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8760B1 - 출력 자동 설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중계 시스템 - Google Patents

출력 자동 설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중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8760B1
KR100698760B1 KR1020060000188A KR20060000188A KR100698760B1 KR 100698760 B1 KR100698760 B1 KR 100698760B1 KR 1020060000188 A KR1020060000188 A KR 1020060000188A KR 20060000188 A KR20060000188 A KR 20060000188A KR 100698760 B1 KR100698760 B1 KR 100698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value
relay device
automatic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0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준
장형기
윤오한
권경환
Original Assignee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60000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87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8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8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04B7/15535Control of relay amplifier ga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04B7/15542Selecting at relay station its transmit and receive re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계 장치의 출력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출력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방법은 (a) 출력 기대값을 설정하는 단계; 및 (b) 상기 중계 장치가 상기 설정된 출력 기대값에 따라 상기 중계 장치의 이득을 자동으로 조정하여 상기 출력 기대값에 상응하는 출력값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출력 자동 설정 방법은 출력 기대값에 따라 중계 장치들의 출력이 자동으로 설정되므로, 운영이 편리하며 출력을 원하는 값으로 설정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중계 장치, 중계 시스템, 허브, 리모트 유닛

Description

출력 자동 설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중계 시스템{METHOD OF SETTING AUTOMATICALLY AN OUTPUT AND RELAY SYSTEM FOR PERFORM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중계 시스템의 일 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 자동 설정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 자동 보상 과정을 도시한 타이밍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도 1의 중계 장치에서 자동 출력 보상 범위 및 장치 한도 레벨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쇄율 범위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출력 보상 범위(ALC)에 따라 중계 장치를 동작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 한도 레벨(SD)에 따라 중계 장치를 동작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1의 상기 제 2 중계 장치들의 출력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자동 제어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 시스템에서 역방향 이득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옥외형 중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출력 자동 설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중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계 장치들의 출력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중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중계 시스템은 중계 장치들을 포함하며, 상기 중계 장치들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들 사이를 중계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중계 장치들은 자신에 설정된 이득을 가지고 입력 신호를 증폭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중계 장치는 설치된 환경 등에 의해 영향을 받으므로, 상기 중계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신호의 크기가 운영자가 출력되기를 원하는 값이 아닐 수 있었다. 이 경우, 운영자는 상기 중계 장치의 이득을 다시 설정하여야 했으며, 이러한 설정 과정은 운영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운영자는 이러한 이득뿐만 아니라 변화 가능한 다른 파라미터들도 수동으로 조정하였으며, 따라서 운영상 불편하였고 이러한 파라미터들을 조정하기 위하여 많은 시간이 소모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간의 소모를 줄이면서 운영의 편리를 도모할 수 있는 출력 자동 설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중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 장치에 있어서 출력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방법은 (a) 출력 기대값을 설정하는 단계; 및 (b) 상기 중계 장치가 상기 설정된 출력 기대값에 따라 상기 중계 장치의 이득을 자동으로 조정하여 상기 출력 기대값에 상응하는 출력값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중계 장치 및 이와 연결된 복수의 제 2 중계 장치들을 포함하는 중계 시스템에서 출력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방법은 (a) 제 1 중계 장치를 턴-온시키고 제 2 중계 장치들을 턴-오프시키는 단계; (b) 상기 제 1 중계 장치에 제 1 출력 기대값을 설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 1 출력 기대값에 따라 상기 제 1 중계 장치의 이득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 장치는 RF 모듈 및 자동 제어부 를 포함한다. 상기 RF 모듈은 소정 이득을 가진다. 상기 자동 제어부는 출력 기대값에 따라 상기 RF 모듈의 이득을 변화시킨다. 여기서, 상기 RF 모듈은 상기 변화된 이득에 따라 제 1 주파수 신호를 증폭시켜 출력 기대 범위의 크기를 가지는 제 2 주파수 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 시스템은 제 1 중계 장치 및 복수의 제 2 중계 장치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중계 장치는 제 1 출력 기대값에 따라 출력 레벨을 자동으로 설정한다. 상기 제 2 중계 장치는 상기 출력 레벨을 가지는 주파수 신호를 증폭시킨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제 2 중계 장치는 상기 제 1 중계 장치로부터 제 2 출력 기대값을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제 2 출력 기대값에 따라 그의 출력 레벨을 자동으로 설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출력 자동 설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중계 시스템은 출력 기대값에 따라 중계 장치들의 출력이 자동으로 설정되므로, 운영이 편리하며 출력을 원하는 값으로 설정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출력 자동 설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중계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중계 시스템의 일 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중계 시스템은 제 1 중계 장치(100)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중계 장치(106)를 포함한다.
제 1 중계 장치(100)는 제 1 주파수 신호를 증폭시켜 제 2 주파수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주파수 신호는 소정 주파수를 가지는 신호로서, 음성 데이터 등 멀티미디어 데이터(multimedia data)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주파수 신호가 이동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경우, 상기 주파수 신호는 약 1.8㎓ 주파수를 가진다.
또한, 제 1 중계 장치(100)는 운영자가 설정한 제 1 출력 기대값에 따라 자신의 이득을 조정하여 자신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크기(이하, "출력값"이라 함)를 변화시키고, 최종적으로는 제 1 출력 기대 범위의 값을 가지는 상기 제 2 주파수 신호를 출력한다. 즉, 제 1 중계 장치(100)는 상기 제 1 출력 기대값에 따라 자신의 출력값을 자동으로 설정한다. 게다가, 제 1 중계 장치(100)는 운영자에 의해 설정된 제 1 출력 기대값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 2 출력 기대값을 제 2 중계 장치(106)에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출력 기대값은 운영자가 원하는 출력 신호의 크기이다.
제 2 중계 장치(106)는 제 1 중계 장치(100)로부터 출력된 제 2 주파수 신호를 증폭시켜 제 3 주파수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제 2 중계 장치(106)는 제 1 중계 장치(100)로부터 제공된 제 2 출력 기대값에 따라 자신의 이득을 자동으로 조정하여 자신의 출력값을 변화시키고, 최종적으로 제 2 출력 기대 범위의 값을 가지는 상기 제 3 주파수 신호를 출력한다. 즉, 제 2 중계 장치(106)는 상기 제 2 출력 기대값에 따라 자신의 출력값을 자동으로 설정한다.
요컨대, 중계 장치들(100 및 106)은 해당 출력 기대값에 따라 자신의 출력값을 자동으로 설정한다. 다만, 제 1 중계 장치(100)의 출력값이 자동으로 설정된 후, 제 2 중계 장치들(106)이 순차적으로 자신의 출력값을 자동으로 설정한다.
출력 자동 설정 과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계 시스템은 분배기들(10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중계 장치들(106)은 분배기들(104)에 각기 연결되며, 제 1 중계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제 1 주파수 신호가 분배기들(104)을 통하여 제 2 중계 장치들(106)에 전송된다. 이 경우, 상기 제 2 주파수 신호가 통신 선로(102)을 통하여 제 2 중계 장치들(106)에 전송되므로, 후단에 위치하는 제 2 중계 장치(예를 들어, 106n)에 도달하는 상기 주파수 신호의 세기는 전단에 위치하는 제 2 중계 장치(예를들어, 106a)에 도달하는 상기 주파수 신호의 세기보다 작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기들(104)의 분배 비율을 다르게 설정한다. 예를 들어, 100% 세기에 해당하는 제 2 주파수 신호가 제 1 중계 장치(100)로부터 출력된 경우, 각 분배기들(104)은 20% 세기에 해당하는 주파수 신호를 해당 제 2 중계 장치에 전송하고 80%에 해당하는 주파수 신호를 다음 단의 분배기로 전송한다. 따라서, 각 제 2 중계 장치들(106)은 유사한 세기의 주파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계 시스템에서, 제 1 중계 장치(100) 및 제 2 중계 장치(10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기 허브(Hub) 및 리모트 유닛(Remote Unit)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 자동 설정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 자동 보상 과정을 도시한 타이밍다이어그램이다.
이하, 중계 장치들(100 및 106)에 있어서 출력 자동 보상 과정을 상술하겠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중계 장치(100)로서 허브를 예로하여 출력 자동 설정 과정을 상술하겠다. 이 경우, 도 3b에 도시된 감쇄율 범위에서 제 1 감쇄율을 30㏈로 하고, 제 2 감쇄율을 0㏈로 하겠다.
도 3a를 참조하면, 운영자는 허브(100)에 제 1 출력 기대값을 설정한다(S300). 예를 들어, 상기 제 1 출력 기대값을 18㏈m이라 하겠다. 즉, 허브(100)가 실질적으로 18㏈m 크기를 가지는 출력값을 출력하도록 허브(100)에 상기 제 1 출력 기대값이 설정된다.
이어서, 상기 제 1 출력 기대값에 따라 허브(100)의 이득이 변화된다(S302). 이 경우, 허브(100)의 이득은 상기 감쇄율 범위에서 선택된 감쇄율에 상응하여 변화된다. 예를 들어, 선택된 감쇄율이 30㏈인 경우, 허브(100)의 이득이 30㏈만큼 감소된다.
계속하여, 허브(100)는 상기 변화된 이득을 가지고 상기 제 1 주파수 신호를 증폭시켜 출력 신호를 출력하며, 그런 후 상기 출력 신호의 크기, 즉 출력값이 검출된다(S304). 이 경우, 허브(100)로 입력되는 상기 제 1 주파수의 크기가 시간에 따라 변화될 수 있으므로, 허브(100)의 출력값도 상기 입력의 변화에 상응하여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 자동 설정 방법에서는, 소정 횟수(예를 들어, 30회)의 출력값이 검출되며, 그런 후 소정 횟수의 출력값의 평균을 허브(100)의 출력값으로 설정한다.
위에서, 선택된 감쇄율이 상기 감쇄율 범위에서 제일 큰 값이므로, 허브(100)의 이득은 최소가 되며, 그래서 허브(100)의 출력값도 최소값을 가진다. 예를 들어, 상기 검출된 출력값을 -2㏈m이라 하겠다. 물론, 다른 감쇄율이 상기 감쇄율 범위에서 선택될 수도 있다.
그런 후, 상기 검출된 출력값이 출력 기대 범위 내의 값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S306). 여기서, 상기 출력 기대 범위는 제 2 중계 장치(106)를 정상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하여 요구되는 허브(100)의 출력값 범위로서, (출력 기대값-k(정수)㏈m)과 출력 기대값 사이 범위이다. 이 경우, k를 1㏈m이라 하면, 상기 출력 기대 범위는 17㏈m과 18㏈m 사이 범위이다.
상기 검출된 출력값이 상기 출력 기대 범위의 값이 아닌 경우, 감쇄율이 기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조정된다(S308). 예를 들어, 상기 출력값(-2㏈m)과 상기 출력 기대값(18㏈m)이 20㏈m 차이이므로, 감쇄율이 20㏈m의 절반에 상응하는 값(10㏈)만큼 변화된다. 즉, 감쇄율이 30㏈에서 20㏈로 조정된다. 따라서, 허브(100)의 이득이 증가된다.
이어서, 상기 변화된 이득에 상응하여 출력되는 허브(100)의 출력값이 다시 검출된다(S304). 예를 들어, 상기 다시 검출된 출력값을 8㏈m이라 하자.
계속하여, 상기 다시 검출된 출력값이 상기 출력 기대 범위의 값인 지의 여부가 판단된다(S306).
이 경우, 상기 다시 검출된 출력값이 8㏈m으로 상기 출력 기대 범위 외의 값이므로, 감쇄율이 다시 조정된다(S308).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8㏈m과 18㏈m 차이에 해당하는 값(10㏈)만큼 감쇄율이 변화된다. 즉, 감쇄율이 20㏈에서 10㏈로 조정된다. 따라서, 허브(100)의 이득이 다시 증가된다.
그런 후, 허브(100)의 출력값이 다시 검출된다(S304). 예를 들어, 상기 다시 검출된 출력값을 18㏈m이라 하자.
이어서, 상기 다시 검출된 출력값이 상기 출력 기대 범위의 값인 지의 여부가 판단된다(S306).
상기 다시 검출된 출력값(18㏈m)이 상기 출력 기대 범위의 값이므로, 허브(100)는 출력값(18㏈m)을 가지는 제 2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제 2 주파수 신호를 리모트 유닛(106)에 전송한다. 이 경우, 허브(100)의 출력값이 상기 출력 기대값과 동일하지 않을 수 있지만, 허브(100)의 출력값이 상기 출력 기대 범위의 값이므로 제 2 중계 장치(106)가 정상적으로 동작된다.
요컨대, 허브(100)는 상기 설정된 출력 기대값에 따라 기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그의 이득을 자동으로 조정하며, 그 결과 종래의 중계 장치와 달리 그의 출력이 자동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중계 시스템은 종래의 중계 시스템에 비하여 운영상 편리함을 가진다. 또한, 허브(100)의 출력이 상기 설정된 출력 기대값에 따라 자동으로 설정되므로, 본 발명의 중계 시스템에서는 출력을 수동으로 설정 하던 종래의 중계 시스템에 비하여 출력값을 운영자가 원하는 값으로 출력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위에서는 상기 감쇄율이 불규칙하게 조정되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력 자동 설정 방법에서는 상기 감쇄율이 출력값의 변화율의 절반에 해당하는 값으로 계속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력 자동 설정 방법은 허브(100)로부터 최종적으로 출력된 출력값이 상기 출력 기대 범위의 값인 지의 여부를 다시 확인하는 단계(S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는 설명하지 않았지만, 제 2 중계 장치(106)는 제 1 중계 장치(100)로부터 제공된 제 2 출력 기대값에 따라 위와 동일한 과정으로 그의 출력을 자동으로 설정한다.
도 4는 도 1의 중계 장치에서 자동 출력 보상 범위 및 장치 한도 레벨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쇄율 범위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중계 장치(100)로서 허브를 예로하여 자동 출력 보상 범위(automatic level control,ALC) 및 장치 한도 레벨(shut down level, SD)을 설정하는 과정을 상술하겠다.
도 4를 참조하면, 출력 기대값이 허브(100)에 설정된다(S400).
이어서, 상기 설정된 출력 기대값에 따라 자동 출력 보상 범위(ALC) 및 장치 한도 레벨(SD)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된다(S402).
우선, 자동 출력 보상 범위(ALC)에 대하여 상술하겠다.
상기 출력 기대값이 18㏈m인 경우, 예를 들어, 자동 출력 보상 범위(ALC)에서 ALC 최대값은 18㏈m이고, ALC 최소값은 13㏈m이다. 여기서, 자동 출력 보상 범위(ALC)의 윈도우 크기(window size)는 5㏈m이다.
허브(100)는 출력 자동 설정 방법을 이용하여 출력값을 일정하게 출력할 수 있지만, 상기 출력값은 내부적, 외부적 환경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즉, 허브(100)의 출력값이 도 5의 ① 영역에 있어야 하지만, ② 영역 또는 ③ 영역의 값으로 변화될 수 있다. 이 경우, 허브(100)는 ② 영역 또는 ③ 영역에 존재하는 출력값을 ① 영역으로 변화시킨다.
다음으로, 장치 한도 레벨(SD)에 대하여 상술하겠다.
장치 한도 레벨(SD)은 제 1 중계 장치(1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한계 레벨이며, 따라서 제 1 중계 장치(100)의 출력값이 장치 한도 레벨(SD)을 초과하는 때 제 1 중계 장치(100)는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지 못할 수 있다.
자동 출력 보상 범위(ALC) 및 장치 한도 레벨(SD)에 대한 더 자세한 설명은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위에서는 설명하지 않았지만, 제 2 중계 장치(106)는 제 1 중계 장치(100)로부터 제공된 제 2 출력 기대값에 따라 위와 동일한 과정으로 그의 자동 출력 보상 범위(ALC) 및 장치 한도 레벨(SD)을 자동으로 설정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출력 보상 범위(ALC)에 따라 중계 장치를 동작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중계 장치(100)로서 허브를 예로하여 자동 출력 보상 범위(ALC)에 따라 중계 장치를 동작시키는 과정을 상술하겠다.
도 6을 참조하면, 출력 기대값이 허브(100)에 설정된다(S600).
이어서, 허브(100)는 제 1 주파수 신호를 증폭하여 제 2 주파수 신호를 출력한다(S602).
계속하여, 상기 증폭 과정에서 사용된 감쇄율이 계산된다(S604). 도 3a에서 설명된 감쇄율을 예로 하면, 감쇄율은 30㏈로부터 10㏈로 변화되었고, 즉 자동 출력 설정 과정에서 사용된 감쇄율은 20㏈이며, 따라서 도 3b에 도시된 제 3 감쇄율은 10㏈이다. 여기서, 제 1 감쇄율은 30㏈이고, 제 2 감쇄율은 0㏈이다.
그런 후, 여분 감쇄율이 계산된다(S606). 상기 감쇄율 범위가 0 내지 30㏈이고 사용된 감쇄율의 범위(도 3b의 (a) 영역)가 10㏈ 내지 30㏈이므로, 여분 감쇄율 범위((b) 영역)는 0 내지 10㏈이다. 즉, 사용가능한 여분 감쇄율은 10㏈이다.
이어서, 상기 여분 감쇄율이 기준 감쇄율보다 큰 지의 여부가 판단된다(S608). 예를 들어, 상기 기준 감쇄율을 5㏈이라 하자.
상기 여분 감쇄율이 상기 기준 감쇄율보다 큰 경우에는, 자동 출력 보상 초기값은 상기 기준 감쇄율(L)이며, 운영자 사용 가능 감쇄율은 상기 여분 감쇄율-L이다(S612).
반면에, 상기 여분 감쇄율이 상기 기준 감쇄율 이하인 경우에는, 자동 출력 보상 초기값은 상기 여분 감쇄율이며, 운영자 사용 가능 감쇄율은 0㏈이다(S610).
이하, 상기 자동 출력 보상 초기값 및 상기 운영자 사용 가능 감쇄율에 대하여 상술하겠다.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자동 출력 보상 초기값은 ② 영역에 존재하는 출력값을 ①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값이다. 즉, 허브(100)의 출력값이 ② 영역에 존재하는 경우, 허브(100)는 상기 자동 출력 보상 초기값을 사용하여 상기 출력값을 ① 영역으로 자동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기능을 하는 자동 출력 보상 초기값이 계산된 후, 상기 운영자 사용 가능 감쇄율이 계산된다.
예를 들어, 감쇄율 범위가 0 내지 30㏈이고 사용된 감쇄율 범위가 10 내지 30㏈이며 상기 자동 출력 보상 초기값이 5㏈로 설정된 경우, 남은 감쇄율은 5㏈이며, 이렇게 남은 감쇄율은 운영자가 상황에 따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운영자 사용 가능 감쇄율은 5㏈이다.
다른 예로, 감쇄율 범위가 0 내지 30㏈이고 사용된 감쇄율 범위가 3 내지 30㏈인 경우, 남은 감쇄율은 3㏈이며, 이렇게 남은 감쇄율은 상기 자동 출력 보상 초기값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더 이상 남은 감쇄율이 없으므로, 상기 운영자 사용 가능 감쇄율은 0㏈이다.
도 5를 또 다시 참조하면, 허브(100)의 출력값이 ③ 영역에 존재하는 경우, 허브(100)는 자신의 감쇄율을 증가시킨다. 예를 들어, 자동 출력 설정 과정에서 감쇄율이 30㏈에서 10㏈로 변화된 경우, 허브(100)는 감쇄율을 10㏈보다 큰 감쇄율(예를 들어, 13㏈)로 변화시켜 ③ 영역에 존재하는 출력값을 ① 영역으로 이동시킨다.
위에서는 설명하지 않았지만, 제 2 중계 장치(106)는 제 1 중계 장치(100)로 부터 제공된 제 2 출력 기대값에 따라 위와 동일한 과정으로 자동 출력 보상 초기값 및 운영자 사용 가능 감쇄율을 자동으로 설정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 한도 레벨(SD)에 따라 중계 장치를 동작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1 중계 장치(100)의 출력값이 검출된다(S700).
이어서, 상기 검출된 출력값이 장치 한도 레벨(SD)보다 큰 지의 여부가 검출된다(S702).
상기 검출된 출력값이 장치 한도 레벨(SD)보다 작은 경우, 제 1 중계 장치(100)는 현재 상태로 계속하여 동작한다.
반면에, 상기 검출된 출력값이 장치 한도 레벨(SD)보다 큰 경우, 즉 도 5에서 상기 검출된 출력값이 ④ 영역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카운트를 1증가시키고(S704), 그런 후 상기 증가된 카운트가 기준 카운트(Cref)보다 큰 지의 여부가 판단된다(S706). 여기서, 기준 카운트(Cref)는 운영자 또는 프로그램에 따라 기설정되는 값으로, 제 1 중계 장치(100)의 턴-오프(turn-off) 횟수를 검출하는 기준이 된다.
상기 증가된 카운트가 기준 카운트(Cref)보다 크지 않은 경우, 제 1 중계 장치(100)를 턴-오프시킨다(S708). 즉, 제 1 중계 장치(100)의 출력값이 제 1 중계 장치(1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레벨을 초과하였으므로, 제 1 중계 장치(100)가 턴-오프된다.
계속하여, 제 1 중계 장치(100)가 턴-오프된 때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 후 제 1 중계 장치(100)가 턴-온(turn-on)된다(S710).
이어서, 제 1 중계 장치(100)의 출력값이 다시 검출되며(S700), 단계 S702 이하의 단계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제 1 중계 장치(100)의 출력값이 수회 이상, 기준 카운트(Cref) 이상으로 장치 한도 레벨(SD)을 계속하여 초과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 1 중계 장치(100)에 불량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제 1 중계 장치(100)를 완전히 오프시킨다. 물론, 운영자에서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반면에, 제 1 중계 장치(100)의 출력값이 기준 카운트(Cref)보다 적은 횟수 범위 내에서 장치 한도 레벨(SD)보다 작은 범위로 변화된 경우, 제 1 중계 장치(100)는 온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다.
도 8은 도 1의 상기 제 2 중계 장치들의 출력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2 중계 장치(106)로서 리모트 유닛을 예로하여 제 2 중계 장치(106)의 출력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과정을 상술하겠다.
도 8을 참조하면, 제 1 중계 장치(100)의 출력이 자동 설정된 후, 리모트 유닛들(106) 중 하나가 턴-온된다(S800). 여기서, 나머지 리모트 유닛들은 턴-오프된다.
단계 S800 이후의 단계들(S802 내지 S808)은 도 3a에서 상술된 단계들(단계 S302 내지 S308)과 유사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상기 제 2 출력 기대값은 상기 제 1 출력 기대값과 동일한 값일 수도 있고 다른 값일 수도 있다.
단계들(S802 내지 S808)에 의해, 상기 턴-온된 리모트 유닛의 출력이 자동으로 설정된다.
이어서, 상기 턴-온된 리모트 유닛이 리모트 유닛들(106) 중 마지막으로 출력이 자동으로 설정된 리모트 유닛인 지의 여부가 판단된다(S810).
상기 턴-온된 리모트 유닛이 마지막으로 출력이 자동으로 설정된 리모트 유닛인 경우에는, 모른 리모트 유닛들(106)의 출력이 자동으로 설정되었으므로, 출력 자동 설정 과정이 종료된다.
반면에, 상기 턴-온된 리모트 유닛이 마지막으로 출력이 자동으로 설정된 리모트 유닛이 아닌 경우에는, 출력이 자동으로 설정되지 않은 리모트 유닛들 중 하나가 턴-온되며(S812), 그런 후 단계 S802 내지 S808의 과정이 수행되어 출력이 자동으로 설정된다. 이 경우, 나머지 리모트 유닛들은 오프 상태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제 2 중계 장치들(106)의 출력이 자동으로 설정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중계 시스템은 제 1 중계 장치(100) 및 제 2 중계 장치(106)를 포함한다.
제 1 중계 장치(100)는 제 1 알에프 모듈(제 1 RF 모듈, 900), 제 1 자동 제어부(902), 제 1 출력 제어부(904) 및 제 1 송수신부(906)를 포함한다.
제 1 자동 제어부(902)는 제 1 출력 기대값에 따라 위에서 상술된 출력 자동 설정 방법을 통하여 제 1 RF 모듈(900)의 이득을 제어한다. 또한, 제 1 자동 제어부(902)는 상기 제 1 출력 기대값에 따라 자동 출력 보상 범위(ALC), 장치 한도 레벨(SD), 자동 출력 보상 초기값 및 운영자 사용 가능 감쇄율을 설정한다. 게다가, 제 1 자동 제어부(902)는 상기 제 1 출력 기대값에 따라 제 2 출력 기대값을 제 1 송수신부(906)를 통하여 제 2 중계 장치(106)에 전송한다.
제 1 RF 모듈(900)은 제 1 자동 제어부(902)에 제어하에 도너 안테나(donor antenna, 916)를 통하여 입력되는 제 1 주파수 신호를 증폭시켜 출력 기대 범위의 값을 가지는 제 2 주파수 신호를 출력한다. 그런 후, 제 1 RF 모듈(900)은 상기 제 2 주파수 신호를 제 1 출력 제어부(904) 및 제 1 송수신부(906)를 통하여 제 2 중계 장치(106)의 제 2 송수신부(908)로 전송한다.
제 1 출력 제어부(904)는 제 1 자동 제어부(902)로부터 자동 출력 보상 범위(ALC), 장치 한도 레벨(SD) 및 자동 출력 보상 초기값을 수신하고, 이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주파수의 크기, 즉 출력값이 도 5의 ① 영역에 위치하도록 제어한다.
제 2 중계 장치(106)는 제 2 송수신부(908), 제 2 RF 모듈(910), 제 2 자동 제어부(912) 및 제 2 출력 제어부(914)를 포함한다.
제 2 자동 제어부(912)는 제 1 중계 장치(100)로부터 제 2 송수신부(908)를 통하여 전송되는 제 2 출력 기대값을 이용하여 제 2 RF 모듈(910)의 이득, 자동 출력 보상 범위(ALC), 장치 한도 레벨(SD), 자동 출력 보상 초기값 및 운영자 사용 가능 감쇄율을 자동으로 설정한다.
제 2 RF 모듈(910)은 제 2 자동 제어부(912)에 제어하에 제 1 중계 장치 (100)로부터 전송된 제 2 주파수 신호를 증폭시켜 출력 기대 범위의 값을 가지는 제 3 주파수 신호를 출력한다. 그런 후, 제 2 RF 모듈(910)은 상기 제 3 주파수 신호를 제 2 출력 제어부(914) 및 서비스 안테나(service antenna, 918)를 통하여 외부의 단말기,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한다.
제 2 출력 제어부(914)는 제 2 자동 제어부(912)로부터 자동 출력 보상 범위(ALC), 장치 한도 레벨(SD) 및 자동 출력 보상 초기값을 수신하고, 이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 3 주파수의 크기, 즉 출력값이 도 5의 ① 영역에 위치하도록 제어한다.
도 10은 도 9의 자동 제어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 1 자동 제어부(902)는 기대값 설정부(1000), 이득 조정부(1002), 출력 검출부(1004) 및 자동 설정부(1006)를 포함한다.
기대값 설정부(1000)는 운영자에 의해 설정된 제 1 출력 기대값에 따라 출력 기대 범위 및 제 2 출력 기대값을 설정한다.
출력 검출부(1004)는 제 1 출력 제어부(904)를 통하여 제 1 RF 모듈(900)의 출력값을 검출한다. 물론, 출력 검출부(1004)는 제 1 출력 제어부(904)를 통하지 않고 제 1 RF 모듈(900)의 출력을 직접 검출할 수도 있다.
이득 조정부(1002)는 상기 검출된 출력값에 상응하는 제 1 RF 모듈(900)의 이득을 조정하기 위하여 감쇄율을 선택하고, 상기 검출된 출력값에 대한 정보를 자동 설정부(1006)에 전송한다.
자동 설정부(1006)는 기대값 설정부(1000)로부터 전송된 출력 기대 범위 및 이득 조정부(1002)로부터 전송된 상기 검출된 출력값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 출력 보상 범위(ALC), 장치 한도 레벨(SD), 자동 출력 보상 초기값 및 운영자 사용 가능 감쇄율을 자동으로 설정한다. 그런 후, 자동 설정부(1006)는 자동 출력 보상 범위(ALC), 장치 한도 레벨(SD) 및 자동 출력 보상 초기값을 제 1 출력 제어부(904)에 전송한다.
위에서 상술하지는 않았지만, 제 2 중계 장치(106)도 제 1 중계 장치(100)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따라서 이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 시스템에서 역방향 이득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중계 시스템에서, 역방향의 이득(x+y-T)은 순방향의 이득(x+y)보다 작게 설정된다. 이 것은 제 1 중계 장치(100)로부터 복수의 단말기들(1100)로 전파를 전송해야 하는 순방향과 달리 역방향의 경우에는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제 1 중계 장치(100)로만 전파를 전송하면 되므로, 큰 증폭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물론, 역방향 이득 설정 시, 잡음 전력(noise power)도 고려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옥외형 중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중계 시스템은 제 1 중계 장치(100)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중계 장치(106)를 포함한다.
중계 장치들(100 및 106)은 통신 선로 지지부(1200), 예를 들어 전주들 사이에 설치된 통신 선로(102) 위에 설치되며, 건물(1300)의 외부, 즉 옥외에 위치한 다.
도 13을 참조하면, 옥외에 위치한 제 2 중계 장치(106)는 무선으로 옥내에 위치하는 단말기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물론, 중계 장치들(100 및 102)의 출력은 자동으로 설정된다. 특히, 옥외에 설치된 중계 장치들이 옥내에 설치될 때보다 외부 환경에 더 많은 영향을 받으므로, 이러한 출력 자동 설정 방법이 더 요구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출력 자동 설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중계 시스템은 출력 기대값에 따라 중계 장치들의 출력이 자동으로 설정되므로, 운영이 편리하며 출력을 원하는 값으로 설정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중계 장치의 출력을 자동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출력 기대값을 설정하는 단계;
    (b-1) 상기 출력 기대값에 따라 상기 중계 장치의 이득을 조정하는 단계;
    (b-2) 상기 조정된 이득에 상응하는 출력값을 출력하는 단계;
    (b-3) 상기 조정된 이득에 상응하는 출력값이 출력 기대 범위의 값을 가지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여분 감쇄율 범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중계 장치의 이득은 감쇄율 범위로부터 선택된 감쇄율에 해당하는 크기를 가지고, 상기 여분 감쇄율 범위는 상기 감쇄율 범위와 감쇄율 변화 범위의 차에 해당하며, 여기서 상기 감쇄율 변화 범위는 최소 출력값에 해당하는 제 1 감쇄율과 최대 출력값에 해당하는 제 2 감쇄율 사이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에 있어서 출력 자동 설정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자동 설정 방법은,
    (d) 상기 여분 감쇄율 범위에 따라 자동 출력 보상 초기값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에 있어서 출력 자동 설정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여분 감쇄율 범위의 크기가 제 1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자동 출력 보상 초기값은 상기 제 1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에 있어서 출력 자동 설정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자동 설정 방법은,
    (e) 운영자 사용 감쇄율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운영자 사용 감쇄율은 상기 여분 감쇄율 범위의 크기와 상기 제 1 값의 차이에 해당하는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에 있어서 출력 자동 설정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여분 감쇄율 범위의 크기가 상기 제 1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자동 출력 보상 초기값은 상기 여분 감쇄율 범위의 크기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에 있어서 출력 자동 설정 방법.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자동 설정 방법은,
    (f) 상기 출력 기대값에 상응하는 출력값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에 있어서 출력 자동 설정 방법.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자동 설정 방법은,
    (g) 상기 설정된 출력 기대값에 따라 자동 출력 보상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에 있어서 출력 자동 설정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자동 설정 방법은,
    (h) 상기 출력 기대값에 따라 장치 한도 레벨(SD)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에 있어서 출력 자동 설정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자동 설정 방법은,
    (i) 상기 출력 기대값에 상응하는 출력값이 상기 장치 한도 레벨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중계 장치를 턴-오프시키는 단계;
    (j) 상기 턴-오프된 후 소정 시간 후 상기 중계 장치를 턴-온시키는 단계;
    (k) 상기 턴-온된 중계 장치의 출력값을 검출하는 단계;
    (l) 상기 검출된 출력값이 상기 장치 한도 레벨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j) 단계를 다시 실행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에 있어서 출력 자동 설정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자동 설정 방법은,
    (m) 상기 중계 장치가 턴-오프되는 횟수를 검출하는 단계;
    (n) 상기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중계 장치는 상기 중계 장치를 턴-오프시킨 후 그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에 있어서 출력 자동 설정 방법.
  16.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장치는 허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에 있어서 출력 자동 설정 방법.
  1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장치는 리모트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에 있어서 출력 자동 설정 방법.
  18. 제 1 중계 장치 및 이와 연결된 복수의 제 2 중계 장치들을 포함하는 중계 시스템에서 출력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제 1 중계 장치를 턴-온시키고 제 2 중계 장치들을 턴-오프시키는 단계;
    (b) 상기 제 1 중계 장치에 제 1 출력 기대값을 설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 1 출력 기대값에 따라 상기 제 1 중계 장치의 이득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시스템에 있어서 출력 자동 설정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자동 설정 방법은,
    (d) 상기 제 2 중계 장치들 중 하나를 턴-온시키는 단계;
    (e) 상기 턴-온된 제 2 중계 장치의 이득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단계;
    (f) 상기 제 2 중계 장치를 턴-오프시키고 나머지 제 2 중계 장치들 중 하나를 턴-온시키는 단계; 및
    (g) 상기 (e) 단계를 다시 실행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시스템에 있어서 출력 자동 설정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중계 장치는 허브이고, 상기 제 2 중계 장치는 리모트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시스템에 있어서 출력 자동 설정 방법.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2 중계 장치들은 옥외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시스템에 있어서 출력 자동 설정 방법.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소정 이득을 가지는 RF 모듈;
    상기 출력 기대값에 따라 출력 기대 범위를 설정하는 기대값 설정부;
    상기 RF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크기를 검출하는 출력 검출부;
    상기 검출에 따라 상기 제 2 주파수 신호의 크기가 상기 출력 기대 범위 내의 값을 가지도록 상기 RF 모듈의 이득을 조정하는 이득 조정부; 및
    상기 출력 기대값에 따라 자동 출력 보상 범위(ALC) 및 장치 한도 레벨(SD)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자동 설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RF 모듈은 상기 변화된 이득에 따라 제 1 주파수 신호를 증폭시켜 출력 기대 범위의 크기를 가지는 제 2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 조정부는 감쇄율을 조정하여 상기 RF 모듈의 이득을 조정하며,
    상기 자동 설정부는 상기 조정된 감쇄율 범위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에 따라 자동 출력 보상 초기값을 자동으로 설정하며, 상기 자동 출력 보상 범위(ALC), 상기 장치 한도 레벨(SD) 및 상기 자동 출력 보상 초기값을 상기 출력 제어부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장치는 허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
  28.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장치는 리모트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
  29. 제 1 출력 기대값에 따라 출력 레벨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제 1 중계 장치; 및
    상기 출력 레벨을 가지는 주파수 신호를 증폭시키는 복수의 제 2 중계 장치들을 포함하되,
    적어도 하나의 제 2 중계 장치는 상기 제 1 중계 장치로부터 제 2 출력 기대값을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제 2 출력 기대값에 따라 그의 출력 레벨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시스템.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중계 장치 및 상기 제 2 중계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해당 출력 기대값에 따라 상기 출력 레벨뿐만 아니라 자동 출력 보상 범위(ALC) 및 장치 한도 레벨(SD)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시스템.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중계 장치는 허브이고, 상기 제 2 중계 장치들은 리모트 유닛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시스템.
KR1020060000188A 2006-01-02 2006-01-02 출력 자동 설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중계 시스템 KR100698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0188A KR100698760B1 (ko) 2006-01-02 2006-01-02 출력 자동 설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중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0188A KR100698760B1 (ko) 2006-01-02 2006-01-02 출력 자동 설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중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8760B1 true KR100698760B1 (ko) 2007-03-22

Family

ID=41564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0188A KR100698760B1 (ko) 2006-01-02 2006-01-02 출력 자동 설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중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87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573B1 (ko) 2008-11-27 2010-09-15 주식회사 케이티 중계기의 자동 레벨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004852B1 (ko) 2008-08-27 2010-12-2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중계기 출력 자동 보정 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4805A (ko) * 2002-09-16 2004-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 이득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50113870A (ko) * 2004-05-31 2005-12-05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광분산 옥외 시스템 및 그의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4805A (ko) * 2002-09-16 2004-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 이득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50113870A (ko) * 2004-05-31 2005-12-05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광분산 옥외 시스템 및 그의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40024805
1020050113870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4852B1 (ko) 2008-08-27 2010-12-2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중계기 출력 자동 보정 방법 및 장치
KR100982573B1 (ko) 2008-11-27 2010-09-15 주식회사 케이티 중계기의 자동 레벨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040329A1 (e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installing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active combiner/splitters
US20220069791A1 (en) Multiple-Port Signal Booster
KR100698760B1 (ko) 출력 자동 설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중계 시스템
CN103812581A (zh) 适用于高增益高功率直放站的隔离度检测方法
CN106571878A (zh) 一种射频故障的检测方法和装置
US773888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for mobile terminal
JPH10313271A (ja) 周波数選択形無線中継装置の異常発振検出回路
KR20010018527A (ko) 이동통신 무선 단말기의 전원절약 장치 및 방법
JP2001244899A (ja) 反射影響度検出器
KR20060110517A (ko) 이동통신 무선 중계기의 역방향 노이즈 검출 장치 및 그방법
KR20140031580A (ko) 상향링크 잡음감소 방법 및 장치
US20190386625A1 (en) Multiple-port signal booster
JP4569392B2 (ja) 無線式火災感知システム
KR20020073459A (ko) 이동통신 중계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9206549A (ja) 複数の無線通信エリアを構成する基地局およびその無線部
KR102047076B1 (ko) 다중제어 음향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1022322B1 (ko)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100336032B1 (ko) 중간 전송 매개체를 통한 신호 전송 장치의 자동 이득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553270B1 (ko) 출력 레벨 자동 설정 중계기 및 출력 레벨 자동 설정 방법
KR100307816B1 (ko) 기지국의 출력파워 및 정재파비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장치 및방법
KR100464016B1 (ko) 인터넷 장비의 자동 이득 제어장치
KR100556876B1 (ko) 전계정보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력 제어 방법
JPS58103239A (ja) 局部発振器増巾部の電源電圧制御方式
CN102711116B (zh) 一种cdma微型基站动态配置方法、装置及系统
KR20070023263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 증폭기 입력 레벨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