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4588B1 - 수납케이스 - Google Patents

수납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4588B1
KR100694588B1 KR1020000009260A KR20000009260A KR100694588B1 KR 100694588 B1 KR100694588 B1 KR 100694588B1 KR 1020000009260 A KR1020000009260 A KR 1020000009260A KR 20000009260 A KR20000009260 A KR 20000009260A KR 100694588 B1 KR100694588 B1 KR 100694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torage case
portions
mount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9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4327A (ko
Inventor
이시토미쿠니히코
타케다히로미츠
코다니마사히로
Original Assignee
호시자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자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자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00009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4588B1/ko
Publication of KR20010084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4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4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4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6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 B65D2585/68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specific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 B65D2585/681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specific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kitchen devices, including unspecified devices, e.g. Haushaltgerä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수납케이스가 내장되는 가대에 강성을 높여서, 가대의 다리부의 강성부족에 기인하는 ハ자 또는 역ハ자 상태의 발생을 방지한다.
좌우의 측면벽판(27,28)과 그 후단부에 고착된 후면벽판(29)으로 형성된 공간부의 상하의 중간부위에 지지대(25)를 보유한 가대(架臺)(20a)를 구비하고, 각종의 기기류가 지지대(25)에 지지된 상태로 수납되는 수납케이스로서, 가대(20a)를, 상자형상의 다리부(21,22)로 지지대(25)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Description

수납케이스{STORAGE CABINET}
도1은, 본 발명의 일례에 관한 수납케이스의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상기 수납케이스를 구성하는 가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일례에 관한 수납케이스의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4는, 종래의 수납케이스를 구성부품으로 한 제빙기의 일부 파단 측면도이다.
도5는, 상기 수납케이스의 분해사시도이다.
삭제
도6은, 상기 수납케이스를 구성하는 가대(架臺)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 ㆍㆍㆍㆍㆍ 가대
11a,11b ㆍㆍㆍㆍㆍ 측면벽판
11a1,11b1 ㆍㆍㆍㆍㆍ 관통구멍
12 ㆍㆍㆍㆍㆍ 후면벽판
13a,13b ㆍㆍㆍㆍㆍ 측면판
13a1,13b1 ㆍㆍㆍㆍㆍ 관통구멍
14 ㆍㆍㆍㆍㆍ 지지대
14a,14b,14c ㆍㆍㆍㆍㆍ 플랜지부
14d,14e ㆍㆍㆍㆍㆍ 노치부
15a,15b ㆍㆍㆍㆍㆍ 커버체
16 ㆍㆍㆍㆍㆍ 스토커
16a,16b ㆍㆍㆍㆍㆍ 관통구멍
17 ㆍㆍㆍㆍㆍ 천장판
18 ㆍㆍㆍㆍㆍ 개폐문
18a ㆍㆍㆍㆍㆍ 문 본체
18b ㆍㆍㆍㆍㆍ 지지암
18c ㆍㆍㆍㆍㆍ 스토퍼부
18d ㆍㆍㆍㆍㆍ 스프링부재
19 ㆍㆍㆍㆍㆍ 바닥판
20a ㆍㆍㆍㆍㆍ 가대
21,22 ㆍㆍㆍㆍㆍ 다리부
21a,22a ㆍㆍㆍㆍㆍ 주벽부
21a1,22a1 ㆍㆍㆍㆍㆍ 작업구멍
21a2,22a2 ㆍㆍㆍㆍㆍ 지지편
21a3,22a3 ㆍㆍㆍㆍㆍ 걸림부
21b,22b ㆍㆍㆍㆍㆍ 상면벽부
21c,22c ㆍㆍㆍㆍㆍ 하면벽부
21d,22d ㆍㆍㆍㆍㆍ 전면벽부
21d1,22d1 ㆍㆍㆍㆍㆍ 관통구멍
21e,22e ㆍㆍㆍㆍㆍ 후면벽부
23,24 ㆍㆍㆍㆍㆍ 보조다리부
23a,24a ㆍㆍㆍㆍㆍ 측면판부
23b,24b ㆍㆍㆍㆍㆍ 후면판부
23c,24c ㆍㆍㆍㆍㆍ 바닥판부
25 ㆍㆍㆍㆍㆍ 지지대
25a ㆍㆍㆍㆍㆍ 평면판부
25a1,25a2 ㆍㆍㆍㆍㆍ 노치부
25b ㆍㆍㆍㆍㆍ 앞가장자리부
25c ㆍㆍㆍㆍㆍ 뒷가장자리부
25d,25e ㆍㆍㆍㆍㆍ 옆가장자리부
26 ㆍㆍㆍㆍㆍ 스토커
26a ㆍㆍㆍㆍㆍ 상자체
26b ㆍㆍㆍㆍㆍ 전면벽부
26b1,26b2 ㆍㆍㆍㆍㆍ 관통구멍
26c ㆍㆍㆍㆍㆍ 상면벽부
27,28 ㆍㆍㆍㆍㆍ 측면벽판
27a,28a ㆍㆍㆍㆍㆍ 주벽부
삭제
27a1,28a1 ㆍㆍㆍㆍㆍ 창부
27b,28b ㆍㆍㆍㆍㆍ 상면벽부
27c,28c ㆍㆍㆍㆍㆍ 하면벽부
27d,28d ㆍㆍㆍㆍㆍ 전면벽부
27d1,28d1 ㆍㆍㆍㆍㆍ 관통구멍
27e,28e ㆍㆍㆍㆍㆍ 후면벽부
27f,28f ㆍㆍㆍㆍㆍ 돌편
29 ㆍㆍㆍㆍㆍ 후면벽판
31,32 ㆍㆍㆍㆍㆍ 다리부
31a,32a ㆍㆍㆍㆍㆍ 관통구멍
33 ㆍㆍㆍㆍㆍ 후면벽판
34 ㆍㆍㆍㆍㆍ 지지대
34a ㆍㆍㆍㆍㆍ 평면판부
34b ㆍㆍㆍㆍㆍ 앞가장자리부
35,36 ㆍㆍㆍㆍㆍ 측면벽판
35a,36a ㆍㆍㆍㆍㆍ 주벽부
35b,36b ㆍㆍㆍㆍㆍ 돌편
35c,36c ㆍㆍㆍㆍㆍ 상면벽부
35d,36d ㆍㆍㆍㆍㆍ 전면벽부
35d1,36d1 ㆍㆍㆍㆍㆍ 관통구멍
37 ㆍㆍㆍㆍㆍ 스토커
37a ㆍㆍㆍㆍㆍ 상자체
37b ㆍㆍㆍㆍㆍ 전면벽부
37b1,37b2 ㆍㆍㆍㆍㆍ 관통구멍
37c ㆍㆍㆍㆍㆍ 상면벽부
본 발명은, 가대(架臺)를 내장하는 수납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수납케이스의 한 형식으로, 좌우의 측면벽판과 이들 양 측면벽판의 후단부에 고착된 후면벽판으로 형성된 공간부의 상하의 중간부위에 지지대를 보유하는 가대를 구비하고, 각종의 기기류가 가대의 지지대에 지지된 상태로 수납되는 형식의 수납케이스가 있다.
상기 수납케이스로서는, 예를 들면 스토커를 일체적으로 구비한 제빙기의 수납케이스가 있고, 상기 수납케이스에 있어서는, 스토커가 가대의 지지대로 지지된 상태로 수납되고, 또한, 제빙기를 구성하는 각종의 기구부가 지지대의 아래쪽 등, 남은 공간부에 배설(配設)되어서 수납된다.
도4에는 상기 수납케이스를 사용한 스토커와 일체의 제빙기를 나타내고, 도5에는 상기 수납케이스를 일부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고, 또한 도6에는 가대를 분해한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 수납케이스에 있어서는, 가대(10a)가 좌우의 측면 벽판(11a,11b)과 후면벽판(12)이 형성한 공간부에 배설되고 있는 것으로, 가대 (10a)는, 좌우의 측면판(13a,13b), 지지대(14) 및 좌우의 커버체(15a,15b)로 형성되어 있다.
가대(10a)에 있어서는, 지지대(14)가 좌측면판(13a)에 대해서는 전면측 플랜지부(14a) 및 좌측 플랜지부(14b)에 용접되어 고착되고, 또한, 우측면판(13b)에 대해서는 전측면 플랜지부(14a) 및 우측 플랜지부(14c)에 용접되어 고착되어 있고, 또한 각 커버체(15a,15b)는 지지대(14)의 각 노치부(14d,14e)에 끼워 맞춰진 상태로, 지지대(14) 및 각 측면판(13a,13b)에 용접되어 고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가대 (10a)는, 도5에 나타내는 상태로 조립되어 있다.
상기 가대(10a)에 있어서는, 도5에 나타내듯이, 지지대(14)에 스토커(16)가 지지된 상태로 맞붙여 지는 것과 동시에, 좌우의 측면벽판(11a,11b) 및 후면 벽판 (12)이 맞붙여 지고, 그 후, 이들의 공간부의 사이에는 주입된 발포성 수지를 발포하여서 형성된 단열재(斷熱材)가 충전되어 있어서, 이것에 의해, 수납케이스가 구성되어 진다.
상기 수납케이스에는, 도4에 나타내듯이, 제빙판 등의 제빙기구부를 맞붙인 천장판(17), 스토커(16)의 전면측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문(18), 압축기나 축전기등을 맞붙인 바닥판(19)이 맞붙여져서, 스토커와 일체의 제빙기가 구성된다. 개폐문(18)은 문 본체(18a)의 좌우의 각 측면부에 한쌍의 지지암(18b)을 구비하고, 각 지지암(18b)은 스토커(16)의 각 관통구멍(16a,16b), 각 측면 벽판(11a,11b)의 관통구멍(11a1,11b1), 및 각 측면판(13a,13b)의 관통구멍(13a1,13b1)을 관통해서 맞붙여지고 있다. 또한, 각 지지암(18b)에 설치한 스토퍼(18c)에는, 문 본체(18a)를 폐쇄방향으로 미는 스프링부재(18d)가 걸려져 있다.
이것에 의해, 각 지지암(18b)은, 문 본체(18a)와 일체로 회전하고, 문 본체 (18a)가 전방으로 소정량 회동(回動)할 때, 각 지지암(18b)의 선단부에 설치된 스토퍼(18c)가 각 측면판(13a,13b)의 전면측벽부에 맞닿고, 문 본체(18a)의 그 이상의 전방으로의 회동을 규제한다. 또한, 문 본체(18a)는 전방으로의 회동 조작이 해제되면, 양 스프링 부재(18d)의 미는 힘으로 폐쇄방향으로 회동된다.
그런데, 상기 수납케이스에 있어서, 가대(10a)는 다수의 구성부재로 구성되어 있어서, 각 구성부재간의 용접부분이나 코킹부분이 많은 것과 동시에, 지지대(14)를 지지하는 좌우의 각 측면판(11a,11b)이 플레이트 형상으로 강성(剛性)이 없기 때문에, 가대(10a)가 있는 곳마다 비틀어짐이 발생하기 쉽고, 각 측면판(11a,11b)의 수직 형상 및 지지대(14)의 수평형상이 나오기 어렵다. 이 때문에, 가대(10a)는 정면에서 보아서, 지지대(14)의 고착부를 중심으로 하는 ハ자형 또는 역ハ자형을 나타내게 되고, 좌우의 측면벽판(11a,11b) 및 후면벽판(12)으로의 조립 정밀도나, 스토커 (16)의 조립 정밀도가 나쁘고, 또한, 천장판(17), 개폐문(18), 및 바닥판(19)등과의 부착 위치에 빗나감이 생길 우려가 있다.
또한, 수납케이스가 개폐문(18)을 구비한 형식인 것에 있어서는, 개폐문(18)의 문 본체(18a)의 좌우의 각 측면부에 설치된 각 지지암(18b)과, 스토커(16)의 각 관통구멍(16a,16b)간, 각 측면판(11a,11b)의 관통구멍(11a1,11b1)간, 및 각 측면판 (13a,13b)의 관통구멍(13a1,13b1)간의 각각의 사이에 빗나감이 생기고, 이들 빗나감을 보상하기 위해, 각 관통구멍을 빗나감 방향으로 광폭으로 형성하지 않으면 안된다. 각 지지암(18b)이 관통하는 이들 관통구멍은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수납케이스의 외관을 손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개페문(18)의 각 지지암(18b)은, 문 본체(18a)의 전후방향으로의 회동시에는 일체로 회동 동작하고, 또한, 각 스토퍼(18c)의 부위에 걸리어서 문 본체 (18a)를 폐쇄방향으로 미는 각 스프링부재(18d)는, 문 본체(18a)의 전후방향으로의 회동시에는 일체로 회동 동작하는 것과 동시에 신축동작하지만, 이들의 동작으로 좌우방향으로 흔들림이 발생하고, 각 지지암(18b) 및 각 스프링 부재(18d)가 수납케이스의 구성 부재와 서로 간섭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대를 내장하는 형식의 수납케이스에 있어서, 이들 문제의 적어도 하나를 해소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제1의 발명은, 좌우의 측면벽판과 이들 양측면벽판의 후단부에 고착된 후면벽판으로 형성된 공간부의 상하의 중간부위에 지지대를 보유하는 가대를 구비하고, 각종의 기기류가 상기 가대의 지지대에 지지된 상태로 수납되는 수납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가대는, 상기 지지대와, 이 지지대의 전단부에 있어서의 좌우의 각 측면부에 고착된 상자형상의 다리부와, 상기 지지대의 후단부에 있어서의 좌우의 각 측면부에 고착된 각 보조다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측면벽판의 내측면에 끼워서 지지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2의 발명은, 제1의 수납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각 측면벽판의 전단부의 상하의 중간부에 그 하단부를 전후방향으로 회동(回動) 가능하게 맞붙여진 개폐문에 의해 상기 가대의 지지대에 지지시킨 상태로 수납된 스토커 등의 용기의 전면측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관한 제2의 수납케이스에 있어서는, 상기 개폐문을, 좌우의 한쪽 측면부 또는 양 측면부에 스토퍼를 선단부에 보유하는 원호형상의 지지암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상자형상의 다리부를, 상기 지지암을 삽입해서 통과시키는 삽입 통과 구멍과, 상기 개폐문이 전방으로 소정량 회동했을 때, 상기 스토퍼가 걸리는 전면벽부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 상기 상자형상의 다리부를, 상기 지지암의 회동 동작을 허용하고, 상기 개폐문을 폐쇄 방향으로 미는 스프링부재의 배치를 확보하고, 또한 이 스프링부재의 신축동작을 허용하는 공간부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하면, 도1에는, 본 발명에 관한 수납케이스를 분해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수납케이스는, 케이스본체와는 독립하여서 형성된 가대(20a)를 내장하는 것으로, 가대(20a)는, 좌우 한쌍의 다리부 (21,22)와, 좌우의 보조다리부(23,24)와, 지지대(25)에 의해 구성되고, 스토커(26)를 지지한 상태로, 좌우의 각 측면벽판(27,28) 및 후면벽판(29)으로 구성된 케이스 본체내에 맞붙여지고, 이것에 의해, 가대(20a)를 내장하는 수납케이스가 구성되어 있다.
가대(20a)를 구성하는 다리부(21,22)는, 도2에 나타내듯이, 외측이 개구하는 상자형상을 나타내는 높은 강성을 보유하는 것으로, 주벽부(21a,22a)와, 그 둘레 가장자리부로 부터 외측으로 직교하여서 돌출하는 상면벽부(21b,22b), 하면벽부 (21c,22c), 전면벽부(21d,22d), 및 후면벽부(21e,22e)로 구성되어 있다. 각 다리부 (21,22)에 있어서는, 주벽부(21a,22a)의 중앙부에서 하방으로 이어지는 작업구멍 (21a1,22a1)이 형성되어 있는 것과 동시에, 작업구멍(21a1,22a1)의 윗가장자리부에 내측으로 돌출하는 지지편(21a2,22a2)이, 또한, 앞가장자리부에 하방으로 걸림부 (21a3, 22a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면벽부(21d,22d)에는, 그 위쪽에 상하방향으로 이어지는 슬릿형상의 관통구멍(21d1,22d1)이 형성되어 있다.
보조다리부(23,24)는, 측면판부(23a,24a)와 후면판부(23b,24b)를 서로 직교 형상으로 굴절하여서 이루어진 평면 L자형을 나타내는 것으로, 측면판부(23a,24a)가 후면판부(23b,24b)보다 일정량 높게 형성되어지는 것과 동시에, 밑가장자리부에 내측으로 돌출한 바닥판부(23c,24c)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대(25)는, 사각형의 평면판부(25a)와, 그 둘레 가장자리부에서 상측으로 직교하여서 돌출하는 앞가장자리부(25b), 뒷가장자리부(25c), 좌우에 옆가장자리부(25d,25e)로 구성되어 있다. 평면판부(25a)에 있어서는, 그 전측면의 좌우 양 측면부에 직사각형의 노치부(25a1,25a2)가 형성되어 있다. 각 노치부(25a1,25a2)는, 각 다리부 (21,22)의 평면형태와 동일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서, 각 노치부(25a1,25a2)에 각 다리부(21,22)가 딱 맞게 끼워 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가대(20a)는,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조립되어 진다. 즉, 각 다리부(21,22)를, 지지대(25)의 평면판부(25a)에 있어서의 각 노치부(25a1,25a2)로 끼워 맞춰서, 지지편(21a2,22a2)으로 평면판부(25a)의 전측면의 좌우의 옆가장자리부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것과 동시에, 각 보조다리부(23,24)의 후면판(23b,24b)을 평면판부(25a)의 후측가장자리부의 하방으로 끼워 넣어서, 후면판부(23b,24b)의 윗가장자리로 평면판부(25a)의 후측의 좌우의 옆가장자리부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한다. 이 상태로, 각 다리부(21,22)를 그 지지편(21a2,22a2)으로 지지대(25)의 평면판부(25a)의 하면에 용접하고, 각 보조다리부(23,24)의 측면판부(23a,24a)에 있어서의 윗쪽 내면으로 지지대(25)에 있어서의 각 옆가장자리부(25d,25e)의 외면에 용접하고, 또한. 각 보조다리부(23,24)의 후면판부(23b,24b)에 있어서의 윗가장자리로 평면판부(25a)에 있어서의 후측가장자리부의 하면에 용접한다.
가대(20a)는, 스토커(26)를 지지한 상태로, 좌우의 각 측면벽판(27,28) 및 후면벽판(29)으로 구성된 케이스 본체내에 맞붙여지고, 이것에 의해, 가대(20a)를 내장하는 수납케이스가 구성된다. 스토커(26)는, 도1에 나타내듯이, 전측 및 상측 이 개구하는 상자체(26a)의 앞가장자리 및 윗가장자리에, 상자체(26a)에 직교하여서 외측으로 돌출하는 전면벽부(26b) 및 상면벽부(26c)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전면벽부(26b)에 있어서의 좌우의 하방부에 상하방향으로 이어지는 슬릿형태의 관통구멍(26b1,26b2)이 형성되어 있다. 각 관통구멍(26b1,26b2)은, 각 다리부(21, 22)의 관통구멍(21d1,22d1)과 대략 동일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스토커 (26)가 맞붙여진 상태로는 상기 관통구멍(21d1,22d1)과 대향한다.
각 측면벽판(27,28)은, 좌우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주벽부 (27a, 28a)와, 그 둘레 가장자리부에서 내측으로 직교하여서 돌출하는 상면벽부(27b,28b), 하면벽부(27c,28c), 전면벽부(27d,28d), 후면벽부(27e,28e), 및 상하 한쌍의 돌편(突片)(27f,28f)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측면벽판(27,28)에 있어서는, 주벽부(27a, 28a)의 중앙부에서 하방으로 이어지는 축전기용 창(窓)부분(27a1,28a1)이 형성되어 있는 것과 동시에, 전면벽부(27d,28d)에는, 그 중간부에 상하방향으로 이어지는 슬릿형상의 관통구멍(27d1,28d1)이 형성되어 있다. 각 관통구멍(27d1,28d1)은, 각 다리부(21,22)의 관통구멍(21d1,22d1) 및 스토커(26)의 각 관통구멍(26b1,26b2)과 대략 동일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각 측면벽판(27,28)이 맞붙여진 상태로는 이들 각 관통구멍(21d1,22d1), 및 각 관통구멍(26b1.26b2)과 대향한다.
상기 수납케이스는,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조립된다. 즉, 먼저 가대(20a)의 각 다리부(21,22)를 각 측면벽판(27,28)의 주벽부(27a,28a)와 상하의 양 돌편(27f, 28f)사이에 끼어 넣은 상태로, 각 측면벽판(27,28)을 가대(20a)의 좌우의 각 측면부에 맞붙여서, 가대(20a)의 지지대(25)에 있어서의 각 옆가장자리부(25d,25e)를 각 측면벽판(27,28)의 주벽부(27a,28a)에 임시 고정 또는 용접하는 것과 동시에, 후면벽판(29)을 각 측면벽판(27,28)의 후면벽부(27e,28e)에 임시 고정 또는 용접한다.
이어서, 이 조립체의 윗쪽 개구부에서 스토커(26)를 삽입하여서, 스토커(26)의 상자체(26a)를 지지대(25)의 평면판부(25a)에 장치하는 것과 동시에, 스토커 (26)의 상면벽부(26c)를 각 측면벽판(27,28)의 상면벽부(27b,28b) 및 후면벽판(29)의 윗 가장자리에 걸리게 하여서, 스토커(26)의 전면벽부(26b)를 각 측면벽판(27, 28)의 전면벽부(27d,28d)의 전면에 맞닿게 하여 위치시킨다. 마지막으로, 스토커(26)를 이들 각측면벽판(27,28)의 상면벽부(27b,28b), 전면벽부(27d,28d), 후면벽판 (29)의 윗 가장자리에 임시 고정 또는 용접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수납케이스에서는, 스토커(26)의 각 관통구멍(26b1,26b2)과, 각 측면벽판(27,28)의 관통구멍(27d1,28d1)과, 각 다리부(21,22)의 관통구멍(21d1, 22d1)이 이 순서로 서로 대향하고 있고, 각 다리부(21,22)의 내부를 후술하는 개폐문(18)의 지지암(18b), 지지암(18b)에 걸리는 스프링부재(18d)의 수용공간부를 구성하고 있고, 각 다리부(21,22), 지지대(25), 스토커(26), 각 측면벽판(27,28), 및 후면벽판(29)사이에 형성된 간격에는, 주입된 발포수지를 발포시켜서 형성된 단열재가 충전되어 있고, 각 다리부(21,22)내에 형성되어 있는 수용공간부는 확보되어 있다.
상기 수납케이스에 있어서는, 종래의 수납케이스와 동일하게, 도4에 나타내듯이, 제빙판 등의 제빙기구부를 맞붙인 천장판(17), 스토커(26)의 전면측 개구부 를 개폐하는 개폐문(18), 압축기나 축전기 등을 맞붙인 바닥판(19)이 맞붙여져서, 스토커(26)와 일체의 제빙기가 구성된다. 개폐문(18)은 문 본체(18a)의 좌우의 각 측면부에 한쌍의 지지암(18b)을 구비하고, 각 지지암(18b)은 스토커(26)의 각 관통구멍(26b1,26b2), 각 측면벽판(27,28)의 관통구멍(27d1,28d1) 및 각 다리부(21, 22)의 관통구멍(21d1,22d1)을 관통하여서 각 다리부(21,22)의 수용공간부로 향하고, 각 지지암(18b)의 선단부에 설치한 스토퍼부(18c)에 각 스프링부재(18d)의 상단이 걸리어 있다. 또한, 각 스프링부재(18d)의 하단은, 각 다리부(21,22)의 걸림부(21a3,22a3)에 걸리어 있다. 또한, 각 스프링부재(18d)의 걸림 작업은, 각 다리부(21,22)의 작업구멍(21a1,22a1)을 통하여서 이루어진다.
이것에 의해, 개폐문(18)의 문 본체(18a)는, 각 스프링부재(18d)에 의해 언제나 밀려져서 스토커(26)의 전면측 개구부를 폐쇄하고 있고, 문 본체(18a)가 전방으로 일정량 회동했을 때, 각 지지암(18b)이 문 본체(18a)와 일체로 회동하여서 스토퍼부(18c)를 각 다리부(21,22)의 전면측부(21d,22d)의 내면으로 맞닿게 하고, 문 본체(18a)의 그 이상의 전방으로의 회동을 규제한다. 또, 문 본체(18a)는 전방으로의 회동조작이 해제되면, 양 스프링부재(18d)의 미는 힘으로 폐쇄방향으로 회동되어서, 스토커(26)의 전면측 개구부를 폐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수납케이스에 있어서는, 도5에 나타내는 종래의 수납케이스와 같은 기능을 하는 것으로, 도4에 나타내는 형태와 대략 동일하게 스토커(26)와 일체의 제빙기를 구성한다.
그러나, 상기 수납케이스에 있어서는, 케이스 본체에 내장되어 있는 가대 (20a)를 구성하는 좌우의 양 다리부(21,22)는 상자형상을 나타내고 있어서. 단순한 평면판에 비교해서 극히 높은 강성을 보유하는 것과 동시에, 가대(20a)를 구성하는 다른 구성부재와의 용접과 코킹에 의해서도, 또한, 좌우의 측면벽판(27,28)의 끼임 지지에 의해서도 비틀어짐이 발생하지 않아서, 수직기립상태를 유지한다. 이 때문에, 가대(20a)는 정면에서 보아, 지지대(25)의 각 다리부(21,22)에 대한 고착부를 중심으로 하는 ハ자형 또는 역ハ자형을 나타내지 않고, 좌우의 측면벽판(27,28) 및 후면벽판(29)으로의 맞붙임 정밀도나, 스토커(26)의 맞붙임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그후에 부착되는 천장판(17), 개폐문(18), 바닥판(19) 등과의 부착위치에 빗나감이 생기지 않는다.
이 경우, 각 지지암부(18b)와, 스토커(26)의 각 삽입 통과 구멍(26b1,26b2)과, 각 측면벽판(27,28)의 관통구멍(27d1,28d1)과, 각 다리부(21,22)의 관통구멍 (21d1,22d1)과의 사이에는 빗나감이 없기 때문에, 이들 각 삽입 통과 구멍을 그 빗나감을 보상해야 할 폭을 확대할 필요가 없고, 이것에 의해 수납케이스의 외관이 손상되는 일이 없다.
상기 수납케이스에 있어서는, 각 다리부(21,22)의 수용공간부를, 각 지지암 (18b)의 회동 동작을 허용하고, 문 본체(18a)를 폐쇄방향으로 미는 각 스프링 부재 (18d)의 배치를 확보하고, 또한 각 스프링부재(18d)의 신축동작을 허용하는 크기로 구성하고 있지만, 각 지지암(18b) 및 각 스프링부재(18d)의 동작에는 좌우의 흔들림이 없고, 이들 지지암(18b) 및 스프링부재(18d)와, 각 다리부(21,22)의 내벽면 등과의 간섭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수납케이스에 있어서는, 좌우의 각 다리부(21,22)는 좌우의 측면벽판(27,28)과 스토커(26) 사이에서 발포 형성된 단열재내에 매설되므로, 각 다리부(21,22) 및 가대(20a)의 강도가 한층 향상되고, 나아가서는, 수납케이스 전체의 강도가 향상된다.
도3에는, 본 발명에 관한 수납케이스의 다른 일례가 나타내어지고 있다. 상기 수납케이스는, 케이스 본체와 가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좌우 한쌍의 다리부(31,32)와, 후면벽판(33)과 일체의 지지대(34)와, 좌우의 한쌍의 측면벽판 (35, 36)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스토커(37)를 지지하여서 내장하고 있다.
상기 수납케이스에 있어서, 각 다리부(31,32), 각 측면벽판(35,36) 및 스토커(37)는, 상기한 각 다리부(21,22)와, 각 측면벽부(27,28), 스토커(26)와 동일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또한, 지지대(34)는 후면벽판(33)과 일체인 점을 빼고, 지지대(25)와 유사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대(34)는, 평면판부(34a)의 앞가장자리에 앞가장자리부(34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좌우의 각 옆가장자리부는 생략되어 있는 점을 빼고 지지대(25)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납케이스는,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조립된다. 즉, 먼저 각 다리부 (31,32)를 각 측면벽판(35,36)의 주벽부(35a,36a)와 상하의 양 돌편(35b, 36b) 사이에 끼워 넣어진 상태로, 주벽부(35a,36a)와 상하 양 돌편(35b,36b)에 용접한다. 이어서, 후면벽판(33)과 일체의 지지대(34)를 그 각 노치부로 각 측면벽판 (35,36)에 끼워 맞추고, 이 상태에서, 후면벽판(33) 및 지지대(34)를 각 측면 벽판 (35,36)에 용접하는 것과 동시에, 지지대(34)를 각 다리부(31,32) 및 각 측면벽판 (35,36)에 용접한다. 이것에 의해, 케이스 본체와 가대가 일체의 조립체로 형성된다.
그후, 이 조립체의 상방 개구부로부터 스토커(37)를 삽입하여서, 스토커(37)의 상자체(37a)를 지지대(34)의 평면판부(34a)에 장치하는 것과 동시에, 스토커 (37)의 상면벽부(37c)를 각 측면벽판(35,36)의 상면벽부(35c,36c)위에 걸리게 하여서, 스토커(37)의 전면벽부(37b)를 각 측면벽판(35,36)의 전면벽부(35d,36d)의 전면에 맞닿게 하여서 위치시키고, 스토커(37)를 각 측면벽판(35,36)의 상면벽부 (35c,36c) 및 전면벽부(35d,36d), 지지대(34)의 앞가장자리부(34b), 후면벽판(33)의 윗가장자리에 용접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수납케이스에는, 스토커(37)의 각 관통구멍(37b1,37b2)과, 각 측면벽판(35,36)의 관통구멍(35d1,36d1)과, 각 다리부(31,32)의 관통구멍(31a, 32a)이 이 순서로 서로 대향하고 있어서, 각 다리부(31,32)의 내부를 개폐문(18)의 지지암(18b), 지지암(18b)에 걸린 스프링부재(18c)의 수용공간부를 구성하고 있고, 각 다리부(31,32), 지지대(34), 스토커(37), 각 측면벽판(35,36), 및 후면벽판(33) 사이에 형성된 간격에는, 발포 수지를 주입하여서 발포시켜서 형성된 단열재가 충전되어 있고, 각 다리부(31,32) 내에 형성되어 있는 수용공간부는 확보되어 있다.
상기 수납케이스에 있어서는, 도5에 나타나는 종래의 수납케이스와 동일하게, 제빙판 등의 제빙기구부를 맞붙인 천장판(17), 스토커(37)의 전면측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문(18), 압축기나 축전기 등을 맞붙인 바닥판(19)이 맞붙여져서, 스토커와 일체의 제빙기가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수납케이스에 있어서는, 도5에 나타내는 종래의 수납케이스와 동일하게 기능하는 것으로, 도4에 나타내는 상태와 대략 동일하게 스토커(37)와 일체의 제빙기를 구성하고, 상기한 도1 및 도2에 나타내는 본 발명에 관한 수납케이스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상기 수납케이스에 있어서는, 케이스 본체와 일체의 가대를 구성하는 좌우의 양 다리부(31,32)는 상자형상을 나타내고 있어서, 단순한 평면판에 비교해서 극히 높은 강성을 보유하는 것과 동시에, 다른 구성부재와의 용접이나 코킹에 의해서도, 또한 좌우 양측면벽판(35,36)에 의한 끼임 지지에 의해서도 비틀어짐이 발생하지 않아서, 수직기립상태를 유지한다. 이 때문에, 수납케이스는 정면에서 보아서, 지지대(34)의 각 다리부(31,32)에 대한 고착부를 중심으로 하는 ハ자형 또는 역ハ자형을 나타내는 일이 없고, 스토커(37)의 조립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그후에 부착되는 천장판(17), 개폐문(18), 바닥판(19) 등과의 부착위치에 빗나감이 생기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1의 발명 및 제2의 발명에 관한 수납케이스에 있어서는, 가대를 구성하는 상자형상의 다리부는 높은 강성을 보유하는 것과 동시에, 측면판 등에 끼워서 지지되어도, 또한, 다른 구성부재와의 용접과 코킹에 의해서도 비틀어짐이 발생하지 않고, 수직기립상태를 유지한다. 이 때문에, 가대는 정면에서 보아서, 지지대의 좌우의 다리부에 대한 고착부를 중심으로 한 ハ자형 또는 역ハ자형을 나타내는 일이 없고, 좌우의 측면벽판 및 후면벽판으로의 맞붙임 정밀도나, 스토커의 맞붙임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그 후에 부착되는 천장판, 개폐문, 바닥판 등과의 부착 위치에 빗나감이 생기는 일이 없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2의 수납케이스에 있어서는, 개폐문을, 좌우의 한쪽 측면부 또는 양 측면부에 스토퍼를 선단부에 보유하는 원호형상의 지지암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과 동시에, 상자형상의 다리부를 지지암이 삽입 통과하는 삽입 통과 구멍과, 개폐문이 전방으로 소정량 회동했을 때 스토퍼가 맞닿는 전면벽부를 구비한 구성으로 할 수 있어 수납케이스의 가대를 구성하는 구성부품의 부품수를 저감시킬 수 있고, 수납케이스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가대의 조립시에 있어서의 용접부분이나 코킹부분을 대폭으로 저감시킬 수 있어 가대에 생기는 비틀어짐을 한층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암 및 스프링부재의 동작에 흔들림이 없고, 이들 부재와 수납 케이스의 각 구성부재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또, 수납케이스가, 좌우의 측면벽판과 후면벽판으로 형성된 외벽판과 스토커, 가대등 내벽을 구성하는 내재와의 사이내로 발포성 수지를 주입하여서 단열재를 충전하는 형식의 수납케이스의 경우에는, 가대를 구성하는 상자형상의 다리부가 단열재내에 설치되게 되고, 이것에 의해, 상자형상의 다리부 및 가대의 강도를 한층 향상시키고, 나아가서는, 수납케이스 전체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6)

  1. 좌우의 측면벽판과 이들 양측면벽판의 후단부에 고착된 후면벽판으로 형성된 공간부의 상하의 중간부위에 지지대를 보유하는 가대를 구비하고, 각종의 기기류가 상기 가대의 지지대에 지지된 상태로 수납되는 수납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가대는, 상기 지지대와, 이 지지대의 전단부에 있어서의 좌우의 각 측면부에 고착된 상자형상의 다리부와, 상기 지지대의 후단부에 있어서의 좌우의 각 측면부에 고착된 각 보조다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측면벽판의 내측면에 끼워서 지지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측면벽판의 전단부의 상하의 중간부에 그 하단부를 전후방향으로 회동(回動) 가능하게 맞붙여진 개폐문에 의해 상기 가대의 지지대에 지지시킨 상태로 수납된 용기의 전면측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케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문은 좌우의 한쪽 측면부 또는 양 측면부에 스토퍼를 선단부에 보유하는 원호형상의 지지암을 구비하고, 상기 상자형상의 다리부에 상기 지지암이 삽입되는 삽입 통과 구멍과, 상기 개폐문이 전방으로 소정량 회동했을 때 상기 스토퍼가 걸리는 전면벽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케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상기 지지암의 회동 동작을 허용하고, 또한 상기 개폐문을 폐쇄 방향으로 미는 스프링부재의 배치를 확보하고, 이 스프링부재의 신축동작을 허용하는 공간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케이스.
  5. 삭제
  6. 삭제
KR1020000009260A 2000-02-25 2000-02-25 수납케이스 KR100694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9260A KR100694588B1 (ko) 2000-02-25 2000-02-25 수납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9260A KR100694588B1 (ko) 2000-02-25 2000-02-25 수납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4327A KR20010084327A (ko) 2001-09-06
KR100694588B1 true KR100694588B1 (ko) 2007-03-13

Family

ID=37530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9260A KR100694588B1 (ko) 2000-02-25 2000-02-25 수납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458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71324U (ko) * 1973-10-27 1975-06-24
JPH01118095A (ja) * 1987-10-31 1989-05-10 Osaka Gas Co Ltd 回転式熱交換器
JPH01118085A (ja) * 1988-09-27 1989-05-10 Sanyo Electric Co Ltd 冷蔵庫等の箱体
KR900001146Y1 (ko) * 1986-09-25 1990-02-17 손경식 스텐레스 이중식기
JPH0870937A (ja) * 1994-09-10 1996-03-19 Horiba Ltd 計装品等の収納箱
KR20000009260A (ko) * 1998-07-22 2000-02-15 한기수 입방틀형 블록, 입방틀형 블록 제조장치 및 사용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71324U (ko) * 1973-10-27 1975-06-24
KR900001146Y1 (ko) * 1986-09-25 1990-02-17 손경식 스텐레스 이중식기
JPH01118095A (ja) * 1987-10-31 1989-05-10 Osaka Gas Co Ltd 回転式熱交換器
JPH01118085A (ja) * 1988-09-27 1989-05-10 Sanyo Electric Co Ltd 冷蔵庫等の箱体
JPH0870937A (ja) * 1994-09-10 1996-03-19 Horiba Ltd 計装品等の収納箱
KR20000009260A (ko) * 1998-07-22 2000-02-15 한기수 입방틀형 블록, 입방틀형 블록 제조장치 및 사용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00009260 - 68411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4327A (ko) 2001-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30628B2 (ja) トランクリッド用ヒンジ組立体
KR100694588B1 (ko) 수납케이스
JP3575669B2 (ja) 収納ケース
JP6510220B2 (ja) 組立式収納家具
KR100821143B1 (ko) 물건을 적재하는 차량의 커버링 쉘프 트림의 고정 장착구조
JPH11196963A (ja) 物品棚における物品落下防止装置
KR102319916B1 (ko) 차량용 컵홀더의 백커버 결합구조
JP3195166B2 (ja) 断熱庫本体における被固定部材の取付け構造
JP7489889B2 (ja) 電気機器収納用箱体における扉体の蝶番構造
JP4246057B2 (ja) ダンパー付きヒンジ
JP4220172B2 (ja) キャビネット
JP7479949B2 (ja) 光部品収容箱
JPH11103961A (ja) 収納什器の転倒防止装置
JP5354731B2 (ja) 電気機器収納用箱体の蝶番
KR0117736Y1 (ko) 상용차의 적재함 칸막이 구조
JP3923453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ー
JP2021037920A (ja) 車両の収納ボックス、車両用リッド位置決め冶具、及び車両の収納ボックス組み立て方法
JPH11127989A (ja) 収納庫
JP3109213U (ja) 収納庫用自動式扉ストッパー
JP3985950B2 (ja) シャッタ付きキャビネット
JP3312860B2 (ja) 耐振ラッチ装置
JPH08282772A (ja) 記録媒体の収納ケース
JP3874408B2 (ja) 遊技機
JP2001078839A (ja) テーブル,椅子の脚折り畳み構造
JP3585079B2 (ja) トレイ付き装置におけるトレイ位置決め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