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8018B1 - Ofdm/ofdma 방식을 지원하는 디코딩 장치 및디코딩 방법 - Google Patents

Ofdm/ofdma 방식을 지원하는 디코딩 장치 및디코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8018B1
KR100708018B1 KR1020060016803A KR20060016803A KR100708018B1 KR 100708018 B1 KR100708018 B1 KR 100708018B1 KR 1020060016803 A KR1020060016803 A KR 1020060016803A KR 20060016803 A KR20060016803 A KR 20060016803A KR 100708018 B1 KR100708018 B1 KR 100708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ding
signal
path
payload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6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자
황용석
김재형
Original Assignee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6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8018B1/ko
Priority to PCT/KR2007/000897 priority patent/WO2007097567A1/en
Priority to US12/162,643 priority patent/US20090046799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8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8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06B9/171Rollers therefor; Fastening roller shutters to roll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3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pre-detection combining
    • H04B7/0842Weighted combining
    • H04B7/0848Joint weighting
    • H04B7/0857Joint weighting using maximum ratio combining techniques, e.g. signal-to- interference ratio [SIR], received signal strenght indication [RS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0Fire-proof curt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06B9/174Bear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개의 안테나로 입력되는 신호를 효과적으로 디코딩하는 방법 및 디코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디코딩 방법은, 각 경로로 수신되는 신호의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각 경로의 수신 신호의 타일 또는 빈 단위로 기본 벡터 세트를 각각 내적 또는 곱하여 상관 메트릭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각 경로의 전력 측정값 및 상관 메트릭스로부터 디코딩 메트릭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디코딩 메트릭스로부터 패이로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디코딩 장치는 2개 이상의 경로로 수신되는 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각 경로의 수신 신호의 전력을 측정하기 위한 신호 전력 측정부; 상기 각 경로의 수신 신호의 패이로드 후보값에 대한 개연성에 대응하는 메트릭스를 생성하는 디모듈레이션/디코딩부; 및 상기 각 경로의 신호 전력 측정값 및 상기 메트릭스에 따라, 패이로드를 결정하기 위한 MRC/결정부를 포함한다.
fast feedback, ACK/NACK, OFDMA, QPSK, 다수 경로

Description

OFDM/OFDMA 방식을 지원하는 디코딩 장치 및 디코딩 방법{Decoder and Decoding Method Supporting OFDM/OFDMA}
도 1은 본 발명의 디코딩 장치가 구현될 수 있는 무선 휴대 인터넷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무선 휴대 인터넷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구간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타이밍도.
도 3a는 빈의 구조를 도시한 데이터 구조도.
도 3b는 OPUSC 타일의 구조를 도시한 데이터 구조도.
도 3c는 PUSC 타일의 구조를 도시한 데이터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디코딩 장치와 대응하는 인코더의 일부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디코딩 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도 5의 MRC 상관 메트릭스의 생성 과정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7은 도 6 중 하나의 경로의 상관 메트릭스의 생성 과정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8은 도 5의 디코딩 메트릭스의 생성 과정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8은 도 5의 패이로드 결정 과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디코딩 장치가 구현될 수 있는 휴대 인터넷 기지국의 수신단 무선 코어 모듈의 일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도 10은 도 9의 디모듈레이션/디코딩부 및 MRC/결정부의 세부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1 ~ 50-4 : 서브 채널 디맵핑부
60-1 ~ 60-4 : 전력 측정부
70-1 ~ 70-4 : 디모듈레이션/디코딩부
72-1 ~ 72-4 : 수신 버퍼
74-1 ~ 74-4 : 상관 메트릭스 생성부
200 : MRC/결정부 240 : MRC
250 : 상관 메트릭스 버퍼 260 : 디코딩 메트릭스 생성부
262 : 패이로드 테이블 270 : 패이로드 결정부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개의 안테나로 입력되는 신호를 효과적으로 디코딩하는 방법 및 디코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OFDM/OFDMA 통신 시스템에서 중첩된 섹터를 가지는 기지국에서 업링크 프레임에 실린 제어 신호를 디코딩하는 방법 및 디코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상용화되거나, 상용화 예정인 다양한 종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휴대 단말기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들을 보유한다. 이론적으로는 하나의 기지국을 중심으로 한 2차원 영역을 감당하기 위해서는 3개의 안테나가 필요하지만, 트래픽 처리 능력의 증대를 위해 방사 영역 및 사용 주파수가 중첩되는 안테나를 증설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안테나가 증설된 경우, 또는 안테나가 담당하는 섹터의 경계 지역에 단말기가 존재하는 경우, 하나의 휴대 단말기에 대한 신호는 하나의 기지국에 설치된 2개 이상의 안테나에 동시에 감지될 수 있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이러한 경우 상기 기지국은 보다 감지 전력이 큰 안테나를 결정하여, 결정된 안테나로 필요한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하나의 안테나에 수신된 신호만을 처리하므로 증폭도가 높아지는 등 효율이 떨어지는 점, 선택된 안테나만 잡음이 섞이고 다른 안테나에는 잡음이 섞이지 않는 시점의 경우에는 오히려 수신 품질이 저하되는 점과 같은 기지국상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이는 휴대 단말기로 하여금 출력을 높이게 하여 휴대 단말기의 사용시간을 줄이는 문제점을 야기할 위험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수개의 안테나를 구비한 기지국의 전력 소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디코딩 방법 및 디코딩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다수개의 안테나에 수신된 신호를 함께 사용하는 디코딩 방법 및 디코딩 장치를 제공하는데 심화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개의 안테나를 구비한 기지국의 수신 품질을 높일 수 있는 디코딩 방법 및 디코딩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속한 휴대 단말기의 전력 소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다수개의 안테나를 구비한 기지국의 디코딩 방법 및 디코딩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OFDM/OFDMA 방식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위한 디코딩 방법은 2개 이상의 경로로 수신되는 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각 경로로 수신되는 신호의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각 경로의 수신 신호의 타일 또는 빈 단위로 기본 벡터 세트를 각각 내적 또는 곱하여 상관 메트릭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각 경로의 전력 측정값 및 상관 메트릭스로부터 디코딩 메트릭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디코딩 메트릭스로부터 패이로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OFDM/OFDMA 방식을 지원하는 시스템의 디코딩 장치는 2개 이상의 경로로 수신되는 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각 경로의 수신 신호의 전력을 측정하기 위한 신호 전력 측정부; 상기 각 경로의 수신 신호의 패이로드 후보값에 대한 개연성에 대응하는 메트릭스를 생성하는 디모듈레이션/디코딩부; 및 상기 각 경로의 신호 전력 측정값 및 상기 메트릭스에 따라, 패이로드를 결정하기 위한 MRC/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본 발명의 사상은 동일 주파수의 신호를 복수개의 안테나로 수신받는 장비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의 수신단에서의 데이터 복조용 디코딩 장치에 적용이 가능하다. 비록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기 실시예에서는 OFDM/OFDMA 방식의 무선 휴대 인터넷 시스템 기지국의 수신단 디코딩 장치로 구체화하여 기술하지만, 이는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사상을 IEEE 802.16d 또는 IEEE 802.16e의 규격을 따르는 무선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 적용한 것으로, 특히 패스트 피드백 신호의 전송용으로 구현한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6비트 패이로드를 48개의 서브 캐리어 로 전송하는 패스트 피드백 신호 전송용 서브채널을 고려하였다. 각 패스트 피드백 서브채널은 단말기에 할당되는 하나의 OFDM/OFDMA 서브채널로 이루어지고, 각 OFDM/OFDMA 서브채널은 일반적인 업링크 데이터의 맵핑과 유사한 방법으로 맵핑된다.
상기 OFDMA를 적용한 무선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 하나의 기지국과 다수개의 단말기간의 데이터 통신이 수행되는 무선 채널 상의 전체 전송 프레임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진다. 도시한 프레임은 5ms의 구간 동안 시분할 방식을 적용한 것으로서, 단말기들에서 기지국으로 데이터가 전달되는 업링크 구간과, 기지국에서 단말기들로 데이터가 전달되는 다운링크 구간으로 구분된다.
상기 IEEE 802.16e 및 802.16d의 규격에 따르면 패스트 피드백(fast feedback) 신호는 각 단말기에 할당된 서브 채널을 이루는 48개의 서브 캐리어에 분포된 QPSK 모듈레이션 신호로 전송하도록 규정하고 있다(ACK/NACK는 24개의 서브 캐리어로 규정). 패스트 피드백 서브채널은 48개의 서브 캐리어를 가지는 QPSK 모듈레이션을 이용하고, 6비트의 패스트 피드백 데이터를 실을 수 있다. 48개의 서브 캐리어는 6개의 OPUSC 타일 또는 6개의 PUSC 타일 또는 AMC 등 기타 존(zone)으로부터 확보될 수 있다.
도 2은 상기 규격의 무선 휴대 인터넷의 업/다운 링크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다. 도시한 프레임을 업 링크 프레임 및 다운 링크 프레임으로 나뉘며, 상기 다운 링크 프레임은 PUSC 부채널 구간, 다이버시티 부채널 구간 및 AMC 부채널 구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업 링크 프레임은 상향 제어 심볼 구간, 다이버시티 부채널 구간 및 AMC 구간으로 이루어진다. 각 구간은 정해진 용도에 맞게 각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제어 신호들을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도 2의 프레임에서 데이터를 구획하여 전송하는 전송 단위로서 타일 및 빈을 사용하고 있는데, 빈 및 타일은 위상 신호 하나를 실을 수 있는 1주기의 서브 캐리어들로 이루어진다. 빈은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한 시점에서 9개의 순차적인 주파수를 가지는 서브 캐리어로 이루어진 데이터 전송 단위로서, 중간 주파수를 가지는 서브 캐리어를 파일럿 신호의 전송용으로 사용한다. 타일은 OPUSC 타일 및/또는 PUSC 타일이 사용될 수 있는데, OPUSC 타일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개의 주파수 단위 및 3개의 타임 단위로된 9개의 서브 캐리어로 이루어지며, 가운데 서브 캐리어 하나를 파일럿 신호의 전송용으로 사용한다. PUSC 타일은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개의 주파수 단위 및 4개의 타임 단위로된 12개의 서브 캐리어로 이루어지며, 꼭지점 부분의 4개의 서브 캐리어를 파일럿 신호의 전송용으로 사용한다.
무선 휴대 인터넷의 운용시 전송되는 많은 종류의 신호들 중 본 실시예에 따른 QPSK 모듈레이션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는 신호로는 패스트 피드백 신호 및 ACK/NACK 신호가 있다. 이 신호들은 IEEE 802.16d 또는 IEEE 802.16e 등의 규격에서 규정한 종류에 따라 1비트, 3비트, 4비트 또는 6비트의 크기를 가지는 패이로드이다. 상기 규격에서는 패스트 피드백 신호의 경우 하나의 단말기에 대한 상기 패이로드를 싣기 위한 서브 캐리어의 개수를 48개로 규정하고 있다. 또한, 상기 48개 의 서브 캐리어를 확보하기 위해, 하나의 서브 채널은 6개의 타일을 포함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또한, 상기 규격에서는 1비트의 ACK/NACK 신호의 경우 하나의 단말기에 대한 상기 패이로드를 싣기 위한 서브 채널은 3개의 타일로 이루도록 규정하고 있다.
도 4는 무선 인터넷 시스템을 구성하는 휴대 단말기 측의 인코더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인코더는 인코딩하려는 6비트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 버퍼(620); 및 상기 입력 버퍼(620)에 래치된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에 따라 인코딩하기 위한 맵핑 블록(640)을 포함한다. 상기 6비트 데이터는 소정의 제어 신호 생성기(720)로부터 입력받는다.
상기 6비트 입력값은 6개의 타일을 채울 수 있는 6개의 벡터 인덱스열로 심볼 맵핑된다. 각 6비트 입력값에 따른 6개의 벡터 인덱스열의 출력값은 하기 표 1에 도시한 바와 같다. 상기 표에서 각 타일값으로 표기된 '1' ~ '7'의 인덱스 넘버는 하기 표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벡터들의 집합으로 표시된다. 각 벡터는 각각 90도의 위상차를 가지는 하기 수학식 1과 같은 4개의 복소수로 표현되며, 서브 캐리어에 물리적으로 적용된다.
6비트 payload 벡터 인덱스열 6비트 payload 벡터 인덱스열
000000 0,0,0,0,0,0 100000 6,7,5,1,2,4
000001 1,1,1,1,1,1 100001 7,6,4,0,3,5
000010 2,2,2,2,2,2 100010 4,5,7,3,0,6
000011 3,3,3,3,3,3 100011 5,4,6,2,1,7
000100 4,4,4,4,4,4 100100 2,3,1,5,6,0
000101 5,5,5,5,5,5 100101 3,2,0,4,7,1
000110 6,6,6,6,6,6 100110 0,1,3,7,4,2
000111 7,7,7,7,7,7 100111 1,0,2,6,5,3
001000 2,4,3,6,7,5 101000 7,5,1,2,4,3
001001 3,5,2,7,6,4 101001 6,4,0,3,5,2
001010 0,6,1,4,5,7 101010 5,7,3,0,6,1
001011 1,7,0,5,4,6 101011 4,6,2,1,7,0
001100 6,0,7,2,3,1 101100 3,1,5,6,0,7
001101 7,1,6,3,2,0 101101 2,0,4,7,1,6
001110 4,2,5,0,1,3 101110 1,3,7,4,2,5
001111 5,3,4,1,0,2 101111 0,2,6,5,3,4
010000 4,3,6,7,5,1 110000 5,1,2,4,3,6
010001 5,2,7,6,4,0 110001 4,0,3,5,2,7
010010 6,1,4,5,7,3 110010 7,3,0,6,1,4
010011 7,0,5,4,6,2 110011 6,2,1,7,0,5
010100 0,7,2,3,1,5 110100 1,5,6,0,7,2
010101 1,6,3,2,0,4 110101 0,4,7,1,6,3
010110 2,5,0,1,3,7 110110 3,7,4,2,5,0
010111 3,4,1,0,2,6 110111 2,6,5,3,4,1
011000 3,6,7,5,1,2 111000 1,2,4,3,6,7
011001 2,7,6,4,0,3 111001 0,3,5,2,7,6
011010 1,4,5,7,3,0 111010 3,0,6,1,4,5
011011 0,5,4,6,2,1 111011 2,1,7,0,5,4
벡터 인덱스 서브캐리어 모듈레이션된 데이터
0 P0, P1, P2, P3, P0, P1, P2, P3
1 P0, P3, P2, P1, P0, P3, P2, P1
2 P0, P0, P1, P1, P2, P2, P3, P3
3 P0, P0, P3, P3, P2, P2, P1, P1
4 P0, P0, P0, P0, P0, P0, P0, P0
5 P0, P2, P0, P2, P0, P2, P0, P2
6 P0, P2, P0, P2, P2, P0, P2, P0
7 P0, P2, P2, P0, P2, P0, P0, P2
Figure 112006012646683-pat00001
상기 표 1 및 표 2에 따르면, 하나의 6비트 입력값은 6개의 타일값으로 변환되며, 각 타일값은 8개의 벡터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벡터들은 하나의 서브 캐리어에 실리므로, 결국 하나의 6비트 입력값은 6*8 = 48개의 반송파에 실리게 된다. 하기 표 3은 상기 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었다.
6 bit payload 48개 data subcarrier
000000 1+i -1+i -1- i 1- i 1+i -1+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000001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 i
000010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 i -1- i -1- i 1- i 1- i 1+ i 1 + i -1+ i -1+ i -1- i -1- i 1- i 1 - i
000011 1+ i 1+ i 1- i 1- i -1- i -1 -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 i
000100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 i 1+ i 1+ i 1+ i 1+ i 1+ i 1+ i
000101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000110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 i
000111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1- i
... ... ...
111110 1+ i -1- i -1- i 1+ i -1 - i 1+ i 1+ i -1- i 1+ i 1 + i 1+ i 1+ i 1+ i 1+ i 1 + i 1+ i 1+ i 1+ i -1+ i -1 + i -1- i -1- i 1- i 1- i 1 + i -1- i 1+ i -1- i 1+ i -1 - i 1+ i -1- i 1+ i -1+ i -1 - i 1- i 1+ i -1+ i -1- i 1 - i 1+ i 1- i -1- i -1+ i 1 + i 1- i -1- i -1 + i
111111 1 + i -1- i 1+ i -1- i -1 - i 1+ i -1- i 1+ i 1+ i -1 - i 1+ i -1- i 1+ i -1- i 1 + i -1- i 1+ i 1+ i 1- i 1 - i -1- i -1- i -1+ i -1+ i 1 + i 1+ i 1+ i 1+ i 1+ i 1 + i 1+ i 1+ i 1+ i 1- i -1 - i -1+ i 1+ i 1- i -1- i -1 + i 1+ i -1+ i -1- i 1- i 1 + i -1+ i -1- i 1 -i
도 5는 본 발명의 OFDM/OFDMA 방식을 지원하는 시스템에서의 디코딩 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2개 이상의 경로로 수신되는(S100) 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딩 방법은, 각 경로로 수신되는 신호의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S200); 상기 각 경로의 수신 신호의 타일 또는 빈 단위로 기본 벡터 세트를 각각 내적 또는 곱하여 상관 메트릭스를 생성하는 단계(S300); 상기 각 경로의 전력 측정값 및 상관 메트릭스로부터 디코딩 메트릭스를 생성하는 단계(S400, 500); 및 상기 디코딩 메트릭스로부터 패이로드를 결정하는 단계(S6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상관 메트릭스로부터 디코딩 메트릭스의 생성 단계는, 상기 각 경로의 상관 메트릭스에 해당 경로의 신호 전력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상관 메트릭스를 합산하여 MRC 상관 메트릭스를 생성하는 단계(S400); 및 상기 MRC 상관 메트릭스와 패이로드 후보값에 대한 개연성에 대응하는 디코딩 메트릭스를 생성하는 단계(S500)로 이루어진다.
IEEE 802.16d 또는 IEEE 802.16e 규격의 무선 휴대 인터넷에 적용한 경우 상기 신호 전력 측정 단계(S200)는, 하나의 단말기에 할당되는 버스트(burst), 서브 채널 또는 슬롯 단위로 전력 측정을 수행할 수도 있고, 상기 서브 채널을 구성하는 각 타일 또는 빈 단위로 전력 측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서브 채널 또는 슬롯을 구성하여 입력되는 소정 개수(예: 48개)의 데이터 신호 모두에 대하여 전력 측정을 수행할 수도 있고, 임의 또는 지정된 소수의 데이터 신호에 대해서만 전력 측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2개 이상의 데이터 신호로부터 전력 측정이 이루어지면, 측정된 전력값의 평균값을 해당 서브 채널 또는 슬롯에 대한 전력값으로 결정하는데, 이때 평균값은 산술평균값 또는 기하평균값이 사용될 수 있다.
타일 또는 빈 단위로 전력을 측정하는 후자의 경우에는 타일 또는 빈에 포함되는 파일럿 신호에 대하여 전력 측정을 수행할 수도 있고, 또는 데이터 신호에 대하여 전력 측정을 수행할 수도 있고, 타일 또는 빈 안에 파일럿 신호와 데이터 신호들에 대하여 전력 측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2개 이상의 데이터 신호 및/또는 파일럿 신호로부터 전력 측정이 이루어지면, 측정된 전력값의 평균값을 해당 서브 채널 또는 슬롯에 대한 전력값으로 결정하는데, 이때 평균값은 산술평균값 또는 기하평균값이 사용될 수 있다.
신호의 수신 단계(S100) 이전 또는 이후에 파일럿 신호를 사용하여 채널에 대한 추정 및 수신 신호 보정을 수행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여기서 무선 채널의 추정은, 하나의 기지국이 입력받는 업 링크 구간 전체에 대한 추정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기지국과 하나의 단말기간에 형성되는 각 서브 채널에 대한 추정을 뜻한다. 따라서, 상기 채널의 추정은 상향 제어 심볼 구간 신호를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단말기와의 통신에 사용하는 서브 채널 구간의 각 타일에 포함되는 파일럿 신호를 적용하여 이루어진다.
파일럿 신호는 미리 규정된 크기(amplitude) 및 0의 위상(phase)을 가진다. 상기 S200 단계에서는 실제로 수신한 파일럿 신호의 크기 및 위상과, 상기 미리 규정된 이상적인 파일럿 신호의 크기 및 위상을 비교하여 그 차이를 파악한다. 크기의 차이는 신호의 감쇄 정도를 나타내며, 위상의 차이는 신호의 지연 정도를 나타낸다. 이를 상기 파일럿 신호와 무선 채널을 공유하는 수신 신호에 적용하면, 상기 감쇄 정도에 따라 수신 신호의 크기(amplitude)를 판단하는 단위 기준값이 조절되며, 상기 지연 정도에 따라 수신 신호의 인식 시점이 조절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휴대 인터넷의 규격에 의하면 하나의 단말기에 대한 서브 채널에는 신호 전송용으로 6개의 타일을 할당하는 바, 6개의 타일을 이루는 48개의 서브 캐리어에 실린 신호는, 해당 타일에 대한 추정에 따른 보정이 적용된 상태로 측정되어, 수신 버퍼(6개의 타일 버퍼로 이루어짐)에 버퍼링됨으로서 채널 추정에 따른 보정이 수행된다.
채널 추정/보정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신호의 전력 측정도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수행토록 구현하는 것이 구조를 간단화하는 면에서 바람직하다.
도 6은 상기 S300 단계의 상관 메트릭스 생성 과정 및 상기 S400 단계의 MRC 상관 메트릭스 생성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과정은 4개의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디코딩하는 것이므로, 각 안테나 경로에 대하여 상관 메트릭스(m_ant1 ~ m_ant4)가 생성되며, 각 안테나 경로에 대하여 전력 측정값(W1 ~ W4)이 생성된다. 일단, 도 7을 참조하여 각 경로의 상관 메트릭스 생성과정부터 살펴보겠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디코딩 과정을 무선 휴대 인터넷 규격에 따라 원칙적으로 수행한다면, 64*48개의 서브 캐리어에 대한 디코딩 테이블이 필요하며, 이는 상기 테이블을 기록하기 위한 메모리에도 부담이 될 뿐만 아니라, 디코딩을 수행하는 연산장치에도 부담이 된다. 그런데, 상기 무선 휴대 인터넷의 규격은, 6개의 타일 각각에 8개씩의 위상 신호를 나누어 전송하도록 규정하며, 상기 48개의 위상 신호들을 8개의 위상 신호로 이루어진 부분 집합 6개로 구분하고, 각 부분 집합은 하나의 벡터 인덱스값을 표시하고, 상기 소정 개수의 벡터 인덱스값들의 조합이 하나의 패이로드를 표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무선 휴대 인터넷 규격에 따른 상기 타일 분할 구조 및 소정의 벡터 인덱스를 생성하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보다 간단한 구조로 디모듈레이션을 수행하도록 착안하였다. 이를 위해 디코딩 과정의 중간 생성 데이터로서, 하나의 타일에 수신된 신호와 표 2의 각 벡터 인덱스와의 개연성을 뜻하는 상관 메트릭을 구하는데, 6개의 타일 및 8개의 벡터 인덱스들에 대하여 상관 메트릭스 1세트를 생성한다.
상기 S300 단계는 수신 신호와 기본 벡터 신호를 연산한 결과로서 상관 메트릭을 구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연산은 목적에 따라 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코히어런트 방식의 경우에는 내적하려는 두 벡터의 위상차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보다 간단한 내적 회로로 구현이 가능하며, 두 벡터를 곱셈 연산하는 넌코히어런트 방식의 경우는 연산 결과로 허수부값을 산출하는 보다 복잡한 회로가 필요하다. 내적(또는 곱셈) 방법의 하나로, 서브캐리어의 각 90도를 나타내는 4개의 신호와 수신 신호를 각각 내적(또는 곱셈)하고, 4개의 연산 결과를 서브캐리어 디모듈레이션 기본 벡터 패턴으로 조합하여, 8개의 기본 벡터에 대한 연산 결과값을 얻을 수 있다.
상기 허수부가 존재하는 연산 결과를 상관 메트릭으로 기록하는 방법은, 연산 결과값의 실수부값만을 기록하는 방법, 연산 결과값의 절대값만을 기록하는 방법, 연산 결과값의 실수부값과 허수부값의 합을 기록하는 방법이 있다.
48개의 각 서브 캐리어에 실리는 수신 신호 - 상기 수학식 1의 4개 값 중 하나의 값을 가진다 - 는, 각 서브 캐리어에 대한 순번 별로, 0번 수신 신호에서 47번 수신 신호라 칭한다. 규격에 따르면 상기 48개의 수신 신호는 타일 #0에서 타일 #5로 식별되는 6개의 타일에, 각 타일당 8개씩 실리게 된다. 상관 메트릭스의 생성 과정 및 사용 과정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서는 상관 메트릭스를 6*8 행렬 형태로 배열하였다.
상기 S300 단계에서는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타일버퍼 #0에 버퍼링된 값과 상기 기본 벡터 신호를 일대일 내적 또는 곱셈한 후 합산하여 상관 메트릭을 산출한다. 타일 버퍼 #0에 기록된 하나의 값에 대해, 상기 표 2의 패턴을 가지는 8개의 기본 벡터 신호와 한 번씩 상기 상관 메트릭 산출 과정이 수행되므로, 상기 과정에 대한 결과는 모두 8개가 생성된다. 상기 8개의 결과값들(m00 ~ m07)은 상관 메트릭스 상의 제1 열(column)을 구성하게 된다.
마찬가지의 과정으로 타일버퍼 #1에 기록된 값에 대하여 디모듈레이션이 수행되어 얻어진 8개의 결과값들(m01 ~ m17)은 상기 상관 메트릭스의 제2 열(column)을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들이 타일버퍼 #2 내지 타일버퍼 #5까지 수행되며, 마지막 타일버퍼 #5에 기록된 값에 대하여 디모듈레이션이 수행되어 얻어진 8개의 결과값들(m50 ~ m57)은 상기 상관 메트릭스의 제6 열(column)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생성된 상기 상관 메트릭스를 구성하는 각 메트릭은, 열(column) 차수로 표시되는 각 타일에 대하여, 벡터 인덱스가 행의 차수값일 확률을 표현하게 된다. 예컨대, 도 9의 상관 메트릭스 중 m02는 0번 타일에 실린 신호가 2번 벡터를 나타낼 확률에 대응하는 인덱스-개연성을 나타내며, m25는 2번 타일에 실린 신호가 5번 벡터를 나타낼 확률에 대응하는 인덱스-개연성을 나타낸다.
상기 S400 단계에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상관 메트릭스 각각에 동일한 경로의 전력값을 곱하여 가중치를 부여한 후, 이를 합산하여 MRC 상관 메트릭스를 생성한다. 서브 채널 또는 슬롯 단위로 전력을 측정하는 구현의 경우에는 상관 메트릭스 구성요소 전부에 대하여 동일한 가중치가 부여되고, 타일 또는 빈 단위로 전력을 측정하는 구현의 경우에는 도시한 상관 메트릭스의 각 열(column)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가중치가 부여된다.
도 8에 도시한 상기 S500 단계에서는, 상기 상관 메트릭스의 구성요소 중 상기 MRC 상관 메트릭스와 특정 패이로드 후보값에 대한 디코딩 메트릭을 구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분 집합을 선별하는 단계와, 상기 선별된 부분 집합의 값들을 합산하여 상기 패이로드 후보값에 대한 디코딩 메트릭을 계산하는 단계를 모든 패이로드 후보값에 대하여 반복함으로써, 디코딩 메트릭스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S500 단계에서는, 상기 MRC 상관 메트릭스 기록값을 가지고 최종 디코딩값이 특정 패이로드일 확률인 패이로드-개연성을 측정한다. 측정된 패이로드-개연성은 디코딩 메트릭으로 기록되며, 6개 타일의 수신 신호들에 대하여 0부터 63까지의 패이로드 후보값 각각에 대한 패이로드-개연성을 측정하여 도시한 바와 같은 디코딩 메트릭스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디코딩 메트릭스의 생성 과정 중 상기 표 1의 관계가 표현된 패이로드 테이블을 이용할 수 있다.
패이로드 테이블은 각 패이로드 후보값에 대한 벡터 인덱스가 기록된 것으로, 제1행에는 패이로드가 0일때의 벡터 인덱스 열을 기록하며, 제2행에는 패이로드가 1일때의 벡터 인덱스 열을 기록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6비트 패이로드를 싣는 경우 64개의 행(row)을 가지며, 4비트 패이로드를 싣는 경우에는 16개의 행을 가진다. 하기 표 4는 6비트 패이로드에 대한 패이로드 테이블의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0 0 0 0 0 0
1 1 1 1 1 1
2 2 2 2 2 2
3 3 3 3 3 3
4 4 4 4 4 4
5 5 5 5 5 5
6 6 6 6 6 6
7 7 7 7 7 7
2 4 3 6 7 5
3 5 2 7 6 4
0 6 1 4 5 7
1 7 0 5 4 6
6 0 7 2 3 1
7 1 6 3 2 0
4 2 5 0 1 3
5 3 4 1 0 2
4 3 6 7 5 1
5 2 7 6 4 0
6 1 4 5 7 3
7 0 5 4 6 2
0 7 2 3 1 5
1 6 3 2 0 4
2 5 0 1 3 7
3 4 1 0 2 6
3 6 7 5 1 2
2 7 6 4 0 3
1 4 5 7 3 0
0 5 4 6 2 1
7 2 3 1 5 6
6 3 2 0 4 7
5 0 1 3 7 4
4 1 0 2 6 5
6 7 5 1 2 4
7 6 4 0 3 5
4 5 7 3 0 6
5 4 6 2 1 7
2 3 1 5 6 0
3 2 0 4 7 1
0 1 3 7 4 2
1 0 2 6 5 3
7 5 1 2 4 3
6 4 0 3 5 2
5 7 3 0 6 1
4 6 2 1 7 0
3 1 5 6 0 7
2 0 4 7 1 6
1 3 7 4 2 5
0 2 6 5 3 4
5 1 2 4 3 6
4 0 3 5 2 7
7 3 0 6 1 4
6 2 1 7 0 5
1 5 6 0 7 2
0 4 7 1 6 3
3 7 4 2 5 0
2 6 5 3 4 1
1 2 4 3 6 7
0 3 5 2 7 6
3 0 6 1 4 5
2 1 7 0 5 4
5 6 0 7 2 3
4 7 1 6 3 2
7 4 2 5 0 1
6 5 3 4 1 0
상기 표의 경우 상기 디코딩 메트릭스 생성부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MRC 상관 메트릭스 기록값이 0이 될 패이로드-개연성, 1이 될 패이로드-개연성, ..., 및 63이 될 패이로드-개연성을 계산하여, 디코딩 메트릭스를 생성한다.
상기 디코딩 메트릭스의 생성 과정을 자세히 설명하면, 표 4의 상기 패이로드 테이블의 한 행을 구성하는 단위 값들을 리딩하고, 각 단위 값의 열(column) 순차와 일치하는 열(column) 순차를 가지는 하기 표 5의 상기 MRC 상관 메트릭스의 구성요소들 중 각 단위값의 행 순차를 가지는 것을 선택한다. 그 결과 상기 MRC 상관 메트릭스에서 총 6개의 구성요소들이 선택되면, 선택된 6개의 구성요소의 값들을 합산하여, 상기 리딩한 행이 나타내는 패이로드값에 대한 패이로드-개연성값을 생성한다. 예컨대, 상기 패이로드 테이블 중 첫번째 행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하기 표 5의 MRC 상관 메트릭스 구성요소 중 m00, m10, m20, m30, m40, m50에 해당하는 값들을 합산하며, 상기 패이로드 테이블 중 아홉번째 행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m02, m14, m23, m36, m47, m55에 해당하는 값들을 합산한다.
Figure 112006012646683-pat00002
상기와 같이 S500 단계에서는 상기 상관 메트릭스와 각 패이로드 후보값(최종적인 디코딩 결과에 대한 후보값이라는 의미로 디코딩 후보값이라 칭할 수도 있다)에 대한 개연성(likelyhood)에 대응하는 디코딩 메트릭으로 구성된 디코딩 메트릭스를 생성하면, 상기 S600 단계에서는 상기 디코딩 메트릭스에서 최대 메트릭을 검색하고 최대 메트릭을 갖는 패이로드 후보값을 패이로드로 결정한다. 상기 S600 단계를 단순히 최대 메트릭을 검색하는 것 뿐만 아니라, 최대 메트릭 다음으로 큰 값을 가지는 둘째 메트릭 및/또는 상기 디코딩 메트릭스의 평균값(산술평균 또는 기하평균)인 평균 메트릭을 이용하여 보다 복잡한 결정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둘째 메트릭 및/또는 평균 메트릭을 사용하는 적용가능한 알고리즘들을 프로그래밍 언어로 표현한 실시예들은 하기 수학식 2 내지 수학식 9와 같다.
Figure 112006012646683-pat00003
Figure 112006012646683-pat00004
Figure 112006012646683-pat00005
Figure 112006012646683-pat00006
Figure 112006012646683-pat00007
Figure 112006012646683-pat00008
Figure 112006012646683-pat00009
Figure 112006012646683-pat00010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코딩 장치를 포함하며, 무선 휴대 인터넷 시스템의 RAS 수신부의 하부 MAC 계층 이전의 무선 코아 모듈 영역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휴대 인터넷 시스템은 다운 링크와 업 링크를 시간으로 구분하는 TDD 방식이 사용되며, 다중접속 방식으로는 OFDMA가 사용된다. OFDM/OFDMA 방식의 무선 신호는 다수개의 서브캐리어에 실린 상태로 각 안테나에 수신되어 저주파 통과 필터(20)를 경유한 뒤, FFT(Fast Fourier Transform) 블록(40)에서 다수개의 QPSK 모듈레이션 신호로 변환되어, 서브 채널 디맵핑부(50)로 입력된다. 서브 채널 디맵핑부에서는 입력 받은 다수개의 위상 신호를 해당 서브 채널 신호로 디맵핑한다. 디맵핑된 신호는 전력 측정부(60) 및 디모듈레이션/디코딩부(100)로 입력된다. 상기 디모듈레이션/디코딩부(100)는 해당 서브 채널 수신 신호로부터 상관 메트릭스를 생성하며, 상기 전력 측정부(60)는 수신 신호의 전력을 측정한다.
각 안테나의 경로에 대하여 얻어진 4개의 상관 메트릭스 및 4개의 전력값은 MRC/결정부(200)로 입력된다. 상기 MRC/결정부(200)는 상기 4개의 상관 메트릭스 각각에 4개의 전력값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MRC 상관 메트릭스를 생성하고, 상기 MRC 상관 메트릭스를 디코딩하여 패이로드를 결정한다. 결정된 패이로드는 최종적으로 MAC 계층(90)으로 입력된다.
구현에 따라 미도시한 서브 채널 맵핑부에서 이너머레이션(enumeration)이 수행되는 구현의 경우에는 상기 디모듈레이션/디코딩부(70)와 MAC 계층(90) 사이에 디이너머레이션(deenumeration)부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로테이션(rotation)부, 파일 퍼뮤테이션(depermutation)부 등 통신 데이터의 변환에 관련된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성요소들의 부가 유무가 본 발 명의 권리범위에 영향이 없음은 당연하다.
도 10은 본 실시예의 디모듈레이션/디코딩부(100) 및 MRC/결정부(200)의 세부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디모듈레이션/디코딩부(70)는 각 안테나 경로를 이루는 6개의 타일 또는 빈에 분포되는 다수개의 수신 신호들에 실린 패이로드을 추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디모듈레이션/디코딩부(7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되는 QPSK 모듈레이션된 신호를 버퍼링하기 위한 수신 버퍼(72); 및 상기 각 경로의 수신 신호의 타일 또는 빈 단위로 8개의 기본 벡터 세트를 각각 내적 또는 곱셈하여 상관 메트릭스를 생성하는 상관 메트릭스 생성부(74)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신 버퍼(220)는 서브 채널을 구성하는 각 타일 별로 수신 신호를 버퍼링하기 위한 다수개의 타일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인터넷 규격을 따르는 일실시예의 경우 타일 버퍼 #0 내지 #5로 식별되는 6개의 타일 버퍼로 이루어진다. 상기 타일 버퍼 #0(타일 0에 대한 버퍼)에는 0번에서 47번으로 식별되는 48개의 수신 신호 중 0번 에서 7번까지의 수신 신호가 저장되며, 타일 1의 버퍼에는 8번에서 15번까지의 수신 신호, 타일 2의 버퍼에는 16번에서 23번까지의 수신 신호가 저장되며, 동일한 과정이 반복되어 최종적인 타일 6의 버퍼에는 42번에서 47번까지의 수신 신호가 저장된다.
디모듈레이션에 필요한 기본 벡터 신호 세트를 생성하기 위한 기본 벡터 생성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기본 벡터 생성부는 8개의 기본 벡터의 패턴을 기록한 디모듈레이션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기본 벡터의 패턴 정보를 리딩하여 디모듈레이션 수행에 필요한 기본 벡터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기본 벡터는 각각 0에서 7까지의 값을 나타낸다. 상기 표 5에서 상기 디모듈레이션 테이블의 첫번째 열(column)의 값을 적용한 결과값이 m00이고, 마지막 여덟번째 열(column)의 값을 적용한 결과값이 m07이다. 상기 기본 벡터 생성부는 하나만 구비하여 생성된 기본 벡터 신호로, 4개의 경로 및 하나의 경로에 포함되는 6개의 타일의 디모듈레이션에 동시에 사용되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MRC/결정부(200)는, 상기 각 경로에서 생성된 상관 메트릭스에 해당 경로의 신호 전력 측정값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결합한 MRC 상관 메트릭스를 생성하는 MRC(240); 상기 MRC 상관 메트릭스와 패이로드 후보값들과의 개연성에 대응하는 디코딩 메트릭스를 생성하는 디코딩 메트릭스 생성부(260); 및 상기 디코딩 메트릭스로부터 패이로드를 결정하기 위한 패이로드 결정부(270)로 이루어진다. 구현에 따라 상기 MRC 상관 메트릭스를 저장하기 위한 MRC 상관 메트릭스 버퍼(250)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디코딩 메트릭스 생성에 필요한 상기 표 4의 구조의 패이로드 테이블(262)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패이로드 결정부(270)는 최대 메트릭을 가지는 패이로드 후보값을 패이로드로 결정하거나 상기 수학식 2 내지 수학식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다소 복잡한 알고리즘에 따라 패이로드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코딩 장치 및/또는 디코딩 방법을 실시함에 의해, 다수개의 안테나에 수신된 신호를 함께 사용하여 디코딩함으로써, 수신 품질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개의 안테나를 구비한 기지국의 전력 소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지국의 수신 실패에 따른 재전송 비율을 낮추어, 기지국에 접속한 휴대 단말기의 전력 소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17)

  1. 복수의 안테나를 통한 2개 이상의 경로로 수신되는 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딩 방법에 있어서,
    각 경로로 수신되는 신호의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각 경로의 수신 신호의 타일 또는 빈 단위로 기본 벡터 세트를 각각 내적 또는 곱하여 상관 메트릭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각 경로의 전력 측정값 및 상관 메트릭스로부터 디코딩 메트릭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디코딩 메트릭스로부터 패이로드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OFDM/OFDMA 방식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위한 디코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이로드 결정 단계는,
    상기 각 경로의 상관 메트릭스에 해당 경로의 신호 전력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상관 메트릭스를 합산하여 MRC 상관 메트릭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MRC 상관 메트릭스와 패이로드 후보값에 대한 개연성에 대응하는 디코딩 메트릭스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FDM/OFDMA 방식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위한 디코딩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 메트릭스 중 가장 큰 값을 가지는 메트릭에 해당하는 패이로드 후보값이 패이로드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FDM/OFDMA 방식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위한 디코딩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경로의 수신 신호의 전력 측정 단계는,
    (a) 상기 타일 또는 빈 단위로 전력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b) 상기 전력 측정 결과값들의 평균값을 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FDM/OFDMA 방식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위한 디코딩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각 타일 또는 빈에 포함된 파일럿 신호의 전력을 측정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FDM/OFDMA 방식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위한 디코딩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각 타일 또는 빈에 포함된 데이터 신호의 전력을 측정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OFDM/OFDMA 방식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위한 디코딩 방법.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수신 경로상 수신 신호의 전력 측정 단계는,
    상기 각 수신 경로상 수신 신호들 중 2개 이상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 측정 결과값들의 평균값을 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FDM/OFDMA 방식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위한 디코딩 방법.
  8. 복수의 안테나를 통한 2개 이상의 경로로 수신되는 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딩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경로의 수신 신호의 전력을 측정하기 위한 신호 전력 측정부;
    상기 각 경로의 수신 신호의 패이로드 후보값에 대한 개연성에 대응하는 메트릭스를 생성하는 디모듈레이션/디코딩부; 및
    상기 각 경로의 신호 전력 측정값 및 상기 메트릭스에 따라, 패이로드를 결정하기 위한 MRC/결정부
    를 포함하는 OFDM/OFDMA 방식을 지원하는 시스템의 디코딩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모듈레이션/디코딩부는,
    상기 각 경로로 수신된 신호를 버퍼링하기 위한 수신 버퍼; 및
    상기 각 경로의 수신 신호의 타일 또는 빈 단위로 8개의 기본 벡터 세트를 각각 내적 또는 곱셈하여 상관 메트릭스를 생성하는 상관 메트릭스 생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FDM/OFDMA 방식을 지원하는 시스템의 디코딩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MRC/결정부는
    상기 각 경로에서 생성된 상관 메트릭스에 해당 경로의 신호 전력 측정값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결합한 MRC 상관 메트릭스를 생성하는 MRC;
    상기 MRC 상관 메트릭스와 패이로드 후보값들과의 개연성에 대응하는 디코딩 메트릭스를 생성하는 디코딩 메트릭스 생성부; 및
    상기 디코딩 메트릭스로부터 패이로드를 결정하기 위한 패이로드 결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FDM/OFDMA 방식을 지원하는 시스템의 디코딩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패이로드 결정부는 디코딩 메트릭스 중 가장 큰 값을 가지는 메트릭에 해당하는 패이로드 후보값을 패이로드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FDM/OFDMA 방식을 지원하는 시스템의 디코딩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력 측정부는,
    상기 타일 또는 빈 단위로 전력 측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FDM/OFDMA 방식을 지원하는 시스템의 디코딩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력 측정부는,
    상기 각 경로로 수신되는 2개 이상의 데이터 신호의 전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전력값을 평균내는 방식으로 전력 측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FDM/OFDMA 방식을 지원하는 시스템의 디코딩 장치.
  14. 제8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파일럿 신호에 대한 채널 추정 결과에 따라 상기 수신 신호를 보정하기 위한 무선 채널 추정/보정부
    를 더 포함하는 OFDM/OFDMA 방식을 지원하는 시스템의 디코딩 장치.
  15. 제8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관 메트릭스를 저장하기 위한 상관 메트릭스 버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FDM/OFDMA 방식을 지원하는 시스템의 디코딩 장치.
  16. 제8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신호에 대한 상관 메트릭 계산에 필요한 기본 벡터를 생성하기 위한 기본 벡터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FDM/OFDMA 방식을 지원하 는 시스템의 디코딩 장치.
  17. 제8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신호는, 피드백 메시지 또는 수신 확인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FDM/OFDMA 방식을 지원하는 시스템의 디코딩 장치.
KR1020060016803A 2006-02-21 2006-02-21 Ofdm/ofdma 방식을 지원하는 디코딩 장치 및디코딩 방법 KR100708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6803A KR100708018B1 (ko) 2006-02-21 2006-02-21 Ofdm/ofdma 방식을 지원하는 디코딩 장치 및디코딩 방법
PCT/KR2007/000897 WO2007097567A1 (en) 2006-02-21 2007-02-21 Decoder and decoding method supporting ofdm/ofdma
US12/162,643 US20090046799A1 (en) 2006-02-21 2007-02-21 Decoder and decoding method supporting ofdm/ofdm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6803A KR100708018B1 (ko) 2006-02-21 2006-02-21 Ofdm/ofdma 방식을 지원하는 디코딩 장치 및디코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8018B1 true KR100708018B1 (ko) 2007-04-16

Family

ID=38181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6803A KR100708018B1 (ko) 2006-02-21 2006-02-21 Ofdm/ofdma 방식을 지원하는 디코딩 장치 및디코딩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90046799A1 (ko)
KR (1) KR100708018B1 (ko)
WO (1) WO200709756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673B1 (ko) 2006-09-07 2007-11-30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접속방식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위한디코딩 장치 및 방법
KR100826558B1 (ko) 2006-08-31 2008-04-30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디코딩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6816B1 (ko) * 2007-04-24 2014-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 전송방법
WO2010002104A2 (en) * 2008-06-08 2010-01-07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control sig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0070A (ko) * 2002-10-29 2005-07-05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Ofdm 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추정
KR20050106658A (ko) * 2004-05-06 2005-11-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Ofdm/tdd 방식의 하향링크용 고유빔을 형성하기위한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87458B1 (ko) * 2004-12-11 2006-06-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의 기지국 기저대역물리채널 복조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33825A1 (de) * 1997-08-05 1999-02-11 Siemens Ag Verfahren und Anordnung zur kombinierten Messung des Anfangs eines Datenblocks und des Trägerfrequenzversatzes in einem Mehrträgerübertragungssystem für unregelmäßige Übertragung von Datenblöcken
KR100243649B1 (ko) * 1997-12-23 2000-02-01 정선종 광대역 이동 멀티미디어 송수신 장치
US6956907B2 (en) * 2001-10-15 2005-10-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power allocation in a MIMO communication system
US7020110B2 (en) * 2002-01-08 2006-03-28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allocation for MIMO-OFDM communication systems
US6922549B2 (en) * 2003-10-31 2005-07-26 Cisco Technology, Inc. Error vector magnitude selection diversity metric for OFDM
US7746760B2 (en) * 2004-01-08 2010-06-29 Qualcomm Incorporated Frequency error estimation and frame synchronization in an OFDM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0070A (ko) * 2002-10-29 2005-07-05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Ofdm 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추정
KR20050106658A (ko) * 2004-05-06 2005-11-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Ofdm/tdd 방식의 하향링크용 고유빔을 형성하기위한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87458B1 (ko) * 2004-12-11 2006-06-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의 기지국 기저대역물리채널 복조 장치 및 그 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50070070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50106658
한국등록특허공보 1005874580000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558B1 (ko) 2006-08-31 2008-04-30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디코딩 장치 및 방법
KR100780673B1 (ko) 2006-09-07 2007-11-30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접속방식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위한디코딩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97567A1 (en) 2007-08-30
US20090046799A1 (en) 2009-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2149B1 (ko) 단일-캐리어 및 멀티-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시스템에서의 채널 및 간섭 추정
KR100434473B1 (ko)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 시스템에서 채널 복호 장치 및 방법
KR10257000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기법에 관련한 제어 정보의 시그널링 장치 및 방법
US20100226329A1 (en) Burst size signaling and partition rule
US20120057649A1 (en) Radio transmission apparatus, radio communication base station apparatus, radio communication mobile station apparatus, and transmission signal generating method
JP4478119B2 (ja) 受信装置
US1045453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0098898B (zh) 使用用于多输入多输出(mimo)信道的极化码的设备和方法
KR100762283B1 (ko) 디코더 및 디코딩 방법
US8379762B2 (en) Physical carrier to interference-plus-noise ratio techniques for wideb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KR101299771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부호어의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0708018B1 (ko) Ofdm/ofdma 방식을 지원하는 디코딩 장치 및디코딩 방법
WO2007004653A1 (ja) 送信装置及びマルチアンテナ送信装置
KR10131163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부호어 생성 방법
KR2014009656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시간-직각 진폭 변조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9209876B2 (en) Adaptive transmit beamforming
JP4590604B2 (ja) 通信装置
WO2006093468A1 (en) Transmit power allo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763044B1 (ko) 디코딩 장치 및 디코딩 방법
KR100768032B1 (ko) 디코딩 장치 및 디코딩 방법
CN112887068A (zh) 数据传输方法、发送设备和接收设备
KR200428034Y1 (ko) 디코딩 장치
KR200428036Y1 (ko) 디코더
KR100742787B1 (ko) 디코딩 장치 및 디코딩 방법
KR101527015B1 (ko) Sc-fdma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다이버시티를 구현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