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9700B1 -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탄성중심기기 - Google Patents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탄성중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9700B1
KR100589700B1 KR1020050011365A KR20050011365A KR100589700B1 KR 100589700 B1 KR100589700 B1 KR 100589700B1 KR 1020050011365 A KR1020050011365 A KR 1020050011365A KR 20050011365 A KR20050011365 A KR 20050011365A KR 100589700 B1 KR100589700 B1 KR 100589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support
elastic
center
support
cent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1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상완
Original Assignee
주상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상완 filed Critical 주상완
Priority to KR1020050011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97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9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9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15/00Runners or gliders for supporting curtains on rails or rods
    • A47H15/04Gliders

Abstract

본 발명은 공작기에 고정되는 상부지지체와 가공툴이 결합되는 하부지지체의 사이에 회전전달부를 형성하는 탄성중심기기를 제공하여, 상기 탄성중심기기에 의해 가공툴과 피가공물 사이의 중심 오차의 보정 및 회전력이 전달되어 고정도의 회전가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탄성중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가공툴과 피가공물의 중심 오차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중심기기에 있어서, 상기 탄성중심기기(10)는, 공작기에 고정되는 상부지지체(110)와; 상기 상부지지체(110)의 하방에 마련되고 저면에 가공툴이 결합되도록 형성하는 하부지지체(120); 상기 상, 하부지지체(110)(120) 사이에 마련되어 탄성을 가지고 탄성중심을 생성하는 탄성체(130); 상기 상부지지체(110)와 하부지지체(120)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상, 하부지지체(110)(120)사이의 상대적인 변위을 제한하는 리미터(140); 및 상기 상, 하부지지체(110)(120)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공작기에서 발생된 회전력이 상기 상부지지체(110)를 통해 하부지지체(120)의 가공툴로 전달되도록 하는 회전전달부(150)으로 형성하는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탄성중심, 탭가공, 산업용 로봇, 중심보정

Description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탄성중심기기{Remote Center Compliance Device With Torque Transfer Mean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중심기기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중심 위치를 표시한 탄성중심기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중심기기의 사용 상태도로써,
3a는 피가공물과 가공툴과의 중심오차를 나타낸 상태도.
3b는 탄성중심기기에 의해 중심오차 보정된 상태의 상태도.
3c는 가공툴에 의해 피가공물이 절삭되는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중심기기의 평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주요 부호의 설명 *
10 : 탄성중심기기 110 : 상부지지체
120 : 하부지지체 130 : 탄성체
140 : 리미터 150 : 회전전달부
본 발명은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탄성중심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 절삭가공을 실시하는 공작기와 회전 절삭가공에 따른 공구툴 사이에 탄성중심기기를 설치하여 상기 탄성중심기기에 의해 공구툴과 피가공물의 중심오차를 연속적으로 보정하면서 회전 절삭가공을 실시함으로써, 고정도의 회전 절삭가공에 따른 신뢰성 향상과 저단가의 기구적인 구성으로 제반설치 단가의 하락과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하도록 하는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탄성중심기기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탄성중심기기란, 탄성중심의 원리를 구현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장치로서, 상기 탄성중심을 탄성중심기기에 부착된 공구툴(탭, 리이머 등)의 끝단에 일치 시키면, 상대부품의 구멍과의 위치오차가 있을 때, 가공 초기의 접촉력(외력)에 의해 공구툴은 가공구멍의 중심축으로 평행(병진) 이동하여 중심이 일치된 상태에서 정확한 가공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탭이나 리이머 가공과 같은 회전 절삭가공의 경우 피가공물에 먼저 가공하고자 하는 위치를 표시한 후 그 위치에 센터구멍을 가공하고, 상기 센터구멍에 탭이나 리이머 등과 같은 가공툴로 회전 절삭가공 함으로써 완성된다.
가령, M12(직경 12mm 나사)를 가공하기 위해서는 피가공물에 가공하고자 하는 위치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위치에 탭을 내기 위한 센터구멍 즉, 직경 10~11mm의 드릴로 구멍을 가공한 다음 M12의 탭 공구툴로 나선을 형성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센터구멍에 탭이나 리이머 가공을 실시할 경우, 센터구멍의 중 심과 탭이나 리이머 등과 같은 회전 절삭 가공툴의 중심이 정확히 일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가공하게 되면, 탭이나 리이머가 경사지게 되어 가공되므로 가공 불량품이 발생하기 쉽고, 또한, 절삭 공구툴에도 편마모를 일으키게 하거나, 휨현상이 영구적으로 일어나게 되어 결과적으로 공구 수명을 단축시키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중심오차에 따른 문제점으로 인해 정밀가공을 요하는 작업을 수행할 때, 특히 산업용 로봇등을 이용한 자동화시스템에서는 각종의 위치센서들을 설치하거나, 지그나 각종 고정구들을 정밀 제작하여, 보다 정확한 위치에서 정밀 가공할 수 있도록 하고 있지만 각 부품들의 백래시 및 가공, 조립 오차와 같은 자체 오차로 인해 누적오차를 최소화하기에는 한계성을 가지고 있었고, 또한, 주변 정밀장치의 비용도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의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 2001 - 85013 호(명칭: 압입용 탄성중심기기)에 따르면, 정밀축, 핀, 베어링등과 같은 정밀부품을 축구멍, 핀구멍, 베어링 보어등에 끼워 맞추는 조립 또는 압입작업을 할 때 발생하는 상대적인 위치오차나 각도오차를 적절하게 보정하여 정밀한 조립작업을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하는 기술이 개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압입용 탄성중심기기는 보어에 축을 압입할 때 사용 가능한 것으로 탭이나 리이머와 같은 회전 절삭가공에 사용하기에는 회전 백래시가 존재하고 강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부적절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탄성중심기기의 상, 하부지지체 사이에 회전 백래시를 최소화한 회전전달부를 구성하여 피가공물의 센터구멍과 가공툴의 중심오차를 기구적으로 보정하면서 회전 절삭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동심원 회전 절삭가공이 가능케 하여 회전 절삭가공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탄성중심기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산업용 로봇이나 자동화시스템에서 수차의 작업 공정으로 인한 누적 오차를 해소하여 산업용 로봇이나 공작기에 미치는 과도한 부하를 최소화함으로써, 부품의 손상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품질 향상과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탄성중심기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공툴과 피가공물의 중심 오차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중심기기에 있어서, 상기 탄성중심기기는 공작기에 고정되는 상부지지체와, 이 상부지지체의 하방에 마련되고 저면에 가공툴이 결합되도록 형성하는 하부지지체와, 이 상, 하부지지체를 적절한 위치에서 탄성결합시킴으로써 탄성중심의 원리를 구현시키는 탄성체와, 상기 상부지지체와 하부지지체 사이에 마련되어, 상, 하부지지체의 상대적인 탄성 변위량을 제한하는 리미터, 및 상기 상, 하부지지체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공작기에서 발생된 회전력이 상기 상부지지체를 통해 하부지지체의 가공툴로 전달되도록 하는 회전전달부로 형성하는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회전전달부는 상부지지체와 하부지지체 사이에서 일정 길이만큼 서로 수직 교차하는 두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여, 회전 가공중의 가공툴과 피가공물의 중심오차 보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부지지체의 저면에는 하단에 수평의 X축 방향으로 슬라이드홈이 형성되는 상부돌출부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하부지지체의 상면에는 상단에 X축과 직각이며 수평의 Y축 방향으로 슬라이드홈이 형성되는 하부돌출부를 돌출 형성한다. 상기 회전전달부의 상, 하부에는 상기 상, 하부돌출부의 X, Y축 슬라이드홈에 각각 삽입되는 슬라이딩돌기가 상, 하부로 서로 직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회전전달부는 올덤커플링(oldham coupling)방식으로 상, 하부돌출부에 서로 직각으로 형성되는 X, Y축 슬라이드홈에 각각 삽입되는 슬라이딩돌기도 서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탄성체는 상기 상부지지체와 하부지지체 사이에서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다수 설치하되, 탄성중심의 원리에 따라 탄성중심기기의 중심축선상의 어느 한 점을 기준으로 모아지는 기울기를 가지도록 설치하고, 각 탄성체의 양단에는 중앙에 나사홈이 형성되는 금속재의 보강부가 양측단에 마련되고 이 보강부 사이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보강편이 마련되며 이 보강편 사이에 고무재가 적층되어 이 보강편들의 사이 공간에 탄성층이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리미터는 상, 하부지지체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다수 설치하되, 이 리미터는 일단에 상기 상부지지체에 단속되도록 형성되는 단속단과, 타측에 상기 하부지지체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중심기기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중심기기의 단면도이며, 도 3a는 피가공물과 가공툴과의 중심오차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3b는 탄성중심기기에 의해 중심오차가 보정된 상태의 상태도이며, 도 3c는 가공툴에 의해 피가공물이 절삭되는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중심기기의 평 단면도로써,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한다.
본 발명의 탄성중심기기(10)는 상, 하부에 상, 하부지지체(110)(120)를 마련하고, 상기 상, 하부지지체(110)(120) 사이에는 탄성중심의 원리를 구현하는 탄성체(130)와 탄성 변위량을 제한하는 리미터(140)를 다수 형성하며, 중앙부에는 회전전달부(150)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지지체(110)는 공작기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상부지지체(110)의 하부에 마련되는 하부지지체(120)의 저면에는 공구툴이 설치된다.
상기 탄성체(130)는 상기 상, 하부지지체(110)(120) 사이에 체결수단에 의해 3개 이상이 복수 체결되고, 상기 단일의 탄성체(130)는 중앙에 나사홈이 형성되는 금속재의 보강부(132)가 양측단에 마련되고 상기 보강부(132)들 사이에는 일정간격으로 보강편(134)이 다수 마련되며 상기 보강편(136)들 사이에 고무재가 충진되어 상기 보강편(134)들의 사이 공간에 탄성층(136)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가령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외주연에 탄성층이 형성되도록 인서트 사출되어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탄성체(130)는 상기 상, 하부지지체(110)(120) 사이에서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하고, 상기 다수의 탄성체(130)는 탄성중심의 원리에 따라 도 2에 표시한 중심축선상의 점 C를 향하여 모아지는 기울기를 가지게 설치하면 탄성중심점이 중심축선상에 나타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탄성체(130)는 원주방향으로 120ㅀ 등간격으로 3개, 또는 90ㅀ 등간격으로 4개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하여 생성되는 탄성중심의 원리란, 임의의 물체의 어느 한 점에 임의의 방향의 외력이 작용하였을 때, 그 물체는 그 외력의 방향으로만 순수한 병진운동만을 하게 되고(즉, 기울어지는 회전운동은 수반하지 않는다.), 그 어느 한점에 순수한 모멘트가 작용하면, 그 점이 중심점이 되어 순수한 회전운동만을 하게 되어 병진운동은 수반하지 않는 탄성중심점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상기 탄성중심점을 조립하고자 하는 부품이나, 탭, 리이머 등의 끝단에 일치시키면, 상대부품의 구멍과의 위치오차가 있을 때, 조립 초기의 접촉력(외력)에 의해, 조립하고자 하는 부품, 탭, 리이머 등은 구멍 중심축으로 자연스럽게 평행(병진)이동하여 중심이 일치된 상태가 되어 조립이 원활하게 되고, 탭이나 리이머 가공도 정확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리미터(140)는 상기 상, 하부지지체(110)(120)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하고 그 일단에는 나사부(144)를 형성하여 하부지지체(120)에 나사 결합되도록 하며, 타단에는 상기 상부지지체(110)의 단속구멍(116)에 삽입되 어 하부지지체(120)가 과도한 변위를 하지 않도록 변위량을 제한하는 단속단(142)이 마련되고, 이 경우 상기 리미터(140)도 120ㅀ 등간격으로 3개, 또는 90ㅀ 등간격으로 4개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리미터(140)의 단속단(142)을 더 상세히 보면, 상기 단속단(142)은 상부지지체(110)에 삽입 걸림되도록 상기 상부지지체(110)에 자리파기홈 즉 카운터보오링으로 형성된 단속구멍(116)에 단속단(142)이 삽입 걸림된다.
상기 단속단(142)의 직경은 상기 상부지지체(110)에 형성된 단속구멍(116)의 반경보다 'u'간격만큼 작게 형성하고, 상기 단속단(142)의 상, 하면에는 자리파기홈에서 't', 't'' 만큼의 간격이 유지되게 형성된다.
이는 탄성체(130), 하부지지체(120) 및 리미터(140)를 포함한 부분이 병진운동 할 때 변위량이 'u', 't', 't''이내가 되도록 리미터(140)에 의해 변위량을 제한함으로써 탄성체(130)를 보호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회전전달부(150)는 상, 하부지지체(110)(120)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공작기에서 발생된 회전력이 상기 상부지지체(110)를 통해 하부지지체(120)의 가공툴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상부지지체(110)의 저면에는 하단에 수평의 X축 슬라이드홈(114)이 형성되는 상부돌출부(112)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하부지지체(120)의 상면에는 상단에 X축과 직교하는 수평의 Y축 슬라이드홈(124)이 형성되는 하부돌출부(122)를 돌출 형성하며, 상기 상, 하부돌출부(112)(122)의 X,Y축 슬라이드홈(114)(124)에 각각 삽입되는 슬라이딩돌기(152)(154)가 상, 하부에 마련되는 회전전달부(150)로 형성한다.
아울러 회전전달부(150)는 상부지지체(110)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하부지지체(120)로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는 수단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한 것으로, 가령 상, 하부지지체(110)(120)에 돌출된 상, 하부돌출부(112)(122)사이에 미끄럼 키홈을 구성하거나, 기어치를 이용하는 등 다양한 실시예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상, 하부지지체(110)(120)의 상, 하부 돌출부(112)(122)에 슬라이드홈(114)(124)을 형성하였으나, 이를 슬라이딩 돌기로 형성하고, 회전전달부(150)의 상, 하부를 슬라이딩홈으로 형성하여도 사용 가능하다.
특히, 상기 회전전달부(150)는 상기 상, 하부돌출부(112)(122)에 형성되는 X, Y축슬라이드홈(114)(124)이 상호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X,Y축슬라이드홈(114)(124)에 각각 삽입되는 슬라이딩돌기(152)(154)도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올덤커플링(oldham coupling)방식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탄성중심기기의 작동상태를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회전가공툴과 공작기 사이에 탄성중심기기를 장착하는 것으로, 상부지지체(110)는 공작기에 고정하고 하부지지체(120)의 저면에는 가공툴을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공작기의 회전력은 공작기에 고정된 상부지지체(110)와 가공툴이 장착된 하부지지체(120) 사이에 형성된 회전전달부(150)에 의해 상기 하부지지체(120)로 전달되어 결국 가공툴로 전달된다.
이후, 상기 가공툴을 피가공물에 위치시키고 상기 가공툴을 하방으로 이송하여 상기 피가공물에 미리 형성된 센터구멍을 상기 가공툴에 의해 절삭가공 한다.
도 3을 참조하고 가공툴은 탭가공을 일 예로 설명하면, 상기 탄성중심점을 그 끝에 위치시킨 탭의 하단부와 피가공물의 센터구멍과의 중심오차가 'e'만큼 발생되었다면 탭 가공시 하방으로 가공툴을 회전이송 할 경우, 상기 가공툴이 장착된 하부지지체(120)는 탄성중심의 원리에 의해 'e'만큼 병진운동되어 중심오차를 기구적으로 보정하게 된다.
즉, 탄성중심의 원리에 따라 고정된 피가공물의 센터구멍에서 'e'만큼의 거리오차를 가진 탭은 하부지지체(120)에 장착된 상태로, 상부지지체(110)의 단속구멍(116)과 리미터(140)의 단속단(142)과의 'u'만큼의 간격내에서 중심위치오차를 보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접촉력(R)은 수평분력(Rx)과 수직분력(Rz)으로 나눠지게 되고, 탄성중심점(P)을 탭의 끝단에 위치시키면 수평분력(Rx)은 탄성중심점(P)을 지나므로 탭 공구툴이 수평방향으로 병진운동만 할 뿐, 수직 방향에 대해 기울어지는 회전운동은 발생되지 않게되어 결국 탭 공구툴이 센터구멍의 중심을 향하게 됨으로 상기 탭 공구툴과 센터구멍의 중심이 일직선 상에 위치되는 동심원 상태를 이룬다.
아울러 상기 하부지지체(120)가 병진운동할 때 상기 하부지지체(120)와 상기 상부지지체(110) 사이에 마련된 회전전달부(150)도 일정 거리만큼 X, Y 방향으로 슬라이딩 됨에 따라 상기 하부지지체(120)의 병진운동을 간섭하지 않게 된다.
즉, 상부지지체(110)에 대하여 병진운동되는 하부지지체(120)가 일정 거리 이동 될때, 상기 회전전달부(150)의 슬라이딩돌기(152)(154)에 끼움된 상기 상, 하부지지체(110)(120)의 상, 하부돌출부(112)(122)에 마련된 X, Y축 슬라이드홈(114)(124)이 일정 거리만큼 슬라이딩된다.
여기에서 상기 회전전달부(150)가 상기 상, 하부지지체(110)(120) 사이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함으로, 상기 회전전달부(150)를 통해 상부지지체(110)의 회전력이 하부지지체(120)로 계속적으로 전달됨에 따라 상기 하부지지체(120)에 장착된 탭으로 회전력을 제공하여, 상기 탭에 의해 피가공물의 센터구멍을 정위치에서 탭가공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피가공물의 센터구멍의 탭가공이 완료되면 탭은 역회전되어, 전술한 방법을 통해 형성한 탭의 나선방향을 타고 역회전으로 풀리면서 탭가공이 완료된다.
그러므로 탄성중심의 원리에 따른 탄성중심기기의 기구적인 구성으로 상기 피가공물의 센터구멍과 하부지지체의 탭은 일직선으로 중심이 일치된 상태로 상기 탭에 의해 피가공물의 센터구멍을 회전 절삭으로 탭가공 함으로써, 동심원의 탭 가공이 용이하게 실시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상태도로써, 이를 참조하면 상, 하부지지체(110)(120) 사이에 리미터(140)를 대신하여, 상기 상부지지체(110)의 저면에 일단이 지지되는 외주커버(160)를 형성한다.
상기 외주커버(160)는 일단이 상기 상부지지체(110)의 저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하부지지체(120)의 외주연에 맞닿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경우 상기 외주커버(160)와 하부지지체(120) 사이에는 일정 간격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하부 지지체(120)의 상면과 외주커버(160)의 저면 사이에는 't'만큼의 간격이 주어지고, 상기 하부지지체(120)의 외주연과 외주커버(160)의 내면에는 'u'만큼의 간격이 주어지도록 형성한다.
상기 간격 't'와 'u'는 가공툴과 피가공물의 센터구멍의 중심오차를 보정할 때, 탄성중심의 원리에 의해 가공툴이 장착된 하부지지체(120)가 병진운동할 때 그 변위량을 제한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탄성중심기기의 상, 하부지지체 사이에 회전전달부를 구성하여 피가공물의 센터구멍과 가공툴의 중심오차를 기구적으로 보정하면서 회전 절삭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동심원 회전 절삭가공이 가능하도록 하여 회전 절삭가공의 신뢰성과 정밀도를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고, 또한, 절삭툴의 편마모를 방지하고 휨변형도 예방할 수 있다.
아울러 산업용 로봇이나 자동화시스템에서 수차의 작업 공정으로 인한 누적 오차를 해소하여 산업용 로봇이나 공작기에 미치는 과도한 부하를 최소화함으로써, 부품의 손상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품질 향상과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탄성중심기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및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가공툴과 피가공물의 중심 오차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중심기기에 있어서, 상기 탄성중심기기(10)는
    공작기에 고정되는 상부지지체(110)와;
    상기 상부지지체(110)의 하방에 마련되고 저면에 가공툴이 결합되도록 형성하는 하부지지체(120);
    상기 상, 하부지지체(110)(120) 사이에 마련되어 탄성을 가지고 탄성중심을 생성하는 탄성체(130);
    상기 상부지지체(110)와 하부지지체(120)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상, 하부지지체(110)(120) 사이의 상대적인 변위를 제한하는 리미터(140); 및
    상기 상, 하부지지체(110)(120)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공작기에서 발생된 회전력이 상기 상부지지체(110)를 통해 하부지지체(120)의 가공툴로 전달되도록 하는 회전전달부(150)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탄성중심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전달부(150)는
    상기 상부지지체(110)와 하부지지체(120) 사이에서 일정 길이만큼 슬라이딩가능하여, 가공툴과 피가공물의 중심오차 보정에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탄성중심기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전달부(150)는
    상기 상, 하부지지체(110)(120)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상부지지체(110)의 저면에는 하단에 수평의 X축 방향으로 슬라이드홈(114)이 형성되는 상부돌출부(112)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하부지지체(120)의 상면에는 상단에 수평의 Y축 방향으로 슬라이드홈(124)이 형성되는 하부돌출부(122)를 돌출 형성하며;
    상기 상, 하부돌출부(112)(122)의 X,Y축 슬라이드홈(114)(124)에 각각 삽입되는 슬라이딩돌기(152)(154)가 상, 하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탄성중심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전달부(150)는
    올덤커플링(oldham coupling)방식으로;
    상기 상, 하부돌출부(112)(122)에 형성되는 X, Y축슬라이드홈(114)(124)이 상호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X,Y축슬라이드홈(114)(124)에 각각 삽입되는 슬라이딩돌기(152)(154)도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탄성중심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130)는
    상기 상부지지체(110)와 하부지지체(120)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하되, 탄성중심의 원리에 따라 중심축선상의 점을 향하여 모아지는 기울기를 가지도록 설치하며;
    상기 탄성체(130)는 중앙에 나사홈이 형성되는 금속재의 보강부(132)가 양측단에 마련되고 상기 보강부(132) 사이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보강편(134)이 마련되며 상기 보강편(134) 사이에 고무재가 적층되어 상기 보강편(136)들의 사이 공간에 탄성층(13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탄성중심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터(140)는
    상기 상, 하부지지체(110)(120)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다수 설치하되;
    그 일단에는 상기 하부지지체(12)에 결합되는 나사부(144)를 형성하고, 타단에는 상기 상부지지체(11)의 단속구멍(116)에 삽입되어 하부지지체(120)가 과도한 변위를 하지 않도록 변위량을 제한하는 단속단(142)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탄성중심기기.
KR1020050011365A 2005-02-07 2005-02-07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탄성중심기기 KR100589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1365A KR100589700B1 (ko) 2005-02-07 2005-02-07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탄성중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1365A KR100589700B1 (ko) 2005-02-07 2005-02-07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탄성중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9700B1 true KR100589700B1 (ko) 2006-06-19

Family

ID=37182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1365A KR100589700B1 (ko) 2005-02-07 2005-02-07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탄성중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970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299B1 (ko) * 2006-06-22 2007-04-13 주상완 압입력측정센서가 부착된 탄성중심기기용 리미터
KR100801220B1 (ko) 2006-06-16 2008-02-11 주상완 압입력 측정이 가능한 탄성중심기기
CN111822922A (zh) * 2020-07-13 2020-10-27 常德湘沅实业有限公司 一种剪叉式高空作业平台底架铆焊工装
KR102298508B1 (ko) * 2021-02-05 2021-09-06 주식회사 별랑 수직수평 정렬 지지장치
KR20230113915A (ko) * 2022-01-24 2023-08-01 (주)서강정밀 센터 정위치 잡기용 탭 척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220B1 (ko) 2006-06-16 2008-02-11 주상완 압입력 측정이 가능한 탄성중심기기
KR100706299B1 (ko) * 2006-06-22 2007-04-13 주상완 압입력측정센서가 부착된 탄성중심기기용 리미터
CN111822922A (zh) * 2020-07-13 2020-10-27 常德湘沅实业有限公司 一种剪叉式高空作业平台底架铆焊工装
CN111822922B (zh) * 2020-07-13 2022-03-04 常德湘沅实业有限公司 一种剪叉式高空作业平台底架铆焊工装
KR102298508B1 (ko) * 2021-02-05 2021-09-06 주식회사 별랑 수직수평 정렬 지지장치
KR20230113915A (ko) * 2022-01-24 2023-08-01 (주)서강정밀 센터 정위치 잡기용 탭 척
KR102624937B1 (ko) 2022-01-24 2024-01-15 (주)서강정밀 센터 정위치 잡기용 탭 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3995B1 (ko) 가변 원격탄성중심기기(vrcc)
KR100589700B1 (ko)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탄성중심기기
JP5015823B2 (ja) 保持装置若しくは緊締装置における駆動軸とスピンドルとの間の連結装置
EP1413390B1 (en) Inclining and rotating worktable apparatus, with cross roller bearing
US7581472B2 (en) Tool holder positioning device
KR20010050187A (ko) 툴 처킹 구조물
CN105014113A (zh) 一种汽车管件多角度钻孔装置
US20140196583A1 (en) Tool chucking fixture
EP3828443A1 (en) Rotation drive device
JP5308893B2 (ja) 工作機械の刃物台
JP2011079085A (ja) 多軸ヘッド
US20090116916A1 (en) Fine adjusting method of the feed amount of the boring cutter and the adjusting device thereof
JP5148333B2 (ja) ツールホルダ位置決め装置
US20040067813A1 (en) Rotatory transmitting mechanism, machine tool with the mechanism, and tool holder
JP4841493B2 (ja) ねじ類の締付工具
EP0798073A1 (en) Cam follower mounting assembly and method
JP6999263B2 (ja) 複数のボールネジの製造方法及び工作機械
TW201615299A (zh) 複式工具
JP2008119790A (ja) 工具ホルダ、およびその工具ホルダを取り付け可能なnc旋盤装置
US9427810B2 (en) Tool holder
JP2008044031A (ja) 自動調芯工具ホルダー
US11931839B2 (en) Transfer machine
KR100600235B1 (ko) 공작기계용 인덱스 테이블 구동장치
KR100764944B1 (ko) 스핀들 위치 보정장치
CN116985179B (zh) 关节模组及机器人关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