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7816B1 - 기지국의 출력파워 및 정재파비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장치 및방법 - Google Patents

기지국의 출력파워 및 정재파비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장치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7816B1
KR100307816B1 KR1019990029167A KR19990029167A KR100307816B1 KR 100307816 B1 KR100307816 B1 KR 100307816B1 KR 1019990029167 A KR1019990029167 A KR 1019990029167A KR 19990029167 A KR19990029167 A KR 19990029167A KR 100307816 B1 KR100307816 B1 KR 100307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ignal
standing wave
wave ratio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9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0345A (ko
Inventor
이승엽
Original Assignee
이승엽
시그마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엽, 시그마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승엽
Priority to KR1019990029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7816B1/ko
Publication of KR20010010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0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7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78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46Side-members having special front end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18Resilient hinges
    • G02C5/2227Resilient hinges comprising a fixed hinge member and a coil sp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20Friction elements

Abstract

개시된 기지국의 출력파워 및 정재파비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장치 및 방법은 안테나 단의 출력파워 및 정재파비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 값에 따라 자동으로 그 출력파워 및 정재파비를 미리 설정된 값으로 조정하는 기지국의 출력파워를 자동으로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송신 안테나 단의 출력파워를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송신 안테나를 통해 파이로트 채널만이 발사되도록 하고, 이렇게 발사되는 파이로트 채널을 이용하여 송신 안테나 단의 출력파워 및 정재파비를 모니터링하고, 출력파워 및 정재파비가 미리 설정된 값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송신 RF 출력파워를 미리 설정된 파워값으로 조정하는데 있어, 주로 통화량이 적은 시간대(늦은 밤이나 새벽)를 이용할 수 있어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들에게 어떠한 불편도 주지 않는 상태에서 송신 RF 출력파워를 자동으로 조정함으로써 송신 RF 출력파워를 항상 균일화시켜 통화품질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기지국의 출력파워 및 정재파비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장치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arbitration an output power and VSWR of a base station}
본 발명은 기지국의 출력파워 및 정재파비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안테나 단의 출력파워 및 정재파비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 값에 따라 자동으로 그 출력 파워값 및 정재파비를 미리 설정된 값으로 조정하는 기지국의 출력파워 및 정재파비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보급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통신방식은 전송신호의 주파수 대역폭을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신호의 주파수 대역폭보다 넓게 확산시키는 통신방식에 근거를 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CDMA 이동 통신 방식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은 3개의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하나의 통신 지역을 원으로 보았을 때 각 안테나마다 120。 의 통신영역을 갖게 된다.
이렇게 안테나에 의해 커버리지(coverage)되는 통신영역을 섹터(Sector)라 한다.
한편, 상술한 CDMA 이동 통신 방식이 적용되는 기지국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하는 특징을 갖고 있기 때문에 동일한 시간에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상호 간섭 없이 사용하기 위해서는 송신 안테나의 출력파워를 최대의 시스템 용량을 얻을 수 있도록 조정한다.
이때, 출력파워제어는 인접 셀 간의 간섭을 줄이기 위해 기지국에서 각 채널의 상태를 파악하여 각 채널의 송신 파워를 제어하는 방법이 있다. 즉, 기지국에서는 각 채널이 가장 적절한 송신 출력파워를 가질 수 있도록 그 값이 미리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에서 미리 설정된 송신 출력파워는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온도 및 기타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변동하게 되어 미리 설정된 값으로부터 벗어나게 되고, 이로 인해 통화 품질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모든 주파수 성분이 있는 유무선 전송시 송수신 안테나 단의 임피던스를 매칭시켜 주어야 하는데, 그 정도를 정재파비(VSWR)라 하며, 기지국의 안테나는 일정한 정재파비를 가질 수 있도록 관리되고 있다.
만약, 안테나 단의 정재파비가 틀어지게 되면 안테나 상에서 공간상으로 방사되는 신호의 정도가 떨어지게 되므로써, 기지국에서 출력되는 파워를 수신단으로 모두 전달할 수 없게 되므로 통화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시스템 관리자는 항상 일정한 채널 송신 출력파워 및 정재파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각 기지국을 방문하여 계측기를 이용하여 현재의 송신 출력파워 및 정재파비를 측정하고, 측정된 송신 출력파워값 및 정재파비가 미리 설정된 값을 벗어나는 경우 수동으로 그 값을 조정해 주어야 한다.
그러므로, 시스템 관리자가 기지국을 일일이 방문하여 현재의 송신 출력파워 및 정재파비를 측정하고, 조정해 주어야 하므로 기지국을 관리하는데 많은 인력이필요하게 되므로 인력 낭비가 있으며, 많은 인력을 관리하기 위해 비용 또한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안테나 단의 출력파워 및 정재파비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 값에 따라 자동으로 그 출력 파워값 및 정재파비를 미리 설정된 값으로 조정하여 기지국 운용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항상 안정된 통화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지국의 출력파워 및 정재파비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CDMA 이동 통신 방식에 의해 생성되는 섹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의 출력파워 및 정재파비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도 2에 적용된 파워 감시 및 조정수단의 상세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의 출력파워 및 정재파비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업 컨버터 20 : 파워 가변부
30 : 증폭부 40 : 제어부
50 : 제 1 파워 감지부 60 : 제 2 파워 감지부
70 : 파워 감시 및 조정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중으로부터 입력되는 RF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외부로 RF 신호를 송신하는 안테나를 복수로 구비하고 있으며, 복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일정지역을 동일한 범위를 갖는 영역인 섹터로 분할하여 통신과정을 수행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본 발명의 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RF 신호를 업 컨버팅하는 업 컨버터와, 외부로부터 디지털 데이터 형태의 데이터를 전송받아 RF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RF 신호의 섹터를 결정하고, 결정된 섹터를 통해 RF 신호가 출력될 수 있도록 제 1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 2 제어신호에 응하여 호처리 과정을 중단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 3 제어신호에 응하여 파이로트 채널만 발사하는 제 1 제어수단과,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파워 조정 신호에 응하여 업 컨버터로부터 입력되는 RF 신호의 파워를 가변하는 파워 가변수단과, 파워 가변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RF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수단과, 증폭수단에서 안테나로 출력되는 RF 신호의 파워를 감지하는 제 1 파워 감지수단과, 안테나에서 증폭수단으로 입력되는 RF 신호의 파워를 감지하는 제 2 파워 감지수단과, 제 1 제어수단으로 제 2 및 제 3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제 1, 2 파워 감지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제 1, 2 파워 감지 신호에 응하여 파워 조정 신호를 파워 가변수단으로 출력하는 파워 감시 및 조정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송신 출력파워와 더불어 정재파비를 모니터링하고, 그 정재파비가 틀어지는 경우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1) 내부에 구비된 카운터를 통해 카운트되고 있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작 시간과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2) 과정(1)의 판단 결과, 카운트되고 있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작시간과 일치하는 경우, 파워 조정 중간에 통화 채널이 없도록 호를 차단하기 위한 제 2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과정과, (3) 과정(2)에서 제 2 제어신호를 출력한 후, 해당 섹터에 파이로트 채널만 발사되도록 하는 제 3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과정과, (4) 과정(3)에서 제 3 제어신호를 출력한 후, 안테나 단에 출력되는 파워값을 측정하는 과정과, (5) 상기 과정(4)에서 측정된 파워값이 미리 설정된 파워값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6) 과정(5)의 판단 결과, 측정된 파워값이 미리 설정된 파워값 범위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파워 조정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과, (7) 과정(6) 수행 후 카운터를 초기화한 후 남은 섹터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8) 과정(7)의 판단 결과, 남은 섹터가 있는 경우 그 섹터의 파워 감시 및조정과정을 수행하고, 남은 섹터가 없는 경우 상기 과정(1)부터 반복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의 출력파워 및 정재파비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업 컨버터(10)는 제 1 제어부(40)로부터 입력되는 RF 신호를 업 컨버팅한다.
제 1 제어부(40)는 교환기(도면에 미도시)로부터 디지털 데이터 형태의 데이터를 전송받아 RF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RF 신호의 섹터(Sector)를 결정하고, 결정된 섹터를 통해 RF 신호가 출력될 수 있도록 제 1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 2 제어신호에 응하여 호처리 과정을 중단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 3 제어신호에 응하여 파이로트 채널만 발사한다.
상술한 제 1 제어부(40)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안테나를 통해 송출되는 RF 신호를 처리하는 RF 프로세서 파트(RF PROCESSOR PART)와, 상술한 RF 프로세서 파트에서 신호 처리된 RF 신호를 3개의 안테나에 의해 분할된 섹터 중 하나의 섹터로 송출될 수 있도록 제어해 주는 섹터 인터페이스 컨트롤 파트(SECTOR INTERFACE CONTROL PART)와, 기지국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BASE STATION CONTROL PROCESSOR PART)로 나누어져 있다.
파워 가변부(20)는 후술하는 파워 감시 및 조정부(70)로부터 입력되는 파워조정 신호에 응하여 업 컨버터로부터 입력되는 RF 신호의 출력파워 및 정재파비를 미세하게 조정하여 송신 안테나 단의 출력파워 및 정재파비가 미리 설정된 값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증폭부(30)는 상술한 파워 가변부(20)로부터 입력되는 RF 신호를 증폭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출한다.
제 1 파워 감지부(50)는 정방향 커플러(FORWARD COUPLER)로서, 상술한 증폭부(30)에서 안테나로 출력되는 RF 신호의 출력파워 및 정재파비를 감지한다.
제 2 파워 감지부(60)는 역방향 커플러(REVERSE COUPLER)로서, 상술한 안테나에서 증폭부(30)로 입력되는 RF 신호의 입력파워 및 정재파비를 감지한다.
즉, 상술한 제 1 파워 감지부(50) 및 제 2 파워 감지부(60)는 RF 신호가 유무선을 타고 전송되고 있을 경우, 그 송신단에 상술한 커플러를 근접시켜 설치하는 경우 커플러는 RF 신호의 파워를 샘플링하여 현재 안테나 단의 출력파워 및 정재파비를 감지할 수 있다.
파워 감시 및 조정부(70)는 내부 카운터에 의해 시작 시간이 되는 경우, 상술한 제 1 제어부(40)로 제 2 및 제 3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술한 제 1, 2 파워 감지부(50)(60)로부터 입력되는 제 1, 2 파워 감지 신호에 응하여 파워 조정 신호를 상술한 파워 가변부(20)로 출력한다.
이때, 제 1 제어부(40)에서 출력되는 업 컨버터(10)로 출력되는 제 1 제어신호는 도면에는 미도시 되어 있으나, RF 신호가 안테나를 통해 송출할 수 있도록 그 출력 주파수를 업 컨버팅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신호이다.
또한, 파워 감시 및 조정부(70)에서 출력되는 제 2, 3 제어신호는 제 1 제어부(40)의 도면에는 미도시 되어 있으나, 메인제어파트로 출력되는 제어신호로서, 제 2 제어신호는 제 1 제어부(40)의 섹터 인터페이스 컨트롤 파트의 호를 차단하여 통화 채널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제어신호이다.
그리고, 제 3 제어신호는 송신 안테나 단에 출력되는 파워를 측정하기 위하여 제 1 제어부(40)의 섹터 인터페이스 컨트롤 파트에서 파이로트 채널만 발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어신호이다.
한편, 제 1 제어부(40)와 파워 감시 및 조정부(70)의 통신 선로 상에 노트북과 같은 시스템 관리자의 외부 장치와 연결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그러므로, 필요에 따라 시스템 관리자가 송신 안테나에 출력되는 파워 및 정재파비를 상술한 외부 장치를 통해 감시하고,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파워 감시 및 조정부(70)에는 일반 PSTN 망과 연결할 수 있는 통신 선로(E1/T1)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므로 파워 감시 및 조정부(70)에서 모니터링되고 있는 송신 안테나의 출력파워 및 정재파비를 상술한 통신선로(E1/T1)를 통해 원격지에 구비되어 있는 모니터링장치로 전송하여 원격지에서 송신 안테나의 출력파워 및 정재파비를 미세 조정하여 미리 설정된 값으로 출력파워 및 정재파비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3은 도 2에 적용된 파워 감시 및 조정부(70)의 상세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제 1 파워 감지부(50)로부터 입력되는 제 1 파워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송신신호의 세기를 검출하고, 상술한 제 2 파워 감지부(60)로부터 입력되는 제 2 파워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수신신호의 세기를 검출하는 파워값 검출부(71)와, 후술하는 제 2 제어부(72)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응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 되는 신호의 세기를 화면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73)와, 내부에 구비된 카운터를 이용하여 시간을 카운트하고, 카운트되고 있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작시간과 일치하는 경우, 송신 안테나 단에 출력되는 파워를 측정하기 위해 상술한 제 1 제어부(40)로 제 2 및 제 3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술한 파워값 검출부(71)로부터 입력되는 송신신호의 세기 및 수신신호의 세기에 응하여 상술한 파워 가변부(20)로 파워 조정 신호를 출력하며, 상술한 디스플레이부(73)로 디스플레이용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 2 제어부(7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의 출력파워 및 정재파비를 자동으로 조정하기 위한 장치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의 출력파워 및 정재파비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파워 감시 및 조정부(70)의 제 2 제어부(72)는 내부에 구비된 카운터를 통해 카운트(S100)되고 있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과 일치하는지를 체킹한다. 그리고, 제 2 제어부(70)는 카운트되고 있는 시간과 미리 설정된 시작 시간과 일치하는지를 판단(S110)한다.
상술한 과정(S110)의 판단 결과, 카운트되고 있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작시간과 일치하는 경우, 제 1 제어부(40)의 미도시된 섹터 인터페이스 컨트롤 파트로부터 파워 조정 중간에 통화 채널이 없도록 호를 차단하기 위한 제 2 제어신호를 제 1 제어부(40)의 미도시된 메인제어파트로 출력한다.
제 2 제어부(72)는 이렇게 제 1 제어부(40)로 제 2 제어신호를 출력(S120)한 후, 미도시된 섹터 인터페이스 컨트롤 파트에 의해 파이로트 채널만 발사될 수 있도록 제 1 제어부(40)의 미도시된 메인제어파트로 제 3 제어신호를 출력(S130)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제어부(72)는 제 3 제어신호를 출력한 후, 파워값 검출부(71)를 통해 안테나 단에 출력되는 파워값을 측정(S140)한다.
즉, 파워값 검출부(71)는 제 1 파워 감지부(50)로부터 입력되는 제 1 파워 감지신호를 통해 송신신호의 파워 세기를 검출하고, 제 2 파워 감지부(60)로부터 입력되는 제 2 파워 감지신호를 통해 수신신호의 파워 세기를 검출한다.
그리고, 이렇게 검출된 파워의 세기는 제 2 제어부(72)로 입력되고, 제 2 제어부(72)는 현재 송신 안테나 단의 출력 파워값 및 정재파비를 감지할 수 있다.
제 2 제어부(72)는 이렇게 상술한 과정(S140)을 통해 제 2 제어부(72)로 입력되는 파워값 및 정재파비가 제 2 제어부(72)의 내부 메모리(도면에 미도시됨)에 미리 설정된 파워값 및 정재파비의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를 판단(S150)한다.
상술한 과정(S150)의 판단 결과, 측정된 파워값 및 정재파비가 미리 설정된 파워값 및 정재파비의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경우 송신 안테나 단의 출력파워 및 정재파비가 정상이라 판단하고 카운트하는 과정(S100)부터 반복 수행한다.
그러나, 상술한 과정(S150)의 판단 결과, 측정된 파워값 및 정재파비가 미리 설정된 파워값 및 정재파비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제 2 제어부(72)는 파워 가변부(20)로 파워 조정 신호를 출력(S160)하여 업 컨버터(10)를 통해 출력되는 RF 신호의 파워 세기를 미세 조정하여 송신 안테나 단의 출력파워 및 정재파비가 미리 설정된 값이 되도록 자동으로 조정한다.
그리고, 상술한 과정(S150)의 판단 결과, 측정된 파워값 및 정재파비가 미리 설정된 파워값 및 정재파비의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경우 남은 섹터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S170)을 수행한다.
제 2 제어부(72)는 상술한 과정을 거쳐 송신 안테나 단의 출력파워 및 정재파비를 조정한 후, 제 2 제어부(72)는 송신 안테나 단의 출력파워 및 정재파비를 자동으로 조정하기 위한 다른 섹터가 있는지를 판단(S170)한다.
만약, 상술한 과정(S170)의 판단 결과, 남은 섹터가 있는 경우 그 섹터의 파워 감시 및 조정과정(S180)을 수행하고, 남은 섹터가 없는 경우 제 2 제어부(72)는 상술한 과정(S100)부터 반복 수행한다.
이때, 모든 과정에서 출력되는 데이터 또는 송신 안테나 단의 출력파워값 및 정재파비는 제 2 제어부(72)의 제어신호를 받아 디스플레이부(73)를 통해 화면상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구현함으로써, 다양한 효과를 볼 수 있다.
첫째, 송신 RF 출력파워 및 정재파비를 미리 설정된 파워값으로 조정하는데 있어, 주로 통화량이 적은 시간대(늦은 밤이나 새벽)를 이용할 수 있어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들에게 어떠한 불편도 주지 않는 상태에서 송신 RF 출력파워 및 정재파비를 조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기지국 현장뿐만 아니라 원격지에서도 송신 RF 출력파워 및 정재파비를 모니터링할 수 있어 기지국 내에서의 송신 RF 출력파워 및 정재파비가 정상적으로 조정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쉽게 알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셋째, 기지국의 송신 RF 출력파워 및 정재파비를 항상 균일화시켜 통화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 이외에도, 송신 RF 출력파워 및 정재파비를 자동으로 조정함으로서 송신 RF 출력파워 및 정재파비를 수동으로 조정하는 경우에 필요한 작업인력을 감소할 수 있어 비용절감이 되며, 작업인력이 일일이 기지국을 방문하여 송신 RF 출력파워 및 정재파비를 조정하지 않아도 되므로 기지국 관리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공중으로부터 입력되는 RF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외부로 RF 신호를 송신하는 안테나를 복수로 구비하고 있으며, 복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일정지역을 동일한 범위를 갖는 영역인 섹터로 분할하여 통신과정을 수행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RF 신호를 업 컨버팅하는 업 컨버터;
    외부로부터 디지털 데이터 형태의 데이터를 전송받아 RF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RF 신호의 섹터를 결정하고, 결정된 섹터를 통해 RF 신호가 출력될 수 있도록 제 1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 2 제어신호에 응하여 호처리 과정을 중단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 3 제어신호에 응하여 파이로트 채널만 발사하는 제 1 제어수단;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파워 조정 신호에 응하여 업 컨버터로부터 입력되는 RF 신호의 파워를 가변하는 파워 가변수단;
    상기 파워 가변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RF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수단;
    상기 증폭수단에서 안테나로 출력되는 RF 신호의 파워를 감지하는 제 1 파워 감지수단;
    상기 안테나에서 증폭수단으로 입력되는 RF 신호의 파워를 감지하는 제 2 파워 감지수단; 및
    상기 제 1 제어수단으로 제 2 및 제 3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 1, 2 파워 감지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제 1, 2 파워 감지 신호에 응하여 파워 조정 신호를 파워 가변수단으로 출력하는 파워 감시 및 조정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출력파워 및 정재파비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감시 및 조정수단은;
    상기 제 1 파워 감지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제 1 파워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송신신호의 세기를 검출하고, 상기 제 2 파워 감지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제 2 파워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수신신호의 세기를 검출하는 파워값 검출수단;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응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화면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수단; 및
    내부에 구비된 카운터를 이용하여 시간을 카운트하고, 카운트되고 있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작시간과 일치하는 경우, 출력파워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제 1 제어수단으로 제 2 및 제 3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파워값 검출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송신신호의 세기 및 수신신호의 세기에 응하여 상기 파워 가변수단으로 파워 조정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 2 제어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출력파워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파워 감시 및 조정수단은, 안테나 단의 정재파비를 모니터링하여 정재파비를 미리 설정된 값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파워 가변수단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출력파워 및 정재파비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장치.
  4. (1) 내부에 구비된 카운터를 통해 카운트되고 있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작 시간과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
    (2) 상기 카운트되고 있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작시간과 일치하는 경우, 파워 조정 중간에 통화 채널이 없도록 호를 차단하기 위한 제 2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과정;
    (3) 상기 제 2 제어신호를 출력한 후, 해당 섹터에 파이로트 채널만 발사되도록 하는 제 3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과정;
    (4) 상기 제 3 제어신호를 출력한 후, 안테나 단에 출력되는 파워값 및 정재파비를 측정하는 과정;
    (5) 상기 측정된 파워값 및 정재파비가 미리 설정된 파워값 및 정재파비의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
    (6) 상기 측정된 파워값 및 정재파비가 미리 설정된 파워값 및 정재파비의 범위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파워 조정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
    (7) 상기 측정된 파워값 및 정재파비가 미리 설정된 파워값 및 정재파비의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경우 남아 있는 섹터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 및
    (8) 남은 섹터가 있는 경우 그 섹터의 파워 감시 및 조정과정을 수행하고, 남은 섹터가 없는 경우 상기 과정(1)부터 반복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출력파워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방법.
KR1019990029167A 1999-07-19 1999-07-19 기지국의 출력파워 및 정재파비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장치 및방법 KR100307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167A KR100307816B1 (ko) 1999-07-19 1999-07-19 기지국의 출력파워 및 정재파비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장치 및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167A KR100307816B1 (ko) 1999-07-19 1999-07-19 기지국의 출력파워 및 정재파비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장치 및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0345A KR20010010345A (ko) 2001-02-05
KR100307816B1 true KR100307816B1 (ko) 2001-11-01

Family

ID=19602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9167A KR100307816B1 (ko) 1999-07-19 1999-07-19 기지국의 출력파워 및 정재파비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장치 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78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64104B2 (en) * 2010-09-24 2013-01-29 Intel Corporation Power calibration under voltage standing wave ratio change by frequency swee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0345A (ko) 2001-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37599B1 (en) Booster, monitoring, apparatus, booster system, control method and monitoring method
KR100659961B1 (ko) 역방향 링크의 로딩 추정방법 및 장치
WO2011097984A1 (zh) 无线局域接入网的路由设备以及信号发射方法
US5974093A (en)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CN100542020C (zh) 自动增益控制设备及方法
CN111431552B (zh) 终端设备的控制方法、终端设备及存储介质
JP3759390B2 (ja) ユーザ・プローブ信号の強さを調節することによりユーザのアクセス遂行能力を改善する方法
US20180176867A1 (en) Headend device of distributed antenna system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thereof
CN109617625B (zh) 一种天线间隔离度测量方法
KR100307816B1 (ko) 기지국의 출력파워 및 정재파비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장치 및방법
KR20040033917A (ko) 휴대단말기의 출력전력 제어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100834682B1 (ko) 이동 단말기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4260489A (ja) 干渉を回避するための受信品質制御方法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JPS6084030A (ja) 移動通信における送信出力制御方式
CN111935810A (zh) 无线设备功率等级调整方法、装置、系统、终端及介质
JP4971332B2 (ja) 無線中継装置
KR100698760B1 (ko) 출력 자동 설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중계 시스템
KR100464035B1 (ko) 단말기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719417B1 (ko) 비동기 이동통신 기지국의 송출전력 자동 제어 장치 및방법
KR20090063853A (ko) 중계기 역방향 이득 조절 시스템, 및 방법
KR101072197B1 (ko) 휴대단말기의 소모전류 절약장치 및 방법
KR20220088993A (ko) 비콘신호 중복수신 방지 기능이 적용된 이동체 감지 장치
KR100606688B1 (ko)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전력 제어 장치
KR20010047695A (ko) 광대역무선가입자망의 송수신 출력값을 이용한거리측정장치 및 그 방법
KR100918586B1 (ko) 중계기의 이득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