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6271B1 - 합성수지를 이용한 솔향 발산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합성수지를 이용한 솔향 발산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6271B1
KR100706271B1 KR1020060092061A KR20060092061A KR100706271B1 KR 100706271 B1 KR100706271 B1 KR 100706271B1 KR 1020060092061 A KR1020060092061 A KR 1020060092061A KR 20060092061 A KR20060092061 A KR 20060092061A KR 100706271 B1 KR100706271 B1 KR 100706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building
mixtur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2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순현
신명식
조삼동
Original Assignee
박순현
신명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순현, 신명식 filed Critical 박순현
Priority to KR1020060092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62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6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6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08J3/03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aqueous media
    • C08J3/05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aqueous media from solid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5Bioc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9/00Compositions of natural macromolecular compounds or of derivatives thereof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89/00 - C08L97/00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1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 E04C2/2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of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08K2003/0806Silv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1Nanostructured 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건축물의 내부 표면에 마감처리되어 유해물질 발산을 차단하며, 마감용 접착제로도 사용 가능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견운모 40 내지 50 중량부, 포화폴리에스터 수지 40 내지 50 중량부, 솔잎 추출물 15 내지 20 중량부, 및 항균제 0.5 내지 1 중량부를 물 500 중량부와 혼합 교반하여 이루어지는 합성수지를 이용한 솔향 발산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건축물의 내부 표면을 마감하면 상기 건축물로부터 각종 유기화합물이나 휘발성 물질이 발산되는 것을 차단하고, 솔향을 발산하며, 음이온을 발생하는 동시에 항균 작용으로 인하여 세균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합성수지를 이용한 솔향 발산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CONSTRUCTION FINISHING COMPOSITION FOR DIFFUSING PINE PERFUME USING PLASTICS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의 제조 방법의 순서도
본 발명은 솔향을 발산하는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내부 표면에 마감 처리됨으로써 상기 건축물로부터 각종 유기화합물이나 휘발성 물질이 발산되는 것을 차단하고, 솔향을 발산하며, 음이온을 발생하는 동시에 세균 발생을 억제하는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내부는 합성수지 또는 목재 재질의 마루판을 합성수지 접착제로 바닥에 접착하고, 벽면을 시멘트의 모르타르를 발라서 마감 처리하는 경우가 있다.
건축물의 바닥에 건축물의 내부는 합성수지 또는 목재 재질의 마루판을 접착하여 마감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합성수지 접착제는 접착 강도나 접착 내구성 등과 같은 접착과 관련된 각종 물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합성수지 접착제에 함유되는 각종 유기화합물이나 휘발성 물질이 공중으로 발산되어 건축물 거주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고, 악취가 발생하여 거주자를 불쾌하게 할 뿐 만 아니라, 이것은 이른바 새집증후군으로 연결된다. 특히, 건축물의 바닥을 합성수지 재질의 마루판으로 마감 처리하는 경우에는, 상기 합성수지 재질의 마루판 자체에서 각종 유기화합물이나 휘발성 물질이 지속적으로 발산되어 거주자의 건강에 유해한 영향을 미친다. 또한, 건축물의 내부 벽면을 모르타르로 마감 처리하는 경우에도 상기 모르타르에 포함된 시멘트에서 지속적으로 발산되는 각종 유해물질이 거주자의 새집증후군을 유발시킨다.
종래에는, 주로 이러한 새집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하여 거주자가 입주하기 전에 장시간 창문을 완전 개방한 상태로 실내를 고온으로 난방하고(bake out), 이러한 과정을 여러 차례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실내 내장재에 함유된 각종 유기화합물이나 휘발성 물질을 기화시켜서 제거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실내 난방 방법에 의해서도 실내 마감재에 함유된 각종 유기화합물이나 휘발성 물질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거주자가 입주한 후에도 매우 장기간동안 실내 마감재로부터 각종 유기화합물이나 휘발성 물질이 발산되어 거주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친다. 또한, 실제적으로 실내 난방을 여러 차례 실시하는 것이 대단히 번거롭고, 난방에 에너지를 대량 소비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서, 사람들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각종 유기화합물이나 휘발성 물질의 발산을 방지하거나 억제하기 위하여 천연재료로 구성되어 마감재의 표면을 코팅하는 각종 조성물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개발된 마감재 조성물은 접합과 관련된 물성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실제로 마감재에 코팅하여 사용하는 것이 곤란하고, 마루판을 바닥에 접합하는데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합성수지 접착제의 사용량을 저감시킬 수가 없다. 또한, 실내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억제하기 위하여 마감재 조성물에 추가적으로 화학적인 탈취제를 함유하거나, 또는 별도로 탈취제, 방향제를 사용해야 한다.
예를 들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0359444 호(2002. 03. 17. 공개)에서는 선인장 분말, 황토, 호산석 송이 분말, 해초 농축액 분말을 포함하여 자연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고, 원적외선을 발산하는 도막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자연향을 발산하는 도막은 접합과 관련된 물성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실제로 마감재에 코팅하여 사용하는 것이 곤란하고, 마감재를 벽면이나 바닥에 접합하는데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합성수지 접착제의 사용량을 저감시킬 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0524625 호(2004. 03. 27. 공개)에서는 오랫동안 향기를 발산할 수 있는 마이크로캡슐을 황토페인트에 적용하여 지속적인 향기 발산 특성을 갖는 황토페인트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황토페인트에 포함된 안료로부터 유기화합물이나 휘발성 물질이 발산되어 거주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접착력이 부족하여 마감재를 벽면이나 바닥에 접합하는데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외에도,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0613877 호(2005. 10. 31. 출원)에서는 물, 수용성 분산제, 수용성 유기 점증제, 첨가제 등의 혼합물에 옥 분말, 이산화티타늄, 석(石) 분말, 세라믹 바인더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옥 성분을 포함하는 페인트 마감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페인트 마감재는 가격이 고가이며, 페인트 성분에서 유기화합물이나 휘발성 물질이 발산되어 거주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견운모, 합성수지, 솔잎 추출물 및 항균제로 이루어져서 건축물의 내부 표면에 마감 처리되어 상기 건축물로부터 각종 유기화합물이나 휘발성 물질이 발산되는 것을 차단하고, 솔향을 발산하는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견운모, 합성수지, 솔잎 추출물 및 항균제로 이루어져서 건축물의 내부 표면에 마감 처리되며 상기 건축물로부터 각종 유기화합물이나 휘발성 물질이 발산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솔향을 발산하는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를 이용한 솔향 발산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은 견운모 40 내지 50 중량부와, 포화폴리에스터 수지 40 내지 50 중량부와, 솔잎 추출물 15 내지 20 중량부, 항균제 0.5 내지 1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를 이용한 솔향 발산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포화폴리에스터 수지 고형체를 분쇄하여 300 내지 350 메쉬의 포화폴리에스터 수지 분말을 형성하는 단계와, 견운모를 분쇄하여 300 내지 350 메쉬의 견운모 분말을 형성하는 단계와, 솔잎을 400 내지 600 메쉬로 분쇄하여 솔잎 추출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견운모 분말 40 내지 50 중량부, 솔잎 추출물 15 내지 20 중량부, 항균제 0.5 내지 1 중량부 및 물 5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1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혼합물을 90 내지 95 ℃에서 10 내지 12 시간동안 교반하여 1차 겔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1 혼합물에, 상기 물 500 중량부에 대한 상기 포화폴리에스터 수지 분말 40 내지 5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2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혼합물을 60 내지 80 ℃에서 2 내지 3 시간동안 교반하여 2차 겔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합성수지를 이용한 솔향 발산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은 건축물의 내부 표면을 마감 처리하면 상기 건축물로부터 각종 유기화합물이나 휘발성 물질이 발산되는 것을 차단하고, 솔향을 발산하며, 음이온을 발생하는 동시에 항균 작용으로 인하여 세균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합성수지를 이용한 솔향 발산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를 이용한 솔향 발산 건축용 마감재 조 성물은 원적외선, 음이온을 발생하는 견운모,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에 접합력을 제공하는 포화폴리에스터 수지, 솔향을 발산하고 항균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솔잎 추출물, 및 항균 작용을 위한 항균제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견운모 40 내지 50 중량부와, 포화폴리에스터 수지 40 내지 50 중량부와, 솔잎 추출물 15 내지 20 중량부, 및 항균제 0.5 내지 1 중량부를 물 500 중량부와 혼합하고 일정한 온도와 시간 조건 하에서 교반하여 합성수지를 이용한 솔향 발산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을 제조한다.
이하, 각 구성요소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를 이용한 솔향 발산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은 견운모 분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합성수지를 이용한 솔향 발산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에 포함되는 견운모는 인체의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세포활성을 활성화하는 원적외선을 90% 이상 방사하는 물질로서, 강력한 음이온을 발산하여 각종 유해 물질을 흡착하는 기능을 지닌다.
본 발명에 의한 합성수지를 이용한 솔향 발산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에 포함되는 견운모의 함량이 40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의 원적외선, 음이온의 방출 기능이 저하되고, 견운모의 함량이 50 중량부를 초과하면 포화폴리에스터 수지의 함량이 감소되어 상기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의 저하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를 이용한 솔향 발산 건 축용 마감재 조성물은 포화폴리에스터 수지를 포함한다. 이러한 포화폴리에스터 수지는 바인더 등의 용도로 사용되어 오던 포화폴리에스터 수지 고형체를 분쇄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종래에 폐기되던 토너용 바인더 폐분말을 재활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에 포함되는 포화폴리에스터 수지의 함량이 40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의 접합력이 저하되고, 포화폴리에스터 수지의 함량이 50 중량부를 초과하면 견운모 분말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감소되어 상기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의 원적외선, 음이온의 방출 기능이 저하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를 이용한 솔향 발산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은 솔잎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솔잎 추출물은 테르펜 계통의 피톤치드가 풍부하여 그 자체로서 음이온을 발생하는 재료이다. 본 발명에서는 솔잎을 미세하게 나노 분쇄하여 이루어지는 솔잎 추출물을 사용하여 솔향 발산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을 구성하는 것이다.
합성수지를 이용한 솔향 발산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에 포함되는 솔잎 추출물의 함량이 15 중량부 미만이면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의 음이온 발생 효과가 저하되고, 솔잎 추출물의 함량이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의 밀도가 낮아져서 유기화합물이나 휘발성 물질의 발산을 방지 억제하는 기능이 저하된다.
이외에도, 본 발명에서는 합성수지를 이용한 솔향 발산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의 각종 세균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항균제가 포함된다.
이러한 항균제는 산화아연 및 은(銀) 나노 콜로이드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혼합하여 사용한다. 상기 은 나노 콜로이드는 은을 나노 분쇄하여 미세 은 분말을 형성하고, 상기 미세 은 분말을 알칼리 암모니아수인 콜로이드 용액에 용해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합성수지를 이용한 솔향 발산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에 포함되는 항균제의 함량이 0.5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의 각종 세균의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부족하고, 항균제의 함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항균제의 사용량에 대비한 각종 세균의 발생 억제 효과가 저하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합성수지를 이용한 솔향 발산 건축용 마감재 조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를 이용한 솔향 발산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단계적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를 이용한 솔향 발산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우선 포화폴리에스터 수지 고형체를 분쇄하여 300 내지 350 메쉬의 포화폴리에스터 수지 분말을 형성한다(단계 S10).
합성수지를 이용한 솔향 발산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에 포함되는 포화폴리에스터 수지 분말의 평균입도가 300 메쉬 미만이면 상기 포화폴리에스터 수지 분말이 용매인 물에 균일하게 혼합되지 않으며, 포화폴리에스터 수지 분말의 평균입도가 350 메쉬를 초과하면 상기 포화폴리에스터 수지 분말의 분쇄 비용에 대하여 건축물 마감재 조성물의 물성이 더 이상 증가되지 않는다.
또한,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에 포함되는 포화폴리에스터 수지의 함량이 40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의 접합력이 저하되고, 포화폴리에스터 수지의 함량이 50 중량부를 초과하면 견운모 분말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감소되어 상기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의 원적외선, 음이온의 방출 기능이 저하된다.
견운모를 분쇄하여 300 내지 350 메쉬의 견운모 분말을 형성한다(단계 S20).
합성수지를 이용한 솔향 발산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 조성물에 포함되는 견운모 분말의 평균입도가 300 메쉬 미만이면 건축물의 내부 표면에 마감된 상태인 건축물 마감재 조성물의 표면이 거칠어지고, 견운모 분말의 평균입도가 350 메쉬를 초과하면 견운모 분말의 분쇄 비용에 대하여 건축물 마감재 조성물의 물성이 더 이상 증가되지 않는다.
또한, 합성수지를 이용한 솔향 발산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에 포함되는 견운모의 함량이 40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의 원적외선, 음이온의 방출 기능이 저하되고, 견운모의 함량이 50 중량부를 초과하면 포화폴리에스터 수지의 함량이 감소되어 상기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의 저하된다.
솔잎을 400 내지 600 메쉬로 분쇄하여 솔잎 추출물을 형성한다(단계 S30).
구체적으로 솔잎을 물로 세척하고, 세척된 솔잎을 표면의 물기가 사라질 때까지 자연 건조하고, 건조된 솔잎을 나노 분쇄기로 분쇄하여 평균입도 400 내지 600 메쉬의 솔잎 추출물을 형성한다.
합성수지를 이용한 솔향 발산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 조성물에 포함되는 솔잎 추출물의 평균입도가 400 메쉬 미만이면 상기 솔잎 추출물이 용매인 물에 충분히 용해되지 않으며, 솔잎 추출물의 평균입도가 600 메쉬를 초과하면 솔잎 추출물의 용해성이 더 이상 향상되지 않는다.
또한, 합성수지를 이용한 솔향 발산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에 포함되는 솔잎 추출물의 함량이 15 중량부 미만이면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의 음이온 발생 효과가 저하되고, 솔잎 추출물의 함량이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의 밀도가 낮아져서 유기화합물이나 휘발성 물질의 발산을 방지 억제하는 기능이 저하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견운모 분말, 솔잎 추출물, 항균제를 용매인 물에 혼합하여 제 1 혼합물을 형성한다(단계 S40).
구체적으로, 견운모 분말 40 내지 50 중량부, 솔잎 추출물 15 내지 20 중량부, 항균제 0.5 내지 1 중량부 및 물 5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1 혼합물을 형성한다.
합성수지를 이용한 솔향 발산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의 각종 세균 및 진드기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항균제는 산화아연 및 은(銀) 나노 콜로이드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혼합하여 사용한다. 상기 은 나노 콜로이드는 은을 나노미터 단위로 분쇄하여 미세 은 분말을 형성하고, 상기 미세 은 분말을 알칼리 암모니아수인 콜로이드 용액에 용해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합성수지를 이용한 솔향 발산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제 1 혼합물의 형성 단계에 포함되는 항균제의 함량이 0.5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의 각종 세균 및 진드기의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부족하고, 항균제의 함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항균제의 사용량에 대비한 각종 세균 및 진드기의 발생 억제 효과가 저하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제 1 혼합물을 90 내지 95 ℃에서 10 내지 12 시간동안 교반하여 1차 겔화시킨다(단계 S50).
제 1 혼합물을 1차 겔화하는 온도가 90 ℃ 미만이면 상기 제 1 혼합물이 제대로 겔화되지 않으며, 제 1 혼합물의 1차 겔화 온도가 95 ℃를 초과하면 상기 제 1 혼합물의 물성이 열화된다.
또한, 제 1 혼합물을 1차 겔화하는 시간이 10 시간 미만이면 상기 제 1 혼합물이 제대로 겔화되지 않으며, 제 1 혼합물의 1차 겔화 시간이 12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제 1 혼합물이 지나치게 겔화되어 2차 겔화 단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상기 제 1 혼합물에, 상기 포화폴리에스터 수지 분말을 혼합하여 제 2 혼합물을 형성한다(단계 S60).
구체적으로, 상기와 같이 1차 겔화된 제 1 혼합물에, 상기 물 500 중량부에 대한 포화폴리에스터 수지 분말 40 내지 5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2 혼합물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포화폴리에스터 수지 분말의 혼합에 의하여 합성수지를 이용한 솔향 발산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에 접합력이 제공된다.
상기 제 2 혼합물을 60 내지 80 ℃에서 2 내지 3 시간동안 교반하여 2차 겔화시켜서 합성수지를 이용한 솔향 발산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을 제조한다(단계 S70).
제 2 혼합물을 2차 겔화하는 온도가 60 ℃ 미만이면 상기 제 2 혼합물이 제대로 겔화되지 않으며, 제 2 혼합물의 2차 겔화 온도가 80 ℃를 초과하면 상기 제 2 혼합물이 겔화되지 않고 경화된다.
또한, 제 2 혼합물을 2차 겔화하는 시간이 2 시간 미만이면 상기 제 2 혼합물이 제대로 겔화되지 않으며, 제 2 혼합물의 2차 겔화 시간이 3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제 2 혼합물이 지나치게 겔화되지 않고 그 물성이 저하된다.
상기와 같이 겔 형태로 제조된 합성수지를 이용한 솔향 발산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을 건축물의 내부 벽면에 나노 분사기로 분사하여 도포한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이것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포화폴리에스터 수지 고형체를 분쇄하여 350 메쉬의 포화폴리에스터 수지 분말을 형성하였다.
2. 견운모를 나노분쇄 반응기인 GLOBA LAB/Model HHZ-20DN로 분쇄하여 350 메쉬의 견운모 분말을 형성하였다.
3. 솔잎을 물로 세척하고, 세척된 솔잎을 표면의 물기가 사라질 때까지 자연 건조하고, 건조된 솔잎을 나노분쇄 반응기인 GLOBAL LAB사 제조(Model HHZ-20DN)로 분쇄하여 600 메쉬의 솔잎 추출물을 형성하였다.
4. 반응기에 정제수 1000 g를 주입하고, 상기 정제수에 상기 견운모 분말 100 g, 솔잎 추출물 40 g, 및 항균제인 은 나노 콜로이드 2 g을 혼합하여 제 1 혼합물을 형성하였다.
5. 상기 반응기에서 형성된 제 1 혼합물을 95 ℃에서 11 시간동안 교반하여 1차 겔화시켰다.
6. 상기 1차 겔화된 제 1 혼합물에 상기 포화폴리에스터 수지 분말 100 g을 혼합하여 제 2 혼합물을 형성하였다.
7. 상기 제 2 혼합물을 70 ℃에서 3 시간동안 교반하여 2차 겔화시켜서 합성수지를 이용한 솔향 발산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을 제조 완료하였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의거하여 제조된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을 페인트 붓을 사용하여 합성수지판을 모르타르로 마감한 건축물 내부의 벽면에 도포하여 피막을 형성한 결과, 상기 벽면으로부터 각종 유기화합물이나 휘발성 물질이 발산되는 것을 차단하고 음이온을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기와 같이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의 박막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벽면과 근접한 지점에서 관능 테스트를 실시한 결과, 상기 벽면으로부터 불쾌한 악취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이외의 다른 종류의 악취도 감지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 의한 합성수지를 이용한 솔향 발산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은 건축물의 내부 표면에 박막을 형성함으로서 상기 건축물로부터 각종 유기화합물이나 휘발성 물질이 발산되는 것을 차단하고 음이온을 발생하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또한,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에 바인더인 포화폴리에스터 수지가 다량으로 포함되어 접착력이 우수하기 때문에 건축물에 마감재를 접착하는 접착제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포화폴리에스터 수지로서 토너용 바인더 폐분말을 사용하여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을 제조하면 토너용 바인더 폐분말의 폐기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고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까지 지니게 된다.
이 외에도,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에 솔잎 추출물이 포함되어 마감재로부터 지속적으로 솔향이 발산되므로 거주자의 후각을 만족시키는 동시에, 항균제의 항균 작용으로 인하여 마감재의 세균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견운모 40 내지 50 중량부;
    포화폴리에스터 수지 40 내지 50 중량부;
    솔잎 추출물 15 내지 20 중량부; 및
    항균제 0.5 내지 1 중량부를 혼합 교반하여 이루어지는 합성수지를 이용한 솔향 발산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화폴리에스터 수지는 토너용 바인더 폐분말인 것을 특징을 하는 합성수지를 이용한 솔향 발산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제는 산화아연, 및 은(銀) 나노 콜로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항균제인 것을 특징을 하는 합성수지를 이용한 솔향 발산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은 나노 콜로이드는 은을 나노 분쇄하여 알칼리 암모니아수인 콜로이드 용액에 용해시킨 것을 특징을 하는 합성수지를 이용한 솔향 발산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
  5. 포화폴리에스터 수지 고형체를 분쇄하여 300 내지 350 메쉬의 포화폴리에스 터 수지 분말을 형성하는 단계;
    견운모를 분쇄하여 300 내지 350 메쉬의 견운모 분말을 형성하는 단계;
    솔잎을 400 내지 600 메쉬로 분쇄하여 솔잎 추출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견운모 분말 40 내지 50 중량부, 솔잎 추출물 15 내지 20 중량부, 항균제 0.5 내지 1 중량부 및 물 5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1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혼합물을 10 내지 12 시간동안 교반하여 1차 겔화시키는 단계;
    상기 제 1 혼합물에, 상기 물 500 중량부에 대한 상기 포화폴리에스터 수지 분말 40 내지 5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2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혼합물을 2 내지 3 시간동안 교반하여 2차 겔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합성수지를 이용한 솔향 발산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의 제조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겔화 단계에서 제 1 혼합물의 겔화 온도는 90 내지 9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를 이용한 솔향 발산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의 제조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겔화 단계에서 제 2 혼합물의 겔화 온도는 60 내지 8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를 이용한 솔향 발산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060092061A 2006-09-22 2006-09-22 합성수지를 이용한 솔향 발산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0706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2061A KR100706271B1 (ko) 2006-09-22 2006-09-22 합성수지를 이용한 솔향 발산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2061A KR100706271B1 (ko) 2006-09-22 2006-09-22 합성수지를 이용한 솔향 발산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6271B1 true KR100706271B1 (ko) 2007-04-13

Family

ID=38161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2061A KR100706271B1 (ko) 2006-09-22 2006-09-22 합성수지를 이용한 솔향 발산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627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5874A (ja) 1998-09-24 2000-04-04 Erubu:Kk 抗菌性飽和ポリエステル成形物およびその製造法
US6051635A (en) 1996-08-20 2000-04-18 Hatch; J. Mel Dowels made from thermosetting resins and process of making same
KR20010103109A (ko) * 2001-10-09 2001-11-23 이정석 기능성합성수지의 제조방법
KR20030047212A (ko) * 2001-12-08 2003-06-18 김남서 향기나는 플라스틱 및 이를 이용한 쿠션재
KR20050020246A (ko) * 2003-08-21 2005-03-04 윤석규 다기능성 열가소성수지 및 그 제조방법
US20050215703A1 (en) 2004-03-01 2005-09-29 Kazuaki Mukasa Resin compositions with high vibration damping ability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51635A (en) 1996-08-20 2000-04-18 Hatch; J. Mel Dowels made from thermosetting resins and process of making same
JP2000095874A (ja) 1998-09-24 2000-04-04 Erubu:Kk 抗菌性飽和ポリエステル成形物およびその製造法
KR20010103109A (ko) * 2001-10-09 2001-11-23 이정석 기능성합성수지의 제조방법
KR20030047212A (ko) * 2001-12-08 2003-06-18 김남서 향기나는 플라스틱 및 이를 이용한 쿠션재
KR20050020246A (ko) * 2003-08-21 2005-03-04 윤석규 다기능성 열가소성수지 및 그 제조방법
US20050215703A1 (en) 2004-03-01 2005-09-29 Kazuaki Mukasa Resin compositions with high vibration damping abilit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0548B1 (ko) 유해물질 분해 또는 흡착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4940351A1 (es) Composiciones de perfume y metodos para reducir los olores corporales y la humedad excesiva
KR101033205B1 (ko) 화산석을 이용한 친환경 기능성 페인트 및 미장 도료용조성물
KR101433528B1 (ko) 백토와 분말 수지를 이용한 친환경 분말 페인트를 이용한 도장방법
KR100706271B1 (ko) 합성수지를 이용한 솔향 발산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328657B1 (ko) 새집증후군 제거용 나노산소 촉매제
KR20160092209A (ko) 친환경 항균탈취인조나무 및 기능성조형물제조방법
KR20040033097A (ko) 건축물 내, 외장용 인조석 판재 및 그 제조방법
JP6627115B2 (ja) 消臭塗料
KR100796729B1 (ko) 건물 실내 내장재의 기능성 코팅액 제조방법
KR101375150B1 (ko) 바이오 액체 벽지 조성물 및 바이오 액체벽지 조성물 제조방법
KR101356571B1 (ko) 난연 및 전자파 차단효과를 가지는 분말형 벽바름재 조성물
KR20090121891A (ko) 건축 내장재의 코팅에 사용되는 항균성 양이온 교환 졸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060000376A (ko) 항독항균성 스프레이 타입 코팅액
KR200380625Y1 (ko) 천연도료가 함유된 목재 마루판
KR101213353B1 (ko) 새집증후군 저감과 항균 및 항곰팡이 특성을 가지는 석회 도료 조성물
JP2003342529A (ja) マイナスイオン放出性塗料
KR101028536B1 (ko) 포름알데히드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흡착 및 분해용 도배풀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포름알데히드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흡착 및 분해용 도배풀 조성물
KR101641724B1 (ko) 규조토 함유 건축마감재의 시공방법
KR100227977B1 (ko) 건축물 내장용 도포제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60056201A (ko) 새집증후군 유발물질을 저감시키는 조성물
JP2002003743A (ja) 天然鉱石を主原料にし、二価鉄化合物にキレート剤を配合した副原料を混入した複合パウダー、該複合パウダーを添加した塗料、プラスチックフイルム、成形プラスチック、合成繊維、内装用クロス、内装用和紙、該複合パウダーを混入した塗料を塗布した加工製品。
KR100718822B1 (ko) 송이석을 이용한 코트의 제조방법
KR100977861B1 (ko) 건축 내장재의 코팅에 사용되는 제올라이트 산성수를이용한 양이온 교환 졸 조성물
KR101530763B1 (ko) 주방용기 코팅용 은나노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주방용기의 코팅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