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6841B1 - 덮개 - Google Patents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6841B1
KR100706841B1 KR1020050133451A KR20050133451A KR100706841B1 KR 100706841 B1 KR100706841 B1 KR 100706841B1 KR 1020050133451 A KR1020050133451 A KR 1020050133451A KR 20050133451 A KR20050133451 A KR 20050133451A KR 100706841 B1 KR100706841 B1 KR 100706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cover
elastic member
cover body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3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강헌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33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68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6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6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means for facilitating lifting or suspending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35Removable lids or covers with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37Removable lids or covers with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before removal of the tamper element
    • B65D43/0256Removable lids or covers with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before removal of the tamper element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2Grip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덮개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고리에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고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고리를 사용한 후 자동으로 제자리로 돌아가게 되어 냉장고 등에 수납시 상기 고리의 간섭으로 냉장고 문이 닫히지 않거나 용기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덮개에 관한 것이다.
덮개, 탄성부재, 스프링, 손잡이, 고리

Description

덮개{COVE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덮개를 사용한 용기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덮개를 사용한 용기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덮개의 중요부분 확대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용기 300 : 덮개
310 : 체결부 320 : 고리
321 : 회동장착부 322 : 홈
323 : 라운드부
330 : 안착홈 340 : 탄성부재
341 : 연결부 342 : 제1절곡부
343 : 제2절곡부 344 : 제3절곡부
350 : 덮개본체
본 발명은 덮개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고리에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고리 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고리를 사용한 후 자동으로 제자리로 돌아가게 되어 냉장고 등에 수납시 상기 고리의 간섭으로 냉장고 문이 닫히지 않거나 용기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덮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용기로써, 한국등록실용 제387366호의 공보에 제시된 것이 있다.
종래의 김치냉장고 내 저장용기는 전체적으로 음식을 담는 밀폐용기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김치, 야채, 과일을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저장용기 본체, 상기 저장용기 본체를 덮어주도록 형성되는 부재로, 상기 부재의 테두리에 형성되며 상기 부재를 상기 저장용기 본체와 결합시켜 주도록 형성되는 체결수단, 상기 부재의 좌우에 위치하며 사용자가 상기 부재를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좌우 두개의 손잡이수단, 상기 좌우 두개의 손잡이수단의 가운데 부위에 형성되며 김치 저장일을 나타낼 수 있는 다이얼식 표시수단 또는 부분 개폐 수단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덮개 중앙부를 포함하는 덮개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덮개로 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타 부재와 조립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덮개 체결 조립부, 상기 덮개 체결 조립부와 결합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덮개 체결 조립부 주의를 회전하면서 상기 덮개와 상기 저장용기 본체를 체결시키기도 하고 분리시키기도 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조립 체결부를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김치용기 손잡이 수단은 사용한 후에 다시 사용자가 직접 돌려주어야 제자리로 돌아갈 수 있어, 김치냉장고 내에 사용시 손잡이 수단을 사용한 후에 제자리로 돌려놓지 않으면 손잡이 수단의 간섭으로 김치냉장고의 문이 덜 닫히게 되거나 용기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또한, 여러개를 적층시킬 때에도 적층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고리에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고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고리를 사용한 후 자동으로 제자리로 돌아가게 되어 냉장고 등에 수납시 상기 고리의 간섭으로 냉장고 문이 닫히지 않거나 용기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덮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덮개는, 용기를 개폐하는 덮개에 있어서, 덮개본체와, 상기 덮개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고리와, 상기 고리에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고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고리를 사용한 후 자동으로 제자리로 돌아가게 되어 냉장고 등에 수납시 상기 고리의 간섭으로 냉장고 문이 닫히지 않거나 용기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고리는 상기 덮개본체 상면에 배치되며, 상기 덮개본체에는 상기 고리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덮개본체 상부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어져서 여러개의 용기를 적층해 놓을 경우 안정적으로 적층시킬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고리와 상기 덮개본체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으로 하 여, 단순한 구조로 효과적으로 상기 고리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상기 고리 배면에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 일단은 상기 홈에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덮개본체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탄성부재를 위한 별도의 공간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용기가 컴팩트해지는 이점이 있다.
상기 고리 배면에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덮개본체 상면에 설치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하향 절곡형성되어, 상기 고리가 회동될 때 상기 홈에 삽입되어 상기 고리 내벽에 탄성접촉되는 절곡부를 포함하여, 상기 탄성부재의 구조가 단순해져서 제조가 용이해지며, 일정각도 이상 상기 고리가 회동되면 상기 탄성부재가 탄성력을 가하여 사용자가 상기 고리를 회동시키는 것은 용이하게 하면서 일정각도 이상 회동시키면 자동으로 복귀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덮개를 사용한 용기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덮개의 중요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덮개(300)는, 용기를 개폐하는 덮개(300)에 있어서, 덮개본체(350)와, 상기 덮개본체(35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고리(320)와, 상기 고리(320)에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고리(32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덮개본체(350)는 용기(100)를 개폐하며, 사각형상의 판형으로 형성되어 각 변 가장자리에는 덮개본체(350)와 용기(100)를 결합시켜주는 체결부(310)가 형성되어 있다.
체결부(310)는 다양하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용기(100)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리는 회동가능한 돌출부로 형성된다.
덮개본체(350)에는 고리(320)가 안착되는 안착홈(330)이 형성된다.
안착홈(330)의 깊이는 고리(320)의 두께와 같거나 그보다 크게 하여 고리(320)가 덮개본체(350)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리(320)는 덮개본체(350) 상면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고리(320)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측에 삽입공이 형성된 회동장착부(321)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안착홈(330) 양측벽에는 회동축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에 삽입됨으로써, 고리(320)는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고리(320)의 회동이 원만하게 되도록 고리(320) 하단에는 라운드부(323)가 형성되어 있다.
고리(320) 배면에는 고리 형상을 따라 홈(322)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부재(340)는 고리(320)에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고리(320)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이로써, 고리(320)에 고리(320)를 회동시키는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고리(320)는 절첩되게 된다.
탄성부재(340)는 판스프링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덮개본체(350) 상면에 설치된 연결부(341)와, 상기 연결부(341)에 하향 절곡형성되어 상기 고리(320)가 회동될 때 상기 홈(322)에 삽입되어 상기 고리(322) 내벽에 탄성접촉되는 절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절곡부가 고리(320)를 향하도록 탄성부재(340)는 덮개본체(350)에 설치된다.
고리(320)가 절첩될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320)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탄성부재(340) 전체가 홈(322) 내부에 배치된다.
연결부(341)는 안착홈(330) 바닥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연결부(341)에 수평하게 제1절곡부(342)가 절곡형성된다.
상기 절곡부는 제1절곡부(342)에 하향절곡된 제2절곡부(343)와 제2절곡부(343)에 상향절곡된 제3절곡부(344)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제3절곡부(344)가 형성되어, 굴곡된 부분과 고리(320) 내벽이 접촉되어 고리(320) 내벽과 상기 절곡부의 마찰력이 최소화됨으로써 고리(320)의 회동이 탄성부재(340)로 인해 방해받지 않게 된다.
전술한 바와는 다르게,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고리(320)와 상기 덮개본체(350)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으로 하여, 단순한 구조로 효과적으로 상기 고리(320)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홈(322)에 설치하고, 타단은 상기 덮개 본체(350) 상면인 안착홈(330) 바닥에 설치하여, 상기 탄성부재를 위한 별도의 공 간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용기가 컴팩트해지는 이점이 있다.
이로써, 고리(320)가 일정각도 이상 회동되면 상기 절곡부는 상기 홈(322)에 삽입되어 상기 고리(322) 내벽에 탄성접촉된다.
사용자가 고리(320)를 일정각도보다 더 회동시키면 탄성부재(340)는 제1절곡부(342)와 제2절곡부(343) 사이 각이 커지면서 탄성변형을 일으켜, 회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고리(320)에 탄성력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고리(320)를 회동시키는 힘을 없애면 상기 탄성력에 의해 고리(320)는 상기 일정각도 이하로 위치하게 된다.
상기 일정각도는 90도보다 작도록 하여 고리(320)가 일정각도 이하의 위치로 오면 자중에 의해서 스스로 절첩되어 안착홈(330)에 안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일정각도 이하에서는 탄성부재(340)가 상기 고리(320)에 아무런 힘을 가하지 않고 서로 이격된 상태에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덮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고리에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고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고리를 사용한 후 자동으로 제자리로 돌아가게 되어 냉장고 등에 수납시 상기 고리의 간섭으로 냉장고 문이 닫히지 않거나 용기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고리는 상기 덮개본체 상면에 배치되며, 상기 덮개본체에는 상기 고리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덮개본체 상부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어져서 여러개의 용기를 적층해 놓을 경우 안정적으로 적층시킬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덮개는 김치냉장고와 같이 적층식으로 수납되는 김치냉장고용 용기에 사용할 경우, 사용자가 무거운 김치용기를 냉장고에 넣으면 자동으로 고리가 절첩되어 그 위에 다른 김치용기를 적층시키기에 용이하고, 고리는 덮개본체 상면에 형성된 안착홈에 안착되어 안정적으로 적층되며, 냉장고 공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고리와 상기 덮개본체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으로 하여, 단순한 구조로 효과적으로 상기 고리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상기 고리 배면에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 일단은 상기 홈에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덮개본체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탄성부재를 위한 별도의 공간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용기가 컴팩트해지는 이점이 있다.
상기 고리 배면에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덮개본체 상면에 설치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하향 절곡형성되어, 상기 고리가 회동될 때 상기 홈에 삽입되어 상기 고리 내벽에 탄성접촉되는 절곡부를 포함하여, 상기 탄성부재 의 구조가 단순해져서 제조가 용이해지며, 일정각도 이상 상기 고리가 회동되면 상기 탄성부재가 탄성력을 가하여 사용자가 상기 고리를 회동시키는 것은 용이하게 하면서 일정각도 이상 회동시키면 자동으로 복귀되도록 할 수 있다.

Claims (5)

  1. 용기를 개폐하는 덮개에 있어서,
    덮개본체;
    상기 덮개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고리;
    상기 고리에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고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고리 배면에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판스프링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덮개본체 상면에 설치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하향 절곡형성되어 상기 고리가 회동될 때 상기 홈에 삽입되어 상기 고리 내벽에 탄성접촉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는 상기 덮개본체 상면에 배치되며,
    상기 덮개본체에는 상기 고리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3. 삭제
  4. 용기를 개폐하는 덮개에 있어서,
    덮개본체;
    상기 덮개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고리;
    상기 고리에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고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고리 배면에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 일단은 상기 홈에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덮개본체 상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5. 삭제
KR1020050133451A 2005-12-29 2005-12-29 덮개 KR100706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3451A KR100706841B1 (ko) 2005-12-29 2005-12-29 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3451A KR100706841B1 (ko) 2005-12-29 2005-12-29 덮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6841B1 true KR100706841B1 (ko) 2007-04-12

Family

ID=38161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3451A KR100706841B1 (ko) 2005-12-29 2005-12-29 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684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8323A (ja) * 1995-12-29 1997-07-22 Akihiko Jinno 買い物籠
JPH09226777A (ja) * 1996-02-27 1997-09-02 Tasuko Enterp:Kk 運搬ケース
KR20050031322A (ko) * 2003-09-29 2005-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보관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8323A (ja) * 1995-12-29 1997-07-22 Akihiko Jinno 買い物籠
JPH09226777A (ja) * 1996-02-27 1997-09-02 Tasuko Enterp:Kk 運搬ケース
KR20050031322A (ko) * 2003-09-29 2005-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보관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5931B1 (ko) 손잡이를 구비한 김치용기
US20030010660A1 (en) Structure of toolbox
US10351312B2 (en) Storage container
KR20150047080A (ko) 수납용기
KR100706841B1 (ko) 덮개
US6568728B1 (en) Positioning structure of grill tongs
KR100992046B1 (ko) 식품용기
JP4562702B2 (ja) 冷蔵庫
JPH10338284A (ja) 円板形状の情報記録媒体を保持するためのハウジング
KR200398353Y1 (ko) 보관함
JP4504777B2 (ja) 収納家具
JPH0730543Y2 (ja) ディスク類収納庫
KR200287392Y1 (ko) 수납 바구니
KR200439840Y1 (ko) 화장품 수납용 가방
CN219238006U (zh) 一种手表盒
JP3713090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
KR100886016B1 (ko) 냉장고의 트레이구조
KR200454779Y1 (ko) 보관함
KR200228210Y1 (ko) 씨디 수납 케이스
JP6886709B2 (ja) 収納容器のロック構造
JP2589495Y2 (ja) 保冷容器
US5350068A (en) Rotary 31/2" diskette storage box
JPH0526072Y2 (ko)
KR19980010338U (ko) 디스크 케이스(Disc case)
KR930003801Y1 (ko) 팬히터 연료탱크 수납실의 덮개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