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6020B1 - 광수신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광수신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6020B1
KR100706020B1 KR1020060014912A KR20060014912A KR100706020B1 KR 100706020 B1 KR100706020 B1 KR 100706020B1 KR 1020060014912 A KR1020060014912 A KR 1020060014912A KR 20060014912 A KR20060014912 A KR 20060014912A KR 100706020 B1 KR100706020 B1 KR 100706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oltage
current
voltage signal
slew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4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길수
김수원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60014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60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6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6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60Receivers
    • H04B10/66Non-coherent receivers, e.g. using direct detection
    • H04B10/69Electrical arrangements in the receiver
    • H04B10/691Arrangements for optimizing the photodetector in the receiver
    • H04B10/6911Photodiode bias control, e.g. for compensating temperature vari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광수신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수신되는 광 신호에 대응하는 전류신호를 생성하는 광검출부, 상기 광검출부에 의해 생성된 전류신호를 전압신호로 변환하는 전류전압변환부 및 상기 전압신호의 크기 변화량에 비례하는 크기의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전압신호의 슬루율을 소정의 슬루율 이하로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전압신호를 출력하는 슬루율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신된 광신호에 대해 자동 전류 제어를 이용하여 슬루율이 일정한 전압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수신된 광신호의 크기 및 연속성에 관계없이 일정한 펄스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고성능 오디오 규격을 만족시킬 수 있으며, 유효면적과 전력소모 또한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비트 에러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광수신 장치 및 그 방법 {Apparatus for receiving optical signal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상세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2의 회로도이다.
도 4a는 도 2의 전류전압 변환부의 일 예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4b는 도 2의 슬루율 제어부의 일 예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압신호들의 타이밍도이다.
도 8은 종래의 광수신 장치에 따라 생성된 펄스신호 및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된 펄스신호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광 수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 전류 제어를 이용한 광수신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까지 프린터와 인터넷의 사용에 국한되었던 홈 네트워크 분야는 유비쿼터스 네트워크의 빠른 성장으로 TV, 오디오, 비디오 간의 실시간 통신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홈 네트워크 분야로 꾸준히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홈 네트워크의 구축은 크게 유선과 무선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이 중 광 링크(Optical link)는 전선(Electrical wire)에 비해 부피가 작고 가벼우며, 전송 손실이 작아 전송대역폭에 관계없이 많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 일반가정(IEEE 1394), 자동차(MOST: media oriented system transports) 및 사무실 네트워크를 구축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한편, 광 링크(Optical link)를 휴대전화나 MP3 플레이어 등 휴대형 기기 및 의료용 기기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각 부품들의 경박.단소화 및 저 전력 구현이 핵심 기술이 된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광 송. 수신기들은 대부분 BJT 공정을 이용하여 구현되었기 때문에 CMOS 공정을 이용한 것에 비해 큰 면적을 차지하며 전력 소모도 크다. 또한 기존의 광 송. 수신기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고성능 오디오 규격인 DVD-Audio(96㎑, 24bit, Multi-Channel)와 SACD(2822.4㎑, 1bit, Multi-Channel)에서 요구하는 Data Rate에 미치지 못한다.
디지털 오디오 기기분야와 산업 분야에서는 DC(연속 적인 “0” 또는 “1”)와 AC 데이터를 모두 복원할 수 있으며, 폭넓은 동적 범위(dynamic range)의 여러 디지털 입력 신호를 복원할 수 있는 광수신 장치의 설계가 요구된다. 종래의 광수신장치는 시스템이 요구하는 폭 넓은 동적 범위와 민감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AGC(automatic gain control) 기법이나 ATC(automatic threshold control) 기법 등 을 사용하여 구현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광수신 장치는 정확한 기준 전압 생성을 위해 커다란 커패시터를 요구하며, 광송신 장치로부터 연속적인 데이터를 수신할 때, 심각한 펄스폭 디스토션(Pulse width distortion)을 발생시키고, 이에 따라 비트 에러율(BER)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광신호의 세기 및 연속성에 무관하게 광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신호의 슬루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광수신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의 광수신 장치에 적용된 광수신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신되는 광 신호에 대응하는 전류신호를 생성하는 광검출부,
상기 광검출부에 의해 생성된 전류신호를 전압신호로 변환하는 전류전압변환부 및
상기 전압신호의 크기 변화량에 비례하는 크기의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전압신호의 슬루율을 소정의 슬루율 이하로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전압신호를 출력하는 슬루율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신되는 광 신호에 대응하는 전류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전류신호를 전압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전압신호의 크기 변화량에 비례하는 크기의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전압신호의 슬루율을 소정의 슬루율 이하로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전압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블럭도이다.
광검출부(100)는 수신되는 광 신호에 대응하는 전류신호를 생성한다. 바람직하게는, 광검출부(100)는 포토 다이오드(photo diode)를 포함한다.
포토다이오드는 광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광센서의 일종이며 그 구성은 반도체의 P-N 정션(접합부)에 광검출 기능을 추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빛과 물질 사이에는 물리적 상호 작용이 있으며 물질이 광자(광에너지)를 흡수하고 그 결과 전자를 방출하는 현상을 광전 효과라 부르는데, 광전 효과의 결과 반도체의 접합부에 전압이 나타나는 현상을 광기전력 효과라 부른다. 광자가 결정 내의 전자를 들뜨게 하여 광기전력이 나타난다.
입사광 에너지가 밴드갭 에너지(Eg)보다 크면 전자는 도전대에 끌어올려져 원래의 가전자대에 정공(홀)을 남긴다. 이 현상은 소자내의 P층, 공핍층, N층의 어느 곳에서도 발생하고 공핍층 속에서는 전기장의 작용에 의해 전자는 N층으로, 발생한 전기 에너지의 전자는 P층에서 이동하여 온 전자와 함께 N층 도전대에 집결한다. 즉, 포토다이오드 내에서는 입사광에 비례하여 P층에서는 플러스로, N층에서는 마이너스로 대전하여 일종의 발전기를 구성하게 된다.
전류전압변환부(110)는 광검출부(100)에 의해 생성된 전류신호를 전압신호로 변환한다. 바람직하게는, 전류전압변환부(110)는 트랜스 임피던스 증폭기(Trans Impedance Amplifier)를 포함한다.
슬루율 제어부(130)는 전압신호의 크기 변화량에 비례하는 크기의 전류를 이용하여 전압신호의 슬루율을 소정의 슬루율 이하로 변경한다. 이때, 소정의 슬루율은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임의로 정할 수 있는 값이다.
이에 따라, 수신되는 광신호의 크기 및 연속성에 무관하게 생성하는 전압신호의 슬루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슬루율 제어부(130)는 슬루율이 변경된 전압신호를 출력한다.
도 2는 도 1의 상세 블럭도이다.
광검출부(200)는 수신되는 광 신호에 대응하는 전류신호를 생성한다. 바람직하게는, 광검출부(200)는 포토 다이오드(photo diode)를 포함한다.
전류전압변환부(210)는 광검출부(200)에 의해 생성된 전류신호를 전압신호로 변환한다. 바람직하게는, 전류전압변환부(210)는 트랜스 임피던스 증폭기(Trans Impedance Amplifier)를 포함한다.
전류전압변환부(210)는 광수신 장치 전체의 동작속도(speed), 민감도(sensitivity), 신호 대 잡음비(signal-to-noise ratio)를 결정짓는 중요한 블럭이다.
바람직하게는, 전류전압변환부(210)는 공통 게이트(Common Gate, CG) 타입으 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류전압변환부(210)는 공통 드레인(Common Drain, CG)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류전압변환부(210)는 공통 소스(Common Source, CS)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공통 게이트(Common Gate, CG) 타입은 광검출부(200)의 전류신호를 수신하는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가 고정전압원에 연결된 형태를 의미한다.
이때, 공통 드레인(Common Drain, CG) 타입은 광검출부(200)의 전류신호를 수신하는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가 고정전압원에 연결된 형태를 의미한다.
이때, 공통 소스(Common Source, CS) 타입은 광검출부(200)의 전류신호를 수신하는 트랜지스터의 소스 단자가 고정전압원에 연결된 형태를 의미한다.
공통 게이트 타입 및 공통 드레인 타입은 공통 소스 타입에 비해 작은 전류 구동 능력(
Figure 112006011280068-pat00001
)을 갖기 때문에, 잡음(noise) 성능과 안정성(stability) 면에서는 공통 소스 타입이 유리한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광검출부(200)가 광 신호를 수신할 경우, 200nA~ 2000nA 의 역방향 광 전류를 생성하고, 광 신호를 수신하지 않을 경우에는 1nA의 암 전류를 생성한다고 가정할 때, 폭넓은 동적 범위(dynamic range)를 얻기 위해서는 전류 구동 능력이 우수한 공통 소스 타입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전류전압변환부(210)는 복수의 전기장 효과 트랜지스터들을 이용하여 광 검출부(200)에 의한 전류신호를 전압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제1차동증폭부(220)는 전류전압변환부(210)의 전압신호를 차동 신호 형태로 변환하여 슬루율 제어부(230)로 출력한다. 이때, 출력되는 두 신호(V+, V-)의 차이가 입력되는 전압신호와 정비례하는 경우의 출력되는 두 신호(V+, V-)가 차동 신호 형태의 전압신호이다.
제1차동증폭부(220)를 포함하는 이유는 슬루율 제어부(230)가 차동증폭기를 이용하여 슬루율을 제어하는 경우에 필요한 두 입력 신호(V+, V-)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슬루율 제어부(230)는 전압신호의 크기 변화량에 비례하는 크기의 전류를 이용하여 전압신호의 슬루율을 소정의 슬루율 이하로 변경한다.
이때, 소정의 슬루율은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임의로 정할 수 있는 값이다. 또한, 슬루율 제어부(230)는 슬루율이 변경된 전압신호를 출력한다.
비교부(240)는 슬루율 제어부(230)에서 출력된 전압 신호의 크기가 소정의 기준 전압보다 큰 구간 동안 펄스 신호를 생성한다.
도 3은 도2의 회로도이다.
광검출부(300)는 포토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다이오드로 구성된다.
전류전압변환부(310)는 저항(RF)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전류신호에 비례하는 전압신호를 생성한다.
제1차동증폭부(320)는 전압신호의 크기에 정비례하는 두개의 신호(V+, V-)를 생성한다.
슬루율 제어부(330) 제1차동증폭부(320)에서 생성된 신호(V+, V-)를 이용하여 전압신호의 슬루율을 일정한 수준으로 변경한다.
또한, 슬루율 제어부(330)는 슬루율이 변경된 전압신호를 차동신호의 형태가 아닌 단일 극성의 신호 형태로 출력한다.
비교부(340)는 OP 앰프를 포함하고, 슬루율 제어부(330)에서 출력된 전압 신호 및 미리 설정된 소정의 기준 전압(Vref)을 OP 앰프의 입력으로 한다.
또한, 비교부(340)는 전압 신호의 크기와 소정의 기준 전압을 비교한다. 궤환을 구비하지 않은 OP 앰프에서, 두 입력 중 어느 하나의 입력이 수 mV 이상만 차이나면, OP 앰프의 출력은 전원(또는 그라운드) 전압으로 변경된다. 이에 따라, 비교부(340)는 펄스 신호(Vout)를 생성한다.
도 4a는 도 2의 전류전압 변환부(210)의 일 예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4a에서 광검출부(200)에서 생성된 전류신호(Iin)은 전류전압 변환부(210)의 입력 스테이지(410)로 입력된다.
전류신호(Iin)는 저항(RF)에 의해 전류신호(Iin)에 비례하는 전압신호로 변환되고, 변환된 전압신호는 이득 스테이지(411)의 입력 게이트 단자에 인가된다.
이득 스테이지(411)는 소스 팔로워들 및 전압 증폭기를 포함하고 있어서, 입력 스테이지(410)로부터 인가된 전압신호를 증폭시켜 출력한다. 이와 같이 출력된 전압신호가 Vout1 이다.
도 4b는 도 2의 슬루율 제어부(230)의 일 예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슬루율 제어부(230)는 제2차동증폭부(431) 및 바이어스 생성부(430)를 포함 한다.
제2차동증폭부(431) 및 바이어스 생성부(430)는 도 4b와 같이 복수의 전기장 효과 트랜지스터들을 이용하여 상기 전압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차동증폭부(431)는 차동신호 형태의 전압신호(V+, V-)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바이어스 생성부(430)는 전압신호의 크기 변화량에 비례하는 크기의 제어전압을 생성하고, 제어전압의 크기에 따라 제2차동증폭부(431)에 인가되는 바이어스 전류를 제어하여 전압신호의 슬루율을 변경한다.
또한, 바이어스 생성부(430)는 AC 커플링 커패시터와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전압신호의 변화량에 비례하는 제어전압을 생성한다.
제2차동증폭부(431)에 인가되는 바이어스 전류를 제어하기 위해, 바이어스 생성부(430)는 제2차동증폭부(431)의 트랜지스터들 중 부하에 해당하는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에 제어전압을 인가한다. 이때, 제어전압의 크기가 증가하면, 바이어스 전류도 증가하게 된다. 반대로, 제어전압의 크기가 감소하면, 바이어스 전류도 감소하게 된다.
제어전압과 바이어스 전류의 관계를 수식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트라이오드(triode) 영역에서, 부하에 해당하는 트랜지스터의 바이어스 전류는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06011280068-pat00002
이때, 제어전압의 크기가 변경되는 천이구간의 제어전압이
Figure 112006011280068-pat00003
이라고 가정하면, 이때의 바이어스 전류는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06011280068-pat00004
수학식 2를 천이구간 동안의 제어전압 변화량
Figure 112006011280068-pat00005
에 대해 정리하면 수학식 3과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06011280068-pat00006
이때,
Figure 112006011280068-pat00007
Figure 112006011280068-pat00008
에 해당하므로, 제어전압과 바이어스 전류는 서로 정비례함을 알 수 있다.
다음, 세튜레이션 영역에서, 부하에 해당하는 트랜지스터의 바이어스 전류는 수학식 4와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06011280068-pat00009
이때, 제어전압의 크기가 변경되는 천이구간의 제어전압이
Figure 112006011280068-pat00010
이라고 가정하면, 이때의 바이어스 전류는 수학식 5와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06011280068-pat00011
수학식 5를 천이구간 동안의 제어전압 변화량
Figure 112006011280068-pat00012
에 대해 정리하면 수학식 6과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06011280068-pat00013
이때,
Figure 112006011280068-pat00014
이므로, 수학식 6은 수학식 7과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06011280068-pat00015
이때,
Figure 112006011280068-pat00016
Figure 112006011280068-pat00017
에 해당하므로, 제어전압과 바이어스 전류는 서로 정비례함을 알 수 있다.
이를 종합해보면, 슬루율 제어부(230)에서 부하에 해당하는 트랜지스터는 선형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흐름도이다.
먼저, 수신되는 광 신호에 대응하는 전류신호를 생성한다(500 과정). 바람직하게는, 이 과정(500 과정)은 외부로부터 광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때, 광 신호는 임의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전류신호가 생성되면, 생성된 전류신호를 전압신호로 변환한다(510 과정).
마지막으로, 전압신호의 크기 변화량에 비례하는 크기의 전류를 이용하여 전압신호의 슬루율을 소정의 슬루율 이하로 변경하고, 변경된 전압신호를 출력한다(520 과정).
도 6은 도 5의 상세 흐름도이다.
먼저, 광신호에 대응하는 전류신호를 생성한다(600 과정). 바람직하게는, 이 과정(600 과정)은 포토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전류신호가 생성되면, 생성된 전류신호를 전압신호로 변환한다(610 과정).
다음, 전압신호의 크기 변화량에 따라 제어전압을 생성한다(620 과정).
제어전압이 생성되면, 제어전압에 따라 바이어스 전류를 조절함으로써, 전압신호의 슬루율을 변경하고, 슬루율이 변경된 전압신호를 출력한다(621 과정).
전압신호의 슬루율이 변경되면, 슬루율이 변경된 전압 신호에 대응하는 펄스 신호를 생성한다(630 과정). 이 과정(630 과정)은 위 과정(621 과정)에서 출력된 전압신호의 크기가 소정의 기준 전압보다 큰 구간 동안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압신호들의 타이밍도이다.
도 7에서, Vref는 모두 미리 설정된 소정의 기준전압이다. Vin은 광신호에 따라 생성된 전류신호를 전압신호로서, 전류전압변환부(110, 210)의 출력신호이다. 광신호의 세기가 강할수록(High power일수록) Vin의 크기가 커지고, 광신호의 세기가 약할수록(Low power일수록) Vin의 크기가 작아진다. 또한, Vinb는 Vin을 반전시킨 신호이다.
제1차동증폭부(220)는 Vin을 이용하여 두개의 신호 V+ 및 V-를 생성한다.
슬루율 제어부(230)의 바이어스 생성부는 위의 두 신호 V+ 및 V-를 이용하여 제어전압을 생성하는데, 이때의 제어전압의 변화량
Figure 112006011280068-pat00018
는 Vrectifier 이다.
슬루율 제어부(230)에서 출력되는 슬루율이 변경된 전압신호는 Vout2 이다.
비교부(240)에서 출력되는 펄스신호는 Vout 이다. 이때, 펄스신호 Vout은 광신호의 세기에 관계없이 일정한 펄스폭을 갖는다.
도 8은 종래의 광수신 장치에 따라 생성된 펄스신호 및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된 펄스신호를 도시한 것이다.
종래의 광수신 장치에 의하면 광신호의 세기에 따라 슬루율이 일정하지 않은 전압신호(Vin)를 생성한다. 따라서, 종래의 광수신 장치에 따라 생성된 펄스신호(800)는 펄스폭이 일정하지 않게 되는 펄스폭 디스토션 현상을 수반한다. 이에 따라 종래의 광수신 장치의 비트 에러율(BER) 성능이 저하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광신호의 세기와 무관하게 일정한 슬루율을 갖는 전압신호(Vout2)를 생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된 펄스신호(810)는 펄스폭이 일정하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광수신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를 통해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실행될 때, 본 발명의 구성 수단들은 필요한 작업을 실행하는 코드 세그먼트들이다. 프로그램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거나 전송 매체 또는 통신망에서 반송파와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 신호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수신된 광신호에 대해 자동 전류 제어 를 이용하여 슬루율이 일정한 전압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수신된 광신호의 크기 및 연속성에 관계없이 일정한 펄스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고성능 오디오 규격을 만족시킬 수 있으며, 유효면적과 전력소모 또한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비트 에러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수신되는 광 신호에 대응하는 전류신호를 생성하는 광검출부;
    상기 광검출부에 의해 생성된 전류신호를 전압신호로 변환하는 전류전압변환부;
    상기 전압신호의 크기 변화량에 비례하도록 부하에 해당하는 트랜지스터의 바이어스 전류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전압신호의 슬루율을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전압신호를 출력하는 슬루율 제어부; 및
    상기 슬루율 제어부에서 출력된 전압 신호의 크기가 소정의 기준 전압보다 큰 구간 동안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비교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수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전압변환부는
    복수의 전기장 효과 트랜지스터들을 이용하여 상기 전류신호를 전압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수신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전압변환부는
    상기 트랜지스터들 중 상기 전류신호를 입력받는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가 소정의 고정된 전압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수신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전압변환부는
    상기 트랜지스터들 중 상기 전류신호를 입력받는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가 소정의 고정된 전압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수신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전압변환부는
    상기 트랜지스터들 중 상기 전류신호를 입력받는 트랜지스터의 소스 단자가 소정의 고정된 전압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수신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전압변환부는
    상기 트랜지스터들 중 상기 전류신호를 입력받는 트랜지스터의 소스 단자가 소정의 고정된 전압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수신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전압변환부의 전압신호를 차동 신호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슬루율 제어부로 출력하는 제1차동증폭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수신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슬루율 제어부는
    상기 전압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2차동증폭부; 및
    상기 전압신호의 크기 변화량에 비례하는 크기의 제어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제어전압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2차동증폭부의 바이어스 전류를 제어하여 상기 전압신호의 슬루율을 변경하는 바이어스 생성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수신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차동증폭부는
    복수의 전기장 효과 트랜지스터들을 이용하여 상기 전압신호를 증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수신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생성부는
    상기 제2차동증폭부의 트랜지스터들 중 부하에 해당하는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에 상기 제어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수신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생성부는
    AC 커플링 커패시터와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상기 전압신호의 변화량에 비례하는 제어전압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수신 장치.
  12. 삭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는
    OP 앰프를 포함하고, 상기 슬루율 제어부에서 출력된 전압 신호 및 소정의 기준 전압을 상기 OP 앰프의 입력으로 하여 상기 전압 신호의 크기와 소정의 기준 전압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수신 장치.
  14. 수신되는 광 신호에 대응하는 전류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전류신호를 전압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전압신호의 크기 변화량에 비례하도록 부하에 해당하는 트랜지스터의 바이어스 전류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전압신호의 슬루율을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전압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된 전압신호의 크기가 소정의 기준 전압보다 큰 구간 동안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수신 방법.
  15. 삭제
  16. 제 14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60014912A 2006-02-16 2006-02-16 광수신 장치 및 그 방법 KR100706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4912A KR100706020B1 (ko) 2006-02-16 2006-02-16 광수신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4912A KR100706020B1 (ko) 2006-02-16 2006-02-16 광수신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6020B1 true KR100706020B1 (ko) 2007-04-12

Family

ID=38161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4912A KR100706020B1 (ko) 2006-02-16 2006-02-16 광수신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602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3222A (ja) * 1997-03-13 1998-11-24 Hitachi Ltd 光受信回路
JP2004274109A (ja) * 2003-03-05 2004-09-30 Sharp Corp 光受信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3222A (ja) * 1997-03-13 1998-11-24 Hitachi Ltd 光受信回路
JP2004274109A (ja) * 2003-03-05 2004-09-30 Sharp Corp 光受信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6091B1 (ko) 문턱 전압을 수렴시키는 광수신 장치, 이를 이용하는광수신 오디오 장치 및 광통신 장치
US6304357B1 (en) Optical receiver
JP5138990B2 (ja) 前置増幅器および光受信装置
CN101997499B (zh) 一种用于跨阻放大器的agc电路
JP6038165B2 (ja) 受信器および受信方法
US6359517B1 (en) Photodiode transimpedance circuit
US20100014875A1 (en) Optical receiver
JPH10200342A (ja) バイアス電圧供給回路
Aznar et al. A 0.18 μm CMOS transimpedance amplifier with 26 dB dynamic range at 2.5 Gb/s
US9559655B2 (en) Amplification circuit
US9479270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loss of signal detection
US11411542B2 (en) Transimpedance amplifier circuit
KR100706020B1 (ko) 광수신 장치 및 그 방법
US7064585B2 (en) Detecting peak signals
US20170054424A1 (en) Amplification circuit
JP2008167312A (ja) 光信号受信装置
JP4072232B2 (ja) 光受信回路
KR100751920B1 (ko) 광수신 장치
JP4083551B2 (ja) 前置増幅器
US20060145729A1 (en) High speed sample-and-hold circuit
JP2002171142A (ja) 受光装置
KR20110073171A (ko) 트랜스임피던스 증폭기 회로
JP2005072924A (ja) 光電流・電圧変換回路
KR100836863B1 (ko) 커패시터를 이용하는 기준전압 생성 장치, 이를 이용하는광수신 장치 및 광통신 장치
JP2001168374A (ja) 光電気変換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