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2573B1 - 중계기의 자동 레벨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중계기의 자동 레벨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2573B1
KR100982573B1 KR1020080118646A KR20080118646A KR100982573B1 KR 100982573 B1 KR100982573 B1 KR 100982573B1 KR 1020080118646 A KR1020080118646 A KR 1020080118646A KR 20080118646 A KR20080118646 A KR 20080118646A KR 100982573 B1 KR100982573 B1 KR 100982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repeater
value
alc
attenuation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8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0164A (ko
Inventor
오창환
변희완
박기호
이종은
이재훈
이번택
오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80118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2573B1/ko
Publication of KR20100060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0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2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2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04B7/15535Control of relay amplifier ga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07Relay station based processing for cell extension or control of coverage are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계기의 자동 레벨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자동 레벨 제어 방법은, 중계기의 출력이 외부 환경 변화에 의해 상한값보다 올라간 후 감쇄값의 증가로 인해 상한값보다 낮아진 상태에서 외부 환경 변화가 사라짐으로 인해 중계기의 출력이 시간 옵셋과 상기 중계기의 출력의 하한값 사이의 정상 범위 내에서 유지되는 때에 감쇄값의 크기를 감소시켜서 중계기의 출력을 사용자가 초기에 설정한 값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해, 중계기는 중계기의 출력이 시간 옵셋보다 떨어지는 때에 감쇄값이 0이 아닌 값으로 존재하면, 타이머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 내에 중계기의 출력을 복수 회 검출하여 검출된 출력이 모두 정상 범위 내에서 유지되면 감쇄값의 크기를 일정값 감소시킨다. 이러한 감소 동작은 감쇄값이 0이 되거나 또는 중계기의 출력이 정상 범위를 벗어날 때까지 반복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환경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중계기의 출력이 사용자 초기 설정값으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중계기가 최적의 상태에서 동작할 수 있다.
Figure R1020080118646
자동 레벨 제어, ALC, 중계기, 감쇄값, 감쇄기

Description

중계기의 자동 레벨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OUTPUT LEVEL OF REPEATER}
본 발명은 중계기에서 사용되는 자동 레벨 제어(Auto Level Control)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 환경의 변화에 따른 중계기 출력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초기 설정한 중계기 출력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자동 레벨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의 발달과 함께 이용자들의 이용 형태 및 요구 또한 다양해져 시간과 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고 통신하기를 원한다. 그러나, 기지국에서 발사되는 전파는 건물 내부 혹은 산이나 언덕의 뒤편, 터널이나 지하철 등의 지역에는 도달하기 어려워 불통 지역이 발생되기 쉽다. 즉, 기지국의 위치나 지형 등의 문제로 음영 지역이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음영 지역의 해소를 위해 기지국을 추가로 설치하거나 중계기를 이용하여 무선 망을 설계하게 된다. 이 때, 중계기는 기지국과 이동 단말 사이에서, 기지국의 신호를 증폭하여 이동 단말로 보내고, 또한 이동 단말의 신호를 증폭하여 기지국으로 보냄으로써 기지국의 커버리지를 확장시키고 음영 지역을 해소하는 장 치이다.
이러한 중계기는 양질의 통화 품질을 유지하기 위하여 중계기 출력의 상한값 또는 하한값을 설정하여 중계기 출력이 상한값 또는 하한값을 벗어날 경우 자동으로 이득을 조절하여 출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자동 레벨 제어(Auto Level Control, 이하 "ALC"라고 함)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중계기에서 수행되는 ALC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기는 동작 전에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값(이하 "사용자 초기 설정값"이라고 함)으로 동작 중에 그 출력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S0)에서,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사용 등과 같은 외부 환경의 변화에 의해 중계기 출력이 급상승하여 ALC 상한값(미리 설정된 값)보다 올라갈 경우(S1) ALC 기능을 동작시킨다.
ALC 기능은 중계기의 출력이 ALC 상한값보다 올라갔으므로, 중계기 출력을 감쇄시키는데 사용되는 ALC 감쇄값을 올려서 결과적으로 중계기 출력을 낮춘다(S2). 이러한 ALC 기능을 통해 중계기의 출력이 ALC 상한값보다 낮아지면 ALC 기능은 중계기의 출력이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S3). 예를 들어, 도 1의 S1 과정에서 중계기의 출력이 급상승하면 ALC 기능의 동작에 의해 ALC 감쇄값을 예를 들어 2dB로 높이면, 이로 인해 S2과정과 같이 중계기의 출력이 2dB만큼 낮아져 결과적으로 ALC 상한값보다 낮은 상태인 S3 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이러한 상태에서, 중계기 출력이 ALC 옵셋(미리 설정된 값)보다 아래 로 내려가면(S4) ALC 기능이 동작하여, ALC 감쇄값을 풀어서, 즉 내려서 결과적으로 중계기의 출력이 올라가도록 제어한다(S5). 이러한 ALC 기능을 통해 중계기의 출력이 ALC 옵셋보다 높아지면 ALC 기능은 중계기의 출력이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S6).
그런데,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S1, S2 및 S3 과정을 통해 ALC 기능이 동작하여 중계기의 출력이 ALC 상한값보다 낮은 상태를 유지하지만, 이 경우 ALC 감쇄값은 아직 올라간 상태(상기 예에서는 2dB)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외부 환경의 변화가 원상태로 복귀되어 외부 환경 변화 이전의 상태로 돌아가면 중계기의 출력도 다시 떨어져서(S7) 사용자 초기 설정값으로 돌아가야 하지만 ALC 감쇄값이 올라간 상태이므로 이로 인해 사용자 초기 설정값보다는 낮은 출력(갭 A만큼)으로 유지된다(S8).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외부 환경의 변화로 인해 상기와 같은 과정(S1', S2', S3')이 반복되면 중계기의 출력은 다시 ALC 상한값보다 낮은 값으로 유지되지만 이 경우의 ALC 감쇄값은 또 한 번의 상승으로 인해 앞에서의 값(상기 예에서의 2dB)보다 높은 값(예를 들어 4dB)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외부 환경의 변화가 사라지고 다시 중계기의 출력이 떨어지면(S7') 사용자 초기 설정값은 물론 그 이전의 상태(S8)보다도 더 낮은 출력(갭 B만큼)을 갖게 된다(S8').
즉, 종래의 중계기에서는 상기와 같은 ACL 기능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중계기의 출력은 사용자 초기 설정값으로 유지되는 것이 아니라 ALC 옵셋 근처의 출력으로 유지된다.
중계기에 있어서의 사용자 초기 설정값은 중계기가 최적의 값을 유지하도록 설정된 값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중계기의 출력이 외부 환경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ALC 기능을 통해 사용자 초기 설정값으로 유지되도록 제어되어야 하지만, 종래의 중계기에서는 그렇지 못하고 사용자 초기 설정값보다 낮은 ALC 옵셋으로 유지되도록 제어되고 있으므로, 중계기의 출력이 최적의 출력으로 유지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중계기의 출력을 사용자가 계속적으로 별도로 조정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외부 환경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중계기의 출력이 사용자 초기 설정값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중계기의 자동 레벨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자동 레벨 제어 방법은,
중계기의 출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자동 레벨 제어 장치에서의 제어 방법으로서, a) 상기 중계기의 출력이 정상 범위-여기서 정상 범위는 상기 중계기의 출력의 상한값보다 낮은 값인 설정값과 상기 중계기의 출력의 하한값 사이의 범위임- 내에서 유지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b) 상기 중계기의 출력이 상기 정상 범위 내에서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중계기의 출력을 감쇄시키는데 사용되는 감쇄값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자동 레벨 제어 방법은, 상기 a) 단계 전에, 상기 중계기의 출력이 상기 설정값 이상에서 상기 설정값보다 밑으로 떨어지는 지를 감시하는 단계; 및 상기 감시의 결과, 상기 중계기의 출력이 상기 설정값 이상에서 상기 설정값보다 밑으로 떨어지는 경우, 상기 감쇄값이 상기 중계기의 출력을 감쇄시키는 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감쇄값이 상기 중계기의 출력을 감쇄시키는 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a) 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자동 레벨 제어 장치는,
중계기의 출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자동으로 제어하는 장치로서, 중계기의 출력에 감쇄값을 적용하여 출력하는 감쇄기; 상기 감쇄기에서 출력되는 중계기의 출력을 검출하는 출력 검출부; 및 상기 출력 검출부에서 검출되는 중계기의 출력이 정상 범위-여기서 정상 범위는 상기 중계기의 출력의 상한값보다 낮은 값인 설정값과 상기 중계기의 출력의 하한값 사이의 범위임-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감쇄값이 상기 감쇄기의 출력을 감쇄시키는 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감쇄값의 크기를 감소시켜서 상기 감쇄기에서 출력되는 중계기의 출력이 사용자에 의해 초기에 설정된 출력이 되도록 제어하는 레벨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환경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중계기의 출력이 사용자 초기 설정값으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중계기가 최적의 상태에서 동작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의 자동 레벨 제어 장치(이하 "ALC 장치"라고 함)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LC 장치는 중계기 내, 특히 중간주파수 처리를 수행하는 모듈 내에 포함되어 중계기의 출력을 자동 제어하는 장치이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ALC 장치는 중계기 내에서 "ALC 전 출력"을 받아서 ALC 기능을 수행하여 "ALC 후 출력"을 출력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의 ALC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의 ALC 장치는 감쇄값 저장부(100), 감쇄기(200), 출력 검출부(300), 타이머1(400), 타이머2(500), 메모리(600) 및 레벨 제어부(700)를 포함한다.
감쇄값 저장부(100)는 ALC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ALC 감쇄값을 저장하는 메모리이다. 감쇄값 저장부(100)에 저장되는 ALC 감쇄값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방법에 의해 갱신되어 저장된다.
감쇄기(200)는 감쇄값 저장부(100)에 저장되어 있는 ALC 감쇄값에 기초하여 ALC 전 출력에 대한 감쇄 기능을 수행하여 ALC 후 출력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ALC 감쇄값은 0과 양수, 바람직하게는 0과 양의 정수 값을 가진다. 따라서, 감쇄기(200)는 ALC 전 출력에서 ALC 감쇄값을 빼서 ALC 후 출력으로 출력한다. 특히 ALC 감쇄값이 0인 경우에는 ALC 감쇄값이 적용되더라도 ALC 후 출력이 ALC 전 출력과 동일하게 되므로, ALC 감쇄값이 0인 경우에는 ALC 감쇄값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ALC 감쇄값이 0이 아닌 양수인 경우에는 ALC 감쇄값이 적용되면 ALC 후 출력이 ALC 전 출력에 비해 감소하므로, ALC 감쇄값이 존재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출력 검출부(300)는 감쇄기(200)에서 출력되는 ALC 후 출력을 받아서 감쇄 작업 시 사용되는 중계기 출력으로 검출한다.
타이머1(400)은 출력 검출부(300)를 통해 감쇄기(200)로부터 출력되는 ALC 후 출력의 반복 검출을 시작시키는 제1 주기 시간을 카운트한다. 이러한 제1 주기 시간으로는 예를 들어 30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타이머2(500)는 타이머1(400)에 의해 제1 주기 시간이 된 후 반복 검출을 반복하는데 사용되는 제2 주기 시간을 카운트한다. 예를 들어 제2 주기 시간으로는 1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600)는 ALC 장치가 ALC 기능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각종 파라미터의 값을 저장한다. 이러한 파라미터의 값으로는 중계기 출력 범위의 상한값에 해당하는 ALC 상한값, 중계기 출력 범위의 하한값에 해당하는 ALC 옵셋,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의 출력을 사용자 초기 설정값으로 유지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시간 옵셋 등이 있다. 즉, 메모리(600)에는 ALC 상한값, ALC 하한값, 시간 옵셋의 값이 저장된다. 여기서, 시간 옵셋은 중계기 출력이 떨어지는 때를 감지하기 위한 기준값이다. 레벨 제어부(700)는 중계기 출력이 시간 옵셋을 기준값으로 하여 위에서 밑으로 떨어질 때를 감지하고, 이 때 ALC 감쇄값이 0이 아닌 값으로 존재하면 타이머1(400) 및 타이머2(500)를 이용한 중계기 출력의 반복 검출을 수행하여 중계기 출력을 사용자 초기 설정값으로 유지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레벨 제어부(700)는 감쇄값 저장부(100), 출력 검출부(300), 타이머1(400), 타이머2(500) 및 메모리(600)를 제어하여 외부 환경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감쇄기(200)에서 출력되는 ALC 후 출력이 사용자 초기 설정값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통상적으로 이 레벨 제어부(700)는 출력 검출부(300)에서 검출되는 ALC 후 출력이 메모리(600)에 저장되어 있는 ALC 상한값보다 올라가거나 또는 ALC 옵셋보다 낮아지면 감쇄값 저장부(100)에 저장된 ALC 감쇄값을 변경하여 갱신 저장함으로 써 ALC 후 출력, 즉 중계기의 출력이 ALC 상한값과 ALC 옵셋 사이에서 유지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레벨 제어부(700)는 출력 검출부(300)에서 검출되는 ALC 후 출력이 메모리(600)에 저장되어 있는 시간 옵셋(여기서 시간 옵셋은 ALC 상한값보다 낮고 사용자 초기 설정값보다는 높음)보다 높은 값에서 낮은 값으로 떨어지는 것이 감지되면 이 때 감쇄값 저장부(100)에 저장되어 있는 ALC 감쇄값이 0이 아닌 값으로 존재하는 경우, 타이머1(400)을 통해 제1 주기 시간이 경과하면 타이머2(500)를 이용하여 제2 주기 시간을 반복 카운트하면서 출력 검출부(300)를 제어하여 ALC 후 출력을 미리 설정된 회수, 예를 들어 N(여기서 N은 1이상의 자연수임)회만큼 반복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되는 ALC 후 출력이 시간 옵셋과 ALC 옵셋 사이의 범위 내에서 유지되면 ALC 감쇄값을 일정량만큼, 예를 들어 1dB만큼 감소시켜 감쇄값 저장부(100)에 갱신 저장한다. 레벨 제어부(700)는 ALC 감쇄값이 0이 될 때까지 상기 동작을 반복 수행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외부 환경 변화로 인해 ALC 감쇄값이 적용된 후의 중계기 출력이 ALC 옵셋으로 유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 환경 변화가 없을 때 ALC 감쇄값이 없어질 때까지 감소시켜서 중계기 출력에 대한 ALC 감쇄값의 영향을 없도록 함으로써, 중계기의 출력이 사용자 초기 설정값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LC 장치가 적용된 중계기에서 수행되는 ALC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서는, 도 1에서 외부 환경 변화에 의해 중계기 출력이 ALC 상한값보다 올라가서 ALC 감쇄값이 증가하도록 적용되어 결과적으로 중계기 출력이 ALC 상한값보다 낮은 값으로 유지되도록 단계인 S1, S2, S3과 그 후 외부 환경 변화가 없어져서 중계기 출력이 떨어지고, 여기에 S2 단계에서 증가된 ALC 감쇄값이 적용되어 사용자 초기 설정값보다 낮은 상태로 유지되는 단계인 S7, S8까지의 과정에 대해서는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도 1을 참조한 상기 설명을 참조하면 되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하고, 종래의 기술과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외부 환경 변화가 없어져서 중계기 출력이 시간 옵셋보다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되면, 이 때부터 제1 주기 시간(T)이 카운트되고, 제1 주기 시간(T)이 경과하게 되면 그 때부터 중계기의 출력에 해당하는 감쇄기(200)의 출력인 ALC 후 출력에 대한 반복 검출이 수행된다. 즉, 제1 주기 시간(T)가 경과하면 그 때 ALC 후 출력을 1회 검출하고, 그 때 제2 주기 시간(T')이 카운트되어 제2 주기 시간(T')이 경과하는 때에 ALC 후 출력이 2회째 검출되며, 이 때부터 다시 제2 주기 시간(T')이 경과하는 때에 3회째 ACL 후 출력이 검출되는 동작이 N회째때까지 반복 수행된다.
이러한 N회의 반복 검출을 통해 ALC 후 출력이 시간 옵셋과 ALC 옵셋 사이의 범위 내에서 유지되면 외부 환경의 영향이 없어 중계기의 출력이 안정된 상태이므로 S2 단계에서 증가된 ALC 감쇄값을 일정량, 예를 들어 1dB만큼 감소시킨다. 이로 인해 S8 단계에서 유지되고 있는 중계기 출력이 일정량, 예를 들어 1dB만큼 증가한 상태로 유지된다(S9). 이로 인해, 중계기 출력이 종래 중계기에서의 ALC 기 능 수행 때보다 사용자 초기 설정값에 가깝게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ALC 감쇄값의 감소 후에 ALC 감쇄값이 0이 되면 ALC 후 출력에 대한 반복 검출이 종료되지만, 만약 ALC 감쇄값이 0이 아닌 값으로 존재하면, 다시 제1 주기 시간(T)가 경과할 때부터 제2 주기 시간(T') 단위로 ALC 후 출력을 반복 검출하는 동작을 N회만큼 반복 수행하고, 그 결과 ALC 후 출력이 다시 시간 옵셋과 ALC 옵셋 사이에서 유지되고 있으면 ALC 감쇄값을 일정량만큼 감소시켜서, 결과적으로 중계기 출력이 사용자 설정값에 더 가까이 유지되도록 한다(S10). 이러한 과정을 통해 ALC 감쇄값이 0이 되면 이 때의 중계기 출력이 사용자 초기 설정값과 같은 정도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ALC 기능이 동작되면, 중계기의 출력은 외부 환경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사용자 초기 설정값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의 ALC 장치에서의 ALC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LC 장치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S1, S2 및 S3 과정과 같이 통상적으로 수행하는 ALC 기능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고, 종래와 다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ALC 기능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그리고, 하기의 ALC 방법은 ALC 장치 내의 레벨 제어부(700)가 그 주체로써 출력 검출부(300), 타이머1(400), 타이머2(500) 및 메모리(600)를 제어하여 수행하므로, 이하의 설명에서 동작의 주체를 생략하더라도 그 주체가 레벨 제어부(700)인 것을 암시한다.
먼저, 출력 검출부(300)는 레벨 제어부(700)의 제어에 의해 중계기 내에서 ALC 전 출력에 대한 감쇄 동작을 수행하는 감쇄기(200)에서 출력되는 ALC 후 출력을 검출한다(S100).
레벨 제어부(700)는 출력 검출부(300)에 의해 계속 검출되는 출력, 즉 중계기 출력이 시간 옵셋 이상의 값에서 시간 옵셋보다 낮은 값으로 떨어지는 지를 확인한다(S101).
만약 검출된 출력이 시간 옵셋 이상의 값에서 시간 옵셋보다 낮은 값으로 떨어졌으면(S102), 레벨 제어부(700)는 그 때 감쇄값 저장부(100)에 저장되어 있는 ALC 감쇄값이 0이 아닌 값으로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S103).
만약 상기 단계(S102)에서 검출된 출력이 시간 옵셋 이상에서 시간 옵셋보다 낮은 값으로 떨어지는 경우가 아니거나 또는 상기 단계(S103)에서 ALC 감쇄값이 0인 경우에는 레벨 제어부(700)는 여기에서의 제어 기능을 중지하고 ALC 후 출력을 검출하는 단계(S100)부터 다시 반복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단계(S103)에서 검출된 출력이 시간 옵셋 이상의 값에서 시간 옵셋보다 낮은 값으로 떨어진 상태에서 ALC 감쇄값이 0이 아닌 값인 것으로 확인되면, 레벨 제어부(700)는 타이머1(400)을 사용하여 제1 주기 시간(T)이 경과할 때까지 카운트한다(S104).
제1 주기 시간(T)이 경과하면, 레벨 제어부(700)는 중계기 출력을 검출하는 회수, 즉 출력 검출 회수를 0으로 설정한 후(S105), 출력 검출부(300)를 통해 중계기 출력인 ALC 후 출력을 검출한다(S106).
그 후, 레벨 제어부(700)는 상기 단계(S106)에서 검출된 출력이 정상 범위, 즉 시간 옵셋부터 ALC 옵셋 까지의 범위 내에 있는 지를 판단한다(S107).
만약 제1 주기 시간(T)이 경과한 후에 검출된 출력이 정상 범위 내에 있지 않은 경우에는 여기에서의 제어 기능을 중지하고 ALC 후 출력을 검출하는 단계(S100)부터 다시 반복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단계(S107)에서 제1 주기 시간(T)이 경과한 후에 검출된 출력이 정상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출력 검출 회수를 1 증가시킨 후(S108) 출력 검출 회수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회수인 N인가를 확인한다(S109).
만약 출력 검출 회수가 N이 아니면 레벨 제어부(700)는 타이머2(500)를 사용하여 제2 주기 시간(T')이 경과할 때까지 카운트한다(S110).
제2 주기 시간(T')이 경과하면, 레벨 제어부(700)는 출력 검출부(300)를 통해 중계기 출력인 ALC 후 출력을 검출하는 단계(S106)부터 출력 검출 회수가 N인가를 확인하는 단계(S109)까지를 반복 수행한다.
이와 같이, 레벨 제어부(700)는 출력 검출 회수가 N이 될 때까지 타이머2(500)를 이용한 제2 주기 시간(T') 경과 후에 중계기 출력 검출을 반복한다.
만약 출력 검출 회수가 N이 되기 전에 검출된 출력이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가 발생하면 그 때는 상기 단계(S107)에서 확인되어 여기에서의 제어 기능이 중하게 되고, ALC 후 출력을 검출하는 단계(S100)부터 다시 반복 수행된다.
그러나, 출력 검출 회수가 N이 될 때까지 검출된 출력이 정상 범위 내에 있으면 검출 회수가 N인지를 확인하는 단계(S109)에서 확인되므로, 레벨 제어부(700) 는 감쇄값 저장부(100)에 저장되어 있는 ALC 감쇄값을 일정량, 예를 들어 1dB만큼 감소시킨 후, 다시 ALC 감쇄값이 0인지를 확인하는 단계(S103)부터 여기에서의 제어 기능을 반복 수행한다.
즉, 상기와 같이 제1 주기 시간(T)과 제2 주기 시간(T')을 이용한 중계기 출력의 반복 검출을 통한 ALC 감쇄값의 감소 동작을 한 번 수행한 후에도 ALC 감쇄값이 여전히 0이 아닌 값으로 존재하면 ALC 감쇄값이 0이 될 때까지 상기의 동작을 반복 수행한다.
따라서, 여기에서의 제어 기능은 ALC 감쇄값이 0이 되면 종료되고,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서 중계기 출력을 검출하고 검출된 출력이 시간 옵셋 이상에서 시간 옵셋보다 낮은 값으로 떨어지는지를 확인하는 단계(S100)부터 다시 시작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레벨 제어부(700)는 중계기 출력이 외부 환경 변화로 인해 ALC 상한값보다 높아져서 ALC 감쇄값이 증가되어 중계기 출력을 ALC 상한값보다 낮은 값으로 유지시키는 ALC 기능이 수행된 후, 외부 환경 변화가 사라져서 중계기 출력이 시간 옵셋보다 낮은 값으로 떨어질 때 상기의 제어 동작을 수행하여 중계기 출력이 정상 범위 내에서 계속 유지될 때 ALC 감쇄값이 0이 될 때까지 감소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중계기 출력이 사용자 초기 설정값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중계기에서 수행되는 ALC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의 ALC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LC 장치가 적용된 중계기에서 수행되는 ALC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의 ALC 장치가 수행하는 ALC 방법의 흐름도이다.

Claims (13)

  1. 중계기의 출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자동 레벨 제어 장치에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중계기의 출력이 정상 범위-여기서 정상 범위는 상기 중계기의 출력의 상한값보다 낮은 값인 설정값과 상기 중계기의 출력의 하한값 사이의 범위임- 내에서 유지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b) 상기 중계기의 출력이 상기 정상 범위 내에서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중계기의 출력을 감쇄시키는데 사용되는 감쇄값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 레벨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전에,
    상기 중계기의 출력이 상기 설정값 이상에서 상기 설정값보다 밑으로 떨어지는 지를 감시하는 단계; 및
    상기 감시의 결과, 상기 중계기의 출력이 상기 설정값 이상에서 상기 설정값보다 밑으로 떨어지는 경우, 상기 감쇄값이 상기 중계기의 출력을 감쇄시키는 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감쇄값이 상기 중계기의 출력을 감쇄시키는 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a) 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레벨 제어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중계기의 출력의 정상 범위 내에서의 유지 여부는 일정 시간 내에 복수 회에 걸쳐 검출되는 상기 중계기의 출력에 대해 모두 만족되어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레벨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가,
    i) 제1 주기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제1 타이머를 카운트하는 단계; 및
    ii) 제2 주기 시간을 주기로 하여 상기 중계기의 출력을 상기 복수 회만큼 검출하면서, 상기 검출된 중계기의 출력의 상기 정상 범위 내에서의 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 레벨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ii) 단계에서 상기 복수 회만큼 검출된 상기 중계기의 출력이 상기 정상 범위 내에서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감쇄값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레벨 제어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ii) 단계가,
    ii-1) 상기 중계기의 출력을 검출하는 단계;
    ii-2) 상기 중계기의 출력이 상기 정상 범위 내에 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ii-3) 상기 중계기의 출력이 정상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2 주기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제2 타이머를 카운트하는 단계; 및
    ii-4) 상기 중계기의 출력을 검출하는 회수가 상기 복수 회가 될 때까지 상기 ii-1) 단계, ii-2) 단계 및 ii-3)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 레벨 제어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쇄값이 상기 중계기의 출력을 감쇄시키지 못하는 값을 가질 때까지 또는 상기 검출된 중계기의 출력이 상기 정상 범위 내에서 유지될 때까지 상기 a) 단계 및 b)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레벨 제어 방법.
  8. 중계기의 출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자동으로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중계기의 출력에 감쇄값을 적용하여 출력하는 감쇄기;
    상기 감쇄기에서 출력되는 중계기의 출력을 검출하는 출력 검출부; 및
    상기 출력 검출부에서 검출되는 중계기의 출력이 정상 범위-여기서 정상 범위는 상기 중계기의 출력의 상한값보다 낮은 값인 설정값과 상기 중계기의 출력의 하한값 사이의 범위임-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감쇄값이 상기 감쇄기의 출력을 감쇄시키는 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감쇄값의 크기를 감소시켜서 상기 감쇄기에서 출력되는 중계기의 출력이 사용자에 의해 초기에 설정된 출력이 되도록 제어하는 레벨 제어부
    를 포함하는 자동 레벨 제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제1 주기 시간을 카운트하는 제1 타이머; 및
    제2 주기 시간을 카운트하는 제2 타이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벨 제어부는,
    상기 제1 타이머에 의해 제1 주기 시간이 경과한 후부터 상기 제2 타이머에 의해 카운트되는 제2 주기 시간을 주기로 하여 상기 출력 검출부에 의해 복수 회 검출되는 중계기의 출력이 상기 정상 범위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감쇄값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레벨 제어 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감쇄값을 저장하는 감쇄값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쇄기는 상기 감쇄값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감쇄값을 중계기의 출력에 적용하며,
    상기 레벨 제어부는 상기 감쇄값의 크기를 감소시켜서 상기 감쇄값 저장부에 갱신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레벨 제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제어부는,
    상기 출력 검출부에서 검출되는 중계기의 출력이 상기 설정값 이상의 값에서 상기 설정값보다 밑으로 떨어지고, 상기 감쇄값이 상기 감쇄기의 출력을 감쇄시키는 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중계기의 출력이 상기 정상 범위를 유지하는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감쇄값의 크기에 대한 감소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레벨 제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제어부는,
    상기 감쇄값이 상기 감쇄기의 출력을 감쇄시키지 못하는 값을 가질 때까지 또는 상기 중계기의 출력이 상기 정상 범위를 유지할 때까지 상기 제1 타이머 및 제2 타이머를 사용한 상기 중계기의 출력의 정상 범위 유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감쇄값의 크기에 대한 감소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레벨 제어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제어부의 제어를 받으며, 상기 상한값, 상기 하한값 및 상기 설정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자동 레벨 제어 장치.
KR1020080118646A 2008-11-27 2008-11-27 중계기의 자동 레벨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982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646A KR100982573B1 (ko) 2008-11-27 2008-11-27 중계기의 자동 레벨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646A KR100982573B1 (ko) 2008-11-27 2008-11-27 중계기의 자동 레벨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164A KR20100060164A (ko) 2010-06-07
KR100982573B1 true KR100982573B1 (ko) 2010-09-15

Family

ID=42361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8646A KR100982573B1 (ko) 2008-11-27 2008-11-27 중계기의 자동 레벨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257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8760B1 (ko) 2006-01-02 2007-03-22 (주) 엘지텔레콤 출력 자동 설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중계 시스템
KR20070087970A (ko) * 2006-02-24 2007-08-29 (주) 엘지텔레콤 무선 중계기의 발진 감지 및 경보 제어장치와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8760B1 (ko) 2006-01-02 2007-03-22 (주) 엘지텔레콤 출력 자동 설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중계 시스템
KR20070087970A (ko) * 2006-02-24 2007-08-29 (주) 엘지텔레콤 무선 중계기의 발진 감지 및 경보 제어장치와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164A (ko) 2010-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7885B1 (ko) 이동전화중계기의감시방법및감시장치
US8665774B2 (en) Reverse link power-controlled repeater
KR100746608B1 (ko) 직접 변환용 수신기의 수신기 감도를 증가시키기 위한장치, 및 관련 방법
US6449463B1 (en) Variable loop gain in double loop power control systems
CN101652934B (zh) 基站中继器
CN102231906B (zh) 一种增益控制方法及射频拉远单元
EP1645049A2 (en) Method for automatic control of rf output level of a repeater
US20030157955A1 (en) Method and system for power control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0982573B1 (ko) 중계기의 자동 레벨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4933549B2 (ja) 無線通信方式のためのアウターループ電力制御方法および装置
KR20140031580A (ko) 상향링크 잡음감소 방법 및 장치
KR100368807B1 (ko) Rf 중계기의 출력 변화량을 이용한 발진감지 방법 및이를 채용한 rf중계기
JP2001144680A (ja) 通信方法および移動局
KR100741939B1 (ko) 중계기의 발진 감지 제어장치
JPS6173408A (ja) 送信出力の制御方法
US2004025950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tigating IM interference effects in two-way radio subscriber units
KR101041349B1 (ko) 게인 보상 기능에 따른 과출력 발생을 방지하는 중계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0056222A1 (en) A wireless repeater with a locate mode
KR100553270B1 (ko) 출력 레벨 자동 설정 중계기 및 출력 레벨 자동 설정 방법
JP3890264B2 (ja) 無線装置の送信機とその送信レベル制御方法
JPH1127196A (ja) 周波数変換形中継増幅装置
KR20220111171A (ko) 역방향 이득 자동 레벨 제어 방법 및 그 중계기
US20190045464A1 (en) Circuit arrangement for compensating for signal attenuation during the transmission of signals from or to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JP4050212B2 (ja) 信号受信装置
CN110324838A (zh) 更新激活集小区的方法、装置、终端以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