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5320B1 - 공동주택용 복도 창문의 자동개폐구조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복도 창문의 자동개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5320B1
KR100695320B1 KR1020060095362A KR20060095362A KR100695320B1 KR 100695320 B1 KR100695320 B1 KR 100695320B1 KR 1020060095362 A KR1020060095362 A KR 1020060095362A KR 20060095362 A KR20060095362 A KR 20060095362A KR 100695320 B1 KR100695320 B1 KR 100695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roller
case
wire
window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5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흥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흥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흥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60095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53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5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5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temperature changes, rain, wind or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68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 E05F15/68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 E05F15/68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by cables or rop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복도나 계단실에 설치되는 창문에 비가 오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창문을 닫을 수 있도록 하여 우천시 빗물로 인한 실내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열려진 창문을 확인하는 데 따른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복도 창문의 자동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미닫이 창문에서 설치되며, 내부면 일측의 중앙에는 걸림돌기(11)가 돌출되게 설치되고, 타측 상부에는 체결고리(12)가 돌출형성되는 창문부재(10)와; 상기 창문부재(10)가 설치되는 창틀부재(1) 일측벽에 상부에 돌출되는 체결편(21)에 체결볼트(22)를 통해 고정설치되며, 내부에는 스파이럴스프링(24)이 설치되는 권취롤러(23) 및 가이드롤러(25a)(25b), 감속롤러(26), 와이어이탈방지롤러(27)가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상부 일측면에는 인출공(28)이 관통형성되어 마감판(29)으로 마감되는 제1케이스(20)와; 상기 제1케이스(20) 내부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권취롤러(23) 및 가이드롤러(25a)(25b), 감속롤러(26)와 와이어이탈방지롤러(27)에 권취되어 단부가 제1케이스(20) 측면 상부의 인출공(28)으로 노출되며, 단부에 걸림고리(31)가 형성되는 와이어(30)와; 사각형의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창틀부재(1)의 타측 즉, 제1케이스(20)가 설치되는 반대측의 창틀부재(1)에 고정설치되며, 상부면 일측에 수분을 감지하는 수분감지센서(41)가 설치되고, 내부에는 상기 수분감지센서(41)와 연결되어 수분감지센서(41)의 감지에 따라 작동되는 모터(42)와, 그 모터(42)의 축에 축결합되는 편심캠(43)과, 그 편심캠(43) 일측의 상,하단에 돌출되는 축(44)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걸림돌기(11)를 걸림고정하는 걸림편(46)과, 상기 걸림편(46)이 설치되는 축(44)에는 탄지스프링(45)이 축설되며, 창문부재(10)와 인접하는 측면에는 상기 창문부재(10)의 여닫음에 따라 창문부재(10)의 걸림돌기(11)가 입출되는 입출홈(47)이 요입형성되는 제2케이스(40);로 이루어진다.
창문, 자동개폐, 모터, 수분감지센서, 스파이럴스프링,

Description

공동주택용 복도 창문의 자동개폐구조{Automatic open and shut structure of corridor windows for apartm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도 창문의 자동개폐장치가 적용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도 창문의 자동개폐장치가 적용된 상태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건물에 적용된 상태를 보인 실시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창틀부재 10 ; 창문부재
11 ; 걸림돌기 12 ; 체결고리
20 ; 제1케이스 21 ; 체결편
22 ; 체결볼트 23 ; 권취롤러
24 ; 스파이럴스프링 25a, 25b ; 가이드롤러
26 ; 감속롤러 27 ; 와이어이탈방지롤러
28 ; 인출공 29 ; 마감판
30 ; 와이어 31 ; 걸림고리
40 ; 제2케이스 41 ; 수분감지센서
42 ; 모터 43 ; 편심캠
44 ; 축 45 ; 탄지스프링
46 ; 걸림편 47 ; 입출홈
본 발명은 공동주택용 복도 창문의 자동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복도나 계단실에 설치되는 창문에 비가 오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창문을 닫을 수 있도록 하여 우천시 빗물로 인한 실내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열려진 창문을 확인하는 데 따른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복도 창문의 자동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딩 등의 복도나 계단 또는 사무실 등에는 실내 환기 및 채광효과를 얻기 위해 창을 설치하고 있으며, 이런 용도로 사용되는 대부분의 창은 사용의 편리함과 설치의 간편함을 이유로 미닫이창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모든 건물에는 자연채광을 위해 창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창에는 실내의 환기 등을 위해 필요에 따라 개방시킬 수 있는 창문이 함께 설치된다.
창문은 구조에 따라 슬라이딩 개폐되는 미닫이형과, 힌지에 의해 회전 개폐되는 여닫이형 및 암(arm))에 의해 회전개폐되는 암형으로 대별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복도나 계단 또는 사무실 등에 사용되는 종래 복도의 창문에 의하면, 사람이 직접 여닫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나 관리자가 건물의 실내 환기를 위해 문을 열어 놓거나 창문을 사용 후 문을 닫지 않고 퇴근 또 는 외부로 나간 상태에서 바람을 동반한 비가 오거나, 폭우 및 눈보라가 치게 되면 열어진 상태의 창문을 통해 빗물 등이 고스란히 계단이나 복도로 들어와 실내를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주된 목적으로는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복도나 계단실에 설치되는 창문에 비가 오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창문을 닫을 수 있도록 하여 우천시 빗물로 인한 실내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열려진 창문을 확인하는 데 따른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복도 창문의 자동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미닫이 창문에서 설치되며, 내부면 일측의 중앙에는 걸림돌기가 돌출되게 설치되고, 타측 상부에는 체결고리가 돌출형성되는 창문부재와;
상기 창문부재가 설치되는 창틀부재 일측벽에 상부에 돌출되는 체결편에 체결볼트를 통해 고정설치되며, 내부에는 스파이럴스프링이 설치되는 권취롤러 및 가이드롤러, 감속롤러, 와이어이탈방지롤러가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상부 일측면에는 인출공이 관통형성되어 마감판으로 마감되는 제1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 내부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권취롤러 및 가이드롤러, 감속롤러와 와이어이탈방지롤러에 권취되어 단부가 케이스 측면 상부의 인출공으로 노출되며, 단부에 걸림고리가 형성되는 와이어와;
사각형의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창틀부재의 타측 즉, 제1케이스가 설치되는 반대측의 창틀부재에 고정설치되며, 상부면 일측에 수분을 감지하는 수분감지센서가 설치되고, 내부에는 상기 수분감지센서와 연결되어 수분감지센서의 감지에 따라 작동되는 모터와, 그 모터의 축에 축결합되는 편심캠과, 그 편심캠 일측의 상,하단에 돌출되는 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걸림돌기를 걸림고정하는 걸림편과, 상기 걸림편이 설치되는 상부축에는 탄지스프링이 축설되며, 창문부재와 인접하는 측면에는 상기 창문부재의 여닫음에 따라 창문부재의 걸림돌기가 입출되는 입출홈이 요입형성되는 제2케이스;로 이루어진다.
즉,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복도나 계단실에 설치되는 창문에 비가 오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창문을 닫을 수 있도록 하므로서, 우천시 빗물로 인한 실내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열려진 창문을 확인하는 데 따른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일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도 창문의 자동개폐장치가 적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도 창문의 자동개폐장치가 적용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복도 창문 자동개폐장치에 의하면, 미닫이 창문의 창틀부재(1)에 설치되는 창문부재(10)의 내부면 일측 중앙에는 걸림돌기(11)를 돌출되게 설치하고, 그 창문부재(10)의 타측 상부에는 체결고리(12)를 돌출되게 형성한다.
이어, 상기 창문부재(10)가 설치되는 창틀부재(1) 일측벽에는 내부에 스파이럴스프링(24)이 설치되는 권취롤러(23) 및 가이드롤러(25a)(25b), 감속롤러(26), 와이어이탈방지롤러(27)가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상부 일측면에는 인출공(28)이 관통형성되어 마감판(29)으로 마감되는 제1케이스(20)를 상부에 돌출되는 체결편(21)에 체결볼트(22)를 통해 고정설치한다.
이어, 상기 제1케이스(20) 내부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권취롤러(23) 및 가이드롤러(25a)(25b), 감속롤러(26)와 와이어이탈방지롤러(27)에는 와이어(30)를 권취하되, 그 타단부에는 걸림고리(31)가 형성되도록 하여 제1케이스(20) 측면 상부의 인출공(28)으로 노출되도록 하고, 그 걸림고리(31)가 상기 창문부재(10) 타측 상부에 돌출형성되는 체결고리(12)에 걸림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케이스(20)의 내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롤러(25a)(25b)는 복수 개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권취롤러(23)와 인접되게 설치되는 가이드롤러(25a)는 권취롤러(23)에서 와이어(30)의 용이한 인출 및 와이어(30)를 권취롤러(23)에 권취시에 원활한 권취를 위해 이동식으로 형성토록 한다.
한편, 상기 창틀부재(1)의 타측 즉, 제1케이스(20)가 설치되는 반대측의 창틀부재(1)에는 사각형의 박스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케이스를 고정설설치하되, 그 제2케이스는 상부면 일측에 수분을 감지하는 수분감지센서(41)가 설치되고, 내부에는 상기 수분감지센서(41)와 연결되어 수분감지센서(41)의 감지에 따라 작동되는 모터(42)와, 그 모터(42)의 축에 축결합되는 편심캠(43)과, 그 편심캠(43) 일측의 상,하단에 돌출되는 축(44)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걸림돌기(11)를 걸림고정하는 걸림편(46)과, 상기 걸림편(46)이 설치되는 축(44)에는 탄지스프링(45)이 축설되며, 창문부재(10)와 인접하는 측면에는 상기 창문부재(10)의 여닫음에 따라 창문부재(10)의 걸림돌기(11)가 입출되는 입출홈(47)이 요입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복도 창문 자동개폐장치에 의하면, 공동주택의 복도에 설치되는 미닫이 창문에서 창문이 닫혀진 상태에서 환기 및 기타 이유로 창문을 인위적으로 열게 되면, 창문의 열림에 따라 창문부재(10)의 체결고리(12)에 단부의 걸림고리(31)가 걸림고정된 상태의 와이어(30)가 권취롤러(23)에서 풀리면서 가이드롤러(25a)(25b) 및 감속롤러(26), 와이어이탈방지롤러(27)를 경유하여 제1케이스(20) 일측면 상부의 인출공(28)에서 인출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창문을 계속해서 열게 되면 창문부재(10)의 걸림돌기(11)가 제2케이스(40)의 입출홈(47)을 통해 제2케이스(40) 내부로 들어가 제2케이스(40)의 걸림편(46)에 고정된 상태가 되어 창문이 열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권취롤러(23)에서 인출된 와이어(30)는 권취롤러(23)에 설치되는 스파이럴스프링(24)의 복원력에 의해 당기는 상태가 되므로 팽팽한 긴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창문이 열려져 있는 상태에서, 비 또는 눈이 오게 되어 수분감지센서(41)가 이를 감지하게 되면, 그 수분감지센서(41)와 연결된 상태의 모터(42)가 구동하게 된다.
상기 작동으로 모터(42)가 구동하게 되면, 모터(42)의 구동에 따라 모터(42)에 축설된 상태의 편심캠(43)이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편심캠(43)에 의해 회전이 정지된 상태의 걸림편(46)이 축(44)에 축설된 탄지스프링(45)의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걸림편(46)에 의해 걸림고정된 걸림돌기(11)의 고정을 해제하게 된다.
상기 작동으로, 걸림편(46)에 의한 걸림돌기(11)의 고정이 해제되게 되면, 제1케이스(20)의 권취롤러(23)에 권취되어 인출된 상태의 와이어(30)가 권취롤러(23)에 설치되는 스파이럴스프링(24)의 복원력에 의해 인출되는 반대방향, 즉 감기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인출된 상태의 와이어(30)를 감게 되며, 이와 같은 와이어(30)의 감기는 동작에 에 따라 창문부재(10)의 체결고리(12)에 단부의 걸림고리(31)가 걸림고정된 창문부재(10)가 제1케이스(20)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창문이 닫히게 된다.
이와 같이 권취롤러(23)에 와이어(30)가 감기게 될 때, 와이어이탈방지롤러(27)에 의해 와이어(3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권취롤러(23) 일측에 설치되는 이동식 가이드롤러(25a)가 좌,우로 이동되면서 권취롤러(23)에 와이어(30)를 감기도록 하므로서, 권취롤러(23)에 와이어(30)를 원활하게 권취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파이럴스프링(24)의 복원력에 의한 강한 힘에 의해 권취롤러(23)에 감기는 와이어(30)가 엉킬 우려가 발생되는 것으로, 이때에는 제1케이스(20) 내부에 설치되는 감속롤러(26)를 통해 감기는 속도를 감속시켜 권취롤러(23)에 용이하게 권취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이와 같은 창문은 자동개폐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지만, 창문부재(10)의 체결고리(12)에서 와이어(30) 단부의 걸림고리(31)의 걸림고정을 해제한 상태에서 사용하게 되면 수동으로 창문을 개폐하여 사용할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경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복도나 계단실에 설치되는 창문에 비가 오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창문을 닫을 수 있도록 하여 우천시 빗물로 인한 실내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열려진 창문을 확인하는 데 따른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미닫이 창문에서 설치되며, 내부면 일측의 중앙에는 걸림돌기(11)가 돌출되게 설치되고, 타측 상부에는 체결고리(12)가 돌출형성되는 창문부재(10)와;
    상기 창문부재(10)가 설치되는 창틀부재(1) 일측벽에 상부에 돌출되는 체결편(21)에 체결볼트(22)를 통해 고정설치되며, 내부에는 스파이럴스프링(24)이 설치되는 권취롤러(23) 및 가이드롤러(25a)(25b), 감속롤러(26), 와이어이탈방지롤러(27)가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상부 일측면에는 인출공(28)이 관통형성되어 마감판(29)으로 마감되는 제1케이스(20)와;
    상기 제1케이스(20) 내부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권취롤러(23) 및 가이드롤러(25a)(25b), 감속롤러(26)와 와이어이탈방지롤러(27)에 권취되어 단부가 제1케이스(20) 측면 상부의 인출공(28)으로 노출되며, 단부에 걸림고리(31)가 형성되는 와이어(30)와;
    사각형의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창틀부재(1)의 타측 즉, 제1케이스(20)가 설치되는 반대측의 창틀부재(1)에 고정설치되며, 상부면 일측에 수분을 감지하는 수분감지센서(41)가 설치되고, 내부에는 상기 수분감지센서(41)와 연결되어 수분감지센서(41)의 감지에 따라 작동되는 모터(42)와, 그 모터(42)의 축에 축결합되는 편심캠(43)과, 그 편심캠(43) 일측의 상,하단에 돌출되는 축(44)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걸림돌기(11)를 걸림고정하는 걸림편(46)과, 상기 걸림편(46)이 설치되는 축(44)에는 탄지스프링(45)이 축설되며, 창문부재(10)와 인접하는 측면에는 상기 창문부재(10)의 여닫음에 따라 창문부재(10)의 걸림돌기(11)가 입출되는 입출홈(47)이 요입형성되는 제2케이스(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복도 창문의 자동개폐장치.
KR1020060095362A 2006-09-29 2006-09-29 공동주택용 복도 창문의 자동개폐구조 KR100695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5362A KR100695320B1 (ko) 2006-09-29 2006-09-29 공동주택용 복도 창문의 자동개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5362A KR100695320B1 (ko) 2006-09-29 2006-09-29 공동주택용 복도 창문의 자동개폐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5320B1 true KR100695320B1 (ko) 2007-03-14

Family

ID=38103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5362A KR100695320B1 (ko) 2006-09-29 2006-09-29 공동주택용 복도 창문의 자동개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532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933B1 (ko) 2008-05-07 2009-03-20 (주) 대동종합건설 발코니 샤시창의 자동개폐장치
CN103233645A (zh) * 2013-05-09 2013-08-07 康七好 风雨关窗器
CN104420759A (zh) * 2013-09-03 2015-03-18 汪洋 电磁发条式自动关窗器
CN104675266A (zh) * 2013-11-30 2015-06-03 武汉蜀泰科技有限公司 智能开关自动窗
KR101556361B1 (ko) 2014-08-29 2015-10-01 박용훈 문 개폐장치
KR101717483B1 (ko) 2016-05-24 2017-03-17 윤성운 미닫이창 자동 닫힘 장치
CN110242144A (zh) * 2019-07-15 2019-09-17 东莞市图什日用品有限公司 一种雨天门窗安全保护及提醒装置
KR102158553B1 (ko) 2020-05-08 2020-09-22 주식회사 지을엔드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폴딩형 복도창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5649U (ko) * 1989-08-18 1991-04-08
JPH04350282A (ja) * 1991-05-28 1992-12-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自動引き戸装置
KR200175433Y1 (ko) 1999-10-08 2000-03-15 홍준표 자동문 및 차단기 이송회동장치
KR200324668Y1 (ko) 2003-06-11 2003-08-25 주식회사 윈도우컴 슬라이딩 도어의 자동화 개폐장치
KR20060021498A (ko) * 2004-09-03 2006-03-08 (주)아크시스템 창문 개폐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5649U (ko) * 1989-08-18 1991-04-08
JPH04350282A (ja) * 1991-05-28 1992-12-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自動引き戸装置
KR200175433Y1 (ko) 1999-10-08 2000-03-15 홍준표 자동문 및 차단기 이송회동장치
KR200324668Y1 (ko) 2003-06-11 2003-08-25 주식회사 윈도우컴 슬라이딩 도어의 자동화 개폐장치
KR20060021498A (ko) * 2004-09-03 2006-03-08 (주)아크시스템 창문 개폐 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933B1 (ko) 2008-05-07 2009-03-20 (주) 대동종합건설 발코니 샤시창의 자동개폐장치
CN103233645A (zh) * 2013-05-09 2013-08-07 康七好 风雨关窗器
CN103233645B (zh) * 2013-05-09 2015-07-08 康七好 风雨关窗器
CN104420759A (zh) * 2013-09-03 2015-03-18 汪洋 电磁发条式自动关窗器
CN104420759B (zh) * 2013-09-03 2017-03-22 汪洋 电磁发条式自动关窗器
CN104675266A (zh) * 2013-11-30 2015-06-03 武汉蜀泰科技有限公司 智能开关自动窗
KR101556361B1 (ko) 2014-08-29 2015-10-01 박용훈 문 개폐장치
KR101717483B1 (ko) 2016-05-24 2017-03-17 윤성운 미닫이창 자동 닫힘 장치
CN110242144A (zh) * 2019-07-15 2019-09-17 东莞市图什日用品有限公司 一种雨天门窗安全保护及提醒装置
CN110242144B (zh) * 2019-07-15 2020-08-18 绍兴兴裕门窗有限公司 一种雨天门窗安全保护及提醒装置
KR102158553B1 (ko) 2020-05-08 2020-09-22 주식회사 지을엔드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폴딩형 복도창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5320B1 (ko) 공동주택용 복도 창문의 자동개폐구조
KR102158553B1 (ko) 공동주택용 폴딩형 복도창문
EP3959408A1 (en) External screening arrangement with side covers
KR101517098B1 (ko) 공동주택 창호용 방범 방충 시설물
KR101028141B1 (ko) 공동주택용 복도 창문의 자동개폐장치
KR100810156B1 (ko) 슬라이딩 도어 잠금장치
KR100549176B1 (ko) 공동주택용 발코니 빗물막이구조
JP3400695B2 (ja) ロールスクリーン装置
JP2601691Y2 (ja) スラットカーテンの出入口構造
EP3527774A1 (en) Easy-mounting screening device and related installation method
JPH0137095Y2 (ko)
KR200307832Y1 (ko) 안전발코니 겸용 창호시스템
JPH0131749Y2 (ko)
KR200463601Y1 (ko) 자동 미닫이문 장치
JP2551913B2 (ja) 巻込み式スクリーン
JP5112653B2 (ja) 上吊式引き戸サッシにおける網戸支持構造
JP2551159Y2 (ja) 出窓設備
JPH0131750Y2 (ko)
JP2601692Y2 (ja) スラットカーテンの出入口構造
JP4993447B2 (ja) 開閉体装置
JPH0715998Y2 (ja) シャッタ仮止め用ストッパ
JP6961365B2 (ja) シャッター装置
AU2014268168B2 (en) An Apparatus for Securing a Roller Door, Shutter or Awning
JP4382600B2 (ja) 開閉装置
JPS63411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