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2365B1 - 차량 엔진의 연료 효율 개선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엔진의 연료 효율 개선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2365B1
KR100702365B1 KR1020040102347A KR20040102347A KR100702365B1 KR 100702365 B1 KR100702365 B1 KR 100702365B1 KR 1020040102347 A KR1020040102347 A KR 1020040102347A KR 20040102347 A KR20040102347 A KR 20040102347A KR 100702365 B1 KR100702365 B1 KR 100702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ipe
discharge pipe
ring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2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3233A (ko
Inventor
유호상
Original Assignee
유호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호상 filed Critical 유호상
Priority to KR1020040102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2365B1/ko
Publication of KR20060063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3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2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2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7/00Apparatus for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by catalysts, electric means, magnetism, rays, sound waves, or the like
    • F02M27/04Apparatus for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by catalysts, electric means, magnetism, rays, sound waves, or the like by electric means, ionisation, polarisation or magnetism
    • F02M27/042Apparatus for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by catalysts, electric means, magnetism, rays, sound waves, or the like by electric means, ionisation, polarisation or magnetism by plasm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51/00Other methods of operating engines involving pretreating of, or adding substances to, combustion air, fuel, or fuel-air mixture of the engines
    • F02B51/04Other methods of operating engines involving pretreating of, or adding substances to, combustion air, fuel, or fuel-air mixture of the engines involving electricity or magnetis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242Devices or means connected to or integrated into air intakes; Air intakes combined with other engine or vehicl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314Materials for intake systems
    • F02M35/10334Foams; Fabrics; Porous media; Laminates; Ceramics; Coat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전체로 이루어진 방전 파이프와; 상기 방전 파이프와 접속된 접지 라인과; 상기 방전 파이프의 입구단과 출구단 내측에 각각 등간격으로 설치된 다수개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사이에 결합된 지지링으로 이루어진 서포터와; 양단이 상기 서포터에 의해 지지되어 방전 파이프 내부에 설치된 전극 파이프와; 상기 전극 파이프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한 다수개의 전극 돌기와; 상기 전극 파이프와 연결된 고전압라인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엔진의 연소 효율 개선 장치를 제공한다.
방전 파이프, 전극 파이프, 전극 돌기

Description

차량 엔진의 연료 효율 개선 장치 및 그 제조 방법{COMBUSTION EFFICIENCY IMPROVEMENT DEVICE FOR VEHICLE ENGIN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엔진의 연소 효율 유도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엔진의 연료 효율 개선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 엔진의 연료 효율 개선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 엔진의 연료 효율 개선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의 응용예에 따른 차량 엔진의 연료 효율 개선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차량 엔진의 연료 효율 개선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에 따른 차량 엔진의 연료 효율 개선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엔진의 연료 효율 개선 장치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도 2)
110 : 방전 파이프 120 : 접지 라인
130 : 서포터 140 : 전극 파이프
150 : 전극 돌기 160 : 고전압라인
(도 3)
210 : 방전 파이프 220 : 접지 라인
230 : 서포터 240 : 절연 파이프
250 : 전극 링 260 : 고전압라인
(도 4 및 도 5)
310 : 방전 플레이트 리브 320 : 방전 플레이트
330 : 전극 플레이트 리브 340 : 전극 플레이트
350 : 고전압라인
(도 6)
510 : 서포터 520 : 방전 파이프
530 : 전극 링 540 : 전원 라인
(도 7)
610 : 링 리브 620 : 방전 파이프
630 : 전극 링 640 : 전원 라인
(도 8)
S100 : 압출 단계 S200 : 절단 단계
S300 : 외주면 가공 단계 S400 : 금 코팅 단계
본 발명은 차량 엔진의 연소 효율 개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 엔진의 에어 클리너와 흡기 매니폴드의 공기 이동 경로상에 설치되어 연소 효율 향상 및 배기가스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연소 효율 개선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내연 기관은 실린더 안에서 연료를 폭발/연소시켜 연소 가스를 발생시키고 이를 이용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는 열기관으로서, 엔진 내의 연소실에 액체 또는 기체 연료가 들어가서 공기와 함께 연소되어 열에너지를 역학 에너지로 변화시키는 것이다.
종래의 내연 기관은 연료의 불완전 연소로 인해 연소 효율이 70% 내외로 낮아 에너지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으며, 연소되지 못한 연료들은 완전히 기화되지 못한 상태에서 그대로 배기 가스로 배출되어 환경 오염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한편, 도 1에는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엔진의 연소 효율 유도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 차량 엔진의 연소 효율 유도 장치는 공기 저항이 클 뿐만 아니라 플라즈마 방전 용량이 소량에 불과하여 연소 효율을 높이거나 배기 가스의 불순물을 제거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 차량 엔진의 연소 효율 유도 장치는 주파수 또는 고압에 의한 노이즈가 발생하며, 밀폐가 용이하지 않아 외부 공기가 흡입될 위험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 저항이 적고 대용량 플라즈마 방전이 가능한 차량 엔진의 연소 효율 개선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착이 용이하고 노이즈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외부 공기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차량 엔진의 연소 효율 개선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전체로 이루어진 방전 파이프와; 상기 방전 파이프와 접속된 접지 라인과; 상기 방전 파이프의 입구단과 출구단 내측에 각각 등간격으로 설치된 다수개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사이에 결합된 지지링으로 이루어진 서포터와; 양단이 상기 서포터에 의해 지지되어 방전 파이프 내부에 설치된 전극 파이프와; 상기 전극 파이프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한 다수 개의 전극 돌기와; 상기 전극 파이프와 연결된 고전압라인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엔진의 연소 효율 개선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전체로 이루어진 방전 파이프와; 상기 방전 파이프와 접속된 접지 라인과; 상기 방전 파이프의 입구단과 출구단 내측에 각각 등간격으로 설치된 다수개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사이에 결합된 지지링으로 이루어진 서포터와; 양단이 상기 서포터에 의해 지지되어 방전 파이프 내부에 설치된 절연 파이프와; 각각 외주면에 다수개의 전극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절연 파이프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결합된 다수개의 전극 링과; 상기 전극 링과 각각 병렬 연결된 고전압라인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엔진의 연소 효율 개선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에어 클리너의 출구단에 형성한 다수개의 방전 플레이트 리브와; 상기 방전 플레이트 리브에 설치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방전 플레이트와; 상호 인접한 방전 플레이트 리브 사이에 형성한 전극 플레이트 리브와; 상/하측에 다수개의 전극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전극 플레이트 리브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극 플레이트와; 상기 전극 플레이트와 각각 연결된 고전압라인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엔진의 연소 효율 개선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리, 알루미늄, 텅스텐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원재료를 파이프 모양으로 압출 성형하는 압출 단계와; 상기 파이프 모양의 압출 성형체를 미리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 단계와; 상기 절단된 파이프 성형체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쐐기 모양을 형성하는 외주면 가공 단계와; 상기 파이프 성형체의 외주면에 금 코팅 처리를 하는 금 코팅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엔 진의 연소 효율 개선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엔진의 연료 효율 개선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엔진의 연료 효율 개선 장치(100)는 방전 파이프(110), 접지 라인(120), 서포터(130), 전극 파이프(140), 전극 돌기(150) 및 고전압라인(160)을 포함한다.
상기 방전 파이프(110)는 도전 재질로 이루어진 파이프형의 부재이다.
상기 접지 라인(120)은 방전 파이프(110)와 접속된 도전 부재이다.
상기 서포터(130)는 방전 파이프(110) 내부에 전극 파이프(140)를 설치하기 위한 고정 부재이다. 상기 서포터(130)는 방전 파이프(110)의 입구단과 출구단 내측에 각각 등간격으로 설치된 다수개의 지지대(132)와, 상기 지지대(132) 사이에 결합된 지지링(13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대(132)는 공기 이동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공기 저항을 최소화한다.
상기 전극 파이프(140)는 도전 재질로 이루어진 파이프 모양의 부재이며, 전 원 공급시 + 고전압이 인가되는 부분이다. 상기 전극 파이프(140)는 양단이 상기 서포터(130)에 의해 지지되어 방전 파이프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전극 파이프(140)는 구리, 알루미늄, 텅스텐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극 돌기(150)는 전극 파이프(140)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한 다수개의 돌기물이다. 상기 전극 돌기(150)는 단부를 뾰족하게 형성한다. 상기 전극 돌기(150)를 포함한 전극 파이프(140)의 외주면은 금코팅 혹은 백금코팅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전압라인(160)은 전극 파이프(140)와 연결된 도전 부재이다. 상기 고전압라인(160)은 차량의 전원 공급부(배터리)와 전극 파이프(14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엔진의 연소 효율 개선 장치는 전극 파이프의 외주면 전체에 형성한 수많은 전극 돌기에 의해 대용량 플라즈마 방전이 발생하고, 공기 흐름에 대한 저항 요소가 적어 균일한 풍속을 가진 공기가 엔진 내부로 공급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 엔진의 연료 효율 개선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 엔진의 연료 효율 개선 장치(200)는 방전 파이프(210), 접지 라인(220), 서포터(230), 절연 파이프(240), 전극 링(250) 및 고전압라인(260)을 포함한다.
상기 방전 파이프(210)는 도전 재질로 이루어진 파이프형의 부재이다.
상기 접지 라인(220)은 방전 파이프(210)와 접속된 도전 부재이다.
상기 서포터(230)는 방전 파이프(210) 내부에 절연 파이프(240)를 설치하기 위한 고정 부재이다. 상기 서포터(230)는 상기 방전 파이프(210)의 입구단과 출구단 내측에 각각 등간격으로 설치된 다수개의 지지대(232)와, 상기 지지대(232) 사이에 결합된 지지링(23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대(232)는 공기 이동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공기 저항을 최소화한다.
상기 절연 파이프(240)는 절연 재질로 이루어진 파이프 모양의 부재이다. 상기 절연 파이프(240)는 양단이 상기 서포터(230)에 의해 지지되어 방전 파이프(210)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전극 링(250)은 절연 파이프(240)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결합된 다수개의 링형 부재로서 + 고전압이 인가되는 부분이다. 상기 전극 링(250)은 구리, 알루미늄, 텅스텐 등 도전 재질로 이루어지며, 표면이 금 코팅 혹은 백금 코팅 처리된다. 상기 전극 링(250)은 각각 외주면에 다수개의 전극 돌기(252)를 구비하며, 상기 절연 파이프(240)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결합된다.
상기 고전압라인(260)은 전극 링(250)과 각각 병렬 연결된 도전 부재이다. 상기 고전압라인(260)은 차량의 전원 공급부(배터리)와 전극 링(25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 엔진의 연소 효율 개선 장치는 절연 파이프(240) 외주면에 설치된 다수개의 전극 링(250)을 통해 공기 이동 경로 상에 연속 적인 플라즈마 방전이 발생하게 되므로, 다단계로 불순물 제거 및 공기 흐름 균일화 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 엔진의 연료 효율 개선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의 응용예에 따른 차량 엔진의 연료 효율 개선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 엔진의 연료 효율 개선 장치(300)는 방전 플레이트 리브(310), 방전 플레이트(320), 전극 플레이트 리브(330), 전극 플레이트(340) 및 고전압라인(350)을 포함하며, 에어 클리너(A) 내부에 직접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 엔진의 연료 효율 개선 장치는 에어클리너(A) 내부에 설치되므로, 불순물을 사전에 제거하고 공기 속도를 균일화한 최상의 공기를 엔진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방전 플레이트 리브(310)는 방전 플레이트(320)를 설치하기 위해 에어 클리너(A)의 출구단에 형성한 다수개의 구조물이다.
상기 방전 플레이트(320)는 도전 재질로 이루어진 판형 부재이다. 상기 방전 플레이트(320)는 에어 클리너(A)의 폭방향 길이에 대응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방전 플레이트 리브(310)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방전 플레이트(320)는 응용예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로 분할하여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전극 플레이트 리브(330)는 전극 플레이트(340)를 설치하기 위해 상호 인접한 방전 플레이트 리브(310) 사이에 형성한 다수개의 구조물이다.
상기 전극 플레이트(340)는 도전 재질로 이루어진 판형 부재이다. 상기 전극 플레이트(340)는 에어 클리너(A)의 폭방향 길이에 대응한 길이를 가지며, 상/하측에 다수개의 전극 돌기(342)를 구비하며, 상기 전극 플레이트 리브(330)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전극 플레이트(340)는 금 코팅 혹은 백금 코팅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극 플레이트(340)는 응용예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로 분할하여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고전압라인(350)은 전극 플레이트(340)와 각각 연결된 도전 부재이다. 상기 고전압라인(350)은 차량의 전원 공급부(배터리)와 전극 플레이트(34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 엔진의 연소 효율 개선 장치는 에어 클리너(A) 내부에 설치된 다수개의 방전 플레이트(320) 및 전극 플레이트(340)에 의해 강력한 플라즈마 방전이 발생하므로, 불순물이 제거된 상태에서 균일한 속도를 가진 공기가 에어 클리너(A)로부터 엔진으로 공급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차량 엔진의 연료 효율 개선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차량 엔진의 연료 효율 개선 장치(500)는 서포터(510), 방전 파이프(520), 전극 링(530) 및 전원 라인(540)을 포함하며, 에어 클리너(A) 내에 직접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차량 엔진의 연료 효율 개선 장치는 에어클리너(A) 내부에 설치되므로, 불순물을 사전에 제거하고 공기 속도를 균일화한 최상의 공기를 엔진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서포터(510)는 방전 파이프(520)를 에어 클리너(A) 내에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이다. 상기 서포터(510)는 원형 링 모양을 가지며 에어 클리너(A) 출구단에 설치된 서포터 바디(512)와, 상기 서포터 바디(512)에서 내측으로 형성한 다수개의 연결 부재(514)와, 상기 연결 부재(514)의 단부에 형성한 링 리브(516)로 이루어진다.
상기 방전 파이프(520)는 서포터 바디(512)에 결합된 원통형 부재로서 + 고전압이 인가되는 부분이며, 도전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극 링(530)은 도전체로 이루어진 링형 부재로서, - 고전압이 인가되는 부분이다. 상기 전극 링(530)은 링 리브(516)에 고정체(531)에 의해 결합된 중심 부재(532)와, 상기 중심 부재(532)에서 연장 형성한 다수개의 지지 부재(534)와, 상기 지지 부재(534)의 단부와 연결된 링 부재(536)로 구성된다.
상기 전원 라인(540)은 방전 파이프(520) 및 전극 링(530)과 각각 연결된 도전 부재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에 따른 차량 엔진의 연료 효율 개선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에 따른 차량 엔진의 연료 효율 개선 장치(600)는 링 리브(610), 방전 파이프(620), 전극 링(630) 및 전원 라인(640)을 포함하며, 에어 클리너(A) 내에 직접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차량 엔진의 연료 효율 개선 장치는 에어클리 너(A) 내부에 설치되므로, 불순물을 사전에 제거하고 공기 속도를 균일화한 최상의 공기를 엔진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링 리브(610)는 전극 링(630)을 설치하기 위해 에어 클리너(A) 내측면에 형성한 부재이다.
상기 방전 파이프(620)는 도전체로 이루어진 원통형 부재로서 + 고전압이 인가되는 부분이며, 상기 링 리브(610)가 중앙에 위치하도록 상기 에어 클리너(A) 내측면에 부착된다.
상기 전극 링(630)은 도전체로 이루어진 링형 부재로서, - 고전압이 인가되는 부분이다. 상기 전극 링(630)은 링 리브(610)에 고정체에 의해 결합된 중심 부재(632)와, 상기 중심 부재(632)에서 연장 형성한 다수개의 지지 부재(634)와, 상기 지지 부재(634)의 단부와 연결된 링 부재(636)로 구성된다.
상기 전원 라인(640)은 방전 파이프(620) 및 전극 링(630)과 각각 연결된 도전 부재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엔진의 연료 효율 개선 장치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엔진의 연료 효율 개선 장치에 사용되는 전극 파이프의 제조 방법은 압출 단계(S100), 절단 단계(S200), 외주면 가공 단계(S300) 및 금 코팅 단계(S400)를 포함한다.
상기 압출 단계(S100)는 원재료를 파이프 모양으로 압출 성형하는 단계이다. 상기 원재료로는 구리, 알루미늄, 텅스텐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사용한다. 상기 압출 단계(S100)에서 압출 성형하는 파이프의 직경 및 두께는 적용하고자 하는 차량 엔진의 특성에 부합되게 설정한다.
상기 절단 단계(S200)는 파이프 모양의 압출 성형체를 미리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이다. 상기 절단 단계(S200)에서 절단하는 압출 성형체의 길이 역시 적용하고자 하는 차량 엔진의 특성에 부합되게 설정한다.
상기 외주면 가공 단계(S300)는 절단된 파이프 성형체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쐐기 모양의 돌기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돌기는 단부를 뾰족하게 하여 방전 효율을 높인다.
상기 금 코팅 단계(S400)는 파이프 성형체의 외주면에 금 코팅 처리를 하는 단계이다. 금 코팅은 파이프 성형체의 전도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표면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엔진의 연소 효율 개선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은 공기 저항이 적고 대용량 플라즈마 방전이 가능하므로, 엔진의 연소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착이 용이하고 노이즈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외부 공기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도전체로 이루어진 방전 파이프와;
    상기 방전 파이프와 접속된 접지 라인과;
    상기 방전 파이프의 입구단과 출구단 내측에 각각 등간격으로 설치된 다수개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사이에 결합된 지지링으로 이루어진 서포터와;
    양단이 상기 서포터에 의해 지지되어 방전 파이프 내부에 설치된 전극 파이프와;
    상기 전극 파이프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한 다수개의 전극 돌기와;
    상기 전극 파이프와 연결된 고전압라인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엔진의 연소 효율 개선 장치.
  2. 도전체로 이루어진 방전 파이프와;
    상기 방전 파이프와 접속된 접지 라인과;
    상기 방전 파이프의 입구단과 출구단 내측에 각각 등간격으로 설치된 다수개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사이에 결합된 지지링으로 이루어진 서포터와;
    양단이 상기 서포터에 의해 지지되어 방전 파이프 내부에 설치된 절연 파이프와;
    각각 외주면에 다수개의 전극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절연 파이프의 외주면 에 등간격으로 결합된 다수개의 전극 링과;
    상기 전극 링과 각각 병렬 연결된 고전압라인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엔진의 연소 효율 개선 장치.
  3. 에어 클리너의 출구단에 형성한 다수개의 방전 플레이트 리브와;
    상기 방전 플레이트 리브에 설치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방전 플레이트와;
    상호 인접한 방전 플레이트 리브 사이에 형성한 전극 플레이트 리브와;
    상/하측에 다수개의 전극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전극 플레이트 리브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극 플레이트와;
    상기 전극 플레이트와 각각 연결된 고전압라인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엔진의 연소 효율 개선 장치.
  4. 원형 링 모양을 가지며 에어 클리너 출구단에 설치된 서포터 바디와, 상기 서포터 바디에서 내측으로 형성한 다수개의 연결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의 단부에 형성한 링 리브로 이루어진 서포터와;
    도전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서포터 바디에 결합된 방전 파이프와;
    상기 링 리브에 고정체에 의해 결합된 중심 부재와, 상기 중심 부재에서 연장 형성한 다수개의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의 단부와 연결된 링 부재로 구성 하며, 도전체로 이루어진 전극 링과;
    상기 방전 파이프 및 전극 링과 각각 연결된 전원 라인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엔진의 연소 효율 개선 장치.
  5. 에어 클리너 내측면에 형성한 링 리브와;
    도전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링 리브가 중앙에 위치하도록 상기 에어 클리너 내측면에 부착된 방전 파이프와;
    상기 링 리브에 고정체에 의해 결합된 중심 부재와, 상기 중심 부재에서 연장 형성한 다수개의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의 단부와 연결된 링 부재로 구성하며, 도전체로 이루어진 전극 링과;
    상기 방전 파이프 및 전극 링과 각각 연결된 전원 라인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엔진의 연소 효율 개선 장치.
  6. 구리, 알루미늄, 텅스텐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원재료를 파이프 모양으로 압출 성형하는 압출 단계와;
    상기 파이프 모양의 압출 성형체를 미리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 단계와;
    상기 절단된 파이프 성형체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쐐기 모양의 돌기를 형성하 는 외주면 가공 단계와;
    상기 파이프 성형체의 외주면에 금 코팅 처리를 하는 금 코팅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엔진의 연소 효율 개선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040102347A 2004-12-07 2004-12-07 차량 엔진의 연료 효율 개선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702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2347A KR100702365B1 (ko) 2004-12-07 2004-12-07 차량 엔진의 연료 효율 개선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2347A KR100702365B1 (ko) 2004-12-07 2004-12-07 차량 엔진의 연료 효율 개선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3233A KR20060063233A (ko) 2006-06-12
KR100702365B1 true KR100702365B1 (ko) 2007-04-02

Family

ID=37159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2347A KR100702365B1 (ko) 2004-12-07 2004-12-07 차량 엔진의 연료 효율 개선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23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810B1 (ko) * 2011-05-12 2013-08-12 한국기계연구원 엔진 연소 안정성 향상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6218A (ja) * 1992-03-13 1993-10-05 Hiroyuki Higashihara 熱機関の吸気装置
JPH07269423A (ja) * 1994-03-30 1995-10-17 Toru Furuya 内燃機関の燃焼促進装置
KR19990015902A (ko) * 1997-08-12 1999-03-05 최봉락 플라즈마 방전을 이용한 엔진의 연소효율증대 및 배기가스감소장치
KR100224505B1 (ko) 1997-04-02 1999-10-15 정광민 전자 음이온 산소활성화 엔진 연소효율 향상 유도장치
KR200368940Y1 (ko) 2004-04-01 2004-12-03 이은창 차량 엔진의 흡기관용 공기 활성화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6218A (ja) * 1992-03-13 1993-10-05 Hiroyuki Higashihara 熱機関の吸気装置
JPH07269423A (ja) * 1994-03-30 1995-10-17 Toru Furuya 内燃機関の燃焼促進装置
KR100224505B1 (ko) 1997-04-02 1999-10-15 정광민 전자 음이온 산소활성화 엔진 연소효율 향상 유도장치
KR19990015902A (ko) * 1997-08-12 1999-03-05 최봉락 플라즈마 방전을 이용한 엔진의 연소효율증대 및 배기가스감소장치
KR200368940Y1 (ko) 2004-04-01 2004-12-03 이은창 차량 엔진의 흡기관용 공기 활성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3233A (ko) 2006-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16667B1 (en) Ion generator for a combustion device
KR101972718B1 (ko) 디젤 엔진 배출 가스 처리용 전기 집진 장치의 방전 전극
RU2011125551A (ru) Модуль для термо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генератора и термоэлектрический генератор
JP2008108478A (ja) 内燃機関用スパークプラグ
JP6165370B1 (ja) オゾン発生装置付き内燃機関
KR100702365B1 (ko) 차량 엔진의 연료 효율 개선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130199165A1 (en) Electrically heated catalyst device
US4811559A (en) Apparatus for removing soot from the exhaust gases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14787485A (zh) 具有环形加热片的用于排气后处理的设备
CN108554631B (zh) 基于介质阻挡放电的同轴多级ntp发生器
CN111370999B (zh) 双伞形电极火花塞
JP2015164391A (ja) 熱電発電装置
US20130228204A1 (en) Semiconductor element formed of thermoelectric material for use in a thermoelectric module and thermoelectric module having semiconductor elements
CN112459869A (zh) 一种电加热型泡沫合金滤芯
JP5929329B2 (ja)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WO2018234728A1 (en) DEVICE FOR TREATING EXHAUST GAS
CN210977646U (zh) 一种发动机尾气处理装置
US1216139A (en) Spark-plug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CN201071770Y (zh) 一种用于发动机的臭氧发生装置
CN213743601U (zh) 一种电加热型泡沫合金滤芯
KR200377990Y1 (ko) 차량 엔진의 연소 효율 개선 장치
JP2006291708A (ja) 排気処理装置
JP2012167565A (ja) 内燃機関の排気処理装置
CN219885679U (zh) 臭氧发生装置
US11946407B2 (en) Catalys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