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5336B1 - 트리플 웰 구조를 가지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트리플 웰 구조를 가지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5336B1
KR100705336B1 KR1020060001355A KR20060001355A KR100705336B1 KR 100705336 B1 KR100705336 B1 KR 100705336B1 KR 1020060001355 A KR1020060001355 A KR 1020060001355A KR 20060001355 A KR20060001355 A KR 20060001355A KR 100705336 B1 KR100705336 B1 KR 100705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l
buried layer
conductivity type
power supply
supply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1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중화
이재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1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5336B1/ko
Priority to US11/649,774 priority patent/US20070152280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5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5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01L27/08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only semiconductor components of a single kind
    • H01L27/08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only semiconductor components of a single kind including field-effect components only
    • H01L27/088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only semiconductor components of a single kind including field-effect components only the components being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08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guided for horizontal mov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Making of isolation regions between components
    • H01L21/761PN jun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01L21/82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using silicon technology
    • H01L21/8232Field-effect technology
    • H01L21/8234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 H01L21/823493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with a particula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wells or tubs, e.g. twin tubs, high energy well implants, buried implanted layers for lateral isolation [BILLI]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01L27/1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 H01L27/10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including field-effect compon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01L27/08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only semiconductor components of a single kind
    • H01L27/08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only semiconductor components of a single kind including field-effect components only
    • H01L27/088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only semiconductor components of a single kind including field-effect components only the components being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01L27/09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only semiconductor components of a single kind including field-effect components only the components being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complementary MIS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7/0928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only semiconductor components of a single kind including field-effect components only the components being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complementary MIS field-effect transistors comprising both N- and P- wells in the substrate, e.g. twin-tub

Abstract

트리플 웰 구조를 가지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MOS 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웰과 반도체 기판 위에 형성된 제 1 매몰층 사이에 제 2 매몰층을 형성하여 트랜지스터들이 형성되는 웰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트랜지스터들이 형성되는 웰들에 서로 다른 크기의 바이어스를 인가할 수 있으며, 웰 내에 형성되는 트랜지스터들의 특성이 저하되지 않고, 반도체 집적회로로 구현했을 때 칩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트리플 웰 구조를 가지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TRIPPLE WELL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포함된 메모리 셀 어레이와 서브 워드라인 구동회로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들의 수직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포함된 메모리 셀 어레이와 센스 앰프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들의 수직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배치도(layout)이다.
도 4는 도 3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포함된 메모리 코어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배치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포함된 서브 워드라인 구동회로와 센스 앰프(S/A)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들의 수직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서브워드라인 구동회로(SWD) 영역에 있는 N 웰 내에 형성된 P 채널 MOS 트랜지스터의 수직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센스 앰프(S/A) 영역에 있는 N 웰 내에 형성된 P 채널 MOS 트 랜지스터의 수직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포함된 서브 워드라인 구동회로와 센스 앰프(S/A)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들의 수직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포함된 서브 워드라인 구동회로와 센스 앰프(S/A)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들의 수직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200, 300 : 반도체 메모리 장치
110a, 110b, 110c, 210a, 210b, 210c, 310a, 310b, 310c : P 웰
120, 130, 220, 230, 320, 330 : N 웰
140, 240, 340 : N 형 매몰층
150, 250, 350 : P 형 반도체 기판
160, 260, 360, 370 : P 형 매몰층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사용되는 트리플 웰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모리 코어 영역을 구성하는 MOS 트랜지스터들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트리플 웰 구조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메모리 코어는 메모리 셀 어레이들, 비트라인 센스 앰프들, 및 서브 위드라인 구동회로들을 포함한다. 비트라인 센스 앰프와 메모리 셀 어레이를 구성하는 PMOS 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N 웰의 바이어스 전압은 서브 워드라인 구동회로를 구성하는 PMOS 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N 웰의 바이어스 전압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비트라인 센스 앰프를 구성하는 PMOS 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N 웰의 바이어스 전압은 내부 전원전압(VINTA) 또는 메모리 칩의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전압(VDD)일 수 있고, 서브 워드라인 구동회로를 구성하는 PMOS 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N 웰의 바이어스 전압은 승압전압(VPP)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포함된 메모리 셀 어레이와 서브 워드라인 구동회로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들의 수직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일본공개특허 제 1999-17134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P 형의 반도체 기판(17), P 형의 반도체 기판(17) 내에 형성된 매몰층인 N 웰들(14a, 14b), P 형의 반도체 기판(17) 내에 형성된 N 웰들(12, 15, 16) 및 P 웰들(11, 13), 깊은 N 웰(14a) 내에 형성된 P 웰(10a), 깊은 N 웰(14b) 내에 형성된 P 웰(10b)을 구비한다. P 웰들(10a, 10b) 내에는 메모리 셀 어레이(MCA)를 구성하는 NMOS 트랜지스터들이 형성되고, N 웰(12)의 내부에는 서브 워드라인 구동회로(SWD)를 구성하는 PMOS 트랜지스터가 형성되고, P 웰들(11, 13)의 내부에는 서브 워드라인 구동회로를 구성하는 NMOS 트랜지스터들이 형성된다. P 형의 반도체 기판(17)에는 접지전압(VSS)이 인가되고, 매몰층인 깊은 N 웰(14a, 14b)에는 전원전압(VDD)이 인가되고, P 웰들(10a, 10b)에는 백 바이어스 전압(VBB)이 인가된다. 그리고, 서브 워드라인 구동회로(SWD)를 구성하는 PMOS 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N 웰(12)에는 승압전압(VPP)이 인가된다. 도 1에 도시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메모리 셀 어레이(MCA)를 구성하는 MOS 트랜지스터들이 형성되는 P 웰들(10a, 10b)과 서브 워드라인 구동회로(SWD)를 구성하는 MOS 트랜지스터들을 P 형의 반도체 기판(17)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N 형 웰들(15, 16)과 매몰층인 N 웰들(14a, 14b)이 형성된다. N 웰들(14a, 14b)에는 전원전압(VDD)이 인가되고 N 웰(12)에는 승압전압(VPP)이 인가되므로, 매몰층인 깊은 N 웰들(14a, 14b)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분리되어 있다.
그런데, 도 1과 같은 트리플 웰 구조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매몰층인 N 웰들(14a, 14b)을 서로 분리해야 하고 N 웰들(15, 16)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므로 메모리 코어가 반도체 집적회로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도 2와 같은 트리플 웰 구조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매몰층인 깊은 N 웰들(14a, 14b)을 서로 분리하지 않기 위해 비트라인 센스 앰프를 구성하는 PMOS 트랜지스터가 형성될 N 웰(22)에 전원전압(VDD) 보다 높은 승압전압(VPP)을 인가하기 때문에, N 웰(22) 내에 형성될 PMOS 트랜지스터는 바디 효과(body effect) 등 좋지 않은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2는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포함된 메모리 셀 어레이와 센스 앰프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들의 수직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한국공개특허 제 2003-0057871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비트라인 센스 앰프를 구성하는 MOS 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N 웰(22)에는 매몰층인 N 웰(24)과 동일한 전압인 승압전압(VPP)이 인가된다. 따라서, 매몰층인 N 웰(24)은 분리되지 않고 메모리 셀 어레이(MCA)와 센스 앰프(S/A)가 형성되는 영역 전체에 걸쳐서 형성된다.
따라서, 반도체 기판 내에 형성되는 매몰층인 깊은 N 웰을 서로 분리하지 않으면서도 안정적으로 동작하는 메모리 코어를 구현할 수 있는 트리플 웰 구조를 가지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반도체 기판 내에 형성되는 매몰층인 깊은 N 웰을 서로 분리하지 않으면서도 메모리 코어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 MOS 트랜지스터들이 형성되는 웰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트리플 웰 구조를 가지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반도체 기판 내에 형성되는 매몰층인 깊은 N 웰을 서로 분리하지 않으면서도 메모리 코어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 MOS 트랜지스터들이 형성되는 웰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트리플 웰 구조를 가지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제 1 도전형의 반도체 기판, 제 1 매몰층, 제 1 웰, 제 2 웰, 제 2 매몰층, 및 제 3 웰을 구비한다.
제 1 매몰층은 상기 반도체 기판 내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도전형과 반대인 제 2 도전형을 가진다. 제 1 웰은 상기 제 1 매몰층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도 전형을 가진다. 제 2 웰은 상기 제 1 웰의 내부에 제 1 매몰층 상부의 일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매몰층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2 도전형을 가진다. 제 2 매몰층은 상기 제 1 웰의 내부에 상기 제 1 매몰층의 상부의 일부분에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도전형을 가진다. 제 3 웰은 상기 제 1 웰의 내부에 상기 제 2 매몰층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도전형을 가진다.
상기 제 1 도전형은 P 형이고 제 2 도전형은 N 형일 수 있다. 상기 제 1 매몰층에는 제 1 전원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 1 웰에는 접지전압보다 낮은 제 2 전원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전원전압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사용되는 백 바이어스 전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웰에는 상기 제 1 전원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 3 웰에는 상기 제 1 전원전압보다 낮은 제 3 전원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전원전압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서브 워드라인 구동회로에 사용되는 승압전압이고 상기 제 3 전원전압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센스 앰프에 사용되는 전원전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웰에는 상기 제 1 전원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 3 웰에는 상기 제 1 전원전압보다 높은 제 3 전원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제 3 전원전압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서브 워드라인 구동회로에 사용되는 승압전압이고 상기 제 2 전원전압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센스 앰프에 사용되는 전원전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제 1 도전형 의 반도체 기판, 제 1 매몰층, 제 1 웰, 제 2 매몰층, 제 2 웰, 제 3 매몰층, 및 제 3 웰을 구비한다.
제 1 매몰층은 상기 반도체 기판 내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도전형과 반대인 제 2 도전형을 가진다. 제 1 웰은 상기 제 1 매몰층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도전형을 가진다. 제 2 매몰층은 상기 제 1 웰의 내부에 상기 제 1 매몰층의 상부의 일부분에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도전형을 가진다. 제 2 웰은 상기 제 1 웰의 내부에 상기 제 2 매몰층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도전형을 가진다. 제 3 매몰층은 상기 제 1 웰의 내부에 상기 제 1 매몰층의 상부의 일부분에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도전형을 가진다. 제 3 웰은 상기 제 1 웰의 내부에 상기 제 3 매몰층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도전형을 가진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은 반도체 기판 내에 상기 제 1 도전형과 반대인 제 2 도전형의 제 1 매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매몰층의 상부에 상기 제 1 도전형을 가지는 제 1 웰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웰의 내부에 형성되고, 한쪽 끝이 상기 제 1 매몰층에 연결된 상기 제 2 도전형의 제 2 웰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웰의 내부에 상기 제 1 매몰층의 상부의 일부분에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제 2 매몰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웰의 내부에 상기 제 2 매몰층의 상부에 상기 제 2 도전형의 제 3 웰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매몰층과 상기 제 3 웰은 동일한 마스크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은 반도체 기판 내에 상기 제 1 도전형과 반대인 제 2 도전형의 제 1 매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매몰층의 상부에 상기 제 1 도전형을 가지는 제 1 웰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웰의 내부에 상기 제 1 매몰층의 상부의 일부분에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서로 분리된 제 2 매몰층 및 제 3 매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웰의 내부에 상기 제 2 매몰층의 상부에 상기 제 2 도전형의 제 2 웰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웰의 내부에 상기 제 3 매몰층의 상부에 상기 제 2 도전형의 제 3 웰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웰과 상기 제 3 웰은 상기 제 2 매몰층과 상기 제 3 매몰층을 형성할 때 사용하는 마스크와 동일한 마스크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3은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배치도(layout)이고, 도 4는 도 3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포함된 메모리 코어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배치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배치도는 일본공개특허 제 1999-17134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반도체 메모리 장치(30)는 4 개의 메모리 뱅크(B1~B4)로 구성되어 있으며, 메인 로우 디코더 영역(31), 메인 워드라인 드라이버 영역(32), 칼럼 디코더 영역(33), 및 주변회로 영역(34)을 구비한다. 또한, 도 3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수직 방향은 비트라인 방향을 나타내고 수평 방향은 워드라인 방향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메모리 코어는 메모리 셀 어레이(MCA), 메모리 셀 어레이(MCA)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센스 앰프(S/A), 및 서브 워드라인 구동회로(SWD)를 구비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포함된 서브 워드라인 구동회로와 센스 앰프(S/A)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들의 수직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반도체 메모리 장치(100)는 P 형 반도체 기판(150), 제 1 매몰층(140), 제 1 웰(110a, 110b, 110c), 제 2 웰(120), 제 2 매몰층(160), 및 제 3 웰(130)을 구비한다.
제 1 매몰층(140)은 반도체 기판(150) 내에 형성되고 N 형의 도전형을 가진다. 제 1 웰(110a, 110b, 110c)은 제 1 매몰층(140)의 상부에 형성되고 P 형의 도전형을 가진다. 제 2 웰(120)은 제 1 웰(110a, 110b, 110c)의 내부에 제 1 매몰층(140) 상부의 일부분에 형성되고, 제 1 매몰층(140)과 연결되어 있고 N 형의 도전형을 가진다. 제 2 매몰층(160)은 제 1 웰(110a, 110b, 110c)의 내부에 제 1 매몰층(140)의 상부의 일부분에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고, P 형의 도전형을 가진다. 제 3 웰(130)은 제 1 웰(110a, 110b, 110c)의 내부에 제 2 매몰층(160)의 상부에 형성되고 N 형의 도전형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매몰층(160)의 높이는 상기 제 2 웰(120)의 높이보다 낮다.
도 5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제 2 웰 (120)은 서브 위드라인 구동회로(SWD)를 구성하는 PMOS 트랜지스터가 형성될 영역이고, 제 3웰(130)은 센스 앰프 (S/A)를 구성하는 PMOS 트랜지스터가 형성될 영역이다.
반도체 기판(150)에는 접지전압(VSS)이 인가되고, 제 1 매몰층(140)에는 승압전압(VDD)이 인가되고, 제 1 웰(110a, 110b, 110c)에는 접지전압보다 낮은 백 바이어스 전압(VBB)이 인가될 수 있다. 제 2 웰(120)에는 승압전압(VPP)이 인가되고, 제 3 웰(130)에는 승압전압(VPP)보다 낮은 전원전압(VDD)이 인가될 수 있다.
도 5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제 1 매몰층(140)과 제 3 웰(130) 사이에 P 형의 매몰층(160)을 형성함으로써, 제 3 웰(130)을 제 1 매몰층(140)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 2 웰(120)과 제 3 웰(130)에 다른 크기의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즉, 서브 워드라인 구동회로(SWD)를 구성하는 PMOS 트랜지스터가 형성될 N 웰(120)에는 승압전압(VPP)을 인가하고, 센스 앰프(S/A)를 구성하는 PMOS 트랜지스터가 형성될 N 웰(130)에는 승압전압(VPP) 보다 낮은 전원전압(VDD)이 인가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반도체 기판(150) 내에 N 형의 도전형을 가지는 제 1 매몰층(140)을 형성하는 단계; 제 1 매몰층(140)의 상부에 P 형의 도전형을 가지는 제 1 웰(110a, 110b, 110c)을 형성하는 단계; 제 1 웰(110a, 110b, 110c)의 내부에 형성되고, 한쪽 끝이 제 1 매몰층(140)에 연결된 N 형의 도전형을 가지는 제 2 웰(120)을 형성하는 단계; 제 1 웰(110a, 110b, 110c)의 내부에 제 1 매몰층(140)의 상부의 일부분에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제 2 매몰층(160)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제 1 웰(110a, 110b, 110c)의 내부에 제 2 매몰층(160)의 상부에 N 형의 도전형을 가지는 제 3 웰(130)을 형성하는 단계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제 2 매몰층(160)은 이온주입(ion implantation)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 2 매몰층(160)과 제 3 웰(130)은 동일한 마스크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서브워드라인 구동회로(SWD) 영역에 있는 N 웰 내에 형성된 PMOS 트랜지스터의 수직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N 형의 제 2 웰(120) 내에 P+를 도핑하여 소스 영역(122)과 드레인 영역(123)을 형성하고 PMOS 트랜지스터를 제조한다. P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121)에는 0V와 승압전압(VPP) 사이에서 스윙하는 전압을 인가한다. 제 2 웰(120)에는 N+를 도핑하여 콘택(contact) 영역(124)을 형성하고, 승압전압(VPP)을 인가한다.
도 7은 도 5의 센스 앰프(S/A) 영역에 있는 N 웰 내에 형성된 PMOS 트랜지스터의 수직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N 형의 제 3 웰(130) 내에 P+를 도핑하여 소스 영역(132)과 드레인 영역(133)을 형성하고 PMOS 트랜지스터를 제조한다. P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131)에는 0V와 전원전압(VDD) 사이에서 스윙하는 전압을 인가한다. 제 2 웰(120)에는 N+를 도핑하여 콘택(contact) 영역(124)을 형성하고, 전원전압(VDD)을 인가한다.
도 6에 도시된 PMOS 트랜지스터는 서브 워드라인 구동회로(SWD)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로서, 제 2 웰(120)에는 전원전압(VDD) 보다 높은 승압전압(VPP)이 인가되고, P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121)에 인가되는 신호는 승압전압(VPP)까지 스윙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PMOS 트랜지스터는 센스 앰프(S/A)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로서, 제 3 웰(130)에는 승압전압(VPP)보다 낮은 전원전압(VDD)이 인가되고, PMOS 트 랜지스터의 게이트(131)에 인가되는 신호는 전원전압(VDD)까지 스윙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포함된 서브 워드라인 구동회로와 센스 앰프(S/A)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들의 수직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반도체 메모리 장치(200)는 P 형 반도체 기판(250), 제 1 매몰층(240), 제 1 웰(210a, 210b, 210c), 제 2 웰(230), 제 2 매몰층(260), 및 제 3 웰(220)을 구비한다.
제 1 매몰층(240)은 반도체 기판(250) 내에 형성되고 N 형의 도전형을 가진다. 제 1 웰(210a, 210b, 210c)은 제 1 매몰층(240)의 상부에 형성되고 P 형의 도전형을 가진다. 제 2 웰(230)은 제 1 웰(210a, 210b, 210c)의 내부에 제 1 매몰층(240) 상부의 일부분에 형성되고, 제 1 매몰층(240)과 연결되어 있고 N 형의 도전형을 가진다. 제 2 매몰층(260)은 제 1 웰(210a, 210b, 210c)의 내부에 제 1 매몰층(240)의 상부의 일부분에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고, P 형의 도전형을 가진다. 제 3 웰(220)은 제 1 웰(210a, 210b, 210c)의 내부에 제 2 매몰층(260)의 상부에 형성되고 N 형의 도전형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매몰층(260)의 높이는 상기 제 2 웰(230)의 높이보다 낮다.
도 8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제 2 웰 (230)은 센스 앰프(S/A)를 구성하는 PMOS 트랜지스터가 형성될 영역이고, 제 3웰(220)은 서브 위드라인 구동회로(SWD)를 구성하는 PMOS 트랜지스터가 형성될 영역이다.
반도체 기판(250)에는 접지전압(VSS)이 인가되고, 제 1 매몰층(240)에는 전 원전압(VDD)이 인가되고, 제 1 웰(210a, 210b, 210c)에는 접지전압보다 낮은 백 바이어스 전압(VBB)이 인가될 수 있다. 제 2 웰(230)에는 전원전압(VDD)이 인가되고, 제 3 웰(220)에는 전원전압(VDD)보다 높은 승압전압(VPP)이 인가될 수 있다.
도 8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제 1 매몰층(240)과 제 3 웰(220) 사이에 P 형의 매몰층(260)을 형성함으로써, 제 3 웰(220)을 제 1 매몰층(240)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 2 웰(230)과 제 3 웰(220)에 다른 크기의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즉, 서브 워드라인 구동회로(SWD)를 구성하는 PMOS 트랜지스터가 형성될 N 형의 제 3 웰(220)에는 승압전압(VPP)을 인가하고, 센스 앰프(S/A)를 구성하는 PMOS 트랜지스터가 형성될 N 형의 제 2 웰(230)에는 승압전압(VPP) 보다 낮은 전원전압(VDD)이 인가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반도체 기판(250) 내에 N 형의 도전형을 가지는 제 1 매몰층(240)을 형성하는 단계; 제 1 매몰층(240)의 상부에 P 형의 도전형을 가지는 제 1 웰(210a, 210b, 210c)을 형성하는 단계; 제 1 웰(210a, 210b, 210c)의 내부에 형성되고, 한쪽 끝이 제 1 매몰층(240)에 연결된 N 형의 도전형을 가지는 제 2 웰(230)을 형성하는 단계; 제 1 웰(210a, 210b, 210c)의 내부에 제 1 매몰층(240)의 상부의 일부분에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제 2 매몰층(260)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제 1 웰(210a, 210b, 210c)의 내부에 제 2 매몰층(260)의 상부에 N 형의 도전형을 가지는 제 3 웰(220)을 형성하는 단계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 2 매몰층(260)은 이온주입(ion implantation)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 2 매몰층(260)과 제 3 웰(220)은 동일한 마스크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 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포함된 서브 워드라인 구동회로와 센스 앰프(S/A)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들의 수직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반도체 메모리 장치(300)는 P 형 반도체 기판(350), 제 1 매몰층(340), 제 1 웰(310a, 310b, 310c), 제 2 매몰층(360), 제 2 웰(320), 제 3 매몰층(370), 및 제 3 웰(330)을 구비한다. 제 1 매몰층(340)은 반도체 기판(350) 내에 형성되고 N 형의 도전형을 가진다. 제 1 웰(310a, 310b, 310c)은 제 1 매몰층(340)의 상부에 형성되고 P 형의 도전형을 가진다. 제 2 매몰층(360)은 제 1 웰(310a, 310b, 310c)의 내부에 제 1 매몰층(340)의 상부의 일부분에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고 P 형의 도전형을 가진다. 제 2 웰(320)은 제 1 웰(310a, 310b, 310c)의 내부에 제 2 매몰층(360) 상부에 형성되고, N 형의 도전형을 가진다. 제 3 매몰층(370)은 제 1 웰(310a, 310b, 310c)의 내부에 제 1 매몰층(340)의 상부의 일부분에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고, P 형의 도전형을 가진다. 제 3 웰(330)은 제 1 웰(310a, 310b, 310c)의 내부에 제 3 매몰층(370)의 상부에 형성되고 N 형의 도전형을 가진다.
도 9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제 2 웰 (320)은 서브 워드라인 구동회로(SWD)를 구성하는 PMOS 트랜지스터가 형성될 영역이고, 제 3웰(330)은 센스 앰프(S/A)를 구성하는 PMOS 트랜지스터가 형성될 영역이다.
도 9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제 1 매몰층(340)과 제 2 웰(320) 사이 및 제 1 매몰층(340)과 제 3 웰(330) 사이에 P 형의 매몰층들(360, 370)을 형성함으로써, 제 2 웰(320)과 제 3 웰(330)을 제 1 매몰층(340)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 2 웰(320)과 제 3 웰(330)에 다른 크기의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즉, 서브 워드라인 구동회로(SWD)를 구성하는 PMOS 트랜지스터가 형성될 N 웰(320)에는 승압전압(VPP)을 인가하고, 센스 앰프(S/A)를 구성하는 PMOS 트랜지스터가 형성될 N 웰(330)에는 승압전압(VPP) 보다 낮은 전원전압(VDD)이 인가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반도체 기판(350) 내에 N 형의 도전형을 가지는 제 1 매몰층(340)을 형성하는 단계; 제 1 매몰층(340)의 상부에 P 형의 도전형을 가지는 제 1 웰(310a, 310b, 310c)을 형성하는 단계; 제 1 웰(310a, 310b, 310c)의 내부에 제 1 매몰층(340)의 상부의 일부분에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제 2 매몰층(360) 및 제 3 매몰층(370)을 형성하는 단계; 제 1 웰(310a, 310b, 310c)의 내부에 제 2 매몰층(360)의 상부에 N 형의 도전형을 가지는 제 2 웰(320)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제 1 웰(310a, 310b, 310c)의 내부에 제 3 매몰층(370)의 상부에 N 형의 도전형을 가지는 제 3 웰(330)을 형성하는 단계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제 2 매몰층(360) 및 제 3 매몰층(370)은 이온주입(ion implantation)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 2 웰(320)과 제 3 웰(330)은 제 2 매몰층(360)과 제 3 매몰층(370)을 형성할 때 사용하는 마스크와 동일한 마스크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반도체 메모리 제조 방법에 의하면, 메모리 코어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 MOS 트랜지스터들이 형성되는 웰들이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이 웰들에 서로 다른 크기의 바이어스를 인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반도체 메모리 제조 방법에 의하면, 웰 내에 형성되는 트랜지스터들의 특성이 저하되지 않고, 반도체 집적회로로 구현했을 때 칩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Claims (26)

  1. 제 1 도전형의 반도체 기판;
    상기 반도체 기판 내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도전형과 반대인 제 2 도전형을 가지는 제 1 매몰층;
    상기 제 1 매몰층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도전형을 가지는 제 1 웰;
    상기 제 1 웰의 내부에 제 1 매몰층 상부의 일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매몰층과 연결된 상기 제 2 도전형의 제 2 웰;
    상기 제 1 웰의 내부에 상기 제 1 매몰층의 상부의 일부분에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도전형을 가지는 제 2 매몰층; 및
    상기 제 1 웰의 내부에 상기 제 2 매몰층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도전형을 가지는 제 3 웰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웰은 상기 제 1 매몰층과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형은 P 형이고 제 2 도전형은 N 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매몰층에는 제 1 전원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 1 웰에는 접지전압보다 낮은 제 2 전원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원전압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사용되는 백 바이어스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웰에는 상기 제 1 전원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 3 웰에는 상기 제 1 전원전압보다 낮은 제 3 전원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원전압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서브 워드라인 구동회로에 사용되는 승압전압이고 상기 제 3 전원전압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센스 앰프에 사용되는 전원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웰 내부에는 상기 서브 워드라인 구동회로에 포함된 제 1 PMOS 트랜지스터가 형성되고, 상기 제 3 웰의 내부에는 상기 센스 앰프에 포함된 제 2 PMOS 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웰에는 상기 제 1 전원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 3 웰에는 상기 제 1 전원전압보다 높은 제 3 전원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전원전압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서브 워드라인 구동회로에 사용되는 승압전압이고 상기 제 2 전원전압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센스 앰프에 사용되는 전원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웰 내부에는 서브 워드라인 구동회로에 포함된 제 1 PMOS 트랜지스터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웰의 내부에는 센스 앰프에 포함된 제 2 PMOS 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2. 제 1 도전형의 반도체 기판;
    상기 반도체 기판 내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도전형과 반대인 제 2 도전형을 가지는 제 1 매몰층;
    상기 제 1 매몰층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도전형을 가지는 제 1 웰;
    상기 제 1 웰의 내부에 상기 제 1 매몰층의 상부의 일부분에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도전형을 가지는 제 2 매몰층;
    상기 제 1 웰의 내부에 상기 제 2 매몰층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도전형을 가지는 제 2 웰;
    상기 제 1 웰의 내부에 상기 제 1 매몰층의 상부의 일부분에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도전형을 가지는 제 3 매몰층; 및
    상기 제 1 웰의 내부에 상기 제 3 매몰층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도전형을 가지는 제 3 웰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웰은 상기 제 1 매몰층과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형은 P 형이고 제 2 도전형은 N 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매몰층에는 제 1 전원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 1 웰에는 접지전압보다 낮은 제 2 전원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원전압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사용되는 백 바이어스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웰에는 상기 제 1 전원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 3 웰에는 상기 제 1 전원전압보다 낮은 제 3 전원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원전압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서브 워드라인 구동회로에 사용되는 승압전압이고 상기 제 3 전원전압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센스 앰프에 사용되는 전원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웰 내부에는 상기 서브 워드라인 구동회로에 포함된 제 1 PMOS 트 랜지스터가 형성되고, 상기 제 3 웰의 내부에는 상기 센스 앰프에 포함된 제 2 PMOS 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웰에는 상기 제 1 전원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 2 웰에는 상기 제 1 전원전압보다 낮은 제 3 전원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원전압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서브 워드라인 구동회로에 사용되는 승압전압이고 상기 제 3 전원전압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센스 앰프에 사용되는 전원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웰 내부에는 서브 워드라인 구동회로에 포함된 제 1 PMOS 트랜지스터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웰의 내부에는 센스 앰프에 포함된 제 2 PMOS 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3. 반도체 기판 내에 상기 제 1 도전형과 반대인 제 2 도전형의 제 1 매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매몰층의 상부에 상기 제 1 도전형을 가지는 제 1 웰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웰의 내부에 형성되고, 한쪽 끝이 상기 제 1 매몰층에 연결된 상기 제 2 도전형의 제 2 웰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웰의 내부에 상기 제 1 매몰층의 상부의 일부분에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제 2 매몰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웰의 내부에 상기 제 2 매몰층의 상부에 상기 제 2 도전형의 제 3 웰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매몰층과 상기 제 3 웰은 동일한 마스크를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25. 반도체 기판 내에 상기 제 1 도전형과 반대인 제 2 도전형의 제 1 매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매몰층의 상부에 상기 제 1 도전형을 가지는 제 1 웰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웰의 내부에 상기 제 1 매몰층의 상부의 일부분에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서로 분리된 제 2 매몰층 및 제 3 매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웰의 내부에 상기 제 2 매몰층의 상부에 상기 제 2 도전형의 제 2 웰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웰의 내부에 상기 제 3 매몰층의 상부에 상기 제 2 도전형의 제 3 웰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26.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웰과 상기 제 3 웰은 상기 제 2 매몰층과 상기 제 3 매몰층을 형성할 때 사용하는 마스크와 동일한 마스크를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060001355A 2006-01-05 2006-01-05 트리플 웰 구조를 가지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705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1355A KR100705336B1 (ko) 2006-01-05 2006-01-05 트리플 웰 구조를 가지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11/649,774 US20070152280A1 (en) 2006-01-05 2007-01-05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triple well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1355A KR100705336B1 (ko) 2006-01-05 2006-01-05 트리플 웰 구조를 가지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5336B1 true KR100705336B1 (ko) 2007-04-09

Family

ID=38161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1355A KR100705336B1 (ko) 2006-01-05 2006-01-05 트리플 웰 구조를 가지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70152280A1 (ko)
KR (1) KR1007053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614B1 (ko) * 2010-12-17 2013-03-19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집적회로
KR102326562B1 (ko) * 2013-10-04 2021-11-16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테스트부를 갖는 반도체 장치,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테스트 방법
US9831134B1 (en) * 2016-09-28 2017-11-28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having deep well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7753A (ja) * 1991-04-17 1993-03-19 Mitsubishi Electric Corp 二重構造ウエルを有する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9990040857A (ko) * 1997-11-20 1999-06-15 윤종용 트리플 웰 구조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레이 아웃
KR20000013394A (ko) * 1998-08-07 2000-03-06 윤종용 트리플 웰 구조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000041323A (ko) * 1998-12-22 2000-07-15 윤종용 트리플 웰 구조를 갖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JP2002280460A (ja) 2001-03-22 2002-09-27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
KR100351525B1 (ko) 1994-04-01 2002-12-26 내셔널 세미콘덕터 코포레이션 저전압형트랜지스터를사용하는고전압전하펌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8895B1 (en) * 1997-06-20 2001-04-17 Intel Corporation Multiple well transistor circuits having forward body bias
US6664608B1 (en) * 2001-11-30 2003-12-16 Sun Microsystems, Inc. Back-biased MOS devi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7753A (ja) * 1991-04-17 1993-03-19 Mitsubishi Electric Corp 二重構造ウエルを有する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351525B1 (ko) 1994-04-01 2002-12-26 내셔널 세미콘덕터 코포레이션 저전압형트랜지스터를사용하는고전압전하펌프
KR19990040857A (ko) * 1997-11-20 1999-06-15 윤종용 트리플 웰 구조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레이 아웃
KR20000013394A (ko) * 1998-08-07 2000-03-06 윤종용 트리플 웰 구조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000041323A (ko) * 1998-12-22 2000-07-15 윤종용 트리플 웰 구조를 갖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JP2002280460A (ja) 2001-03-22 2002-09-27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52280A1 (en) 2007-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7540B2 (en) Bipolar reading technique for a memory cell having an electrically floating body transistor
US8174058B2 (en) Integrated circuits with split gate and common gate FinFET transistors
US6967866B2 (en) Semiconductor memory an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US6583490B2 (en) One time programmable semiconductor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production of same
JP4507119B2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20160581A1 (en) Semiconductor device
JP2003060077A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12089B1 (ko) 반도체메모리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9437265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shallow trench isolation and gate groove
US6791200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6687719B2 (ja) 半導体記憶装置
KR100705336B1 (ko) 트리플 웰 구조를 가지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7675785B2 (en)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US6700169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8507356B2 (en) Formation of wells utilizing masks in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US20220173100A1 (en) Semiconductor device
US20070158758A1 (en) Static random access memo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080029826A1 (en) Semicondu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024148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
JP2004253499A (ja) 半導体装置
US20230162768A1 (en) Memory array circuits, memory structures, and methods for fabricating a memory array circuit
KR20170037202A (ko) 반도체 소자
KR100309475B1 (ko) 반도체 메모리
KR20050102725A (ko) Dram의 웰 구조
KR20030020171A (ko) 반도체 메모리의 vbb/upp 바이어스 배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