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8201B1 - 프로젝터 엔진 - Google Patents

프로젝터 엔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8201B1
KR100698201B1 KR1020040073820A KR20040073820A KR100698201B1 KR 100698201 B1 KR100698201 B1 KR 100698201B1 KR 1020040073820 A KR1020040073820 A KR 1020040073820A KR 20040073820 A KR20040073820 A KR 20040073820A KR 100698201 B1 KR100698201 B1 KR 100698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optical tunnel
engine housing
projecto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3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4944A (ko
Inventor
이경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3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8201B1/ko
Publication of KR20060024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4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8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8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0Lamp housings
    • G03B21/206Control of light source other than position or intensit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07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the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 controlling the colour, i.e. a spectral characteristic, of the light
    • G02B26/0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the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 controlling the colour, i.e. a spectral characteristic, of the light in the form of devices for effecting sequential colour changes, e.g. colour whee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03Scanning systems hav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fibres, light guides or waveguides as scann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02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two-dimensional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 H04N9/311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two-dimensional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for displaying the colours sequentially, e.g. by using sequentially activated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97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light modulating optical valv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구적으로 안정된 광터널을 적용하여 외력에 대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젝터 엔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엔진하우징과, 상기 엔진하우징에 설치되는 광원과, 상기 엔진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R,G,B로 분리하는 컬러휠(color wheel)과, 상기 엔진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컬러휠을 통과한 빛을 안내하는 광터널(light tunnel)을 포함하여 구성된 프로젝터 엔진에 있어서, 상기 광터널은, 네 개의 미러판이 결합되어 육방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적어도 두 개의 미러판의 양단 모서리부에 각각 받침턱이 형성되고, 나머지 미러판의 양단이 상기 받침턱에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그 하부판이 상기 엔진하우징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엔진을 제공한다.
프로젝터 엔진, 광터널, 받침턱

Description

프로젝터 엔진{projector engine}
도 1은 종래의 프로젝터 엔진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선을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광터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 엔진의 제1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5는 도 4의 광터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 엔진의 제2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7은 도 6의 광터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 엔진의 제3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 엔진의 제4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엔진하우징 111:설치벽
140:광터널 141:좌측판
142:우측판 143:상부판
144:하부판
141a,142a,143a,144a:받침턱의 수평면
141b,142b,143b,144b:받침턱의 수직면
본 발명은 프로젝터의 엔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로젝터 엔진의 광터널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화면, 고화질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장 중요한 이슈(issue)의 하나로 떠오르고 있으며, 현재까지 이러한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치로 개발되어 상용화된 것에는 대표적으로 프로젝션 TV와 프로젝터가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젝터에는 크게 엘시디(LCD:Liquid Crystal Display) 프로젝터와 디엘피(DLP:Digital Light Processing) 프로젝터가 있다.
상기 디엘피 프로젝터는 엘시디 프로젝터와 달리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칩에 근거하여 정보를 투사하고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의 프로젝터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종래의 프로젝터 엔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프로젝터 엔진은 엔진하우징(10)에 다수의 광학부품들이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엔진하우징(10)에 설치되는 광원(20)과, 상기 엔진하우징(10)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20)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R,G,B로 분리하는 컬러휠(color wheel:30)과, 상기 엔진하우징(10)에 설치되어 상기 컬러휠(30)을 통과한 빛을 안내하는 광터널(light tunnel: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광터널(40)에 의하여 안내된 빛을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50)칩에 반사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미러(60)와, 상기 DMD칩(50)을 통해 구현된 영상을 외부로 영사하는 투사렌즈(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광터널(4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면이 코팅 처리된 네개의 미러판(41,42,43,44)이 단면이 사각형이 되도록 터널 구조로 형성된다.
이 때, 상기 각 미러판(41,42,43,44)은 인접되는 미러판(41,42,43,44)과 접착제(45)에 의하여 본딩되어 육방체 형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본딩된 광터널(40)은 상기 엔진하우징(10)에 설치시 대략 "ㄱ"자로 절곡된 탄성부재(80)에 의하여 탄성 지지된다.
즉, 상기 엔진하우징(10)에 설치벽(11)이 구비되며, 상기 광터널(40)은 본딩된 상태로 상기 설치벽(11)에 그 좌측판(41)이 밀착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80)는 일측이 상기 설치벽(11)에 걸림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엔진하우징(10)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광터널(40)의 상부판(42)과 우측판(43)을 탄성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이 때, 상기 광터널(40)의 상부판(42)과 우측판(43)을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탄성부재(80)는 상기 광터널(40)의 상부판(42)과 우측판(43)의 대응되는 부위에 탄성편(80a,80b)이 절개되어 형성된다.
결국, 상기 탄성부재(80)는 탄성편(80a,80b)을 통해 상기 광터널(40)의 상부판(42) 및 우측판(43)을 상기 엔진하우징(10)의 설치벽(11)과 바닥면에 탄성 지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프로젝터 엔진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광터널(40)은 육방체 형태를 각 판(41,42,43,44)의 이음부에 본딩된 접착제(45)로 유지하고, 탄성부재의 지지력에 의존하여 위치를 고정시켜주는 구조이므로, 광터널(40)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엔진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접착제(45)가 물러지게 되고, 이 때, 외력 등에 의한 충격이 발생될 경우 또는, 상기 광터널(40)의 우측판(43)을 지지하는 탄성편(80b)의 탄성력이 설정치(예를 들면 0.1kgf) 이상으로 작용할 경우, 우측판(43)이 유동함에 따라 육방체 형태가 틀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광터널(40)의 육방체 형태가 변형됨에 따라 광터널(40)을 통과하는 빛의 반사각이 틀어지게 되어 결국 DMD칩(50)을 통해 재현되는 화면의 불량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구적으로 안정된 구조를 갖는 광터널을 제공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킴은 물 론 안정된 화상을 구현할 수 있는 프로젝터 엔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엔진하우징과, 상기 엔진하우징에 설치되는 광원과, 상기 엔진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R,G,B로 분리하는 컬러휠(color wheel)과, 상기 엔진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컬러휠을 통과한 빛을 안내하는 광터널(light tunnel)을 포함하여 구성된 프로젝터 엔진에 있어서, 상기 광터널은, 네 개의 미러판이 결합되어 육방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적어도 두 개의 미러판의 양단 모서리부에 각각 받침턱이 형성되고, 나머지 미러판의 양단이 상기 받침턱에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그 하부판이 상기 엔진하우징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엔진을 제공한다.
삭제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와 동일한 구성 요소는 설명의 편의상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를 부여하 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 엔진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광터널(140)은 외면이 코팅 처리된 네개의 미러판(141,142,143,144)이 결합되어 육방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광터널(140)은 좌·우측판(141,142)의 상하 양단 내측 모서리부에 각각 "L"자 형상의 받침턱(141a,141b,142a,142b)이 형성되며, 상기 받침턱(141a,141b,142a,142b)은 해당되는 좌·우측판(141,142)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턱(141a,141b,142a,142b)에 상·하부판(143,144)의 좌우 양단이 안착됨으로써, 단면이 사각형태인 육방체 구조를 갖는다.
이 때, 상기 받침턱(141a,141b,142a,142b)에 접착제를 접착하여 상기 상·하부판(143,144)을 견고하게 결합할 수도 있다.
참고로, 도 4에서 상기 받침턱(141a,141b,142a,142b)을 사이에 두고 상호 접촉되는 상·하부판(143,144) 및 좌·우측판(141,142)의 상호 거리가 약간 이격되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부호를 부여하기 편리하도록 한 것에 불과하며 실제로는 완전 밀착된다.
한편, 상기 광터널(140)은 좌측판(141)이 엔진하우징(10)에 형성된 설치벽(11)에 밀착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광터널(140)은 대략 "ㄱ"자로 절곡된 탄성부재(80)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는데, 상기 탄성부재(80)는 일측이 상기 설치벽(11)에 걸림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엔진하우징(10)의 바닥면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광터널(140)의 상부판(143)과 우측판(142)을 탄성지지한다.
이 때, 상기 광터널(140)의 상부판(143)과 우측판(142)을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탄성부재(80)는 상기 광터널(140)의 상부판(143)과 우측판(142)의 대응되는 부위에 탄성편(80a,80b)이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작용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광터널(140)은 좌·우측판(141,142)에 형성된 "L"자 형상의 받침턱(141a,141b,142a,142b)을 통하여 상·하부판(143,144)을 상호 지지하도록 한 육방체 구조이다.
그러므로, 상기 광터널(140)은 외력에 의한 충격이 가해질 경우 또는, 우측판(142)을 지지하는 탄성편(80b)의 탄성력이 설정치 이상으로 작용할 경우, 상기 받침턱(141a,141b,142a,142b)을 통해 우측판(142)이 좌측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광터널(140)의 우측판(142)은 외력에 의한 충격 또는 탄성편(80b)의 탄성력이 설정치 이상으로 작용하여 좌측으로 이동하려 할 경우, 상기 우측판(142)에 형성된 받침턱(144a,142b)의 수직면(142a)이 상·하부판(143,144)의 끝단부에 받쳐지기 때문에 유동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광터널(140)은 자체적인 결합 구조에 의하여 육방체의 형태가 틀어지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광터널(140)을 통과하는 빛의 반사각이 틀어지지 않아 안정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 엔진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광터널은 외면이 코팅 처리된 네 개의 미러판(141,142,143,144) 중 상·하부판(143,144)의 좌우 양단 내측 모서리부에 "L"자 형상의 받침턱(143a,143b,144a,144b)을 각각 형성한 것이다.
즉, 상·하부판(143,144)에 받침턱(143a,143b,144a,144b)을 형성하고, 상기 받침턱(143a,143b,144a,144b)에 좌·우측판(141,142)의 양단을 결합시켜 육방체 형태의 광터널(140)을 구성한 것이다.
이 때, 상기 받침턱(143a,143b,144a,144b)은 해당되는 상·하부판(143,144)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시키며, 접착제를 접착하여 상기 좌·우측판(141,142)을 견고하게 결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도 6에서 상기 받침턱(143a,143b,144a,144b)을 사이에 두고 상호 접촉되는 상·하부판(143,144) 및 좌·우측판(141,142)의 상호 거리가 약간 이격되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부호를 부여하기 편리하도록 한 것에 불과하며 실제로는 완전 밀착된다.
한편,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광터널(140) 역시 상기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 로 그 좌측판(141)이 엔진하우징(10)에 형성된 설치벽(11)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며, 대략 "ㄱ"자로 절곡된 탄성부재(80)의 탄성편(80a,80b)에 의하여 상부판(143)과 우측판(142)이 탄성 지지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작용을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광터널(140)은 상·하부판(143,144)에 형성된 "L"자 형상의 받침턱(143a,143b,144a,144b)을 통하여 좌·우측판(141,142)을 상호 지지하도록 한 육방체 구조이다.
그러므로, 상기 광터널(140) 역시 외력에 의한 충격이 가해질 경우 또는, 우측판(142)을 지지하는 탄성편(80b)의 탄성력이 설정치 이상으로 작용할 경우, 상기 받침턱(143a,143b,144a,144b)을 통해 우측판(142)이 좌측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외력에 의한 충격 또는 탄성편(80b)의 탄성력이 설정치 이상으로 작용하여 우측판(142)이 좌측으로 유동하려 할 경우, 상기 우측판(142)의 양단부가 상기 상·하부판(143,144)에 형성된 받침턱(143a,143b,144a,144b) 중 수직면(143b,144b)에 받쳐지기 때문에 유동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광터널(140) 역시 상기 제1실시예의 광터널과 마찬가지로 자체적인 결합 구조에 의하여 육방체의 형태가 틀어지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빛이 정확한 반사각으로 통과되도록 하여 안정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 엔진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실시예에 따른 광터널(40)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외면이 코팅 처리된 네개의 미러판(41,42,43,44)이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터널 구조로 결합된다.
즉, 상기 각 미러판(41,42,43,44)은 인접되는 미러판(41,42,43,44)과 접착제(45)에 의하여 본딩되어 전체적으로 육방체 형상을 갖는 것이다.
또한, 상기 광터널(40)은 그 좌측판(41)이 엔진하우징(10)에 형성된 설치벽(11)에 밀착되도록 설치된다.
이 때, 상기 광터널(40)의 하부판(44)은 상기 엔진하우징(10)의 바닥면에 접착제(145)로 고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터널(40)의 하부판(44)이 안착되는 상기 엔진하우징(10)의 바닥면에는 주입공(10a)이 형성되고, 상기 주입공(10a)을 통해 접착제(145)가 주입되어 고착됨으로써, 상기 광터널(40)의 하부판(44)이 상기 엔진하우징(10)의 바닥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광터널(40)은 상기와 같이 하부판(44)이 엔진하우징(10)의 바닥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대략 "ㄱ"자로 절곡된 탄성부재(80)에 의하여 탄성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80)는 일측이 상기 설치벽(11)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엔진하우징(10)의 바닥면에 결합되며, 상기 광터널(40)의 상부판(42)과 우측판(43)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어 광터널(40)을 탄성지지한다.
이 때, 상기 탄성부재(80)는 상기 광터널(40)의 상부판(42)에 대응되는 부위에만 탄성편(80a)이 절개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광터널(40)은 하부판(44)이 상기 엔진하우징(10)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광터널(40)의 상부판(42)만 탄성지지하면 되는 것이다.
결국, 상기 제3실시예에 따른 광터널(40)은 각 판(41,42,43,44)의 이음부에 접착제(45)가 본딩되어 육방체 형태로 결합되며, 좌측판(41)이 설치벽에 밀착되고, 하부판(44)이 상기 엔진하우징(10)의 바닥면에 고정되며, 상부판(42)이 탄성편(80a)에 탄성지지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3실시예에 따른 광터널(40)은 하부판(44)이 상기 엔진하우징(10)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부판(42)만 탄성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외력에 의한 충격이 가해질 경우 우측판(43)이 좌측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광터널(40)은 엔진에서 발생된 열로 인해 각 미러판(41,42,43,44)의 이음부에 본딩된 접착제(45)가 물러진 상태에서 외력에 의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하부판(44)이 고정되어 있어 우측판(43)의 유동이 방지되기 때문에 광터널(40)의 육방체 형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광터널(40)은 육방체 형태가 틀어지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광터널(40)을 통과하는 빛의 반사각이 틀어지지 않아 안정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엔진하우징(10)의 바닥면에 주입공(10a)을 형성하여 주입 공(10a)을 통해 접착제(145)를 주입하여 상기 광터널(40)을 고정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광터널(40)은 설치 위치가 아주 미세하게 달라지기만 해도 이를 통과하는 빛의 반사각이 심하게 틀어지게 되는데, 상기 엔진하우징(10)의 바닥면에 직접 접착제를 도포하여 광터널(40)을 설치할 경우에는 상기 광터널(40)의 설치 위치가 변경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상기 엔진하우징(10)의 바닥면에 균일하게 접착제를 도포하기가 힘들뿐만 아니라, 접착제가 도포된 바닥면에 광터널(40)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광터널(40)의 하부판(44)에 높이 편차가 발생되는 등 광터널(40)의 설치 위치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제3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엔진하우징(10)의 바닥면에 주입공(10a)을 형성한 다음, 광터널(40)을 탄성부재(80)와 함께 설치하여 광터널(40)의 하부판(44)이 엔진하우징(10)의 바닥면에 밀착되게 한 후, 상기 주입공(10a)을 통해 접착제(45)를 주입 고착시켜 광터널(40)을 설치하는 것이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엔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로서, 상기 제3실시예에서의 주입공(10a:도 8참조) 대신 주입홈(20a)을 엔진하우징(10)의 바닥면에 형성하여 광터널(40)의 하부판(44)을 고정한 것이다.
즉, 상기 주입홈(20a)에 접착제를 주입하여 상기 광터널(40)의 하부판(44)을 상기 엔진하우징(10)의 바닥면에 고정시킨 것이다.
상기 제4실시예에 따른 광터널(40) 역시 엔진에서 발생된 열로 인해 각 미러판(41,42,43,44)의 이음부에 본딩된 접착제(45)가 물러진 상태에서 외력에 의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하부판(44)이 고정되어 있어 우측판(43)의 유동이 방지되기 때문에 광터널(40)의 육방체 형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광터널(40)의 육방체 형태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광터널(40)을 통과하는 빛의 반사각이 틀어지지 않아 안정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주입홈(20a)에 접착제를 주입할 경우에는 상기 광터널(40)의 설치 과정에서 접착제가 주입홈(20a)의 외측 즉, 상기 엔진하우징(10)의 바닥면으로 흘러 나오지 않도록 주입홈(20a)의 용량보다 작은 양만큼의 접착제를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 엔진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광터널의 기구적 측면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하면, 광터널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므로 광원으로부터 나오는 빛을 정확한 반사각으로 통과시켜 DMD칩을 통해 재현되는 화면의 불량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1)

  1. 엔진하우징과, 상기 엔진하우징에 설치되는 광원과, 상기 엔진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R,G,B로 분리하는 컬러휠(color wheel)과, 상기 엔진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컬러휠을 통과한 빛을 안내하는 광터널(light tunnel)을 포함하여 구성된 프로젝터 엔진에 있어서,
    상기 광터널은,
    네 개의 미러판이 결합되어 육방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적어도 두 개의 미러판의 양단 모서리부에 각각 받침턱이 형성되고, 나머지 미러판의 양단이 상기 받침턱에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그 하부판이 상기 엔진하우징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엔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턱은 상기 네 개의 미러판 중 좌측판과 우측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엔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턱은 상기 네 개의 미러판 중 상부판과 하부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엔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턱은 단면이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엔진.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터널의 상부판 및 우측판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엔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상부판과 우측판에 대응되는 부위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엔진.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터널의 하부판에 대응되는 상기 엔진하우징의 바닥면에는 접착제 주입을 위한 주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엔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터널의 하부판에 대응되는 상기 엔진하우징의 바닥면에는 접착제 주입을 위한 주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엔진.
  10. 엔진하우징과, 상기 엔진하우징에 설치되는 광원과, 상기 엔진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R,G,B로 분리하는 컬러휠(color wheel)과, 상기 엔진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컬러휠을 통과한 빛을 안내하는 광터널(light tunnel)을 포함하여 구성된 프로젝터 엔진에 있어서,
    상기 광터널의 상부판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엔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상부판에 대응되는 부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엔진.
KR1020040073820A 2004-09-15 2004-09-15 프로젝터 엔진 KR100698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3820A KR100698201B1 (ko) 2004-09-15 2004-09-15 프로젝터 엔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3820A KR100698201B1 (ko) 2004-09-15 2004-09-15 프로젝터 엔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4944A KR20060024944A (ko) 2006-03-20
KR100698201B1 true KR100698201B1 (ko) 2007-03-22

Family

ID=37130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3820A KR100698201B1 (ko) 2004-09-15 2004-09-15 프로젝터 엔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82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186B1 (ko) * 2006-05-19 2008-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학엔진의 광터널 어셈블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3970A (ja) * 2002-07-22 2004-02-19 Seiko Epson Corp 光学ロッド、その製造方法、その製造治具、並びにそれを装備したプロジェクタ
US6773118B2 (en) * 2001-09-20 2004-08-10 Benq Corporation Apparatus for positioning and adjusting a light pip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73118B2 (en) * 2001-09-20 2004-08-10 Benq Corporation Apparatus for positioning and adjusting a light pipe
JP2004053970A (ja) * 2002-07-22 2004-02-19 Seiko Epson Corp 光学ロッド、その製造方法、その製造治具、並びにそれを装備したプロジェ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4944A (ko) 2006-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140246A (ja) 表示装置
JP4569113B2 (ja) プロジェクタ
JP4916747B2 (ja) 電気光学素子の取付構造、及び投写型表示装置
CN104503115A (zh)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JP4055774B2 (ja) プリズム構造体およびプロジェクタ
JP3642338B2 (ja) 光学装置及びプロジェクタ
US6631039B2 (en) Optical unit and projector using the same
KR100698201B1 (ko) 프로젝터 엔진
JP2005070504A (ja) 光学装置、プロジェクタ及び光学装置の製造方法
US7413315B2 (en) Integrated optical assembly and method for projection displays
JP4103728B2 (ja) 光学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
KR100743291B1 (ko) 디엘피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라이트 터널고정구조
JP2013238726A (ja) 電気光学装置、光学ユニット、投射型表示装置、電子機器
KR100693530B1 (ko) 디엘피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라이트 터널구조
KR100747817B1 (ko) 광학엔진 케이스
KR100628124B1 (ko) 프로젝터 엔진
JP2006106410A (ja) プロジェクタ
JP4487483B2 (ja) 光変調素子ユニット及び投射型表示装置
KR100420577B1 (ko) 후사형 프로젝션 시스템 및 이에 장착되는 반사형 표시소자의 위치 조정 장치
KR100236906B1 (ko) 색합성프리즘에 액정이 부착된 lcd 프로젝터
KR100747833B1 (ko) 디엘피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라이트 터널고정 구조
JP4780200B2 (ja) レンズフレーム、レンズ保持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ー
JP4610241B2 (ja) 投写型画像表示装置
JP2024027559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3005668A (ja) 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