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8985B1 - 사면절곡 연속 조립식 단열 패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사면절곡 연속 조립식 단열 패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8985B1
KR100708985B1 KR1020050019734A KR20050019734A KR100708985B1 KR 100708985 B1 KR100708985 B1 KR 100708985B1 KR 1020050019734 A KR1020050019734 A KR 1020050019734A KR 20050019734 A KR20050019734 A KR 20050019734A KR 100708985 B1 KR100708985 B1 KR 100708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forming
product
prefabricated
ins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9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7417A (ko
Inventor
김홍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인텍
Priority to KR1020050019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8985B1/ko
Publication of KR20060097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7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8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8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9Odour seals having housing containing dividing wall, e.g. tubul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2Energy absorbers; Noise absorbers
    • F16L55/033Noise absor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60Reducing noise in plumb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판을 투입하여 단열재를 발포시킨 후 제품의 형태로 성형하는 과정이 연속적으로 진행되도록 한 사면절곡 연속 조립식 단열 패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조립식 단열 패널의 사면이 절곡된 상태로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조립식 단열 패널이 연결된 상태에서 단열재가 주입되도록 한 사면절곡 연속 조립식 단열 패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단열 패널 제조방법은 사면절곡 연속 조립식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코일형태로 감겨진 복수의 강판을 장착하는 장착단계와, 장착된 강판을 소정거리 이격하여 복수층으로 공급하는 공급단계와, 공급되는 강판을 평탄하게 펼치는 평탄화단계와, 평탄하게 펼쳐진 강판을 성형롤러 사이에 통과시키며 양 단부에 조립부를 성형하는 성형단계와, 상기 성형된 강판의 전후단 부위를 절곡하는 절곡단계와, 상기 성형단계와 상기 절곡단계에서 4면이 절곡된 상기 복수의 강판 사이의 공간에 발포성 단열재를 주입하여 단열재로 발포시키는 발포단계와, 단열재가 발포된 강판을 압착 양생하여 제품의 형태로 만드는 제형단계와, 제품을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는 제품절단단계를 포함한다.
강판, 언코일러, 롤러, 프레스, 조립식, 패널, 단열재, 발포

Description

사면절곡 연속 조립식 단열 패널의 제조방법 {MANUFACTURING METHOD FOR FABRICATED INSULATION PANEL OF 4 FACE BENDED}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립식 단열 패널의 제조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조립식 단열 패널의 제조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면절곡 연속 조립식 단열 패널의 제조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단열 패널의 제조장치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강판 112, 114 : 언코일러
130 : 시어 및 핀치 롤러 140 : 성형롤러
150 : 프레스기
본 발명은 조립식 건축물의 내벽 또는 외벽에 설치되는 단열 패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면이 절곡된 조립식 단열 패널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후 제품의 형태로 절단되도록 하여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사면절곡 연속 조립식 단열 패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건축물의 벽체나 칸막이 등으로 사용하는 단열 패널은 전면판과 후면판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구성되고,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 사이에는 단열, 방음 또는 차음 등을 위한 단열재가 내장된다.
상기 단열재의 재료로는 스티로폼, 유리섬유, 암면, 합판, 폴리에스터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스티로폼과 같은 재료는 무게의 경감을 위해 공기를 미세하게 발포시켜 사용된다.
전술된 단열재 중 스티로폼은 값이 싸고, 무게가 가벼우며, 열적 특성이 좋아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열에 매우 약하여 화재 발생시 유독가스를 발생시키고, 불이 타는 성질로 인해 대형화재 및 인명피해의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유리섬유는 불연재이기는 하나 패널 제작시 발생되는 유리가루의 분진으로 인해 사용이 제한된다.
이와 같이, 상기 단열재는 특성상 건축물의 단열, 방음, 차음 등의 효과 뿐만 아니라 화재시 불에 잘 타지 않는 난연성과 사용 및 제조시 안전성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난연성이면서도 단열특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을 발포시켜 단열재로 사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립식 단열 패널의 제조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조립식 단열 패널의 제조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도를 참고하여 종래의 조립식 단열 패널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조립식 단열 패널의 제조방법은 강판을 투입하여 이를 성형하고, 그 내부에 단열재를 투입하기 위해 장착단계(S11), 공급단계(S12), 평탄화단계(S13), 절단 및 절곡단계(S14), 성형단계(S15), 발포단계(S16)를 거쳐 제품을 완성하게 된다.
상기 장착단계(S11)는 코일 형태로 감겨진 2개의 강판(10)을 상부 및 하부 언코일러(12, 14)에 장착하는 단계이며, 상기 공급단계(S12)는 상기 장착단계(S11)에서 장착된 강판(10)을 풀며 제조장치로 공급하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 평탄화단계(S13)는 상기 공급단계(S12)에서 공급된 강판(10)을 루프 및 핀치 롤러(20) 사이에 통과시켜 평탄하게 펼치는 단계이다.
다음으로 상기 평탄화단계(S13)가 완료되면, 절단 및 절곡단계(S14)를 거친다. 상기 절단 및 절곡단계(S14)는 상기 강판(10)을 커터기(30)에 통과시켜 적절한 크기로 절단한 후, 이를 제품의 형태에 맞게 절곡한다.
상기 성형단계(S15)는 절단 및 절곡된 강판(10)을 성형롤러(40) 사이에 통과시킨다. 이때, 상기 강판(10)은 양 단부에 조립부가 형성되며 시트 형태로 성형된다. 이와 같이, 시트 형태로 성형된 강판은 상기 발포단계(S16)에서 다단식 핫 프레스에 투입된 후, 강판의 내부, 즉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에 단열재 원액이 주입, 발포된다.
이와 같이 전술된 단계를 거쳐 단열재의 발포가 완료되면 프레스로부터 제품을 분리하는 분리단계(S17)를 거친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조립식 단열 패널은 제품의 적재 및 포장단계(S18)를 거쳐 완제품으로 출하된다.
그러나, 종래의 조립식 단열 패널의 제조방법은 각각의 제조단계로 별개로 구성되어 연속적인 작업이 진행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시트 형태로 형성된 단열 패널에 단열재를 주입하는 과정이 작업자들에 의해 수동으로 수행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완성된 제품의 품질에 편차가 발생된다. 예컨대, 단열 패널에 주입된 단열재 원액의 량이 많을 경우, 상기 단열재 원액의 발포로 인해 강판(10)이 변형되는 문제가 있고, 반면에 투입된 단열재 원액의 량이 적을 경우, 조립식 단열 패널의 단열 성능이 저하됨은 물론이고 제품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뿐만 아니라, 최근에 사용되는 단열재는 화재 발생시 불에 잘 타지 않는 난연성 단열재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건축법 제61조3항에 명기된 바와 같이 법률로서도 규정되고 있다. 이러한 난연성 단열재 중 우레탄(PIR)은 불에 잘 타지 않으며, 단열성능이 우수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와 같이 우레탄을 단열재로 사용하는 단열 패널은 우레탄의 저팽창, 급속경화와 같은 화학적 특성으로 인해 우레탄 원액을 종래와 같은 주입식 방법으로 생산하는 것이 곤란한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에 의해 사면절곡 연속 조립식 단열 패널을 연속적으로 제조하기 위한 발명이 2004년 특허출원 84464호(2004.10.21)로 제안되었으나, 아직 개선의 여지가 있다.
더욱이, 전술된 사면절곡 연속 조립식 단열 패널은 단열재를 주입하는 과정에서 시트를 연결하기 위한 공정으로 인해 작업이 불편하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조립식 단열 패널의 사면이 절곡된 상태로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조립식 단열 패널이 연결된 상태에서 단열재가 주입되도록 한 사면절곡 연속 조립식 단열 패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단열 패널 제조방법은 사면절곡 연속 조립식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코일형태로 감겨진 복수의 강판을 장착하는 장착단계와, 장착된 강판을 소정거리 이격하여 복수층으로 공급하는 공급단계와, 공급되는 강판을 평탄하게 펼치는 평탄화단계와, 평탄하게 펼쳐진 강판을 성형롤러 사이에 통과시키며 양 단부에 조립부를 성형하는 성형단계와, 상기 성형된 강판의 전후단 부위를 절곡하는 절곡단계와, 상기 성형단계와 상기 절곡단계에서 4면이 절곡된 상기 복수의 강판 사이의 공간에 발포성 단열재를 주입하여 단열재로 발포시키는 발포단계와, 단열재가 발포된 강판을 압착 양생하여 제품의 형태로 만드는 제형단계와, 제품을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는 제품절단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면절곡 연속 조립식 단열 패널의 제조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단열 패널의 제조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면절곡 연속 조립식 단열 패널의 제조방법은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에 의해 일괄적인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 되며, 장착단계(S21), 공급단계(S22), 평탄화단계(S23), 성형단계(S25), 절곡단계(S26), 발포단계(S27), 제형단계(S29)와 제품절단단계(S30)로 이루어져 각각의 공정에 연속적으로 작업이 진행되며 사면이 절곡된 조립식 단열 패널이 연속적으로 제작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장착단계(S21)는 코일 형태로 감겨진 복수의 강판(110)을 그에 대응되는 언코일러(112, 114)에 장착하는 단계이다. 전술된 언코일러(112, 114)는 코일형태로 감겨진 강판(110)을 풀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언코일러(112, 114)의 회전축에 코일형태로 감겨진 강판(110)의 중심을 맞춰 끼운다.
다음으로 상기 언코일러(112, 114)에 장착된 강판(110)을 풀며 컨베이어로 공급하는 공급단계(S22)를 거친다. 이때, 상기 언코일러(112, 114)는 회전에 의해 강판(110)이 풀리고, 이때 강판(110)이 상기 컨베이어의 입구부로 공급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언코일러는 상부 언코일러(112)와 하부 언코일러(114)를 포함하고, 각각의 언코일러(112, 114)는 상, 하부로 배치된 강판(110)이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상기 컨베이어로 공급한다.
상기 공급단계(S22)가 완료되면 핀치 및 루프 롤러(120)에 통과시키며 상기 언코일러(112, 114)로부터 공급되는 강판(110)의 평탄도를 보정하는 평탄화단계(S23)가 진행된다. 상기 평탄화단계(S23)는 코일 상태로 감겨진 강판(110)이 평평하게 되도록 하여 완제품으로 성형시 굴곡 또는 구배가 없는 제품으로 완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평탄화단계(23)는 상기 컨베이어로 공급되는 강판(110)의 표면 에 연속적인 문양을 형성하는 문양형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문양형성단계에서 형성된 문양은 상기 강판(110)의 강도를 증가시키고, 외부미관을 향상시켜 시각적 효과를 부여하게 된다.
또한, 상기 평탄화단계(S23)가 완료되면 강판(110)을 시어(shear) 및 핀치 롤러(130)에 통과시키며 강판(110)의 각장 앞, 뒷면의 절곡을 위한 모따기 선을 형성하는 마름단계(S2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마름단계(S24)는 강판(110)의 불필요한 부위를 제거하는 공정인 노칭(notching)공정을 포함한다.
전술된 과정을 거친 강판(110)은 성형단계(S25)에서 상기 컨베이어의 일측에 설치된 성형롤러(140) 사이에 통과되며 양 단부에 각각의 조립식 단열 패널을 연결하기 위한 조립부가 성형된다.
상기 성형단계(S25)가 완료되면 상기 성형된 강판(110)을 프레스기(150)에 통과시키며 상기 마름단계(S24)에서 형성된 모따기 선을 따라 전후단 부위를 절곡하여 소정의 형상이 되도록 하는 절곡단계(S26)를 거친다.
전술된 과정을 거친 상부 및 하부 강판(110) 사이의 공간에는 샤워방식의 노즐을 이용하여 단열재 원액을 연속적으로 공급한다. 이때, 상기 단열재 원액은 연속적으로 연결된 강판에 의해 컨베이어의 하부로 떨어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강판(110)에 형성된 공간으로 공급된 단열재 원액은 발포단계(S27)에서 발포하며 상기 강판(110)의 공간에 충진된다. 이때, 상기 상, 하부의 강판(110)은 단열재 원액의 흐름성이 증대되도록 예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발포단계(27)는 상기 프레스에서 압착되는 과정과 동시에 발포된 단열재가 경화되도록 가열하는 가열단계(S28)를 포함한다. 상기 가열단계(S28)는 상기 프레스에 통과되는 상부 및 하부 강판(110)에 소정의 온도로 일정하게 가열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강판(110) 사이에 주입된 단열재가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유동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단열재의 화학적 반응을 촉진시켜 경화반응이 활성화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난연 3급 특성을 만족하는 우레탄(PIR) 재질을 포함하는 단열재가 사용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단열재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한정되지 않으며, 단열 및 난연 성능을 향상을 위해 다른 재질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상기 가열단계(S28)를 거치며 단열재가 발포된 상부 및 하부 강판(110)은 핫 프레스 장치로 이송된 후 일정한 속도로 이송되며 상기 핫 프레스 장치에서 가압되고, 동시에 상기 단열재의 양생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핫 프레스 장치에서 상기 상, 하부 강판(110)과 단열재를 압착 양생할 경우 상기 단열재에 화학반응이 발생되며, 압착 양생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화학반응이 안정화되어 완제품의 형태로 완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 및 하부 강판(110)과 단열재가 일체로 형성되며 제품의 형태로 제작되는 과정을 제형단계(S29)라 한다.
전술된 제형단계(S29)를 거쳐 조립식 단열 패널의 형상으로 제작되면, 연속적으로 형성된 강판의 연결부를 절단하고 제품의 크기로 절단하는 제품절단단계(S30)를 거쳐 완제품의 형태를 갖추게 된다.
또한, 상기 제품절단단계(S30)가 완료되면 상기 강판(110) 사이에 발포된 단열재의 발포반응을 억제하기 위한 시효단계(S31)가 포함된다. 상기 시효단계(S31)는 발포된 단열제가 제조 또는 시공중에 햇빛 등에 노출되거나 주위의 환경의 변화 등의 요인으로 인해 화학적으로 불안정상태가 되면 단열재가 재발포되며 완제품의 단열 패널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단열재의 화학반응이 충분히 숙성되도록 하여 화학적으로 안정화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시효단계(S31)는 상기 단열재의 화학적 반응이 안정되도록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조립식 단열 패널은 제품의 적재 및 포장단계(S32)를 거쳐 완제품으로 출하된다.
실시예 1
먼저, 작업자는 코일형태로 감겨진 상부 및 하부 강판을 각각의 언코일러에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언코일러를 작동시켜 상부 및 하부 강판이 풀리며 컨베이어로 공급되게 한다. 이때, 상기 컨베이어는 분당 8M의 속도로 이동되고, 상기 컨베이어로 공급된 상부 및 하부 강판은 복수의 루프 및 핀치롤러 사이에 통과되며 평탄하게 펼쳐진다.
다음으로 상부 및 하부 강판은 불필요한 부위가 제거되거나 절곡되는 부위에 모따기 선이 형성된다. 전술된 상부 및 하부 강판은 성형롤러에 통과되며 양측면에 조립부위가 성형된다. 이와 같이 조립부위가 형성된 상부 및 하부 강판은 프레스에 통과되며 모따기선이 형성된 부분이 절곡된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 및 하부 강판을 소정 간격으로 절곡된 상태로 공급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강판을 35??로 가열한다. 이때의 가열방법은 복수의 광원을 사용한 간접가열식으로 가열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및 하부 강판 사이의 공간에 단열재로 사용되는 폴리우레탄 원액을 주입하고, 상기 폴리우레탄 원액이 발포되도록 45??의 온도로 가열된 슬러트 콘베어를 통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 강판을 압착한다.
전술된 과정을 거쳐 발포된 폴리우레탄이 상기 상부 및 하부 강판 사이에 양생되어 단열 패널의 형태로 제작되면, 커터기를 사용하여 강판 사이의 연결부를 절단하고 제품의 크기로 절단함으로서 완제품 형태의 단열 패널로 완성한다.
이와 같이 완제품 형태로 완성된 단열 패널은 40??에서 1시간 정도 시효처리하여 상기 폴리우레탄의 발포반응이 숙성, 즉 안정화되게 한다.
다음으로 조립식 단열 패널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한 후 포장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면절곡 연속 조립식 단열 패널의 제조방법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사면절곡 연속 조립식 단열 패널의 제조방법은 제품의 생산하는 과정이 자동화로 진행되도록 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며, 인건비가 절감될 뿐만 아니라, 강판이 연결된 상태에서 단열재 원액이 주입되도록 하여 별도의 연결공정이 소요되지 않게 되어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품의 크기로 절단하는 과정에서 강판 사이의 연결부가 제거되도록 하여 생산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사면절곡 연속 조립식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코일형태로 감겨진 복수의 강판을 장착하는 장착단계와,
    장착된 강판을 소정거리 이격하여 복수층으로 공급하는 공급단계와,
    공급되는 강판을 평탄하게 펼치는 평탄화단계와,
    평탄하게 펼쳐진 강판을 성형롤러 사이에 통과시키며 양 단부에 조립부를 성형하는 성형단계와,
    상기 성형된 강판의 전후단 부위를 절곡하는 절곡단계와,
    상기 성형단계와 상기 절곡단계에서 4면이 절곡된 상기 복수의 강판 사이의 공간에 발포성 단열재를 주입하여 단열재로 발포시키는 발포단계와,
    단열재가 발포된 강판을 압착 양생하여 제품의 형태로 만드는 제형단계와,
    제품을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는 제품절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패널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단계와 성형단계 사이에는 강판의 불필요부위의 제거하거나 절곡하기 위한 모따기 선을 형성하는 마름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패널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급단계 완료후 상기 컨베이어로 공급되는 강판의 표면에 연속적인 문양을 형성하는 표면처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패널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발포단계는 발포된 단열재가 경화되도록 가열하는 가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패널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절단단계의 완료후 단열재의 발포반응을 억제하기 위해 제품을 숙성시키는 시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패널의 제조방법.
KR1020050019734A 2005-03-09 2005-03-09 사면절곡 연속 조립식 단열 패널의 제조방법 KR100708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734A KR100708985B1 (ko) 2005-03-09 2005-03-09 사면절곡 연속 조립식 단열 패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734A KR100708985B1 (ko) 2005-03-09 2005-03-09 사면절곡 연속 조립식 단열 패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7417A KR20060097417A (ko) 2006-09-14
KR100708985B1 true KR100708985B1 (ko) 2007-04-18

Family

ID=37629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9734A KR100708985B1 (ko) 2005-03-09 2005-03-09 사면절곡 연속 조립식 단열 패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89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5872B1 (ko) 2009-10-19 2012-02-23 (주)제일포밍 샌드위치패널 성형기의 연속강판공급방법 및 장치
KR101111119B1 (ko) * 2009-02-10 2012-03-13 주식회사 우정테크 건축용 장식패널 및 그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0074B1 (ko) * 2009-09-15 2012-04-12 (주)영화 건축용 메탈판넬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101385192B1 (ko) * 2012-06-18 2014-04-14 김중진 단열재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32224A (en) 1979-04-02 1980-10-14 Daido Kohan Kk Device for manufacturing heat-insulating panel
JPH02182446A (ja) * 1989-01-07 1990-07-17 Daido Steel Sheet Corp 断熱パネルの製造方法
KR20010062361A (ko) * 1999-12-13 2001-07-07 나가노다쯔오 단열 패널의 제조방법
KR20040005294A (ko) * 2002-07-09 2004-01-16 남기호 셔터용 슬레트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35116A (ko) * 2004-10-21 2006-04-26 주식회사 화인텍 사면절곡 연속 조립식 단열 패널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32224A (en) 1979-04-02 1980-10-14 Daido Kohan Kk Device for manufacturing heat-insulating panel
JPH02182446A (ja) * 1989-01-07 1990-07-17 Daido Steel Sheet Corp 断熱パネルの製造方法
KR20010062361A (ko) * 1999-12-13 2001-07-07 나가노다쯔오 단열 패널의 제조방법
KR20040005294A (ko) * 2002-07-09 2004-01-16 남기호 셔터용 슬레트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35116A (ko) * 2004-10-21 2006-04-26 주식회사 화인텍 사면절곡 연속 조립식 단열 패널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1119B1 (ko) * 2009-02-10 2012-03-13 주식회사 우정테크 건축용 장식패널 및 그 제조장치
KR101115872B1 (ko) 2009-10-19 2012-02-23 (주)제일포밍 샌드위치패널 성형기의 연속강판공급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7417A (ko) 2006-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9000B1 (ko) 준불연성 폴리우레탄 폼 판넬 및 그의 연속식 제조방법
KR100708985B1 (ko) 사면절곡 연속 조립식 단열 패널의 제조방법
KR100637734B1 (ko) 복합패널, 복합패널의 제조방법 및 복합패널의 제조장치
KR100622685B1 (ko) 사면절곡 연속 조립식 단열 패널의 제조방법
KR101601078B1 (ko) 발포우레탄 샌드위치 패널 제조시설
US5817260A (en) Method of using a heated metering device for foam production
KR100706533B1 (ko) 난연성 고강도의 발포폴리스티렌 및 그를 이용한 판넬의제조방법
KR101166330B1 (ko) 메탈 샌드위치패널의 제조 방법
KR100622686B1 (ko) 사면절곡 연속 조립식 단열 패널의 연결용 몰드
KR100547563B1 (ko) 셔터용 슬레트의 제조방법
CA3029785C (en) Modified panel and method for making same
KR200365277Y1 (ko) 난연 발포 폴리스티렌 알갱이와 폴리우레탄 복합체를이용한 샌드위치 패널
EP1754585A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andwich panels
JP3044605B2 (ja) 低温タンク壁面の防熱施工法
JP6117972B1 (ja) 不燃性パネルの製造方法
KR100629843B1 (ko) 난연 발포 폴리스티렌 알갱이와 폴리우레탄 복합체를이용한 샌드위치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2032422B1 (ko) 화재 방지용 샌드위치 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102410676B1 (ko) 불연 세라믹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JPH0255208B2 (ko)
JPS5847988B2 (ja) 断熱パネルの製造装置
KR200179151Y1 (ko) 외부면에 화강석(인조석)과 중간에 우레탄폼을 충진하고 내부 면에 칼라강판을 사용하여 제조한 건축용 외장 화강석(인조석) 폴리우레탄 패널
KR20060012075A (ko) 폐 스티로폴과 폴리우레탄 복합체를 이용한 난연 샌드위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0180042Y1 (ko) 불연성 접착강판
KR101109343B1 (ko) 기와형 지붕의 샌드위치판넬 제조장치
JPS5821585B2 (ja) 複合板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