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6298B1 - 하나의 탄성체로 구성된 탄성중심기기 - Google Patents

하나의 탄성체로 구성된 탄성중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6298B1
KR100706298B1 KR1020060056211A KR20060056211A KR100706298B1 KR 100706298 B1 KR100706298 B1 KR 100706298B1 KR 1020060056211 A KR1020060056211 A KR 1020060056211A KR 20060056211 A KR20060056211 A KR 20060056211A KR 100706298 B1 KR100706298 B1 KR 100706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body
elastic
support
center
suppor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6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상완
Original Assignee
주상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상완 filed Critical 주상완
Priority to KR1020060056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62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6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6298B1/ko
Priority to JP2007159564A priority patent/JP5142600B2/ja
Priority to DE602007013969T priority patent/DE602007013969D1/de
Priority to EP07252457A priority patent/EP1867429B1/en
Priority to AT07252457T priority patent/ATE506141T1/de
Priority to US11/763,641 priority patent/US7748136B2/en
Priority to US11/766,590 priority patent/US7421799B2/en
Priority to JP2007164199A priority patent/JP5201888B2/ja
Priority to AT07252557T priority patent/ATE491544T1/de
Priority to CNU2007201527934U priority patent/CN201138574Y/zh
Priority to DE602007011155T priority patent/DE602007011155D1/de
Priority to EP07252557A priority patent/EP18701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8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positioning only
    • B23Q3/183Cent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026Chucks the radial or angular position of the tool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08Chucks holding tools yieldab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9/00Measuring or gauging equipment on boring machines for positioning or guiding the drill; Devices for indicating failure of drills during boring; Centering devices for holes to be bored
    • B23B49/04Devices for boring or drilling centre holes in work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탄성체로 구성된 탄성중심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탄성체로 탄성중심점을 맞추도록 구성하여, 탄성중심점의 맞춤이 용이하고, 더불어 최소의 부품수로 인한 제조단가의 하락과 제조공정의 단축 및 설치공간의 효율성을 극대한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하나의 탄성체로 구성된 탄성중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하나의 탄성체로 구성된 탄성중심기기는 양단에 일정 기울기를 가지며 형성된 원판(12)과; 상기 원판(12)을 일정 간격으로 다수 적층하고, 상기 적층된 다수의 원판(12)의 양단에 마련되며, 상기 양단에 위치된 원판(12)의 기울기와 동일한 기울기로 돌출부 또는 함몰부를 가지며,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된 제 1 및 제 2 지지부(14)(16); 및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부(14)(16)와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부(14)(16) 사이에 적층된 다수의 원판(12)들이 상호 연결하도록 충진되는 충진재(18);로 구성된 탄성체(10)를 형성되어; 상기 탄성체(10)의 제 1 및 제 2 지지부(14)(16) 각각의 체결공을 통해 압입장치에 장착시켜, 탄성중심의 원리에 따른 병진운동으로 중심 오차를 보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탄성중심, 위치 오차보정, 위치보정 수단

Description

하나의 탄성체로 구성된 탄성중심기기{Remote Center Compliance Device having an elastic body}
도 1은 조립작업시 발생하는 부품간의 중심 오차와 반력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탄성중심기기에 의한 중심 오차의 보정과 조립의 진행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탄성체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 단면도.
도 5는 제 2 실시 예에 따른 탄성중심기기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조립상태 저면 사시도.
도 7은 도 5의 결합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탄성체 12 : 원판
14 : 제 1 지지부 16 : 제 2 지지부
18 : 충진재 22 : 상부지지체
24 : 하부지지체 30 : 리미터
본 발명은 하나의 탄성체로 구성된 탄성중심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탄성체로 탄성 중심점을 생성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탄성 중심점의 맞춤이 용이하고, 더불어 최소의 부품수로 인한 제조단가의 하락과 제조공정의 단축 및 설치공간의 효율성을 극대화함으로써,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하나의 탄성체로 구성된 탄성중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탄성중심기기란 탄성중심의 원리를 이용하여, 보스와 축의 상호 끼워맞춤에 있어서, 상기 보스와 축 사이의 중심 오차를 보정하여, 조립작업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해주는 기기이다.
여기에서 탄성 중심원리란, 탄성중심기기에 구속되는 물체의 주변에 탄성 중심점을 위치시켜, 그 점을 통과하는 힘이 작용하면, 상기 탄성중심기기에 지지되어 있는 물체는 그 힘의 방향으로 회전운동 없이 순수한 병진운동만 하게 되고, 그 점에 순수한 모멘트가 작용하면 병진운동 없이 탄성 중심점을 중심으로 순수한 회전운동만 하게 되는 특성을 나타내는 역학적인 원리를 말한다.
도 1은 조립작업시 발생하는 부품 간의 중심 오차와 반력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탄성중심기기에 의한 중심 오차의 보정과 조립의 진행을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종래의 탄성중심기기(1)는 상, 하부구조체(2)(3) , 및 상기 상, 하부구조체(2)(3) 사이에 마련되는 다수의 탄성체(4)로 구성된다.
종래의 탄성중심기기의 작용상태를 보면, 하부구조체(3)의 하방에 부착된 그립퍼(8)에 파지된 축(6)을 축 구멍(7)에 삽입하기 위해 삽입방향(V)으로 직선이동(하강)시키면, 초기 중심 오차(e)에 의해 축의 선단부와 축 구멍의 모따기면이 1점 접촉된다.
이것에 의해 발생하는 부품 상호 간의 접촉력(R)은 수평분력(Rx)과 수직분력(Rz)으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이때 탄성중심기기(1)의 탄성 중심점(P)을 조립부품의 끝단에 위치하도록 제작하였다면, 수평분력(Rx)은 탄성중심점(P)을 지나므로 축(6)과 그립퍼(8), 하부구조체(3)는 수평방향으로 병진운동만 하게되고, 회전운동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삽입하고자 하는 축(6)은 축 구멍(7)과의 중심오차(e)범위로 병진 이동하면서 결국, 상기 축 구멍(7)에 삽입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탄성중심기기(1)는 산업용 로봇이나 조립 전용기에 사용되어, 정밀 축, 핀, 베어링과 같은 정밀부품을 삽입하면 조립 부품 간의 중심 오차나 각도오차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과도한 삽입력을 미연에 방지해 주어, 로봇이나 조립 전용기에 미치는 악영향을 차단할 수 있고, 조립시 부품손상을 최대한 억제함으로써, 제품의 품질 향상을 도모하고 작업효율을 증대시키며, 저정도 및 저가격의 설비로 고정도 부품의 정밀 조립라인 구축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탄성중심기기는 탄성 중심의 원리에서 가장 핵심이라 할 수 있는 탄성 중심점(P)을 맞추기가 어렵고, 부품수가 많으며, 제작 및 조립공정이 까다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각 부품별 즉, 상, 하부구조체(2)(3), 및 다수의 탄성체(4)의 제작에 따른 가공오차와, 각 부품별 조립에 따른 조립 오차 등에 의한 누적 오차가 발생되어, 최초 설계시 계산된 탄성 중심점(P)과 조립 후 탄성 중심점(P)이 상기 누적 오차만큼 이동되며, 상기의 경우로 인해 탄성 중심점(P)이 맞춰지지 않을 경우에는 하부구조체(3) 이하 축(6)까지의 부분이 병진운동이 이루어지지 않고, 회전운동이 일어나므로, 결국 축(6)과 축 구멍(7)의 중심 오차(e)의 보정이 이루어지지 않고, 오히려 축 구멍 입구에서 끼임 현상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탄성체(4)는 다수의 금속 원판을 일정 간격으로 적층하고, 상기 적층된 금속 원판 사이에 고무제가 충진된 상태로 이는 상기 다수의 금속 원판을 적층할 때 적층 오차가 발생하고, 또한 상기의 적층 오차를 가진 다수의 탄성체(4)가 사용됨에 따라 탄성 중심점(P)을 탄성중심기기의 중심 축 선상에서 찾기가 용이하지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탄성체로 탄성중심기기를 형성함에 따라, 최소의 구성요소에 의해 제조 오차 및 결합 오차에 의한 누적 오차를 최소화하여 탄성 중심점(P)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하는 하나의 탄성체로 구성된 탄성중심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최소의 구성요소로 탄성중심기기를 구성함에 따라, 상기 탄성중심기기 제조단가의 하락과 조립공정 단축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제품경 쟁력을 강화하는 하나의 탄성체로 구성된 탄성중심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탄성체로 구성된 탄성중심기기는 양단에 일정 기울기를 가지며 형성된 원판과; 상기 원판을 일정 간격으로 다수 적층하고, 상기 적층된 다수의 원판의 양단에 마련되며, 상기 양단에 위치된 원판의 기울기와 동일한 기울기로 돌출부 또는 함몰부를 가지며,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된 제 1 및 제 2 지지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부 사이에 적층된 다수의 원판들이 상호 연결하도록 충진되는 충진재;로 구성된 탄성체를 형성되어; 상기 탄성체의 제 1 및 제 2 지지부 각각의 체결공을 통해 압입장치에 장착시켜, 탄성중심의 원리에 따른 병진운동으로 중심 오차를 보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원판의 기울기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하향하는 기울기로 형성되고, 원판의 기울기(θ)는 3 ~ 10°이내의 범위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탄성체에는 상기 탄성체의 제 1 및 제 2 지지부 각각에 마련되고, 체결수단에 의해 상호 체결 고정되는 상, 하부 지지체; 및 상기 상, 하부지지체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상, 하부지지체 중 어느 하나에 일단이 고정되도록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타단은 다른 하나에 일정 간격만큼 유동되도록 머리부가 구성되어, 상기 탄성체가 자중에 의한 인장력으로 파손됨을 방지하고, 압입력에 의해 좌굴됨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리미터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지지체는 상단부에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하방으로 플랜지가 연장되되, 상기 플랜지의 내부에는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체의 제 1 지지부가 체결 고정되며, 상기 탄성체가 병진이동될 때 간섭되지않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지지체는 상기 탄성체의 제 2 지지부와 체결고정되며, 상기 플랜지의 내부 수용공간에 위치되되, 상기 탄성체의 병진이동시 상기 플랜지의 내부 벽에 닿지않도록 일정 간격 유지되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리미터의 머리부에는 수나사부가 상, 하부지지체 중 어느 하나에 용이하게 체결 고정되도록 체결력을 전달하기 위해 게눈게이지의 게눈이 삽입되는 게이지홈이 다수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부지지체의 하단부에는 방사형의 일정 간격으로 끝단에서 상방으로 일정 깊이 함몰된 삽입공간을 가지는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지지체는 하단부와 상기 하단부의 상단에 일정 높이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중앙에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하단부의 외주연에는 상기 요철부의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다수의 회동방지편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제 1 실시 예 )
도 3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탄성체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탄성체(10)는 일정 간격으로 적층되는 다수의 원판(12)과, 상기 다수의 원판(12) 양단에 각각 마련되고,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성된 제 1 및 제 2 지지체(14)(16), 및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체(14)(16)와, 다수 의 원판(12) 들에 충진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체(14)(16)와, 다수의 원판(12) 들을 상호 연결하는 충진재(18)로 구성된다.
상기 원판(12)은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일정각도 기울기(θ)를 가지며, 상기 기울기(θ)는 3 ~ 10°의 범위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기울기(θ)의 각도에 따라 탄성 중심점(P)의 위치가 달라지므로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한다.
또한, 상기 원판(12)의 기울기 방향은 탄성 중심점이 하방에 위치한다고 가정하였을 때, 내측에서 외측으로 하향되도록 즉, 상기 기울기에 대한 수직선이 상호 교차되는 방향에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부(14)(16)는 다수의 원판(12) 양단에 동일한 기울기(θ)를 가지며,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바,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지지부(14)에는 함몰되는 함몰부(14a)가 형성되고, 제 2 지지부(16)에는 돌출되는 돌출부(16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부(14)(16)에는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되어, 각 부품 또는 장치에 체결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충진재(18)는 탄성력이 우수한 고무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경우에 따라서는 탄성력이 우수한 합성수지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 4, 도 6에 있어서, 미설명 부호 M : 압입장치 또는 프레싱 장치의 승강부, A : 축, 핀, 베어링과 같은 보스에 삽입되는 부품으로 여기에서는 축으로 통칭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하나의 탄성체로 구성된 탄성중심기기의 작동상태를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 1 지지부(14)는 승강부(P)의 하단에 체결수단으로 고정하고, 제 2 지지부(16)에는 축(A)을 교체 고정할 수 있는 축 고정 툴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P)의 하강력에 의해 탄성체(10)가 하강하면서 하방의 축(A)을 보스에 삽입시키되, 상기 보스와 축(A) 사이에 중심 오차가 있다면, 상기 탄성체(10)의 탄성 중심의 원리에 의한 병진운동으로 축(A)을 보스의 중심축 선상에 일치시킴으로써 상기 보스에 축(A)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탄성체(10)의 탄성 중심점은 원판(12)의 기울기(θ)와, 원판(12)의 개수, 및 이격거리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이는 탄성체(12)가 사용되는 장치에 따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체는 종래의 탄성중심기기에서 문제가 되었던 누적 오차를 최소화함으로써, 탄성체에 의한 탄성 중심점을 용이하게 계산 및 맞출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구성 부품수가 극단적으로 적어짐으로써 제조단가 및 제조공정을 대폭 감축함과 아울러 설치공간의 축소로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킨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효과를 얻는다.
( 제 2 실시 예 )
도 5는 제 2 실시 예에 따른 탄성중심기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 의 조립상태 저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의 결합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탄성중심기기는 탄성체(10)와, 상기 탄성체(10)의 상, 하단에 위치 고정되는 상, 하부지지체(110)(120), 상기 상, 하부지지체(110)(120) 사이에 마련되는 리미터(130)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체(10)는 제 1 실시 예의 탄성체(1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상부지지체(110)는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된 상단부(112)와 상기 상단부(112)의 하방에 연장되는 플랜지부(114)로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114)의 내측에는 탄성체(10)가 안착되는 수용공간(116)이 형성되며, 상단부(112)에서 수용공간(116)을 연통시키는 관통공(118)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수용공간(116)의 상단에는 탄성체(10)의 상단부가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 고정되고, 또한 상기 탄성체(10)의 병진운동시 병진이동되는 이동 범위를 간섭하지않도록 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플랜지부(114)의 하단부에는 방사형의 일정간격으로 끝단에서 일정 깊이로 함몰된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요철부(114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지지체(120)는 하단부(122)와 상기 하단부(122)에서 돌출되고, 중앙에 체결공(126)이 형성된 돌출부(124)가 형성되며, 상기 상단부(122)에는 탄성체(10)의 하단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하부지지체(120)의 하단부(122) 외주연에는 방사형으로 일정 간격에 회동방지편(128)이 형성되며, 상기 회동방지편(128)은 상부지지체(110)의 하단부에 형성된 요철부(114a)의 삽입공간에 삽입된다.
상기 리미터(130)는 상단의 머리부(132)와 상기 머리부(132)의 하방으로 축(134)이 연장되고, 상기 축(134)의 하단에는 수나사부(136)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리미터(130)의 수나사부(136)는 하부지지체(120)의 체결공(126)에 체결 결합되고, 또한, 머리부(132)에는 다수의 게이지홈(138)이 형성되어, 게눈게이지로 상기 게이지홈(138)에 삽입하여, 상기 리미터(130)의 조임과 풀림을 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탄성중심기기의 조립관계를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부지지체(110)의 수용공간(116)에 탄성체(10)를 삽입시켜 상기 수용공간(116) 내측 상단과 탄성체(10)의 상단부가 밀착되고,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지지체(110)의 하방에는 하부지지체(120)가 위치되고, 상기 하부지지체(120)의 하단부(122)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공을 통해 다수의 체결수단이 체결됨과 아울러 상기 상부지지체(110)에 고정된 탄성체(10)의 하단을 체결고정한다.
이때,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지지체(110)의 하단부에 형성된 요철부(114a)의 삽입공간에 하부지지체(120)의 하단부(122) 회동방지편(128)이 삽입된 상태로 상기 요철부(114a)의 삽입공간과 회동방지편(128) 사이에는 일정 간격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 하부지지체(110)(120)가 상호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지지 체(110)의 상단부(112) 관통공(118)을 통해 리미터(130)를 삽입시켜, 상기 리미터(130)의 수나사부(136)가 하부지지체(120)의 체결공(126)에 체결고정됨에 따라 상기 리미터(130)는 상, 하부지지체(110)(120)의 중앙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의 조립상태를 가진다.
한편, 상기 상, 하부지지체(110)(120)와 리미터(130)의 상호 조립시 밀착되는 부분에는 일정 간격의 조립 간격이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탄성체(10)가 탄성 중심원리에 의해 병진이동될 때 상기 조립된 상, 하부지지체(110)(120)와 리미터(130)의 원활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상, 하부지지체(110)(120)와 리미터(130)의 상호 조립 간격을 살펴보면, 탄성체(10)의 상단과 리미터(130)의 머리부(132) 하단 사이의 인장간격(g-a)과, 상기 상부지지체(110)의 관통공(118) 내경과 리미터(130)의 머리부(132)의 외경 차이에 의한 병진간격(g-b)의 조립간격을 가진다.
아울러, 상부지지체(110)의 플랜지부(114)의 끝단과 하부지지체(120)의 하단부(122) 상면 사이의 압축간격(g-c)과, 플랜지부(114)의 요철부(114a) 내경과 하부지지체(120)의 하단부(122) 외경 차이 의한 병진간격(g-d)의 조립간격을 가진다.
더불어, 상기 인장 및 압축간격(g-a, g-c)는 탄성체(10)의 병진 이동시 원활한 병진 이동이 가능하도록 틈새가 형성되고, 더불어 상기 탄성체(10)에 작용하는 자중에 의한 인장력 또는 압입에 의한 압축력이 무한히 작용함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탄성체(10)의 좌굴 또는 파손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인장 및 압축간격(g-a, g-c)의 간격은 0.1 ~ 0.2 mm 정도임 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병진간격(g-b, g-d)는 탄성체(10)가 탄성 중심의 원리에 따라 병진 이동될 때, 리미터(130)와 하부지지체(120)의 병진이동이 상부지지체(110)에 간섭되지않도록 하기 위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 및 조립관계를 가진 탄성중심기기는 승강부(M)의 하단에 상부지지체(110)가 체결 고정되고, 하부지지체(120)의 하단에 축(A)이 구성된 축 고정툴이 체결 고정된다.
그리고, 승강부(M)의 하강으로 축(A)이 보스에 삽입될 때 중심 오차가 있을 경우 상기 상부지지체(110)의 내측에 구성된 탄성체(10)에 의해 중심 오차를 보정하고, 이에 따라 상기 보스에 축(A)이 용이하게 삽입된다.
또한, 보스에 축이 삽입될 때, 압입력이 발생되고, 상기 압입력은 수직선상의 하부지지체(24)와 탄성체(10)에 작용하며, 상기 압입력에 의해 상기 하부지지체(120)가 상승되고, 상기 상부지지체(110)의 하단부와 하부지지체(120)의 상단부 사이의 압축간격(g-c)만큼 상승되는 동안 탄성체(10)에서는 탄성 중심의 원리에 따라 병진이동되고, 이후 상기 상, 하부지지체(110)(120)의 하단 및 상단이 밀착되어 상기 압입력이 상기 탄성체(10)에 악영향을 끼치지않도록 방지함에 따라 상기 탄성체(10)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 상기 상부지지체(110)와 하부지지체(120)의 조립관계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체(110)의 하단 요철부(114a) 삽입공간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는 하부지지체(120)의 회동방지편(128)은 탄성체(10)의 탄성중심의 원리에 따라 병진이동시 상기 탄성체(10)에 작용하는 비틀림 또는 X, Y축 방향의 작용력에 의해 상기 탄성체(10)가 무한히 변위됨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하나의 탄성체로 구성된 탄성중심기기는 하나의 탄성체로 탄성중심기기를 형성함에 따라, 최소의 구성요소에 의해 제조 오차 및 결합 오차에 의한 누적 오차를 최소화하여 탄성중심점(P)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최소의 구성요소로 구성됨에 따라 제조단가의 하락과 조립공정 단축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제품경쟁력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탄성체로 구성된 탄성중심기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7)

  1. 양단에 일정 기울기를 가지며 형성된 원판(12)과;
    상기 원판(12)을 일정 간격으로 다수 적층하고, 상기 적층된 다수의 원판(12)의 양단에 위치되며, 상기 양단 각각에는 상기 원판(12)의 기울기와 대칭되게 동일한 기울기를 가진 돌출부와 함몰부가 형성되고,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된 제 1 및 제 2 지지부(14)(16); 및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부(14)(16)와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부(14)(16) 사이에 적층된 다수의 원판(12)들이 상호 연결하도록 충진되는 충진재(18)로 구성된 탄성체(10)를 형성하여;
    상기 탄성체(10)의 제 1 및 제 2 지지부(14)(16) 각각의 체결공을 통해 압입장치에 장착시켜, 탄성 중심의 원리에 따른 병진운동으로 중심 오차를 보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의 탄성체로 구성된 탄성중심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12)의 기울기(θ)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하향하는 기울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의 탄성체로 구성된 탄성중심기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12)의 기울기(θ)는 3 ~ 10°이내의 범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의 탄성체로 구성된 탄성중심기기.
  4. 제 1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10)에는
    상기 탄성체(10)의 제 1 및 제 2 지지부(14)(16) 각각에 마련되고, 체결수단에 의해 상호 체결 고정되는 상, 하부 지지체(110)(120); 및
    상기 상, 하부지지체(110)(120)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상, 하부지지체(110)(120) 중 어느 하나에 일단이 고정되도록 수나사부(136)가 형성되고, 타단은 다른 하나에 일정 간격만큼 유동되도록 머리부(132)가 구성되어, 상기 탄성체(10)가 자중에 의한 인장력과 압입력에 의해 좌굴 및 파손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리미터(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의 탄성체로 구성된 탄성중심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체(110)는 상단부(122)에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하방으로 플랜지(124)가 연장되되, 상기 플랜지(124)의 내부에는 탄성체(10)를 수용하며, 상기 탄성체(10)의 제 1 지지부(14)가 체결 고정되고, 상기 탄성체(10)가 병진이동될 때 간섭되지않도록 수용공간(116)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지지체(120)는 상기 탄성체(10)의 제 2 지지부(16)와 체결고정되며, 상기 플랜지(114)의 내측 수용공간(116)에 위치되되, 상기 탄성체(10)의 병진이동시 상기 플랜지(114)의 내측 벽에 닿지않도록 일정 간격 유지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의 탄성체로 구성된 탄성중심기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터(130)의 머리부(132)에는 수나사부(136)가 상, 하부지지체(110)(120) 중 어느 하나에 용이하게 체결 고정되도록 체결력을 전달하기 위해 게눈게이지의 게눈이 삽입되는 게이지홈(138)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의 탄성체로 구성된 탄성중심기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체(110)의 하단부에는 방사형의 일정 간격으로 끝단에서 상방으로 일정 깊이 함몰된 삽입공간을 가지는 요철부(114a)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지지체(120)는 하단부(122)와 상기 하단부(122)의 상단에 일정 높이 돌출된 돌출부(124)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24)의 중앙에 체결공(126)이 형성되며, 상기 하단부(122)의 외주연에는 상기 요철부(114a)의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다수의 회동방지편(128)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의 탄성체로 구성된 탄성중심기기.
KR1020060056211A 2006-06-16 2006-06-22 하나의 탄성체로 구성된 탄성중심기기 KR100706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6211A KR100706298B1 (ko) 2006-06-22 2006-06-22 하나의 탄성체로 구성된 탄성중심기기
US11/763,641 US7748136B2 (en) 2006-06-16 2007-06-15 Remote center compliance device with measuring sensor
EP07252457A EP1867429B1 (en) 2006-06-16 2007-06-15 Remote center compliance device with measuring sensor
DE602007013969T DE602007013969D1 (de) 2006-06-16 2007-06-15 Fernzentralenkonforme Vorrichtung mit Messsensor
JP2007159564A JP5142600B2 (ja) 2006-06-16 2007-06-15 測定センサー付き弾性中心機器
AT07252457T ATE506141T1 (de) 2006-06-16 2007-06-15 Fernzentralenkonforme vorrichtung mit messsensor
US11/766,590 US7421799B2 (en) 2006-06-22 2007-06-21 Remote center compliance device with one elastic body
JP2007164199A JP5201888B2 (ja) 2006-06-22 2007-06-21 一つの弾性体で構成された弾性中心機器
AT07252557T ATE491544T1 (de) 2006-06-22 2007-06-22 Fernzentralenkonforme vorrichtung mit einem elastischen körper
CNU2007201527934U CN201138574Y (zh) 2006-06-22 2007-06-22 由一个弹性体构成的弹性重心仪
DE602007011155T DE602007011155D1 (de) 2006-06-22 2007-06-22 Fernzentralenkonforme Vorrichtung mit einem elastischen Körper
EP07252557A EP1870197B1 (en) 2006-06-22 2007-06-22 Remote center compliance device with one elastic bod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6211A KR100706298B1 (ko) 2006-06-22 2006-06-22 하나의 탄성체로 구성된 탄성중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6298B1 true KR100706298B1 (ko) 2007-04-13

Family

ID=38161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6211A KR100706298B1 (ko) 2006-06-16 2006-06-22 하나의 탄성체로 구성된 탄성중심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06298B1 (ko)
CN (1) CN201138574Y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917B1 (ko) * 2007-07-26 2011-05-11 주상완 측정센서가 부착되고 하나의 탄성체로 구성된 탄성중심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04612B (zh) * 2010-11-12 2013-08-11 Ind Tech Res Inst 順應性位置補正裝置
CN107160140A (zh) * 2017-07-08 2017-09-15 江阴博衍机械设备有限公司 压装用压头浮动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4159A (ja) * 1993-12-21 1995-07-11 Ntn Corp 両方向トルクリミッタ
JPH0767653B2 (ja) * 1988-09-13 1995-07-26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4指ピン挿抜機構
JPH0842587A (ja) * 1994-08-04 1996-02-13 Nifco Inc トルクリミッタ
KR20010085013A (ko) 2001-07-16 2001-09-07 주상완 압입용 탄성중심기기
KR20050065466A (ko) 2005-05-18 2005-06-29 이상철 탄성체 변화를 이용한 가변형 원격 순응 중심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7653B2 (ja) * 1988-09-13 1995-07-26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4指ピン挿抜機構
JPH07174159A (ja) * 1993-12-21 1995-07-11 Ntn Corp 両方向トルクリミッタ
JPH0842587A (ja) * 1994-08-04 1996-02-13 Nifco Inc トルクリミッタ
KR20010085013A (ko) 2001-07-16 2001-09-07 주상완 압입용 탄성중심기기
KR20050065466A (ko) 2005-05-18 2005-06-29 이상철 탄성체 변화를 이용한 가변형 원격 순응 중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917B1 (ko) * 2007-07-26 2011-05-11 주상완 측정센서가 부착되고 하나의 탄성체로 구성된 탄성중심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1138574Y (zh) 2008-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42600B2 (ja) 測定センサー付き弾性中心機器
KR100706298B1 (ko) 하나의 탄성체로 구성된 탄성중심기기
US20110170964A1 (en) Drilling tool and device with self-maintained axial vibrations
JP5201888B2 (ja) 一つの弾性体で構成された弾性中心機器
WO2011105208A1 (ja) ワークパレット位置決め固定装置
KR101033916B1 (ko) 측정센서가 부착된 탄성중심기기
JP7355937B2 (ja) 電子膨張弁
KR101033917B1 (ko) 측정센서가 부착되고 하나의 탄성체로 구성된 탄성중심기기
US10717161B2 (en) Rotating axis supporting device
KR100589700B1 (ko)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탄성중심기기
JP5357308B1 (ja) ケージナット
KR100872499B1 (ko) 세그먼트 포켓과 리테이너 프레임으로 결합된 니이들베어링용 리테이너
CN103174727A (zh) 紧固组件
TWI404612B (zh) 順應性位置補正裝置
JP2020062720A (ja) 組立装置及び構造物製造方法
JP3128420U (ja) ジャッキ
JP2008073797A (ja) ねじ部材締結装置および組立て体の製造方法
CN104625992B (zh) 定位装置
JP6686872B2 (ja) ロータシャフトにリング及びレゾルバロータを一体化させた物の製造方法
US9252533B2 (en) Data cabling jack device and data cabling assembly structure
JP2017096062A (ja) 免震支承の設置方法及び捩れ調整器具
CN217369863U (zh) 一种角钢火曲机用模具组件
CN103542027B (zh) 预压弹簧片及其组合结构与风扇
KR100407814B1 (ko) 순응 중심 가변형 원격 순응 중심장치
KR20130026144A (ko) 다이 어태치용 콜렛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