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4008B1 - 누수방지 기능을 강화한 용기 뚜껑 - Google Patents

누수방지 기능을 강화한 용기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4008B1
KR100654008B1 KR1020050083130A KR20050083130A KR100654008B1 KR 100654008 B1 KR100654008 B1 KR 100654008B1 KR 1020050083130 A KR1020050083130 A KR 1020050083130A KR 20050083130 A KR20050083130 A KR 20050083130A KR 100654008 B1 KR100654008 B1 KR 100654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hole
rib
discharge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3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영규
문성환
김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to KR1020050083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40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4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4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28Caps combined with st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6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telescopic, retractable or reversible spouts, tubes 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 B65D47/24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the valve being opened or closed by actuating a cap-like element
    • B65D47/243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the valve being opened or closed by actuating a cap-like element moving linearly, i.e. without rotational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25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25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t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에 뚜껑이 체결된 상태에서도 음용 가능하도록 개방기능과 밀폐기능을 겸비한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새로운 타입의 이중 밀폐구조로 개선된 뚜껑을 통하여 개방과 밀폐에 대한 용이한 조작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밀폐성과 결합성이 더욱 강화되어 누수에 대한 확실한 차단은 물론, 임의적인 개방에 따른 음료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배출리브의 배출공에는 음료의 유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중앙에 형성되는 통공과, 통공의 테두리를 따라 상향 돌출된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차단부재가 가로막는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통공과 마주하는 캡의 저면에는 고정돌기의 외면이 내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리브가 하향 돌출되며; 상기 고정리브의 내면과 간격을 갖도록 이격된 위치에는 상기 고정돌기와 고정리브간에 밀착이 이루어질 때, 통공으로 삽입되어 내주면을 압지하여 할 수 있도록 하는 압지부재가 하향 돌출되어; 상기 캡의 하강에 따른 밀폐시, 상기 압지부재가 통공의 내주면을 압지하는 밀폐와, 상기 압지부재의 외측으로 삽입되어지는 고정돌기와 고정리브 간의 밀폐에 의하여 누수가 방지되도록 하는 누수방지 기능을 강화한 용기 뚜껑이 제공된다.
음료, 뚜껑, 캡, 밀폐, 압지, 강화, 이중, 용기, 누수

Description

누수방지 기능을 강화한 용기 뚜껑{A Lid for Reinforce Leakage Prevention}
도 1는 종래기술에 대한 뚜껑이 용기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종래기술에 따른 뚜껑이 용기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을 보여주는 것으로, 도 2a는 밀폐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b는 음용 가능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누수방지 기능을 강화한 용기 뚜껑이 용기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뚜껑이 용기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을 보여주는 것으로, 도 4a는 보호캡이 캡을 상승시키기 직전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b는 음용 가능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캡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뚜껑 12 : 몸체
14 : 용기 16 : 배출공
18 : 배출리브 20,45 : 캡
22,54 : 유출공 24 : 고정마개
26 : 가이드홈 28 : 가이드리브
30 : 가이드돌기 32 : 밀봉커버
40 : 통공 42 : 차단부재
44 : 고정돌기 46 : 결합홈
48,58 : 걸림돌기 50 : 걸림홈
52 : 고정리브 56 : 압지부재
60,62 : 걸림턱
본 발명은 누수방지 기능을 강화한 용기 뚜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새로운 타입의 구조로 개선되는 뚜껑을 통하여 개방과 밀폐에 대한 용이한 조작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이중 차단구조에 의해 밀폐성과 결합성이 더욱 강화되어 누수에 대한 확실한 차단과, 임의적인 음료의 유출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용 용기에 결합 되는 뚜껑은, 용기의 형상과 재질 그리고 음료의 종류에 따라 헤아리지 못할 만큼 형태와 모양이 다양하며, 대부분 용기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 되어져, 밀폐기능과 음용을 위한 개방기능이 겸비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일 예로 첨부된 예시 도면 도 1 및 도 2b는 주로 음료가 담아지는 용기에 뚜껑이 결합 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 먼저 뚜껑(10)을 구성하는 몸체(12)의 내부에는 용기(14)의 내부와 소통될 수 있도록 배출공(16)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배출리브(18)가 소정 길이 만큼 상향 돌출되는 구조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배출리브(18)의 상부 중앙에는 후술 되는 캡(20)의 유출공(22)과 끼움 방식에 의하여 밀폐와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원형의 고정마개(24)가 배출공(16)의 중앙부분을 일부 가로막는 구조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출리브(18)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폭을 형성하는 가이드홈(26)이 형성되어 있고, 배출리브(18)에는 가이드홈(26)을 따라 자유롭게 승,하강될 수 있도록 그 외부를 감싸는 별도의 캡(20)이 결합 되어있다.
상기 캡(20)의 상면에는, 앞서 언급되었듯이 고정마개(24)가 결합될 수 있도록 유출공(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캡(20) 가이드리브(28)의 내면에는 가이드돌기(30)가 형성되어 있어, 가이드홈(26)을 따라 승,하강시 상부 걸림턱(27)에 걸리게 하여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참고로, 도면중 미 설명부호 31은 몸체(12)를 포함한 캡(20)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보호캡이다.
따라서, 음료자가 음료를 마시고자 할 경우, 우선 용기(14)의 밀봉커버(32)와 보호캡(31)을 제거 한 다음, 용기(14)에 뚜껑(10)을 다시 체결하여 음용 가능한 상태를 취한다.
그 다음, 도 2a의 상태에서 음료자가 뚜껑(10)에 결합된 캡(20)을 파지하고, 도 2b와 같이 상부로 상승시키게 되면, 캡(20)이 배출공(16)의 상단을 막고 있다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틈새를 형성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배출공(16)으로부터 유출되는 음료는 화살표와 같은 경로로 흐르게 되어 음용 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밀폐를 하고자 캡(20)을 하강시키게 되면, 캡(20)이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최초 상태로 위치하게 되어 배출공(16)을 막게 됨으로써, 음료의 유출이 중단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구조로 구성되는 종래의 뚜껑(10)은, 상기 캡(20)의 유출공(22)과 고정마개(24)간에 면 접촉으로 누수방지를 의존하게 되는데, 이때 통공(22)의 내면과 고정마개(22)의 간에 잦은 마찰로 인한 마모가 발생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순간적으로 탄성 변형을 일으킬 경우, 유출공(22)과 고정마개(22)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게 되고, 그 틈새를 통하여 누수가 발생하게 되는 구조적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밀폐가 이루어지는 상태에서는 캡(20)과 배출리브(18)간에 서로 걸림되는 구조가 아니어서, 용기(12)를 바닥에 떨어뜨리거나 혹은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질 경우, 캡(20)의 밀폐 위치가 이동하게 되어 임의적으로 음료의 유출이 발생 되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새로운 타입의 구조로 개선된 뚜껑을 통하여 개방과 밀폐에 대한 용이한 조작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밀폐성과 결합성이 더욱 강화되어 누수에 대한 확실한 차단과, 임의적인 유출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점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배출리브의 배출공에는 음료의 유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중앙에 형성되는 통공과, 통공의 테두리를 따라 상향 돌출된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차단부재가 가로막는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통공과 마주하는 캡의 저면에는 고정돌기의 외면이 내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리브가 하향 돌출되며; 상기 고정리브의 내면과 간격을 갖도록 이격된 위치에는 상기 고정돌기와 고정리브간에 밀착이 이루어질 때, 통공으로 삽입되어 내주면을 압지하여 할 수 있도록 하는 압지부재가 하향 돌출되어; 상기 캡의 하강에 따른 밀폐시, 상기 압지부재가 통공의 내주면을 압지하는 밀폐와, 상기 압지부재의 외측으로 삽입되어지는 고정돌기와 고정리브 간의 밀폐에 의하여 누수가 방지되도록 하는 누수방지 기능을 강화한 용기 뚜껑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배출리브 외면에는 밀폐시, 캡의 가이드리브 내면에 형성되는 고정돌기가 걸림.결합되어, 캡의 이동에 의한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압지부재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완만한 곡면을 갖는 포물선을 그리면서, 압지점이 더 볼록하게 휘어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압지점은, 통공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형성하면서, 압지부재의 중심을 기준으로 그 하부에 압지점이 형성되도록 하여, 압지력이 강하게 작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리브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는 캡의 상면에 유출공이 형성되어, 통공을 통과한 음료가 유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예시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대한 뚜껑이 용기에 결합 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뚜껑이 용기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을 보여주는 것으로, 도 4a는 보호캡이 캡을 상승시키기 직전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b는 음용 가능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캡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첨부된 예시도면 도 1 및 도 2a 및 도 2b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번호를 부여하여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뚜껑(10)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뚜껑(10)을 구성하는 몸체(12)의 상부에 종래와 마찬가지로 배출공(16)을 형성한 배출리브(18)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배출리브(18)의 상단으로부터 소정 거리 만큼 하향 이격된 내부에는 통공(40)을 중앙에 형성시킨 차단부재(42)가 배출공(16)을 가로막는 형태로 설치되어, 음료가 통공(40)을 통해서만 유출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통공(40)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고정돌기(44)는, 후술되는 캡(45)의 결합홈(46)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소정 길이 만큼 상향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출리브(18)의 외면 중앙부분에는 후술하는 캡(45)의 걸림돌기(48)가 밀폐시, 걸림.결합될 수 있도록 걸림홈(50)이 원주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캡(45)의 걸림돌기(48)는 가이드리브(28)의 내면 중앙부분에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통공(40)과 마주하는 캡(45)의 저면에는 원주를 따라 테두리를 형성하는 고정리브(52)가 소정길이 만큼 하향 돌출되어 있고, 이 고정리브(52)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된 일 옆에는 유출공(54)이 뚫려 있다.
또한, 상기 고정리브(52)의 내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는 통공(40)의 내부로 삽입되어 그 내면을 압지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압지부재(56)가 소정 길이 만큼 하향 돌출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압지부재(56)와 고정리브(52)의 사이에는 앞서 언급된 결합홈(46)이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압지부재(56)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압지부재(56)는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 갈수록 완만한 곡면을 갖는 포물선을 그리며 외측으로 볼록하게 휘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압지부재(56)의 압지점(P)은 통공(40)의 내경을 내경(d)으로 가정할 때, 압지력이 작용될 수 있도록 하고자 상기 내경(d)보다 더 큰 내경(D)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압지부재(56)의 중심(O)를 기준으로 하여, 그 하부에 압지점(P) 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부에 압지점(P)가 형성되는 것보다 압지력이 더 강하게 작용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도 3 및 도 4a의 상태에서 음료자가 음료를 마시고자 보호캡(31)를 상승시키게 되면, 이 보호캡(31)의 내면 중앙부분에 형성된 걸림돌기(58)가 캡(45)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턱(60)에 걸리게 되는 상태가 된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보호캡(31)를 더 상승시키게 되면, 캡(45)의 걸림돌기(48)가 배출리브(18)의 걸림홈(50)으로부터 빠져나오면서 연동 상승하게 되고, 계속된 상승으로 걸림돌기(48)는 배출리브(18)의 상부 걸림턱(62)에 걸리게 되면서 더 이상 상승이 이루어지지 않게 됨으로써, 보호캡(31)만이 캡(45)으로부터 자연스럽게 분리된다.
이와 같이 상기 캡(45)이 상승하게 되면, 그와 동시에 통공(40)을 밀폐하고 있던 압지부재(56)의 상승으로 인하여 개방이 이루어짐으로써, 음료는 화살표와 같은 경로를 따라 캡(45)의 유출공(54)으로 흐르게 되어 음용 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음료의 유출을 중단시키고자 상기 캡(45)을 하강시키게 되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차단부재(42)의 고정돌기(44)가 캡(45)의 결합홈(46)으로 삽입되게 된다. 동시에 도 4b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압지부재(56)의 압지점(P)에 대한 내경(D)이 통공(40)의 내경(d) 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어, 삽입되는 고정돌기(44)는 압지점(P)에서 약간 걸리게 되는 상태가 된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캡(45)을 더 강하게 눌러 완전히 하강시키게 되면, 먼저 캡(45)의 걸림돌기(48)는 배출리브(18)의 걸림홈(50)에 삽입되면서 걸림이 이루 어지게 되고, 동시에 압지부재(56)는 오므려지면서 통공(40)으로 삽입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 압지부재(56)가 통공(40)에 삽입되게 되면, 압지부재(56)는 통공(40)의 내주면에 면 밀착되는 상태에서 밀폐되며, 동시에 벌어지려는 압지력이 작용하여 밀폐력을 더 강화시키게 된다.
위와 같이 밀폐와 더불어 밀폐력이 강화되면, 종래의 문제점에서 지적되어 듯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약간의 탄성 변형이 이루어지더라도, 그 탄성 변형에 따라 압지부재(56)의 압지력은 그대로 작용하게 되므로, 틈새가 형성되지 않아 누수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밀폐시에는 상기 캡(45)과 배출리브(18)간에 걸림되는 구조이므로, 종래와 같이 충격에 의한 임의적 상승이 이루어지지 않게 됨으로써, 누수의 차단에 도움을 주게 된다.
본 발명을 사용하게 되면, 상기 통공(40)을 밀폐하는 압지부재(56)만으로도 누수발생이 어려우나, 설사 그 사이를 통하여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고정돌기(44)의 외면과 고정리브(52)의 내면이 면 밀착되는 상태로 밀폐되면서 압지부재(56)의 압지력으로 면 밀착이 더욱 강화됨으로써, 누수된 음료를 한번 더 차단시키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압지부재(56)가 통공(40)을 밀폐하는 1차적인 누수방지와, 상기 고정리브(52)와 고정돌기(44)간에 밀폐되는 2차적인 누수방지를 이용한 이중 차단구조에 의하여 종래의 문제점에서 제기된 누수발생을 완전히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시하고, 또한 설명을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 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뚜껑은, 배출리브의 통공에 캡의 압지부재가 삽입되면서 내면을 압지력에 의해 밀폐력이 강화됨으로써,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 의해 탄성변형을 일으키거나 혹은 마모가 발생하더라도, 누수를 차단시 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캡과 배출리브간에 면 밀착과 압지력의 작용으로 밀폐가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통공으로부터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외부로 누수 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밀폐시에 상기 캡과 배출리브간의 걸림.결합구조에 의해 캡의 임의 적인 상승이 이루지지 않아 음료의 유출을 방지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사용하게 되면, 새로운 타입의 구조로 개선되는 뚜껑을 통하여 개방과 밀폐에 대한 용이한 조작이 그대로 유지되고, 앞서 설명되었듯이 누수를 이중으로 차단하는 기능과, 압지력에 의해 밀폐성과 결합성이 더욱 강화되어 누수에 대한 확실한 차단과, 임의적인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5)

  1. 용기와 소통하도록 내부에 배출공을 형성하면서 상향 돌출된 배출리브를 구비하는 몸체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 되고; 승,하강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가이드리브를 구비하는 캡이 상기 몸체의 외부를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캡의 승,하강 위치에 따라 개방과 밀폐를 이루며, 개방시 배출공을 통과한 음료가 캡을 통해 유출되도록 하는 용기 뚜껑에 있어서,
    상기 배출리브의 배출공에는 음료의 유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중앙에 형성되는 통공과, 통공의 테두리를 따라 상향 돌출된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차단부재가 가로막는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통공과 마주하는 캡의 저면에는 고정돌기의 외면이 내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리브가 하향 돌출되며;
    상기 고정리브의 내면과 간격을 갖도록 이격된 위치에는 상기 고정돌기와 고정리브간에 밀착이 이루어질 때, 통공으로 삽입되어 내주면을 압지하여 할 수 있도록 하는 압지부재가 하향 돌출되어;
    상기 캡의 하강에 따른 밀폐시, 상기 압지부재가 통공의 내주면을 압지하는 밀폐와, 상기 압지부재의 외측으로 삽입되어지는 고정돌기와 고정리브 간의 밀폐에 의하여 누수가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방지 기능을 강화한 용기 뚜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리브 외면에는 밀폐시, 캡의 가이드리브 내면에 형성되는 고정돌기가 걸림.결합되어, 캡의 이동에 의한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방지 기능을 강화한 용기 뚜껑.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지부재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완만한 곡면의 포물선을 그리면서, 압지점이 더 볼록하게 휘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방지 기능을 강화한 용기 뚜껑.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압지점은, 통공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형성하면서, 압지부재의 중심을 기준으로 그 하부에 압지점이 형성되도록 하여, 압지력이 강하게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방지 기능을 강화한 용기 뚜껑.
  5. 제 1항에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리브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는 캡의 상면에는 유출공이 형성되어, 통공을 통과한 음료가 유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방지 기능을 강화한 용기 뚜껑.
KR1020050083130A 2005-09-07 2005-09-07 누수방지 기능을 강화한 용기 뚜껑 KR100654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3130A KR100654008B1 (ko) 2005-09-07 2005-09-07 누수방지 기능을 강화한 용기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3130A KR100654008B1 (ko) 2005-09-07 2005-09-07 누수방지 기능을 강화한 용기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4008B1 true KR100654008B1 (ko) 2006-12-05

Family

ID=37732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3130A KR100654008B1 (ko) 2005-09-07 2005-09-07 누수방지 기능을 강화한 용기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40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2991A (ko) 2020-01-17 2021-07-27 영진에스피공업 주식회사 원터치형 음료용기 병뚜껑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76205A2 (en) 1984-09-25 1986-04-02 Sun Coast Plastics, Inc. A closure cap
JPH0840444A (ja) * 1994-07-29 1996-02-13 Toppan Printing Co Ltd 薄肉ボトル用のボトルキャップ
JPH08244820A (ja) * 1995-03-10 1996-09-24 Toppan Printing Co Ltd 容器の封止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76205A2 (en) 1984-09-25 1986-04-02 Sun Coast Plastics, Inc. A closure cap
JPH0840444A (ja) * 1994-07-29 1996-02-13 Toppan Printing Co Ltd 薄肉ボトル用のボトルキャップ
JPH08244820A (ja) * 1995-03-10 1996-09-24 Toppan Printing Co Ltd 容器の封止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2991A (ko) 2020-01-17 2021-07-27 영진에스피공업 주식회사 원터치형 음료용기 병뚜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43733T3 (es) Vaso y tapa de encastre y cierre hermetico.
RU2493076C2 (ru) Комплект из контейнера и крышки
CA2443402C (en) A closure
CN111148699A (zh) 用于容器的具有改善的密封性的盖子
US4109816A (en) Plastic cap for bottle
EP2468654B1 (en) Closure for a container
JP4160899B2 (ja) 弁付蓋アセンブリ
JP2007126174A (ja) コップ蓋
JP6859778B2 (ja) キャップの封止構造
CA2671494A1 (en) Closure
KR100654008B1 (ko) 누수방지 기능을 강화한 용기 뚜껑
ES2389859T3 (es) Cierre para un empaque
US6089415A (en) Valve for a pressure container
PL178202B1 (pl) Zamknięcie do butelki lub podobnego pojemnika
US3120908A (en) One-piece plastic resealing spout
US10800582B2 (en) Beverage can lid
US20210070509A1 (en) Closure
JP5073405B2 (ja) ヒンジキャップ
JP2007084074A (ja) 中栓、中栓付複合容器蓋及びワンピースキャップ
KR100704782B1 (ko) 개전이 용이한 용기 뚜껑
JP4878879B2 (ja) ヒンジキャップ
WO2018168281A1 (ja) スリットバルブ付きキャップ
KR200234296Y1 (ko) 이중 병마개에 있어 겉마개의 결속구조
EP3823905B1 (en) Dispensing closure with venting passages
EP0520118B1 (en) Container with a non-removable clos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