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2994B1 - 분사재료 간이저장조 - Google Patents

분사재료 간이저장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2994B1
KR100702994B1 KR1020050124181A KR20050124181A KR100702994B1 KR 100702994 B1 KR100702994 B1 KR 100702994B1 KR 1020050124181 A KR1020050124181 A KR 1020050124181A KR 20050124181 A KR20050124181 A KR 20050124181A KR 100702994 B1 KR100702994 B1 KR 100702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material
case
storage space
guide plate
spr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4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만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4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29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2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2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56Means for regulating the pressure in the cartri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63Ink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9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for removing air bubbles

Landscapes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사재료 간이저장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분사재료(33)가 저장되는 저장공간(31)이 형성되고 상단부에 외부로부터 분사재료(33)를 공급받는 유입파이프(35)가 구비되며 하단부에 노즐로 분사재료(33)를 전달하는 배출구(41)가 형성되는 케이스(30)와, 상기 저장공간(31)의 내부에 저장된 분사재료(33) 상에 떠서 위치되는 플로우터(45)와, 상기 플로우터(45)에 지지되어 설치되고 유입파이프(35)를 통해 낙하되는 분사재료(33)의 불순물을 걸러주는 필터링부(51)와, 상기 필터링부(51)를 통과한 분사재료(33)를 상기 저장공간(31)에 저장된 분사재료(33)로 흘러가도록 중앙부분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고, 상기 케이스(30)의 내면과 가장자리 사이에 틈새를 구비하여 분사재료(33)가 케이스(30)의 내면을 따라 흘러내리도록 하는 가이드판(4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내부의 저장공간으로 분사재료가 공급되는 과정에서 기포가 발생하지 않고, 분사재료에 섞여서 들어온 불순물이 제거되어 노즐로 공급된 분사재료가 보다 원활하게 분사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분사재료, 저장조, 노즐, 잉크

Description

분사재료 간이저장조{Jet-material sub-reservoir}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분사재료 간이저장조의 구성을 보인 개략단면도.
도 2는 다른 종래 기술에 의한 분사재료 간이저장조의 구성을 보인 개략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분사재료 간이저장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개략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필터링부와 가이드판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케이스 31: 저장공간
33: 분사재료 35: 유입파이프
37: 공기입출파이프 39: 기포제거구
41: 배출구 43: 히터
45: 플로우터 47: 가이드판
49: 지지대 51: 필터링부
본 발명은 분사재료 간이저장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상물에 노즐을 사용하여 분사하여 대상물에 원하는 형상이나 색상을 구현되게 하는 분사재료를 노즐로 공급하기 전에 임시로 저장하는 분사재료 간이저장조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분사재료의 일예로서 잉크를 들 수 있다. 상기 분사재료인 잉크는 잉크젯 프린터 등의 노즐에서 분사되어 원하는 형상이나 색상 등을 구현한다.
최근에 액정디스플레이나 플라즈마디스플레이와 같은 평판디스플레이를 제작함에 있어 패턴의 형성 등을 분사재료를 기판에 분사하여 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평판디스플레이를 생산하기 위해 분사재료를 사용하는 경우 분사재료를 지속적으로 공급하여야 한다. 따라서, 메인탱크와 간이저장조를 두고 간이저장조에는 노즐로 바로 공급될 수 있는 상태의 분사재료를 상기 메인탱크로부터 항상 일정량 이상 받아 임시 저장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간이저장고의 내부 구성이 개략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따르면, 케이스(1)의 내부에는 소정의 저장공간(3)이 형성되고, 상기 저장공간(3)의 내부에는 분사재료(5)가 일정 수준 이상 저장된다. 상기 케이스(1)의 상단을 관통하여서는 유입파이프(6)가 설치된다. 상기 유입파이프(6)는 메인탱크에서 전달되는 분사재료(5)를 상기 저장공간(3)의 내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케이스(1)의 상단에는 또한 공기입출파이프(7)가 설치된다. 상기 공기입출파이프(7)는 상기 저장공간(3) 내외부로 공기가 입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공기입출파이프(7)의 끝부분은 상기 유입파이프(6)보다 높은 위치에 있도록 된다.
상기 케이스(1)의 하단부 일측을 관통하여서는 유출구(8)가 형성된다. 상기 유출구(8)는 상기 저장공간(3) 내부의 분사재료(5)를 외부로 배출하는 부분이다. 상기 유출구(8)에는 노즐과 연통되는 연통파이프(도시되지 않음) 등이 설치된다.
상기 케이스(1)에는 히터(9)가 구비된다. 상기 히터(9)는 상기 케이스(1)의 내부로 열을 공급하여 상기 분사재료(5)의 점성 등의 특성을 적절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도 2에 도시된 다른 종래 기술에 의한 분사재료 간이저장조의 구성을 살펴본다.
케이스(11)의 내부에는 소정의 저장공간(13)이 형성되고, 상기 저장공간(13)의 내부에는 분사재료(5)가 일정 수준 이상 저장된다. 상기 케이스(11)의 상단을 관통하여서는 유입파이프(16)가 설치된다. 상기 유입파이프(16)는 메인탱크에서 전달되는 분사재료(5)를 상기 저장공간(13)의 내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케이스(11)의 상단에는 또한 공기입출파이프(17)가 설치된다. 상기 공기입출파이프(17)는 상기 저장공간(13) 내외부로 공기가 입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공기입출파이프(17)의 끝부분은 상기 유입파이프(16)보다 높은 위치에 있도록 된다. 상기 케이스(11)를 관통하여서는 또한 기포제거구(17')가 구비된다. 상기 기포제거구(17')는 선단이 상기 분사재료(5)내에 있고, 입구에 분사재료(5)는 통과할 수 없고, 공기만이 통과할 수 있는 막이 구비되어 에어펌프(도시되지 않음) 에서 제공되는 진공압에 의해 분사재료(5)중의 기포를 제거한다.
상기 케이스(11)의 하단부 일측을 관통하여서는 유출구(18)가 형성된다. 상기 유출구(18)는 상기 저장공간(13) 내부의 분사재료(5)를 외부로 배출하는 부분이다. 상기 유출구(18)에는 노즐과 연통되는 연통파이프(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1)에는 히터(19)가 구비된다. 상기 히터(19)는 상기 케이스(11)의 내부로 열을 공급하여 상기 분사재료(5)의 점성 등의 특성을 적절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들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상기 유입파이프(6,16)를 통해 상기 저장공간(3,13) 내부로 들어오는 분사재료(5)는 유입파이프(6,16)의 끝부분에서 낙하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저장공간(3,13) 내부에 저장되어 있던 분사재료(5)에 저장공간(3,13) 내부에 있던공기가 섞이면서 기포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분사재료(5)의 내부에 기포가 발생하면 이 기포가 노즐에서 분사재료(5)가 분사되는 것을 방해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포제거구(17')를 사용하지만, 발생된 기포를 완전히 제거하지는 못한다.
그리고, 메인탱크에서 간이저장조의 저장공간(3,13)으로 분사재료가 전달되는 과정에서 제거되지 못한 불순물이 상기 케이스(1,11)의 저장공간(3,13)으로 전달되어 분사재료(5)에 섞이는 문제점도 있다. 특히, 상기 저장공간(3,13) 내부에는 분순물을 걸러줄 수 있는 구성이 전혀 없어 간이저장조의 저장공간(3,13)으로 전달된 불순물은 그대로 노즐로 전달되어 노즐 막힘의 원인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간이저장조의 내부로 분사재료가 공급되는 과정에서 기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이저장조의 내부로 전달되는 분사재료에 섞여 있는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분사재료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단부에 외부로부터 분사재료를 공급받는 유입파이프가 구비되며 하단부에 노즐로 분사재료를 전달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저장공간의 내부에 저장된 분사재료 상에 떠서 위치되는 플로우터와, 상기 플로우터에 지지되어 설치되고 유입파이프를 통해 낙하되는 분사재료의 불순물을 걸러주는 필터링부와, 상기 플로우터에 지지되어 설치되고 상기 필터링부를 통과한 분사재료를 저장공간에 있는 분사재료로 안내하는 가이드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판은 그 중앙부에 비해 가장자리의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분사재료가 가이드판의 가장자리로 유동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판의 가장자리와 상기 케이스의 저장공간 내면 사이에는 분사재료가 낙하될 수 있는 틈새가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는 공기입출파이프가 더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의 저장공간 내외부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분사재료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단부에 외부로부터 분사재료를 공급받는 유입파이프가 구비되며 하단부에 노즐로 분사재료를 전달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저장공간의 내부에 저장된 분사재료 상에 떠서 위치되는 플로우터와, 상기 플로우터에 지지되어 설치되고 유입파이프를 통해 낙하되는 분사재료의 불순물을 걸러주는 필터링부와, 상기 필터링부를 통과한 분사재료를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된 분사재료로 흘러가도록 중앙부분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고, 상기 케이스의 내면과 가장자리 사이에 틈새를 구비하여 분사재료가 케이스의 내면을 따라 흘러내리도록 하는 가이드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저장공간 내부의 분사재료에 열을 가해 분사재료의 물성을 조절할 수 있는 히터가 더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는 케이스의 내외부로 공기가 입출되게 하는 공기입출파이프가 더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의 상단을 관통하여서는 상기 필터링부나 분사재료의 내부에 있는 기포를 제거하는 기포제거구가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분사재료 간이저장조에서는 내부의 저장공간으로 분사재료가 공급되는 과정에서 기포가 발생하지 않고, 분사재료에 섞여서 들어온 불순물이 제거되어 노즐로 공급된 분사재료가 보다 원활하게 분사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분사재료 간이저장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분사재료 간이저장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개략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필터링부와 가이드판의 구성이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케이스(30)의 내부에는 소정의 저장공간(31)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30)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된다. 하지만, 상기 케이스(30)의 형상이 반드시 그러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원통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저장공간(31)의 내부에는 일정 레벨로 분사재료(33)가 저장된다. 상기 분사재료(33)의 일예로는 잉크젯 프린터 등에서 사용되는 잉크가 있다.
상기 케이스(30)의 상단을 관통하여서는 유입파이프(35)가 설치된다. 상기 유입파이프(35)는 메인탱크(도시되지 않음)에서 공급된 분사재료(33)를 상기 저장공간(31)의 내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유입파이프(35)의 하단은 상기 분사재료(33)의 레벨보다 높은 위치에 있다.
상기 케이스(30)의 상단을 관통하여서는 공기입출파이프(37)가 설치된다. 상기 공기입출파이프(37)는 분사재료(33)의 레벨이 달라짐에 따라 상기 저장공간(31) 내외부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케이스(30)의 상단을 관통하여서는 기포제거구(39)가 설치된다. 상기 기포제거구(39)는 그 입구에 분사재료(33)는 통과할 수 없고, 공기만이 통과할 수 있는 막을 구비하고 에어펌프(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제공되는 진공압에 의해 기포를 제거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기포제거구(39)의 선단은 아래에서 설명될 필터링부(51)에 접촉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기포제거구(39)를 통해서는 상기 필터링부(51)로부터 공기를 제거하게 된다. 물론, 상기 기포제거구(39)의 선단을 필터링부(51)와 가이드판(47)을 관통하여 상기 분사재료(33) 내부에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30)의 하단에는 상기 저장공간(31)의 분사재료(33)를 외부, 즉 노즐(도시되지 않음)로 방출하는 배출구(4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출구(41)는 상기 케이스(30)의 가장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분사재료(33)가 중력에 의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케이스(30)에는 또한 히터(43)가 설치된다. 상기 히터(43)는 상기 저장공간(31) 내부의 분사재료(33)의 온도를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히터(43)가 상기 케이스(30)의 외면 일측에만 설치된 것으로 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며, 상기 분사재료(33)의 온도를 적절히 제어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공간(31) 내부의 분사재료(33)상에는 플로우터(45)가 구비된다. 상기 플로우터(45)는 상기 분사재료(33)상에 뜰 수 있는 부력을 가진 것이다. 상기 플로우터(45)는 저장공간(31)의 횡단면적에 따라 그 갯수가 달리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저장공간(31)의 네 모서리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하나씩 총 4개가 구비된다.
상기 플로우터(45)에는 가이드판(47)이 지지된다. 상기 가이드판(47)은 상기 저장공간(31)의 횡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다. 물론, 상기 가이드판(47)의 가장자리와 상기 케이스(30)의 내면 사이에는 어느 정도의 틈새가 있도록 치수설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틈새는 상기 가이드판(47)을 따라 흘러 내린 분사재료(33)가 상기 케이스(30)의 내면을 따라 상기 저장공간(31)에 저장된 분사재료(33)로 흘러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판(47)은 그 중앙부분의 높이가 높고, 가장자리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게 되어 있다. 즉, 가이드판(47)의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이드판(47)을 평면도로 볼 때, 사각형의 서로 대응되는 모서리를 연결하는 대각선에 의해 만들어지는 4개의 삼각형 부분이 각각 경사진 면을 형성하도록 가이드판(47)이 구성된다. 하지만, 가이드판(47)의 상면에 낙하된 분사재료(33)가 가이드판(47)의 가장자리로 자연적으로 흘러갈 수 있도록 된다면, 가이드판(47)의 구성은 어떠하여도 상관없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가이드판(47)은 상기 유입파이프(35)에서 낙하되는 분사재료(33)가 저장공간(31)에 저장된 분사재료(33)로 직접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저장공간(31)에 저장된 분사재료(33)에 공급되는 분사재료(33)가 낙하할 때 기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판(47)의 상부에는 지지대(49)에 의해 필터링부(51)가 설치된다. 상기 필터링부(51)는 낙하되는 분사재료(33)에 섞여 있는 불순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필터링부(51)는 액체상태인 분사재료(33)가 통과하고 일정 크기 이 상의 불순물은 통과할 수 없는 메쉬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물론, 상기 필터링부(51)도 저장공간(31)에 저장된 분사재료(33)에 공급되는 분사재료(33)가 직접 낙하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참고로, 상기 가이드판(47)과 필터링부(51)는 상기 플로우터(45)에 의해 분사재료(33)상에 떠 있게 되는데, 이를 위한 구성은 도면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플로우터(45)에 가이드판(47)이 지지되고, 상기 가이드판(47)상에 설치된 지지대(49)에 의해 필터링부(51)가 지지된다. 하지만, 상기 플로우터(45)에 별도의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에 가이드판(47)과 필터링부(51)가 차례로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분사재료 간이저장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간이저장조에는 항상 일정 수위 이상의 분사재료(33)가 채워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분사재료(33)가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작업이 진행되면, 상기 케이스(30)의 저장공간(31) 내부로는 상기 유입파이프(35)를 통해 분사재료(33)가 지속적으로 공급되어야 한다.
상기 유입파이프(35)를 통해 공급되는 분사재료(33)는 유입파이프(35)의 끝단에서 낙하되어, 상기 필터링부(51)에 떨어진다. 상기 필터링부(51)에 떨어진 분사재료(33)는 필터링부(51)를 통과하면서 불순물이 제거된다. 상기 필터링부(51)를 통과한 분사재료(33)는 상기 가이드판(47)상에 낙하된다.
상기 가이드판(47)상에 낙하된 분사재료(33)는 가이드판(47)의 경사를 따라 가이드판(47)의 가장자리로 이동되고, 가이드판(47)의 가장자리에서 케이스(30)의 내면을 따라 흘러 저장공간(31)에 저장된 분사재료(33)상으로 낙하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판(47)의 가장자리와 상기 분사재료(33)의 표면 사이는 상기 플로우터(45)의 높이 정도의 높이차만이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플로우터(45)의 높이를 적절하게 설정하면, 가이드판(47)의 가장자리에서 낙하된 분사재료(33)가 저장공간(31)에 저장된 분사재료(33)의 표면으로 떨어지더라도 기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가이드판(47)과 케이스(30) 내면 사이의 틈새는 상대적으로 덜 넓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기포제거구(39)는 상기 필터링부(51) 등에서 기포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즉, 공기만이 통과할 수 있는 막을 통해 진공압력에 의해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여 필터링부(51)나 분사재료(33) 내부의 기포를 제거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히터(43)는 상기 저장공간(31) 내부에 저장된 분사재료(33)의 온도가 정해진 값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온도센서(도시되지 않음) 등에 의해 감지된 분사재료(33)의 온도에 기초하여 그 동작이 제어되면서 분사재료(33)가 적절한 점성 등의 물성을 가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케이스(30)의 저장공간(31)으로 전달된 분사재료(33)는 불순물이 제거되고, 가이드판(47)에 의해 기포발생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히터(43)에 의해 적절한 점성 등의 물성을 가지도록 만들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간이저장조로 전달되어 상기 저장공간(31)에 저장된 분사재료(33)는 노즐에서 원활하게 분사될 수 있는 최적의 물성을 가지게 되고, 상기 배출구(41)를 통해 노즐로 전달되어 분사될 때, 설계된 대로 대상물에 분사되어 원하는 작업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될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상기 필터링부(51)가 가이드판(47)의 역할까지 겸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필터링부(51)에서 저장공간(31)에 저장된 분사재료(33)의 표면까지의 높이차를 기포가 발생하지 않을 정도로 할 수 있다면, 가이드판(47)을 제거하여도 상관없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분사재료 간이저장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간이저장조의 저장공간 내부로 전달되는 분사재료가 저장공간 내부에 저장된 분사재료의 표면으로 직접 낙하되지 않고, 적어도 필터링부나 가이드판에 의해 안내되어 낙하된다. 따라서, 분사재료가 저장공간으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기포가 발생하는 것이 차단되어 분사재료가 최적의 상태에서 노즐로 공급되어 원활하게 분사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필터링부가 저장공간의 내부로 전달되는 분사재료에 섞인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이전의 경로에서 분사재료에 불순물이 섞이더라도 간이저장조의 필터링부에서 제거되어 분사재료가 최적의 상태로 노즐로 공급되어 원활하게 분사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내부에 분사재료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단부에 외부로부터 분사재료를 공급받는 유입파이프가 구비되며 하단부에 노즐로 분사재료를 전달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저장공간의 내부에 저장된 분사재료 상에 떠서 위치되는 플로우터와,
    상기 플로우터에 지지되어 설치되고 유입파이프를 통해 낙하되는 분사재료의 불순물을 걸러주는 필터링부와,
    상기 플로우터에 지지되어 설치되고 상기 필터링부를 통과한 분사재료를 저장공간에 있는 분사재료로 안내하는 가이드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재료 간이저장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은 그 중앙부에 비해 가장자리의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분사재료가 가이드판의 가장자리로 유동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재료 간이저장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의 가장자리와 상기 케이스의 저장공간 내면 사이에는 분사재료가 낙하될 수 있는 틈새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재료 간이저장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는 공기 입출파이프가 더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의 저장공간 내외부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재료 간이저장조.
  5. 내부에 분사재료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단부에 외부로부터 분사재료를 공급받는 유입파이프가 구비되며 하단부에 노즐로 분사재료를 전달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저장공간의 내부에 저장된 분사재료 상에 떠서 위치되는 플로우터와,
    상기 플로우터에 지지되어 설치되고 유입파이프를 통해 낙하되는 분사재료의 불순물을 걸러주는 필터링부와,
    상기 필터링부를 통과한 분사재료를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된 분사재료로 흘러가도록 중앙부분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고, 상기 케이스의 내면과 가장자리 사이에 틈새를 구비하여 분사재료가 케이스의 내면을 따라 흘러내리도록 하는 가이드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재료 간이저장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저장공간 내부의 분사재료에 열을 가해 분사재료의 물성을 조절할 수 있는 히터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재료 간이 저장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는 케이스의 내외부로 공기가 입출되게 하는 공기입출파이프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재료 간이저장조.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제 5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단을 관통하여서는 상기 필터링부나 분사재료의 내부에 있는 기포를 제거하는 기포제거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재료 간이저장조.
KR1020050124181A 2005-12-15 2005-12-15 분사재료 간이저장조 KR100702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4181A KR100702994B1 (ko) 2005-12-15 2005-12-15 분사재료 간이저장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4181A KR100702994B1 (ko) 2005-12-15 2005-12-15 분사재료 간이저장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2994B1 true KR100702994B1 (ko) 2007-04-06

Family

ID=38160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4181A KR100702994B1 (ko) 2005-12-15 2005-12-15 분사재료 간이저장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29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220B1 (ko) * 2015-03-17 2016-06-23 주식회사 애드마켓 부유 필터를 구비한 재생 잉크 충전장치
KR102058232B1 (ko) * 2017-12-11 2019-12-20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혼합액 분무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7220A (ja) * 1998-02-13 1999-08-24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7220A (ja) * 1998-02-13 1999-08-24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1227220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220B1 (ko) * 2015-03-17 2016-06-23 주식회사 애드마켓 부유 필터를 구비한 재생 잉크 충전장치
KR102058232B1 (ko) * 2017-12-11 2019-12-20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혼합액 분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5063B2 (en) Filter device and liquid drop ejecting device
JP5085249B2 (ja) インク供給機構
US9827777B2 (en) Liquid management system
JP6578888B2 (ja) 液体吐出装置及び中間貯留体
JP2002527273A (ja) インク供給システム
JP2009083374A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用液体貯留タンク
JP6554982B2 (ja) 液体噴射装置及び液体供給装置
EP3263343B1 (en) Liquid discharge device and intermediate retaining body
KR20100085412A (ko) 잉크젯 헤드 및 그 잉크 공급 방법
US8721015B2 (en) Functional liquid tank, method for replenishing functional liquid in droplet dicharge device, and droplet discharge device
KR100702994B1 (ko) 분사재료 간이저장조
US20040189760A1 (en) Ink jet recording head cartridge
JP2018158557A (ja) インク循環装置
JP2010173241A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2006247862A (ja) 液体供給装置及びパターニング装置
JP2009078395A (ja) インクフィルタ装置
JP2006240158A (ja) 液体吐出方法及び装置
CN108357213B (zh) 液体喷出装置及液体喷出装置的驱动方法
KR102475197B1 (ko) 액상물질 토출장치 및 액상물질 토출방법
US11685161B2 (en) Ink tank for liquid chemical discharging apparatus and liquid chemical discharg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239113B1 (ko) 기포차폐부가 구비된 약액공급장치
JP2009166002A (ja) 溶液の塗布装置及び塗布方法
JP2002321383A (ja) 着色剤リザーバ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