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7608B1 - 유기 발광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7608B1
KR100707608B1 KR1020050099915A KR20050099915A KR100707608B1 KR 100707608 B1 KR100707608 B1 KR 100707608B1 KR 1020050099915 A KR1020050099915 A KR 1020050099915A KR 20050099915 A KR20050099915 A KR 20050099915A KR 100707608 B1 KR100707608 B1 KR 100707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plastic substrate
emitting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9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규
안태경
곽진호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9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76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7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7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라스틱 기판 내부에 금속 박막을 구비하여 외부의 수분과 산소로부터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보호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장치는 금속 박막을 구비하는 플라스틱 기판, 상기 플라스틱 기판상에 게이트 및 소스/드레인 전극을 구비하여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상기 플라스틱 기판상에 형성되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의해 발광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유기 발광 표시장치, 금속 박막, 투습도, 플라스틱 기판, 플렉서블

Description

유기 발광 표시장치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도 1은 종래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기판의 일례를 나타낸 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200: 기판 220: 박막 트랜지스터
230: 유기 발광 다이오드 240: 금속 박막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라스틱 기판 내부에 금속 박막을 구비하여 외부의 수분과 산소로부터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보호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주목받고 있는 차세대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의 구현에 있어 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기판으로는 실리콘과 유리에서 플라스틱으로 옮겨가고 있는 상황이다.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하기 위한 가장 큰 관건은 유리 전이 온도가 높은 내열성 플라스틱 기판을 개발해야 하는 것이며, 이와 더불어 기판의 표면 거칠기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여야 한다. 한편, 플라스틱 기판은 산소와 수분의 투과도에 있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제작하기 위한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고 있지만 가격이 저렴하고, 가공이 쉬운 이점이 있어 일반적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기판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종래 유기 발광 표시장치는 기판(100)상에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120)와 적어도 하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130)를 형성한다.
기판(100) 상에는 먼저, 버퍼층(101)이 형성되며, 버퍼층(101)의 일 영역상에는 액티브층(102a) 및 오믹 콘택층(102b)을 포함하는 반도체층(102)이 형성된다. 이때, 기판(100)은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의 제작에 사용되기 위해 저렴한 가격에 가공이 쉬운 재료를 사용하여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기판(100)이 사용된다.
박막 트랜지스터(120)는 적어도 반도체층(102), 게이트 전극(104), 소스 및 드레인 전극(106a, 106b)을 포함한다. 반도체층(102)을 포함하여 버퍼층(101) 상에는 게이트 절연층(103)이 형성되고, 게이트 절연층(103)의 일 영역 상에는 액티 브층(102a)의 폭에 대응하는 크기의 게이트 전극(104)이 형성된다. 게이트 전극(104)을 포함하여 게이트 절연층(103) 상에는 층간 절연층(105)이 형성되며, 층간 절연층(105)의 소정의 영역 상에는 소스 및 드레인 전극(106a,106b)이 형성된다. 이때, 소스 및 드레인 전극(106a,106b)은 오믹 콘택층(102b)의 노출된 일 영역과 각각 접속되도록 형성되며, 소스 및 드레인 전극(106a,106b)을 포함하여 층간 절연층(105) 상에는 평탄화층(107)이 형성된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130)는 박막 트랜지스터(200)의 스위칭(switching) 동작에 의해 발광하며, 적어도 제 1 전극(108), 발광층(110) 및 제 2 전극(111)을 포함한다. 평탄화층(107)의 일 영역 상에는 제 1 전극(108)이 형성되며, 이때 제 1 전극(108)은 소스 및 드레인 전극(106a,106b) 중 어느 하나의 노출된 일 영역과 접속된다. 제 1 전극층(108)을 포함하여 평탄화층(107) 상에는 제 1 전극층(108)의 적어도 일 영역을 노출하는 개구부(미도시)가 구비된 화소 정의막(109)이 형성된다. 화소 정의막(109)의 개구부 상에는 발광층(110)이 형성되며, 발광층(110)을 포함하여 화소 정의막(109)상에는 제 2 전극층(111)이 형성된다.
상술한 종래 유기 발광 표시장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제작을 위해 저렴한 가격과 가공이 쉬운 장점을 지닌 플라스틱 기판(100)을 사용한다. 그러나, 플라스틱 기판(100)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130)에 민감한 영향을 미치는 수분과 산소의 투과도의 특성이 좋지 않다.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제작에 사용할 플라스틱 기판 내부에 금속 박막을 구비하여 유기 발광 다이오드에 민감한 영향을 미치는 수분과 산소의 투과를 막기 위한 유기 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금속 박막을 구비하는 플라스틱 기판, 상기 플라스틱 기판상에 게이트 및 소스/드레인 전극을 구비하여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상기 플라스틱 기판상에 형성되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의해 발광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장치는 기판(200)상에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220)와 적어도 하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230)를 형성한다.
기판(200) 상에는 먼저, 버퍼층(201)이 형성되며, 버퍼층(201)의 일 영역상에는 액티브층(202a) 및 오믹 콘택층(202b)을 포함하는 반도체층(202)이 형성된다. 이때, 기판(200)은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의 제작에 사용되기 위해 저렴한 가격에 가공이 쉬운 재료를 사용하여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폴리 에틸렌(PEN), 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 카보네이트(PC), 폴리 에테르설폰(PES)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사용하여 기판(200)을 제조한다. 한편, 기판(200) 내부에는 금속 박막(240)을 구비하여 수분과 산소에 강한 플라스틱 기판(200)을 제조한다. 이때, 금속 박막(240)은 알루미늄, 구리, 스테인리스강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사용하여 20μm 내지 30μm의 두께로 형성된다. 이는 플라스틱 기판(200)의 플렉서블(flexible) 한 특성을 유지하기 위한 적정 두께이다. 만약, 금속 박막(240)을 플라스틱 기판(200) 외부 즉, 기판(2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할 경우, 금속 박막(240)이 산소와 수분에 직접적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산화되거나 훼손되어 장치의 특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플라스틱 기판(200) 내부에 금속 박막(240)을 구비하여야 한다. 한편, 플락스틱 기판(200)은 50μm 내지 200μm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막 트랜지스터(220)는 적어도 반도체층(202), 게이트 전극(204), 소스 및 드레인 전극(206a, 206b)을 포함한다. 반도체층(202)을 포함하여 버퍼층(201) 상에는 게이트 절연층(203)이 형성되고, 게이트 절연층(203)의 일 영역 상에는 액티브층(202a)의 폭에 대응하는 크기의 게이트 전극(204)이 형성된다. 게이트 전극(204)을 포함하여 게이트 절연층(203) 상에는 층간 절연층(205)이 형성되며, 층간 절연층(205)의 소정의 영역 상에는 소스 및 드레인 전극(206a,206b)이 형성된다. 이때, 소스 및 드레인 전극(206a,206b)은 오믹 콘택층(202b)의 노출된 일 영역과 각각 접속되도록 형성되며, 소스 및 드레인 전극(206a,206b)을 포함하여 층간 절연층(205)상에는 평탄화층(207)이 형성된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230)는 박막 트랜지스터(220)의 스위칭(switching) 동작에 의해 발광하며, 적어도 제 1 전극(208), 발광층(210) 및 제 2 전극(211)을 포함한다. 평탄화층(207)의 일 영역 상에는 제 1 전극(208)이 형성되며, 이때 제 1 전극(208)은 소스 및 드레인 전극(206a,206b) 중 어느 하나의 노출된 일 영역과 접속된다. 제 1 전극층(208)을 포함하여 평탄화층(207) 상에는 제 1 전극층(208)의 적어도 일 영역을 노출하는 개구부(미도시)가 구비된 화소 정의막(209)이 형성된다. 화소 정의막(209)의 개구부 상에는 발광층(210)이 형성되며, 발광층(210)을 포함하여 화소 정의막(209)상에는 제 2 전극층(211)이 형성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기판의 일례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판(200)은 먼저 알루미늄, 구리, 스테인리스강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로 형성된 금속 박막(240)을 구비한다. 그리고 나서, 플라스틱 필름(200)을 금속 박막(240)의 상, 하부 면에 얇게 펴 바르는 형태로 포장하여, 플라스틱 필름이 금속 박막(240)을 에워싸도록 기판(200)을 제조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플라스틱 기판(200) 내부에 금속 박막(240)을 포함함으로써, 산소와 수분이 플라스틱 기판(200)을 투과하여 유기 발광 다이오드(미도시)에 영향을 끼치는 현상을 방지하여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에 적합한 플라스틱 기판(200)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장치에 의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제작에 사용할 플라스틱 기판 내부에 금속 박막을 구비하여 유기 발광 다이오드에 민감한 영향을 미치는 수분과 산소의 투과를 막을 수 있고, 또한, 금속 박막에 의한 디스플레이의 반사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Claims (6)

  1. 금속 박막을 구비하는 플라스틱 기판;
    상기 플라스틱 기판상에 게이트 및 소스/드레인 전극을 구비하여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상기 플라스틱 기판상에 형성되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의해 발광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박막은 상기 플라스틱 기판의 내부에 포함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박막은 20μm 내지 30μm의 두께로 형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박막은 알루미늄, 구리, 스테인리스강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인 유기 발광 표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기판은 폴리 에틸렌(PEN), 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 카보네이트(PC), 폴리 에테르설폰(PES)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인 유기 발광 표시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락스틱 기판은 50μm 내지 200μm의 두께로 형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KR1020050099915A 2005-10-21 2005-10-21 유기 발광 표시장치 KR100707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9915A KR100707608B1 (ko) 2005-10-21 2005-10-21 유기 발광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9915A KR100707608B1 (ko) 2005-10-21 2005-10-21 유기 발광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7608B1 true KR100707608B1 (ko) 2007-04-13

Family

ID=38161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9915A KR100707608B1 (ko) 2005-10-21 2005-10-21 유기 발광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76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7824A (ko) * 2013-03-27 2014-10-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0050097B2 (en) 2015-10-27 2018-08-14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9161A (ko) * 2003-05-16 2004-11-26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유기금속 착체 및 이를 함유하는 발광소자
KR20050028044A (ko) * 2002-07-22 2005-03-21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전기 발광 소자
KR20050084419A (ko) * 2002-12-19 2005-08-26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유기 금속 착체, 당해 유기 금속 착체를 사용하는 전계발광 소자 및 당해 전계 발광 소자를 사용하는 발광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8044A (ko) * 2002-07-22 2005-03-21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전기 발광 소자
KR20050084419A (ko) * 2002-12-19 2005-08-26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유기 금속 착체, 당해 유기 금속 착체를 사용하는 전계발광 소자 및 당해 전계 발광 소자를 사용하는 발광 장치
KR20040099161A (ko) * 2003-05-16 2004-11-26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유기금속 착체 및 이를 함유하는 발광소자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40099161
1020050028044
1020050084419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7824A (ko) * 2013-03-27 2014-10-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28985B1 (ko) 2013-03-27 2019-10-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0050097B2 (en) 2015-10-27 2018-08-14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31728B2 (en) Array substrate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US9825106B2 (en) OLED display substr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US7663302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and its method of fabrication
KR101978783B1 (ko) 플렉서블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7058724B2 (ja) Tft基板とその製造方法、及びoledパネルの製造方法
JP5117667B2 (ja) 薄膜トランジスタパネル
US20140217397A1 (en) Flexible display substrate,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340389B2 (en) Multi-gate thin film transistors,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rray substrates, and display devices
TWI549289B (zh) 有機發光顯示面板及其製作方法
TWI518408B (zh) 平面顯示裝置及製造其的方法
JP2011103433A (ja) 薄膜トランジスタ及びこれを備えた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
US20240040862A1 (en) Display panel and a display device
US11271192B2 (en) OLED array substr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111490075A (zh) 有机发光二极管显示装置
CN103794633A (zh) 一种阵列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KR100707608B1 (ko) 유기 발광 표시장치
WO2015172472A1 (zh) 薄膜晶体管及其制备方法、阵列基板、显示装置
US20150325700A1 (en) Thin film transistor and pixel structure
JP2016048706A (ja) アレイ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959109B1 (ko)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의 제조방법과, 그를 구비하는평판표시장치
CN111599836A (zh)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KR100669774B1 (ko) 평판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552959B1 (ko) 광차단막을 내포하는 기판과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사용하는 평판 표시 장치
JP3899065B2 (ja) アクティブマトリックス型有機発光ダイオー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220069035A1 (en) OLED Display Pane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