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6330B1 - 건축용 배수로 덮개 - Google Patents

건축용 배수로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6330B1
KR101516330B1 KR1020140138911A KR20140138911A KR101516330B1 KR 101516330 B1 KR101516330 B1 KR 101516330B1 KR 1020140138911 A KR1020140138911 A KR 1020140138911A KR 20140138911 A KR20140138911 A KR 20140138911A KR 101516330 B1 KR101516330 B1 KR 101516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grill
sector
drainage
side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8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환성
Original Assignee
(주)유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유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40138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63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6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6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채꼴 모양의 섹터그릴을 이용 건축물에 설치된 배수로의 직선구간 또는 곡선구간 모두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배수로 덮개에 관한 것으로, 좌우로 대칭되게 소정각도(A)를 이루는 측판(32)(34)의 전후방측 단부를 길이가 다른 뒷판(33)과 앞판(35)의 좌우측 단부에 일체로 결합하여 섹터그릴(30)을 형성하고, 상하방향으로 끼워져서 서로 맞물리는 암수의 수직리브(36)와 수직홈(38)을 측판(32)(34)에 형성하며, 티볼트(40)에 형성된 티형머리부(42)를 삽입하기 위한 헤드관통장공(50)(60)을 측판(32)(34)의 중앙에 형성하고, 티형머리부(42)가 걸리는 헤드걸림턱(52)(54)을 티형머리부(42)가 위치된 헤드관통장공(50)의 단부 상하부에 형성하며, 티볼트(40)와 결합되는 고정너트(70)에 형성된 원형회전부(72)를 삽입하기 위한 반원형의 회전안내턱(62)(64)을 고정너트(70)가 위치된 헤드관통장공(60)의 단부 상하부에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용 배수로 덮개{Construction drainage cover}
본 발명은 보행자나 차량이 배수로에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빗물이나 세척수 등을 배수하는데 사용되는 건축용 배수로 덮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에 설치된 배수로의 직선구간과 곡선구간에 모두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배수로 덮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수로 덮개는 건축물의 배수로에 설치되어 우천시 빗물을 배수하거나 건축물 세척시 사용한 세척수를 배수하게 되며, 배수로를 횡단하는 보행자나 차량이 배수로에 빠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건축용 배수로 덮개는 첨부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로(11) 상단 모서리부분에 설치된 "L"자 모양의 단면형태를 갖는 앵글(12a)(12b)에 얹히는 사각틀 형태의 테두리(13)에 여러 개의 베어링바(14)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었으며, 베어링바(14)와 직각을 이루는 환봉형태의 보강바(15)가 베어링바(14)의 상단에 용접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일반적인 배수로덮개(10)를 첨부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계석(16)을 따라 곡선으로 설치된 배수로(11)의 곡선구간에 설치하는 경우 배수로덮개(10)를 부호 "17"과 같이 불규칙하게 절단하여 설치하고 있으나 절단부 위가 날카로워 위험할 뿐만 아니라 취약한 절단배수로덮개(17)에 높은 하중이 작용되는 경우 쉽게 변형되면서 배수로(11)에 빠질 위험이 있었다.
한편, 배수로(11)의 곡선구간에 따라 배수로덮개를 곡선형으로 용접하여 제작하는 경우도 있으나 한번 곡선용으로 제작된 배수로덮개는 직선구간에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KR 10-1405896 B1 KR 10-1124407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배수로의 직선구간 또는 곡선구간 양쪽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건축용 배수로 덮개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좌우로 대칭되게 소정각도를 이루는 측판의 전후방측 단부를 길이가 다른 뒷판과 앞판의 좌우측 단부에 일체로 결합하여 섹터그릴을 형성하고, 상하방향으로 끼워져서 서로 맞물리는 암수의 수직리브와 수직홈을 측판에 형성하며, 티볼트에 형성된 티형머리부를 삽입하기 위한 헤드관통장공을 측판의 중앙에 형성하고, 티형머리부가 걸리는 헤드걸림턱을 티형머리부가 위치된 헤드관통장공의 단부 상하부에 형성하며, 티볼트와 결합되는 고정너트에 형성된 원형회전부를 삽입하기 위한 반원형의 회전안내턱을 고정너트가 위치된 헤드관통장공의 단부 상하부에 형성하여 건축용 배수로 덮개가 제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섹터그릴을 한 번씩 반전시켜 가며 조립하는 것과 부채꼴모양으로 조립하는 것에 따라 직선형배수로덮개와 곡선형배수로덮개로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배수로의 직선구간과 곡선구간 모두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티볼트에 형성된 티형머리부를 헤드걸림턱에 끼운 상태에서 티볼트에 고정너트를 결합하여 회전시키게 되면, 티볼트가 헛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작업을 한층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고정너트에 형성된 원형회전부가 헤드관통장공에 형성된 회전안내턱에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너트를 회전시킬 때 고정너트와 티볼트가 중심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측판에 작용하는 수직하중을 헤드걸림턱과 회전안내턱에 의해 티볼트와 고정너트에 각각 전달하여 서로 공유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섹터그릴을 더욱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배수로 덮개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일반적인 배수로 덮개를 불규칙하게 절단해서 배수로의 곡선구간에 설치한 것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배수로 덮개를 직선형으로 조립한 것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배수로 덮개를 직선형으로 조립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와 같은 직선형배수로덮개를 배수로의 직선구간에 설치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배수로 덮개를 곡선형으로 조립한 것을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배수로 덮개를 곡선형으로 조립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6에서와 같은 곡선형배수로덮개를 배수로의 곡선구간에 설치한 것을 보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티볼트와 고정너트에 의해 겹친 측판이 조립되는 것을 보인 부분단면 분해사시도
도 10은 도 9를 반대편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티볼트와 고정너트에 의한 섹터그릴의 조립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12는 도 11을 반대편에서 본 분리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측판에 티볼트와 고정너트를 조립하는 것을 보인 분리된 상태의 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상태로부터 티볼트와 고정너트에 의해 측판이 체결된 것을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대칭되게 소정각도(A)를 이루는 측판(32)(34)의 전후방측 단부를 길이가 다른 뒷판(33)과 앞판(35)의 좌우측 단부에 일체로 결합하여 섹터그릴(30)을 형성하고, 상하방향으로 끼워져서 서로 맞물리는 암수의 수직리브(36)와 수직홈(38)을 측판(32)(34)에 형성한다.
섹터그릴(30)은 전체적으로 부채꼴 모양의 틀을 이루도록 형성하고, 수직리브(36)와 수직홈(38)은 결합시 좌우방향으로 분리되지 못하도록 예컨대, 열쇠구멍 형태의 평단면모양이 상하방향으로 연속하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적어도 전후방에 한 개씩 총 두개를 형성하여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티볼트(40)에 형성된 티형머리부(42)를 삽입하기 위한 헤드관통장공(50)(60)을 측판(32)(34)의 중앙에 형성하고, 티형머리부(42)가 걸리는 헤드걸림턱(52)(54)을 티형머리부(42)가 위치된 헤드관통장공(50)의 단부 상하부에 형성하며, 티볼트(40)와 결합되는 고정너트(70)에 형성된 원형회전부(72)를 삽입하기 위한 반원형의 회전안내턱(62)(64)을 고정너트(70)가 위치된 헤드관통장공(60)의 단부 상하부에 형성한다.
헤드관통장공(50)(60)과 헤드걸림턱(52)(54)은 예를 들어서, 티형머리부(42)와 동일한 단면모양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헤드걸림턱(52)(54)을 헤드관통장공(50)(60)과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하여 헤드관통장공(50)(60)을 통과한 티형머리부(42)를 헤드걸림턱(52)(54)에 끼울 때 티볼트(40)를 90도 회전시켜서 조립하도록 한다.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섹터그릴(30)을 직선형으로 조립하면, 배수로(20)의 직선구간에 설치 가능한 직선형배수로덮개(80)를 공장이나 현장에서 조립할 수 있게 되며, 첨부도면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섹터그릴(30)을 곡선형으로 조립하면, 배수로(20)의 곡선구간에 설치 가능한 곡선형배수로덮개(90)를 공장이나 현장에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한쪽 면에 직각측벽(31)이 형성된 별도의 단부그릴(100)을 직선형배수로덮개(80) 또는 곡선형배수로덮개(90)의 좌우측 끝부분에 설치하면, 수직리브(36)와 수직홈(38)이 직선형배수로덮개(80) 또는 곡선형배수로덮개(90)의 외곽면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단부그릴(100)은 섹터그릴(30)의 중앙을 좌우로 분할하여 뒷판(33) 및 앞판(35)과 직각을 이루는 직각측벽(31)을 분할된 부분에 설치한 형태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2는 보도를 나타낸 것이며, 24는 차도를 나타낸 것이고, 26은 경계석을 나타낸 것이며, 28은 앵글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수로 덮개를 조립하는 과정은 섹터그릴(30)의 측판(32)(34)에 형성된 수직리브(36)가 수직홈(38)에 끼워지도록 수직리브(36)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수직홈(38)에 끼우게 되면, 섹터그릴(30)을 좌우방향으로 연속해서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섹터그릴(30)을 좌우방향으로 연결하면서 섹터그릴(30)에 형성된 뒷판(33)과 앞판(35)이 번갈아 바뀌도록 섹터그릴(30)의 상하를 한 번씩 반전시켜가면서 조립하게 되면, 배수로(20)의 직선구간에 설치할 수 있는 직선형배수로덮개(80)를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또, 첨부도면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섹터그릴(30)을 좌우방향으로 연결하면서 섹터그릴(30)에 형성된 뒷판(33)은 뒷판(33) 끼리 후면에 위치되고, 앞판(35)은 앞판(35)끼리 앞부분에 위치되도록 섹터그릴(30)을 부채꼴모양으로 조립하게 되면, 배수로(20)의 곡선구간에 설치할 수 있는 곡선형배수로덮개(90)를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조립된 직선형배수로덮개(80) 또는 곡선형배수로덮개(90)의 좌우측 끝 부분에 단부그릴(100)을 조립하게 되면, 단부그릴(100)에 형성된 직각측벽(31)에 의해 직선형배수로덮개(80) 또는 곡선형배수로덮개(90)의 바깥쪽 테두리면이 평평한 면으로 되어 수직리브(36)와 수직홈(38)이 외곽면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첨부도면 도 9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티볼트(40)와 고정너트(70)를 이용해서 섹터그릴(30)의 측판(32)(34)을 연결하게 되면, 헤드관통장공(50)(60)에 삽입된 티볼트(40)에 의해 섹터그릴(30)이 상하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티볼트(40)와 고정너트(70)에 의해 측판(32)(34)을 더욱 강하게 밀착시켜서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즉, 수직리브(36)가 수직홈(38)에 끼워지게 되면, 측판(32)(34)을 서로 밀착되면서 측판(32)(34)에 형성된 헤드관통장공(50)(60)의 구멍중심이 서로 일치되는데, 이때 티볼트(40)의 티형머리부(42)를 수평하게 돌린 상태에서 티형머리부(42)를 헤드관통장공(50)(60)으로 삽입하게 되면, 티형머리부(42)가 헤드관통장공(50)(60)을 통과하여 반대편으로 돌출된다.
이후 티형머리부(42)를 90도 회전시킨 후 약간 잡아당겨서 헤드걸림턱(52)(54)에 걸리도록 한 다음 티볼트(40)에 고정너트(70)를 결합하게 되면, 고정너트(70)에 형성된 원형회전부(72)가 회전안내턱(62)(64)으로 진입되어 걸리면서 측판(32)(34)에 고정된다.
이때 헤드걸림턱(52)(54)은 고정너트(70)를 회전시킬 때 티볼트(40)가 헛도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게 되며, 회전안내턱(62)(64)은 고정너트(70)에 형성된 원형회전부(72)를 지지하는 동시에 티볼트(40)와 고정너트(70)가 중심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한편, 배수로(20)의 직선구간 또는 곡선구간에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직선형배수로덮개(80)와 곡선형배수로덮개(90)에 보행자의 통행이나 차량의 통과 등으로 인해 상하방향으로 하중이 작용되면, 앵글(28)에 얹혀진 섹터그릴(30)의 측판(32)(34)과 뒷판(33) 및 앞판(35)의 수직방향으로 압축하중이 작용된다.
이때 섹터그릴(30)을 연결하고 있는 수직리브(36)와 수직홈(38)의 결합에 의해 섹터그릴(30) 사이가 벌어지는 것이 방지되며, 측판(32)(34)에 형성된 헤드관통장공(50)(60)에 삽입된 채 헤드걸림턱(52)(54)과 회전안내턱(62)(64)에 각각 걸려 있는 티볼트(40)와 고정너트(70)에 의한 결합력에 의해 측판(32)(34)이 서로 상하방향으로 어긋나거나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섹터그릴(30)과 단부그릴(100)의 상하면이 개방된 틀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우천시 빗물이 이곳을 통해 배수 된다.
20 : 배수로 22 : 보도
24 : 차도 26 : 경계석
28 : 앵글 30 : 섹터그릴
31 : 직각측벽 32,34 : 측판
33 : 뒷판 35 : 앞판
36 : 수직리브 38 : 수직홈
40 : 티볼트 42 : 티형머리부
50,60 : 헤드관통장공 52,54 : 헤드걸림턱
62,64 : 회전안내턱 70 : 고정너트
72 : 원형회전부 80 : 직선형배수로덮개
90 : 곡선형배수로덮개 100 : 단부그릴
A : 소정각도

Claims (1)

  1. 좌우로 대칭되게 소정각도(A)를 이루는 측판(32)(34)의 전후방측 단부를 길이가 다른 뒷판(33)과 앞판(35)의 좌우측 단부에 일체로 결합하여 섹터그릴(30)을 형성하고, 상하방향으로 끼워져서 서로 맞물리는 암수의 수직리브(36)와 수직홈(38)을 측판(32)(34)에 형성하며, 티볼트(40)에 형성된 티형머리부(42)를 삽입하기 위한 헤드관통장공(50)(60)을 측판(32)(34)의 중앙에 형성하고, 티형머리부(42)가 걸리는 헤드걸림턱(52)(54)을 티형머리부(42)가 위치된 헤드관통장공(50)의 단부 상하부에 형성하며, 티볼트(40)와 결합되는 고정너트(70)에 형성된 원형회전부(72)를 삽입하기 위한 반원형의 회전안내턱(62)(64)을 고정너트(70)가 위치된 헤드관통장공(60)의 단부 상하부에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배수로 덮개.
KR1020140138911A 2014-10-15 2014-10-15 건축용 배수로 덮개 KR101516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8911A KR101516330B1 (ko) 2014-10-15 2014-10-15 건축용 배수로 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8911A KR101516330B1 (ko) 2014-10-15 2014-10-15 건축용 배수로 덮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6330B1 true KR101516330B1 (ko) 2015-05-06

Family

ID=53393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8911A KR101516330B1 (ko) 2014-10-15 2014-10-15 건축용 배수로 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633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8751B1 (ko) 2016-06-03 2016-10-24 (주)휴먼아키피아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배수로 덮개
KR101822818B1 (ko) 2017-09-05 2018-03-15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배수로 덮개
KR101921006B1 (ko) * 2017-11-01 2018-11-21 주식회사 산돌기업 볼트 회전 및 슬롯 처짐 방지 돌기가 형성되는 스틸 각관을 이용한 내진성능을 갖는 건축용 무용접 구조물
KR102666800B1 (ko) * 2023-10-11 2024-05-20 주식회사 진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곡면배수로 덮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3557A (ja) * 1994-02-24 1995-09-05 Kyoraku Co Ltd 溝 蓋
KR100694852B1 (ko) * 2006-03-06 2007-03-13 김동길 스틸 그레이팅
KR101405896B1 (ko) * 2014-02-12 2014-07-01 (주)신미래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배수로 덮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3557A (ja) * 1994-02-24 1995-09-05 Kyoraku Co Ltd 溝 蓋
KR100694852B1 (ko) * 2006-03-06 2007-03-13 김동길 스틸 그레이팅
KR101405896B1 (ko) * 2014-02-12 2014-07-01 (주)신미래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배수로 덮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8751B1 (ko) 2016-06-03 2016-10-24 (주)휴먼아키피아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배수로 덮개
KR101822818B1 (ko) 2017-09-05 2018-03-15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배수로 덮개
KR101921006B1 (ko) * 2017-11-01 2018-11-21 주식회사 산돌기업 볼트 회전 및 슬롯 처짐 방지 돌기가 형성되는 스틸 각관을 이용한 내진성능을 갖는 건축용 무용접 구조물
KR102666800B1 (ko) * 2023-10-11 2024-05-20 주식회사 진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곡면배수로 덮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67774C1 (ru) Защитная решетка
KR101516330B1 (ko) 건축용 배수로 덮개
RU164060U1 (ru) Сборно-разборная секция ограждающей конструкции
KR101414791B1 (ko) 조립식 알루미늄 그레이팅
KR100846145B1 (ko) 갤러리 창호
MA46659A1 (fr) Systeme de construction pour un module d'une habitation
US10519645B2 (en) End wall for a gutter for surface drainage
EP3387197B1 (en) Securing clip and system for installation of flooring elements comprising such a securing clip
KR101292778B1 (ko) 미끄럼 방지기능을 갖는 그레이팅
JP5438394B2 (ja) 金属製型枠パネル
KR101541238B1 (ko) 침입수 차단 및 통풍 성능을 향상시킨 에어 벤트 커버 구조물
KR101573523B1 (ko) 조립식 하수관
KR200281572Y1 (ko) 스테인레스 스틸 그레이팅
KR101472942B1 (ko) 펜스조립용 클램프
KR200397034Y1 (ko)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을 위한 지수판의 조립구조
KR200384627Y1 (ko) 스틸 그레이팅
RU167438U1 (ru) Гайка
RU2681682C1 (ru) Решетка для воздуховодов
KR102328440B1 (ko) 그레이팅바를 구비한 배수장치
US1599048A (en) Spirit level
JP2010180558A (ja) グレーチング
KR200395407Y1 (ko) 가설용 슬라이딩 끼워맞춤식 방음판
KR200264316Y1 (ko) 오수관 고정구
KR101356711B1 (ko) 집수정의 배수장치
KR102022185B1 (ko) 거푸집용 목재 지지대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