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1476B1 - 건축물용 배수로 덮개 - Google Patents

건축물용 배수로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1476B1
KR102201476B1 KR1020200093074A KR20200093074A KR102201476B1 KR 102201476 B1 KR102201476 B1 KR 102201476B1 KR 1020200093074 A KR1020200093074 A KR 1020200093074A KR 20200093074 A KR20200093074 A KR 20200093074A KR 102201476 B1 KR102201476 B1 KR 102201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ixing
drainage
inlet hol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3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연
Original Assignee
(주)동화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화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동화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00093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14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를 이루고자 하는 물의 배수량에 따라 배수로몸체에 결합되는 거름판의 설치 형태를 변경하며 사용할 수 있고, 덮개판의 상부로 바퀴가 달린 이동수단이 이동을 이루는 경우에도 용이한 이동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용 배수로 덮개에 관한 것으로, 그 특징적인 구성은, 사각형의 박스 형상으로, 상면 중심부에는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공과 대응되는 하단에는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공의 내측 테두리 길이 방향으로는 안착판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유입공과 인접한 상면에는 복수개의 걸림홈이 상기 유입공과 연통되게 형성되며, 전면에는 복수개의 삽입홈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게 형성되고, 후면에는 상기 삽입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고정홈이 형성되어 지상에 형성된 배수로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수로몸체와, 메쉬망으로 이루어진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판에 하단이 걸리도록 상기 유입공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판과, 상기 삽입홈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고정홈에 일단이 삽입되게 결합되며, 메쉬망 구조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거름판과, 상기 걸림홈에 안착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하단에 구비된 고정판과, 상기 결합돌기와 대향되는 고정판의 하단에서 하부로 이격되게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고정핀으로 구성되어 상기 배수로몸체와 덮개판 간 결합 시, 상기 고정판의 결합돌기가 걸림홈에 체결되고, 상기 고정핀이 덮개판에 관통되게 체결되어 배수로몸체와 덮개판의 결합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복수개의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건축물용 배수로 덮개{Building Drainage Cover Structure}
본 발명은 건축물용 배수로 덮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수를 이루고자 하는 물의 배수량에 따라 배수로몸체에 결합되는 거름판의 설치 형태를 변경하며 사용할 수 있고, 덮개판의 상부로 바퀴가 달린 이동수단이 이동을 이루는 경우에도 용이한 이동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용 배수로 덮개에 관한 것이다.
배수로는, 물의 배수를 이루기 위하여 설치되는 수로를 말하는 것으로, 지상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명거 배수로와, 지하에 매설되는 암거 배수로로 구분된다.
이때, 상기에서 설명한 암거 배수로는 지하에 매설되어 있는 형태를 이루기 때문에 지상에서 이동을 이루는 사람이나, 유모차와 같은 바퀴 달린 이동수단이 배수로의 설치 형태에 의하여 이동이 저해되는 문제가 발생 되지 않으나, 지상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명거 배수로의 경우에는 사람의 이동은 물론이고, 유모차와 같은 바퀴 달린 이동수단이 배수로의 상부에서 이동을 이루기 힘든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문헌(1)에서와 같이, 지상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명거 배수로의 상부로 배수로 덮개를 설치하는 구성이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구성은, 배수로의 개방된 부위를 감싸도록 덮개를 결합함으로써, 배수로의 내측으로 각종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이고, 배수로의 개방된 부위로 사람이나, 유모차와 같은 바퀴 달린 이동수단이 이동을 이루는 경우에도 배수로에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문헌(1)과 같은, 종래의 배수로 덮개는 배수로의 개방된 부위를 막아 사람이나, 바퀴가 달린 이동수단이 배수로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는 있으나, 배수로 덮개에 형성되는 구멍으로 유모차와 같은 이동수단의 바퀴가 빠지거나 걸리는 문제가 발생 될 수 있었다.
또한, 위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배수로 덮개의 구멍을 작게 형성하는 경우에는 배수로를 통한 물의 배수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기 힘든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문헌(1)과 같은 종래의 배수로 덮개는 배수를 이루고자 하는 물의 양이나, 설치된 위치의 환경변화에 따라 그 설치 형태를 변경하며 대응하기는 어려워, 배수로로 배수되는 물의 양이 늘어나는 경우에는 배수로 본연의 기능을 이루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었다.
더하여, 위와 같은 문제로 인하여 배수로에 설치된 덮개를 지속적으로 유지, 보수하거나, 배수로 덮개를 사용 형태에 따라 교체해야 하는 불필요한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 등록번호 제10-2050514(2019.11.25)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배수로가 형성된 위치나, 환경 변화에 따라 거름판의 설치 형태를 변경하며 설치함으로써, 용이한 배수과정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둘째, 배수로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배수를 이루고자 하는 배수량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지상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덮개판의 상부로 유모차와 같은 바퀴 달린 이동수단이 용이한 이동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넷째,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구성을 통하여, 사용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이 손상되는 경우에는 이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어 불필요한 교체비용이나 유지, 보수 비용이 발생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다섯째, 덮개판과 거름판을 이용하여 물의 배수를 이루는 경우에도 각종 오염물질이 배수로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덮개판과 거름판에 쌓인 오염물질의 제거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며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각형의 박스 형상으로, 상면 중심부에는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공과 대응되는 하단에는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공의 내측 테두리 길이 방향으로는 안착판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유입공과 인접한 상면에는 복수개의 걸림홈이 상기 유입공과 연통되게 형성되며, 전면에는 복수개의 삽입홈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게 형성되고, 후면에는 상기 삽입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고정홈이 형성되어 지상에 형성된 배수로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수로몸체와, 메쉬망으로 이루어진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판에 하단이 걸리도록 상기 유입공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판과, 상기 삽입홈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고정홈에 일단이 삽입되게 결합되며, 메쉬망 구조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거름판과, 상기 걸림홈에 안착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하단에 구비된 고정판과, 상기 결합돌기와 대향되는 고정판의 하단에서 하부로 이격되게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고정핀으로 구성되어 상기 배수로몸체와 덮개판 간 결합 시, 상기 고정판의 결합돌기가 걸림홈에 체결되고, 상기 고정핀이 덮개판에 관통되게 체결되어 배수로몸체와 덮개판의 결합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복수개의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수로몸체는 상기 삽입홈 및 고정홈과 인접한 상면에, 상기 유입공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안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홈에는 지상에 형성된 배수로의 상부로 복수개의 배수로몸체를 설치할 시, 상기 안착홈에 체결되어 배수로몸체의 유입공에 각각 결합된 복수개의 덮개판을 연결하며 고정시키는 체결부재가 더 설치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는 안착돌기가 하단에 구비된 바 형상의 체결판과, 상기 체결판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서 하단으로 이격되게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체결핀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판과 거름판의 메쉬망 격자 크기는 2:1의 비율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로몸체의 상부에는 상기 덮개판의 상부를 덮도록 이동안내판이 더 설치되고, 상기 이동안내판은 전, 후면 상단에 이동경사면이 각각 형성되고, 길이 방향의 좌, 우측면에는 복수개의 안내공이 형성된 판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측 테두리 부위 하단에서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결합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배수로가 형성된 위치나, 환경 변화에 따라 거름판의 설치 형태를 변경하며 설치함으로써, 용이한 배수과정을 이룰 수 있다.
둘째, 배수로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배수를 이루고자 하는 배수량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다.
셋째, 지상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덮개판의 상부로 유모차와 같은 바퀴 달린 이동수단이 용이한 이동을 이룰 수 있다.
넷째,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구성을 통하여, 사용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이 손상되는 경우에는 이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어 불필요한 교체비용이나 유지, 보수 비용이 발생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덮개판과 거름판을 이용하여 물의 배수를 이루는 경우에도 각종 오염물질이 배수로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덮개판과 거름판에 쌓인 오염물질의 제거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며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배수로 덮개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배수로 덮개가 배수로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배수로 덮개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배수로 덮개의 다른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배수로 덮개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 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사각형의 박스 형상으로, 상면 중심부에는 유입공(11)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공(11)과 대응되는 하단에는 배출공(12)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공(11)의 내측 테두리 길이 방향으로는 안착판(11a)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유입공(11)과 인접한 상면에는 복수개의 걸림홈(13)이 상기 유입공(11)과 연통되게 형성되며, 전면에는 복수개의 삽입홈(14)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게 형성되고, 후면에는 상기 삽입홈(14)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고정홈(15)이 형성되어 지상에 형성된 배수로(1)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수로몸체(10)와, 메쉬망으로 이루어진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판(11a)에 하단이 걸리도록 상기 유입공(1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판(20)과, 상기 삽입홈(14)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고정홈(15)에 일단이 삽입되게 결합되며, 메쉬망 구조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거름판(30)과, 상기 걸림홈(13)에 안착 결합되는 결합돌기(41a)가 하단에 구비된 고정판(41)과, 상기 결합돌기(41a)와 대향되는 고정판(41)의 하단에서 하부로 이격되게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고정핀(42)으로 구성되어 상기 배수로몸체(10)와 덮개판(20) 간 결합 시, 상기 고정판(41)의 결합돌기(41a)가 걸림홈(13)에 체결되고, 상기 고정핀(42)이 덮개판(20)에 관통되게 체결되어 배수로몸체(10)와 덮개판(20)의 결합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복수개의 고정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수로(1)는 콘크리트, 금속재로 이루어져 지상에 노출되게 형성되는 명거 배수로를 말하는 것이다.
상기 배수로몸체(10)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사각형의 박스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며, 상면 중심부에는 유입공(11)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공과 대응되는 하단에는 배출공(12)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유입공(11)은 지상에서 이동을 이루는 물이 배수로몸체(10)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배출공(12)은 상기 유입공(11)을 통하여 유입된 물이 배수로(1)의 내측으로 유입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안착판(11a)은 도 1 및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유입공(11)의 내측 테두리 부위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덮개판(20)을 유입공(11)의 내측에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덮개판(20)의 하단이 안착판(11a)의 상부에 걸려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걸림홈(13)은 상기 유입공(11)과 인접한 상면에 복수개 형성되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유입공(11)과 일단이 연통 되게 구성된다.
이는, 상기 걸림홈(13)으로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고정부재(40)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이고, 상기 고정부재(40)를 통하여 유입공(11)의 내측에 결합 된 덮개판(10)을 용이하게 고정 시키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수로몸체(10)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전면에는 복수개의 삽입홈(14)이 수직 방향으로 복수개 배치되어 구성되고, 후면에는 상기 삽입홈(14)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고정홈(15)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삽입홈(14)으로 복수개의 거름판(30)을 결합하는 경우, 거름판(30)이 상기 삽입홈(14)에 삽입된 후, 일단이 상기 고정홈(15)에 걸려 배수로몸체(10)와 거름판(30)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덮개판(20)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안착판(11a)에 하단이 걸리도록 상기 유입공(11)에 결합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메쉬망으로 이루어진 판 형상으로 구성하여, 덮개판(20)을 통하여 배수를 이루고자 하는 물의 유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거름판(30)은 상기 삽입홈(14)에 끼움 결합 된 후, 상기 고정홈(15)에 일단이 결합되어 배수로몸체(10)에 결합되는 것으로, 메쉬망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상기 덮개판(20)을 통하여 유입되는 물이 거름판(30)을 통하여 이송되어 배수로(1)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덮개판(20)과 거름판(30)의 메쉬망 격자 크기는 2:1의 비율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덮개판(20)으로 물의 유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도 덮개판(20)을 통하여 걸러지지 못한 오염물질이 거름판(30)을 통하여 걸러질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거름판(30)으로 오염물질이 쌓이는 경우에는 배수로몸체(10)의 유입공(11)에서 덮개판(20)을 분리한 후, 거름판(30)의 상부에 쌓인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거름판(30)은 상기 배수로몸체(10)에 형성된 삽입홈(14)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게 구성됨으로써, 배수로(1)가 형성된 위치나, 환경에 따라, 배수로몸체(10)의 유입공(11)으로 유입되는 물의 양이 변화를 이루는 경우에는, 상기 거름판(30)의 설치 갯 수를 사용자가 선택하여 설치함으로써, 상기 덮개판(20)과 거름판(30)을 통하여 이동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예컨대, 배수를 이루고자 하는 물의 양이 적은 경우에는 상기 배수로몸체(10)의 삽입홈(14)으로 복수개의 거름판(30)을 설치하여 거름판(30)을 통한 오염물질의 제거효율을 높이며 사용을 이룰 수 있는 것이며, 배수를 이루고자 하는 물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상기 배수로몸체(10)의 삽입홈(14)에 설치된 거름판(30)을 사용자가 제거하여, 배수로몸체(10)의 내측에서 물의 흐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배수효율을 높이며 사용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배수로(1)가 형성된 설치 위치나, 환경의 변화에 따라 상기 배수로몸체(10)에 결합되는 거름판(30)의 설치 갯 수를 조절하며 용이한 사용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40)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걸림홈(13)에 안착 결합되는 결합돌기(41a)가 하단에 구비된 고정판(41)과, 상기 결합돌기(41a)와 대향되는 고정판(41)의 하단에서 하부로 이격되게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고정핀(42)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배수로몸체(10)와 덮개판(20)을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고정판(41)의 결합돌기(41a)가 배수로몸체(10)의 걸림홈(13)에 체결되도록 결합하고, 상기 고정핀(42)이 메쉬망 구조를 이루는 덮개판(20)에 관통 결합 되도록 결합하여, 배수로몸체(10)의 유입공(11)에 결합이 이루어진 덮개판(20)의 설치 위치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며,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덮개판(20)에 결합되는 고정핀(42)이 덮개판(20)을 관통 결합한 후, 덮개판(20)의 하단에 설치된 복수개의 거름판(30)을 관통하며 결합됨으로써, 배수로몸체(10), 덮개판(20), 거름판(30)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볼트와 너트 같은 복잡한 체결 수단 없이도, 배수로몸체(10)에 설치되는 덮개판(20)과, 거름판(30)이 배수로몸체(10)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이루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이 손상되는 경우에도 손쉽게 손상된 부위를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수로몸체(10)는 도 1 내지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삽입홈(14) 및 고정홈(15)과 인접한 상면에, 상기 유입공(11)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안착홈(16)을 형성하여 구성되고, 상기 안착홈(16)에는 지상에 형성된 배수로(1)의 상부로 복수개의 배수로몸체(10)를 설치할 시, 상기 안착홈(16)에 체결되어 배수로몸체(10)의 유입공(11)에 각각 결합된 복수개의 덮개판(20)을 연결하며 고정시키는 체결부재(50)가 더 설치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50)는 상기 안착홈(16)에 삽입되는 안착돌기(51a)가 하단에 구비된 바 형상의 체결판(51)과, 상기 체결판(51)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서 하단으로 이격되게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체결핀(52)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배수로(1)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배수로몸체(10)를 설치하는 경우, 밀착되게 위치된 배수로몸체(10)의 안착홈(16)으로 체결판(51)의 안착돌기(51a)가 삽입되게 하고, 체결판(51)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이격되게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체결핀(52)이 밀착되게 위치된 배수로몸체(10)의 덮개판(20)에 각각 관통 결합 되도록 함으로써, 도 4 및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재(50)의 구성을 통하여 밀착되게 위치된 배수로몸체(10)의 덮개판(20)을 연결하며 견고하게 고정 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위와 같은 결합을 이루는 경우에도 상기 덮개판(20)에 결합되는 체결핀(42)이 덮개판(20)을 관통 결합한 후, 덮개판(20)의 하단에 설치된 복수개의 거름판(30)을 관통하며 결합됨으로써, 배수로몸체(10), 덮개판(20), 거름판(30)의 결합력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배수로몸체(10)의 상부에는 상기 덮개판(20)의 상부를 덮도록 이동안내판(60)이 더 설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이동안내판(60)은 전, 후면 상단에 이동경사면(61a)이 각각 형성되고, 길이 방향의 좌, 우측면에는 복수개의 안내공(61b)이 형성된 판 형상의 몸체(61)와, 상기 몸체(61)의 외측 테두리 부위 하단에서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결합핀(6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배수로몸체(10)의 상부로 이동안내판(60)을 설치하여, 이동안내판(60)에 형성된 이동경사면(61)의 구성을 통하여 배수로(1)의 상부로 유모차와 같은 바퀴 달린 이동수단이 용이한 이동을 이루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이러한 경우에도, 몸체(10)의 길이 방향의 좌, 우측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안내공(61b)으로 물이 유입되게 구성하여, 배수로몸체(10)에 결합된 덮개판(20)의 방향으로 배수를 이루고자 하는 물의 유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덮개판(20)의 상부를 가리도록 결합되는 경우에도, 상기 몸체(61)의 외측 테두리 부위 하단에서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결합핀(62)이 덮개판(20). 거름판(30)을 관통하여 결합되게 구성됨으로써, 배수로몸체(10)의 상부에 이동안내판(60)의 설치를 용이하게 이루면서도 배수로몸체(10)의 상부에 이동안내판(60)이 결합된 경우에는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동안내판(60)은 배수로(1)가 형성된 위치나, 환경에 따라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적용되거나, 삭제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배수로 10: 배수로몸체
11: 유입공 11a: 안착판
12: 배출공 13: 걸림홈
14: 삽입홈 15: 고정홈
16: 안착홈 20: 덮개판
30: 거름판 40: 고정부재
41: 고정판 41a: 결합돌기
42: 고정핀 50: 체결부재
51: 체결판 51a: 안착돌기
52: 체결핀

Claims (4)

  1. 사각형의 박스 형상으로, 상면 중심부에는 유입공(11)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공(11)과 대응되는 하단에는 배출공(12)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공(11)의 내측 테두리 길이 방향으로는 안착판(11a)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유입공(11)과 인접한 상면에는 복수개의 걸림홈(13)이 상기 유입공(11)과 연통되게 형성되며, 전면에는 복수개의 삽입홈(14)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게 형성되고, 후면에는 상기 삽입홈(14)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고정홈(15)이 형성되어 지상에 형성된 배수로(1)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수로몸체(10)와,
    메쉬망으로 이루어진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판(11a)에 하단이 걸리도록 상기 유입공(1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판(20)과,
    상기 삽입홈(14)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고정홈(15)에 일단이 삽입되게 결합되며, 메쉬망 구조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거름판(30)과,
    상기 걸림홈(13)에 안착 결합되는 결합돌기(41a)가 하단에 구비된 고정판(41)과, 상기 결합돌기(41a)와 대향되는 고정판(41)의 하단에서 하부로 이격되게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고정핀(42)으로 구성되어 상기 배수로몸체(10)와 덮개판(20) 간 결합 시, 상기 고정판(41)의 결합돌기(41a)가 걸림홈(13)에 체결되고, 상기 고정핀(42)이 덮개판(20)에 관통되게 체결되어 배수로몸체(10)와 덮개판(20)의 결합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복수개의 고정부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배수로 덮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몸체(10)는
    상기 삽입홈(14) 및 고정홈(15)과 인접한 상면에, 상기 유입공(11)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안착홈(16)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홈(16)에는 지상에 형성된 배수로(1)의 상부로 복수개의 배수로몸체(10)를 설치할 시, 상기 안착홈(16)에 체결되어 배수로몸체(10)의 유입공(11)에 각각 결합된 복수개의 덮개판(20)을 연결하며 고정시키는 체결부재(50)가 더 설치되고,
    상기 체결부재(50)는
    상기 안착홈(16)에 삽입되는 안착돌기(51a)가 하단에 구비된 바 형상의 체결판(51)과, 상기 체결판(51)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서 하단으로 이격되게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체결핀(5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배수로 덮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20)과 거름판(30)의 메쉬망 격자 크기는 2:1의 비율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배수로 덮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몸체(10)의 상부에는 상기 덮개판(20)의 상부를 덮도록 이동안내판(60)이 더 설치되고,
    상기 이동안내판(60)은
    전, 후면 상단에 이동경사면(61a)이 각각 형성되고, 길이 방향의 좌, 우측면에는 복수개의 안내공(61b)이 형성된 판 형상의 몸체(61)와,
    상기 몸체(61)의 외측 테두리 부위 하단에서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결합핀(6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배수로 덮개.
KR1020200093074A 2020-07-27 2020-07-27 건축물용 배수로 덮개 KR102201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074A KR102201476B1 (ko) 2020-07-27 2020-07-27 건축물용 배수로 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074A KR102201476B1 (ko) 2020-07-27 2020-07-27 건축물용 배수로 덮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1476B1 true KR102201476B1 (ko) 2021-01-13

Family

ID=74142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074A KR102201476B1 (ko) 2020-07-27 2020-07-27 건축물용 배수로 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147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3109B1 (ko) * 2022-06-28 2023-03-23 (주)리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배수로 덮개
KR102549900B1 (ko) * 2022-09-06 2023-07-03 (유)신일 어도 기능을 탑재한 수문
KR102666802B1 (ko) 2023-10-11 2024-05-20 주식회사 진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용 배수로 덮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9310A (ko) * 2011-11-04 2013-05-14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로 배수구용 그레이팅
KR20160029262A (ko) * 2014-09-05 2016-03-15 (주)상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포장도로의 측부 배수장치
KR102050514B1 (ko) 2017-08-28 2019-11-29 (주)가야스틸 고 하중 지지용 배수로 덮개
KR102072976B1 (ko) * 2019-06-04 2020-02-04 (주)정안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그레이팅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9310A (ko) * 2011-11-04 2013-05-14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로 배수구용 그레이팅
KR20160029262A (ko) * 2014-09-05 2016-03-15 (주)상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포장도로의 측부 배수장치
KR102050514B1 (ko) 2017-08-28 2019-11-29 (주)가야스틸 고 하중 지지용 배수로 덮개
KR102072976B1 (ko) * 2019-06-04 2020-02-04 (주)정안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그레이팅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3109B1 (ko) * 2022-06-28 2023-03-23 (주)리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배수로 덮개
KR102549900B1 (ko) * 2022-09-06 2023-07-03 (유)신일 어도 기능을 탑재한 수문
KR102666802B1 (ko) 2023-10-11 2024-05-20 주식회사 진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용 배수로 덮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1476B1 (ko) 건축물용 배수로 덮개
US6294095B1 (en) Silt filtration system
US5779888A (en) Filtering apparatus
US7549820B1 (en) Curb opening filter
US6623633B2 (en) Sewer eco-collar for sump application
KR101119517B1 (ko) 로터리 제진기
KR101277785B1 (ko) 거름망이 구비된 우수받이
JP4156843B2 (ja) 沈砂池設備
US9260853B2 (en) Self cleaning debris screen for runoff water separation apparatus
KR102064201B1 (ko) 건축용 그레이팅
US20060011527A1 (en) Sewer eco-collar for rigid sump
KR100941146B1 (ko) 덮개 이탈 방지기능을 갖는 필터 장착구조의 교량용 집수장치
KR102201484B1 (ko) 건축용 배수로 덮개
KR101373818B1 (ko) 와류에 의한 신속한 집배수가 가능한 교량용 교면수 집수장치
JP2018150779A (ja) 側溝用蓋
KR101175998B1 (ko) 교량의 노면 침투수 배출기능을 겸비한 내장형 선배수시설
KR100922877B1 (ko) 배수로용 그레이팅
KR102427410B1 (ko) 배면 인양 방식을 이용한 스크린 협잡물 제거장치
KR102229246B1 (ko) 건축용 배수로 덮개
KR101889907B1 (ko) 비점오염 처리를 위한 모듈형 여과 장치
KR101383819B1 (ko) 덮개 일체형 우수받이
KR102664188B1 (ko) 배수로용 덮개
KR200416048Y1 (ko) 자동개폐수단을 갖는 맨홀뚜껑
CN216973110U (zh) 一种应用在桥梁的排水结构
KR102455640B1 (ko) 맨홀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