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4852B1 - 스틸 그레이팅 - Google Patents

스틸 그레이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4852B1
KR100694852B1 KR1020060020812A KR20060020812A KR100694852B1 KR 100694852 B1 KR100694852 B1 KR 100694852B1 KR 1020060020812 A KR1020060020812 A KR 1020060020812A KR 20060020812 A KR20060020812 A KR 20060020812A KR 100694852 B1 KR100694852 B1 KR 100694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upling
fastening
steel grating
arran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0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길
Original Assignee
김동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길 filed Critical 김동길
Priority to KR1020060020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48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4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4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틸 그레이팅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프레임과, 이 프레임의 양단부에 각각 기어형상으로 형성된 결합부와, 연속된 결합부 상호간에 이격되어 위치되고 프레임 상호간에 직선및 굴곡 등의 배치위치에 따라 배치각이 조정되면서 결합되도록 이루어진 체결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프레임에 형성되면서 기어형상을 갖는 결합부에 의해 최대로 이격되는 간격이 반대측의 기어맞물림에 의해 보상됨으로써 종래의 최대 이격거리보다 현저히 저감되고, 이로써 보행자의 발, 유모차 및 휠체어등의 보행 편의시설의 바퀴와 롤러블레이드등의 운동기구의 바퀴등이 빠지지 않으며, 편리한 체결부의 체결구조에 의해 교체 및 해체를 위한 해당부위만의 스틸 그레이팅의 해체 및 교체작업이 가능하도록 된 것이다.
스틸 그레이팅, 그레이팅, 배수로, 배수로 덮개

Description

스틸 그레이팅 {Steel-gratting}
도 1은 종래의 스틸 그레이팅이 장착된 상태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평면도,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다른 스틸 그레이팅의 일부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평면도 및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틸 그레이팅이 장착된 상태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평면도,
도 4a 및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직선 및 곡선프레임이 도시된 평면도,
도 5a 내지 도 5d는 도 3에 도시된 결합부 및 그 실시 예가 도시된 사시도,
도 6a 내지 도 7b는 도 3에 도시된 체결부 및 그 실시 예가 도시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0...스틸 그레이팅 110...프레임,
112...직선프레임 114...곡선프레임,
120...결합부 130...체결부.
본 발명은 스틸 그레이팅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곡선 및 직선의 배치위치에 회전이 가능하면서 스틸 그레이팅 간의 간격이 최소화되도록 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수로의 덮개, 즉 스틸 그레이팅은 배수로의 상면에 설치되어 쓰레기 및 오물 등을 걸러내어 배수로 내의 축적을 방지하면서 우수 및 오폐수 등의 유동이 원활하도록 하는데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스틸 그레이팅(10)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형이 대략 직사각형상이면서 다수의 직선바가 상호 교차되어 다수의 배수홀이 형성된 스틸 그레이팅(10)이 제작되어 배치되었다.
이러한 상기 스틸 그레이팅(10)은 배치위치가 곡선구간인 경우 스틸 그레이팅(10)의 배치각에 따라 도 1에서와 같이 각각의 스틸 그레이팅(10)간의 간격이 벌어지는 현상이 발생되어 보행자의 발 및 보행보조도구의 바퀴 등이 빠지기도 하였고,
또한, 현장의 곡선구간의 곡률에 맞춰 별도의 곡선용 스틸그레이팅(미도시)이 제작되기도 하였으나 곡률이 다른 타장소에서의 활용방도가 전무하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도 2a 및 도 2b의 스틸 그레이팅(20)이 고안되었고, 이 스틸 그레이팅(20)은 대략 직사각형의 본체(22)와, 이 본체(22)들이 연속적으로 배치되면서 체결부(24)에 의해 체결되도록 이루어졌다.
상기 체결부(24)는 본체(22)의 하부에 위치되어 고착되는 체결부재(24a)와, 이 체결부재(24a)의 일단부에 형성된 체결공(24b)이 형성되었다.
이 체결부(24)의 체결구조는 상기 본체(22)들의 연속적으로 배치되면서 인접되는 체결부재(24)의 체결공(24b)이 동심을 이루도록 위치되면 이 체결공(24b)들을 관통하여 볼트(26) 및 너트(28)의 체결로 이루어졌다.
이렇게 다수의 본체(22)가 체결부(24) 및 볼트(26)와 너트(28)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이루어진 스틸 그레이팅(20)은 도 1의 스틸 그레이팅(10)의 곡선구간에서의 문제를 다소 해소하게 되었다.
그러나, 상기 스틸 그레이팅(20)은 설치 후 본체(22)간의 최대 이격거리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짧은 너비를 갖는 많은 수의 본체(22)가 제작되어 사용되어야 함으로써 본체(22)들의 체결공정수 및 작업시간이 증가하였고, 상기 체결부(24)의 볼팅체결로 인해 그 체결 및 해제를 위해서는 일단부에서부터 하나씩 진행되어야 하였으며, 또한 본체(22)간의 짧은 이격거리로 인해 배수로의 청소와 중간 부위의 본체(22) 및 체결부(24)의 결함에 의한 해당부위만의 해체 및 교체작업이 불가하여 작업에 불편함이 가중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직선 및 곡선구간에서의 스틸 그레이팅이 마련되고, 이 스틸 그레이팅의 양단부에 기어형상의 결합부와, 이 결합부로부터 돌출되어 이루어진 체결부를 갖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스틸 그레이팅이 곡선구간에서는 곡률에 따라 체결부를 축으로 배치각이 조정 되면서 스틸 그레이팅 간의 최대 이격 거리가 결합부에 의해 최소화되고, 편리한 체결부의 체결구조에 의해 교체 및 해체를 위한 해당부위만의 스틸 그레이팅의 해체 및 교체작업이 가능하도록 된 스틸 그레이팅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틸 그레이팅은,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프레임;과, 이 프레임의 양단부에 각각 산과 골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된 결합부;와, 상기 연속된 결합부 상호간에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하고, 프레임의 직선및 굴곡 등의 배치위치에 따라 배치각이 조정되면서 연속된 프레임이 결합되도록 이루어진 체결부; 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은 직선 및 곡선 등의 배치 위치에 따라 직선프레임과, 이 직선프레임보다 너비가 작은 곡선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결합부는 기어형상이고, 연속된 프레임에 의해 인접되는 결합부 상호간에 기어맞춤이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 양단부에 형성된 산과 골이 상호 어긋나게 형성되며,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는 기어형상의 결합편이 별도 제작되어 프레임에 고착되어 이루어지기도 하고, 대략 삼각형상의 별도 제작된 결합편들이 일정간격 이격되면서 양단부가 프레임에 고착되어 이루어지기도 하며, 대략 삼각형상을 갖는 일측부와 프레이에 고착되는 타측부로 이루어진 결합편이 별도 제작되어 일정간격 이격되면서 프레임에 고착되기도 한다.
한편, 상기 곡선프레임의 연속된 곡선 배치위치에서 곡률에 따른 배치각 조정을 위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인접된 체결부의 결합은, 결합부에서 돌출된 지주의 단부에 형성되는 암수체결부재의 상호 결합으로 체결되어 프레임의 회전축이 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암수체결부재의 체결은 암체결부재에 원형의 체결홀이 형성되고, 이 체결홀에 수체결부재가 일부 및 전체가 수용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곡선프레임의 곡선 배치위치에서 곡률에 따른 배치각 조정을 위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인접된 체결부의 결합은, 상기 결합부에서 돌출된 지주의 단부에 원형의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이 연속되어 체결홀들이 동심을 이루어 배치되면 이 체결홀들을 체결부재가 관통하여 나사결합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직선프레임의 연속된 배치로 인해 인접된 체결부의 결합은, 결합부에서 돌출된 지주들의 단부에 다각형의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이 연속되면서 체결홀들이 동심을 이루어 배치되면 고정부재가 끼워맞춤결합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연속된 배치로 인해 인접된 결합부의 결합은, 상기 지주 각각의 단부에 결합홈 및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이 결합홈 및 결합돌기가 상호 수평끼워맞춤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틸 그레이팅을 참조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틸 그레이팅이 장착된 상태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직선 및 곡선프레임이 도시된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틸 그레이팅(100)은 도 3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 및 곡선구간에 프레임(110)이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이 프레임(110)은 너비에 따라 너비가 넓은 직선프레임(112)과 너비가 직선프레임(102)보다 다소 작은 곡선프레임(114)으로 구분된다.
상기 프레임(110)의 배치방향측 양단부에 기어형상의 결합부(120)가 형성되고, 이 결합부(120)에서 배치방향으로 돌출되는 체결부(130)가 형성된다. 물론, 프레임(110)에는 우수의 배출을 위한 배수공(110a)이 다수 형성됨은 당연하다.
상기 결합부(120)의 좌ㆍ우측의 형상은 연속 배치된 프레임(110)에 의해 인접된 결합부(120)가 상호 기어맞물림이 가능하도록 산과 골이 상호 어긋나게 형성된다.
이 결합부(120)의 기어형상은 프레임(11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도 5a에서와 같이 산과 골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제1결합편(122)이 별도 제작되어 프레임(110)의 측면에 고착될 수 있다.
또한, 도 5b에서와 같이 대략 삼각형상의 제2결합편(124)이 별도 제작되어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프레임(110)의 측면에 고착됨으로써 기어형상을 이룰 수 있고, 도 5c에서와 같이 대략 삼각형상의 일측부와 프레임(110)의 측면에 고착되는 타측부로 구성된 제3결합편(126)이 별도 제작되어 고착됨으로써 기어형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제1,2결합편(122,124)은 그 제작방식에 따라 도면에서의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도록 제작될 수 있고, 이 개방된 상ㆍ하면을 폐쇄하기 위해 도 5d에서와 같이 커버(128)가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도 3에서 곡선프레임(114)인 제1곡선프레임(114a)과 제2곡선프레임(114b)이 곡선구간에 배치되면서 곡선구간의 곡률에 따라 그 배치각을 달리하게 배치되고, 제1곡선프레임(114a)과 제2곡선프레임(114b)의 체결부(130)가 상호 체결된다.
이때, 배치각의 차이에 의해 도면에서와 같이, 제1곡선프레임(114a)과 제2곡선프레임(114b)의 결합부(120) 하부가 맞물리게 되면서 결합부(120)의 상부가 벌어지게 되고, 이때의 곡률에 의한 제1곡선프레임(114a)과 제2곡선프레임(114b)의 상부측 최대 간격이 하부측 결합부(120)가 상호 접촉되는 맞물림에 의해 최소화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제1,2곡선프레임(114a,114b)이 체결부(130)에 결합된 다음 배치되면서 체결부(130)의 체결위치를 회전축으로 하여 배치각이 조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결부(130)는 도 6a 내지 도 7C에서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도 6a 내지 도 6c는 곡선프레임(114)에 형성된 체결부(130)의 다양한 예가 도시된 것이고, 도 7a 내지 도 7c는 직선프레임(112)에 형성된 체결부(130)의 다양한 예가 도시된 것이다.
도면상에서는 연속배치된 프레임(110)에 의해 인접되어 위치되는 체결부(130) 상호간의 체결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되었으며, 이 도면을 토대로 체결부(130)의 체결을 설명한다.
먼저 도 6a에서의 체결부(130a)는 상기 결합부(120)의 골에서 프레임(110)의 배치방향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1지주(131)들과, 이 제1지주(131)들의 단부에 형성된 제1암ㆍ수체결부재(131a,131b)가 형성된다.
상기 제1암체결부재(131a)는 대략 중공의 원기둥형상이면서 상면 및 일측부위가 개방된 형상이고, 상기 제1수체결부재(131b)는 제1암체결부재(131a)에 삽입되어 수용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1암체결부재(131a)의 개방된 일측부위는 프레임(110)의 배치각에 따른 제1수체결부재(131b)의 회전에 여유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도 6b에서의 체결부(130b)는 상기 결합부(120)의 골에서 프레임(110)의 배치방향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2지주(132)들과, 이 제2지주(132)들의 단부에 형성된 제2암ㆍ수체결부재(132a,132b)가 형성된다.
상기 제2암체결부재(132a)는 대략 중공의 원기둥형상이면서 상ㆍ하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상기 제1암체결부재(131a)의 높이보다는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2수체결부재(132b)는 제2암체결부재(132a)에 하향 돌출된 일부위가 삽입되어 수용되도록 이루어지며, 이 제2암ㆍ수체결부재(132a,132b)의 체결 역시 프레임(110)의 배치각에 따른 회전 여유가 제공된다.
또한, 도 6C에서의 체결부(130c)는 상기 결합부(120)의 골에서 프레임(110) 의 배치방향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3지주(133)들과, 이 제3지주(133)들의 단부에 형성된 제3체결홀(133a)들과, 상기 프레임(110)이 배치되면서 동심을 이루는 제3체결홀(133a)들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체결부재(133b)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3체결홀(133a)들은 도면에서와 같이 하측 또는 전부의 제3체결홀(133a)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이 나사산을 통해 체결부재(133b)가 동심을 이루는 제3체결홀(133a)의 단일개 또는 모두와 볼팅체결되며, 체결력을 조력하기 위한 워셔(133c)가 개재될 수 있다.
한편, 도 7a에서의 체결부(130d)는 상기 결합부(120)의 골에서 프레임(110)의 배치방향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4지주(134)들과, 이 제4지주(134)들의 단부에 각각 결합홈(134a)과 결합돌기(134b)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134a)과 결합돌기(134b)는 연속된 직선프레임(112)의 배치각이 일정하므로 프레임(110)의 회전을 방지하면서 정렬하기 위해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상호 수평끼워맞춤으로 결합된다.
또한, 도 7b에서의 체결부(130e)는 상기 결합부(120)의 골에서 프레임(110)의 배치방향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5지주(135)들과, 이 제5지주(135)들의 단부에 형성된 제5체결홀(135a)들과, 상기 프레임(110)이 배치되면서 동심을 이루는 제5체결홀(135a)들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고정부재(135b)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5체결홀(135a)들은 연속된 직선프레임(112)의 회전을 방지하면서 정렬하기 위해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연속된 직선프레임(112)에 의해 인접된 제5체결홀(135a)들이 동심을 이루어 위치되면 고정부재(135b)의 다각형상의 일부위가 제5체결홀(135a)을 관통하여 고정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틸 그레이팅의 결합순서를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곡선구간에는 곡선프레임(114)이, 직선구간에는 직선프레임(112)이 안착되면서 체결부(130)가 끼워맞춤 및 너트가 부재하는 일방향 볼팅체결된다.
이때, 곡선구간에서의 배치각에 따라 체결부(130)의 체결위치를 회전축으로 하여 소정각도 회전되면서 곡선프레임(114) 간의 일단부는 결합부(120)의 기어맞춤에 의해 접촉 및 근접되어 최소 간격을 이루고, 곡선프레임(114) 간의 타단부는 이격되어 최대간격을 이루게 된다.
상기 결합부(120)의 기어맞춤에 의한 간격조정으로 곡선프레임(114) 간의 최대 간격은 종래의 최대간격보다 현저히 작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직선 및 곡선프레임(112,114)은 연속적으로 배치된 이 후에도 개별적인 해체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은, 프레임에 형성되면서 기어형상을 갖는 결합부에 의해 최대로 이격되는 간격이 반대측의 기어맞물림에 의해 보상됨으로써 종래의 최대 이격거리보다 현저히 저감되고, 이로써 보행자의 발, 유모차 및 휠체어등의 보행 편의시설의 바퀴와 롤러블레이드등의 운동기구의 바퀴등이 빠지지 않으며, 편리한 체결부의 체결구조에 의해 교체 및 해체를 위한 해당부위만의 스틸 그레이 팅의 해체 및 교체작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배치방향측 양단부에 각각 산과 골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된 결합부;와,
    상기 연속된 결합부 상호간에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하고, 프레임의 상호간에 직선 및 굴곡 등의 배치구간에 따라 배치각이 조정되면서 결합되도록 이루어진 체결부;
    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스틸 그레이팅.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직선 및 곡선 등의 배치구간에 따라 직선프레임과, 이 직선프레임보다 너비가 작은 곡선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 그레이팅.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기어형상이고, 연속된 프레임에 의해 인접되는 결합부 상호간에 기어맞춤이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 배치방향측 양단부에 형성된 산과 골이 상 호 어긋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 그레이팅.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기어형상이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 그레이팅.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기어형상의 결합편이 별도 제작되어 프레임에 고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 그레이팅.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대략 삼각형상의 결합편이 별도 제작되고, 이 결합편들이 일정간격 이격되면서 양단부가 프레임에 고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 그레이팅.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대략 삼각형상을 갖는 일측부와 프레임에 고착되는 타측부로 이루어진 결합편이 별도 제작되고, 상기 결합편들이 일정간격 이격되면서 프레임에 고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 그레이팅.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프레임의 연속된 곡선 배치구간에서 곡률에 따른 배치각 조정을 위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인접된 체결부의 결합은, 결합부에서 돌출된 지주의 단부에 형성되는 암수체결부재의 상호 결합으로 체결되어 프레임의 회전축이 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 그레이팅.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암수체결부재의 체결은 암체결부재에 원형의 체결홀이 형성되고, 이 체결홀에 수체결부재가 일부 및 전체가 수용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 그레이팅.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프레임의 곡선 배치구간에서 곡률에 따른 배치각 조정을 위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인접된 체결부의 결합은, 상기 결합부에서 돌출된 지주의 단부에 원형의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이 연속되어 체결홀들이 동심을 이루어 배치되면 이 체결홀들을 체결부재가 관통하여 고정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 그레이팅.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의 단일개 및 다수와 체결부재가 나사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 그레이팅.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프레임의 연속된 배치로 인해 인접된 체결부의 결합은, 결합부에서 돌출된 지주들의 단부에 다각형의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이 연속되면서 체결홀들이 동심을 이루어 배치되면 고정부재가 끼워맞춤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 그레이팅.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프레임의 연속된 배치로 인해 인접된 결합부의 결합은, 상기 지주 각각의 단부에 결합홈 및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이 결합홈 및 결합돌기가 상호 수 평끼워맞춤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 그레이팅.
KR1020060020812A 2006-03-06 2006-03-06 스틸 그레이팅 KR100694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0812A KR100694852B1 (ko) 2006-03-06 2006-03-06 스틸 그레이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0812A KR100694852B1 (ko) 2006-03-06 2006-03-06 스틸 그레이팅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5940U Division KR200416475Y1 (ko) 2006-03-06 2006-03-06 스틸 그레이팅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4852B1 true KR100694852B1 (ko) 2007-03-13

Family

ID=38103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0812A KR100694852B1 (ko) 2006-03-06 2006-03-06 스틸 그레이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485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508B1 (ko) 2010-01-07 2010-08-10 김형중 트랙형 곡선 그레이팅
KR101391143B1 (ko) * 2012-06-19 2014-05-07 주식회사 우진 흡음용 그레이팅
KR101405896B1 (ko) 2014-02-12 2014-07-01 (주)신미래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배수로 덮개
KR101516330B1 (ko) * 2014-10-15 2015-05-06 (주)유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배수로 덮개
CN105604172A (zh) * 2016-02-18 2016-05-25 占良辉 一种防物件掉落的下水道盖
CN105672458A (zh) * 2016-02-18 2016-06-15 占良辉 一种具有防漏结构的下水道盖
KR101668751B1 (ko) * 2016-06-03 2016-10-24 (주)휴먼아키피아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배수로 덮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5787U (ko) 1986-10-14 1988-04-30
JPH01137387U (ko) * 1988-03-14 1989-09-20
KR200342685Y1 (ko) 2003-10-20 2004-02-19 김성찬 도로 횡단 및 지하램프용 배수로 트랜지 뚜껑
KR20050102607A (ko) * 2005-10-05 2005-10-26 박영주 트렌치 배수구 덮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5787U (ko) 1986-10-14 1988-04-30
JPH01137387U (ko) * 1988-03-14 1989-09-20
KR200342685Y1 (ko) 2003-10-20 2004-02-19 김성찬 도로 횡단 및 지하램프용 배수로 트랜지 뚜껑
KR20050102607A (ko) * 2005-10-05 2005-10-26 박영주 트렌치 배수구 덮개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508B1 (ko) 2010-01-07 2010-08-10 김형중 트랙형 곡선 그레이팅
KR101391143B1 (ko) * 2012-06-19 2014-05-07 주식회사 우진 흡음용 그레이팅
KR101405896B1 (ko) 2014-02-12 2014-07-01 (주)신미래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배수로 덮개
KR101516330B1 (ko) * 2014-10-15 2015-05-06 (주)유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배수로 덮개
CN105604172A (zh) * 2016-02-18 2016-05-25 占良辉 一种防物件掉落的下水道盖
CN105672458A (zh) * 2016-02-18 2016-06-15 占良辉 一种具有防漏结构的下水道盖
CN105604172B (zh) * 2016-02-18 2018-12-11 徐州杉达瑞建材有限公司 一种防物件掉落的下水道盖
CN109281384A (zh) * 2016-02-18 2019-01-29 合肥智慧龙图腾知识产权股份有限公司 一种防物件掉落的下水道盖
CN105672458B (zh) * 2016-02-18 2019-04-19 新昌县羽林街道伟玉机械厂 一种具有防漏结构的下水道盖
KR101668751B1 (ko) * 2016-06-03 2016-10-24 (주)휴먼아키피아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배수로 덮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4852B1 (ko) 스틸 그레이팅
DE112007001924B4 (de) Einfach zu demontierende Fahrtreppen-Außenabdeckung
KR101764369B1 (ko) 그레이팅 고정 장치
KR200416475Y1 (ko) 스틸 그레이팅
WO2015010989A1 (de) Ablaufeinrichtung
EP1980688B1 (en) Self-supporting multiple part winged fence post
KR102201476B1 (ko) 건축물용 배수로 덮개
KR101770155B1 (ko) 현장 조립형 배수 그레이팅
KR100893400B1 (ko) 오수ㆍ분뇨 및 축산폐수의 협잡물 처리장치
DE202011106659U1 (de) Paneele mit Kupplungselementen
DE19502705C2 (de) Traggestell für eine Badewanne oder Duschwanne
KR200322645Y1 (ko) 압연 강재 그레이팅
DE3435161C2 (ko)
KR100974508B1 (ko) 트랙형 곡선 그레이팅
KR101108067B1 (ko) 체인과 이를 이용한 컨베이어 스크린장치
DE60224115T2 (de) Entfernbare modulare Brüstung
KR20220041996A (ko) 트랙형 곡선 그레이팅
AT513684A2 (de) Beckenkonstruktion für eine Fischwanderhilfe in Kombination mit einem Wasserwirbelkraftwerk
KR200281572Y1 (ko) 스테인레스 스틸 그레이팅
KR20210055456A (ko) 그레이팅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415893B1 (ko) 간격유지기능을 갖는 계단식 여과기용 고정스크린 및 이를 포함하는 계단식 여과기
AT9852U1 (de) Bausatz für eine tribüne
DE202007012853U1 (de) Präsentationseinrichtung, insbesondere für Brillen
KR200371661Y1 (ko) 유지관리가 용이한 조립식 모듈 힌지식 핑거 조인트 장치
KR20070059342A (ko) 중하중용 배수로 덮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