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7290B1 - 이미지 센서의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이미지 센서의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7290B1
KR100697290B1 KR1020050083797A KR20050083797A KR100697290B1 KR 100697290 B1 KR100697290 B1 KR 100697290B1 KR 1020050083797 A KR1020050083797 A KR 1020050083797A KR 20050083797 A KR20050083797 A KR 20050083797A KR 100697290 B1 KR100697290 B1 KR 100697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gate electrode
gate insulating
region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3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8973A (ko
Inventor
박원제
송재호
박영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3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7290B1/ko
Priority to US11/464,244 priority patent/US7462520B2/en
Publication of KR20070028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8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7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7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83Processes or apparatus peculiar to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03Special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elements, address-lines or gate-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43Photodiode arrays; MOS imag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olid State Image Pick-Up Elements (AREA)

Abstract

이미지 센서의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에서, 고전압 영역에서 두꺼운 게이트 절연막이 먼저 형성되고, 상기 두꺼운 게이트 절연막이 게이트 전극막으로 덮인 상태에서 저전압 영역에서 질소를 포함하는 분위기하에서 얇은 게이트 절연막이 형성되므로, 질소가 확산하여 상기 두꺼운 게이트 절연막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계면 트랩의 증가 및 이에 따른 플리커 노이즈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

Description

이미지 센서의 형성 방법{Method of forming image sensor}
도 1 내지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형성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공정 단면도들이다.
도 11 및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형성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공정 단면도들이다.
본 발명은 이미지 센서의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미지 센서(image sensor)는 광학적 이미지를 전기적 신호로 변형시키는 소자이다. 상기 이미지 센서는 크게 씨모스(CMOS, Complementary Metal-Oxide-Silicon)이미지 센서와 씨씨디(CCD, Charge 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로 구분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의 화소(pixel)는 빛을 받아들이는 포토 다이오드들과 상기 포토 다이오드들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들을 제어하는 트랜지스터들을 구비한다. 상기 포토 다이오드들에서는 칼라필터를 통해 입사되는 적색(Red)광, 녹색(Green)광 및 청색(Blue)광의 파장과 세기에 따라 전자(electron)-정공(hole) 쌍(pair)이 발생되고, 상기 발생된 전자들의 양에 따라 출력신호가 변화된다. 이로 써 이미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포토 다이오드들이 위치하는 화소 영역과, 상기 화소 영역들에 위치하는 트랜지스터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주변회로 영역을 구비한다. 상기 주변회로 영역에 위치하는 트랜지스터들은 높거나 낮은 다양한 전압에서 동작된다. 상기 주변회로 영역 중에 예를 들면 아날로그(analog) 영역에 위치하는 트랜지스터는 주로 높은 전압에서 동작되며, 높은 문턱 전압을 위하여 두꺼운 게이트 절연막을 사용한다. 상기 주변회로 영역 중에 예를 들면 디지털(digital) 영역에 위치하는 트랜지스터들은 주로 낮은 전압에서 동작되며, 빠른 응답 속도 및 낮은 문턱 전압을 위해 얇은 게이트 절연막을 사용한다. 이와 같이 동작되는 전압에 따라 트랜지스터는 다른 두께의 게이트 절연막을 필요로 한다.
한편, 이미지 센서에서 두꺼운 게이트 절연막으로 순수한 실리콘산화막이 사용되어지는 반면, 얇은 게이트 절연막으로 소자의 신뢰성 및 붕소 확산 방지등의 이유로 실리콘산화질화막이 사용된다. 이처럼 종래의 이미지 센서에서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할 때, 얇은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질소가 확산되어 상기 두꺼운 게이트 절연막 내부로 침투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두꺼운 게이트 절연막 내부에 질소가 침투되어 기판인 실리콘과 두꺼운 게이트 절연막인 실리콘산화막 사이의 계면에 질화물이 형성되면, 실리콘의 댕글링 본드(dangling bond)가 다량 발생하여 계면 트랩(interface trap)이 증가한다. 이미지 센서에서 이러한 계면 트랩은 플리커 노이즈(flicker noise)와 같은 문제를 야기하여 화질을 심하게 열화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반도체 기판과 두꺼운 게이트 절연막 사이에 질화물이 형성되어 계면트랩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미지 센서의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형성 방법은 두꺼운 게이트 절연막이 게이트전극막으로 덮여있는 상태에서 질소 분위기에서 얇은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질소가 상기 두꺼운 게이트 절연막 내부로 침투되지 못하여 종래의 문제점들이 발생하지 않는다.
좀 더 상세하게,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형성 방법은,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을 구비하는 반도체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반도체 기판 상의 상기 제 1 영역에서 제 1 게이트 절연막 및 제 1 게이트 전극막을 형성하고,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제 2 게이트 절연막 및 제 2 게이트 전극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영역에서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막 및 상기 제 1 게이트 절연막을 패터닝하여 제 1 게이트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영역에서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막 및 상기 제 2 게이트 절연막을 패터닝하여 제 2 게이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제 1 게이트 절연막이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막에 의해 덮인 상태에서, 질소(N)를 포함하는 대기 하에서 상기 제 2 게이트 절연막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게이트 절연막은 실리콘산화막(SiO2)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게 이트 절연막은 실리콘산화질화막(SiON) 또는 실리콘산화막과 실리콘질화막의 이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반도체 기판 상에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질소를 포함하는 분위기 하에서 상기 산화막에 대해 열처리 공정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질소를 포함하는 분위기는 일산화일질소(NO) 및 일산화이질소(N2O)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에서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제 1 게이트 절연막 및 제 1 게이트 전극막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영역에서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제 2 게이트 절연막 및 제 2 게이트 전극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반도체 기판의 전면 상에 제 1 게이트 절연막 및 제 1 게이트 전극막을 차례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영역에서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막과 상기 제 1 게이트 절연막을 제거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을 노출시키는 단계; 상기 반도체 기판의 전면 상에 제 2 게이트 절연막과 제 2 게이트 전극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영역에서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막과 상기 제 2 게이트 절연막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에서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막과 상기 제 1 게이트 절연막을 제거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을 노출시키기 전에,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막 상에 평탄화 저지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에서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막과 상기 제 2 게이트 절연막을 제거하는 단계는 화학기계적 연마 공정으로 진행되며, 상기 평탄화 저지막을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에서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막과 상기 제 2 게이트 절연막을 제거하기 전에,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막 상에 희생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영역에서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막과 상기 제 2 게이트 절연막을 제거할 때, 상기 희생막도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연마 공정은,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막 상의 상기 희생막을 제거하여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막을 노출시키는 제 1 연마 공정; 및 상기 평탄화 저지막 상의 상기 제 2 게이트 절연막, 상기 제 2 게이트전극 및 상기 희생막을 제거하여 상기 평탄화 저지막을 노출시키는 제 2 연마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은 고전압 영역이고, 상기 제 2 영역은 저전압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은 화소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소 영역에서 상기 제 1 게이트 패턴에 인접하는 상기 반도체 기판에 광전변환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되어진 것이다. 또한, 층이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있다고 언급되어지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층이 개재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포토다이오드는 입사되는 광에 의해 전하가 형성되는 광전변환부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씨모스 이미지 센서나 씨씨디 이미지 센서등 다양한 이미지 센서들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형성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공정 단면도들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소 영역, 저전압 영역 및 고전압 영역을 구비하는 반도체 기판(1) 상에 소자분리막(3)을 형성하여 활성 영역을 정의한다. 상기 저전압 영역은 예를 들면, 디지털 영역이고, 상기 고전압 영역은 예를 들면 아날로그 영역이다. 상기 소자분리막(3)은 일반적인 얕은 트렌치 격리(Shallow Trench isolation)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기판(1) 상에 포토레지스트 패턴들(미도시)을 이온주입 마스크들로 이용하여 이온주입 공정들을 진행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1)에 웰 영역들(5a, 5b, 5c)을 형성한다. 상기 웰 영역들(5a, 5b, 5c)은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타입의 불순물로 도핑될 수 있다. 상기 웰 영역들(5a, 5b, 5c)은 P타입 또는/그리고 N타입일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웰 영역들(5a, 5b, 5c)을 형성한 후에, 채널 영역들을 위한 이온주입 공정들이 진행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반도체 기판(1)의 전면 상에 제 1 게이트 절연막(7)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게이트 절연막(7)은 예를 들면 열산화 공정에 의한 실리콘 산화막(SiO2)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게이트 절연막(7)은 예를 들면 약 60Å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게이트 절연막(7) 상에 제 1 게이트 전극막(9) 및 평탄화 저지막(11)을 차례로 형성한다.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막(9)은 불순물이 도핑되거나 도핑되지 않은 폴리실리콘막, 텅스텐실리사이드, 텅스텐질화막 또는/그리고 텅스텐막으로 예를 들면, 원자박막증착(ALD), 화학기상증착(CVD) 또는 스퍼터링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평탄화 저지막(11)은 바람직하게는 후속의 제 2 게이트 전극막 및 희생막과 식각 선택비를 갖는 막으로 형성되며, 예를 들면, MTO(Medium Temperature oxide), 실리콘산화질화막 또는/그리고 실리콘질화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평탄화 저지막(11)은 CMP 저지막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충분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저전압 영역을 노출시키되 상기 화소 영역과 상기 고전압 영역을 덮는 포토레지스트 패턴(13)을 상기 평탄화 저지막(11) 상에 형성한다.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13)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저전압 영역의 상기 평탄화 저지막(11),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막(9) 및 상기 제 1 게이트 절연막(7)을 차례로 식각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1)을 노출시킨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13)을 애싱/스트립 공정등으로 제거하여 상기 평탄화 저지막(11)을 노출시킨다. 그리고 상기 반도체 기판(1)에 대해 세정 공정을 진행하여 상기 식각 공정동안 발생할 수 있는 상기 반도체 기판(1) 상 의 부산물들을 제거한다. 그리고 상기 반도체 기판(1)의 전면 상에 질소 분위기에서 제 2 게이트 절연막(15)을 형성한다. 상기 제 2 게이트 절연막(15)은 예를 들면, 실리콘산화질화막의 단일막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약 17Å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게이트 절연막(15)은, 상기 저전압 영역의 상기 반도체 기판(1)이 노출되고 상기 화소 영역과 상기 고전압 영역에서 상기 평탄화 저지막(11)이 노출된 상태에서, 열산화 공정으로 실리콘산화막을 전면적으로 형성한 후에, 일산화일질소(NO) 또는/그리고 일산화이질소(N2O) 분위기에서 열처리 공정을 진행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화소 영역과 상기 고전압 영역의 상기 제 1 게이트 절연막(7)은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막(9)과 상기 평탄화 저지막(11)에 의해 덮여 있으므로, 일산화일질소(NO) 또는/그리고 일산화이질소(N2O)가 상기 제 1 게이트 절연막(7) 내부로 침투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제 1 게이트 절연막(7)은 순수한 실리콘 산화막 상태로 남을 수 있다. 상기 제 2 게이트 절연막(15)은 실리콘산화막과 실리콘질화막의 이중막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2 게이트 절연막(15)이 형성된 상기 반도체 기판(1)의 전면 상에 제 2 게이트 전극막(17)을 형성한다.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막(17)은 불순물이 도핑되거나 도핑되지 않은 폴리실리콘막, 텅스텐실리사이드, 텅스텐질화막 또는/그리고 텅스텐막으로 예를 들면 화학기상증착(CVD)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화학기계적 연마(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공정을 진행하여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막(17)에 대해 평탄화 공정을 진행한다. 이로써, 상기 평탄화 저지막(11) 상의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막(17)을 제거하고, 상기 평탄화 저지막(11)이 노출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평탄화 저지막(11)을 습식 식각 등으로 제거하여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막(9)을 노출시킨다. 그리고 상기 화소 영역, 상기 저전압 영역 및 상기 고전압 영역에서 각각 게이트 전극들을 정의하는 마스크 패턴들(19a, 19b, 19c)을 상기 제 1 및 제 2 게이트 전극막(9, 17) 상에 형성한다. 상기 마스크 패턴들(19a, 19b, 19c)을 형성하기 전에, 포토레지스트 패턴들(미도시)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게이트 전극막들(9, 17)들에 N 타입 또는/그리고 P 타입의 불순물들을 도핑할 수 있다. 마스크 패턴들(19a, 19b, 19c)은 식각마스크, 반사방지와 캐핑막의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실리콘질화막 또는 실리콘산화질화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패턴들(19a, 19b, 19c)은 제 1 마스크 패턴(19a), 제 2 마스크 패턴(19b) 및 제 3 마스크 패턴(19c)을 구비한다. 상기 마스크 패턴들(19a, 19b, 19c)은 마스크막(미도시)을 전면에 형성하고 포토레지스트 패턴들(미도시)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마스크 패턴들(19a, 19b, 19c)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막(9) 및 상기 제 1 게이트 절연막(7)을 차례로 식각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막(17) 및 상기 제 2 게이트 절연막(15)을 차례로 식각한다. 이로써, 상기 화소 영역에는 제 1 게이트 절연막 패턴(7a), 제 1 게이트 전극(9a) 및 제 1 마스크 패턴(19a)를 구비하는 제 1 게이트 패턴(20a)이 형성된다. 상기 저전압 영역에는 제 2 게이트 절연막 패턴(15a), 제 2 게이트 전극(17a) 및 상기 제 2 마스크 패턴(19b)을 구비하는 제 2 게이트 패턴(20b)이 형성되며, 상기 고전압 영역에는 제 3 게이트 절연막 패턴(7b), 제 3 게이트 전극(9c) 및 제 3 마스크 패턴(19c)을 구비하는 제 3 게이트 패턴(20c)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게이트 패턴(20a)은 예를 들면 트랜스퍼(transfer) 트랜지스터, 리셋(reset) 트랜지스터, 선택(select) 트랜지스터 또는 소오스 팔로어(source follwer)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일 수 있다. 상기 제 2 게이트 패턴(20b)은 저전압에서 동작되는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이고 상기 제 3 게이트 패턴(20c)은 고전압에서 동작되는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이다. 상기 화소 영역의 상기 제 1 게이트 패턴(20a)이 상기 저전압 영역의 상기 제 2 게이트 패턴(20b)의 상기 제 2 게이트 절연막 패턴(15a) 보다 두껍고 상기 고전압 영역의 상기 제 3 게이트 패턴(20c)에 구비된 상기 제 3 게이트 절연막패턴(7b)과 동일한 막질인 상기 제 1 게이트 절연막 패턴(7a)을 구비하므로, 상기 화소 영역의 트랜지스터들은 상기 고전압 영역의 트랜지스터들에 인가되는 전압과 유사한 높은 전압에서 동작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화소 영역에서 상기 제 1 게이트 패턴(20a)에 인접하는 상기 반도체 기판(1)에 광전변환부(또는 포토다이오드 영역, 24)을 형성한다. 상기 광전변환부(24)는, 상기 반도체 기판(1)의 표면에 인접하도록 제 1 광전변환부(23)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광전변환부(23) 보다 깊은 영역에 제 2 광전 변환부(21)를 형성함으로써 완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광전 변환부(23)는 예를 들면 N타입일 수 있으며, 인이나 비소를 주입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광전변환부(21)는 예를 들면 P 타입일 수 있으며, 붕소나 불화붕소를 주입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게이트 패턴들(20a, 20b, 20c)의 측벽의 식각 손상을 치유하기 위한 게이트 재산화 공정을 더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 패턴들(20a, 20b, 20c) 및 포토레지스트 패턴(미도시)을 이온주입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게이트 패턴들(20a, 20b, 20c)에 인접하는 상기 반도체 기판(1)에 소오스/드레인 영역(25)을 형성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게이트 패턴들(20a, 20b, 20c)의 측벽에 스페이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리커 노이즈와 같은 화면 불량을 갖지 않는 이미지 센서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6 및 7을 참조하여,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막(17)에 대해 화학기계적 연마 공정을 진행할 때, 단차에 의해 디슁(dishing)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할 수 있는 이미지 센서의 형성 방법을 도 11 및 1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 6의 상태에서,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막(17) 상에 희생막(18)을 형성한다. 상기 희생막(18)은 실리콘산화막 계열로 예를 들면, SOG(Spin On Glass) 방법에 의한 HSQ(hydro silsesquioxane)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평탄한 상부면을 가질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희생막(18)에 대해 제 1 연마 공정을 진행하여 상기 화소 영역과 상기 고전압 영역에서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막(17) 상의 상기 희생막(18)을 제거하여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막(17)의 상부면이 노출된다. 이때 상기 저전압 영역에서는 단차에 의해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막(17) 상에는 희생막(18)이 남는다. 그리고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막(17)에 대해 제 2 연마 공정을 진행하여 상기 화소 영역과 상기 고전압 영역에서 상기 평탄화 저지막(15) 상의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막(17)을 제거하고 상기 평탄화 저지막(15)의 상부면을 노출시킨다. 이때, 상기 저전압 영역에 잔여 희생막(18a)이 잔존할 수 있다.
후속으로, 상기 평탄화 저지막(11)과 상기 잔여 희생막(18a)을 각각 습식 식각으로 제거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게이트 절연막(9, 17)의 상부면을 노출시킨다. 그리고 도 8 내지 10과 동일하게 게이트 패턴들(20a, 20b, 20c), 광전변환부(24) 및 소오스/드레인 영역(25)을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전압 영역에서 두꺼운 게이트 절연막이 먼저 형성되고, 상기 두꺼운 게이트 절연막이 게이트 전극막으로 덮인 상태에서 저전압 영역에서 질소를 포함하는 분위기하에서 얇은 게이트 절연막이 형성되므로, 질소가 확산하여 상기 두꺼운 게이트 절연막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계면 트랩의 증가 및 이에 따른 플리커 노이즈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2)

  1.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을 구비하는 반도체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반도체 기판 상의 상기 제 1 영역에서 제 1 게이트 절연막 및 제 1 게이트 전극막을 형성하고, 상기 반도체 기판 상의 상기 제 2 영역에서 제 2 게이트 절연막 및 제 2 게이트 전극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영역에서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막 및 상기 제 1 게이트 절연막을 패터닝하여 제 1 게이트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영역에서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막 및 상기 제 2 게이트 절연막을 패터닝하여 제 2 게이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하되,
    상기 제 2 게이트 절연막은 상기 제 1 게이트 절연막이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막에 의해 덮인 상태에서, 질소(N)를 포함하는 대기 하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의 형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게이트 절연막은 실리콘산화막(SiO2)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게이트 절연막은 실리콘산화질화막(SiON) 또는 실리콘산화막과 실리콘질화막의 이중막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의 형성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반도체 기판 상에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질소를 포함하는 분위기 하에서 상기 산화막에 대해 열처리 공정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의 형성 방법.
  4. 제 1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질소를 포함하는 분위기는 일산화일질소(NO) 및 일산화이질소(N2O)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스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의 형성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에서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제 1 게이트 절연막 및 제 1 게이트 전극막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영역에서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제 2 게이트 절연막 및 제 2 게이트 전극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반도체 기판의 전면 상에 제 1 게이트 절연막 및 제 1 게이트 전극막을 차례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영역에서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막과 상기 제 1 게이트 절연막을 제거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을 노출시키는 단계;
    상기 반도체 기판의 전면 상에 제 2 게이트 절연막과 제 2 게이트 전극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영역에서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막과 상기 제 2 게이트 절연막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의 형성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막 상에 평탄화 저지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의 형성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에서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막과 상기 제 2 게이트 절연막을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평탄화 저지막을 노출시키는 화학기계적 연마 공정으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의 형성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에서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막과 상기 제 2 게이트 절연막을 제거하기 전에,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막 상에 희생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1 영역에서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막과 상기 제 2 게이트 절연막을 제거할 때, 상기 희생막도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의 형성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 공정은,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막 상의 상기 희생막을 제거하여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막을 노출시키는 제 1 연마 공정; 및
    상기 평탄화 저지막 상의 상기 제 2 게이트 절연막, 상기 제 2 게이트전극 및 상기 희생막을 제거하여 상기 평탄화 저지막을 노출시키는 제 2 연마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의 형성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은 고전압 영역이고, 상기 제 2 영역은 저전압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의 형성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은 화소 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의 형성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영역에서 상기 제 1 게이트 패턴에 인접하는 상기 반도체 기판에 광전변환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의 형 성 방법.
  13. 화소 영역, 고전압 영역 및 저전압 영역을 구비하는 반도체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반도체 기판 상의 상기 화소 영역 및 상기 고전압 영역에서 제 1 게이트 절연막 및 제 1 게이트 전극막을 형성하고, 상기 반도체 기판 상의 상기 저전압 영역에서 제 2 게이트 절연막 및 제 2 게이트 전극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화소 영역과 상기 고전압 영역에서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막 및 상기 제 1 게이트 절연막을 패터닝하여 제 1 게이트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저전압 영역에서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막 및 상기 제 2 게이트 절연막을 패터닝하여 제 2 게이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하되,
    상기 제 2 게이트 절연막은 상기 제 1 게이트 절연막이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막에 의해 덮인 상태에서, 질소를 포함하는 분위기 하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의 형성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게이트 절연막은 실리콘산화막(SiO2)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게이트 절연막은 실리콘산화질화막(SiON) 또는 실리콘산화막과 실리콘질화막의 이중막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의 형성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반도체 기판 상에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질소를 포함하는 분위기 하에서 상기 산화막에 대해 열처리 공정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의 형성 방법.
  16. 제 13 또는 15항에 있어서,
    상기 질소를 포함하는 분위기는 일산화일질소(NO) 및 일산화이질소(N2O)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의 형성 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영역과 상기 고전압 영역에서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제 1 게이트 절연막 및 제 1 게이트 전극막을 형성하고, 상기 저전압 영역에서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제 2 게이트 절연막 및 제 2 게이트 전극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반도체 기판의 전면 상에 제 1 게이트 절연막 및 제 1 게이트 전극막을 차례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저전압 영역에서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막과 상기 제 1 게이트 절연막 을 제거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을 노출시키는 단계;
    상기 반도체 기판의 전면 상에 제 2 게이트 절연막과 제 2 게이트 전극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화소 영역과 상기 고전압 영역에서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막과 상기 제 2 게이트 절연막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의 형성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막 상에 평탄화 저지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의 형성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영역과 상기 고전압 영역에서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막과 상기 제 2 게이트 절연막을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평탄화 저지막을 노출시키는 화학기계적 연마 공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의 형성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영역과 상기 고전압 영역에서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막과 상기 제 2 게이트 절연막을 제거하기 전에,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막 상에 희생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화소 영역과 상기 고전압 영역에서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막과 상기 제 2 게이트 절연막을 제거할 때, 상기 희생막도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의 형성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 공정은,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막 상의 상기 희생막을 제거하여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막을 노출시키는 제 1 연마 공정; 및
    상기 평탄화 저지막 상의 상기 제 2 게이트 절연막, 상기 제 2 게이트전극 및 상기 희생막을 제거하여 상기 평탄화 저지막을 노출시키는 제 2 연마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의 형성 방법
  22.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영역에서 상기 제 1 게이트 패턴에 인접하는 상기 반도체 기판에 광전변환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의 형성 방법.
KR1020050083797A 2005-09-08 2005-09-08 이미지 센서의 형성 방법 KR100697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3797A KR100697290B1 (ko) 2005-09-08 2005-09-08 이미지 센서의 형성 방법
US11/464,244 US7462520B2 (en) 2005-09-08 2006-08-14 Methods of fabricating an image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3797A KR100697290B1 (ko) 2005-09-08 2005-09-08 이미지 센서의 형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8973A KR20070028973A (ko) 2007-03-13
KR100697290B1 true KR100697290B1 (ko) 2007-03-20

Family

ID=37830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3797A KR100697290B1 (ko) 2005-09-08 2005-09-08 이미지 센서의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462520B2 (ko)
KR (1) KR1006972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53287B2 (en) 2006-09-29 2011-11-08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Method for making multi-step photodiode junction structure for backside illuminated sensor
KR101152389B1 (ko) * 2007-09-13 2012-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센서와 그 제조 방법
US8617954B2 (en) * 2007-10-09 2013-12-3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Formation of nitrogen containing dielectric layers having an improved nitrogen distribution
US7741181B2 (en) * 2007-11-06 2010-06-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s of forming mixed gate CMOS with single poly deposition
KR20100025107A (ko) * 2008-08-27 2010-03-09 크로스텍 캐피탈, 엘엘씨 에어갭을 구비한 샐로우 트렌치 소자분리구조, 이를 이용한시모스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방법
US8642374B2 (en) 2011-09-07 2014-02-04 Omnivision Technologies, Inc. Image sensor with reduced noise by blocking nitridation using photoresist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9962A (en) * 1997-09-26 1999-11-2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dual gate and method of formation
US6235590B1 (en) * 1998-12-18 2001-05-22 Lsi Logic Corporation Fabrication of differential gate oxide thicknesses on a single integrated circuit chip
JP3361068B2 (ja) * 1998-12-22 2003-01-07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6200834B1 (en) * 1999-07-22 2001-03-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cess for fabricating two different gate dielectric thicknesses using a polysilicon mask and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 planarization
KR20040002207A (ko) 2002-06-29 2004-01-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US7405757B2 (en) * 2002-07-23 2008-07-29 Fujitsu Limited Image sensor and image sensor module
US6821904B2 (en) * 2002-07-30 2004-11-23 Chartered Semiconductor Manufacturing Ltd. Method of blocking nitrogen from thick gate oxide during dual gate CMP
KR20040108488A (ko) 2003-06-17 2004-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램 소자의 듀얼 게이트 형성방법
KR100505068B1 (ko) 2003-07-05 2005-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다중 게이트 산화막 및 이를 포함하는게이트 전극 형성방법
JP2005183783A (ja) * 2003-12-22 2005-07-07 Seiko Epson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7435651B2 (en) * 2005-09-12 2008-10-1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to obtain uniform nitrogen profile in gate dielectrics
US7811892B2 (en) * 2005-10-11 2010-10-12 United Microelectronics Corp. Multi-step annealing proc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054434A1 (en) 2007-03-08
KR20070028973A (ko) 2007-03-13
US7462520B2 (en) 2008-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6925B2 (en) Image senso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4340248B2 (ja) 半導体撮像装置を製造する方法
JP5306436B2 (ja) Cmosイメージセンサの製造方法
US7675100B2 (en) CMOS image senso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5058488B2 (ja) 光の波長に応じて異なる厚さの埋没バリヤ層を具備するイメージセンサ及びその形成方法
US20060273355A1 (en) CMOS image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WI497704B (zh) 後側照光影像感測器及其製造方法
US7005315B2 (en) Method and fabricating 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 with reduced etch damage
US7544530B2 (en) CMOS image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8440540B2 (en) Method for doping a selected portion of a device
KR100697290B1 (ko) 이미지 센서의 형성 방법
KR20100120875A (ko) 투과도가 향상된 반사 방지막을 갖는 후면 수광 시모스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JP5976500B2 (ja) プラズマ損傷からフォトダイオードを保護するcmosイメージセンサの製造方法
JP7076971B2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機器
US9356060B2 (en) Image sensor device and method
US7598135B2 (en) Method for fabricating CMOS image sensor
JP2012019085A (ja) 固体撮像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6781745B2 (ja) 撮像装置の製造方法
KR100495411B1 (ko) 스페이서 식각 버퍼질화막을 적용한 시모스 이미지센서의제조방법
KR100806786B1 (ko)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방법
JP2004363473A (ja) 固体撮像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80011550A (ko) 이미지 센서의 제조 방법
KR20100072661A (ko) 이미지 센서 제조 방법
JP2006041062A (ja) 固体撮像素子の製造方法
KR20070069594A (ko) 이미지 센서의 형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