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6453Y1 - 핸드폰 클립의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핸드폰 클립의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6453Y1
KR200396453Y1 KR20-2005-0015311U KR20050015311U KR200396453Y1 KR 200396453 Y1 KR200396453 Y1 KR 200396453Y1 KR 20050015311 U KR20050015311 U KR 20050015311U KR 200396453 Y1 KR200396453 Y1 KR 2003964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fastening
case
mobile phone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53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일
Original Assignee
박정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일 filed Critical 박정일
Priority to KR20-2005-00153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64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64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64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핸드폰의 홀더에 클립을 장착하기 위한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결합케이스의 체결부를 밑판구조에 끼워 넣는 간단한 동작으로 체결을 하고, 체결구의 상단 버튼부를 누르는 간단한 동작으로 해체가 가능한 핸드폰 클립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핸드폰 홀더에 부착된 결합케이스에서 돌출된 버튼부를 간단히 누르는 동작만으로 홀더와 클립 간을 해체할 수가 있기에 작동이 용이하며, 종래의 고안에서 발생되는 손톱이 손상되는 문제점을 해결한 유용한 고안이다.
또한 본 고안은 결합케이스를 밑판구조 테두리부의 내부로 가압하여 밀어 넣는 동작만으로 체결이 가능한 원터치 방식의 체결구조이다.
더불어 본 고안은 핸드폰과 그 클립 간의 체결구조뿐만 아니라, 간단한 기구와 그 구성부품 간의 결합을 위한 체결구조에도 사용이 용이하여 활용가능성이 높다.

Description

핸드폰 클립의 체결구조{The connecting structure to connect a clip}
본 고안은 핸드폰의 홀더에 클립을 장착하기 위한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결합케이스의 체결부를 밑판구조에 끼워 넣는 간단한 동작으로 체결을 하고, 체결구의 상단 버튼부를 누르는 간단한 동작으로 해체가 가능한 핸드폰 클립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핸드폰 홀더란 핸드폰을 허리의 벨트에 차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핸드폰 홀더는 클립과의 일체형 홀더가 있고, 홀더와 클립이 해체될 수 있는 착탈형의 홀더가 존재한다.
또한 상기 클립의 경우도 홀더의 배면에 부착되어 일정한 각도로 회전할 수 있는 회전형의 클립이 있으며, 회전할 수 없는 고정형의 클립이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중 착탈형의 홀더에 속하며, 회전형과 고정형의 클립이 모두 적용될 수 있는 핸드폰 클립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그럼 종래의 착탈형 홀더의 기술적 내용을 살펴보고, 그 문제점을 집어 본다.
도 1과 2에 도시된 것처럼, 종래 착탈형 클립(1)의 체결구조는 클립(1)을 체결하기 위해 홀더(2)의 배면 즉, 클립(1)의 상단부근 홀더판에 체결구(3)를 내장시키고, 탄성스프링으로 지지를 하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클립(1)을 홀더(2)로부터 착탈하기 위해서는 상기 체결구(3)에 형성된 스넵홈(4)에 손가락의 손톱을 넣은 상태에서 상향시켜 클립(1)을 착탈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체결구(3)는 그 내부에 탄성스프링을 내장하고 있기에 상기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을 누르는 힘으로 상기 체결구(3)를 상향시켜 클립(1)을 해체시켜야만 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적인 결함에 의해 종래의 클립 착탈구조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밖에는 없었다.
첫째, 상기 체결구(3)를 하향시키는 실질적인 힘은 손톱을 이용할 수밖에는 없기에 손톱에 손상을 줄 소지가 많았다.
물론 이러한 문제점은 현재 많은 소비자를 통해 불만으로 표출되고 있고, 제조자의 소비자 보호차원에서 개선의 요구도 많이 발생되고 있으며, 법률적으로도 소비자 보호 차원에서 개정의 움직임도 일어나고 있음이 사실이다.
둘째, 종래의 클립(1)의 착탈구조에서는 그 착탈을 위한 체결구(3)가 홀더(2)의 배면 즉, 클립(1)의 상단에 비치되어 있다.
따라서 홀더(2)가 허리에서 분리된 상태에서는 어느 정도 편리하게 즉, 체결구를 손톱으로 상향하는 작동을 통해 해체가 가능하지만, 만일 핸드폰 홀더(2)를 허리에 찬 상태에서 해체를 하기 위해서는 그 작동이 어렵다.
즉, 허리에 찬 상태에서 홀더의 배면과 착용자의 벨트가 맞닿아 있는 상태에서 클립의 상부위인 홀더의 배면에 손가락을 넣기란 거의 불가능하며, 어렵게 넣어서 체결구를 상향시키기 위해서는 손가락의 힘이 많이 들고, 그 손톱에 미치는 손상은 더욱 증대될 것이다.
셋째,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조의 클립(1)은 반드시 회전형의 클립(1)이 장착된 홀더의 경우만 어느 정도 해체가 가능하다.
즉, 도 2에서 처럼, 핸드폰을 회전시켜 클립(1)과 핸드폰과 일정한 각도를 이룰 수 있도록 돌려놓은 상태에서 홀더(2)의 배면에 손을 넣을 수 있는 어느 정도의 공간을 확보한 상태에서만이 이 작용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물론 이렇게 돌려 논 상태에서도 사람의 시각으로 보며 체결구(3)를 올릴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단지 착용자의 손톱에서 감지되는 감각만을 이용해야 하기에 그 착탈은 쉽지 않다는 것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한 본 고안은 핸드폰의 홀더에 클립을 장착하기 위한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결합케이스의 체결부를 밑판구조에 끼워 넣는 간단한 동작으로 체결을 하고, 체결구의 상단 버튼부를 누르는 간단한 동작으로 해체가 가능한 핸드폰 클립의 체결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핸드폰 케이스에 부착되는 클립의 체결구조에 있어서, 표면에서 돌출된 테두리부의 하단 중심부에 형성된 삽입공과, 상기 테두리부 상단 중심부에 형성된 개공부와, 상기 개공부와 근접된 테두리부의 하단에 형성된 끼움홈으로 구성된 밑판구조와; 상기 테두리부의 두께와 동일하며, 그 하단에 돌출성형된 하단돌기와, 상단으로 돌출되어 연동하는 체결부가 구성되어 상기 밑판구조의 테두리부 내측에 삽입되는 결합케이스와; 상기 결합케이스의 상판에 결합체결되는 고정형 회전형의 공지된 클립이; 상기 밑판구조의 삽입공에 결합케이스의 하단돌기가 끼워지고, 상기 밑판구조의 개공부와 끼움홈에 체결되는 결합케이스의 체결부가 체결되어 클립의 착탈이 용이한 핸드폰 클립의 체결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부인 상기 결합케이스의 체결부는, 결합케이스의 상단 내부에 형성하되, 좌우 양측의 가이드홈부와 하단 중심부에 탄성스프링이 내장될 삽입홈부, 최상단의 좌우에서 꺾어져 돌출된 걸림부로 형성된 케이스공간부와; 좌우 양측의 수직으로 형성된 가이드부와, 하단 중심부에 돌출되어 탄성스프링이 끼워지는 삽입돌기와, 상기 가이드부의 상단으로 돌출된 걸이부와 상기 걸이부의 상부로 돌출된 버튼부로 구성된 체결구와; 상기 케이스공간부에 덮어 씌워지게 동일 형상으로 제작된 커버판이; 상기 체결구의 삽입돌기를 탄성스프링이 둘러싼 상태로 케이스공간부의 삽입홈부에 끼워지고, 상기 케이스공간부의 가이드홈부에 대응되게 체결구의 가이드부가 면접하고, 탄성스프링의 작동으로 상기 걸이부가 케이스공간부의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밑판구조의 끼움홈에 끼워져 체결되는 핸드폰 클립의 체결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핸드폰 케이스(홀더)에 부착되는 클립의 체결구조란 점에서는 종래의 그것과 유사하다.
그러나, 핸드폰 홀더와 그 클립간의 체결과 해체를 최상단에 돌출된 결합케이스의 체결구 버튼을 가압하는 동작만으로 달성할 수 있다는 점, 그를 위해 각각의 구성요건(소) 간의 유기적인 결합으로 이루어졌다는 점 및 그에 따라 종래 고안에서 발생되는 클립 해체시 손톱이 손상되는 현상을 말끔히 제거할 수 있다는 점에서 현저한 효과가 있기에 도시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10에 도시된 것처럼, 본 고안은 표면에서 돌출된 테두리부(11)의 하단 중심부에 형성된 삽입공(12)과, 상기 테두리부(11) 상단 중심부에 형성된 개공부(13)와, 상기 개공부(13)와 근접된 테두리부(11)의 하단에 형성된 끼움홈(15)으로 구성된 밑판구조(10)가 있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부(11)의 두께와 동일하며, 그 하단에 돌출성형된 하단돌기(21)와, 상단으로 돌출되어 연동하는 체결부(30)가 구성되어 상기 밑판구조(10)의 테두리부(11) 내측에 삽입되는 결합케이스(20)가 있다.
또한 상기 결합케이스(20)의 상판(25)에 결합체결되는 고정형이나 회전형의 공지된 클립(40)이 있다.
따라서 상기 밑판구조(10)의 삽입공(12)에 결합케이스(20)의 하단돌기(21)가 끼워지고, 상기 밑판구조(10)의 개공부(13)와 끼움홈(15)에 체결되는 결합케이스(20)의 체결부(30)가 체결되어 클립(40)의 착탈을 용이하게 한다.
즉,본 고안의 핸드폰 클립의 체결구조는 밑판구조(10)와 결합케이스(20) 및 클립(40)의 결합체이다.
그런데 상기 밑판구조(10)는 그를 포함하는 형태의 구성요소가 없는 구조그 자체일 뿐이다(즉, 도 3에서 일점쇄선으로 구획한 부분).
즉,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일정형상의 테두리부(11)가 형성되고, 그 하단 중심부에 형성된 삽입공(12)이 있으며, 상기 테두리부(11) 상단 중심부에 형성된 개공부(13)가 비치된 상태로 구성된다.
더욱이 상기 개공부(13)와 근접된 테두리부(11)의 하단에는 끼움홈(15)이 구성된 테두리부(11), 삽입공(12), 개공부(13) 및 끼움홈(15)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구조인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고안의 밑판구조(10)는 상기한 구성요소 들이 일정한 구조에 형성돼있는 것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별도의 판에도 형성이 가능하고, 어떠한 물체의 표면에 형성시킬 수도 있는 구조 그 자체인 것이다.
물론 이에 대응하는 결합케이스(20)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최 하단에 돌출성형된 하단돌기(21)가 있어, 상기 하단돌기(21)를 이용하여 밑판구조(10)의 하단 삽입공(12)에 끼워 넣은 상태에서 결합케이스(20)의 몸체 전체가 밑판구조(10)의 테두리부(11) 내측에 삽입시키고, 결합케이스(20)의 상부에 비치되어 있는 그 체결부(30)를 통해 상기 밑판구조(10)의 개공부(13) 끼움홈(15)에 체결시키는 것이다.
즉, 이 체결부(30)는 원터치 식으로 작동되는데, 그 상세한 구성을 도시된 도 3과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결합케이스(20)의 체결부(30)는, 결합케이스(20)의 상단 내부에 형성하되, 좌우 양측의 가이드홈부(31)와 하단 중심부에 탄성스프링(60)이 내장될 삽입홈부(32), 최상단의 좌우에서 꺾어져 돌출된 걸림부(33)로 형성된 케이스공간부(34)가 있고, 좌우 양측의 수직으로 형성된 가이드부(35)와, 하단 중심부에 돌출되어 탄성스프링(60)이 끼워지는 삽입돌기(36)와, 상기 가이드부(35)의 상단으로 돌출된 걸이부(37)와 상기 걸이부(37)의 상부로 돌출된 버튼부(38)로 구성된 체결구(39)가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공간부(34)에 덮어 씌워지게 동일 형상으로 제작된 커버판(7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구(39)의 삽입돌기(36)를 탄성스프링(60)이 둘러싼 상태로 케이스공간부(34)의 삽입홈부(32)에 끼워지고, 상기 케이스공간부(34)의 가이드홈부(31)에 대응되게 체결구(39)의 가이드부(35)가 면접하고, 탄성스프링(60)의 작동으로 상기 걸이부(37)가 케이스공간부(34)의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밑판구조(10)의 끼움홈(15)에 끼워져 체결되는 것이다.
즉, 상기 밑판구조(10)의 테두리부(11)의 내측으로 상기 결합케이스(20)가 삽입된 상태로 장착을 유지하고, 필요시 본 고안의 체결부(30)의 작동을 통해 그 해체를 용이하게 수행하는 구조이다.
즉, 본 고안의 체결부(30)는 결합케이스(20)의 상단의 내부에 케이스공간부(34)가 비치되어 있는데, 상기 케이스공간부(34)에 체결구(39)가 내장된 상태로 결합된다.
물론 그 결합을 위해 그 내부에는 탄성스프링(60)이 상기 체결구(39)의 삽입돌기(36)에 일측단이 끼워진 상태이며, 상기 탄성스프링(60)의 타단은 상기 케이스공간부(34)의 삽입홈부(32)에 삽입된 상태로 내장된다.
또한 상기 체결구(39)가 케이스공간부(34)에 내장된 상태로, 도시된 커버판(70)이 그 돌출된 돌기(A)로 상기 케이스공간부(34)의 외주면 홈(B)에 끼워져 접착제나 융착의 방법으로 견고히 체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만일 상기 체결부(30)의 체결구(39)에 어떠한 힘의 작동이 없는 상태에서는 그 내장된 탄성스프링(60)의 인장력이 작용하여 상기 체결구(39)를 케이스공간부(34)의 상부로 배출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부여하고 있어 상기 결합케이스(20)의 상부로 버튼부(38)와 걸이부(37)를 외부로 노출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물론 이때 만일 본 고안의 결합케이스(20)가 본 발명의 밑판구조(10)에 끼워져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외부로 돌출된 걸이부(37)가 밑판구조(10)의 끼움홈(15)에 끼워져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즉, 상기 결합케이스(20)의 하단은 밑판구조(10)의 삽입공(12)에 끼워진 상태이고, 상기 결합케이스(20)의 상단은 그 체결구(39) 걸이부(37)가 돌출하여 테두리부(11)의 상단 끼움홈(15)에 걸려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만일 본 발명의 핸드폰 홀더(100)의 착용자가 상기 체결구(39)의 걸이부(37) 상부로 더 돌출된 버튼부(38)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버튼부(38)의 가압만큼 탄성스프링(60)은 가압되며, 상기 체결구(39)는 케이스공간부(34) 내부로 밀려 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체결구(39)의 가이드부(35)가 상기 케이스공간부(34)에 성형된 가이드홈부(31)를 타고 내려가고, 상기 체결구(39)의 걸이부(37)도 하향하여 케이스공간부(34)의 내측으로 완전히 밀려 들어가게 된다.
물론 이때 만일 본 고안의 결합케이스(20)가 밑판구조(10)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걸이부(37)가 상기 밑판구조(10)의 끼움홈(15)에서 빠져 나와 결합케이스(20) 내부에 들어간 상태이기에 그 상부가 빠져나오기가 쉽다.
또한 상기 결합케이스(20)의 체결부(30)가 밑판구조(10)의 테두리부(11)의 상부 끼움홈(15)에서 빠지면, 결합케이스(20)의 최하단인 하단돌기(21)를 밑판구조(10)의 삽입공(12)에서 빼내는 간단한 동작으로 홀더(100)와 클립(40)을 완전히 착탈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시된 것처럼, 상기 체결구(39)의 걸이부(37)가,
그 단면이 테이퍼지게 절개된 절개부(K)를 가진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유는 이 테이퍼진 절개부(K)는 결합케이스(20)의 하단돌기(21)를 밑판구조(10)의 삽입공(12)에 끼운 상태에서 상부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테두리부(11)의 개공부(13)에 버튼부(38)가 끼워지며, 상기 절개부(K)의 테이퍼진 면을 테두리부(11)가 가압하게 되기에 상기 체결구(39)는 그 케이스공간부(34)로 밀려 들어가며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밑판구조(10)는, 핸드폰홀더(100)의 배면에 일체로 사출성형시킨 상태로 제작이 가능하고, 도 4에서처럼 별도의 밑판(90)에 형성하여 부착시킬 수 있다.
이는 본 고안에서 상당히 중요한 요지로, 핸드폰 홀더(100)의 배면에 일체 시킨 상태의 밑판구조(10)는 도 5 내지 6에 도시된 것처럼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는 홀더(100)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도 있지만, 도 8과 9에서처럼 별도로 제작된 가죽 홀더(100)에 장착되어도 무방하다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의 밑판구조(10)가 부착된 별도의 밑판(90)을 제작하고, 도시된 것과 같은 가죽형 홀더(100)의 배면과 체결을 하는 것이다.
물론 그 체결의 형태는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밑판구조(10)가 성형된 밑판(90)을 가죽홀더(100)의 일측면에 대고, 상기 가죽홀더(100)의 내부에 고정와셔(96)를 덧대어 놓는다.
또한 상기 밑판(90)과 가죽홀더(100) 및 고정와셔(97)를 관통하여 일체화시키는 리벳(98)을 통해 리벳팅하는 방법으로 체결을 하면 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체결방법 이외의 체결방법도 본 고안에서는 사용이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에서처럼, 본 고안은 핸드폰 홀더에 부착된 결합케이스에서 돌출된 버튼부를 간단히 누르는 동작만으로 홀더와 클립 간을 해체할 수가 있기에 작동이 용이하며, 종래의 고안에서 발생되는 손톱이 손상되는 문제점을 해결한 유용한 고안이다.
또한 본 고안은 결합케이스를 밑판구조 테두리부의 내부로 가압하여 밀어 넣는 동작만으로 체결이 가능한 원터치 방식의 체결구조이다.
더불어 본 고안은 핸드폰과 그 클립 간의 체결구조뿐만 아니라, 간단한 기구와 그 구성부품 간의 결합을 위한 체결구조에도 사용이 용이하여 활용가능성이 높다.
도 1은 종래 클립과 홀더간의 결합을 위한 체결구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핸드폰 홀더에서 그 클립을 해체시키기 위한 작동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체결구조를 전체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체결구조에서 그 밑판구조가 별도의 밑판에 성형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체결구조가 부착된 회동형 클립의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체결구조가 부착된 회동형 클립의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체결구조가 부착된 고정형 클립의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체결구조가 가죽형 홀더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고안의 체결구조가 가죽형 홀더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체결구가 케이스공간부에서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밑판구조 11; 테두리부
12; 삽입공 13; 개공부
15; 끼움홈 20; 결합케이스
21; 하단돌기 30; 체결부
31; 가이드홈부 32; 삽입홈부
33; 걸림부 34; 케이스공간부
35; 가이드부 36; 삽입돌기
37; 걸이부 38; 버튼부
39; 체결구 40; 클립
60; 탄성스프링 70; 커버판

Claims (4)

  1. 핸드폰 케이스(홀더)에 부착되는 클립의 체결구조에 있어서,
    표면에서 돌출된 테두리부의 하단 중심부에 형성된 삽입공과, 상기 테두리부 상단 중심부에 형성된 개공부와, 상기 개공부와 근접된 테두리부의 하단에 형성된 끼움홈으로 구성된 밑판구조와;
    상기 테두리부의 두께와 동일하며, 그 하단에 돌출성형된 하단돌기와, 상단으로 돌출되어 연동하는 체결부가 구성되어 상기 밑판구조의 테두리부 내측에 삽입되는 결합케이스와;
    상기 결합케이스의 상판에 결합체결되는 공지된 고정형 또는 회전형 클립과;
    상기 밑판구조의 삽입공에 결합케이스의 하단돌기가 끼워지고, 상기 밑판구조의 개공부와 끼움홈에 체결되는 결합케이스의 체결부가 체결되어 클립의 착탈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클립의 체결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케이스의 체결부는,
    결합케이스의 상단 내부에 형성하되, 좌우양측의 가이드홈부와 하단 중심부에 탄성스프링이 내장될 삽입홈부, 최상단의 좌우에서 꺾어져 돌출된 걸림부로 형성된 케이스공간부와;
    좌우 양측의 수직으로 형성된 가이드부와, 하단 중심부에 돌출되어 탄성스프링이 끼워지는 삽입돌기와, 상기 가이드부의 상단으로 돌출된 걸이부와 상기 걸이부의 상부로 돌출된 버튼부로 구성된 체결구와;
    상기 케이스공간부에 덮어 씌워지게 동일 형상으로 제작된 커버판이;
    상기 체결구의 삽입돌기를 탄성스프링이 둘러싼 상태로 케이스공간부의 삽입홈부에 끼워지고, 상기 케이스공간부의 가이드홈부에 대응되게 체결구의 가이드부가 면접하고, 탄성스프링의 작동으로 상기 걸이부가 케이스공간부의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밑판구조의 끼움홈에 끼워져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클립의 체결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의 걸이부는,
    그 단면이 테이퍼지게 절개된 절개부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클립의 체결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밑판구조는,
    핸드폰홀더의 배면에 일체로 사출성형시키거나 또는 별도의 판에 형성하여 부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클립의 체결구조.
KR20-2005-0015311U 2005-05-30 2005-05-30 핸드폰 클립의 체결구조 KR2003964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311U KR200396453Y1 (ko) 2005-05-30 2005-05-30 핸드폰 클립의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311U KR200396453Y1 (ko) 2005-05-30 2005-05-30 핸드폰 클립의 체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6453Y1 true KR200396453Y1 (ko) 2005-09-22

Family

ID=43697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5311U KR200396453Y1 (ko) 2005-05-30 2005-05-30 핸드폰 클립의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645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42382A1 (en) * 2006-06-02 2007-12-13 Joongang T & C Co., Ltd The belt clip for attachable to mobile pho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42382A1 (en) * 2006-06-02 2007-12-13 Joongang T & C Co., Ltd The belt clip for attachable to mobile pho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51814B2 (en) Snap-coupling electronics case
US20120234042A1 (en) Articles adapted to releasably receive interchangeable ornaments and system therefor
CN108685283B (zh) 袋盖固定用带扣
CN106073069B (zh) 设计成安装在可移除的支承件上的手表
CA2666123C (en) Head model for hairdressing and beauty training
KR200396453Y1 (ko) 핸드폰 클립의 체결구조
US7477737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ver and structural body thereof
CN209949202U (zh) 一种智能手表保护壳
KR101785973B1 (ko) 팬던트 기능을 겸한 단추커버
CN105472081B (zh) 一种手机侧键装配结构和用于该装配结构的手机侧键
KR200473933Y1 (ko) 케이스커버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용기기 보호케이스
CN208572588U (zh) 显示装置及其壳体结构
KR101369297B1 (ko)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CN209926614U (zh) 一种热水器装饰盖安装结构
CN208572594U (zh) 显示装置及其壳体结构
KR200483277Y1 (ko) 투컬러 암스냅단추
KR20100000672A (ko) 다기능 부채
KR200465118Y1 (ko) 의류용 탈착식 단추조립체
CN211523891U (zh) 装饰板材
CN221091944U (zh) 一种雷达感应外盒结构
KR101585224B1 (ko) 휴대폰 케이스
KR200476998Y1 (ko) 스냅 단추
CN218143115U (zh) 一种拉扣式保鲜盒
KR20130000779U (ko) 장식용 암스냅단추
CN210901673U (zh) 一种新型变换图案样式的纽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