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6893B1 - 밀대홀더 - Google Patents

밀대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6893B1
KR100696893B1 KR1020060030842A KR20060030842A KR100696893B1 KR 100696893 B1 KR100696893 B1 KR 100696893B1 KR 1020060030842 A KR1020060030842 A KR 1020060030842A KR 20060030842 A KR20060030842 A KR 20060030842A KR 100696893 B1 KR100696893 B1 KR 100696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rod
push rod
hold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0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석
Original Assignee
이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석 filed Critical 이대석
Priority to KR1020060030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68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6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6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Wire frames
    • A47L13/252Wire frames for mops of textile fringes or the like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 밀대홀더에 결합되는 금속재 코일스프링(이하 '스프링')의 기능을 하는 탄성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밀대봉이 고정되는 삽입구가 형성된 지지몸체와, 밀대걸레를 고정하는 결착대와, 상기 결착대의 결합돌기이 결합되는 결합공과 힌지공이 형성된 작동대로 이루어지는 밀대홀더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와 상기 작동대 사이에 탄성부재를 결합하되, 상기 탄성부재는 하부가 상기 지지몸체의 삽입구 외측면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원통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통부의 상면 일측에서 지지부로 연결되어 상단부에서 삽입되는 밀대봉의 외주 형상으로 탄성편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편의 선단부에 형성된 고정편에 형성된 힌지공과 상기 작동대의 탄성부재결합공을 통해 힌지축으로 결합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밀대, 걸레, 홀더, 스프링, 탄성부재.

Description

밀대홀더{floorcloth hold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밀대홀더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밀대홀더에 구성된 탄성부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밀대홀더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밀대홀더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대홀더의 측단면도,
도 6은 종래 밀대홀더의 분리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 : 지지몸체 2 : 삽입구
2a : 돌출턱 3 : 압착부
4 : 결착대 5 : 결합돌기
6 : 작동대 7a : 스프링결합공
7b : 탄성부재결합공 8 : 결착대결합공
9 : 밀대봉 10 : 탄성부재
11 : 원통부 11a : 절개구
12 : 지지부 14 : 탄성편
15 : 고정편 15a : 힌지공
16 : 힌지축 17 : 결합홈
S : 스프링 M : 밀대걸레
본 발명은 기존 밀대홀더에 결합되는 금속재 코일스프링(이하 '스프링')의 기능을 하는 탄성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밀대걸레를 착탈할 때 작동대를 회전시키거나 또는 고정시켜 놓을 때 복원력을 갖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체결하여 작동대가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한 밀대의 탄성부재에 관한 것이다.
도 6은 종래 밀대홀더의 분리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밀대홀더는 결착대(4)의 하부에 밀대걸레를 걸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스프링(S)이 작동대(6)의 조작에 의하여 결착대(4)가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지지몸체(1)의 하부에 형성된 압착부(3)와 결착대(4)의 하부 사이가 떨어지게 되며, 밀대걸레(M)를 그 사이에 넣어 작동대(6)를 밀대봉(9)에 맞대어지게 회전시켜 고정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 밀대홀더는 금속재 스프링(S)의 탄성력(복원력)에 의해서 작동대(6)가 밀대봉(9)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게 한 것이다.
그런데, 종래 밀대홀더는 스프링(S)을 결합할 때, 작동대(6)의 스프링결합공 (7a)에 스프링(S)의 상부 일단부를 걸어주어야 하는 작업상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으로는, 밀대걸레(M)를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 스프링(S)이 회전하여 결합공(7a)에 걸려져 있던 선단부가 빠져나와서 스프링(S)이 분리되는 일이 발생되어 다시 스프링(S)을 재결합시켜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밀대봉(9) 외주에 스프링(S)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밀대걸레(M)를 착탈시키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손이나 피복이 끼는 등 위험요소를 내재하고 있으며, 밀대걸레(M)로 청소를 하는 도중이나 밀대걸레를 세척하는 중에 밀대걸레(M)의 가닥이 스프링(S) 사이에 끼워지게 되고, 이렇게 끼워진 밀대걸레(M)를 손으로 제거해야 하는 문제점도 있다.
아울러, 종래 밀대홀더는 스프링(S)이 결합된 상태가 외관상 보기에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물과의 접촉으로 인해서 스프링 표면에 녹이 슬면서 결합된 지지몸체(1)와 작동대(6)까지도 녹물이 묻어서 외관상 좋지 않은 상태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발명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기존의 스프링을 탄성부재로 대체하여 작동대의 고정상태가 견고하게 되는 밀대홀더의 탄성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합성수지재로 밀대의 제조가 가능하여 제조의 편리성과 사용이 편리하며 외관상으로도 미려한 밀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밀대홀더는 밀대봉(9)이 고정되는 삽입구(2)가 형성된 지지몸체(1)와, 밀대걸레(M)를 고정하는 결착대(4)와, 상기 결착대(4)의 결합돌기이 결합되는 결합공과 힌지공이 형성된 작동대로 이루어지는 밀대홀더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1)와 상기 작동대(6) 사이에 탄성부재(10)를 결합하되, 상기 탄성부재(10)는 하부가 상기 지지몸체(1)의 삽입구(2) 외측면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원통부(11)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통부의 상면 일측에서 지지부(12)로 연결되어 상단부에서 삽입되는 밀대봉(9)의 외주 형상으로 탄성편(14)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편(14)의 선단부에 형성된 고정편(15)에 형성된 힌지공(15a)과 상기 작동대의 탄성부재결합공(7b)을 통해 힌지축(16)으로 결합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밀대봉(9)이 고정되는 삽입구(2)가 형성된 지지몸체(1)와, 밀대걸레(M)를 고정하는 결착대(4)와, 상기 결착대(4)의 결합돌기이 결합되는 결합공과 힌지공이 형성된 작동대로 이루어지는 밀대홀더에 있어서, 하부가 상기 지지몸체(1)의 삽입구(2) 외측면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면 일측에서 지지부(12)로 연결되어 상단부에서 삽입되는 밀대봉(9)의 외주 형상으로 탄성편(14)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편(14)의 선단부에 형성된 고정편(15)에 형성된 힌지공(15a)과 상기 작동대의 탄성부재결합공(7b)을 통해 힌지축(16)으로 결합되도록 이루어진 탄성부재(10')가 상기 지지몸체(1)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10)는 합성수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편(14)은 지지부(12)측에서 선단부측으로 갈수록 상측을 향해서 들려져서 형성되고, 상기 탄성편(14)의 선단부 하측에는 돌출부(18)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밀대홀더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밀대홀더에 구성된 탄성부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밀대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밀대홀더는 크게 상부에 밀대봉(S)이 삽입되어 지지하는 지지몸체(1)와, 밀대걸레(M)가 안착되는 결착대(4)와, 상기 결착대(4)와 결합되어 밀대봉(9)에 밀착되는 작동대(6)와, 상기 지지몸체(1)와 작동대(6)에 결합되어서 작동대(6)의 상하운동에 따라 위아래로 탄성력을 갖게 되는 탄성부재(10,1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몸체(1), 결착대(4), 작동대(6), 그리고 탄성부재(10,10')는 모두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몸체(1)에는 밀대봉(9)을 삽입하는 삽입구(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구(2)의 상단 외주에는 탄성부재(10)의 하부에 형성된 원통부(11)와 결합하기 위한 돌출턱(2a)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결착대(4)에 놓여지는 밀대걸레 (M)가 압착되는 부위인 압착부(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착대(4)는 저부와 양측부가 곧게 형성되고 상부는 개방된 소정 두께의 고리형으로 이루어지고, 이때 상부의 내측에는 작동대(6)의 몸체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결착대결합공(8)과 결합되는 결합돌기(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작동대(6)의 결착대결합공(8)에 결합된 상기 결착대(4)는 결합돌기(5)를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된다.
한편, 결착대(4)의 저부에는 밀대걸레(M)가 확실하게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뾰족한 돌기가 가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대(6)의 내주면은 밀대봉(9)의 외주와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측면의 적당한 위치에 상기 결착대(4)에 형성된 결합돌기(5)와 결합되는 결착대결합공(8)이 형성된 것이며, 일단에 탄성부재(10)에 형성된 힌지공(15a)과 함께 힌지축(16)이 결합되는 탄성부재결합공(7b)이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10)의 하부는 지지몸체(1)의 삽입구(2) 외측면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원통부(11)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통부(11)의 상면 일측에서 지지부(12)로 연결되어 상단부에서 삽입되는 밀대봉(9)의 외주 형상으로 탄성편(14)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탄성편(14)의 선단부에는 고정편(15)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편(15)에는 힌지축(16)에 의해 상기 작동대(6)에 형성된 탄성부재결합공(7b)과 함께 관통되는 힌지공(15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원통부(11)의 내주면에는 상기 지지몸체(1)의 삽입구 상단 외주면에 형성된 돌출턱(2a)과 결합되기 위한 결합홈(17)이 형성되고, 원통부의 하단에 는 소정의 크기로 다수개의 절개구(11a)가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탄성편(14)은 지지부(12)측에서 선단부측으로 갈수록 상측을 향해서 들려지게 형성되고, 상기 탄성편(14)의 선단부 하측에는 돌출부(18)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18)는 본 발명의 밀대홀더에 밀대걸레(M)를 탈부착를 자주 사용함에 따라 탄성부재(10)의 탄성력이 저하되어 탄성편(14)이 내려 앉을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함과 동시에, 돌출부(18)가 원통부(11)의 상면에 먼저 닿을 수 있도록 하여 과도한 힘으로 작동대(6)를 회전시키더라도 지지부(12)에 그 힘이 그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탄성편의 탄성력이 보다 강하게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밀대홀더의 측단면도로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밀대홀더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밀대걸레(M)를 착탈시키기 위해서 작동대(6)를 회전시키면 지지몸체(1)의 압착부(3)에서 밀대걸레(M)를 압착하여 고정하고 있던 결착대(4)의 하부가 외측으로 탈거된다.
그 다음에, 결착대(4)에 안착된 밀대걸레(M)를 제거하여 새로운 밀대걸레를 결착대(4)에 올려 놓은 상태에서 작동대(6)를 다시 회전시켜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밀대홀더의 제작공정에서 밀대홀더를 조립할 때, 종전의 스프링 방식 밀대홀더의 경우에는 스프링(S)은 곡선이고 상기 스프링결합공(7a)은 직선으로 관통되어 있으므로 스프링결합공(7a)에 스프링(S)을 끼우는 작업이 상당히 어려워서 조립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반면에(도 6 참조), 본 발명의 밀대홀더의 탄성부재(10) 를 조립하는 경우에는 지지몸체(1)의 삽입구(2)에 탄성부재(10)의 하부 원통부(11) 를 삽입하고 탄성부재결합공(7b)과 힌지공(15a)에 힌지축(16)을 결합하면 되므로 매우 간편하고 수월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밀대홀더의 탄성부재(10)에 의해 작동대(6)가 밀대봉(9)에 단단히 고정되어 청소를 할 때 작동대(6)가 밀대봉(9)에서 회전될 우려는 전혀 없고 분리되는 경우는 절대 발생되지 않으므로 밀대걸레(M)가 안착된 결착대(4)의 유동이 없어서 청소의 효율성을 보장할 수 있다.
아울러, 종전의 스프링 방식 밀대홀더에서는 스프링은 반드시 금속재 스프링을 사용해야 하지만, 본 발명의 밀대홀더의 탄성부재(10)는 합성수지재로도 제작이가능하므로 장시간의 물걸레 청소작업 등을 하여도 녹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없으며, 합성수지재의 다양한 색상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외관상 미려한 밀대홀더를 만들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대홀더의 측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형으로 제작할 수 있고, 지지몸체(1)와 일체로 제작할 수도 있다.
즉, 일체형 탄성부재(10')는 분리형 탄성부재(10)의 구조와 모든 부위가 동일한데, 단지 하부 원통부(11)가 지지몸체(1)의 삽입구(2)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면 일측에서 지지부(12)로 연결하여 상단부에서 삽입되는 밀대봉(9)의 외주 형상으로 탄성편(14)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편(14)의 선단부에는 고정편(15)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편에는 힌지축(16)에 의해 상기 작동대(6)에 형성된 탄성부재결합공(7b) 과 함께 관통되는 힌지공(15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밀대홀더를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밀대홀더에 의하면, 장시간 사용하여도 탄성부재 결합공에서 탄성부재가 분리되지 않고, 밀대걸레가 탄성부재에 말리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으며, 금속재가 아닌 합성수지재로 제조가 가능하므로 물청소 등의 작업을 오랫동안 하여도 녹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합성수지재의 다양한 색상을 이용하여 밀대홀더를 제조할 수 있으므로 외관상 미려하고, 탄성부재와 작동대의 결합이 간단하고 용이하다.

Claims (4)

  1. 밀대봉(9)이 고정되는 삽입구(2)가 형성된 지지몸체(1)와, 밀대걸레(M)를 고정하는 결착대(4)와, 상기 결착대(4)의 결합돌기이 결합되는 결합공과 힌지공이 형성된 작동대로 이루어지는 밀대홀더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1)와 상기 작동대(6) 사이에 탄성부재(10)를 결합하되,
    상기 탄성부재(10)는 하부가 상기 지지몸체(1)의 삽입구(2) 외측면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원통부(11)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통부의 상면 일측에서 지지부(12)로 연결되어 상단부에서 삽입되는 밀대봉의 외주 형상으로 탄성편(14)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편(14)의 선단부에 형성된 고정편(15)에 형성된 힌지공(15a)과 상기 작동대의 탄성부재결합공(7b)을 통해 힌지축(16)으로 결합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대홀더.
  2. 밀대봉(9)이 고정되는 삽입구(2)가 형성된 지지몸체(1)와, 밀대걸레(M)를 고정하는 결착대(4)와, 상기 결착대(4)의 결합돌기이 결합되는 결합공과 힌지공이 형성된 작동대로 이루어지는 밀대홀더에 있어서,
    하부가 상기 지지몸체(1)의 삽입구(2) 외측면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면 일측에서 지지부(12)로 연결되어 상단부에서 삽입되는 밀대봉의 외주 형상으로 탄성편(14)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편(14)의 선단부에 형성된 고정편(15)에 형성된 힌지공 (15a)과 상기 작동대의 탄성부재결합공(7b)을 통해 힌지축(16)으로 결합되도록 이루어진 탄성부재(10')가 상기 지지몸체(1)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대홀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10,10')는 합성수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대홀더.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14)은 지지부(12)측에서 선단부측으로 갈수록 상측을 향해서 들려진 형태이고, 상기 탄성편의 선단부 하측에는 돌출부(18)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대홀더.
KR1020060030842A 2006-04-05 2006-04-05 밀대홀더 KR100696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0842A KR100696893B1 (ko) 2006-04-05 2006-04-05 밀대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0842A KR100696893B1 (ko) 2006-04-05 2006-04-05 밀대홀더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8998U Division KR200419376Y1 (ko) 2006-04-05 2006-04-05 밀대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6893B1 true KR100696893B1 (ko) 2007-03-22

Family

ID=41563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0842A KR100696893B1 (ko) 2006-04-05 2006-04-05 밀대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689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8498A (ja) * 1995-12-18 1997-06-30 Atsushi Miyaoka モップ
KR200283637Y1 (ko) 2002-04-12 2002-07-27 이현진 마포걸레 홀더
KR200389628Y1 (ko) 2005-04-26 2005-07-14 김학연 마포걸레의 밀대
KR200410946Y1 (ko) 2005-12-19 2006-03-15 김학연 마포걸래 홀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8498A (ja) * 1995-12-18 1997-06-30 Atsushi Miyaoka モップ
KR200283637Y1 (ko) 2002-04-12 2002-07-27 이현진 마포걸레 홀더
KR200389628Y1 (ko) 2005-04-26 2005-07-14 김학연 마포걸레의 밀대
KR200410946Y1 (ko) 2005-12-19 2006-03-15 김학연 마포걸래 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9376Y1 (ko) 밀대홀더
KR100696893B1 (ko) 밀대홀더
KR200470899Y1 (ko) 개량된 립스틱 중간 관 조립 구조물
KR20160128132A (ko) 머리핀
KR200280016Y1 (ko) 장식체 교체형 반지
KR101242189B1 (ko) 스프링 보호용 캡이 구비된 밀대용 홀더
JP4375872B2 (ja) 水栓用ハンドル
KR200400829Y1 (ko) 밀대 홀더
KR101924194B1 (ko) 자동버클용 벨트 고정장치
KR101621939B1 (ko) 악세사리 밴드 체결구 및 이를 갖는 악세사리
KR20050067124A (ko) 퍼머로드 세트
KR20110006340U (ko) 결합식 단추
KR200480722Y1 (ko) 모자용 꼭지단추의 장식품 착탈장치
KR20100006643U (ko) 탄성가압식 비누케이스
KR100698210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0176045B1 (ko) 진공청소기의 먼지봉투 착탈장치
CN214433502U (zh) 易拆卸与装配的杯盖
KR0131873Y1 (ko) 낚시용 릴의 스풀 착탈장치
KR200396453Y1 (ko) 핸드폰 클립의 체결구조
JP3169421U (ja) シートパッドのカバーアセンブリー
CN213525000U (zh) 玻璃清洁器的握把伸缩结构
CN213866953U (zh) 挂烫机
CN209965742U (zh) 一种可快速拆装的把手
KR20240028801A (ko) 무전력식 컵세척기
JP4243811B2 (ja) リサイクル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