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7282B1 - 슬러지 농축장치 - Google Patents

슬러지 농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7282B1
KR100707282B1 KR1020050049978A KR20050049978A KR100707282B1 KR 100707282 B1 KR100707282 B1 KR 100707282B1 KR 1020050049978 A KR1020050049978 A KR 1020050049978A KR 20050049978 A KR20050049978 A KR 20050049978A KR 100707282 B1 KR100707282 B1 KR 100707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drive shaft
disc
movable
d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9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8486A (ko
Inventor
홍상헌
Original Assignee
(주)에이알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알케이 filed Critical (주)에이알케이
Priority to KR1020050049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7282B1/ko
Publication of KR20060128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8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7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7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4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2Fluid flow condi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슬러지와 응집제를 교반함으로써 형성된 플럭과 탈리액에서 탈리액의 일부분을 분리 배출하여 슬러지를 농축하는 슬러지 농축장치로서, 슬러지와 응집제가 주입되는 주입관과 플럭을 배출하는 배출관이 형성된 외부 케이싱과, 다수개의 링 형상의 고정원판과 가동원판이 그 사이에 틈새를 갖도록 교대로 반복하여 적층되며 탈리액을 배출하는 배출관이 형성된 원통과, 원통의 중심축에 설치되며 외부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축과, 구동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외부 케이싱과 원통의 사이를 따라 회전하면서 슬러지와 응집제를 교반하는 교반기, 및 구동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가동원판을 고정원판에 대해 움직이도록 회전하는 가동원판 회전바를 포함하며, 고정원판과 가동원판은 직접 접촉하며, 적어도 어느 한 원판의 표면을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된 돌출부를 통해 틈새를 형성한다. 이 발명은 어느 한 원판의 표면에 다수의 돌출부를 형성하여 그 자체를 통해 탈리액을 유도하는 틈새를 비연속적으로 형성함으로써, 플럭의 막힘을 최소화하여 탈리액의 원활한 유도가 가능하며, 부품수를 줄임에 따라 제작공정을 단순화하고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슬러지 농축장치{CONCENTRATING APPARATUS OF SLUDGE}
도 1a는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농축장치의 구성관계를 도시하기 위해 일부분을 절취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슬러지 농축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2a는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농축장치의 구성관계를 도시하기 위해 일부분을 절취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슬러지 농축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3a는 이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농축장치의 구성관계를 도시하기 위해 일부분을 절취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슬러지 농축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a는 이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농축장치의 구성관계를 도시하기 위해 일부분을 절취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슬러지 농축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5a는 이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농축장치의 구성관계를 도시하기 위해 일부분을 절취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슬러지 농축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슬러지 농축장치 101 : 외부 케이싱
105 : 구동축 106a : 감속기
107a : 고정원판 107b : 가동원판
107b' : 돌출부 108 : 상부 교반기
108' : 하부 교반기 109 : 가동원판 회전바
109a : 와류형성 회전바
이 발명은 슬러지 농축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슬러지를 각종 탈수장치로 탈수하여 케이크로 만들기 전에 슬러지의 농도를 높이기 위해 탈리액의 일부분을 분리 배출함으로써 농축하는 슬러지 농축장치에 관한 것이다.
매년 폐수의 양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그로 인해 주변 환경의 오염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고, 그에 따라 산업폐수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한 노력들 중에 하나가 이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공개된 특허공개 제2004-89469호의 기술이다. 이 기술에는 슬러지의 농도를 높이기 위해 탈리액의 일부분을 분리 배출함으로써 농축하는 슬러지 농축장치에 대해 공지되어 있다. 이 기술에 공지된 슬러지 농축장치는 외부 케이싱과, 가동원판과 고정원판의 사이에 틈새를 갖도록 교대로 반복적으로 적층함으로써 형성되며 외부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는 원통을 갖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슬러지 농축장치는 외부 케이싱의 내부로 공급되는 슬러지 및 응집제를 교반기로 교반하여 플럭 및 탈리액을 형성하고, 탈리액을 가동원판과 고정원판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통해 원통의 내부로 유도하여 외부 케이싱의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슬러지를 농축하였다.
그러나 이 장치는 틈새를 형성하기 위해 가동원판과 고정원판 사이에 별도의 스페이서를 각각 설치하되, 체결핀을 이용하여 스페이서와 고정원판을 순차적으로 체결하여 일체화 하였다. 따라서 그 구성관계가 복잡해져 제작원가가 상승할 뿐만 아니라, 고정원판 사이에 스페이서가 위치하도록 체결핀을 이용하여 체결하기 때문에 그 제작공정이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틈새가 가동원판과 고정원판 사이의 테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됨에 따라, 틈새가 미세 플럭에 의해 쉽게 막히게 되고 그에 따라 원활한 슬러지 농축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 장치는 고정원판의 방사상 외면에 접촉하여 원판의 둘레면에 부착되거나 틈새에 끼워지는 일부 플럭을 제거하는 회전바가 교반기와 동일방향 및 동일 회전수로 회전하도록 구동축에 각각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축에 일방향의 무리한 힘이 가해져 뒤틀림 현상이 발생하고, 또한 회전바와 교반기가 동일방향 및 동일 회전수로 회전하기 때문에 슬러지 및 응집제의 효율적인 교반이 불가능하여 플럭의 형성이 비활성적인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가동원판 및/또는 고정원판의 표면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가동원판과 고정원판 자체를 통해 탈리액을 유도하는 틈새를 형성하되, 플럭의 막힘을 최소화하면서도 탈리액의 원활한 유도가 가능한 틈새를 형성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이 발명은 회전바와 교반기 간의 회전방향 및 그 회전수를 달리함으로써 슬러지 및 응집제를 효율적으로 교반하여 플럭 형성을 활성화하고 구동축의 뒤틀림 현상을 예방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 발명의 슬러지 농축장치는, 슬러지와 응집제가 주입되는 주입관과 외부와 연통하여 플럭을 배출하는 배출관이 각각 형성된 외부 케이싱과, 상기 외부 케이싱 내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다수개의 링 형상의 고정원판과 가동원판이 그 사이에 틈새를 갖도록 교대로 반복하여 적층되며 외부와 연통하여 탈리액을 배출하는 배출관이 형성된 원통과, 상기 원통의 중심축에 설치되며 외부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외부 케이싱과 상기 원통의 사이를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슬러지와 상기 응집제를 교반하는 교반기, 및 상기 구동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가동원판을 상기 고정원판에 대해 움직이도록 회전하는 가동원판 회전바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원판과 상기 가동원판은 직접 접촉하며, 적어도 어느 한 원판의 표면을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된 돌출부를 통해 상기 틈새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의 구동축에는 그 회전력을 역방향으로 감속시키는 감속기가 더 장착되며, 상기 가동원판 회전바를 상기 감속기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감속기에는 상기 원판과 상기 교반기의 사이에서 회전하면서 와류를 형성하는 와류형성 회전바가 더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은 다른 양태로서, 외부와 연통하여 탈리액을 배출하는 배출관이 형성된 외부 케이싱과, 상기 외부 케이싱 내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다수개의 링 형상의 고정원판과 가동원판이 그 사이에 틈새를 갖도록 교대로 반복하여 적층되며 상기 슬러지와 상기 응집제가 주입되는 주입관과 외부와 연통하여 플럭을 배출하는 배출관이 각각 형성된 원통과, 상기 원통의 중심축에 설치되며 외부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원통 내에서 회전함으로써 상기 슬러지와 상기 응집제를 교반하고 이송하는 스크루 컨베이어, 및 상기 구동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가동원판을 상기 고정원판에 대해 움직이도록 회전하는 가동원판 회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원판과 상기 가동원판은 직접 접촉하며, 적어도 어느 한 원판의 표면을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된 돌출부를 통해 상기 틈새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래에서, 이 발명에 따른 슬러지 농축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a는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농축장치의 구성관계를 도시하기 위해 일부분을 절취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슬러지 농축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농축장치(100)는 모서리를 일정한 곡률반경으로 가공한 사각 기둥형상 또는 원통형의 외부 케이싱(101)을 구비한다. 외부 케이싱(101)의 상측에는 슬러지와 응집제가 교반 혼합되어 형성된 플럭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플럭 배출관(101a)이 일정 길이만큼 외부로 연장하여 형성된다.
외부 케이싱(101)은 슬러지와 응집제의 혼합공간인 제1 공간(S1)을 그 내부에 한정하는 것으로서, 그 바닥에는 슬러지 및 응집제를 제1 공간(S1) 내부로 도입하기 위한 슬러지 유입관(103) 및 응집제 유입관(104)이 일정 길이만큼 외부로 연장하여 각각 형성된다.
한편, 외부 케이싱(101)의 내부 중앙에는 모터에 연결된 구동축(105)이 종방향으로 배치되고, 외부 케이싱(101)의 상측 외부에는 구동축(105)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106)가 배치된다. 이 때, 구동 모터(106)는 외부 케이싱(101)의 상면(도시되지 않음) 중앙 부위에 고정되며, 외부의 전기공급원(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한다.
구동축(105)은 외부 케이싱(101)의 내부를 수직방향으로 가로질러 연장되는 데, 이 때 구동축(105)의 주위에는 상부 교반기(108)가 배치되고, 구동축(105)의 하단에는 하부 교반기(108')가 배치된다. 상부 교반기(108)는 외부 케이싱(101) 내에서 구동축(105)에 대해 평행한 방향, 즉 외부 케이싱(101)의 종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수직로드(108a)와, 이를 지지하기 위해 수직로드(108a)의 상단부 사이에서 연장되어 구동축(105)에 고정된 수평로드(108b)로 구성된다. 이 때, 수직로드(108a)에는 효율적인 교반을 가능하게 하는 교반판(108c)이 더 설치된다.
상부 교반기(108)는 수평로드(108b)의 중간부분이 구동축(105)에 일체로 고정되고, 하부 교반기(108')는 구동축(105)의 하단에 일체로 고정된다. 따라서 상하부 교반기(108, 108')는 구동축(105)이 회전하는 경우 구동축(105)과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하부 교반기(108, 108')는 구동축(105)의 회전 작동시 함께 회전하여 제1 공간(S1) 내의 슬러지와 응집제를 응집 교반하는 작용을 한다.
한편, 구동축(105)에는 구동 모터(106)의 구동력을 역방향으로 감속시키는 감속기(106a)가 장착된다. 이 때, 감속기(106a)는 상부 교반기(108)의 수평로드(108b)의 하부 위치에서 구동축(105)에 장착된다. 감속기(106a)에는 가동원판을 가동시키는 가동원판 회전바(109)와, 제1 공간(S1) 내에 와류를 형성하는 와류형성 회전바(109a)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장착된다. 이 때, 각각의 회전바(109, 109a)는 상부 교반기(108)의 방사상 안쪽에 위치한다. 따라서 각각의 회전바(109, 109a)는 구동축(105)이 회전하는 경우 구동축(105)과 역방향으로 회전하되, 구동축(105)보다 감속하여 회전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구동 모터(106)의 회전수 대비 1/3 로 역방향으로 감속시키는 감속기(106a)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구동축(105)의 주위에는 회전바(109, 109a)의 안쪽에 위치하도록 상부 판(102a), 다수개의 가동원판(107b) 및 고정원판(107a)이 적층 배치되고, 회전바(109, 109a)의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원통함체 형상의 하부 지지 구조물(102b)이 배치된다. 이 때, 하부 지지 구조물(102b)은 고정부재(102c)를 통해 외부 케이싱(101)의 내측에 고정된다. 이러한 상부판(102a), 가동원판(107b), 고정원판(107a) 및 하부 지지 구조물(102b)은 일정한 틈새(G)를 가지는 스크린 형상의 원통(C)을 형성하게 되고, 그 내부에는 탈리액이 저장되는 제2 공간(S2)이 한정된다. 이 때, 원통(C)은 외부 케이싱(101) 내에 수직하게 설치된다.
구동축(105)은 상부판(102a)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공을 지나서 링 형상의 가동원판(107b)과 고정원판(107a)을 거쳐 하부 지지 구조물(102b) 내로 연장된다. 즉, 구동축(105)은 원통(C)의 중심축을 따라 설치된다. 이 때, 가동원판(107b)과 고정원판(107a)은 종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며, 이들 사이에 틈새(G)를 갖는다. 이 발명은 가동원판(107b) 및/또는 고정원판(107a)의 표면을 따라 반복적으로 돌출부를 형성하여 가동원판(107b)과 고정원판(107a) 자체를 통해 탈리액을 제2 공간(S2)으로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의 가동원판(107b)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상면 및 하면을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107b')를 갖는다. 여기서, 돌출부(107b')는 고정원판(107a)의 표면과 직접 접촉함에 따라 가동원판(107b)과 고정원판(107a)의 사이에 틈새(G)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돌출부(107b')는 가동원판(107b)과 고정원판(107a)의 사이에 틈새(G)를 형성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이 실시예의 돌출부(107b')로는 상하로 삼각형 또는 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가동원판(107b)의 외주연에서 내주연까지 직선으로 형성된 직선형 나사산, 상하로 삼각형 또는 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가동원판(107b)의 외주연에서 내주연까지 나선형으로 형성된 나선형 나사산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07b')는 가동원판(107b)의 외주연에서 내주연까지 연속적이지 않고 비연속적으로 그 표면에 여러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특히, 돌출부(107b')는 그 돌출면이 라운드 지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기로는 구슬 등을 이용하여 가동원판(107b)의 표면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 발명의 돌출부(107b')는 상기와 동일한 형태로 가동원판(107b)이 아닌 고정원판(107a)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의 돌출부(107b')는 상기와 동일한 개념으로 가동원판(107b) 및 고정원판(107a)의 어느 한 표면에만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가동원판(107b)과 고정원판(107a)을 적층하면, 그 자체에 의해 이들 사이에 틈새(G)가 조성된다. 이 때, 틈새(G)가 돌출부(107b')에 의해 가동원판(107b)과 고정원판(107a) 사이에 비연속적으로 형성되어 미세 플럭의 막힘을 최소화하여 탈리액의 원활한 유도를 가능하게 한다.
고정원판(107a)의 방사상 안쪽에는 다수의 체결돌기(107c)가 돌출하여 형성되고, 체결돌기(107c)의 중앙에는 핀 삽입공(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다. 고정원판(107a)과 가동원판(107b)은 상부판(102a)의 핀 관통공, 고정원판(107a)의 핀 삽입공을 관통하여 끼워지는 다수의 체결핀(107g)에 의해 일체로 결합된다.
한편, 가동원판(107b)은 그 외경이 고정원판(107a)의 외경보다 크고, 가동원 판 회전바(109)는 그 회전 반경이 고정원판(107a)의 외경과 동일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구동축(105)을 회전시키면, 가동원판 회전바(109)가 가동원판(107b)을 고정원판(107a)에 대해 움직이게 한다. 이 때, 와류형성 회전바(109a)는 그 회전 직경이 가동원판(107a)의 외경보다 크게 장착된다. 따라서 와류형성 회전바(109a)는 고정원판(107a) 및 가동원판(107b)에 전혀 간섭받지 않고 회전하면서 와류를 형성한다.
한편, 하부 지지 구조물(102b)의 방사상 측벽에는 탈리액 배출관(101b)이 일정 길이만큼 외부로 연장하여 형성된다. 탈리액 배출관(101b)은 하부 지지 구조물(102b)의 방사상 측벽으로부터 연장되어 제1 공간(S1) 및 외부 케이싱(101)을 지나 외부로 돌출된다.
아래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이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농축장치의 작동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슬러지 유입관(103) 및 응집제 유입관(104)을 통해 슬러지 및 응집제가 외부 케이싱(101)의 내부로 유입된다. 유입된 슬러지 및 응집제는 구동 모터(106)에 의해 구동축(105)이 회전 구동함에 따라 구동축(105)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는 하부 교반기(108') 및 상부 교반기(108)에 의해 제1 공간(S1)의 하층부에서부터 응집 교반되면서 상층부로 서서히 이동하면서 플럭 및 탈리액을 형성한다. 이 때, 회전바(109, 109a)는 감속기(106a)에 의해 구동축(105)과 역방향으로 감속하여 회전한다.
구동축(105)이 회전함에 따라 제1 공간(S1)의 하층부에서부터 상층부로 서서히 이동하면서 고정원판(107a)과 가동원판(107b)의 방사상 외면에는 플럭이 달라붙 고, 달라붙은 플럭은 가동원판 회전바(109)에 의해서 탈리된다. 그리고 구동축(105)과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가동원판 회전바(109)가 고정원판(107a)의 방사상 외면과 접촉함으로써, 가동원판(107b)이 고정원판(107a)에 대해 회전방향으로 움직이면서 고정원판(107a)과 가동원판(107b) 사이의 틈새(G)가 미세 플럭에 의한 막힘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이렇게 틈새(G)의 막힘 현상이 발생하지 않음에 따라 탈리액이 틈새(G)를 통해 제2 공간(S2)의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되고, 제2 공간(S2) 내부로 유입된 탈리액은 탈리액 배출구(101b)를 통해 외부 케이싱(101)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탈리액이 분리 배출됨에 따라 농축된 플럭을 갖는 슬러지는 플럭 배출관(101a)을 따라 배출되어 각종 탈수장치로 공급된다.
<제2 실시예>
도 2a는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농축장치의 구성관계를 도시하기 위해 일부분을 절취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슬러지 농축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가동원판(117b)의 방사상 외면 일측에는 환형의 돌출부(117e)가 형성되고, 환형의 돌출부(117e) 내에는 가동원판 회전바(119)가 끼워져 결합된다. 즉, 이 실시예의 슬러지 농축장치(110)는 가동원판 회전바(119)가 가동원판(117b)의 환형의 돌출부(117e) 내에 끼워져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의 슬러지 농축장치(100)와 동 일하게 구성되어 작동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동일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과 그 작동관계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3 실시예>
도 3a는 이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농축장치의 구성관계를 도시하기 위해 일부분을 절취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슬러지 농축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농축장치(120)는 원통 등으로 구성되어 제1 공간(S1)을 한정하는 외부 케이싱(121)을 구비한다. 외부 케이싱(121)의 상측에는 슬러지와 응집제가 교반 혼합되어 형성된 플럭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플럭 배출관(121a)이 일정 길이만큼 외부로 연장하여 형성된다.
외부 케이싱(121)의 내부 중앙에는 구동축(125)이 종방향으로 배치되고, 구동축(125)의 방사상 외면에는 스크루 컨베이어(125a)가 일체로 장착된다. 스크루 컨베이어(125a)를 갖는 구동축(125)의 주위에는 상부가 개방된 상부 지지 구조물(122a), 다수의 가동원판(127b)과 고정원판(127a), 원통형 함체 형상의 하부 지지 구조물(122b)이 배치된다. 이 때, 일체로 결합된 상부 지지 구조물(122a), 다수의 가동 원판(127b)과 고정원판(127a)이 적층되어 일정 틈새(G)를 갖는 스크린 형상의 구조물, 및 하부 지지 구조물(122b)을 통해 원통(C2)이 형성된다. 원통(C2)의 내부에는 제2 공간(S2)이 한정된다. 이 때, 원통(C2)은 외부 케이싱(121) 내에 수직 하게 설치된다.
고정원판(127a)의 방사상 외면 일측에는 환형의 돌출부(127e)가 형성된다. 고정원판(127a)들은 환형의 돌출부(127e)에 끼워지는 체결로드(129)에 의해 일체로 결합된다. 이 때, 고정원판(127a)과 가동원판(127b)은 제1 실시예에 언급한 고정원판(107a) 및 가동원판(107b)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이들 사이에 일정 간격의 틈새(G)가 조성된다.
한편, 가동원판(127b)은 그 내경이 고정원판(127a)의 내경보다 작고, 또한 스크루 컨베이어(125a)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원통(C2)의 제2 공간(S2) 내에 슬러지와 응집제가 투입된 상태에서 구동축(125)이 회전하면, 스크루 컨베이어(125a)에 의해 교반되고 이송되면서 플럭 및 탈리액이 형성되고, 탈리액은 스크루 컨베이어(125a)와 접촉함에 따라 고정원판(127b)에 대해 움직이는 가동원판(127a)에 의해 보다 원활해진 틈새(G)를 통해 유도된다.
상부 지지 구조물(122a)의 방사상 측벽에는 플럭 배출관(121a)이 일정 길이만큼 외부로 연장하여 형성된다. 플럭 배출관(121a)은 상부 지지 구조물(122a)의 방사상 측벽으로부터 연장되어 제1 공간(S1)을 가로지른 후 외부 케이싱(121)을 지나 외부로 돌출된다. 그리고 외부 케이싱(121)의 하부에는 탈리액 배출관(121b)이 일정 길이만큼 외부로 연장하여 형성된다.
한편, 하부 지지 구조물(122b)의 바닥에는 슬러지 및 응집제를 원통(C2)의 제2 공간(S2) 내부로 도입하기 위한 슬러지 유입관(123) 및 응집제 유입관(124)이 일정 길이만큼 외부로 연장하여 각각 형성된다.
아래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이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농축장치의 작동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슬러지 유입관(123) 및 응집제 유입관(124)을 통해 슬러지 및 응집제가 원통(C2)의 제2 공간(S2) 내부로 유입된다. 유입된 슬러지 및 응집제는 구동 모터(126)에 의해 구동축(125)이 회전 구동함에 따라 스크루 컨베이어(125a)에 의해 제2 공간(S2)의 하층부에서부터 응집 교반되면서 상층부로 서서히 이송하면서 플럭과 탈리액을 형성한다. 탈리액은 스크루 컨베이어(125a)와 접촉함에 따라 고정원판(127b)에 대해 움직이는 가동원판(127a)에 의해 보다 원활해진 틈새(G)를 통해 제1 공간(S1)으로 유도되어 탈리액 배출관(121b)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플럭은 제2 공간(S2)의 상부로 이동하여 플럭 배출관(122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제4 실시예>
도 4a는 이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농축장치의 구성관계를 도시하기 위해 일부분을 절취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슬러지 농축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구동축(135)에는 고정원판(137a) 및 가동원판(137b)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스크루 컨베이어(135a)와, 가동원판(137b)의 내경보다 크고 고정원판(137a)의 내경과 동일한 가동원판 회전바(139)가 장착된다. 즉, 이 실시예의 슬러지 농축장치(130)는 제3 실시예와 같이 스크루 컨베이어를 통해 가동원판을 회전시키지 않고, 가동원판 회전바(139)를 통 해 가동원판(137b)을 회전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3 실시예의 슬러지 농축장치(120)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작동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동일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과 그 작동관계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 실시예는 구동 모터(136)의 구동력을 역방향으로 감속시키는 감속기(도시하지 않음)를 구동축(135)에 장착하고, 감속기에 상기와 동일한 가동원판 회전바(139)를 장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제5 실시예>
도 5a는 이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농축장치의 구성관계를 도시하기 위해 일부분을 절취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슬러지 농축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가동원판(147b)의 방사상 내면 일측에는 환형의 돌출부(147e)가 형성되고, 환형의 돌출부(147e) 내에는 가동원판 회전바(149)가 끼워져 결합된다. 즉, 이 실시예의 슬러지 농축장치(140)는 가동원판 회전바(149)가 가동원판(147b)의 환형의 돌출부(147e) 내에 끼워져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4 실시예의 슬러지 농축장치(140)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작동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동일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과 그 작동관계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슬러지 농축장치는 가동원판 및/또는 고정원판의 표면에 다수의 돌출부를 형성하여 그 자체를 통해 탈리액을 유도하는 틈새를 비연속적으로 형성함으로써, 플럭의 막힘을 최소화하여 탈리액의 원활한 유도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부품수를 줄임에 따라 제작공정을 단순화하고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 발명은 회전바와 교반기 간의 회전방향 및 그 회전수를 달리함으로써 슬러지 및 응집제를 효율적으로 교반하여 플럭 형성을 활성화하고 구동축의 뒤틀림 현상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이 발명의 슬러지 농축장치에 대한 기술사항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이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이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이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고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4)

  1. 삭제
  2. 슬러지와 응집제를 교반함으로써 형성된 플럭과 탈리액에서 탈리액의 일부분을 분리 배출하여 농축하는 슬러지 농축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와 상기 응집제가 주입되는 주입관과 외부와 연통하여 플럭을 배출하는 배출관이 각각 형성된 외부 케이싱,
    상기 외부 케이싱 내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다수개의 링 형상의 고정원판과 가동원판이 그 사이에 틈새를 갖도록 교대로 반복하여 적층되며 외부와 연통하여 탈리액을 배출하는 배출관이 형성된 원통,
    상기 원통의 중심축에 설치되며 외부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축의 회전력을 역방향으로 감속시키는 감속기,
    상기 구동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외부 케이싱과 상기 원통의 사이를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슬러지와 상기 응집제를 교반하는 교반기, 및
    상기 감속기에 장착되어 상기 교반기와 역방향으로 회전하되 상기 가동원판을 상기 고정원판에 대해 움직이도록 회전하는 가동원판 회전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농축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에는 상기 원판과 상기 교반기의 사이에서 회전하면서 와류를 형성하는 와류형성 회전바가 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농축장치.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원판과 상기 가동원판은 직접 접촉하며, 적어도 어느 한 원판의 표면을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된 돌출부를 통해 상기 틈새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농축장치.
KR1020050049978A 2005-06-10 2005-06-10 슬러지 농축장치 KR100707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9978A KR100707282B1 (ko) 2005-06-10 2005-06-10 슬러지 농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9978A KR100707282B1 (ko) 2005-06-10 2005-06-10 슬러지 농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8486A KR20060128486A (ko) 2006-12-14
KR100707282B1 true KR100707282B1 (ko) 2007-04-13

Family

ID=37731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9978A KR100707282B1 (ko) 2005-06-10 2005-06-10 슬러지 농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728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106B1 (ko) 2007-12-06 2008-03-24 윤길원 혐기성 소화조
KR20160041459A (ko) 2014-10-07 2016-04-18 주식회사 대한엔바이로테크 슬러지 농축장치
NO20200491A1 (en) * 2020-04-24 2021-10-25 Dennis Mason Organisms treatment device and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765B1 (ko) * 2013-01-04 2013-04-17 주식회사 우성테크 슬러지 농축장치
CN110436588B (zh) * 2018-12-26 2022-02-22 中建环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超磁分离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9469A (ko) * 2003-04-11 2004-10-21 홍상헌 응집제 투여량과 슬러지 농도의 자동조절이 가능한 슬러지농축 공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9469A (ko) * 2003-04-11 2004-10-21 홍상헌 응집제 투여량과 슬러지 농도의 자동조절이 가능한 슬러지농축 공정 및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106B1 (ko) 2007-12-06 2008-03-24 윤길원 혐기성 소화조
KR20160041459A (ko) 2014-10-07 2016-04-18 주식회사 대한엔바이로테크 슬러지 농축장치
NO20200491A1 (en) * 2020-04-24 2021-10-25 Dennis Mason Organisms treatment device and method
NO347082B1 (en) * 2020-04-24 2023-05-08 Dennis Mason A micro-organisms treatment device and a method for mechanical treatment of micro-organis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8486A (ko) 200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50398C2 (ru) Способ и реактор обработки флокуляцией
KR100707282B1 (ko) 슬러지 농축장치
KR101259907B1 (ko) 다중 원판형 슬러지 농축장치
US7470365B2 (en) Sludge concentration system which have functions for automatically charging a coagulant an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concentration of a sludge
JP4765022B2 (ja) 固液分離装置
KR200395184Y1 (ko) 경사판 모듈 및 이를 갖는 고속 침전장치
JP4471964B2 (ja) 廃水の凝集沈殿装置における攪拌槽
KR20090042067A (ko) 고액분리장치
JP2900296B2 (ja) 緩急撹拌槽
US9968873B2 (en) Device for concentrating a fluid mixture comprising both liquid and solid parts
KR200439085Y1 (ko) 라인믹서 및 가변식 혼합주입수단을 갖는 원심형고액분리장치
KR100707283B1 (ko) 슬러지의 농축 및 탈수장치
KR101582811B1 (ko) 교반 분리장치
JP5302428B2 (ja) 処理対象物濃縮装置
KR101259891B1 (ko) 다중 원판형 슬러지 농축장치
KR20020057592A (ko) 급속반응조와 완속응집조가 연결된 고속응집 경사판침전장치
KR101889663B1 (ko) 슬러지 채널링 방지가 가능한 원형슬러지 농축조
KR100641750B1 (ko) 이동식 슬러지 처리장치
KR100736694B1 (ko) 슬러지 농축 장치
KR101259905B1 (ko) 수평형 슬러지 농축장치
JP2010022946A (ja) 汚水処理装置
KR101335327B1 (ko) 슬러지 농축 장치
CN217677254U (zh) 叠螺式污泥脱水装置
KR200319572Y1 (ko) 응집제 투여량과 슬러지 농도의 자동조절이 가능한슬러지 농축 장치
KR20190030559A (ko) 개선된 부유물 및 스컴제거 효율을 갖는 회전가능한 산소공급판을 포함하는 혼합효율이 향상된 하폐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