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4782B1 - 개전이 용이한 용기 뚜껑 - Google Patents

개전이 용이한 용기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4782B1
KR100704782B1 KR1020040116709A KR20040116709A KR100704782B1 KR 100704782 B1 KR100704782 B1 KR 100704782B1 KR 1020040116709 A KR1020040116709 A KR 1020040116709A KR 20040116709 A KR20040116709 A KR 20040116709A KR 100704782 B1 KR100704782 B1 KR 100704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discharge
rib
hole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6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8041A (ko
Inventor
장영규
문성환
김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to KR1020040116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4782B1/ko
Publication of KR20060078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8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4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47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 B65D47/24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the valve being opened or closed by actuating a cap-like element
    • B65D47/243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the valve being opened or closed by actuating a cap-like element moving linearly, i.e. without rotational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가 담겨진 용기에 뚜껑이 체결된 상태에서 음용 가능하도록 개방기능과 밀폐기능을 겸비하는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뚜껑의 개방과 밀폐기능이 발휘될 수 있도록 뚜껑에 갖추어진 캡에 개전부재가 노출상태로 구비되어 뚜껑을 열고 밀봉커버를 제거하여야만 하는 별도의 개전 동작을 삭제하여 음료자가 느끼는 번거로움과 어려움을 모두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뚜껑은, 음용을 위한 개전 흔적이 시각적으로 뚜렷하여 음료자가 마시기 전에 의심 혹은 경계심을 느끼게 하여, 자칫 무심코 음용함에 따른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캡의 내부를 이중구조로 형성하고, 개전부재의 하부에서 경사밀폐되는 구조적인 개선을 통해 밀폐성의 향상과, 누수의 발생을 완전히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용기와 결합 되는 몸체의 상부에는 캡 승,하강과 용기로부터 음료 유출을 가이드 할 수 있도록 배출공을 내부에 형성시킨 배출리브가 길이를 가지고 상향 돌출되어 있고; 상기 배출공의 중앙부분으로 음료 유출을 막을 수 있도록 배출공 중앙에 삽입되는 고정마개가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상기 배출공을 폐쇄하지 않는 상태로 상기 배출리브의 내면 일부와 연결되는 형태로 고정되어있으며; 상기 배출리브의 길이방향으로 폭을 가지고 외주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리브와 상기 배출리브의 내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이동하는 차단리브는 상기 캡 저면에 서로 간격을 가지고 하향 돌출되어 있어 상기 가이드 리브(28)와 차단부재 사이로 배출리브가 끼워지는 형태로 캡이 배출리브를 따라 승,하강하도록 결합 되어 있고; 상기 캡의 승,하강 위치에 따라 고정마개의 삽입과 분리를 통하여 배출공으로부터 음료의 외부 유출을 선택할 수 있도록 캡의 상면에는 통공이 고정마개(50)와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공의 내부에는 개전부재가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 되어 통공 및 통공으로 삽입되는 고정마개의 상면과 각각 박막 연결되도록 하여 개전부재의 제거 전에는 캡의 승,하강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개전이 용이한 뚜껑이 제공된다.
음료, 뚜껑, 캡, 이중, 밀폐, 개전

Description

개전이 용이한 용기 뚜껑{A Lid Improving Opening}
도 1a은 일반적인 종래의 용기 뚜껑을 보여주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1b는 도1a의 뚜껑이 용기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일반적인 종래기술에 따른 뚜껑이 용기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을 보여주는 것으로, 도 2a는 밀폐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b는 음용 가능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뚜껑을 부분 절개하여 보여주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4은 도 3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결합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개전부재가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뚜껑이 용기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을 보여주는 것으로, 도 6a는 밀폐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b는 음용 가능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개전이 용이한 용기 뚜껑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단면으로, 도 7a는 밀폐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b는 음용 가능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40 : 뚜껑 12,42 : 몸체
14 : 용기 16 : 배출공
18,44 : 배출리브 20,46 : 캡
22,48 : 통공 24,50 : 고정마개
26 : 가이드홈 28 : 가이드리브
30 : 가이드돌기 32 : 밀봉커버
52,54 : 경사면 56 : 고리
58 : 개전부재 60 : 차단리브
70,72 : 결합부
본 발명은 개전이 용이한 용기 뚜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캡에 개전부재가 노출되도록 구비하여, 용기로부터 뚜껑을 분리하여야만 하는 별도의 개전 동작을 제거하고, 또한 개전 흔적이 시각적으로 뚜렷하여 마시기 전에 음료자에게 의심 혹은 경계심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상기 캡의 내부를 이중구조로 변경.개선하여 밀폐성과 기밀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용 용기에 결합되는 뚜껑은, 용기의 형상과 재질 및 음료의 종류에 따라 그 종류를 헤아리지 못할 만큼 형태와 모양이 다양하며, 대부분 용기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져, 용기의 내부에 대한 밀폐기능과 음용을 위한 오픈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이러한 뚜껑은, 음료자의 대상에 따라서도 다양하게 개발되어져 왔는데, 특히 음료자가 어린이인 경우에는, 우선 조작이 쉽고, 사용상 편의와 재미를 유발하면서 안전성과 밀폐성을 고려하여 개발되어 왔다.
일 예로 첨부된 예시도면 도 1a 및 도1b은 주로 어린이가 음용하는 용기에 결합되어지는 뚜껑을 보여주는 것으로, 먼저 뚜껑(10)의 몸체(12) 내부에는 용기(14)와 소통되도록 배출공(16)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배출리브(18)가 길이를 가지고 상향으로 돌출되는 구조로 도시되어 있다.
이런, 배출리브(18)의 상부 중앙에는 후술되는 캡(20)의 통공(22)과 끼움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원형의 고정마개(24)가 배출공(16)의 중앙을 가로막는 배치 구조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출리브(18)의 외주면에는 배출리브(18)의 길이방향으로 폭을 형성하는 가이드홈(2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출리브(18)에는 가이드홈(26)을 따라 자유롭게 승,하강될 수 있도록 별도의 캡(20)이 결합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캡(20)의 상면에는 앞서 언급되었듯이 고정마개(24)가 결합될 수 있도록 통공(22)이 형성되어 있고, 캡(20)의 외면을 구성하게 되는 가이드리브(28)의 내면에는 가이드돌기(30)가 내측으로 돌출형성되어 가이드홈(26)의 폭을 따라 승,하강시에 서로 분리됨을 방지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돌기(30)와 가이드홈 (26)간에 접촉을 통하여 누수의 발생을 차단하는 기능도 발휘하게 된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31은 보호캡이다.
따라서, 음료자가 개전할 경우, 우선 용기(14)로부터 뚜껑(10)을 완전히 분리시킨 상태에서, 용기(14)의 개전하기 위해 사전에 부착되어진 밀봉커버(32)를 제거 한 다음, 용기(14)에 뚜껑(10)을 다시 체결하여 개전 상태를 완료하게 된다.
음료자가 음용을 하기 위해서는, 우선 첨부된 예시도면 도 2a의 상태에서 음료자가 뚜껑(10)에 결합된 캡(20)을 파지하고, 첨부된 예시도면 도 2b와 같이 상부로 상승시키게 되면, 캡(20)이 그와 대응하는 배출공(16)을 막고 있다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틈새가 형성되고, 따라서 상기 배출공(16)으로부터 유출되는 음료는 캡(20)의 통공(22)을 통해 음용 가능한 상태가 된다.
밀폐를 하고자 할 경우, 상기 캡(20)을 하강시키게 되면, 캡(20)이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최초 상태로 위치하게 되어 배출공(16)을 막게 됨으로써, 음료의 유출이 중단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구조로 구성되는 종래의 용기 뚜껑(10)은, 우선 용기(14)에 뚜껑(10)이 체결된 상태에서는 용기(14)의 밀봉을 위해 부착되는 밀봉커버(32)가 정확히 부착되었는지 유관으로 확인하기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또한, 위와 같이 기술된 구조적인 문제로 인하여 음료자의 입장에서 볼 때, 캡(20)의 통공(22)을 통해 음료가 유출되지 않는 이상, 개전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없어, 음료자가 자칫 무심코 음용하여 발생될 수 있는 범죄사고를 사전에 예방하지 못하는 문제도 지적할 수 있다.
특히, 음용자의 대상이 어린이인 경우에는 개전을 위하여 용기(14)로부터 뚜껑(10)을 분리시키고, 그 다음 용기(14)의 밀봉커버(32)를 벗겨내야하는데, 이 밀봉커버(32)가 용기(14)로부터 쉽게 벗겨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밀봉.부착되어 있어서, 어린이가 제거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다.
또한, 상기 밀봉커버(32)를 제거한 후에는 뚜껑(10)을 재 결합하여만 함으로써, 음용을 위한 개전동작과 조작이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캡(20)과 배출리브(18)간에는 가이드돌기(30)와의 1차적인 접촉구조에 의해 누수발생을 의존함으로써, 예를 들어 위와 같이 1차적인 접촉부분에서 누수가 발생될 경우, 이를 방지하기 위한 2차적인 별도의 차단구조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 누수발생을 더 이상 차단시키지 못하는 구조적인 문제도 있으며, 이에따라 용기의 휴대 상태에 따라 손이나 혹은 가방, 주머니 등에 누수된 음료가 묻게 되어 음료자에게 불쾌감을 주게 되는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우선 용기로부터 뚜껑을 분리시키고 밀봉커버를 제거하여야 하는 불필요한 개전동작을 제거하고, 또한 개전에 대한 흔적이 시각적으로 뚜렸하여, 음용하기 전에 음료자에게 의심 혹은 경계심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점에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캡의 내부에 이중구조를 가지도록 리브를 형성하고, 아울러경사 밀폐될 수 있도록 구조적인 개선.변경을 통하여 밀폐성을 더욱 향상시킴으로써, 캡 이 파손되지 않는 이상 누수발생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점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용기와 결합 되는 몸체의 상부에는 캡 승,하강과 용기로부터 음료 유출을 가이드 할 수 있도록 배출공을 내부에 형성시킨 배출리브가 길이를 가지고 상향 돌출되어 있고; 상기 배출공의 중앙부분으로 음료 유출을 막을 수 있도록 배출공 중앙에 삽입되는 고정마개가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상기 배출공을 폐쇄하지 않는 상태로 상기 배출리브의 내면 일부와 연결되는 형태로 고정되어있으며; 상기 배출리브의 길이방향으로 폭을 가지고 외주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리브와 상기 배출리브의 내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이동하는 차단리브는 상기 캡 저면에 서로 간격을 가지고 하향 돌출되어 있어 상기 가이드 리브(28)와 차단부재 사이로 배출리브가 끼워지는 형태로 캡이 배출리브를 따라 승,하강하도록 결합 되어 있고; 상기 캡의 승,하강 위치에 따라 고정마개의 삽입과 분리를 통하여 배출공으로부터 음료의 외부 유출을 선택할 수 있도록 캡의 상면에는 통공이 고정마개(50)와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공의 내부에는 개전부재가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 되어 통공 및 통공으로 삽입되는 고정마개의 상면과 각각 박막 연결되도록 하여 개전부재의 제거 전에는 캡의 승,하강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개전이 용이한 뚜껑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에서 고정마개의 상단 외주면과, 이와 대응하는 캡의 통공 내주면에는 경사진 상태로 면 밀착되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에서 개전부재에는 분리가 용이하도록 고리가 더 구비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에서 배출리브의 외면에는 상단으로부터 하단방향으로 일부분이 나사산으로 된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캡의 가이드 리브 내면에는 밀폐시 상기 배출리브의 결합부와 대응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산으로 된 결합부가 형성되는 구조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첨부된 예시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뚜껑을 보여주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결합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개전부재가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뚜껑이 용기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을 보여주는 것으로, 도 6a는 밀폐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b는 음용 가능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하기 앞서 첨부된 예시도면 도 1 및 도 2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번호를 부여하여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로 한다.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뚜껑(40) 몸체(42)의 상부에는 배출리브(44)가 길이를 가지고 상향 돌출되는데, 이러한 배출리브(44)의 배출공(16)중앙에는 배출리브(44)의 내면 일부분과 연결되는 형태로 고정되고 아울러 음료의 유출에 대한 지장을 전혀 주지않으면서도 후술하는 캡(46)의 통공(48)과 대응 결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원형의 고정마개(50)가 일부 돌출되는 상태로 삽입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마개(50)의 상단에는 각도를 갖는 경사면(52)이 원주를 따라 형성되는 구조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출리브(44)의 외주면에도 종래와 마찬가지로 폭을 형성하는 가이드홈(26)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배출리브(44)에는 가이드홈(26)을 따라 승,하강되도록 캡(46)이 결합 된다.
상기 캡(46)의 상면에는 앞서 설명된 고정마개(50)가 끼움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통공(48)이 형성되는데, 이 통공(48)의 내면에는 고정마개(50)의 경사면(52)과 면 밀착되는 상태로 차단될 수 있도록 경사면(5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통공(48)에는 고리(56)를 연결한 개전부재(58)가 결합되는데, 이 개전부재(58)는 미세하지만 통공(48)의 내면 및 고정마개(50)의 상면에 부분적으로 박막연결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어, 상기 개전부재(58)가 분리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캡(46)의 승,하강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며, 특히 통공(48)과 고정마개(50)의 박막연결은 캡(46)의 경사면(54)으로부터 상부에 형성되는 구조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캡(46)의 가이드리브(28)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는 길이를 가진 차단리브(60)가 캡(46)과 일체를 이루면서 가이드리브(28)와 평행한 상태로 하향설치되고, 그 사이로 배출리브(44)가 끼워지는 상태로 결합 되어 배출리브(44)의 상단이 캡(46)과 밀폐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도시된 도면에서는 차단리브(60)가 양면이 편평하게 형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구조적 형상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음료자가 개전을 할 경우, 종래에는 밀봉커버(32)를 제거하기 위하여 용기(14)로부터 뚜껑(10)을 완전히 분리시켰으나, 본 발명에서는 첨부된 예시도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46)에 갖추어진 개전부재(58)의 고리(56)를 잡고 바로 뜯어내게 되면, 박막부분이 파단되어 캡(46)의 승,하강이 가능한 상태가 되고, 또한 외부에서 볼 때, 상기 고정마개(50)의 상면이 유관으로 뚜렷하게 보여지게 되어 개전되었음을 시각적으로 쉽게 알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이 음료자가 개전부재(58)를 제거시, 박막부분이 불규칙하게 찢어지게 되어 캡(46)의 표면에 손상이 발생하더라도 그 하부에서 캡(46)과 고정마개(50)가 경사밀폐되는 구조이므로, 밀폐에 전혀 지장을 주지않는다. 특히 캡(46) 과 고정마개(50)의 밀착 부분이 각각 대응하는 경사면(52,54)으로 형성되어 있어, 밀폐성을 더욱 향상시키게 된다.
그리고, 음용을 하기 위해서는, 첨부된 예시도면 도 6a의 상태에서 도 6b와 같이 우선 뚜껑(40)에 결합된 캡(46)을 상부로 상승시키게 되면, 종래에 설명되었듯이 배출공(16)으로부터 유출되는 음료가 캡(46)의 통공(48)을 통하여 음용 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밀폐를 하고자 할 경우, 상기 캡(46)을 하강시키게 되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캡(46)의 통공(48)에 고정마개(50)가 끼워지게 되어, 배출이 중단되고, 동시에 배출리브(44)의 상단면이 이와 대응하는 캡(46)의 내면에 밀착되어 누수를 차단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배출리브(44)가 차단리브(60)와 가이드리브(28) 사이로 결합되면서, 배출리브(44)의 상단면이 대응하는 캡(46) 내면에 밀착되어 누수됨을 막고, 또한 차단리브(60)가 배출리브(18)의 내주면을 따라 면 밀착되는 상태로 승,하강이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차단리브(60)에 의하여 음료가 가이드리브(28)측으로 누수되는 것이 근본적으로 차단된다.
나아가,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차단리브(60)가 배출리브(44)의 내면에 면 밀착되어, 누수발생이 실제로는 어려우나 설사 그 사이를 통하여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캡(46)의 외관을 형성하는 가이드리브(28)가 누수의 발생을 막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개전이 용이한 용기 뚜껑을 사용하게 되면, 종래와 달리 캡(46)의 내부에 차단부재(60)와, 가이드리브(28)에 의한 이중구조 의해 누수발생 이 완전히 차단되고, 또한 개전부재(58)의 노출로 인하여 개전과 확인이 쉽게 이루어지며, 아울러 박막부분의 하부에서 고정마개(50)와 캡(46)의 경사밀폐로 인해 개전부재(58)의 불규칙한 찢어짐에도 밀폐에 대하여 전혀 지장을 주지 않는다.
한편,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개전이 용이한 용기 뚜껑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것으로, 도 7a는 밀폐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b는 음용 가능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아울러 앞서 설명된 도 3 내지 도 6a 및 도 6b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상이한 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예시도면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리브(44)의 상부 부분에는 상단으로부터 하단방향으로 외면 일부분이 결합부(70)로 형성되어 있고, 이 결합부(70)와 대응하는 캡(46) 가이드리브(28)의 내면에도 서로 결합 될 수 있도록 결합부(72)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음료자가 상기 배출리브(44)의 결합부(70)에 결합된 캡(46)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첨부된 도면과 같이 조임체결시키거나 또는 풀고, 기 설명된 바와 같이 동작을 취하여 밀폐 및 음용을 선택하게 된다.
나아가, 위에 언급된 본 발명의 결합부(70,72)는, 서로 조임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선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나사선은 해당하는 범위 만큼 원주를 따라 일부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도 있고, 또는 원주를 따라 전부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도 있다.
그러나, 위의 나사선도 상기 배출리브(44)와 캡(46)간에 체결을 위한 일 예일 뿐, 이로 한정하거나 국한될 필요는 없다. 상기 캡(46)의 승,하강이 용이하면서, 밀폐시에 캡(46)과 배출리브(44) 간에 보다 견고한 결합.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면, 그 어떠한 수단이나 혹은 구조적인 형상.변경도 무방하며, 이와 같은 변경도 본 발명에 포함될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시하고, 또한 설명을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그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뚜껑은, 개방기능과 밀폐기능이 발휘되는 캡에 개전부재가 노출상태로 구비되어, 뚜껑을 열고 밀봉커버를 제거하여야만 하는 별도의 개전동작을 삭제하여 음료자가 느끼게 되는 번거로움과 어려움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뚜껑은, 음용을 위한 개전 흔적인 시각적으로 뚜렷하여 음료자가 마시기 전에 의심 혹은 경계심을 느끼게 하므로 특히, 어린이가 무심코 음용함에 따른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의 내부를 이중구조로 형성하고, 개전부재의 박막부분의 하부에서 경사밀폐되는 구조적 개선에 의하여 밀폐성의 향상과, 누수발생을 완전히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용기(14)와 결합 되는 몸체(42)의 상부에는 캡(46) 승,하강과 용기(14)로부터 음료 유출을 가이드 할 수 있도록 배출공(16)을 내부에 형성시킨 배출리브(44)가 길이를 가지고 상향 돌출되어 있고;
    상기 배출공(16)의 중앙부분으로 음료 유출을 막을 수 있도록 배출공(16) 중앙에 삽입되는 고정마개(50)가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상기 배출공(16)을 폐쇄하지 않는 상태로 상기 배출리브(44)의 내면 일부와 연결되는 형태로 고정되어있으며;
    상기 배출리브(44)의 길이방향으로 폭을 가지고 외주면에 형성된 가이드홈(26)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리브(28)와 상기 배출리브(44)의 내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이동하는 차단리브(60)는 상기 캡(46) 저면에 서로 간격을 가지고 하향 돌출되어 있어 상기 가이드 리브(28)와 차단부재(60) 사이로 배출리브(44)가 끼워지는 형태로 캡(46)이 배출리브(44)를 따라 승,하강하도록 결합 되어 있고;
    상기 캡(46)의 승,하강 위치에 따라 고정마개(50)의 삽입과 분리를 통하여 배출공(16)으로부터 음료의 외부 유출을 선택할 수 있도록 캡(46)의 상면에는 통공(48)이 고정마개(50)와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공(48)의 내부에는 개전부재(58)가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 되어 통공(48) 및 통공(48)으로 삽입되는 고정마개(50)의 상면과 각각 박막 연결되도록 하여 개전부재(58)의 제거 전에는 캡(46)의 승,하강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전이 용이한 뚜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마개(50)의 상단 외주면과, 이와 대응하는 캡(46)의 통공(48) 내주면에는 경사진 상태로 면 밀착되도록 경사면(52,54)으로 형성된 특징으로 하는 개전이 용이한 뚜껑.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전부재(58)에는 분리가 용이하도록 고리(56)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전이 용이한 뚜껑.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리브(44)의 외면에는 상단으로부터 하단방향으로 일부분이 나사산으로 된 결합부(7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리브(28) 내면에는 밀폐시 상기 배출리브(44)의 결합부(70)와 대응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산으로 된 결합부(72)가 형성되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전이 용이한 뚜껑.
  5. 삭제
KR1020040116709A 2004-12-30 2004-12-30 개전이 용이한 용기 뚜껑 KR100704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6709A KR100704782B1 (ko) 2004-12-30 2004-12-30 개전이 용이한 용기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6709A KR100704782B1 (ko) 2004-12-30 2004-12-30 개전이 용이한 용기 뚜껑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7424U Division KR200380596Y1 (ko) 2004-12-30 2004-12-30 개전이 용이한 용기 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8041A KR20060078041A (ko) 2006-07-05
KR100704782B1 true KR100704782B1 (ko) 2007-04-12

Family

ID=37170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6709A KR100704782B1 (ko) 2004-12-30 2004-12-30 개전이 용이한 용기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47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3993B1 (ko) * 2021-12-15 2023-10-26 주식회사 우진아이엔에스 고압가스실린더 내면 분체도장용 캡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7747A (en) 1980-05-30 1982-01-29 Upjohn Co Plug structure for mixing glass bottle
JP2000016451A (ja) 1998-06-27 2000-01-18 Yoshino Kogyosho Co Ltd 中空容器の液体注出キャップ
JP2000191012A (ja) 1998-12-28 2000-07-11 Japan Crown Cork Co Ltd 注出用弁付の合成樹脂製複合容器蓋
JP2004284619A (ja) 2003-03-20 2004-10-14 Mikasa Sangyo Kk プッシュプル注出キャップ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7747A (en) 1980-05-30 1982-01-29 Upjohn Co Plug structure for mixing glass bottle
JP2000016451A (ja) 1998-06-27 2000-01-18 Yoshino Kogyosho Co Ltd 中空容器の液体注出キャップ
JP2000191012A (ja) 1998-12-28 2000-07-11 Japan Crown Cork Co Ltd 注出用弁付の合成樹脂製複合容器蓋
JP2004284619A (ja) 2003-03-20 2004-10-14 Mikasa Sangyo Kk プッシュプル注出キャ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8041A (ko) 2006-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16783T3 (es) Tapa de plastico y lata.
ES2201727T3 (es) Cierre con medios de bisagra dobles.
JP3130480U (ja) ボトルキャップ
WO2018168283A1 (ja) キャップの封止構造
KR100704782B1 (ko) 개전이 용이한 용기 뚜껑
US20170050776A1 (en) Lid for container with rotatable reclosable spout
KR200380596Y1 (ko) 개전이 용이한 용기 뚜껑
JP2007039039A (ja) 先漏れ防止容器
ES2260421T3 (es) Conjunto de apertura.
KR101947010B1 (ko) 스파우트 안전캡
JP4580064B2 (ja) ヒンジ付きキャップ
JP4341770B2 (ja) 蓋体付きのキャップ
ES2770802T3 (es) Mecanismo de seguridad para recipientes
KR200384803Y1 (ko) 개방이 용이한 용기 뚜껑
RU222008U1 (ru) Закрывающий колпачок на шарнире с защитой от брызг
KR100654008B1 (ko) 누수방지 기능을 강화한 용기 뚜껑
ES2384824T3 (es) Tapón abrefácil de tipo palanca para botella
JPH11240552A (ja) 飲料用容器のふた
JP4596419B2 (ja) 封緘式キャップ
KR20200119173A (ko) 새로운 구조(알약 + 용액을 보관]의 원터치캡
US20240034522A1 (en) Anti-splash hinged closing cap
KR200398861Y1 (ko) 원터치 캡
JP5122179B2 (ja) キャップ
KR19980062544U (ko) 음료용기용 원터치 위생캡
KR100307580B1 (ko) 플라스틱 용기 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