl 주행 : y축과 z축의 연속주행)이 되도록 레일이 형성된 ㄱ형 가이드 레일과; 상기 ㄱ형 가이드 레일에 결합되며, 상기 시앤시에 의해 구동제어되는 상하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되는 마운트와; 상기 마운트에 상기 다이스를 향하여 설치되며 상기 시앤시에 의하여 구동제어되는 회동모터에 의해 축회동되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의 단말부에 설치되는 원호의 가이드레일과; 상기 원호의 가이드레일의 원심에 단부가 위치되도록 상기 원호의 가이드 레일에서 원심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며, 상기 시앤시에 의하여 상기 원호의 가이드 레일에 주행되도록 제어되어 상기 다이스에 안치된 조선부재용 후판 앵글에 대한 접촉각도가 조절되는 용접토치와; 상기 용접토치에 연결되는 용접기로; 구성되어 조선부재용 후판 앵글의 가공시 절단, 천공면을 면에 대하여 자유각도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선부재용 후판 앵글의 절단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원호의 가이드 레일은 적어도 45°이상의 각을 가지는 원호로 형성되어 상기 용접토치의 상기 다이스에 안치된 조선부재용 후판 앵글에 대한 접촉각도가 45°이상 가변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선부재용 후판 앵글의 절단장치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원호의 가이드 레일은 톱니가 형성된 원호바디와; 상기 시앤시에 의하여 구동제어되는 각변이 제어모터와; 상기 각변이 제어모타의 축과 상기 원호바디의 톱니를 연결시키는 기어휠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선부재용 후판 앵글의 절단장치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과 함께 본 발명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선부재용 후판 앵글의 절단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선부재용 후판 앵글의 절단장치의 운동방향이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선부재용 후판 앵글의 절단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선부재용 후판 앵글의 절단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선부재용 후판 앵글의 절단장치의 마운트부 등의 상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선부재용 후판 앵글의 절단장치의 마운트부 측면도 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선부재용 후판 앵글의 절단장치의 정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시앤시(10)(CNC : 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와 가대부(100)와 ㄱ형 가이드 레일(30)과 마운트(40)와 회동축(50)과 원호의 가이드 레일(60)과 용접토치(62)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조선부재용 후판 앵글(25)의 가공시 절단, 천공면을 면에 대하여 자유각도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시앤시(10)(CNC)는 제어대상이 되는 기계의 위치나 각도,거리,속도 등을 가공지시 수치데이터에 의해 수치제어시키는 컴퓨터 처리장치이다.
상기 시앤시(10)는 이하에 있어서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를 구동제어시키는 중앙처리장치로 해석하면 족할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대부(100)는 상기 시앤시(10)에 의하여 직선주행제어(x축 주행)되는 레일(101) 위에 설치되며, 절단하고자는 조선부재용 후판 앵글(25)이 안치되는 다이스(20)에 독립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가대부(100)가 주행하는 직선주행 레일(101)이 바닥에 설치되어져야 한다.
상기 다이스(20)의 형상은 일반 테이블과 동일한 것으로 족하며, 본 발명을 이용하여 절단되는 조선부재용 후판 앵글(25)은 ㄱ자형의 두꺼운 앵글로서 상기 다이스(20)의 측면 모서리에 안치되어 진다.
본 발명의 상기 ㄱ형 가이드 레일(30)은 상기 다이스(20)에 독립하여 상기 가대부(100)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가대부(100)의 주행이송은 상기 ㄱ형 가이드 레일(30)의 직선 주행을 실시시킨다.
상기 가대부(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형 몸체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상기 시앤시(10)에 의하여 주행제어되는 주행부(31)를 가지며, 따라서 상기 주행부(31)는 상기 다이스(20)에 대하여 컬주행(curl 주행 : y축과 z축의 연속주행)을 실시한다.
상기 컬주행은 직선 주변에 대한 회전운동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상기 ㄱ형 가이드 레일(30)은 상기 다이스(20)의 주변을 직각으로 운동한다는 의미만 있을 뿐, 실제에 있어서는 ㄱ형 가이드 레일(30)의 형상에 따라 상기 다이스(20)의 상대적 주행방향을 x축이라고 할 때, y축의 주행후에 연속하여 z축의 주행이 발생될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마운트(40)는 상기 ㄱ형 가이드 레일(30)의 주행부(31)에 결합된다.
상기 마운트(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앤시(10)에 의해 구동제어되는 상하 승강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승강수단(41)은 상기 ㄱ형 가이드 레일(30)에 직각으로 상기 다이스(20)를 향하여 승강구동되도록 한다.
상기 승강수단(41)에 의하여 상기 마운트(40)가 상기 다이스(20)를 향하여 승강될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회동축(50)은 상기 마운트(40)에 상기 다이스(20)를 향하여 설치되며 상기 시앤시(10)에 의하여 구동제어되는 회동모터(51)와 회동기어(52)에 의해 축회동된다.
즉, 상기 회동축(50)은 상기 승강수단(41)과 평행하게 다이스(20)를 향하여 형성되며 축회동된다.
상기 회동축(50)의 단말부에는 원호의 가이드레일(60)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원호의 가이드 레일(60)은 상기 회동축(50)의 운동을 전달받아 회동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상기 용접토치(6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호의 가이드레일(60)의 원심에 단부가 위치되도록 상기 원호의 가이드 레일(60)에서 원심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며, 상기 시앤시(10)에 의하여 상기 원호의 가이드 레일(60)에 주행되도록 제어되어 상기 다이스(20)에 안치된 조선부재용 후판 앵글(25)에 대한 접촉각도가 조절된다.
상기 용접토치(62)에는 플라즈마 또는 아크용접기가 연결되어 상기 시앤시에 의하여 출력이 제어됨은 물론이다.
상기 원호의 가이드 레일(60)은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아 같이 톱니가 형성된 원호바디(64)와 상기 시앤시(10)에 의하여 구동제어되는 각변이 제어모터(65)와 상기 각변이 제어모타(65)의 축과 상기 원호바디의 톱니를 연결시키는 기어휠(63)로 구성되어 상기 용접토치(62)를 원호주행시킨다.
상기 용접토치(62)의 접촉각도 조절은 상기 다이스(20)에 안치된 조선부재용 후판 앵글(25)을 절단 또는 천공시키는 가공시 가공면을 판면에 대하여 자유각도로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기 가공면의 각도 조절범위를 확보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상기 원호의 가이드 레일(60)은 적어도 45°이상의 각을 가지는 원호로 형성되어 상기 용접토치(62)의 상기 다이스(20)에 안치된 조선부재용 후판 앵글(25)에 대한 접촉각도가 45°이상 가변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ㄱ형 가이드 레일 또는 승강수단, 가대부의 레일 주행수단 등은 이를 이루고자 하는 정도의 장치구성 예를 들어 동력에 필요한 모터 등의 구체적 기재는 일반적으로 당분야의 평균적인 지식을 가지는 기술자의 수준에서 당연히 이해될 수 있는 정도의 수준으로써, 이를 생략한다 하더라도 본 발명의 이해에 있어서 장해가 없으므로 생략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도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구체화되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가 실현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조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여 조선부재용 후판 앵글의 절단작업시 절단면이나 통공이 앵글 면에 대하여 자유각도로 형성될 수 있는 조선부재용 후판 앵글의 절단장치가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설계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각도의 절단면, 통공의 형성이 가능하도록 하여 설계에 의한 실시작업의 자동화 공정을 이룰 수 있는 조선부재용 후판 앵글의 절단장치가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제어대상이 되는 기계의 위치나 각도,거리,속도 등을 가공지시 수치데이터에 의해 수치제어시키는 시앤시(CNC : 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와;
    상기 시앤시에 의하여 직선주행제어(x축 주행)되는 레일 위에 설치되며, 절단하고자는 조선부재용 후판 앵글이 안치된 다이스를 따라 주행하는 가대부와;
    상기 다이스에 거치되어 상기 시앤시에 의하여 주행제어되며, 상기 다이스에 대하여 컬주행(curl 주행 : y축과 z축의 연속주행)이 되도록 레일이 형성된 ㄱ형 가이드 레일과;
    상기 ㄱ형 가이드 레일에 결합되며, 상기 시앤시에 의해 구동제어되는 상하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되는 마운트와;
    상기 마운트에 상기 다이스를 향하여 설치되며 상기 시앤시에 의하여 구동제어되는 회동모터에 의해 축회동되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의 단말부에 설치되는 원호의 가이드레일과;
    상기 원호의 가이드레일의 원심에 단부가 위치되도록 상기 원호의 가이드 레일에서 원심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며, 상기 시앤시에 의하여 상기 원호의 가이드 레일에 주행되도록 제어되어 상기 다이스에 안치된 조선부재용 후판 앵글에 대한 접촉각도가 조절되는 용접토치와;
    상기 용접토치에 연결되는 용접기로;
    구성되어
    조선부재용 후판 앵글의 가공시 절단, 천공면을 면에 대하여 자유각도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선부재용 후판 앵글의 절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호의 가이드 레일은
    적어도 45°이상의 각을 가지는 원호로 형성되어 상기 용접토치의 상기 다이스에 안치된 조선부재용 후판 앵글에 대한 접촉각도가 45°이상 가변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선부재용 후판 앵글의 절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호의 가이드 레일은
    톱니가 형성된 원호바디와;
    상기 시앤시에 의하여 구동제어되는 각변이 제어모터와;
    상기 각변이 제어모타의 축과 상기 원호바디의 톱니를 연결시키는 기어휠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선부재용 후판 앵글의 절단장치.
KR1020050035947A 2005-04-29 2005-04-29 조선부재용 후판 앵글의 절단장치 KR100709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5947A KR100709070B1 (ko) 2005-04-29 2005-04-29 조선부재용 후판 앵글의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5947A KR100709070B1 (ko) 2005-04-29 2005-04-29 조선부재용 후판 앵글의 절단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2040U Division KR200390595Y1 (ko) 2005-04-29 2005-04-29 조선부재용 후판 앵글의 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3082A KR20060113082A (ko) 2006-11-02
KR100709070B1 true KR100709070B1 (ko) 2007-04-19

Family

ID=37651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5947A KR100709070B1 (ko) 2005-04-29 2005-04-29 조선부재용 후판 앵글의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90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746B1 (ko) * 2007-03-16 2008-02-28 주식회사 모션 이십일 평판 절단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5085A (ja) * 1996-12-16 1998-06-30 Amada Co Ltd 3次元レーザー加工機における倣い軸制御方法と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5085A (ja) * 1996-12-16 1998-06-30 Amada Co Ltd 3次元レーザー加工機における倣い軸制御方法と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7508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3082A (ko) 200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21061B2 (ja) 加工物の縁部を面取り/ばり取りするための装置を有する歯切機械、特に傘歯車の歯切機械
EP0028735A2 (en) A machining center equipped with a robot device
KR100953503B1 (ko) 양면 에지 가공 포터블 장치
JP2019171503A (ja) ロボット加工システム
JPS5841146B2 (ja) フレ−ムカツタ
KR100709070B1 (ko) 조선부재용 후판 앵글의 절단장치
JPH1148058A (ja) 多機能レーザー切断マシニング・センター
CA2159517A1 (en) Method of Cutting Ellipse Contour with Numerically-Controlled Machine Tools
KR200317671Y1 (ko) 러그 절단기
KR101799324B1 (ko) 곡선 및 직선 주행이 가능한 서브머지드 아크용접 캐리지
KR200364425Y1 (ko) 수평형 이동식 절단기
KR200390595Y1 (ko) 조선부재용 후판 앵글의 절단장치
CN204894241U (zh) 一种新型数控石材绳锯机
JP2014018955A (ja) 旋盤制御システム
CN210850625U (zh) 一种网格状纹路的木板面加工设备
US20180043446A1 (en) Gear chamfering device and gear processing machine equipped with said gear chamfering device
JP2006026835A (ja) 5軸加工装置
JPH08141857A (ja) レーザ、ドリルタップ複合加工機
KR100312635B1 (ko) 입체 가공장치
CN207695775U (zh) 一种切削组件及切削设备
WO2020008780A1 (ja) 切削加工機及び切削加工方法
KR100466758B1 (ko) 작업궤도를 이용한 드레인홀 사상장치
JP2816246B2 (ja) 開先切断方法
JPH07204877A (ja) レーザ加工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218461259U (zh) 一种焊接摆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