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6043B1 - 일회용 착용 물품에 사용하는 가요성 복합 시트 - Google Patents

일회용 착용 물품에 사용하는 가요성 복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6043B1
KR100706043B1 KR1020000063484A KR20000063484A KR100706043B1 KR 100706043 B1 KR100706043 B1 KR 100706043B1 KR 1020000063484 A KR1020000063484 A KR 1020000063484A KR 20000063484 A KR20000063484 A KR 20000063484A KR 100706043 B1 KR100706043 B1 KR 100706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sheet
surface area
density
region
fl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3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0196A (ko
Inventor
고다히로키
히사나카다카유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40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0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6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6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2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273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aper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273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aperture
    • Y10T428/24322Composite web or she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273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aperture
    • Y10T428/24322Composite web or sheet
    • Y10T428/24331Composite web or sheet including nonapertured compon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회용 착용 물품에 사용하는 촉감이 좋고, 체액이 신속하게 투과하는 가요성 복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회용 착용 물품에 사용하는 복합 시트(1)는 필름형 상층(2)과 섬유 집합체인 하층(3)으로 이루어진다. 상층(2)에는 평탄부(8)와 개공열(11)을 갖는 제1 면 영역(6)과, 오목한 제2 면 영역(7)이 형성된다. 하층(3)은 제1 면 영역(6)의 하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밀도보다 제2 면 영역(7)의 하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밀도가 높아지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일회용 착용 물품에 사용하는 가요성 복합 시트{FLEXIBLE COMPLEX SHEET FOR USE IN A DISPOSABLE WEARING ARTICLE}
도 1은 복합 시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II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III-III선 단면도.
도 4는 실시 형태예를 도시한 도 2와 동일한 도면.
도 5는 종래 기술의 플라스틱 시트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복합 시트
2: 상층
3: 하층
6: 제1 면 영역
7: 제2 면 영역
8: 평탄부
9: 개공
11: 개공열
12: 기립 부분
13, 31: 상면
14, 32: 하면
15: 골짜기 부분
본 발명은 일회용 착용 물품, 특히 일회용 기저귀나 생리대 등의 일회용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에 사용하는 데 적합한 가요성 시트에 관한 것이다.
도 5는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소화62-57551호에 개시되어 있는 촉감이 유연한 미소 개구화 플라스틱 시트(110)의 사시도이다. 이 플라스틱 시트(110)는 일회용 기저귀의 표면 시트나 이면 시트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비교적 얇은 플라스틱 시트를 원판으로 하고, 메쉬 와이어 지지체에 실은 이 시트에 고압 액체 젯을 작용시킴으로써 제조된다.
개구화 플라스틱 시트(110)의 피부 접촉측의 표면에는 다수의 원통형 돌기(120)가 형성되고, 돌기(120)의 정상부에는 미소 개구부(125)와, 개구부(125) 둘레의 꽃잎형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시트(110)는 유연하여 직물 같은 촉감을 나타내고, 무광택 외관을 갖는다고 설명되어 있다.
상기 공지의 플라스틱 시트(110)를, 예컨대 일회용 기저귀의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로서 사용하면, 원통형 돌기(120)와, 돌기(120) 정상부의 꽃잎형부에 의해 직물 같은 촉감을 얻을 수 있지만, 개구부(125)는 돌기(120)의 정상부에 형성되어 있어서, 표면 시트상에 배설된 체액은 그 돌기가 장해가 되어 개구부(125)로 신속하게 유입되기가 어렵다. 또한, 통상의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표면 시트의 하면측에 액체 흡수성 코어를 배치하거나, 상기 플라스틱 시트(110)의 개구부(125)는 돌기(120)의 높이만큼 액체 흡수성 코어로부터 이격되어 있어서, 체액이 액체 흡수성 코어에 의해 신속하게 흡수되기도 어렵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 공지된 바와 같은 유연한 촉감을 갖는 가요성 시트에 있어서, 체액의 신속한 투과를 가능하게 하는 데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것은 일회용 착용 물품에 사용하는 상하 2층으로 이루어진 가요성 복합 시트이다.
이러한 복합 시트에 있어서, 본 발명이 특징으로 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즉, 상기 복합 시트의 상층은 열가요성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필름형의 것으로 제1 면 영역과 제2 면 영역을 갖는다. 상기 제1 면 영역은 상면 및 하면과 0.001∼0.05 mm의 두께를 이루며 한쪽 방향으로 서로 병행하여 연장되는 폭 0.03∼1 mm의 복수 줄의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과, 인접하는 상기 평탄한 부분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한쪽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병행하는 0.03∼1 mm의 폭과 상기 폭의 1.5배 이상의 길이를 갖는 다수의 개공으로 형성된 복수 줄의 개공열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평탄한 부분과 개공열은 상기 한쪽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교대로 반복하고, 상기 개공열을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상기 평탄한 부분끼리는 상기 평탄한 부분의 쌍방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개공열을 횡단하는 복수의 가교 부분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평탄한 부분은 상기 개공의 둘레를 형성하고 있는 부위중에서 적어도 상기 한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위에, 대체로 톱니 형상의 기복을 반복하면서 평탄한 부분의 상면으로부터 상승하는 다수의 기립 부분과, 상기 한쪽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기립 부분끼리의 사이에 형성되는 골짜기 부분을 갖고 있다. 상기 제2 면 영역은 상기 평탄한 부분의 상면에서 하면으로 향하는 방향으로의 오목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면으로부터의 깊이가 0.1 mm 이상이다. 상기 복합 시트의 하층은 상기 상층에 대하여 상기 제1 및 제2 면 영역 중 적어도 제2 면 영역의 하면에 접합하는 거의 동일한 평량을 갖는 섬유 집합체로서, 열가소성 합성 섬유를 30 중량% 이상 포함하고, 상기 제1 면 영역의 하측 부분에 있어서의 밀도보다 상기 제2 면 영역의 하측 부분에 있어서의 밀도가 높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는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가 있다.
(1) 상기 하층의 밀도가 상기 제1 면 영역의 하측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2 면 영역의 하측 부분으로 향하여 점차로 높아지는 형태.
(2) 상기 하층에 있어서, 상기 제1 면 영역의 하측 부분의 밀도가 0.01∼0.3 g/cm3, 상기 제2 면 영역의 하측 부분의 밀도가 0.05∼0.9 g/cm3의 범위에 있는 형태.
(3) 상기 하층의 평량이 5∼100 g/m2인 형태.
(4) 상기 하층의 섬유 집합체가 섬도 0.1∼15 d의 열가소성 합성 섬유로 형 성되어 있는 형태.
(5) 상기 제1 면 영역에 있어서, 상기 개공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이 1∼50%인 형태.
(6) 상기 톱니 형상의 기복은 상기 평탄한 부분의 상면으로부터 높이 1 mm 이내의 범위에서 반복되고 있는 형태.
(7) 인접하는 상기 제2 면 영역끼리가 2 mm 이상 이격되어 있는 형태.
(8) 제2 면 영역이, 상기 제1 면 영역이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을 형성하고 있는 형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착용 물품에 사용하는 가요성 복합 시트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사시도로 도시된 복합 시트(1)는 상층(2)과 하층(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층(2)은 열가소성 합성 수지 필름을 가공한 것으로, 제1 면 영역(6)과 제2 면 영역(7)을 갖는다. 제1 면 영역(6)은 쌍방향 화살표 Y 방향으로 서로 병행하여 연장되는 복수 줄의 평탄 부분(8)과, 다수의 개공(9)이 화살표 Y 방향으로 서로 병행하여 연장됨으로써 형성된 복수 줄의 개공열(11)을 갖는다.
평탄 부분(8)은 상면(13)과 하면(14)을 가지며, 화살표 Y 방향과 직교하는 화살표 X 방향으로 인접하는 평탄 부분(8)과 평탄 부분(8) 사이에 개공(9)이 위치하고 있다. 개공열(11)에 있어서, 화살표 Y 방향으로 인접하는 개공(9)과 개공(9) 사이에는 평탄 부분(8)끼리를 잇는 가교 부분(10)이 형성되어 있다. 개공(9)을 따 라 화살표 Y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탄 부분(8)의 가장자리에는 그 상면(13)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화살표 Y 방향으로 반복하는 기립 부분(12)이 형성되고, 화살표 Y 방향으로 인접하는 기립 부분(12)끼리의 사이에는 골짜기 부분(15)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면 영역(7)은 평탄 부분(8)의 상면(13)에서 하면(14)으로 향하는 방향의 오목부(71)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오목부(71)는 역원기둥형을 나타내고, 평탄 부분(8)으로 이어지는 측벽부(72)와, 측벽부(72)로 이어지는 저부(73)를 갖는다. 측벽부(72)와 저부(73)는 상면(76)과 하면(77)을 가지며, 이들 양 부분(72, 73)에는 개공(9)이 제1 면 영역(6)으로부터 연장되어 나오고 있는 경우가 있다.
하층(3)은 거의 동일한 평량을 갖는 섬유 집합체로서, 상면(31)과 하면(32)을 갖는다. 상면(31)은 상층(2)의 제1, 제2 면 영역(6, 7) 각각의 하면(14)과 하면(77)중의 적어도 제2 면 영역(7)의 하면(77)에 접합하고, 하면(32)은 그 반대측에 있어 대강 평탄하다. 이러한 하층(3)은 열가소성 합성 섬유를 30 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중량% 포함하고, 상층(2)의 하면(77)에 용착 또는 접착에 의해 접합하고 있다.
도 2, 도 3은 도 1의 II-II선 및 III-III선 단면도이다. 시트(1)의 평탄 부분(8)은 두께가 0.001∼0.05 mm이며, 화살표 X 방향으로 인접하는 개공(9)과 개공(9) 사이의 폭(W1)은 0.03∼1 mm의 범위에 있다. 개공(9)은 화살표 X 방향의 폭(W2)인 0.03∼1 mm의 범위에 있고, Y 방향의 길이는 폭(W2)의 1.5배 이상이다. 개공열(11)을 횡단하는 가교 부분(10)은 화살표 Y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평탄 부분(8)의 상면(13)으로부터 상측 또는 하측을 향하여 둥글게 호를 그리고 있는 것(10A)과, 부분(8)과 같이 평탄한 것(10B: 도 1 참조)이 있다. 바람직한 가교 부분(10)은 화살표 Y 방향의 폭(W3)이 가장 좁은 부분으로 0.001∼2 mm의 범위에 있다.
기립 부분(12)은 개공(9)의 가장자리에서 평탄 부분(8)의 일부분이 상면(13)의 상측으로 향하도록 절곡(折曲)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평탄 부분(8)으로 이어지는 기단부(基端部)(16)와, 기단부(16)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자유 단부(17)를 갖는다. 자유 단부(17)의 상부 가장자리(17A)는 화살표 Y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탄 부분(8)의 가장자리(18)를 따라 기복을 반복하고, 화살표 Y 방향으로 인접하는 기립 부분(12)과 기립 부분(12) 사이에 골짜기 부분(15)을 형성하고 있다. 평탄 부분(8)의 상면(13)으로부터 기립 부분(12)의 상부 가장자리(17A)까지의 높이(H)는 1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가장자리(17A)가 기복을 반복하는 형태의 일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의 우측으로 올라가도록 연장되는 사변(21)과, 거의 좌측으로 올라가도록 연장되는 사변(22)과, 이들 사변(21, 22) 사이에 연장되는 기단부(16)에 의해 형성되는 거의 삼각형을 이루는 부위(23)가 반복된다. 기립 부분(12)의 두께는 평탄 부분(8)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또는 그것보다 얇고, 피부에 닿았을 때 기립 부분(12)은 부드럽게 변형하여 시트(1)의 표면에 벨벳과 같이 원활하고 유연한 촉감을 부여할 수 있다.
상층(2)의 제2 면 영역(7)은 제1 면 영역(6)이 국소적으로 상면(13)에서 하 면(14)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2 면 영역(7)이 상면(13)으로부터 오목해지는 깊이는 0.1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면 영역(7)의 평면 형상으로는,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은 원형 이외에 타원형이나 다각형 등이 있고, 이들 형상은 내접원의 직경이 가장 큰 경우에 5 mm이다. 인접하는 제2 면 영역(7)끼리는 2 mm 이상 이격되어 있다. 제2 면 영역(7)이 시트(1)에서 차지하는 면적 비율은 10∼50%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층(3)은 5∼20 g/m2의 평량을 가지며, 시트(1)의 전체에 걸쳐 그 평량은 거의 같다. 하층(3)은 열가소성 합성 섬유를 30 중량% 이상 포함하고, 그 이외에 레이온 섬유 등의 화학 섬유, 면 섬유나 펄프 섬유 등의 천연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하층(3)은 열가소성 합성 섬유 또는 열가소성 합성 섬유와 기타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이다. 열가소성 합성 섬유는 0.11 Dtex∼16.5 Dtex의 섬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섬유에는 멜트 블로우 섬유도 포함된다.
이 하층(3)은 상층(2)의 제1 면 영역(6)의 하면(14)과 제2 면 영역(7)의 하면(14) 중 적어도 후자의 하면(14)에 용착 또는 접착에 의해 접합하고, 상층(2)의 개공(9)으로부터는 하층(3)이 제외되고 있다. 하층(3)은 제1 면 영역(6)보다 제2 면 영역(7)의 하측에 복합 시트(1)의 두께 방향으로 강하게 압축된 상태이고, 제1 면 영역(6)에서 제2 면 영역(7)으로 향하여 밀도가 점차로 높아지며, 제2 면 영역(7)의 저부(73)의 하측에서 밀도가 가장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층(2)의 제1 면 영역(6)과 그 하측에 위치하는 하층(3)을 포함하는 복합 시트(1)의 밀도(d1)는 0.01∼0.3 g/cm3, 보다 바람직하게는 0.03∼0.15 g/cm3의 범위에 있고, 상층(2)의 제2 면 영역(7)과 그 하측에 위치하는 하층(3)을 포함하는 복합 시트(1)의 밀도(d2)는 0.05∼0.9 g/cm3, 보다 바람직하게는 0.1∼O.5 g/cm3의 범위에 있지만, 밀도(d2)는 밀도(d1)보다 항상 높고, 바람직하게는 밀도(d1)의 1.2배 이상의 값을 갖는다.
이러한 하층(3)의 섬유는 복합 시트(1)의 용도에 따라 다르지만, 친수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소수성의 열가소성 합성 섬유를 친수화 처리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복합 시트(1)가 일회용 기저귀나 생리대 등의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의 액체 투과성 표면재로서 사용되면, 뇨 등의 배설액이 평탄 부분(8)에서는 화살표 Y 방향으로 인접하는 기립 부분(12)과 기립 부분(12) 사이의 골짜기 부분(15)을 통과하여 개공(9)으로 흐른다. 예컨대, 도 1에 있어서, 배설액이 화살표 F와 같이 개공(9)으로 유입되어 하층(3)으로 흡수된다. 하층(3)에서는, 제1 면 영역(6)에서 제2 면 영역(7)으로 향하여 섬유끼리가 점차로 접근하여 하층(3)의 밀도가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배설액은 그 밀도가 높은 제2 면 영역(7)의 하측으로, 즉 하층(3)의 상면(31)에서 하면(32) 방향으로 이행하기 쉽다. 상기 착용 물품에서는, 통상 표면재의 바로 아래에 액체 흡수성 코어가 배치되므로, 하층(3)의 하면(32) 근방으로 이행한 배설액은 그 코어로 신속하게 흡수된다. 복 합 시트(1)에 있어서 제2 면 영역(7)은 오목부이고, 여기로 유입된 배설액은 제2 면 영역(7)에 형성되어 있는 개공(9)에서 하층(3)으로 이행한다. 또한, 그 제2 면 영역(7)이 얕을 때에는 배설액이 제2 면 영역(7)으로부터 용이하게 흘러 나와 제1 면 영역(6)의 개공(9)으로 유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작용하는 복합 시트(1)는 상층(2)에 다수의 기립부(12)가 존재함으로써 유연하여 직물 같은 촉감을 가지므로, 이것을 통기성 또는 통기 액체 투과성을 필요로 하는 일회용 의료용 가운 등의 착용 물품의 표면재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일례를 도시한 도 2와 동일한 도면이다. 도시된 복합 시트(1)에서는, 각각의 제2 면 영역(7)이 화살표 Y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을 형성하고 있고, 제1 면 영역(6)과 연관된 제2 면 영역(7)이 교대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다. 제2 면 영역(7)이 복합 시트(1)에서 차지하는 면적 비율은 1∼5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40%이며, 제1 면 영역(6)의 평탄부(8)로부터의 깊이는 0.1 mm 이상이다. 제2 면 영역(7)의 폭(W4)은 0.2∼5 mm의 범위에 있고, 인접하는 제2 면 영역(7)끼리는 2 mm 이상 이격되어 있다. 제2 면 영역(7)으로는 측벽부(72)와 저부(73)에 개공(9)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의 제2 면 영역(7A)과, 개공(9)이 거의 또는 전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제2 면 영역(7B)이 있다. 또한, 제2 면 영역(7A)의 개공(9)에는 기립부(12)가 존재하는 경우와, 거의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하층(3)은 도 2와 마찬가지로 제1 면 영역(6)의 하측에서는 밀도가 낮고, 제2 면 영역(7)의 하측에서는 밀도가 높다. 이러한 복합 시트(1)는 제2 면 영역(7)의 존재에 의해 화살표 Y 방향의 굽힘 강성이 화살표 X 방향보다 높아지므로, 이것을 생리대의 표면 시트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화살표 Y 방향을 생리대의 길이 방향에 일치시키면, 생리대가 폭 방향에 있어서 만곡하기 쉬운 것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 4와 같이 홈을 형성하고 있는 제2 면 영역(7)은 화살표 Y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즉, 제1 면 영역(6)이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그러한 경우의 복합 시트(1)는 제2 면 영역(7)이 연장되는 방향의 굽힘 강성이 특히 높아진다. 또한, 홈을 형성하고 있는 복수 줄의 제2 면 영역(7)은 서로 교차하여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시트는 상층이 필름형의 열가소성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지만, 그 상층에 형성된 다수의 미세한 기립부의 존재에 의해 유연하여 직물 같은 촉감을 갖는다. 이 복합 시트가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의 표면재로서 사용되면, 상층에 배설된 체액이 기립부와 기립부 사이의 골짜기부를 통과하여 상층의 개공으로 용이하게 유입되고, 하층의 섬유 집합체에 흡수된다. 하층에서는, 제1 면 영역의 하측에 위치하는 부분에서 제2 면 영역의 하측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향하여 밀도가 점차로 높아지고, 하층의 하면 근방에서 밀도가 가장 높아지므로, 하층으로 흡수된 체액은 물품 착용자의 피부에서 멀어지도록 그 하면쪽으로 이행하기 쉽다.
그렇기 때문에, 이 복합 시트를 액체 투과성 표면재로서 사용한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은 촉감이 좋을 뿐만 아니라, 그 표면재 위에 배설된 체액이 신속하게 흡수되어 피부에서 멀어지게 되어 물품 착용자에게 습윤감을 주지 않는다.

Claims (9)

  1. 일회용 착용 물품에 사용하는 상하 2층으로 이루어진 가요성 복합 시트로서,
    상기 복합 시트의 상층은 열가소성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필름형의 것으로, 제1 면 영역과 제2 면 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1 면 영역은 상면 및 하면과 0.001∼0.05 mm의 두께를 이루며 한쪽 방향으로 서로 병행하여 연장되는 폭 0.03∼1 mm의 복수 줄의 실질적으로 평탄한 부분과, 인접하는 상기 평탄한 부분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한쪽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배열되는 0.03∼1 mm의 폭과 상기 폭의 1.5배 이상의 길이를 갖는 다수의 개공으로 형성된 복수 줄의 개공열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평탄한 부분과 개공열이 상기 한쪽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교대로 반복하여, 상기 개공열을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상기 평탄한 부분끼리가 상기 평탄한 부분의 쌍방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개공열을 횡단하는 복수의 가교 부분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평탄한 부분은 상기 개공의 둘레를 형성하고 있는 부위중에서 적어도 상기 한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위에 대체로 톱니 형상의 기복을 반복하면서 평탄한 부분의 상면으로부터 상승하는 다수의 기립 부분과, 상기 한쪽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기립 부분끼리의 사이에 형성되는 골짜기 부분을 갖고 있고,
    상기 제2 면 영역은 상기 한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면으로부터의 깊이가 0.1 mm 이상이며,
    상기 복합 시트의 하층은 상기 상층에 대하여 상기 제1 및 제2 면 영역 중 적어도 제2 면 영역의 하면에 접합하는 거의 동일한 평량을 갖는 섬유 집합체로서, 열가소성 합성 섬유를 30 중량% 이상 포함하고, 상기 제1 면 영역의 하측 부분에 있어서의 밀도보다 상기 제2 면 영역의 하측 부분에 있어서의 밀도가 높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층의 밀도가 상기 제1 면 영역의 하측 부분에서 상기 제2 면 영역의 하측 부분으로 갈수록 점차 높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층에서, 상기 제1 면 영역의 하측 부분의 밀도는 0.01∼0.3 g/cm3의 범위에 있고, 상기 제2 면 영역의 하측 부분의 밀도는 0.05∼0.9 g/cm3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시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층의 평량은 5∼100 g/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시트.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층의 섬유 집합체는 섬도 0.1∼15 d인 열가소성 합성 섬유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시트.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 영역에서 상기 개공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이 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시트.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 영역의 기복은 상기 평탄한 부분의 상면으로부터 높이 1 mm 이내의 범위에서 반복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시트.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제2 면 영역끼리는 2 mm 이상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시트.
  9. 삭제
KR1020000063484A 1999-10-29 2000-10-27 일회용 착용 물품에 사용하는 가요성 복합 시트 KR1007060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0905399A JP3576052B2 (ja) 1999-10-29 1999-10-29 使い捨て着用物品に使用する可撓性複合シート
JP99-309053 1999-10-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0196A KR20010040196A (ko) 2001-05-15
KR100706043B1 true KR100706043B1 (ko) 2007-04-13

Family

ID=17988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3484A KR100706043B1 (ko) 1999-10-29 2000-10-27 일회용 착용 물품에 사용하는 가요성 복합 시트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503598B1 (ko)
EP (1) EP1095645A3 (ko)
JP (1) JP3576052B2 (ko)
KR (1) KR100706043B1 (ko)
CN (1) CN1213711C (ko)
AU (1) AU765968B2 (ko)
BR (1) BR0005292B1 (ko)
CA (1) CA2323758C (ko)
ID (1) ID27954A (ko)
MY (1) MY122494A (ko)
SG (1) SG92750A1 (ko)
TW (1) TW51206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1432B2 (ja) * 2000-08-28 2006-04-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体液吸収性着用物品
JP4965777B2 (ja) * 2001-07-25 2012-07-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弾性複合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7132585B2 (en) * 2002-12-05 2006-11-07 Uni-Charm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with liquid acquisition layer
US7655176B2 (en) * 2002-12-20 2010-02-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making a polymeric web exhibiting a soft and silky tactile impression
US20040121120A1 (en) * 2002-12-20 2004-06-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aratus for making a polymeric web exhibiting a soft and silky tactile impression
US7402723B2 (en) * 2002-12-20 2008-07-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olymeric web exhibiting a soft and silky tactile impression
US8057729B2 (en) * 2002-12-20 2011-11-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making a forming structure
US9545744B2 (en) 2002-12-20 2017-01-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aratus for making polymeric web exhibiting a soft and silky tactile impression
US20040230184A1 (en) * 2003-05-01 2004-11-18 Babusik Kimberly H. Multiple layer absorbent system
US8211815B2 (en) 2003-06-13 2012-07-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structure having three-dimensional topography on upper and lower surfaces
CN101022780B (zh) * 2004-09-24 2014-11-05 宝洁公司 快速染发的方法
US7803244B2 (en) 2006-08-31 2010-09-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Nonwoven composite containing an apertured elastic film
US8287677B2 (en) 2008-01-31 2012-10-1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rintable elastic composite
WO2009105000A1 (en) * 2008-02-19 2009-08-27 Sca Hygiene Products Ab Material web for use in an absorbent article
WO2009105001A1 (en) * 2008-02-19 2009-08-27 Sca Hygiene Products Ab Method for producing an apertured structure in a material web
US9044359B2 (en) 2008-04-29 2015-06-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absorbent particulate polymer material distributed for improved isolation of body exudates
US8603281B2 (en) * 2008-06-30 2013-12-1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lastic composite containing a low strength and lightweight nonwoven facing
US8679992B2 (en) * 2008-06-30 2014-03-2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lastic composite formed from multiple laminate structures
US8383227B2 (en) * 2010-01-28 2013-02-26 Tredegar Film Products Corporation Transfer layer for absorbent article
JP5843740B2 (ja) * 2012-02-29 2016-01-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03690313A (zh) * 2014-01-11 2014-04-02 福建恒安集团有限公司 一种一次性吸收物品面层材料
WO2018000410A1 (en) * 2016-07-01 2018-01-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improved topsheet dryness
JP7136768B2 (ja) * 2016-09-09 2022-09-13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三次元有孔基材
US10813797B2 (en) * 2017-06-22 2020-10-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aminate webs and absorbent articles hav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92629A2 (en) * 1996-02-29 1997-09-03 Uni-Charm Corporation Liquid-permeable topsheet for body exudates absorbent article,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EP0919212A2 (en) * 1997-11-26 1999-06-02 Uni-Charm Corporation Apertured web for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and method for mak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88003A (en) 1955-06-06 1957-04-09 Chicopee Mfg Corp Disposable absorbent pad
US4629643A (en) 1985-05-31 1986-12-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icroapertured polymeric web exhibiting soft and silky tactile impression
US4637819A (en) 1985-05-31 1987-01-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acroscopically expanded three-dimensional polymeric web for transmitting both dynamically deposited and statically contacted fluids from one surface to the other
GB8906100D0 (en) * 1989-03-16 1989-04-26 Smith & Nephew Laminates
EP0585792B1 (en) * 1992-09-04 1999-11-24 Agfa-Gevaert N.V. Process of recycling spent photographic developer and recycled photographic developer
JP3489140B2 (ja) 1993-07-08 2004-01-19 チッソ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3215262B2 (ja) * 1994-06-03 2001-10-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体液吸収性物品
DE4437165A1 (de) * 1994-10-18 1996-04-25 Hpp & C Marketing Consultants Unidirektional flüssigkeitsdurchlässige Bahn
SE508040C2 (sv) * 1994-11-09 1998-08-17 Moelnlycke Ab Yttre skikt för en absorberande artikel samt metodför dess tillverkning
BR9610264A (pt) * 1995-09-01 1999-07-06 Mcneil Ppc Inc Produtos absorventes
SE507050C2 (sv) * 1996-04-30 1998-03-23 Moelnlycke Ab Höljesskikt för absorberande artiklar uppvisande vågform och innefattande vinkelrätt mot vågorna löpande rader av genomgående öppningar samt förfarande för tillverkning av skiktet
JP3587677B2 (ja) * 1998-03-26 2004-11-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体液吸収性物品の透液性表面シート
JP3595456B2 (ja) * 1999-02-05 2004-12-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の可撓性シー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92629A2 (en) * 1996-02-29 1997-09-03 Uni-Charm Corporation Liquid-permeable topsheet for body exudates absorbent article,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EP0919212A2 (en) * 1997-11-26 1999-06-02 Uni-Charm Corporation Apertured web for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and method for mak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23758C (en) 2006-01-31
BR0005292A (pt) 2001-06-12
SG92750A1 (en) 2002-11-19
TW512060B (en) 2002-12-01
CA2323758A1 (en) 2001-04-29
CN1213711C (zh) 2005-08-10
AU6668700A (en) 2001-05-03
ID27954A (id) 2001-05-03
MY122494A (en) 2006-04-29
EP1095645A3 (en) 2004-06-16
CN1297724A (zh) 2001-06-06
EP1095645A2 (en) 2001-05-02
BR0005292B1 (pt) 2009-05-05
JP2001120596A (ja) 2001-05-08
JP3576052B2 (ja) 2004-10-13
KR20010040196A (ko) 2001-05-15
US6503598B1 (en) 2003-01-07
AU765968B2 (en) 2003-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6043B1 (ko) 일회용 착용 물품에 사용하는 가요성 복합 시트
KR100673913B1 (ko) 일회용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
KR100669117B1 (ko) 일회용 착용 물품의 가요성 시트
KR100669120B1 (ko) 일회용 착용 물품의 가요성 시트
KR100587541B1 (ko) 생리용 냅킨
KR100453788B1 (ko) 일회용체액흡수성물품
KR100590456B1 (ko) 체액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이트
US7842019B2 (en) Absorbent product
KR100658465B1 (ko) 일회용 체액 처리용 흡수성 물품
KR20000005861A (ko) 체액흡수성물품
JP2006255051A (ja)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
KR19990083328A (ko) 흡수성물품
JP3484037B2 (ja) 使い捨て体液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
JPH07328060A (ja) 使い捨ての体液吸収性物品
JP2963289B2 (ja) 体液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
JP3744759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に使用する可撓性シート
JP3288919B2 (ja) 体液吸収性物品の透液性表面シート
KR100710653B1 (ko) 흡수성 물품
JP4535934B2 (ja)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
KR19980081545A (ko) 체액 처리용 흡수성 물품
TWI841785B (zh) 吸收性物品
JP6361519B2 (ja) 吸収性物品のトップシート
JPH09308649A (ja) 使い捨ての体液吸収性物品
JPH10112U (ja) 体液処理物品の透液性表面シート
JPH04114647A (ja) 衛生用品の表面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