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0672A - 다기능 부채 - Google Patents

다기능 부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0672A
KR20100000672A KR1020080060257A KR20080060257A KR20100000672A KR 20100000672 A KR20100000672 A KR 20100000672A KR 1020080060257 A KR1020080060257 A KR 1020080060257A KR 20080060257 A KR20080060257 A KR 20080060257A KR 20100000672 A KR20100000672 A KR 201000006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handle
fastener
hol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0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주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민코엘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민코엘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민코엘에스
Priority to KR1020080060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0672A/ko
Publication of KR20100000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6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7/00Ladies' or like f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부채에 관한 것으로서, 부채면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결합턱과, 결합턱에 근접하여 동일 선상에 형성되는 결합홀과, 손잡이의 일단부측에 결합턱과 결합홀이 삽입 위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삽입부와, 삽입부 상에 형성되어 결합홀을 관통 위치되는 축돌기와, 결합홀을 관통한 축돌기에 삽입 위치되어 부채면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축고정홈을 가지는 체결구와, 체결구가 손잡이에서 안착 위치되도록 손잡이에 체결구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홈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부채면과 손잡이와의 결합이 손쉬울 뿐만 아니라 결합력이 증대되어 오래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손잡이에 관통의 홀을 형성하여 손에 땀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였고, 더욱이 이 홀에 별도의 악세사리를 걸어 같이 휴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부채면에 자외선 감지물질을 도포시킴으로써, 외부 활동 중 자외선이 위험 지수 이상일 때 자외선 감지물질의 색이 변하여 외부 활동을 자제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부채, 부채면, 손잡이, 결합, 자외선, 악세사리

Description

다기능 부채{MULTI-FUNCTION A FAN}
본 발명은 다기능 부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채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기능성과 실용성을 향상시킨 다기능 부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채는 날씨가 무더운 여름철에 바람을 일으켜 사람의 몸에서 발생하는 열을 내리는 데 사용되며, 그 모양에 따른 여러 형태의 것이 제안되어 왔다.
종래 부채의 기능성은 내구성을 만족하며, 휴대가 용이하도록 가벼우면서 송풍력을 보다 많이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데 중점을 두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의 부채가 갖는 구조는 손잡이와, 그 손잡이의 단부에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부챗살 또는 원형판의 부채면으로 형성된 것들이 있으며, 이는 손잡이로부터 멀리 이격된 부채면을 좌,우로 흔듬에 따른 원심력을 이용하여 송풍력을 얻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의 종래 부채는 부채 본연의 기능 외에 부수적으로 부채면에 광고물을 인쇄하여 광고효과를 높이도록 된 것이 있다.
근래에는 선풍기, 에어컨디셔너의 보급으로 부채의 수요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따라서, 부채의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기 위하여 소비자를 만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디자인과 기능을 갖는 부채를 개발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부채들이 광고 효과나 미관만을 고려했기 때문에 손잡이와 부채면의 결합이 미흡하여 바람을 얻는 도중 쉽게 손잡이로부터 부채면이 이탈되어 부채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부채를 통해 바람을 얻는 도중 파지된 손잡이에 오히려 땀이 발생하여 불괘감을 발생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또, 종래의 부채들은 더운날 부채를 들고 다니기에는 악세사리로서의 기능이 미흡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부채면과 손잡이와의 결합이 손쉬울 뿐만 아니라 결합력이 증대되도록 하였으며, 손잡이에 관통의 홀을 형성하여 손에 땀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였고, 더욱이 이 홀에 별도의 악세사리를 걸어 같이 휴대할 수 있도록 하여 악세사리의 기능을 강화한 다기능 부채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부채면에 자외선 감지물질을 도포시킴으로써, 외부 활동 중 자외선이 위험 지수 이상일 때 자외선 감지물질의 색이 변하여 외부 활동을 자제시킬 수 있는 다기능 부채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부채면과 부채면에 결합되는 손잡이가 마련된 다기능 부채에 있어서, 부채면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결합턱과, 결합턱에 근접하여 동일 선상에 형성되는 결합홀과, 손잡이의 일단부측에 결합턱과 결합홀이 삽입 위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삽입부와, 삽입부 상에 형성되어 결합홀을 관통 위치되는 축돌기와, 결합홀을 관통한 축돌기에 삽입 위치되어 부채면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축고정홈을 가지는 체결구와, 체결구가 손잡이에서 안착 위치되도록 손잡이에 체결구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홈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부채를 제공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체결구의 상면에는 시트형태 또는 입체 형태의 어느 한 형태로 이루어진 내용물이 부착 설치되며, 하면에는 후크 형태의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손잡이의 홈부 상에는 체결홈이 더 형성되어 홈부로부터 체결구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 부채면 상에 자외선 감지물질이 일정 부분 도포되고, 자외선 감지물질은 자외선 안료가 사용되며, 자외선 지수에 따라 변색된다.
또 바람직하게 손잡이에는 관통의 홀이 형성되고, 홀을 구성하는 일측이 탄성을 가지고서 일시 개구 가능하도록 개폐부가 좌, 우 유동이 방지되도록 단턱을 가지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기능 부채에 따르면, 부채면과 손잡이와의 결합이 손쉬울 뿐만 아니라 결합력이 증대되도록 하였으며, 손잡이에 관통의 홀을 형성하여 손에 땀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였고, 더욱이 이 홀에 별도의 악세사리를 걸어 같이 휴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부채면에 자외선 감지물질을 도포시킴으로써, 외부 활동 중 자외선이 위험 지수 이상일 때 자외선 감지물질의 색이 변하여 외부 활동을 자제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부채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부채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부채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기능 부채(100)는, 크게 부채면(110)과 부채면(110)에 결합되는 손잡이(120)로 구성되고, 이들 부채면(110)에는 결합홀(114)과 결합턱(112)이 형성되고, 손잡이(120)에는 삽입부(121)와 홈부(123)가 형성되며, 부채면(110)과 손잡이(120)를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구(130)로 구성된다.
여기서 부채면(110)은 편평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형상은 원형 또는 다각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시된 부채면(110)은 원형으로 외주면에 "ㄷ"자 형상으로 일부가 제거된 결합턱(112)이 형성되고, 이 결합턱(112)으로부터 동일 선상으로 중심부측을 향해 원형의 결합홀(114)이 이격 형성된다.
덧붙여, 부채면(110)에는 자외선 감지물질(116)이 일정 부분 도포된다. 자외선 감지물질(116)은 자외선 안료가 사용되며, 자외선에 따라 서서히 변색되어 자외선 위험을 사용자에게 알리게 된다.
한편, 손잡이(120)의 일단부측에는 부채면(110)의 결합턱(112)과 결합홀(114)이 삽입 위치될 수 있도록 공간의 삽입부(121)가 내측으로 형성되며, 이 삽입부(121) 상에 결합홀(114)이 관통 위치될 수 있도록 축돌기(122)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축돌기(122)는 원기둥 형태 또는 삼각 또는 사각의 다각형 형태이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손잡이(120)에는 삽입부(121)가 형성된 상면으로 일정 크기의 홈부(123)가 형성되며, 이 홈부(123)는 체결구(130)가 손잡이(120)로부터 돌출 없이 안착 위치되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 체결구(13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서 형성된다.
홈부(123)에는 축돌기(122)와 수직 선상에 관통홀(126)이 형성되어 하기에서 설명하는 축고정홈(132)이 관통 위치될 수 있다. 관통홀(126)의 내경은 축고정홈(132)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이면 된다.
그리고 체결구(130)는 결합홀(114)을 관통한 축돌기(122)에 삽입 위치되어 부채면(110)의 이탈을 방지하는 축고정홈(132)이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체결구(130)의 하면에는 하방을 향하는 체결돌기(134)가 중앙이 절개되어 마주하는 한 쌍의 후크 형태로 하여 더 형성되고, 체결돌기(134)에 대응되도 록 손잡이(120)의 홈부(123) 상에는 체결홈(125)이 형성되어 홈부(123)로부터 체결구(13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덧붙여, 체결구(130)의 상면에는 시트형태 또는 입체 형태의 어느 한 형태로 이루어진 내용물(136)이 부착 설치될 수 있다.
내용물(136)은, 섬세하면서 미려하여 소비자들이 선호하여 지니고 싶어할 수 있는 것으로, 즉 시트형태의 것인 경우에는 이미지, 사진, 부적, 장식문양, 홀로그램, 십자수 천, 금박 또는 은박, 광고도안 등이 있을 수 있고, 입체형태의 것인 경우에는 기념주화, 압화와 같은 자연물, 조각물과, 휴대폰의 액정화면이나 키버튼(key button) 등을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청소용 특수 천인 극세사천으로 이루어진 청소용패드, 그리고 거울, 향기나는 부재 등이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내용물(136)의 장착은 고무자석, 양면테이프 등이 사용되어 질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청소용패치 등이 접착 또는 열융착 등으로 이루어진다.
더 나아가 대중 교통을 이용하기 위한 교통용 칩이나 인증을 필요로 하는 RF(Radio Frequency)칩 등이 수용될 수 있다.
또, 체결구(130)가 설치되는 손잡이(120)의 하측으로 관통의 홀(126)이 형성되고, 홀(126)을 구성하는 일측이 탄성을 가지고서 일시 개구 가능하도록 개폐부(127)가 좌, 우 유동이 방지되도록 단턱(127a)을 가지고 형성되는 구성을 가진다.
이하, 이와 같이 구성된 다기능 부채의 조립 적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시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손잡이(120)의 삽입부(121)를 향하여 결합턱(112)과 결합홀(114)이 형성된 부채면(110)의 일면을 삽입하게 된다.
이에 따라 부채면(110)의 결합턱(112)은 삽입부(121)의 단부에 밀착 위치되고, 결합홀(114)은 삽입부(121)의 축돌기(122)에 관통 위치된다.
다음으로 체결구(130)의 축고정홈(132)이 홈부(123)의 관통홀(124)을 통과하면서 결합홀(114)을 관통한 축돌기(122)를 내측에 포함하는 결합으로 손잡이(120)와 부채면(110)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이와 같이 체결구(130)에서 후크 형태의 체결돌기(134)는 홈부(123)의 체결홈(125)에 위치되어 손잡이(120)와 부채면(110)의 결합을 이룬 체결구(13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렇게 조립된 부채는 사용자가 손잡이(120)를 잡고 무더운 날 바람을 일으키면서 사용을 하게 되며, 이때, 손잡이(120)의 홀(126)은 사용자의 손에 땀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부채면(110)상의 자외선 감지물질(116)은 자외선 지수가 5 이상을 경우 새기 변색되어 자외선의 위험을 알림으로써, 사용자가 외부 활동을 중단하고 실내로 대피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손잡이(120)의 개폐부(127)를 일시적으로 탄성 개방하여 다수의 부채를 연결할 수 도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핸드백에 부채를 연결할 수도 있고, 이 외에 기타 다른 악세사리 등을 연결하여 휴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부채는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 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부채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부채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부채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부채 110 : 부채면
112 : 결합턱 114 : 결합홀
116 : 자외선 감지물질 120 : 손잡이
121 : 삽입부 122 : 축돌기
123 : 홈부 124 : 관통홀
125 : 체결홈 126 : 홀
127 : 개폐부 127a : 단턱
130 : 체결구 132 : 축고정홈
134 : 체결돌기 136 : 내용물

Claims (5)

  1. 부채면과 상기 부채면에 결합되는 손잡이가 마련된 다기능 부채에 있어서,
    상기 부채면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결합턱과,
    상기 결합턱에 근접하여 동일 선상에 형성되는 결합홀과,
    상기 손잡이의 일단부측에 상기 결합턱과 결합홀이 삽입 위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 상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홀을 관통 위치되는 축돌기와,
    상기 결합홀을 관통한 상기 축돌기에 삽입 위치되어 상기 부채면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축고정홈을 가지는 체결구와,
    상기 체결구가 상기 손잡이에서 안착 위치되도록 상기 손잡이에 상기 체결구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홈부
    를 포함하는 다기능 부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의 상면에는 시트형태 또는 입체 형태의 어느 한 형태로 이루어진 내용물이 부착 설치되는 다기능 부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의 하면에는 후크 형태의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홈부 상에는 체결홈이 더 형성되어 상기 홈부로부터 상기 체결구의 이탈을 방지하는 다기능 부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채면 상에 자외선 감지물질이 일정 부분 도포되고, 상기 자외선 감지물질은 자외선 안료가 사용되며, 자외선 지수에 따라 변색되는 다기능 부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에는 관통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을 구성하는 일측이 탄성을 가지고서 일시 개구 가능하도록 개폐부가 좌, 우 유동이 방지되도록 단턱을 가지고 형성되는 다기능 부채.
KR1020080060257A 2008-06-25 2008-06-25 다기능 부채 KR201000006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0257A KR20100000672A (ko) 2008-06-25 2008-06-25 다기능 부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0257A KR20100000672A (ko) 2008-06-25 2008-06-25 다기능 부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672A true KR20100000672A (ko) 2010-01-06

Family

ID=41811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0257A KR20100000672A (ko) 2008-06-25 2008-06-25 다기능 부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067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646B1 (ko) * 2010-08-18 2012-05-14 성정환 다기능 부채 손잡이
KR101245920B1 (ko) * 2011-08-01 2013-03-20 성정환 다기능 접이식 부채
KR101309896B1 (ko) * 2011-08-01 2013-09-17 성정환 다기능 부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646B1 (ko) * 2010-08-18 2012-05-14 성정환 다기능 부채 손잡이
KR101245920B1 (ko) * 2011-08-01 2013-03-20 성정환 다기능 접이식 부채
KR101309896B1 (ko) * 2011-08-01 2013-09-17 성정환 다기능 부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21347A (ko) 맞춤형 핸드백 시스템 및 방법
JP3168090U (ja) 携帯端末装置のカバー
KR20100000672A (ko) 다기능 부채
US20110239511A1 (en) Picture frame
KR100828475B1 (ko) 외장 테두리 교체형 휴대용 액세서리
CN208271775U (zh) 一种墙壁开关
US20100031541A1 (en) Doorbell blocking device
CN105299858B (zh) 一种装饰灯固定结构、出风框及空调设备
WO2003039111A1 (fr) Accessoire de terminal portatif et terminal portatif
CN104333988A (zh) 可快捷拆装并具装饰功能的手持式电子设备的固定装置
CN214157193U (zh) 一种带显示装置的马桶盖板及马桶
KR200493555Y1 (ko) 휴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폰용 홀더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KR100702539B1 (ko) 휴대용 악세사리
KR101827769B1 (ko) 탈부착 가능한 우산집을 포함하는 조립식 다기능 우산
US7941046B2 (en) Photographic and videographic camera accessory and method of use thereof
KR200353483Y1 (ko) 조명기구용 갓
US20030047127A1 (en) Remote locator device
JP2007045379A (ja) サンシェード保持具
KR101589693B1 (ko) 박막 부채
KR200426976Y1 (ko) 거울이 내장된 휴대폰 악세사리
US20190226273A1 (en) Attachable window for windproof vinyl
KR20130022006A (ko) 아크릴 액자
US20060267460A1 (en) Ornamental panel for electronic devices
KR200354685Y1 (ko) 향발산 캡슐 스티커
KR200365065Y1 (ko) 복합 스크린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