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9900B1 - 어도 기능을 탑재한 수문 - Google Patents

어도 기능을 탑재한 수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9900B1
KR102549900B1 KR1020220112543A KR20220112543A KR102549900B1 KR 102549900 B1 KR102549900 B1 KR 102549900B1 KR 1020220112543 A KR1020220112543 A KR 1020220112543A KR 20220112543 A KR20220112543 A KR 20220112543A KR 102549900 B1 KR102549900 B1 KR 102549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fish body
plate
vertical plate
water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2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호
이상근
박세진
김범중
Original Assignee
(유)신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신일 filed Critical (유)신일
Priority to KR1020220112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99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9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9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4Sealings for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4Valves, slides, or the like; Arrangements therefor; Submerged sluice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류의 이동을 방해하는 협잡물 또는 슬러지 등 다양한 종류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어류가 이동하는 과정 중에 용이하게 쉴 수 있는 어도 기능을 탑재한 수문에 관한 것으로서, 크게, 수문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수문에 구비되고, 상부가 개방되는 어도몸체와; 상기 어도몸체의 상부에 상기 어도몸체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복수개로 안착되어 상기 어도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복수의 상부커버와; 상기 어도몸체와 연통되도록 상기 어도몸체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어도몸체의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되고, 상기 어도몸체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어류가 체류하는 어류쉼터몸체와; 상기 어류쉼터몸체의 내부에 퇴적된 이물질을 배출하는 이물질 배출관과; 상기 이물질 배출관을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어도 기능을 탑재한 수문{A sluice gate equipped with a fishing function}
본 발명은 어류의 이동을 방해하는 협잡물 또는 슬러지 등 다양한 종류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어류가 이동하는 과정 중에 용이하게 쉴 수 있는 어도 기능을 탑재한 수문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용수가 많이 부족한 상황에서 하천이나 농수로 또는 저수지의 여수로(이하 "수로"로 함) 등에 물을 담수하여 수질을 개선하기 위한 많은 수문들이 설치되고 있으며, 이는 수질개선의 목적 뿐만 아니라 실생활에서 농업용수나 공업용수로 사용되어 수자원 확보에 상당한 이로움을 주고 있다.
그런데, 상기 수문들은 인위적으로 상류로부터 직전상의 수로를 형성시키고 설치하기 때문에 물길의 유속을 가중시키며 또 수문이 설치되는 하류 배수부 수로의 연장부에는 지형적인 큰 낙차를 완전히 배제할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수문의 형성 후 물의 저장상태에서는 수문을 기준으로 한 하류 물고기 및 각종 생물의 상류로의 이동을 단절하게 되며 자칫 생태계의 불균형을 초래하여 파괴할 수 있는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수문의 상류쪽과 하류쪽을 연결시킬 수 있는 어도를 통해 수문에 의해 차단된 상류와 하류간의 어류 이동이 가능한 어도가 구비된 수문이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790145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790145호의 경우, 어도 내에서 흐르는 물을 통하여 어류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으나, 어도 내에서 흐르는 물에 포함된 폐비닐, 잡초, 나뿌뿌리 등의 협잡물 또는 슬러지 등 다양한 종류의 이물질이 어도 내측의 이동통로에 쌓여 어류의 이동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어도 내측에 쌓여 어류의 이동을 방해하는 이물질을 어도로부터 제거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790145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어류의 이동을 방해하는 협잡물 또는 슬러지 등 다양한 종류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어류가 이동하는 과정 중에 용이하게 쉴 수 있는 어도 기능을 탑재한 수문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문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수문에 구비되고, 상부가 개방되는 어도몸체와; 상기 어도몸체의 상부에 상기 어도몸체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복수개로 안착되어 상기 어도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복수의 상부커버와; 상기 어도몸체와 연통되도록 상기 어도몸체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어도몸체의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되고, 상기 어도몸체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어류가 체류하는 어류쉼터몸체와; 상기 어류쉼터몸체의 내부에 퇴적된 이물질을 배출하는 이물질 배출관과; 상기 이물질 배출관을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 기능을 탑재한 수문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수문은 가동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어도몸체는 상기 수문에 경사지게 지그재그식으로 구비되고, 상기 수문에 지그재그식으로 구비된 상기 어도몸체의 굴곡부위에 상기 어도몸체와 연통되는 방향전환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향전환부의 내부에 퇴적된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보조이물질 배출관과; 상기 보조이물질 배출관을 개폐하는 보조개폐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어도몸체의 내주면 전측과 내주면 후측에 상기 어도몸체의 내측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된 상태로 수직형성 및 상기 어도몸체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지그재그로 복수배치되는 물흐름 저항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어도몸체의 상부와 복수의 상기 상부커버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어도몸체의 상부에 상기 어도몸체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복수개로 안착되는 복수의 패킹부와; 상기 어도몸체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어도몸체의 상부 내측에 상기 어도몸체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복수개로 구비되는 하부보강판과, 상기 하부보강판의 상부에 상기 하부보강판을 따라 전후연장된 상태로 수직형성되는 상부보강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복수의 상기 패킹부 사이 및 복수의 상기 상부커버 사이마다 배치되어 복수의 상기 패킹부 사이 및 복수의 상기 상부커버 사이를 보강하는 보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물흐름 저항판의 상부에 상기 보강부가 간헐적으로 안착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강부의 상부보강판의 하부 전측과 하부 후측에 각각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어도몸체는 상기 수문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수문의 일측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지게 형성되는 하부어도몸체와; 상기 하부어도몸체의 상부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수문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수문의 타측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지게 형성되는 상부어도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방향전환부의 타측 중간과 타측 상부에 각각 상기 하부어도몸체의 일측과 상기 상부어도몸체의 일측이 각각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부어도몸체의 일측 상부에 안착된 어느 하나의 상기 상부커버의 좌우길이는 상기 상부어도몸체의 일측 상부에 안착된 다른 하나의 상기 상부커버의 좌우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어도몸체의 일측과 상기 상부어도몸체의 일측 사이의 상기 방향전환부의 타측 부위에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방향전환부와 상기 하부어도몸체의 일측 상부에 안착된 어느 하나의 상기 상부커버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방향전환부의 끼움홈에 일측이 끼움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하부어도몸체의 일측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하부어도몸체의 상부를 폐쇄하는 보조 상부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복수의 상기 상부커버에 상기 어도몸체의 내부를 검사하기 위한 점검창이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향전환부에 상기 방향전환부의 내부를 검사하기 위한 점검창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수문의 타측 후면 상부에 상기 어도몸체와 연통되는 물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물유입구가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수문의 타측 후면 상부에 구비되고, 일측과 타측에 복수의 일측어류통과공 및 복수의 타측어류통과공이 일정간격으로 형성 및 상부와 후측에 복수의 상부어류통과공 및 복수의 후측어류통과공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스크린;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스크린은 복수의 일측어류통과공과 복수의 타측어류통과공이 각각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일측수직판 및 타측수직판과, 상기 일측수직판의 상부와 상기 타측수직판의 상부 사이에 형성되고 복수의 상부어류통과공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상부수평판과, 상기 일측수직판의 후측과 상기 타측수직판 사이에 형성되고 복수의 후측어류통과공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후측수직판과, 상기 일측수직판의 하부와 상기 타측수직판의 하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후측수직판의 하부에서 상기 후측수직판의 전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지며 복수의 가이드슬릿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하부경사판으로 구성되는 스크린몸체와; 상기 스크린몸체의 가장자리 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스크린몸체의 내측에 상기 물유입구가 수용되도록 상기 수문의 타측 후면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플랜지와; 상기 스크린몸체의 상부수평판의 외면에 상기 상부수평판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 및 상기 상부수평판의 상부 외부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상부수평판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상기 상부어류통과공을 구획 및 상기 상부수평판을 보강하는 상부보강리브와, 상기 스크린몸체의 후측수직판의 외면에 상기 후측수직판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 및 상기 후측수직판의 후방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후측수직판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상기 후측어류통과공을 구획 및 상기 후측수직판을 보강하는 후측보강리브와, 상기 스크린몸체의 하부경사판의 가이드슬릿 사이마다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경사판의 외면에 상기 하부경사판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 및 상기 하부경사판의 하부 외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경사판을 보강하는 하측보강리브로 구성되는 보강리브와; 상기 스크린몸체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일측어류통과공 사이의 상기 일측수직판의 내면 부위에서 상기 일측수직판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 및 상기 스크린몸체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일측수직판을 보강하는 일측보조보강리브와, 상기 스크린몸체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타측어류통과공 사이의 상기 타측수직판의 내면 부위에서 상기 타측수직판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 및 상기 스크린몸체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타측수직판을 보강하는 타측보조보강리브와, 상기 스크린몸체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경사판의 내면 중간부위에서 상기 하부경사판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 및 상기 스크린몸체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경사판을 보강하는 제 1하측보조보강리브와, 상기 스크린몸체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가이드슬릿 사이의 상기 하부경사판 사이의 일측 내면 부위 및 타측 내면 부위에서 각각 상기 하부경사판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 및 상기 스크린몸체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경사판을 보강하는 제 2하측보조보강리브로 구성되는 보조보강리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어도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복수의 상부커버 전체 또는 복수의 상기 상부커버 중 상기 어도몸체의 내측에 쌓인 이물질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일부 상부커버를 상기 어도몸체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어도몸체의 내측에 쌓인 폐비닐, 잡초, 나뿌뿌리 등의 협잡물 또는 슬러지 등 다양한 종류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류가 상기 어도몸체를 통해 상류로 이동하는 과정 중에 상기 어도몸체와 연통된 상태로 상기 어도몸체의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어류쉼터몸체의 내측에 체류하면서 쉴 수 있고, 나아가, 상기 어류쉼터몸체의 내측에 쌓인 이물질 또한 이물질 배출관과 개폐밸브를 통해 상기 어류쉼터몸체의 외부방향으로 용이하게 배출하여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어도 기능을 탑재한 수문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어도몸체, 상부커버, 어류쉼터몸체, 이물질 배출관 및 개폐밸브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일부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하부어도몸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6은 상부어도몸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7은 방향전환부로부터 보조 상부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분리사시도이고,
도 8은 방향전환부에 보조 상부커버와 하부어도몸체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결합사시도이고,
도 9는 방향전환부에 보조 상부커버, 하부어도몸체 및 상부어도몸체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결합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5의 B - B선에 따른 확대분리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확대결합단면도이고,
도 12는 어류의 이동 및 이동중인 어류가 어류쉼터몸체에서 체류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3은 도 5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6의 D - D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5는 수문에 구비된 스크린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고,
도 16은 수문으로부터 스크린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분리사시도이고,
도 17은 스크린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배면사시도이고,
도 18은 스크린몸체로부터 보강리브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분리사시도이고,
도 19는 스크린을 보조보강리브를 정면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0은 도 17의 E - E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21은 도 17의 F - F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어도 기능을 탑재한 수문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어도 기능을 탑재한 수문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어도몸체(10), 상부커버, 어류쉼터몸체, 이물질 배출관 및 개폐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어도몸체(10)는 수문(3)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된 상태로 상기 수문(3)에 구비된다.
상기 어도몸체(10)의 상부는 개방된다.
도 2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여기서, 상기 수문(3)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예로, 가동보 등의 피봇운동하는 전도식 수문 또는 상하운동하는 인양식 수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어도몸체, 상부커버, 어류쉼터몸체, 이물질 배출관 및 개폐밸브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일부분리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복수의 상기 상부커버(20)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어도몸체(10)의 상부에 상기 어도몸체(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분리가능하게 복수개로 수평안착되어 상기 어도몸체(10)의 상부를 개폐하게 된다.
복수의 상기 상부커버(20)의 일측 또는 타측에는 상기 어도몸체(10)의 내부에 폐비닐, 잡초, 나뿌뿌리 등의 협잡물 또는 슬러지 등 다양한 종류의 이물질이 퇴적되었는지의 여부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검사하기 위한 점검창(21)이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점검창(21)은 강화유리 등의 투명한 합성수지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어류쉼터몸체(30)는 상기 어도몸체(10)와 연통되도록 상기 어도몸체(10)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어도몸체(10)의 하부에 상기 어도몸체(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이물질 배출관(40)은 상기 어류쉼터몸체(30)와 연통되도록 상기 어류쉼터몸체(30)의 일측 하부 또는 타측 하부에 수평형성되어 상기 어류쉼터몸체(30)의 내부에 퇴적된 폐비닐, 잡초, 나뿌뿌리 등의 협잡물 또는 슬러지 등 다양한 종류의 이물질을 상기 어류쉼터몸체(30)의 외부방향으로 배출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개폐밸브(50)는 상기 이물질 배출관(40)을 개폐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어도몸체(1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문(3)의 전측에 복수개로 경사지게 지그재그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문(3)의 전측에 지그재그식으로 구비된 복수의 상기 어도몸체(10)의 굴곡부위(C)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어도몸체(10)와 연통되는 방향전환부(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방향전환부(60)의 일측 하부 또는 타측 하부와 상기 방향전환부(60)의 전면 일측에 상기 방향전환부(60)이 내부에 퇴적된 이물질을 상기 방향전환부(6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보조이물질 배출관(70)이 각각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이물질 배출관(70)에는 상기 보조이물질 배출관(70)을 개폐하는 보조개폐밸브(8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방향전환부(60)의 전면 상부와 상기 방향전환부(60)의 전면 중간부에는 상기 방향전환부(60)의 내부에 폐비닐, 잡초, 나뿌뿌리 등의 협잡물 또는 슬러지 등 다양한 종류의 이물질이 퇴적되었는지의 여부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검사하기 위한 점검창(61)이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점검창(61)은 강화유리 등의 투명한 합성수지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어도몸체(10)의 상부를 개폐하는 복수의 상부커버(20) 전체 또는 복수의 상기 상부커버(20) 중 상기 어도몸체(10)의 내측에 쌓인 이물질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일부 상부커버(20)를 상기 어도몸체(10)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어도몸체(10)의 내측에 쌓인 폐비닐, 잡초, 나뿌뿌리 등의 협잡물 또는 슬러지 등 다양한 종류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어도몸체(10)는 일예로, 도 1,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어도몸체(110)와 상부어도몸체(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어도몸체(11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문(3)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수문(3)의 일측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어도몸체(120)는 도 1,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어도몸체(110)의 상부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어도몸체(12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문(3)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수문(3)의 타측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향전환부(60)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 중간에 상기 하부어도몸체(110)의 일측이 수밀하게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방향전환부(60)의 타측 상부에 상기 상부어도몸체(120)의 일측이 수밀하게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하부어도몸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6은 상부어도몸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어도몸체(10)의 하부어도몸체(110)의 내주면 전측과 내주면 후측 및 상기 상부어도몸체(120)의 내주면 전측과 내주면 후측에는 상기 어도몸체(10)의 내측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된 상태로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직형성되는 물흐름 저항판(90)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물흐름 저항판(90)은 상기 어도몸체(10)의 하부어도몸체(110)의 내주면 전측과 내주면 후측 및 상기 상부어도몸체(120)의 내주면 전측과 내주면 후측에 상기 어도몸체(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지그재그식으로 각각 복수배치되는 전측 물흐름 저항판(910) 및 후측 물흐름 저항판(9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어도몸체(110)의 전면 일측의 반대측인 전면 타측에 형성된 입구(110a)를 통해 어류가 상기 하부어도몸체(110)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어도몸체(120)의 후면 일측의 반대측인 후면 타측에 형성된 출구(120a)를 통해 상기 하부어도몸체(110)의 내부와 상기 방향전환부(60)의 내부 및 상기 상부어도몸체(120)의 내부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는 어류가 상기 상부어도몸체(120)의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어도몸체(10)와 복수의 상기 상부커버(20) 사이의 수밀성 향상을 위해,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어도몸체(10)의 상부와 복수의 상기 상부커버(2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어도몸체(10)의 상부에 상기 어도몸체(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복수개로 안착되는 사각틀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복수의 패킹부(100)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패킹부(100)는 복수의 상기 상부커버(20)와 함께 상기 어도몸체(10)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안착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패킹부(100)는 고무 등 다양한 종류의 탄성력을 지닌 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방향전환부로부터 보조 상부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분리사시도이고, 도 8은 방향전환부에 보조 상부커버와 하부어도몸체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결합사시도이고, 도 9는 방향전환부에 보조 상부커버, 하부어도몸체 및 상부어도몸체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결합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하부어도몸체(110)의 일측과 상기 상부어도몸체(120)의 일측 사이의 상하폭이 협소하기 때문에 복수의 상기 상부커버(20) 중 상기 하부어도몸체(110)의 일측 상부로부터 어느 하나의 상기 상부커버(20)를 분리 및 결합시키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상부어도몸체(120)의 일측 하부방향에 위치한 상기 하부어도몸체(110)의 일측 상부로부터 어느 하나의 상기 상부커버(20)를 보다 용이하게 분리 및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어도몸체(110)의 일측 상부에 안착된 어느 하나의 상기 상부커버(20)의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좌우길이(L1)는 상기 상부어도몸체(120)의 일측 상부에 안착된 다른 하나의 상기 상부커버(20)의 좌우길이(L2)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어도몸체(110)의 일측과 상기 상부어도몸체(120)의 일측 사이의 상기 방향전환부(60)의 타측 부위에는 상기 방향전환부(60)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함몰되는 끼움홈(6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향전환부(60)의 끼움홈(610)의 단면 형상은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도 7 내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방향전환부(60)와 상기 하부어도몸체(110)의 일측 상부에 안착된 어느 하나의 상기 상부커버(2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방향전환부(60)의 끼움홈(610)에 보조 상부커버(300)의 일측이 끼움고정된 상태로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상부커버(300)의 타측은 상기 하부어도몸체(110)의 일측 상부에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평안착고정되어 상기 하부어도몸체(110)의 일측 상부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상부커버(300)는 일예로, 크게, 일측 보조상부커버(301)와 타측 보조상부커버(30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보조상부커버(301)의 단면 형상이 상기 방향전환부(60)의 끼움홈(610)의 단면 형상과 대응되도록 상기 일측 보조상부커버(301)는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만곡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 보조상부커버(302)는 상기 일측 보조상부커버(301)의 하부 일측의 반대측인 하부 타측에서 상기 하부어도몸체(110)의 일측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 보조상부커버(302)는 상기 방향전환부(60)의 타측과 상기 하부어도몸체(110)의 일측 상부에 안착된 어느 하나의 상기 상부커버(20)의 일측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어도몸체(110)의 일측 상부에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평안착고정되어 상기 하부어도몸체(110)의 일측 상부를 폐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패킹부(100) 사이 및 복수의 상기 상부커버(20) 사이마다 배치되어 복수의 상기 패킹부(110) 사이 및 복수의 상기 상부커버(20) 사이를 보강하는 보강부(20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0은 도 5의 B - B선에 따른 확대분리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확대결합단면도이다.
상기 보강부(200)는 일예로, 도 5, 도 6,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하부보강판(210)과 상부보강판(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보강판(210)은 상기 어도몸체(10)의 하부어도몸체(110)의 전후방향 및 상부어도몸체(120)의 전후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어도몸체(10)의 하부어도몸체(110)의 상부 내측 및 상부어도몸체(120)의 상부 내측에 상기 어도몸체(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개로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200)가 상기 어도몸체(10)의 하부어도몸체(110)의 상부 내측 및 상부어도몸체(120)의 상부 내측에 보다 안정적으로 위치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물흐름 저항판(90)의 전측 물흐름 저항판(910)의 상부 또는 후측 물흐름 저항판(920)의 상부에 상기 보강부(200)의 하부보강판(210)이 간헐적으로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평으로 안착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수문(3)이 설치된 장소의 상류에서 하류로 흐르는 물에 대한 상기 보강부(200)의 저항을 저감시키기 위해, 도 4,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강부(200)의 상부보강판(220)의 하부 전측과 하부 후측에는 물이 통과할 수 있는 홈(221)이 각각 수직형성될 수 있다.
도 12는 어류의 이동 및 이동중인 어류가 어류쉼터몸체에서 체류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어도몸체(110)의 내부, 상기 방향전환부(60) 및 상기 상부어도몸체(120)의 내부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어류(F)는 상기 어류쉼터몸체(30)의 내부에서 일정시간 체류하면서 쉴 수 있다.
특히, 상기 어류쉼터몸체(30)의 내측에 쌓인 이물질 또한 상기 이물질 배출관(40)과 상기 개폐밸브(50)를 통해 상기 어류쉼터몸체(30)의 외부방향으로 용이하게 배출하여 제거할 수 있다.
도 13은 도 5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 수문(3)이 설치된 장소의 물은 상류에서 하류방향으로 흐를 수 있으며, 하류방향으로 흐르는 물은 상기 수문(3)의 타측 상부에 형성된 후술할 물유입구를 통해 상기 상부어도몸체(120)의 타측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상부어도몸체(120)의 일측 내부, 상기 방향전환부(60)의 내부, 상기 하부어도몸체(110)의 일측 내부, 상기 하부어도몸체(110)의 타측 내부방향 순으로 순차적으로 흐를 수 있다.
상기 수문(3)이 설치된 장소의 상류에서 하류방향으로 흐르는 물의 흐름방향과 달리 어류(F)는 상기 하부어도몸체(110)의 타측 내부로 들어간 후, 상기 하부어도몸체(110)의 일측 내부, 상기 방향전환부(60)의 내부, 상기 상부어도몸체(120)의 일측 내부, 상기 상부어도몸체(120)의 타측 내부 순으로 상류에서 하류방향으로 흐르는 물의 흐름방향과 반대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하부어도몸체(110)의 내측에 형성된 물흐름 저항판(90)은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어도몸체(1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흐르는 물(도 13의 화살표 참조.)에 저항하면서 물의 유속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어도몸체(110)의 타측 내부에서 일측 내부로 이동하는 어류(F)는 상기 하부어도몸체(1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흐르는 물에 저항하는 상기 물흐름 저항판(90)의 타측 방향에서 일정시간 체류하면서 쉴 수 있다.
도 14는 도 6의 D - D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 상부어도몸체(120)의 내측에 형성된 물흐름 저항판(90)은 도 14에서 보는 상기 상부어도몸체(120)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흐르는 물(도 14의 화살표 참조.)에 저항하면서 물의 유속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어도몸체(120)의 일측 내부에서 타측 내부로 이동하는 어류(F)는 상기 상부어도몸체(120)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흐르는 물에 저항하는 상기 물흐름 저항판(90)의 일측 방향에서 일정시간 체류하면서 쉴 수 있다.
도 15는 수문에 구비된 스크린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고, 도 16은 수문으로부터 스크린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분리사시도이고, 도 17은 스크린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배면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도 15 및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문(3)의 타측 상부에는 상기 어도몸체(10)와 연통되는 물유입구(3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유입구(3a)는 상기 어도몸체(10)의 상부어도몸체(120)의 출구(120a)와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도몸체(10)로 이물질이 유입되어 상기 어도몸체(10)의 내측에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수문(3)의 타측 후면 상부에는 상기 물유입구(3a)를 내측에 수용하는 스크린(400)이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400)의 일측과 타측에 복수의 일측어류통과공(411a) 및 복수의 타측어류통과공(412a)이 상기 스크린(40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400)의 상부에는 복수의 상부어류통과공(413a)이 상기 스크린(40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400)의 후측에는 복수의 후측어류통과공(414a)이 매트릭스 형태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일측어류통과공(411a)의 넓이, 복수의 상기 타측어류통과공(412a)의 넓이, 복수의 상기 상부어류통과공(413a)의 넓이 및 복수의 상기 후측어류통과공(414a)의 넓이는 어류(F)가 통과할 수 있으면서, 복수의 상기 일측어류통과공(411a), 복수의 상기 타측어류통과공(412a), 복수의 상기 상부어류통과공(413a) 및 복수의 상기 후측어류통과공(414a)의 넓이 보다 큰 넓이, 직경, 부피를 가진 나무토막 등의 이물질은 통과할 수 없을 정도면 족하다.
도 18은 스크린몸체로부터 보강리브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분리사시도이다.
상기 스크린(400)은 일예로, 도 17 및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스크린몸체(410), 고정플랜지(420), 보강리브(430) 및 보조보강리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크린몸체(410)는 크게, 일측수직판(411), 타측수직판(412), 상부수평판(413), 후측수직판(414) 및 하부경사판(415)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수직판(411)에는 복수의 상기 일측어류통과공(411a)이 상기 일측수직판(411)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수직판(412)에는 복수의 상기 타측어류통과공(412a)이 상기 타측수직판(412)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수평판(413)은 상기 일측수직판(411)의 상부와 상기 타측수직판(412)의 상부 사이에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수평판(413)에는 장방형의 복수의 상기 상부어류통과공(413a)이 상기 상부수평판(413)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수직판(414)은 상기 일측수직판(411)의 후측과 상기 타측수직판(412) 사이에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수직판(414)에는 장방형의 복수의 후측어류통과공(414a)이 매트릭스 형태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경사판(415)은 상기 일측수직판(411)의 하부와 상기 타측수직판(412)의 하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경사판(415)은 상기 후측수직판(414)의 하부에서 상기 후측수직판(414)의 전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
상기 하부경사판(415)에는 상기 하부경사판(415)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복수의 가이드슬릿(415a)이 상기 하부경사판(415)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플랜지(420)는 상기 스크린몸체(410)의 가장자리 부위를 따라 일정길이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몸체(410)의 내측에 상기 물유입구(3a)가 수용되도록 상기 고정플랜지(420)는 상기 수문(3)의 타측 후면 상부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430)는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부보강리브(431), 후측보강리브(432) 및 하측보강리브(43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보강리브(431)는 상기 스크린몸체(410)의 상부수평판(413)의 외면에 상기 상부수평판(413)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 및 상기 상부수평판(413)의 상부 외부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상부수평판(413)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상기 상부어류통과공(413a)을 구획 및 상기 상부수평판(413)을 보강할 수 있다.
상기 후측보강리브(432)는 상기 스크린몸체(410)의 후측수직판(414)의 외면에 상기 후측수직판(414)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 및 상기 후측수직판(414)의 후방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후측수직판(414)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상기 후측어류통과공(414a)을 구획 및 상기 후측수직판(414)을 보강할 수 있다.
상기 하측보강리브(414)는 상기 스크린몸체(410)의 하부경사판(415)의 가이드슬릿(415a) 사이마다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경사판(415)의 외면에 상기 하부경사판(415)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 및 상기 하부경사판(415)의 하부 외부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되어 상기 하부경사판(415)을 보강할 수 있다.
도 19는 스크린을 보조보강리브를 정면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0은 도 17의 E - E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21은 도 17의 F - F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 보조보강리브(440)는 도 19 내지 도 2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일측보조보강리브(441), 타측보강리브(442), 제 1하측보조보강리브(443) 및 제 2하측보조보강리브(44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보조보강리브(441)은 상기 스크린몸체(41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일측어류통과공(411a) 사이의 상기 일측수직판(411)의 내면 부위에서 상기 일측수직판(411)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 및 상기 스크린몸체(410)의 내측방향으로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돌출되어 상기 일측수직판(411)을 보강할 수 있다.
상기 타측보조보강리브(442)는 상기 스크린몸체(41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타측어류통과공(412a) 사이의 상기 타측수직판(412)의 내면 부위에서 상기 타측수직판(412)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 및 상기 스크린몸체(410)의 내측방향으로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돌출되어 상기 타측수직판(412)을 보강할 수 있다.
상기 제 1하측보조보강리브(443)은 상기 스크린몸체(410)의 내측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경사판(415)의 내면 중간부위에서 상기 하부경사판(415)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 및 상기 스크린몸체(410)의 내측방향으로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직돌출되어 상기 하부경사판(415)을 보강할 수 있다.
상기 제 2하측보조보강리브(444)는 상기 스크린몸체(410)의 내측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가이드슬릿(415a) 사이의 상기 하부경사판(415) 사이의 일측 내면 부위 및 타측 내면 부위에서 각각 상기 하부경사판(415)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 및 상기 스크린몸체(410)의 내측방향으로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직돌출되어 상기 하부경사판(415)을 보강할 수 있다.
3; 수문, 10; 어도몸체,
20; 상부커버, 30; 어류쉼터몸체,
40; 이물질 배출관, 50; 개폐밸브.

Claims (14)

  1. 수문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수문의 일측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지게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는 하부어도몸체와, 상기 하부어도몸체의 상부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수문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수문의 타측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지게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는 상부어도몸체로 구성되어 상기 수문에 구비되고, 상기 하부어도몸체 및 상기 상부어도몸체와 연통되는 방향전환부의 타측 중간과 타측 상부에 각각 상기 하부어도몸체의 일측과 상기 상부어도몸체의 일측이 연결되며, 상기 하부어도몸체의 일측과 상기 상부어도몸체의 일측 사이의 상기 방향전환부의 타측 부위에 끼움홈이 형성되는 어도몸체와;
    상기 어도몸체의 상부에 상기 어도몸체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복수개로 안착되어 상기 어도몸체의 상부를 개폐하고, 상기 하부어도몸체의 일측 상부에 안착된 어느 하나의 상부커버의 좌우길이가 상기 상부어도몸체의 일측 상부에 안착된 다른 하나의 상부커버의 좌우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복수의 상부커버와;
    상기 방향전환부와 상기 하부어도몸체의 일측 상부에 안착된 어느 하나의 상기 상부커버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방향전환부의 끼움홈에 일측이 끼움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하부어도몸체의 일측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하부어도몸체의 상부를 폐쇄하는 보조 상부커버와;
    상기 어도몸체와 연통되도록 상기 어도몸체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어도몸체의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되고, 상기 어도몸체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어류가 체류하는 어류쉼터몸체와;
    상기 어류쉼터몸체의 내부에 퇴적된 이물질을 배출하는 이물질 배출관과;
    상기 이물질 배출관을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 기능을 탑재한 수문.
  2. 타측 후면 상부에 물유입구가 형성되는 수문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수문에 구비되고, 상부가 개방되는 어도몸체와;
    상기 어도몸체의 상부에 상기 어도몸체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복수개로 안착되어 상기 어도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복수의 상부커버와;
    상기 어도몸체와 연통되도록 상기 어도몸체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어도몸체의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되고, 상기 어도몸체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어류가 체류하는 어류쉼터몸체와;
    상기 어류쉼터몸체의 내부에 퇴적된 이물질을 배출하는 이물질 배출관과;
    상기 이물질 배출관을 개폐하는 개폐밸브와;
    복수의 일측어류통과공과 복수의 타측어류통과공이 각각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일측수직판 및 타측수직판과, 상기 일측수직판의 상부와 상기 타측수직판의 상부 사이에 형성되고 복수의 상부어류통과공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상부수평판과, 상기 일측수직판의 후측과 상기 타측수직판 사이에 형성되고 복수의 후측어류통과공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후측수직판과, 상기 일측수직판의 하부와 상기 타측수직판의 하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후측수직판의 하부에서 상기 후측수직판의 전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지며 복수의 가이드슬릿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하부경사판으로 구성되는 스크린몸체와, 상기 스크린몸체의 가장자리 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스크린몸체의 내측에 상기 물유입구가 수용되도록 상기 수문의 타측 후면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플랜지와, 상기 스크린몸체의 상부수평판의 외면에 상기 상부수평판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 및 상기 상부수평판의 상부 외부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상부수평판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상기 상부어류통과공을 구획 및 상기 상부수평판을 보강하는 상부보강리브와, 상기 스크린몸체의 후측수직판의 외면에 상기 후측수직판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 및 상기 후측수직판의 후방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후측수직판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상기 후측어류통과공을 구획 및 상기 후측수직판을 보강하는 후측보강리브와, 상기 스크린몸체의 하부경사판의 가이드슬릿 사이마다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경사판의 외면에 상기 하부경사판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 및 상기 하부경사판의 하부 외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경사판을 보강하는 하측보강리브로 구성되는 보강리브와, 상기 스크린몸체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일측어류통과공 사이의 상기 일측수직판의 내면 부위에서 상기 일측수직판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 및 상기 스크린몸체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일측수직판을 보강하는 일측보조보강리브와, 상기 스크린몸체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타측어류통과공 사이의 상기 타측수직판의 내면 부위에서 상기 타측수직판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 및 상기 스크린몸체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타측수직판을 보강하는 타측보조보강리브와, 상기 스크린몸체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경사판의 내면 중간부위에서 상기 하부경사판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 및 상기 스크린몸체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경사판을 보강하는 제 1하측보조보강리브와, 상기 스크린몸체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가이드슬릿 사이의 상기 하부경사판 사이의 일측 내면 부위 및 타측 내면 부위에서 각각 상기 하부경사판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 및 상기 스크린몸체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경사판을 보강하는 제 2하측보조보강리브로 구성되는 보조보강리브로 이루어지고, 상기 물유입구가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수문의 타측 후면 상부에 구비되는 스크린;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 기능을 탑재한 수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은 가동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 기능을 탑재한 수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도몸체는 상기 수문에 경사지게 지그재그식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 기능을 탑재한 수문.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어도몸체는 상기 수문에 경사지게 지그재그식으로 구비되고,
    상기 수문에 지그재그식으로 구비된 상기 어도몸체의 굴곡부위에 상기 어도몸체와 연통되는 방향전환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 기능을 탑재한 수문.
  6.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부의 내부에 퇴적된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보조이물질 배출관과;
    상기 보조이물질 배출관을 개폐하는 보조개폐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 기능을 탑재한 수문.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어도몸체의 내주면 전측과 내주면 후측에 상기 어도몸체의 내측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된 상태로 수직형성 및 상기 어도몸체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지그재그로 복수배치되는 물흐름 저항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 기능을 탑재한 수문.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어도몸체의 상부와 복수의 상기 상부커버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어도몸체의 상부에 상기 어도몸체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복수개로 안착되는 복수의 패킹부와;
    상기 어도몸체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어도몸체의 상부 내측에 상기 어도몸체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복수개로 구비되는 하부보강판과, 상기 하부보강판의 상부에 상기 하부보강판을 따라 전후연장된 상태로 수직형성되는 상부보강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복수의 상기 패킹부 사이 및 복수의 상기 상부커버 사이마다 배치되어 복수의 상기 패킹부 사이 및 복수의 상기 상부커버 사이를 보강하는 보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 기능을 탑재한 수문.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물흐름 저항판의 상부에 상기 보강부가 간헐적으로 안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 기능을 탑재한 수문.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의 상부보강판의 하부 전측과 하부 후측에 각각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 기능을 탑재한 수문.
  11.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상부커버에 상기 어도몸체의 내부를 검사하기 위한 점검창이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 기능을 탑재한 수문.
  12.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부에 상기 방향전환부의 내부를 검사하기 위한 점검창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 기능을 탑재한 수문.
  13. 삭제
  14. 삭제
KR1020220112543A 2022-09-06 2022-09-06 어도 기능을 탑재한 수문 KR102549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2543A KR102549900B1 (ko) 2022-09-06 2022-09-06 어도 기능을 탑재한 수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2543A KR102549900B1 (ko) 2022-09-06 2022-09-06 어도 기능을 탑재한 수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9900B1 true KR102549900B1 (ko) 2023-07-03

Family

ID=87157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2543A KR102549900B1 (ko) 2022-09-06 2022-09-06 어도 기능을 탑재한 수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990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5923A (ja) * 2000-09-28 2002-04-10 Nippon Steel Metal Prod Co Ltd 魚巣兼用鋼製護岸構造物
KR200286173Y1 (ko) * 2002-04-08 2002-08-22 한상관 유속 안내판과 몸체의 저항 작용에 의해 물고기의 이동이용이하도록 구성되는 어도
KR100955709B1 (ko) * 2008-12-30 2010-05-04 이지현 집수조를 구비하는 어도
KR101790145B1 (ko) 2017-02-08 2017-10-25 장경식 어도가 구비된 수문
KR102201476B1 (ko) * 2020-07-27 2021-01-13 (주)동화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용 배수로 덮개
KR102290179B1 (ko) * 2020-10-15 2021-08-13 이광호 어류의 이동이 용이한 생태 수문 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5923A (ja) * 2000-09-28 2002-04-10 Nippon Steel Metal Prod Co Ltd 魚巣兼用鋼製護岸構造物
KR200286173Y1 (ko) * 2002-04-08 2002-08-22 한상관 유속 안내판과 몸체의 저항 작용에 의해 물고기의 이동이용이하도록 구성되는 어도
KR100955709B1 (ko) * 2008-12-30 2010-05-04 이지현 집수조를 구비하는 어도
KR101790145B1 (ko) 2017-02-08 2017-10-25 장경식 어도가 구비된 수문
KR102201476B1 (ko) * 2020-07-27 2021-01-13 (주)동화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용 배수로 덮개
KR102290179B1 (ko) * 2020-10-15 2021-08-13 이광호 어류의 이동이 용이한 생태 수문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1594B1 (ko) 유동액체로부터고형물을분리하는장치
KR101555831B1 (ko) 유속저감 기능을 갖는 자연형 어도
KR101545448B1 (ko) 초기우수의 수처리 시스템
KR102290179B1 (ko) 어류의 이동이 용이한 생태 수문 구조
KR20040045502A (ko) 오버플로우 챔버
KR200407931Y1 (ko) 저수기능을 갖는 하천의 자연정화구조물
KR100541631B1 (ko) 유속 안내판과 어도 덮게의 저항 작용에 의해 물고기의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어도의 구성방법
KR102549900B1 (ko) 어도 기능을 탑재한 수문
KR20110054572A (ko) 커버가 장착된 그레이팅 및 이를 구비하는 집수조
US8980083B2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KR100783823B1 (ko) 다단계 어도내장형 사방댐
KR100524044B1 (ko) 유체 베어링 용기의 라이너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
KR20240071441A (ko) 어도 기능을 탑재한 가동보
KR101718425B1 (ko) 수로 탈출장치
KR100688895B1 (ko) 물고기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어도를 구성하는 방법
US712194A (en) Sewer catch-basin.
KR100732405B1 (ko) 물고기의 이동이 용이한 이중어도의 구성방법
KR100939562B1 (ko) 다단 나선형 어도
KR100638485B1 (ko) 무동력 자동수문을 이용한 어도장치
KR102082142B1 (ko)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
KR200389675Y1 (ko) 물고기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어도
KR102259684B1 (ko) 댐에 설치되는 수압 저감 수단이 구비된 집수형 어도
KR100607455B1 (ko) 하천수의 원활한 이용을 위한 수중보
KR101506848B1 (ko) 어도가 형성된 수문
KR102448989B1 (ko) 하천의 수위에 따른 개별 작동형 어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